KR101356020B1 - 흄후드 - Google Patents

흄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020B1
KR101356020B1 KR1020130057088A KR20130057088A KR101356020B1 KR 101356020 B1 KR101356020 B1 KR 101356020B1 KR 1020130057088 A KR1020130057088 A KR 1020130057088A KR 20130057088 A KR20130057088 A KR 20130057088A KR 101356020 B1 KR101356020 B1 KR 10135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exhaust
exhaust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주)유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나 filed Critical (주)유나
Priority to KR1020130057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실 등에 설치되어 인체에 유해한 가스, 악취 등의 기체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키는 흄후드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흄후드 내부 벽면에 잔존하는 화학물질을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유체를 통해 제거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화학물질간에 발생하는 화학반응으로 인한 화재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제작된 흄후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흄후드{Fume hood}
본 발명은 실험실 등에 설치되어 인체에 유해한 가스, 악취 등의 기체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키는 흄후드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흄후드 내부 벽면에 잔존하는 화학물질을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유체를 통해 제거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화학물질간에 발생하는 화학반응으로 인한 화재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제작된 흄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흄후드(Fume hood)는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장소나 화학적인 실험을 수행하는 여러 연구기관의 실험실에 비치되어 유해한 가스, 악취, 중기 등의 기체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쾌적한 실험실 작업환경을 유지하는 필수설비에 해당한다. 따라서 흄후드는 실험을 수행하는 연구원들이 유해가스와의 접촉을 차단함은 물론, 이로 인해 연구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흄후드는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작업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도어가 상하로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전면에 설치된 도어를 적절히 개방시킨후 작업 플레이트에 놓여진 실험기구를 이용하여 실험하고, 흄후드의 상측에는 배기덕트가 설치되어 내부의 작업공간 및 실험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 기체를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종래의 흄후드는 도어의 개폐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배출량을 조절할 수 없어 도어의 개폐정도에 따라 배출되는 배출량의 변동이 매우 크다. 또한, 흡입방향이 흄후드의 상부로만 흡입되어 내부 작업공간의 모서리 부분에 유해기체의 와류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배출되지 못한 유해기체가 실험실 내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와류현상은 외부공기의 흡입과정 중 도어의 하단부가 흡입되는 기체와 충돌을 일으켜 기체의 진입방향이 변환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흄후드는 유해기체가 흄후드 내부를 통해서 배출될 때 유해기체가 배출되는 배관의 내측면 및 흄후드 내부 벽면에 유해기체의 잔유물들이 부착된다. 이와 같은 유해기체의 잔유물들이 흄후드 내부로 유입되거나 화학반응을 일으켜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작업공간 내부에 와류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유해기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도어를 닫아도 실험실 내부의 유해기체가 흡입될 수 있으며 유해기체가 배출되는 배관 및 흄후드 내부에 유해기체의 잔유물들을 제거할 수 있는 흄후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7963호 '다양한 기능성의 가스상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2012.11.21) 2. 실용신안공보 실1997-0005684호 '응축액 낙하방지용 흄후드' (1996.07.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흄후드 내부에 엑체 또는 기체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흄휴드 내부 및 배관의 유해기체에서 발생되는 잔유 화학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흄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공간 내부에 거치대를 구비하여 협소한 실험공간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세척된 실험 집기등을 거치대 거치하면 습기가 빠르게 건조될 수 있는 흄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흄후드는 내부에 작업공간(S)이 형성되도록 본체 바닥판(110), 상기 본체 바닥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본체 측판(120), 상기 본체 측판(120)의 상측에 형성되는 본체 상판(130), 상기 본체 상판(130)의 일측면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작업공간(S)과 연통되는 개구부(141)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획되며, 일부가 천공되어 형성된 상부흡입구(142)가 구비되는 본체 전측판(140) 및 상기 본체 전측판(140)과 마주보는 본체 후측판(150)을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개구부(141)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 전측판(140)에 설치되는 도어(200); 상기 작업공간(S)의 측면에 기체이동로(L1)가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 측판(120)에 고정되어 상기 작업공간(S)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400); 상기 작업공간(S)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관(710), 상기 배기관(710)의 일측과 상기 본체 상판(130)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본체 상판(130)에서 상기 배기관(710)으로 이어지는 내부 단면적이 서서히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배기덕트(720), 및 상기 작업공간(S) 내부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배기관(710)에 구비되는 배기팬(730)을 포함하는 배기부(700);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본체(10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후측판(150), 상기 배기관(710), 및 상기 배기덕트(7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60); 상기 분사노즐(160)에서 분사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바닥판(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60)은 상기 기체이동로(L1), 상기 배기관(710) 및 상기 배기덕트(720) 내부에 위치하는 분사부(161); 와 상기 분사부(161)로 외부로부터 액체 또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배관(162); 상기 분사부(161)와 상기 공급배관(162)을 연결하며 상기 기체이동로(L1), 상기 배기관(710) 및 상기 배기덕트(720)를 관통하는 연결배관(1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163)에는 상기 연결배관(163)에 체결되어 일측면이 상기 본체 후측판(150), 상기 배기관(710) 및 상기 배기덕트(72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고정판(16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163)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의 피치(Pitch)를 갖는 나사산(16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64)는 상기 나사산(163-1)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상기 고정판(164)이 회전하면 상기 분사부(161)와 상기 연결배관(163)이 상기 나사산(163-1)의 피치 간격만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흄후드 내부의 기체이동로, 배기관, 배기덕트에 유체가 고압으로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기체이동로, 배기관, 배기덕트의 내측면에 부착된 유해기체의 잔유물 등을 제거함에 따라 유해기체의 잔유물간에 화학반응으로 발생하는 화재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노즐의 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하여 유체가 원활하게 흄후드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흄후드 내부의 작업공간에 거치대를 설치하여 다양한 실험기구를 거치할 수 있고 세척된 실험기구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 상판에 소화기를 설치하여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감지하여 흄후드 내부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흄후드의 전제적인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흄후드에 설치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분사노즐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분사노즐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본체를 절개하여 격벽 및 거치대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거치대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1 체결클립 및 제2 체결클립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흄후드의 전제적인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흄후드에 설치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분사노즐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분사노즐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본체를 절개하여 격벽 및 거치대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거치대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1 체결클립 및 제2 체결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흄후드는 본체(100)를 갖는다. 본체(100)는 본체 바닥판(110)과 본체 바닥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본체 측판(120), 본체 측판(120)의 상측에 형성되는 본체 상판(130), 본체 상판(130)의 일측면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 전측판(140) 및 본체 전측판(140)과 상호 마주보는 본체 후측판(15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체(100)의 내부에는 작업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체 전측판(140)에는 작업공간(S)과 연통되며 사용자가 작업공간(S) 내부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본체 전측판(140)을 관통하는 개구부(141)가 형성된다. 개구부(141)는 본체 바닥판(110)과 인접한 본체 전측판(140)의 하측에 형성된다. 또한 본체 전측판(140)을 관통하는 상부흡입구(142)가 형성된다. 상부흡입구(142)는 개구부(141)의 상측에 형성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테이블(80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테이블(800)의 하면에는 테이블 지지대(810)가 복수개 형성된다. 테이블 지지대(810)는 테이블(800)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테이블(800)의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800)의 하면에는 필기구와 실험기구 및 다양한 집기류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830)가 형성되며 수납부(830)는 슬라이딩되는 서랍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수납부(830)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필기할 수 있는 슬라이드판(820)이 형성되며 슬라이드판(820)은 테이블(800)의 하면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즉, 슬라이드판(820)은 사용자가 사용시 테이블(800)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시 테이블(800)의 내측방향으로 밀어서 슬라이드판(820)을 보관한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체 전측판(140)에는 도어(200)가 형성된다. 도어(200)는 개구부(141)를 개폐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어(200)는 본체 전측판(140)의 배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200)가 개구부(141)를 개방시 도어(200)가 상부흡입구(142)와 작업공간(S)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흡입구(142)와 작업공간(S)이 연통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반대로 도어(200)가 개구부(141)를 폐쇄시 도어(200)가 개구부(141)에 위치하므로 상부흡입구(142)와 작업공간(S)은 상호 연통된다. 도어(200)는 개구부(141)를 폐쇄시에도 작업공간(S)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체 측판(120)에는 점검구(121)가 형성된다. 점검구(121)는 본체 측판(120) 내부에 형성된 배관설비나 전선 및 연결선 등을 수리할 수 있도록 본체 측판(120)을 개방할 수 있는 도어 형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점검구(121)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작업공간(S)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항상 작업공간(S)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도어(200)의 하측에는 도어손잡이(300)가 형성된다. 도어손잡이(300)는 도어(20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도어손잡이(300)를 파지하여 도어(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손잡이(300)에는 작업공간(S)과 연통되는 도어흡입구(310)가 형성된다. 이는 개구부(141)를 통하여 외부기체가 흡입될 때 개구부(141)와 도어의 하측단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와류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도어흡입구(310)는 입구가 출구보다 낮은 위치로 형성된다. 즉 입구에서 출구방향이 상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상측에는 배기부(700)가 형성된다. 배기부(700)는 배기관(710), 배기덕트(720) 및 배기팬(730)을 포함한다. 배기관(710)은 내부가 중공되며 작업공간(S)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를 배출하기 위해 형성된다. 배기덕트(720)는 상측이 배기관(710)의 일측과 연결되고, 하측이 본체 상판(130)에 각각 연결된다. 배기덕트(720)는 작업공간(S)과 연통되며, 본체 상판(130)에 연결된 내부 단면적이 배기관(710)의 일측과 연결된 내부 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즉, 배기덕트(720)는 본체 상판(130)에서 배기관(710)으로 이어지는 내부 단면적이 서서히 줄어드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배기팬(730)은 작업공간(S) 내부의 기체를 흡입하기 위해 설치된다. 배기팬(730)은 배기관(710)에 설치되며 배기팬(730)이 작동함으로써 작업공간(S) 내부의 유해기체가 외부로 배출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작업공간(S) 내부에는 격벽(400)이 형성된다. 격벽(400)은 본체 측판(120)에 고정되어 작업공간(S) 내부에 세워지도록 구획된다. 격벽(400)은 작업공간(S)의 측면, 후면에 기체이동로(L1)를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즉 격벽(400)이 작업공간(S)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짐으로써, 작업공간(S)은 격벽(400)의 전방과 후방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격벽(400)의 전방은 작업공간(S)으로 사용되고 후방(S)은 기체이동로(L1)로 사용된다. 격벽(400)의 상측과 하측은 본체 상판(130)과 본체 바닥판(110)에서 일정한 간격 이격되도록 본체 측판(1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공간(S) 내부에 유해기체중 가벼운 공기는 격벽(40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배출되고, 무거운 공기는 격벽(400)의 하측으로 흡입되어 기체이동로(L1)를 통해 배기덕트(720)로 이동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체 후측판(150), 배기관(710) 및 배기덕트(7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분사노즐(160)이 설치된다. 즉 첫번째로 설치되는 분사노즐(160)은 본체 후측판(150)을 관통하여 본체 후측판(150)의 전면과 격벽(400)의 후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유해기체의 잔여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되고, 두번째로 설치되는 분사노즐(160)은 배기관(710)의 내부 벽면과 배기덕트(720)의 내부 벽면에 붙어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된다. 분사노즐(160)은 외부에서 연결되는 배관을 통해 유체를 고압 또는 저압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 내부 벽면에 잔존하는 화학물질의 화학반응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면 분사노즐(160)을 통해 액체 및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체 바닥판(110)에는 배출구(111)가 형성된다. 배출구(111)는 본체 후측판(150)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노즐(160)에서 분사된 액체가 배출구(1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이물질도 액체와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도 2 및 도 7 을 참조하면 분사노즐(160)은 분사부(161), 공급배관(162), 연결배관(163) 및 고정판(164)를 포함한다. 분사부(161)는 기체이동로(L1), 배기관(710) 및 배기덕트(720)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을 통해 유체가 분사된다. 분사부(161)는 유체가 방사형으로 분사되거나 직진형으로 분사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공급배관(162)은 분사부(161)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배관(163)은 기체이동로(L1), 배기관(710) 및 배기덕트(720)를 관통하며 분사부(161)와 공급배관(162) 사이에 형성되어 분사부(161)와 공급배관(162)을 연결한다. 고정판(164)은 연결배관(163)이 관통되어 연결배관(163)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164)은 분사노즐(160)을 고정시키도록 일측면이 본체 후측판(150), 배기관(710) 및 배기덕트(720)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분사노즐(160)을 지지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연결배관(163)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의 피치(Pitch)를 갖는 나사산(163-1)이 형성된다. 나사산(163-1)의 피치(Pitch)간격은 1mm, 3mm, 5mm 등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고정판(164)은 나사산(163-1)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고정판(164)이 회전하면 분사부(161)와 상기 연결배관(163)이 동시에 나사산(163-1)의 피치 간격만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고정판(164)에는 고정판(164)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손잡이(164-1)가 형성된다. 회전 손잡이(164-1)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고정판(164)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164)을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배관(163)에 형성된 나사산(163-1)으로 인해 분사부(161)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 의 확대도 (B) 를 참조하면 본체 후측판(150)과 분사부(161) 사이에는 탄성부재(165)가 형성된다. 탄성부재(165)의 일측은 본체 후측판(150)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타측은 분사부(161)의 일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65)는 분사부(161)와 본체 후측판(150) 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고정판(164)은 본체 후측판(150)에 더욱 밀착되므로 분사노즐(160)은 본체 후측판(150)에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작업공간(S) 내부에는 거치대(600)가 형성된다. 거치대(600)는 상하 고정봉(610), 격벽 고정봉(620), 좌우 고정봉(640) 및 제1 체결클립(630), 제2 체결클립(650)을 포함한다. 상하 고정봉(610)은 본체 바닥판(110)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된다. 상하 고정봉(610)은 격벽(400)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격벽(400)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격벽 고정봉(620)은 일측이 격벽(400)과 체결되며 격벽(400)의 정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일측이 격벽(400)과 체결된다. 이때 격벽 고정봉(620)과 상하 고정봉(610)은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상호 교차되며 각각 외측면과 외측면이 접촉된다. 제1 체결클립(630)은 교차된 격벽 고정봉(620)과 상하 고정봉(610)을 결속하기위해 격벽 고정봉(620)과 상하 고정봉(610)의 교차지점에 설치된다. 따라서 격벽 고정봉(620)은 상하 고정봉(610)이 격벽(400)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좌우 고정봉(640)은 상하 고정봉(610)에 체결된다. 좌우 고정봉(640)은 좌우측이 상하 고정봉(610)의 외측면에 교차되도록 접촉된다. 이때 교차된 위치에 좌우 고정봉(640)을 상하 고정봉(610)에 결속시키도록 제2 체결클립(650)으로 결속한다. 제2 체결클립(650)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좌우 고정봉(640)이 상하 고정봉(610)에 결속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제1 체결클립(630)은 상기 격벽 고정봉(62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몸체(631)와 상하 고정봉(6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몸체(631)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체결로드(632), 몸체(631)를 관통하여 일측면이 격벽 고정봉(620)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가압봉(633) 및 가압봉(633)을 회전시켜 가압봉(633)을 가압시키는 고정핸들(634)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핸들(634)을 회전시켜 가압봉(633)을 가압하면 체결로드(632)에 결속된 상하 고정봉(610)과 격벽 고정봉(620)은 상호 더욱 견고히 결속된다.
또한 제2 체결클립(650)은 상기 상하 고정봉(61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몸체(651)와 좌우 고정봉(64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몸체(651)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체결로드(652), 몸체(651)를 관통하여 일측면이 상하 고정봉(610)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가압봉(653) 및 가압봉(653)을 회전시켜 가압봉(653)을 가압시키는 고정핸들(654)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핸들(654)을 회전시켜 가압봉(653)을 가압하면 체결로드(652)에 결속된 상하 고정봉(610)과 좌우 고정봉(640)은 상호 더욱 견고히 결속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체 상판(130)에는 배기팬(430)과 연결되는 배기팬 제어부(131)가 형성된다. 배기팬 제어부(131)는 개구부(141)가 개방되는 면적에 따라 배기팬(430)의 작동속도를 제어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즉, 도어(200)가 하강하여 개구부(141)의 면적이 작아지면 공기가 흡입되는 면적이 작아지므로 배기팬(430)이 천천히 작동하고, 개구부(141)의 면적이 커지면 공기가 흡입되는 면적이 커지므로 배기팬(430)이 빠르게 작동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체 상판(130)에는 소화기(900)가 형성될 수 있다. 소화기(900)는 작업공간(S)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자동으로 감지하여 소화액을 작업공간(S) 내부로 분사하여 본체(100) 내부의 화재발생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 후측판(150), 배기관(710) 및 배기덕트(720)에 유체가 고압으로 분사되는 분사노즐(160)을 설치되어 기체이동로(L1), 배기관(710) 및 배기덕트(720)의 내측면에 부착된 유해기체의 잔유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160)이 분사되는 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공간(S)에 거치대(600)를 설치하여 다양한 실험기구를 거치할 수 있고 세척된 실험기구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본체 110 : 본체 바닥판
111 : 배출구 120 : 본체 측판
130 : 본체 상판 131 : 배기팬 제어부
140 : 본체 전측판 141 : 개구부
142 : 상부흡입구 150 : 본체 후측판
160 : 분사노즐 161 : 분사부
162 : 공급배관 163 : 연결배관
163-1 : 나사산 164 : 고정판
200 : 도어 300 : 도어손잡이
310 : 도어흡입구 320 : 공기유도홈
400 : 격벽 600 : 거치대
610 : 상하 고정봉 620 : 격벽 고정봉
630 : 제1 체결클립 640 : 좌우 고정봉
650 : 제2 체결클립 700 : 배기부
710 : 배기관 720 : 배기덕트
730 : 배기팬 800 : 테이블
900 : 소화기 L1 : 기체이동로
S : 작업공간

Claims (4)

  1. 내부에 작업공간(S)이 형성되도록 본체 바닥판(110), 상기 본체 바닥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본체 측판(120), 상기 본체 측판(120)의 상측에 형성되는 본체 상판(130), 상기 본체 상판(130)의 일측면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작업공간(S)과 연통되는 개구부(141)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획되며, 일부가 천공되어 형성된 상부흡입구(142)가 구비되는 본체 전측판(140) 및 상기 본체 전측판(140)과 마주보는 본체 후측판(150)을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개구부(141)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 전측판(140)에 설치되는 도어(200);
    상기 작업공간(S)의 측면에 기체이동로(L1)가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 측판(120)에 고정되어 상기 작업공간(S)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400);
    상기 작업공간(S)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관(710), 상기 배기관(710)의 일측과 상기 본체 상판(130)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본체 상판(130)에서 상기 배기관(710)으로 이어지는 내부 단면적이 서서히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배기덕트(720), 및 상기 작업공간(S) 내부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배기관(710)에 구비되는 배기팬(730)을 포함하는 배기부(700);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본체(10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후측판(150), 상기 배기관(710), 및 상기 배기덕트(7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60);
    상기 분사노즐(160)에서 분사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바닥판(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111); 및
    상기 작업공간(S)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 바닥판(110)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상하 고정봉(610)과 상기 격벽(400)으로부터 상기 상하 고정봉(610)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측은 상기 격벽(400)과 체결되며, 타측은 상기 상하 고정봉(610)에 접촉되는 격벽 고정봉(620)과 상기 상하 고정봉(610)과 상기 격벽 고정봉(620)을 상호 결속하는 제1 체결클립(630)과 상기 상하 고정봉(810)과 교차되도록 상기 상하 고정봉(610)에 접촉되며, 실험기구가 거치되는 좌우 고정봉(640) 및 상기 좌우 고정봉(640)과 상기 상하 고정봉(610)을 결속시키는 제2 체결클립(650)을 포함하는 거치대(600);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노즐(160)은
    상기 기체이동로(L1), 상기 배기관(710) 및 상기 배기덕트(720) 내부에 위치하는 분사부(161);
    상기 분사부(161)로 외부로부터 액체 또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배관(162); 상기 분사부(161)와 상기 공급배관(162)을 연결하고 외주면에 일정간격의 피치(Pitch)를 갖는 나사산(163-1)이 형성되며 상기 기체이동로(L1), 상기 배기관(710) 및 상기 배기덕트(720)를 관통하는 연결배관(163);
    상기 분사부(16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연결배관(163)의 나사산(163-1)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일측면이 상기 본체 후측판(150), 상기 배기관(710) 및 상기 배기덕트(72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고정판(164)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후측판(150)과 상기 분사부(161) 사이에는 상기 고정판(164)을 상기 본체 후측판(150)에 밀착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6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후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057088A 2013-05-21 2013-05-21 흄후드 KR101356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088A KR101356020B1 (ko) 2013-05-21 2013-05-21 흄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088A KR101356020B1 (ko) 2013-05-21 2013-05-21 흄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020B1 true KR101356020B1 (ko) 2014-01-28

Family

ID=5014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088A KR101356020B1 (ko) 2013-05-21 2013-05-21 흄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0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657A (ko) 2014-12-09 2016-06-17 (주)한국기계 자동소화챔버후드
KR20160083611A (ko) * 2014-12-31 2016-07-1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실험실 흄후드
KR101821991B1 (ko) 2016-04-20 2018-01-26 주식회사 유니온이엔지 박무 방지형 흄후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022A (ko) * 1999-03-12 1999-06-25 장희현 배기가스처리장치
KR101003556B1 (ko) * 2008-07-11 2010-12-29 최정순 흄 배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022A (ko) * 1999-03-12 1999-06-25 장희현 배기가스처리장치
KR101003556B1 (ko) * 2008-07-11 2010-12-29 최정순 흄 배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657A (ko) 2014-12-09 2016-06-17 (주)한국기계 자동소화챔버후드
KR20160083611A (ko) * 2014-12-31 2016-07-1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실험실 흄후드
KR102007899B1 (ko) 2014-12-31 2019-08-07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실험실 흄후드
KR101821991B1 (ko) 2016-04-20 2018-01-26 주식회사 유니온이엔지 박무 방지형 흄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217B1 (ko) 흄후드
KR101356020B1 (ko) 흄후드
KR101741627B1 (ko) 실험실 흄후드
KR101944251B1 (ko) 변위형 웨트스크러버를 갖는 흄후드
KR101043781B1 (ko) 실험대 어셈블리
KR100466663B1 (ko) 슬라이드타입 레인지후드
CN102728592A (zh) 具有偏折板的排气装置
JP2012197631A (ja) アスベスト封じ込め方法及びアスベスト封じ込め処理装置
US20120052783A1 (en) Reduced-emission fume hood
CN210306308U (zh) 激光切割设备
TWI607807B (zh) Spray paint washing device
CN110302848B (zh) 一种用于生物安全实验室的生物安全实验柜
KR20100116263A (ko) 에어 밀폐형 흄후드 시스템
KR101408308B1 (ko) 도장 부스 장치
CN214235512U (zh) 一种具有自清洗功能的通风柜
US3072040A (en) Dip tank for toxic fluids
JP3115606U (ja) 局所排気ユニット
CN204429579U (zh) 一种绿色环保的喷漆房
GB2336667A (en) Fume cupboards
RU190728U1 (ru) Устройство вытяжное
CN112496578A (zh) 一种自动化的激光打标机
JP2012198008A (ja) 偏向板を有する排気装置
RU87938U1 (ru) Шкаф вытяжной
JPH0910604A (ja) ドラフトチャンバー
CN216093783U (zh) 一种带有清洗功能的化学教学用仪器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