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938B1 - Apparatus for integrating inform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ing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tegrating inform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ing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938B1
KR101353938B1 KR1020100035110A KR20100035110A KR101353938B1 KR 101353938 B1 KR101353938 B1 KR 101353938B1 KR 1020100035110 A KR1020100035110 A KR 1020100035110A KR 20100035110 A KR20100035110 A KR 20100035110A KR 101353938 B1 KR101353938 B1 KR 101353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dditional information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5666A (en
Inventor
김일곤
이혜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5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938B1/en
Publication of KR20110115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6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9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정보 통합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시스템은 관리대상정보가 수신되면, 관리대상정보에 대응되는 추가정보 요청을 생성하는 정보 통합장치 및 정보 통합장치로부터 추가정보 요청이 전송되면, 기저장된 추가정보를 독출하여 정보 통합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장치를 포함하며 정보 통합장치는, 추가정보 및 관리대상정보를 통합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A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is disclosed. When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is received, wh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is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integrator and the information integrator that generates an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the system reads the 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information integrator. It includes a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can integrate and store additional information and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Description

정보 통합장치, 정보 제공장치 및 정보 통합 시스템{Apparatus for integrating inform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ing information}Apparatus for integrating inform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 통합장치, 정보 제공장치 및 정보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자동으로 추가정보를 추출하여, 관리대상정보와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정보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integration apparatus,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extracting additional information from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tegrat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to be managed. .

세계적으로, 정보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다수의 기능적인 바이오 뱅크(bio bank)들이 존재한다. Worldwide, there are a number of functional biobanks to build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s.

영국 바이오 뱅크 프로젝트는 혈액 및 소변 샘플을 기초 질문 및 신체 측정과 함께 총괄적으로 수집한다.The UK Biobank Project collects blood and urine samples collectively with basic questions and body measurements.

노르웨이의 경우, 전체 혈액, 혈장, DNA 및 소변이 총괄적으로 수집된다. 또한 노르웨이의 경우, 수집된 자료가 향후 100년 동안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품질 제어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In Norway, whole blood, plasma, DNA and urine are collected collectively. Norway also provides quality control guidelines to ensure that the collected data can be used for the next 100 years.

스웨덴의 Lifegene 프로젝트는 혈액 및 소변 샘플을 500개 정도의 질문에서 도출된 클리닉 정보 및 신체 테스트와 총괄적으로 수집한다. Sweden's Lifegene project collects blood and urine samples collectively with clinic information and physical tests drawn from around 500 questions.

미국의 경우, DNA 샘플이 병원 및 의료기관의 환자의 일부 건강 정보와 함께 NUgene에 의하여 수집된다.In the United States, DNA samples are collected by NUgene along with some health information from patients in hospitals and medical institutions.

또 다른 미국의 National Children's Study라 명명되는 프로젝트는 유아 및 그들의 부모를 인터뷰, 직접적 실험, 생물학적 및 환경적 표본 및 영상 수집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고 있다. Another project, called the National Children's Study in the United States, focuses on interviewing infants and their parents, direct experiments,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pecimens, and collecting images.

아시아의 경우에는, 바이오 뱅크 일본 프로젝트가 DNA 및 혈청 샘플을 클리닉 정보와 총괄적으로 수집하고 있다.In Asia, the Biobank Japan project collects DNA and serum samples collectively with clinic information.

타이완 바이오 뱅크는 인구 표본에 기초하여 대규모 DNA를 수집하여 그들의 건강 및 생활스타일을 최소 10년 동안 추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The Taiwan Biobank aims to collect large-scale DNA based on population samples and track their health and lifestyle for at least 10 years.

유럽 국가 내부 또는 국가 간에서 수행되고 있는 흥미로운 연구는 종양 뱅크 간의 조화를 이루게 하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연구이다. 또한 또 다른 연구는 자료 및 환자의 클리닉 정보를 가상 센터를 통하여 안전하게 수집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An interesting study being carried out within or between European countries is the building up of the infrastructure to harmonize tumor banks. Another study also explores how to manage a system that securely collects and manages data and patient clinic information through a virtual center.

바이오 뱅크 내에 저장된 생의학적 자료의 과학적 가치는 단순히 자료의 외형적 질에 기초하지 않고, 클리닉, 환경 및 인구 통계학적 데이터가 모두 자료에 대하여 긴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양질의 데이터를 대응되는 자료에 통합시키는 과정이 중요하며, 다음의 요구조건을 충족해야 한다.The scientific value of the biomedical data stored in the biobank is not simply based on the external quality of the data, but clinic, environmental and demographic data all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data. Therefore, the process of integrating quality data into the corresponding data is important and must meet the following requirements.

―지역 바이오 뱅크는 완연히 상이한 컴퓨터 환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지역 바이오 뱅크는 클리닉 정보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상이한 용어 및 코딩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시스템의 상호 운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표준화된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 Standardized technology to maximize interoperability of the system, in that regional biobanks can use distinctly different computer environments and local biobanks can use different terminology and coding systems in representing clinic information. Should be used.

―바이오 뱅크에 등록되어 있는 자료와 관련 있는 클리닉 정보를 자동 추출하기 위하여 현존하는 개별 병원 정보 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하여야 한다.-Communicate with existing individual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in order to automatically extract clin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data registered in the biobank.

―개별 병원 정보 시스템 및 클리닉 정보 통합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은 이미 과부하가 걸린 개별 병원 정보 시스템에 또 다른 과부하를 부과할 수 있으므로, 개별 병원 정보 시스템의 독립성 및 자율성을 보장하여야 한다.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and clinic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s can impose another overload on individual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that are already overloaded, thus ensuring the independence and autonomy of individual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세계적으로, 다수의 기능적인 바이오 뱅크들에서 정보 통합 시스템의 구축을 꾀하고 있으나, 데이터의 수집에 있어서 충분히 다수의 데이터를 수집하지 못하며, 개별 병원 내부의 방침 및 정책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정보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바이오 뱅크와 개별 병원 간의 상호운영성이 저하되는 결과가 발생한다.Globally, many functional biobanks are attempting to build a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but they do not collect enough data to collect data, and despite the different policies and policies within individual hospitals, It is not reflected in building an integrated system. This results in a decrease in interoperability between biobanks and individual hospital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통합장치, 정보 제공장치, 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자동으로 추가정보를 추출하여, 관리대상정보와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정보 통합장치, 정보 제공장치 및 정보 통합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extract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an be managed by integrating with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An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a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a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are provided.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통합 장치는, 관리대상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관리대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관리대상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추가정보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추가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상기 추가정보를 상기 저장부로 중계하는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관리대상정보와 관련된 추가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상기 추가정보를 저장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the When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a user interface unit,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relaying the received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to the storage unit; The storage unit stor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여기서, 정보 통합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추가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는 유효성이 검증된 상기 추가정보를 상기 관리대상정보에 대응시켜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integra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erification unit which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storage unit may store the validated additional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또한, 상기 정보 관리부는, 클리닉 문서 아키텍쳐(Clinic Document Architecture:CDA) 문서를 생성하는 CDA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CD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Clinic Document Architecture (CDA) document.

그리고, 정보 통합장치는 상기 CDA 생성부에서 생성된 CDA 문서를 저장하는 CDA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tegrator may further include a CD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DA document generated by the CDA generation unit.

아울러, 외부 장치가 상기 CDA 저장부에 접속하면, 상기 CDA 저장부는 상기 CDA 문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정보 요청은 HL7 메시지일 수도 있고, 상기 HL7 메시지 중계를 담당하는 HL7 엔진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device accesses the CDA storage unit, the CDA storage unit may provide the CDA document,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may be an HL7 message, or may include an HL7 engine responsible for relaying the HL7 message. have.

또한, 상기 정보 관리부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추가정보 요청을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manager may automatically transmit the request for additional information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특히, 상기 관리대상정보는 환자의 신상 관련정보이며,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환자의 클리닉 정보(Clinic information)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may be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clin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는, 추가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외부의 정보 통합장치로부터 추가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추가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추가정보를 상기 정보 통합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storage unit and the external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that stor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extrac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unit, the extracted additional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그리고, 상기 정보 관리부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추가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manager may automatically extract the additional information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또한 상기 정보 관리부가 수신한 추가정보 요청은 HL7 메시지일 수 있으며, 추가정보는 환자의 클리닉 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equest for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nformation manager may be a HL7 message,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the clin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아울러,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HL7 메시지를 중계하는 HL7 엔진 및 상기 추가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제공장치 측의 정보 관리부의 프로세싱 모드는 온-디멘드(on-demand mode) 및 뱃치 모드(batch mode) 중 하나일 수 있다.The information manager may include a HL7 engine for relaying the HL7 message and a data extractor for extrac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processing mode of the information manager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s on-demand mode. ) And batch mode.

그리고, 상기 HL7 엔진 및 상기 데이터 추출부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는 로테이블(raw table) 및 뷰테이블(view table)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the HL7 engine and the data extractor to relay data, and the storage may include one of a raw table and a view tabl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통합 시스템은 관리대상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관리대상정보에 대응되는 추가정보 요청을 생성하는 정보 통합장치 및 상기 정보 통합장치로부터 상기 추가정보 요청이 전송되면, 기저장된 추가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정보 통합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통합장치는, 상기 추가정보 및 상기 관리대상정보를 통합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is received,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for generat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and wh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is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The apparatus may include a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at reads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and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may integrate and sto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실시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3a는 정보 통합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b는 정보 제공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정보 통합장치 및 정보 제공장치가 연결된 의료 정보와 관련한 정보 통합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정보 통합장치 측의 정보 관리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식도이다.
도 6은 정보 제공장치의 일 실시 예의 모식도이다.
도 7은 정보 제공장치를 구현하는 데에 있어 고려될 수 있는 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정보 제공장치를 구현하는 데에 있어 고려될 수 있는 요소들을 조합합 정보 제공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지역 바이오 뱅크 및 다섯 개의 개별 병원들이 연결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도 10은 개별 병원에서의 정보 통합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구성의 일 예이다.
도 11 및 도 12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정보통합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A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3B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relating to medical information to which an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re connected.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on an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side.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lements that may be considered in implementing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8 schematically shows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mbining the elements that can be considered in implement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local biobank and five individual hospitals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illustrating a process of integrating information in individual hospitals.
11 and 12 are diagrams for describing information integration results classified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시스템은 정보 통합장치(100) 및 복수 개의 정보 제공장치(200-n)를 포함한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 the system includes an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100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providing devices 200-n.

정보 통합장치(100)는 관리대상정보와 관리대상정보에 대응하는 추가정보를 총괄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단, 복수 개의 정보 통합장치(100)는 각각 정보 제공장치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위 정보 통합장치에 연결되어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integration apparatus 100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collectively storing and managing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However,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integrating apparatus 100 may operate as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respectively, and may be connected to a higher information integrating apparatus to manage information.

제 1 내지 제 n 장치(200-1, 200-2, 200-n)는 정보 통합장치로부터 추가정보 추출요청이 수신되면, 추가정보를 추출하여 정보 통합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The first to n th apparatuses 200-1, 200-2, and 200-n refer to a device capable of extract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integration apparatus when a request for extracting addition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integration apparatus.

정보 통합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관리대상정보를 입력받는다. 관리대상정보는 사용자가 관리하고자하는 분야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병원 및 클리닉 센터에서의 환자의 신상정보, 임의의 단체에서의 회원의 신상정보, 금융기관의 거래 고객의 계좌 정보 등을 망라한다. The information integrator 100 receives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from a user.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relates to a database on the field that the user wants to manage,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in hospitals and clinic center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members in arbitrary organizations, and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customers of financial institutions. .

관리대상정보의 종류에 대응하여 각각 정보 통합장치(100)는 병원 및 클리닉 센터의 정보를 총괄 관리하는 바이오 뱅크의 정보 관리 시스템, 임의의 단체 정보를 총괄 관리하는 중앙 관리지부의 정보 관리 시스템, 금융기관 거래현황을 총괄 관리하는 중앙 금융 관리부의 정보 관리 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Corresponding to the types of information to be managed, the information integrating apparatus 100 respectively manages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biobank which manages the information of the hospital and the clinic center,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central management branch which manages the collective information of any group, and the finance. It can be implemented as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central financial management department that manages the institutional transaction status.

정보 통합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관리대상정보를 입력받은 후, 정보 통합장치는 관리대상정보에 대응하는 추가정보 요청을 생성하여, 정보 제공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정보란, 외부 입력에 관련하는 사용자가 총괄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로, 예를 들어 병원 및 클리닉 센터에 기록된 환자의 치료 이력, 임의의 단체 회원의 활동 내역, 금융기관 등록 거래 고객의 거래 내역 등일 수 있다. After the information integration apparatus 100 receives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information integration apparatus may generate an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request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the user who wants to manage the external inputs collectively manages, for example, the patient's treatment history recorded in the hospital and clinic center, the activity history of any group member, the transaction history of the customer registered with the financial institution. Can be.

정보 제공장치(200)는 추가정보 요청을 수신하여, 정보 제공장치(200) 내부에 저장된 추가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정보 제공장치(200)는 추출된 추가정보를 정보 통합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제공장치(100)는 정보 통합장치(200)의 관리를 받는 단말 기관으로 개별 병원 및 클리닉 센터, 개별 단체, 개별 금융기관의 정보 관리 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may receive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and extract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may transmit the extracte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integrating apparatus 100.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as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an individual hospital and a clinic center, an individual organization, and an individual financial institution as a terminal institution managed by the information integration apparatus 200.

정보 통합장치(100)는 관리대상정보와 정보 제공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추가정보를 대응시켜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신상을 환자의 치료 이력과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 임의의 단체의 회원의 신상정보와 회원의 활동 내역을 함께 저장할 수도 있으며, 금융기관의 거래 고객의 계좌 정보를 거래 내역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integration apparatus 100 may store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a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can be stored along with a patient's treatment history, a member's personal information and a member's activity history can be stored together, and a financial institution's account information can be stored along with a transaction history. Can be stored.

상술한 바와 같이 총괄 저장되어 관리되는 총괄 정보는 외부의 소정의 승인을 받은 접속자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다. 외부의 소정의 승인을 받은 접속자의 접속 경로는 내부 네트워크, 유/무선 인터넷을 망라한다.As described above, the general information that is collectively stored and managed may be used by an externally authorized user. The access path of the externally authorized visitor covers the internal network and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실시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여기에서, 정보 통합장치(100)는 지역 바이오 뱅크로 구현되고,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정보 제공장치(200)는 개별 병원으로 구현되고, 복수 개일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local biobank, and may be a plurality,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individual hospitals and may be a plurality.

도시한 바와 같이, 의료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은 단일 국립 바이오 뱅크(National Biobank, 이하 NBK)(10), 국립 바이오 뱅크에 연결된 다수의 지역 바이오 뱅크(Regional Biobank, 이하 RBs)(100-n) 및 개별 지역 바이오 뱅크와 연결된 다수의 개별 병원(200-n)을 포함한다. 단, 도 2에서는 NBK(10)가 RBs(100-n)에 연결되어 있고, RBs(100-n)가 다시 개별 병원(200-n)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NBK(10)가 직접 개별 병원(200-n)으로 연결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As shown, the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single National Biobank (NBK) 10, multiple Regional Biobanks (RBs) 100-n and individual connected to the National Biobank. It includes a number of individual hospitals 200-n associated with local biobanks. In FIG. 2, although the NBK 10 is connected to the RBs 100-n and the RBs 100-n are connected to the individual hospitals 200-n, the NBK 1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dividual hospitals. It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form connected by (200-n).

본 발명은 승인된 연구원들이, 웹 포탈 서비스 등을 통하여, 개별 병원의 클리닉 정보가 통합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의료정보에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이러한 통합된 데이터 베이스를 최종적으로 NBK(100) 내에서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통합 데이터 베이스를 RBs(100-n)에서 구현하여, 승인된 연구원들이 RBs에 접속하여 클리닉 정보에 접근할 수도 있도록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uthorized researchers to efficiently access medical information stored in an integrated database of clinic information of individual hospitals through a web portal service. This is to be implemented in the NBK (100). 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database is implemented in the RBs 100-n so that the approved researchers can access the clinic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RBs.

NBK(10)에 의하여 수집되는 생의학적 자료는 일곱 가지의 샘플 타입이 존재한다. 상기 일곱 가지의 샘플 타입은 5개 질병군(암, 소화기 질병, 폐수종, 여타의 질병 및 추적 그룹)의 인간 환자로부터 추출된다. 샘플 타입은 혈청, 형질 세포, 연막, 냉각된 종양 조직, 냉각된 일반 조직, 등유로 덮인 일반 조직을 포함하며, 이러한 타입의 샘플에 대하여서는 연구원들이 승인 하에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샘플은 공중의 승인받지 못한 연구원들에게는 이용될 수 없다. 5개의 질병군은 더욱 상세하게는 41개의 개별 질병 타입으로 나뉘며, 이는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자료와의 통합을 위한 클리닉 정보 요소는 다양하게 특정 질병 타입과 관련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한 데이터 요소는 질병 타입과 무관하게 공통일 수 있다. 상기 질병 타입과 무관한 데이터 요소는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HL7 v2.x 데이터 타입이 이용된다.There are seven sample types for biomedical data collected by the NBK (10). The seven sample types are extracted from human patients from five disease groups (cancer, digestive disease, pulmonary edema, other diseases and tracking groups). Sample types include serum, plasma cells, smokescreens, cooled tumor tissues, cooled general tissues, and normal tissues covered with kerosene, and these types of samples may be requested by researchers with approval. However, the sample is not available to researchers who have not been approved by the public. The five disease groups are further divided into 41 individual disease types, which are listed in Table 1. Clinic information elements for integration with data can be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specific disease types. However, certain data elements may be common regardless of disease type. Data elements independent of the disease type are listed in Table 2. (HL7 v2.x data type is used.

Figure 112010024249512-pat00001
Figure 112010024249512-pat00001

Figure 112010024249512-pat00002
Figure 112010024249512-pat00002

클리닉 정보 통합을 위한 상이한 규칙이 입원 환자 및 외래 환자에게 각각 적용된다. 본질적으로, 데이터 요소의 가치는 가장 최근의 검사 결과 또는 샘플을 추출한 시점으로부터 특정한 시간만큼 떨어진 시점에 수행된 측정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특정한 시간은 응급 환자의 경우에는 3개월인 반면, 입원 환자의 경우에는 전체 입원 기간이다. Different rules for integrating clinic information apply to inpatients and outpatients respectively. In essence, the value of a data element is determined by measurements performed at a point in time from the most recent test result or time point at which the sample was taken. This particular time is three months for emergency patients, while the entire length of stay for inpatients.

기본적 통계학적 데이터는 입원 환자의 경우에는 입원 시점, 외래환자의 경우에는 병원 방문 시점으로 각각 기록된다. 외래환자의 특정 데이터 요소는 이용 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어, 신장, 체중, 및 입원 환자의 ECOG(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행위 위상 데이터는 입원 환자가 입원하는 경우에 기록되며, 반면에 외래환자의 경우에는, 한국 내의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기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자료가 외래환자로부터 추출된 경우, 상기 데이터는 종이 차트에 기록되며, 수작업으로 바이오 뱅크 정보 시스템(Biobank Information System, BIS)에 입력된다. Basic statistical data is recorded as inpatients for inpatients and hospital visits for outpatients, respectively. Outpatient specific data elements are not available. For example, height, weight, and ECOG behavioral phase data for inpatients are recorded when inpatients are admitted, while for outpatients, most hospitals in Korea are not. . Therefore, when data is extracted from an outpatient, the data is recorded on a paper chart and manually entered into the Biobank Information System (BIS).

인간 관리자에 의하여 종이 치료 차트에 수기된 클리닉 정보는, 에러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크다는 점 및 상당한 시간과 노동력이 투입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가능한 배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자동으로 현존하는 개별 병원 측 정보 시스템로부터의 클리닉 정보 추출 및 추출된 데이터를 바이오 뱅크 내의 샘플과 통합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단, 자동으로 수행되는 상기 통합하는 과정이 언제나 가능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일부 개별 병원에서는, 특정 데이터 요소들이 종이 치료 차트에만 기록되어 있고, 개별 병원 측 정보 시스템에는 기록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간 코디네이터가 개입하여 수기로 기입된 데이터를 재분류하여야 한다.Clinic information written on paper treatment charts by human managers should be ruled out as far as possible because of the high potential for error and the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labor involv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clinic information from existing individual hospital side information systems and integrating the extracted data with samples in the biobank. However, the automatic integration process is not always possible. For example, in some individual hospitals, certain data elements are recorded only in paper treatment charts, but not in individual hospital side information systems. In such cases, human coordinators should intervene to reclassify handwritten data.

자료를 등록시키기 위하여, 환자로부터의 동의 서명이 오프라인 상에서 선행되어야 한다. 스캔된 동의 서명의 이미지는 바이오 뱅크에 저장되며, 그러므로 동의 관련 정보를 명백하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필요는 없다.In order to register the data, consent signatures from patients must be preceded offline. The image of the scanned consent signature is stored in the biobank, so there is no need to explicitly store consent related information in the database.

도 3a는 정보 통합장치(1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3A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100.

도 3a에 따르면, 정보 통합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저장부(120), 정보 관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3A, the information integrator 100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110, a storage 120, and an information manager 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와 정보 통합장치(100)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관리대상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관리대상정보를 입력받은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저장부(120) 및 정보 관리부(130)에 관리대상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110 may rela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information integrator 100 and may receiv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from the user. After receiving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the user interface 110 may transmit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to the storage 120 and the information manager 130, respectively.

저장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전송된 관리대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10.

정보 관리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전송된 관리대상정보에 대응하여, 전송된 관리대상정보에 대응하는 추가정보를 요청하는 추가정보 요청을 생성하여 외부 정보 제공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manager 130 may generate an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for requesting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generated information request to the extern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 response to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 .

이후, 외부 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추가정보를 수신하면, 추가정보를 중계하여 저장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relayed and transmitted to the storage 120.

저장부(120)는 기저장된 관리대상정보와 정보 관리부(130)로부터 전송된 추가정보를 대응시켜 함께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previously stored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소정의 승인 절차를 거친 외부의 접속자(20)는 정보 통합장치에 접속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관리대상정보와 추가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The external visitor 20 that has undergone a predetermined approval procedure may access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and use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20.

이와 같이, 정보 통합장치(100)는, 관리대상정보와 추가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관리하여 접속자(20)로 하여금 자료를 포괄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As such, the information integration apparatus 100 stores and manages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gether so that the visitor 20 can use the data comprehensively.

도 3b는 정보 제공장치(2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3B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도 3b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장치(200)는 정보 관리부(230) 및 저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may include an information manager 230 and a storage 220.

저장부(220)는 개별 정보 제공장치(200)와 관련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220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dividu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정보 관리부(230)는 정보 통합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추가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저장부(220)에서 대응되는 추가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추출된 추가정보를 정보 통합장치(200)로 전송한다. The information manager 230 extracts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unit 220 in response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integration apparatus 100. In addition, the extracted additio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integrator 2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정보 통합장치(100) 및 정보 제공장치(200)가 연결된 의료 정보와 관련한 정보 통합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related to medical information to which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100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are connected.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통합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저장부(120), 정보 관리부(130), 검증부(140), CDA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information integrator 100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110, a storage 120, an information manager 130, a verification unit 140, and a CDA storage unit 150.

정보 통합장치(100)는 바이오 뱅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정보 제공장치(200)는 개별 병원 및 개별 클리닉 센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biobank,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an individual hospital and an individual clinic center.

도 4에서는, 클리닉 정보에 접근을 시도하는 접속자(미도시)는 정보 통합장치(100) 외부에 존재하여 네트워크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 통합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자는 정보 통합장치(100)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In FIG. 4, an accessor (not shown) attempting to access clinic information may exist outside the information integrator 100 to access the information integrator 100 via a network wired or wireless Internet, and the accessor may be an information integrator. It may be present within 100.

첫 번째로 정보 통합장치(100)가 설치된 기관에 위치한 사용자는 환자의 성명, 차트 번호(환자 ID), 성별, 생년월일 및 개별 병원 명칭 등을 포함하는 환자의 신상 정보, 즉 관리대상정보를 입력한다. First, the user located in the institution where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enter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atient, that is,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including the patient's name, chart number (patient ID), sex, date of birth and individual hospital name. .

입력된 환자의 신상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정보 통합장치 측의 저장부(120) 및 정보 통합장치 측의 정보 관리부(130)에 전송될 수 있다.The input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ati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storage unit 120 of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side and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of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side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

저장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전송된 환자의 신상 정보, 즉 관리대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atient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 that is,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정보 통합장치(100) 측 정보 관리부(130)는, 정보 통합 시스템(240)에 대응되는 상기 환자에 대한 샘플이 수집된 정보 제공장치(200) 측의 정보 관리부(230)에 환자의 치료 이력을 포함하는 클리닉 정보, 즉 추가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정보 관리부가 추가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of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100 sends the treatment history of the patient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30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in which a sample of the patien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240 is collected. Clinic information that includes, that is,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requested. The information manager may automatically perform a process of requesting additional inform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method of automatically performing a request for additional information will be given later.

정보 제공장치 측 정보 관리부(230)는, 요청된 클리닉 정보, 즉 추가정보를 정보 제공장치 측 저장부(220)로부터 추출하여 정보 통합장치 측의 정보 관리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관리부(230)가 저장부(220)로부터 추가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정보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side information manager 230 may extract the requested clinic information, that is,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side storage 220, and transmit the extracted clinic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managing unit 130 of the information integration apparatus. The process of extracting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220 by the information manager 230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automatically performing additional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정보 통합장치 측 정보 관리부(130)는 정보 제공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클리닉 정보, 즉 추가정보를 중계하여, 저장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부(130)는 검증부(140)에, 저장부(120)에 추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tegration unit side information manager 130 may relay the clin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that is,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storage 120. In addition, the information manager 130 may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verification unit 140 and the storage unit 120.

저장부(120)는 정보 관리부(130)로부터 전송받은 클리닉 정보, 즉 추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clin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manager 130, that is, additional information.

검증부(140)는 정보 관리부(130)로부터 추가정보를 저장부(120)에 전송받으면, 저장부(120)에 저장된 추가정보를 독출하여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20)에 저장된 환자의 클리닉 정보, 즉 추가정보를 독출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종이 치료 차트에 비교 또는 대조해 누락된 정보를 보충할 수 있다. When the verification unit 140 receiv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manager 130 to the storage unit 120, the verification unit 140 may read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to verify validity. For example, the clin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that is,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20 may be read, and if necessary, the missing information may be supplemented by comparing or contrasting the paper treatment chart.

또는, 검증할 두 정보를 각각 선택하여, 저장부(120) 및 검증부(140) 자체에서 독출하여, 각 데이터 항목에 대하여 서로 비교하여 두 정보간에 서로 상이한 데이터 또는 누락되거나 추가된 데이터를 찾아낼 수 있다. 이러한 검증 결과는 검증부(140)에서 적절한 형태로 가공되어 사용자에게 통지될 수 있으며, 검증부(140) 스스로 수정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Alternatively, each of the two pieces of information to be verified is selected and read from the storage unit 120 and the verification unit 140 itself, and compared to each other for each data item to find different data or missing or added data between the two pieces of information. Can be. The verification result may be processed in an appropriate form in the verification unit 140 and notified to the user, and may be designed to modify the verification unit 140 by itself.

모든 클리닉 정보, 즉 추가정보가 유효한 경우, 유효한 정보를 포함하는 클리닉 문서 아키텍쳐(Clinic Document Architecture, CDA) 문서가 발생되며, CDA 문서는 IHE XDS(Cross-Enterprise Document Sharing) 및 DRF(Document Registry Framework) 표준에서 CDA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CDA 문서에 대하여서는 자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If all clinic information, i.e.,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valid, a Clinic Document Architecture (CDA) document is generated that contains valid information, the CDA document being cross-enterprise document sharing (XHE) and document registry framework (DRF). Standard can be stored in CDA storage 150. CDA document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이 후, 자료 샘플에 관심이 있는 연구원, 즉 접속자는 웹 포털 서비스를 통하여 CDA 문서에 접근할 수 있다. DRF는 오직 CDA 문서에 대하여 익명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연구원들은 환자의 신상에 대해서는 파악할 수 없게 된다.Thereafter, researchers interested in sample data, or accessors, can access CDA documents through a web portal service. Because DRF only provides anonymity for CDA documents, researchers are unable to identify the patient's identity.

'연구원'이란, 소정의 일련의 권한 확인 과정을 거친 사람을 의미한다. 연구원은 우선, 연구원이 속하여 있는 기관의 IRB(International Review Board)에, 시스템 및 자료 사용을 위한 지원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어떠한 IRB도 포함하지 않는 기관에 속한 연구원이 작성한 지원서에 대하여서는 중앙 바이오 뱅크가 관리한다. 상기 작성한 지원서가 허가된 경우, 연구원은 관심을 가지는 특정 자료가 어디에 위치하였는지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정보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Researcher" means a person who has undergone a predetermined process of verifying authority. The researcher must first complete an application for the use of the system and materials in the International Review Board (IRB) of the institution to which the researcher belongs. Applications completed by researchers belonging to an institution that do not contain any IRBs are managed by the central biobank. If the completed application is approved, the researcher can use the information system to search where the specific material of interest is located.

이와 같은 정보 통합 시스템을 통하여, 연구원은 환자의 신상 및 환자의 이력을 총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검증부에 의하여 정보의 유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Through this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the researcher can collectively manage the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patient's history, and maximize the validity of the information by the verification unit.

도 5는 정보 통합장치(100) 측의 정보 관리부(13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식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on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100 sid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통합장치(100) 측의 정보관리부(130)는 HL7 메시지 생성부(131), HL7 엔진(132) 및 CDA 생성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information manager 130 of the information integration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HL7 message generator 131, an HL7 engine 132, and a CDA generator 133.

정보 제공장치 측의 정보관리부(230)와는 달리, 정보 통합장치(100)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보 통합부(100)들은 동일한 장치, 즉 동일한 하드웨어 플랫폼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이질적, 이격적인 정보 제공장치 간의 상이한 요소가 정보 통합장치(100)에서 통합되기 때문이다. Unlike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30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nformation integrators 100, the information integrators 100 may have the same device, that is, the same hardware platform. This is because different elements between heterogeneous and spac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s are integrated in the information integrator 100.

HL7이란 서로 다른 보건 의료분야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간 정보가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의 집합으로서, 전 세계적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게 되면 의료 기관의 유형 또는 규모에 무관하게 모든 종류의 의료 업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HL7은 환자의 진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표준이다. HL7은 양질의 수준으로 표준화된 요소로써, HL7으로 기술된 요청 및 결과물을 전송하는 행위 및 지역 코드를 KOSTOM 표준 코드에 매핑시키는 행위를 담당한다. 최근에는 HL7 메시지를 생성시키는 소프트웨어 툴인 HIToolkit을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HL7 is a set of rules that ensures that information is compatible between software applications in different healthcare sectors, and has become a global standard that, when used, provides all kinds of healthcare services regardless of the type or size of the medical institution. Will be available. In other words, HL7 is a network standard that can share patient care information. HL7 is a quality standardized component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requests and outputs described in HL7 and for mapping local codes to KOSTOM standard codes. Recently, the use of HIToolkit, a software tool for generating HL7 messages, has been studied.

HL7프로토콜에서는 메시지 구조, 코딩 규칙, 트리거 이벤트 등의 요소를 명세화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메시지 구조는 메시지의 추상적 정의를 의미하고, 코딩 규칙은 전송을 위한 메시지 표현 방식을 의미하며, 트리거 이벤트는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벤트를 의미한다. HL7에서, 트리거 이벤트에 의해 하나의 사건이 발생하면, 그 사건에 의해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둘 이상의 시스템 간에 네트워크를 통해 경로가 설정되게 된다. 이후,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메시지 형태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면, 메시지를 수신한 시스템에서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응답 메시지를, 메시지를 전송한 시스템으로 보냄으로써 하나의 사이클이 마무리된다. The HL7 protocol specifies elements such as message structure, coding rules, trigger events, etc., where the message structure refers to the abstract definition of the message, the coding rule refers to how the message is represented for transmission, and the trigger event refers to the message. Means an application event to generate a. In HL7, when an event occurs by a trigger event, the event causes a path through the network between two or more systems to perform data exchange. Then, when data in the form of a message is transmitted from one system to another system, one cycle is completed by sending a response message confirming whether the message is received by the system that received the message to the system that sent the message.

HL7 엔진(132)은 HL7 메시지의 송신 또는 수신의 중계를 담당한다.The HL7 engine 132 is responsible for relaying the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HL7 messages.

상술한 바와 같은 HL7 메시지의 특징을 이용하여, 관리대상정보를 입력한 경우, 데이터 추출을 자동화하는 방안을 구현할 수 있다.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L7 message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automating data extraction may be implemented when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is input.

우선, 정보 관리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관리대상정보를 전송받는다. HL7 메시지 생성부(131)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관리대상정보 전송 행위에 대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대상정보를 전송받는 행위가 트리거 이벤트로 설정된 상태라면, 정보 관리부(13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관리대상정보를 전송받는 경우 HL7 메시지 생성부(131)는 관리대상정보를 HL7 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HL7 메시지를 전송할 정보 통합장치 측의 정보 관리부(130)와 정보 제공장치 측의 정보 관리부(230) 간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First, the information manager 130 receives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from the user interface 110. The HL7 message generator 131 may monitor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transmission activit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For example, if the act of receiving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is set as the trigger event, whe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receives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10, the HL7 message generator 131 may manage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Can be converted to an HL7 messa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t a path betwee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on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side and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30 on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side to transmit the HL7 message.

설정된 경로를 따라서 HL7 메시지가 전송되면, 정보 통합장치 측의 정보 관리부(130)로부터 HL7 메시지를 전송받은 정보 제공장치 측의 정보 관리부(230)는 HL7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는 응답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장치 측의 정보 관리부(230)는 HL7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저장부(220)로부터 추가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정보 관리부(230)는 기저장된 HL7 메시지의 메시지 구조 및 코딩 규칙에 의하여 매치되는 추가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When the HL7 message is transmitted along the set path,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30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which has received the HL7 message from the information managing unit 130 of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may transmit a respons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HL7 message has been receiv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30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extract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unit 220 when receiving the HL7 message. The information manager 230 may extract additional information matched by the message structure and coding rule of the pre-stored HL7 message.

또 다른 예로는, 관리대상정보가 입력된 경우뿐만 아니라, 정보 제공장치 측의 저장부(220)에 신규 정보가 저장된 경우에도 자동으로 관련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방안도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not only when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is input, but also when the new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extract related information.

정보 제공장치 측의 정보 관리부(230)는 주기적으로 저장부(220)를 모니터링하여, 저장부(220)에 신규 정보가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신규 정보가 저장된 사건을 트리거 이벤트로 설정하여, 신규 정보가 저장되면 저장된 신규 정보를 독출하여 정보 통합장치 측의 정보 관리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manager 230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periodically monitor the storage 220 to detect whether new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220. When the event in which the new information is stored is set as a trigger event, when the new information is stored, the stored new information may be read and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manager 130 of the information integration apparatus.

신규 정보가 저장된 경우의 정보 관리부(130)로의 전송의 주기는 온-디맨드(on-demand) 모드 또는 뱃치(batch) 모드를 통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후술하도록 한다. The period of transmission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when the new information is stored may be determined through an on-demand mode or a batch mod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CDA 생성부(133)는 정보 통합장치 측 저장부(120)로부터 추가정보를 수집하여, CDA 문서를 생성한다. CDA 문서는 차례로 CDA 저장부(150)에 등록된다. 이에 접속자는 관심 있는 자료 획득을 위하여, CDA 형태의 클리닉 정보에 대하여 문의하거나 검색할 수 있다. The CDA generating unit 133 collects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integrator side storage unit 120 to generate a CDA document. The CDA document is registered in the CDA storage unit 150 in turn. Therefore, the accessor can inquire or search for clinic information in the form of CDA to obtain data of interest.

CDA 문서를 생성하여 접속자와 공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CDA 문서에 포함되어야 할 스키마(schema)를 생성하고, 이를 CDA 문서 리포지터리(repository)에 저장한다. CDA 문서를 생성하고자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CDA 문서 리포지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스키마 중 추가정보 스키마를 추출하며, 이를 파싱하여 HL7표준에 따르는 CDA 문서를 생성하여, 이를 CDA 문서 리포지터리에 저장한다. 생성된 CDA 문서를 암호화 처리한 후, 복수 접속자에 의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How to create a CDA document and share it with the accessor is as follows. Create a schema to be included in the CDA document and store it in the CDA Document Repository. When an event for generating a CDA document occurs, an additional information schema is extracted from the schemas stored in the CDA document repository. The CDA document conforms to the HL7 standard and is parsed to store the CDA document repository. After the generated CDA document is encrypted, it can be shared by multiple users.

HL7 v2.x 메시지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이용되는 이유 및 접속자들이 CDA형태의 정보를 얻는 이유는,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정정해야 하며, 데이터가 누락된 경우에는 보충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효성이 검증된 데이터가 CDA로 통합되고, 접속자들은 특별한 뷰어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The reason why HL7 v2.x messages are used to transmit data and the reason why accessors get CDA type information is that they need to be corrected if an error occurs in the data and supplemented if the data is missing. By doing so, the validated data is integrated into the CDA, and visitors do not need a special viewer and can access the data using a web browser.

이와 같이 HL7 메시지를 이용함에 따라서, 데이터 추출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상호운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By using the HL7 message in this way, data extraction can be automated, and interoperability can be maximized.

도 6은 정보 제공장치(200)의 일 실시 예의 모식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장치(200)는 저장부(220) 및 정보 관리부(230)을 포함한다. 아울러, 정보 관리부(230)는 HL7 엔진(231) 및 데이터 추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includes a storage 220 and an information manager 230. In addition, the information manager 230 may include an HL7 engine 231 and a data extractor 23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정보 제공장치 측 정보 관리부(230) 및 정보 통합장치 측 정보 관리부(130)로 구성된 복층 관리부를 포함한다. 정보 통합장치(100)는 정보 제공장치(200)의 관리부에 비하여, 설계에 있어서 더욱 높은 정도의 자유도를 가진다. 반면에, 정보 제공장치(200)의 경우, 개별 임의의 기관, 예를 들어 병원마다 존재하는 특정 병원 정책 또는 개별 병원에 따르는 인프라 발전 정도에 의하여 정보 관리부(230)의 설계가 구속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plex management unit including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sid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30 and an information integration unit sid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The information integrator 100 has a higher degree of freedom in design as compared to the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the design of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30 is constrained by the degree of infrastructure development according to a specific hospital policy or an individual hospital existing for each individual institution, for example, a hospital.

정보 제공장치 측 정보 관리부(230)는 두 가지 중요한 요소인 HL7 엔진(231) 및 데이터 추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30 may include two important elements, an HL7 engine 231 and a data extractor 232.

HL7 엔진(231)은, 정보 통합장치 측 정보 관리부(130) 내에 존재하는 HL7 엔진(132)와 동일한 역할, 즉 HL7 메시지의 송신 또는 수신을 담당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HL7 엔진은, 정보 통합장치 측 정보 관리부(130)에서 전송하는 HL7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 추출부(232)로 전송할 수 있다.The HL7 engine 231 may play the same role as the HL7 engine 132 existing in the information integrator sid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that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the HL7 message. More specifically, the HL7 engine may receive the HL7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0 of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and transmit the HL7 message to the data extraction unit 232.

데이터 추출부(232)는 정보 제공장치 측 저장부(220) 및 정보 제공장치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상호작용시킴으로써 모든 요청(request)을 진행시키는 핵심 요소이다. 데이터 추출부(232)는 정보 제공장치(200)를 포함하는 기관, 예를 들면 병원의 기술 스태프에 의하여 구현되며, 병원 정보 관리자와 공동작업을 통하여 수행된다. 이는, 개별 병원이 개별 병원의 데이터베이스가 직접적으로 외부에 연결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The data extracting unit 232 is a key element that advances all requests by interact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side storage unit 220 and the database system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e data extraction unit 232 is implemented by a technical staff of an institu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for example, a hospital, and is performed in collaboration with a hospital information manager. This is because individual hospitals do not want the individual hospital's database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side.

도 7은 정보 제공장치(200)를 구현하는 데에 있어 고려되는 네 가지 요소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four elements considered in implement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병원 내의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에 고려되는 네 가지 요소는 프로세싱 모드(710), 데이터베이스(720), 통신 인터페이스부(730) 및 데이터 추출부(232)의 구현예이다. 도 7의 블록 사이의 X표시는 물리적 연결 관계를 나타낸 것이 아니라, 네 블록내에서 하나의 구성 요소를 선택하여 조합하여 정보 제공장치(200)를 구현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s shown in FIG. 7, four elements contemplated for implementing a system in an individual hospital are the implementation examples of the processing mode 710, the database 720, the communication interface 730, and the data extractor 232. to be. The X notation between the blocks in FIG. 7 does not indicate a phys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ut should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may be implemented by selecting and combining one component within four blocks.

첫 번째 요소는 프로세싱 모드(processing mode)(710)로써, 온-디멘드(on-demand) 모드(711) 및 뱃치(batch) 모드(712)를 선택할 수 있다. The first element is the processing mode 710, where an on-demand mode 711 and a batch mode 712 can be selected.

온-디멘드 모드의 경우, 개별 요청은 전송을 받자마자 처리된다. 그러므로, 정보 통합장치(100)에 위치하는 검증부(140)가 유효성을 검증하는 행위가 거의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실시간 모드는 필수적으로 요청되지는 않지만, 일부 정보 제공장치(200)는 온-디멘드 모드를 뱃치 모드에 비하여 선호한다. 그러나, 온-디멘드 모드는 정보 제공장치(200) 측 저장부(220)에 추가적인 로드(load)를 부가할 수 있다.In on-demand mode, individual requests are processed as soon as they receive a transmission. Therefore, the act of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verification unit 140 located in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100 can be performed in near real time. The real time mode is not necessarily required, but som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prefers the on-demand mode to the batch mode. However, in the on-demand mode, an additional load may be added to the storage 220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반면 뱃치 모드(712)에서는, 모든 전송 받은 요청들이, 소정의 시간(대부분 하루) 동안에 축적되고, 개별 병원의 정규 업무 시간 이후 또는 이전에 총괄적으로 처리된다. 뱃치 모드(712)는 개별 병원 측 정보 시스템(320)에 추가적인 로드를 부가하지는 않지만, 데이터의 유효성 검증 절차가 지연된다.In batch mode 712, on the other hand, all received requests accumulate for a predetermined time (mostly one day) and are collectively processed after or before the regular business hours of the individual hospital. The batch mode 712 does not add additional load to the individual hospital side information system 320, but delays the data validation procedure.

상기 정보 제공장치(200) 설계 및 실시할 경우 고려되는 네 가지 요소 중 두 번째 요소는 어떠한 방식으로 데이터 추출부(232)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720)에 억세스(access)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The second of the four factors considered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is how the data extractor 232 accesses the database table 720.

데이터 추출부(232)는 모든 관련된 로테이블(raw table)(721)에 콤플렉스 쿼리(complex query)를 통하여 억세스할 수 있다. 비록 데이터 추출부(232) 및 정보 제공장치(200) 측 저장부(220)는 뷰테이블(view table)의 경우에 비하여 서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만일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수정되면, 데이터 추출부(232) 역시 수정되어야만 한다. The data extractor 232 can access all relevant raw tables 721 via a complex query. Although the data extracting unit 232 and the storage unit 220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re strong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view table, if the database structure is modified, the data extracting unit 232 It must also be modified.

또 다른 실시 예는, 관련 정보가 통합된 기설정된 뷰테이블(722)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뷰테이블(722)을 이용하는 방법은 로테이블(721)을 이용한 억세스 방법에 비교할 경우, 다음의 이익이 존재한다. 우선, 데이터 추출부(232) 및 정보 제공장치(200) 측 저장부(220)가 로테이블(721)의 경우보다 약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수정된 경우, 데이터 추출부(721)는 동일한 상태로 남아있게 되고, 오직 뷰데피니션(view definition)만을 수정하는 것이 요구된다.Another embodiment is a method of using a predetermined view table 722 incorporating relevant information. The method using the view table 722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when compared to the access method using the row table 721. First, since the data extracting unit 232 and the storage unit 220 on the side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re weakly connected than in the case of the low table 721, when the database structure is modified, the data extracting unit 721 It remains the same and only needs to modify the view definition.

두 번째 이익은 억세스 제어가 뷰테이블의 경우에 더욱 용이한 것이다. 상기 두 번째 이익은 뷰테이블이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며, 다른 관련성이 없는 민감한 세부 내용은 은폐하는 것에서 기인한다. The second benefit is that access control is easier in the case of viewtables. The second benefit stems from the viewtable providing one access point and concealing other irrelevant sensitive details.

상기 특정한 시스템의 설계 및 실시할 경우 고려되는 네 가지 요소 중 세 번째 요소는 HL7 엔진(231) 및 데이터 추출부(232)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부(730)이다. The third of the four factors considered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articular system i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730 between the HL7 engine 231 and the data extractor 232.

통신 인터페이스부(730)를 구현하는 데에 있어서, 한 가지 가능한 실시예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database table)(731)을 이용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테이블(731)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테이블이 필요하다. 상기 두 개의 테이블 중 하나의 테이블은 요청을 다루는 데에 요구되며, 다른 하나의 테이블은 결과물을 다루는 데에 요구된다. HL7 엔진(231)은 전송받은 요청을 요청 테이블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가 상기 온-디멘드 처리 모드(711)를 이용하고 있다고 가정한 경우, 데이터 추출부(232)는 주기적으로 테이블을 모니터링하여, 새로운 요청이 요청 테이블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데이터 추출부(232)는 결과물을 결과물 테이블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는 간단한 구성을 포함하며, 요청 테이블 및 전송 테이블은 부산물로써 억세스 이력 기록으로도 이용될 수도 있다.In implementing the communication interface 730, one possible embodiment is to use a database table 731. To use the database table 731, two tables are required. One of the two tables is required to handle the request, and the other table is required to handle the output. The HL7 engine 231 inputs the received request into the request table. If the present embodiment assumes that the on-demand processing mode 711 is used, the data extractor 232 periodically monitors the table to check whether a new request exists in the request table. The data extractor 232 stores the result in the result table. This embodiment includes a simple configuration, and the request table and the transmission table may also be used as access history records as by-products.

또 다른 실시 예에서, HL7 엔진(231) 및 데이터 추출부(232) 간의 인터페이스부(730)로써, RPC(Remote Procedure Call) 또는 메시지 전송 행위(732)를 이용할 수 있다. RPC(Remote Procedure Call) 또는 메시지 전송 행위(732)는 데이터 테이블 방법에 비하여 더 효율적인 면이 있지만, RPC(Remote Procedure Call) 또는 메시지 전송 행위(732)는 정교한 프로그래밍 기술을 요구한다. 또한 억세스 이력을 기록하는 데에 있어서 추가적인 구성을 필요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as an interface unit 730 between the HL7 engine 231 and the data extractor 232, a remote procedure call (RPC) or a message transfer action 732 may be used. Remote procedure call (RPC) or message transfer behavior 732 is more efficient than the data table method, but remote procedure call (RPC) or message transfer behavior 732 requires sophisticated programming techniques. Also, an additional configuration is required for recording the access history.

마지막으로, 상기 특정한 시스템의 설계 및 실시할 경우 고려되는 네 가지 요소 중 네 번째 요소는 데이터 추출부(232)의 구현 예로써, 본원 발명에서는 세 가지의 가능한 실시 예를 개시한다.Finally, the fourth of the four elements considered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pecific system is an implementation of the data extraction unit 232,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three possible embodiments.

데이터 추출부의 구현예의 첫 번째로써 독립 어플리케이션(independent application, IA) 접근법(232-1)이 개시된다. IA접근법은 HL7 메시지 엔진과 무관한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면에서, 데이터 추출부(232)를 구현하는 경우, 프로그래밍 플랫폼(platform) 및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택하는 데에 있어, 유연한 선택이 가능하다. An independent application (IA) approach 232-1 is disclosed as a first example of an implementation of the data extractor. The IA approach is an independent application program that is independent of the HL7 message engine. In this regard, 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data extraction unit 232, in selecting a programming platform and a programming language, flexible selection is possible.

또한, 데이터 추출부는 요청에 대한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IA접근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합 시스템(340) 및 데이터 추출부(232) 간의 인터페이스부(430)로써, 상술한 두 가지 실시예(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방법, RPC 또는 메시지 전송 행위)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extractor may provide an additional function for visually monitoring the progress of the request. In the case of using this IA approach, as the interface unit 430 between the integrated system 340 and the data extraction unit 232, bot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atabase table method, RPC, or message transmission behavior) can be applied. have.

데이터 추출부(232)의 다른 실시 예로써, 임베디드 모듈(embedded module, EM)접근 방법(232-2)이 개시된다. 데이터 추출부(232)는 HL7 엔진(231) 내에 임베디드된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추출부(232) 및 HL7 엔진(231) 간의 상호작용은, 특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보통의 프로시저 호출(procedure call)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data extracting unit 232, an embedded module (EM) access method 232-2 is disclosed. The data extractor 232 may be implemented as a module embedded in the HL7 engine 231. Therefo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ata extractor 232 and the HL7 engine 231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using a normal procedure call without requiring a special communication interface.

그러나, 데이터 추출부(232)가 수정된 경우에 있어 통합 시스템 전체가 갱신되므로, 통합 시스템을 유지하는 데에 고비용이 요구되며,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Microsoft Visual C++에 제한되는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since the entire integrated system is updated when the data extraction unit 232 is modified, a high cost is required to maintain the integrated system, and the programming language used is limited to Microsoft Visual C ++.

데이터 추출부(232)의 다른 실시예로써, 저장된 프로시저(stored procedure, SP)(232-3)가 개시된다. SP는 보통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로 기술된 서브루틴(subroutine)이며, 개별 병원 측 정보 시스템 내에서 실행된다. SP는 세 가지 방법(IA접근법, EM접근법, SP접근법) 중에 가장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이며, 개별 병원 측 정보 시스템에게 가장 높은 수준의 독립성을 제공한다. 단, 데이터 추출부(232)를 SP로써 구현하는 경우에는, HL7 엔진(231)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부(730)로써 오직 데이터베이스 테이블(731)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SP로써 데이터 추출부(232)를 구현하는 데 있어, 또 다른 불리한 점은, 추가적인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data extraction unit 232, a stored procedure (SP) 232-3 is disclosed. SPs are subroutines, usually written in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and run within individual hospital-side information systems. The SP is the simplest of the three methods (IA approach, EM approach, and SP approach) and provides the highest level of independence for individual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However, when the data extraction unit 232 is implemented as an SP, only the database table 731 can be used a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730 with the HL7 engine 231. Another disadvantage in implementing the data extraction unit 232 with the SP is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add additional functions.

이와 같이, 다양한 구현 가능한 조합이 존재함에 따라서, 정보 제공장치(200)를 구축하는 기관의 정책에 따라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정보 제공을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re are various possible combinat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while maintaining independence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institution for construct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도 8은 상술한 네 가지 요소 중 프로세싱 모드를 제외한 세 가지 요소에 기반한 가능한 8가지 조합의 개별 병원측 정보 통합 시스템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8 diagrammatically shows an eight possible combinations of individual hospital side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s based on three of the four elements described above, excluding the processing mode.

이론적으로, 개별 병원에 위치하는 기술 스태프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는 구현예는 24가지이다.(프로세싱 모드 2 * 데이터베이스 2 * 통신 인터페이스부 2 * 데이터 추출부 3 = 24) In theory, there are 24 implementations that can be derived by technical staff located in individual hospitals (processing mode 2 * database 2 * communication interface 2 * data extraction 3 = 24).

하지만, 네 가지 요소 모두가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EM접근(232-2)은 통신 인터페이스부(730)을 선택함에 있어 제한이 없지만, SP접근법(232-3)은 통신 인터페이스부(730)를 데이터베이스 테이블(731)로써만 구현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정보 제공장치(200)를 선택하는 데에 있어, 프로세싱 모드를 제외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가능한 구성이 존재한다. 프로세싱 모드(710)에 있어서, 온-디멘드 모드(711) 또는 뱃치 모드(712)는 어떠한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However, not all four el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For example, the EM approach 232-2 is not limited in selecting the communication interface 730, but the SP approach 232-3 implement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730 only as the database table 731. shall. Therefore, in select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except for the processing mode, there are eight possible configurations as shown in FIG. In processing mode 710, on-demand mode 711 or batch mode 712 may be applied to any configuration.

시스템의 감사추적법(Audit-trail)은 매우 중요하다. 모든 교환된 HL7 메시지는 이력이 기록된다. 데이터 추출에 대한 이력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사용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저장되고, HL7 엔진에 의하여 관리된다.Audit-trail of the system is very important. All exchanged HL7 messages are logged. The history of data extrac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table when the database table is used, and is managed by the HL7 engin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지역 바이오 뱅크 및 다섯 개의 개별 병원들이 연결된 경우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시행의 결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오 뱅크(100-n)간의 시스템은 동일하다. 하지만, 개별 병원 내에 인스톨된 시스템은 개별 병원의 요구 및 정책에 따라 상이한 요소를 셋팅하기 때문에 상이한 구성을 가진다. 16가지의 상이한 구성의 구현이 가능하며, 이 중 3가지의 구성이 도 9에 기재되어 있다. 다섯 개의 병원이 본 실시 예에 참가하였으며, 이중 두 병원은 구성 A, 상기 두 병원 외의 병원 중 두 병원은 구성 B, 나머지 하나의 병원은 구성 C를 개별 병원 측의 정보 통합 시스템으로 채택하였다.FIG. 9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local biobank and five individual hospitals ar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between the biobanks 100-n is the same. However, systems installed in individual hospitals have different configurations because they set different factors according to the needs and policies of individual hospitals. Sixteen different configurations can be implemented, three of which are described in FIG. 9. Five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of which two were configured A, two of the other hospitals were configured B, and the other was configured C as a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of individual hospitals.

상술한 바와 같이, IA접근법(742-1)의 장점은 시각적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0은 구성 A를 채택한 개별 병원에서의 정보 통합 과정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모니터 화면이다. 모니터 화면의 정면에서, 두 개의 분리된 HL7 엔진의 창은 수신된 요청 및 전송된 결과물을 디스플레이한다. 모니터 화면의 배경에는 요청 및 개별 병원 측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추출된 클리닉 정보 집합을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 추출부가 표시된다.As discussed above, an advantage of the IA approach 742-1 is to provide visual monitoring. FIG. 10 is a general monitor screen showing a process of integrating information in individual hospitals adopting Configuration A. FIG. In front of the monitor screen, two separate HL7 engine windows display the received request and the transmitted output. In the background of the monitor screen, a data extraction unit for displaying a request and a set of clinic information extracted from an individual hospital information system is displayed.

바이오 뱅크는 연구원들이 그들이 관심 있는 자료에 대한 문의를 가능하게 하도록 웹 포탈 서비스를 제공한다. BioBank provides a Web portal service that enables researchers to inquire about the materials they are interested in.

본 실시 예의 초기 목적은 접속자들로 하여금 완비된 클리닉 정보에 대한 자료에 대응하는 CDA 문서를 포탈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리뷰 보드는 안전성과 사생활 보호면에서 불안 요소가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불안 요소가 해결될 때까지 연기하기로 결정되었다. 이에 잠정적인 방법으로, 접속자는 쿼리를 이용하여 포탈로부터 자료가 어디에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으며, 공식 요청 문서를 작성할 수 있으며, 승인된 경우에는 CDA 문서를 검색할 수 있도록 바이오 뱅크(200-n)에 억세스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포탈을 통하는 목표물 쿼리의 일반적인 예는 "ind specimens from lung cancer patients of age between 45 and 55"이다.The initial purpose of this embodiment is to enable visitors to directly obtain CDA documents corresponding to materials for complete clinic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l. However, the review board was anxious in terms of safety and privacy, and it was decided to postpone it until it was resolved. In a provisional way, the accessor can use the query to retrieve where the data exists from the portal, create an official request document, and, if approved, the biobank 200-n to retrieve the CDA document . There is a way to access it. A typical example of a target query through a portal is " ind specimens from lung cancer patients of age between 45 and 55 ".

도 11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는, 자료의 타입에 따르는 샘플의 개수를 막대 형태로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number of samples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in the form of a ba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비록 바이오뱅크는 41개 유형의 질병 샘플을 수집하는 데에 있지만, 현재의 수집(2009.5.8)은 32개 유형에 불과하다. 질병 별 환자 수는 도 12에 막대 그래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2004.4.1. 내지 2009.5.8.의 기간 동안 수집된 자료에 관한 그래프이다. 수집된 환자 수가 50명 이하인 경우에는 질병 그래프 상에서 제외하였다. 환자 수에 있어서, 상위 5개의 질병은 간염, 소아 팔꿈치 통증, 심혈관 질병, 위 관련 질병, 유방암이다. 간염, 소아 팔꿈치 통증, 유방암은 하나의 RB에서 수집되었으며, 나머지 두 질병은 모든 바이오뱅크에서 수집되었다.Although Biobank is responsible for collecting 41 types of disease samples, the current collection (July 2009) is only 32 types. The number of patients per disease is shown in bar graph form in FIG. 12. 11 is 2004.4.1. It is a graph of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2009.5.8. When the number of patients collected was 50 or less, they were excluded from the disease graph. In the number of patients, the top five diseases are hepatitis, pediatric elbow pain, cardiovascular disease, stomach related diseases and breast cancer. Hepatitis, pediatric elbow pain, and breast cancer were collected in one RB, and the other two diseases were collected in all biobanks.

도 12는 질병 별 환자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접속자들이 요청할 수 있는 혈청 샘플, 형질세포, 연막, 냉각된 일반 조직, 냉각된 종양 조직의 7 개의 자료 타입은 다수 수집되었다. 반면, 파라핀 임베디드 종양 조직 샘플은 매우 드물며 파라핀 임베디드 일반 조직 샘플은 수집되지 않았다. 12 is a graph showing the number of patients by disease. Seven data types were collected, including serum samples, plasma cells, smokescreens, cooled general tissues, and cooled tumor tissues that accessors could request. Paraffin embedded tumor tissue samples, on the other hand, are very rare and paraffin embedded general tissue samples have not been collected.

모든 타입의 질병과 관련이 있는 공통 데이터 요소는 31개가 존재한다. 병리학 그룹 내의 상기 31개 중 5개의 요소 자동으로 통합되지 않는다. 이는 5개의 요소는 자유로운 문서형태로 기재되기 때문이다. 또한, 신장, 체중 및 환자의 ECOG에 관한 데이터는 두 병원에 의하여 관리되지 않으며, 그러므로 제외된다. 결과적으로, 31개 클리닉 정보 요소 중, 26 요소(84%)는 자동으로 개별 병원 측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세 개의 바이오 뱅크로 통합되며, 23 요소(74%)는 여타의 두 바이오 뱅크로 통합된다.There are 31 common data elements associated with all types of disease. Five of the 31 elements in the pathology group are not automatically integrated. This is because the five elements are written in free form. In addition, data on height, weight and patient's ECOG are not managed by the two hospitals and are therefore excluded. As a result, of the 31 clinic information elements, 26 elements (84%) are automatically integrated into three biobanks from individual hospital side information systems, and 23 elements (74%) are integrated into the other two biobanks.

계속하여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두 개의 여타 정보 통합 시스템과 비교해보도록 한다. 두 개의 여타 정보 시스템은 유럽 종양 뱅크 및 Transregional Collaborative Research Center(TCRC)이다. 상기 두 개의 여타 정보 시스템의 특징은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compared with two other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s. Two other information systems are the European Oncology Bank and the Transregional Collaborative Research Center (TCRC).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other information systems are listed in Table 3.

Figure 112010024249512-pat00003
Figure 112010024249512-pat00003

유럽 종양 뱅크에서는, "엔트리로부터 단일 기록(Single record from entry)" 및 "뱃치 기록 업로드(batch record upload)" 시스템을 발전시켰으며, 두 시스템에서는 모두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클리닉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클리닉 종합 정보를 포함한 파일을 업로드시켜야 한다.The European Oncology Bank has developed the "Single record from entry" and "batch record upload" systems, in which both managers manually enter clinic information or clinic synthesis. You must upload a file that contains the information.

이러한 경우에서는, 네트워크 확충 시에 난조가 생길 수 있으며, 데이터 품질을 제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In such a case, hunting may occur when the network is expanded, and it may be difficult to control data quality.

TCRC에서는, 샘플 및 본원 발명과 마찬가지로 될 수 있는 대로 다수의 클리닉 정보의 포괄적 집합을 통합한다. 하지만, TCRC는 시험 연구(trial study)에 초점을 두며, 정보의 전송 및 수색 시, eCRF(electronic Case Report Form)을 이용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원 발명은 더욱 광범위한 자료 타입을 수집하였으며, 더욱 넓은 응용성을 가진다. 또한 HL7 메시지 및 CDA 표준을 적용시킴으로써, 여타의 건강 관련 정보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높은 정도의 상호 운영성을 가지게 된다.The TCRC incorporates a comprehensive set of multiple clinic information, as can be the s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CRC focused on trial studies and used an electronic case report form (eCRF) to transmit and search information. 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has collected a wider range of data types and has wider applicability. The adoption of the HL7 message and CDA standards also provides a high degree of interoperability when compared to other health-related information systems.

본원 발명과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프로젝트는, 분산되어 있는 다수 바이오 뱅크의 연합에 대하여 언급한다. 본원 발명의 경우, 바이오 뱅크는 분산되어 있지만, 정보 통합 체제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의 분산된 바이오 뱅크를 연합하는 것이 여타의 프로젝트에 비하여 수월하다. 단, 지역 코드를 이용하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A project that is in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coalition of multiple biobanks that are disperse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bank is distributed, but the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is the same. Therefore, associating the distributed biob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er than other projects. This does not apply to the use of area code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정보 통합장치에 있어서,
관리대상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관리대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관리대상정보가 수신되면, 추가정보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추가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상기 추가정보를 상기 저장부로 중계하는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관리대상정보와 관련된 추가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상기 추가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통합장치.
In the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management object information;
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user interface unit and storing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nd
When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the management interfac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is sent to the storage unit. It include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relaying,
And the storage unit stor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추가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유효성이 검증된 상기 추가정보를 상기 관리대상정보에 대응시켜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verification unit which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storage unit stor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valid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부는,
클리닉 문서 아키텍쳐(Clinic Document Architecture:CDA) 문서를 생성하는 CDA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a CD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linic Document Architecture (CDA) docu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DA 생성부에서 생성된 CDA 문서를 저장하는 CDA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통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a CD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DA document generated by the CDA generation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가 상기 CDA 저장부에 접속하면, 상기 CDA 저장부는 상기 CDA 문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합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external device accessing the CDA storage unit, wherein the CDA storage unit provides the CDA docume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정보 요청은 HL7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is an HL7 messa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부는,
상기 HL7 메시지 중계를 담당하는 HL7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an HL7 engine responsible for relaying the HL7 message.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부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추가정보 요청을
자동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reques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when a preset event occurs.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automaticall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정보는 환자의 신상 관련정보이며,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환자의 클리닉 정보(Clinic inform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i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clin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정보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대상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관리대상정보에 대응되는 추가정보 요청을 생성하는 정보 통합장치; 및
상기 정보 통합장치로부터 상기 추가정보 요청이 전송되면, 기저장된 추가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정보 통합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정보 통합장치는, 상기 추가정보 및 상기 관리대상정보를 통합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관리대상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관리대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관리대상정보가 수신되면, 추가정보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추가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상기 추가정보를 상기 저장부로 중계하는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정보 통합 시스템.
In a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An information integration device for generat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management object information when management object information is received; And
Wh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is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integrator, a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reading the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information integrator;
The information integrating device,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integrated storage and management,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user interface unit and storing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nd
When the management target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the management interfac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n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is sent to the storage uni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o relay;
Including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KR1020100035110A 2010-04-16 2010-04-16 Apparatus for integrating inform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ing information KR1013539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110A KR101353938B1 (en) 2010-04-16 2010-04-16 Apparatus for integrating inform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ing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110A KR101353938B1 (en) 2010-04-16 2010-04-16 Apparatus for integrating inform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ing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666A KR20110115666A (en) 2011-10-24
KR101353938B1 true KR101353938B1 (en) 2014-01-23

Family

ID=4503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110A KR101353938B1 (en) 2010-04-16 2010-04-16 Apparatus for integrating inform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ing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93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000A (en) * 2000-04-14 2001-11-07 이종훈 System and method for possessing medical information in common
KR20090046290A (en) * 2007-11-05 2009-05-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medical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000A (en) * 2000-04-14 2001-11-07 이종훈 System and method for possessing medical information in common
KR20090046290A (en) * 2007-11-05 2009-05-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medica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666A (en)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rnbrook et al. Building a virtual cancer research organization
US8301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integration
Fernández-Alemán et al. Free web-based personal health records: An analysis of functionality
Kuiper et al. Existing data sources for clinical epidemiology: the PHARMO database network
US20130138455A1 (en) Automated integrated system, method and platform for healthcare services
CN102073786A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patient-to patient relationships
US11798690B2 (en) Method of using medical data related to patients suffering a given disease
US20150234984A1 (en) Patient-Centric Portal
Ganapathy et al. Digital health care in public private partnership mode
Rosenbloom et al. The mid-south clinical data research network
Leykum et al. Implementation of a hospitalist‐run observation unit and impact on length of stay (LOS): a brief report
Kaushal et al. Functional gaps in attaining a national health information network
US200501076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 input of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US20090112614A1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management
US201103139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Zhang et al. Framework for evaluating and developing sustainable telehealth programs
Bickenbach Functional status and health information in Canada: proposals and prospects
CN108899094A (en) A kind of disease research management system of more mechanisms combines
KR101353938B1 (en) Apparatus for integrating inform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ing information
Chang et al. Ubiquitous-severance hospital project: implementation and results
Sunariyanti et al. Cost Analysis of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in Indonesia
Lorenzi E-health strategies worldwide
JP6980240B2 (en) Server equipment and service provision system
Modly et al. The need for data management standards in public health nursing: A narrative review and case study
US20200321107A1 (en) Integrated multi-facility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