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593B1 -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 Google Patents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593B1
KR101352593B1 KR1020120116815A KR20120116815A KR101352593B1 KR 101352593 B1 KR101352593 B1 KR 101352593B1 KR 1020120116815 A KR1020120116815 A KR 1020120116815A KR 20120116815 A KR20120116815 A KR 20120116815A KR 101352593 B1 KR101352593 B1 KR 101352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ar
switchboard
unit
mo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웅
Original Assignee
김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웅 filed Critical 김진웅
Priority to KR1020120116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2Mobile units, e.g. for work s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배전반 프레임에 수납식으로 설치된 배전반 유닛을 전후로 이동시킬 때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이동 위치를 정확히 안내하여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를 안정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따른 위치 안내 장치는 가이드 레일판, 및 탄성바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판은 배전반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전반 유닛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고,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에 대응되게 로킹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바 구동 모듈은 배전반 유닛에 설치되며, 구동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전반 유닛의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탄성바를 구비하고,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배전반 유닛이 이동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탄성바가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판의 로킹홀에 삽입되어 배전반 유닛의 이동을 막는다.
또한, 탄성바 구동 모듈은 차단바를 구비하며, 차단바는 키가 탄성바 구동 모듈 방향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여 시험 모드와 운전 모드 사이에 잠금 및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한다.

Description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 프레임에 수납식으로 설치된 배전반 유닛을 전후로 이동시킬 때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이동 위치를 정확히 안내하여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를 안정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차단기, 스위치, 계기, 릴레이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로서, 전기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목적으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배전반은 그 설치형태에 따라 단독형과 열반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독형 배전반은 기본 배전반 유닛이 하나의 도어를 구비한다. 열반형 배전반은 복수의 배전반 유닛이 일직선상으로 배전반 프레임에 열반된 형태로 설치되며, 복수의 배전반 유닛은 각각 도어를 구비한다.
배전반 유닛 내에 설치된 차단기는 동작위치인 인입위치와 비동작위치(시험위치)인 인출위치 사이에서 인,입출 구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전반 유닛에서 차단기가 인입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열리면 고압의 전류에 의해 사용자 등에게 위험이 초래되므로 배전반 유닛에는 차단기가 인입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장치인 인터록장치를 구비되어 있다.
배전반 유닛은 배전반 프레임에 대한 위치에 따라 구동 모드가 결정되는데, 구동 모드는 배전반 유닛이 인입위치에 있을 때 수행하는 운전 모드와, 비동작위치에 있을 때 수행하는 시험 모드, 전원이 오프되는 오프 모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운전 모드는 배전반 유닛이 배전반 프레임에 인입되어 파워 커넥터 모듈에 접속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시험 모드는 배전반 유닛이 배전반 프레임에서 일정 길이로 입출된 상태에서 수행되며, 배전반 유닛의 시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파워 커넥터 모듈에 접속된다. 운전 모드와 시험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파워 커넥터 모듈에 접속되는 위치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의 전환이 배전반 프레임에 대한 배전반 유닛의 이동에 의해 수행하게 되는데, 각 구동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의 이동 위치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각 구동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의 이동 위치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운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전환할 때, 배전반 유닛이 정확히 시험 모드에 해당되는 위치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시험 모드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뿐 아니라 고압의 전류에 의한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배전반 유닛은 유닛 구동 모듈이 잠금축을 매개로 모드 전환 장치에 연결된다. 모드 전환 장치는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된 레버와, 레버와 연결되어 도어의 내측에 설치된 잠금 모듈을 포함한다. 잠금 모듈은 잠금축을 매개로 유닛 구동 모듈에 연결된다.
특허등록공보 제10-1184922호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2012.09.2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 프레임에 수납식으로 설치된 배전반 유닛을 전후로 이동시킬 때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이동 위치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출원은 등록특허 제10-1184922호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에 기재된 발명을 개선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등록특허 제10-1184922호에 비하여 보다 안정성 있는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판, 및 탄성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판은 배전반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유닛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에 대응되게 로킹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은 상기 배전반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배전반 유닛의 하부로 돌출되는 탄성바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상기 배전반 유닛이 이동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탄성바가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로킹홀에 삽입되어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을 막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의 탄성바는 제1 및 제2 탄성바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탄성바는 상기 구동 모드 중 운전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탄성바는 상기 제1 탄성바 보다는 뒤쪽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드 중 시험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바 및 제2 탄성바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탄성바 및 제2 탄성바는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 중 운전 모드에서는, 상기 제1 탄성바가 상기 로킹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바는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드 중 시험 모드에서는, 상기 제2 탄성바가 상기 로킹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탄성바는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판에 형성된 로킹홀은 상기 제1 탄성바가 삽입되는 제1 로킹홀과, 상기 제2 탄성바가 삽입되는 제2 로킹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로킹홀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은 상기 탄성바, 탄성바 조작 버튼, 및 탄성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은 상기 탄성바에 대응되게 상기 배전반 유닛의 도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바 구동부는 상기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탄성바를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부는, 케이스, 기어, 연결대 및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탄성바가 설치된 영역을 덮도록 상기 배전반 유닛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기어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바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바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연결대는 상기 기어와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을 각각 연결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어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결대와 상기 케이스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동한 상기 연결대를 원래의 위치를 복원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과 연결되는 일단부에 잠금 모듈의 키가 삽입되는 키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은 버튼 케이스 및 온/오프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케이스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을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온/오프 키는 상기 버튼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을 온/오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는 경사대 및 구동 모드 표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대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드 표시바는 일단부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경사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에 설치된 표시창으로 노출되는 타단부를 통하여 상기 배전반의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 표시바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안쪽에 설치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은 조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정판은 차단바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조정판의 일측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정판의 타측에는 수직부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는 차단바에 형성된 돌기와 접촉하는 것이 특징이다. 조정판이 회전하면 굴곡부의 내측 굴곡에 의해 돌기가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차단바가 회전하게 된다. 수직부는 연결대의 최외각측 기어날 사이에 삽입된다. 즉, 연결대가 탄성바 구동부 내부로 움직이는 경우에 조정판이 회전하게 되고, 조정판의 회전으로 인하여 차단바도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은 차단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바는 키가 탄성바 구동 모듈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바가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키가 차단부에 막혀서 탄성바 구동 모듈쪽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차단바가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판의 회전이 제한되고 배전반 유닛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차단바는 일단부가 배전반 유닛의 이동에 따라 경사대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부는 시험 모드와 구동 모드 시에 삽입홀에 삽입된다. 이때 차단부는 아래 쪽에 위치하게 되며, 키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이 경우 배전반 유닛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차단바의 돌기는 복수의 조정판과 접촉하며, 조정판의 회전에 따라, 돌기가 움직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차단바가 회전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위치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배전반을 제공한다. 상기 배전반은 배전반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배전반 유닛 및 위치 안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전반 유닛은 상기 배전반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안내 장치는 상기 배전반 프레임 및 상기 배전반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를 안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반 유닛의 하부에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탄성바가 돌출되어 있고, 배전반 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판에 복수의 탄성바가 삽입될 수 있는 로킹홀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전반 유닛을 전후로 이동시킬 때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이동 위치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배전반 유닛이 이동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배전반 유닛의 탄성바가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판의 로킹홀에 삽입되어 배전반 유닛의 이동을 막기 때문에, 배전반 유닛을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정확히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배전반 유닛의 도어에 복수의 탄성바를 조작할 수 있는 탄성바 조작 버튼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도어에 마련된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을 통하여 쉽게 탄성바를 조작할 수 있다. 탄성바 조작 버튼에는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을 온/오프할 수 있는 온/오프 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 모드 또는 시험 모드를 수행할 때 작업자가 임의로 탄성바 조작 버튼을 조작함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탄성바 조작 버튼은 구동 모드를 전환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잠금 부재와 연결되게 도어에 설치되기 때문에, 레버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구동 모드에 따라 온/오프 키의 구동과 무관하게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을 허용하거나 막을 수 있다.
시험 모드와 운전 모드사이에서는 잠금 및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배전반의 정확한 작동 상태를 인지할 수 있으며, 전기 감전과 같은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위치 안내 장치를 갖는 배전반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이드 레일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배전반 유닛에 설치된 위치 안내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탄성바가 설치된 배전반 유닛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탄성바 구동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기어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2의 배전반 유닛의 도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는 도 9의 9-9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운전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시험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바 구동 모듈의 내부를 보여주는 보면이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바 구동 모듈의 구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모드 전환 장치의 잠금 모듈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판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위치 안내 장치를 갖는 배전반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은 배전반 프레임(10)과, 배전반 유닛(20) 및 모드 전환 장치(90)를 포함하며, 위치 안내 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 프레임(10)은 적어도 하나의 배전반 유닛(20)을 수납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 공간(11)을 제공하는 구조물이다. 각각의 설치 공간(11)의 바닥면에는 배전반 유닛(2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판(40)이 설치된다. 통상 배전반 프레임(10)은 캐비닛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배전반 프레임(10)에 형성된 설치 공간(11)의 일측은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 제공되고, 설치 공간(11)의 타측은 배전반 유닛(20)이 접속되는 파워 커넥터 모듈이 마련되어 있다.
배전반 유닛(20)은 배전반 프레임(10)의 설치 공간(11)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배전반 유닛(20)은 유닛 케이스(21), 유닛 구동 모듈(23) 및 도어(25)를 포함한다. 유닛 케이스(21)는 배전반 유닛(20)의 외형을 형성한다. 유닛 케이스(21)의 하부의 양쪽에 가이드 레일판(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롤러(29)가 설치되어 있다. 유닛 케이스(21)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탄성바(51)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21a)이 형성되어 있다. 유닛 케이스(21)의 바닥면에는 구동 모드 표시부(72)와 차단반(72a)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홀(21b)이 형성되어 있다. 유닛 구동 모듈(23)은 모드 전환 장치(90)에 연결되며, 모드 전환 장치(90)를 통한 구동 모드의 선택에 따라 배전반 유닛(20)을 해당 구동 모드로 전환시킨다. 도어(25)는 힌지를 매개로 유닛 케이스(21)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배전반 유닛(2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도어(25)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설치된다.
위치 안내 장치(30)는 배전반 프레임(10) 및 배전반 유닛(20)에 설치되며,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위치를 안내한다. 위치 안내 장치(30)는 가이드 레일판(40)과 탄성바 구동 모듈(50)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판(40)은 배전반 유닛(20) 하부의 배전반 프레임(10)에 설치되며, 배전반 유닛(2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고,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에 대응되게 로킹홀(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바 구동 모듈(50)은 배전반 유닛(20)에 설치되며, 구동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전반 유닛(20)의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탄성바(51)를 구비한다. 또한 탄성바 구동 모듈(50)은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탄성바(51)가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판(40)의 로킹홀(45)에 삽입되어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을 막는다.
그리고 모드 전환 장치(90)는 배전반 유닛(20)에 설치되며, 배전반 유닛(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전환한다. 모드 전환 장치(90)는 위치 안내 장치(30)와 연결되어 위치 안내 장치(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모드 전환 장치(90)는 도어(25)의 외측에 설치된 레버(91)와, 레버(91)와 연결되어 도어(25)의 내측에 설치된 잠금 모듈(80)을 포함한다. 잠금 모듈(80)은 잠금축(93)을 매개로 유닛 구동 모듈(23)에 연결되고, 잠금축(93)의 회전에 따라 위치 안내 장치(40)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은 위치 안내 장치(30)를 구비하기 때문에, 배전반 유닛(20)을 구동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위치로 정확히 안내할 수 있다. 즉 배전반 유닛(20)의 하부에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탄성바(51)가 돌출되어 있고,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판(40)에 복수의 탄성바(51)가 삽입될 수 있는 로킹홀(4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전반 유닛(20)을 전후로 이동시킬 때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에 따른 이동 위치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탄성바(51)가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판(40)의 로킹홀(45)에 삽입되어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을 막기 때문에, 배전반 유닛(20)을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정확히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장치(3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좀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가이드 레일판(4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배전반 유닛(20)에 설치된 위치 안내 장치(3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탄성바(51)가 설치된 배전반 유닛(20)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탄성바 구동 모듈(50)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기어(73)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배전반 유닛(20)의 도어(25)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9-9선 단면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위치 안내 장치(30)는 가이드 레일판(40)과 탄성바 구동 모듈(50)을 포함하며, 그 외 구동 모드 표시바(72) 및 차단바(7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판(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홀(45)이 형성된 베이스판(41),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 및 경사대(49)를 포함한다. 베이스판(41)은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상부면의 양쪽에 배전반 유닛(20) 하부의 양측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29)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의 안쪽의 베이스판(41) 부분을 관통하여 복수의 탄성바(51)가 삽입될 수 있는 로킹홀(45)이 형성되어 있다. 로킹홀(45)은 배전반 유닛(20)이 삽입이 시작되는 쪽에 가까운 베이스판(41) 부분에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가이드 레일(43)에 가까운 베이스판(41) 부분에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바 구동 모듈의 내부를 보여주는 보면이다.
탄성바 구동 모듈(50)은 복수의 탄성바(51),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 및 탄성바 구동부(70)를 포함하며, 버튼 케이스(63) 및 온/오프 키(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복수의 탄성바(51)에 각각 대응되게 배전반 유닛(20)의 도어(25)에 설치된다. 탄성바 구동부(70)는 탄성바(51)와 탄성바 조작버튼(61)을 연결하며,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에 따라 탄성바(51)를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복수의 탄성바(51)는 제1 탄성바(53)와 제2 탄성바(55)를 포함한다. 제1 탄성바(53)는 구동 모드 중 운전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제2 탄성바(55)는 제1 탄성바(53) 보다는 뒤쪽에 설치되며, 구동 모드 중 시험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때 제1 탄성바(53) 및 제2 탄성바(55)는 배전반 유닛(2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 탄성바(53) 및 제2 탄성바(55)는 서로 어긋나게 설치된다. 이로 인해 구동 모드 중 운전 모드에서는, 제1 탄성바(53)가 로킹홀(45)에 삽입되고, 제2 탄성바(55)는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구동 모드 중 시험 모드에서는, 제2 탄성바(55)가 로킹홀(45)에 삽입되고, 제1 탄성바(53)는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가이드 레일판(40)에 형성된 로킹홀(45)은 제1 탄성바(53)가 삽입되는 제1 로킹홀(46)과, 제2 탄성바(55)가 삽입되는 제2 로킹홀(47)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로킹홀(46, 47)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바(51)가 복수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제2 탄성바(55)를 제외하고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예(55)와 제2 연결대(75b)가 없는 경우에는 시험 모드는 제외되며 작동 모드시에만 배전반 유닛(20)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바 구동 모듈의 구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각각의 탄성바(53 ,55)가 상승하면 그에 대응하는 연결대(75a, 75b)가 상승한다. 제1 탄성바(53)가 상승하면, 제1 연결대(75a)가 이동한다. 2개의 탄성바(53, 55)가 모두 상승한 경우에는 차단부(78c)는 상승한다(도 17). 차단부(78c)는 이동부가 경사대의 수평면상에 있는 경우에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도 18).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배전반 유닛(20)의 도어(25)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제1 탄성바(53)를 조작하는 제1 탄성바 조작 버튼(61a)과, 제2 탄성바(55)를 조작하는 제2 탄성바 조작 버튼(61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인 누름에 따라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전후로 이동하며, 탄성바 구동부(70)에 구비된 스프링(77)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배전반 유닛(20)의 도어(25)에 복수의 탄성바(51)를 조작할 수 있는 탄성바 조작 버튼(6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도어(25)에 마련된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을 통하여 쉽게 탄성바(51)를 조작할 수 있다.
버튼 케이스(63)는 배전반 유닛(20)의 도어(25)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둘러싸도록 외곽에 설치되어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보호한다. 버튼 케이스(63)는 구동 모드 표시바(72)가 표시하는 배전바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표시창(65)을 구비한다.
온/오프 키(67)는 버튼 케이스(63)에 설치되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을 온/오프 한다. 온/오프 키(67)는 버튼 케이스(63)의 상부에서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수직으로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직바(67a)와, 수직바(67a)와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이 서로 겹치는 부분으로 돌출되어 지지하는 지지편(67b)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안쪽에 내부 공간(62)을 갖는 캡 형태로 형성되며, 수직바(67a)가 설치된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홀(64)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 케이스(63)에 설치된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서로 겹치는 부분에 온/오프 키(67)의 지지편(67b)이 위치할 경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누르더라도 온/오프 키(67)의 지지편(67b)에 걸려 눌러지지 않는다. 그리고 온/오프 키(67)의 지지편(67b)을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내부 공간(62)으로 이동시키면,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구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누르게 되면,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온/오프 키(67)의 수직바(67a)는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이동홀(64)에 삽입되어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탄성바 조작 버튼(61)에는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을 온/오프할 수 있는 온/오프 키(67)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 모드 또는 시험 모드를 수행할 때 작업자가 임의로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조작함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탄성바 구동부(70)는 케이스(71), 복수의 기어(73), 복수의 연결대(75), 조정판(79a) 및 복수의 스프링(77)을 포함한다. 케이스(71)는 복수의 탄성바(51)가 설치된 영역을 덮도록 배전반 유닛(2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복수의 기어(73)는 케이스(71)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탄성바(51)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복수의 탄성바(51)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복수의 연결대(75)는 복수의 기어(73)와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51)을 각각 연결하게 케이스(71)에 설치되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기어(73)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복수의 스프링(77)은 복수의 연결대(75)와 케이스(71)를 연결하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에 따라 이동한 복수의 연결대(75)를 원래의 위치를 복원시킨다.
이때 케이스(71)는 설치 공간을 갖는 제1 케이스(71a)와, 제1 케이스(71a)를 덮는 제2 케이스(71b)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케이스(71a,71b)가 형성하는 설치 공간에 탄성바 구동부(7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설치된다.
복수의 기어(73)는 기어축(101)을 매개로 케이스(7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어축(101)에 설치된 복수의 기어(73)는 각각 연결된 탄성바(51) 또는 연결대(75)의 이동에 따라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기어축(101)에 복수의 기어(73)가 삽입된 후 기어축(101)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정링(102)에 의해 기어축(101)에 구속된다. 복수의 기어(73)는 제1 탄성바(53)가 연결되는 제1 기어(73a)와, 제2 탄성바(55)가 연결되는 제2 기어(73b)를 포함한다. 복수의 기어(73)는 각각 제1 및 제2 단위 기어(105,107)가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즉 기어(73)는 기어판(103)과, 기어판(103)에 고정핀(109)을 매개로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 단위 기어(105, 107)를 포함한다. 제1 단위 기어(105)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결대(75)가 맞물리게 설치된다. 제2 단위 기어(107)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탄성바(51)가 맞물리게 설치된다. 따라서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 즉,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누르면, 연결대(75)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단위 기어(105)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1 단위 기어(105)의 회전에 따라 제2 단위 기어(107)가 회전하여 탄성바(51)를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위로 이동시킨다. 한편 제1 및 제2 단위 기어(105,107)에 형성된 기어날은 각각 탄성바(51) 및 연결대(75)의 이동 피치를 고려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위 기어(105)가 제2 단위 기어(107)보다는 기어날이 많게 형성된다.
탄성바(51)는 기어(73)와 맞물려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어(73)와 맞물리는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기어날(52)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바(51)는 기어날(52)이 형성된 쪽과 반대쪽에 수직 방향으로 슬롯(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롯(54)에 삽입된 가이드핀(56)을 매개로 케이스(71)에 설치된다.
복수의 연결대(75)는 각각 탄성바 조작 버튼(61)과 연결되는 일단부에 잠금모듈(80)의 키(89)가 삽입되는 키홀(79)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대(75)는 제1 기어(73a)를 매개로 제1 탄성바(53)와 연동되는 제1 연결대(75a)와, 제2 기어(73b)를 매개로 제2 탄성바(55)와 연결되는 제2 연결대(75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연결대(75)는 이동바(111)와 누름바(113)를 포함한다. 이동바(111)는 기어(73)와 맞물려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바(111)는 기어(73)와 맞물리는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기어날(115)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77)의 일단이 연결되는 스프링 끼움홀(117)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바(113)는 이동바(1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71) 밖에 설치되며, 탄성바 조작 버튼(61)과 연결된다. 누름바(113)는 이동바(111)에 대해서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형성되며, 잠금 모듈(80)의 키(89)가 삽입되는 키홀(79)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기어(73)에 맞물리는 복수의 탄성바(51) 및 복수의 연결대(75) 간의 간섭을 억제하고 설치 공간을 줄이기 위해서, 제1 기어(73a) 및 제2 기어(73b)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제1 기어(73a) 및 제2 기어(73b)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대(75a, 75b)는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물론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누름에 의해 탄성바(51)가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위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복수의 기어(73)에 복수의 탄성바(51) 및 복수의 연결대(75)가 연결된다.
복수의 스프링(77)은 각각 복수의 연결대(75)와 케이스(71)를 연결한다. 이때 스프링(77)은 일단이 연결대(75)의 이동바(111)에 형성된 스프링 끼움홀(117)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대(75)의 누름바(113)에 가까운 케이스(71) 부분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눌러 연결대(75)를 이동시키면 스프링(77)이 늘어나게 되고,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77)이 수축하면서 연결대(75) 및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여기서 복수의 스프링(77)은 제1 연결대(75a)에 연결되는 제1 스프링(77a)과, 제2 연결대(75b)에 연결되는 제2 스프링(77b)을 포함한다.
탄성바 구동 모듈(50)은 상단부에 전원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스위치는 탄성바(51)가 상승한 경우(탄성바의 하단부가 로킹홀에 삽입되는 경우)에 닫히는 것이 특징이다. 전원 스위치는 각각의 탄성바에 대응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장치(30)에서는 2개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스위치는 제1 탄성바(53)가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면, 제1 탄성바(53)의 상단부가 제1 스위치를 닫고,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탄성바(55)가 상기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면, 상기 제2 탄성바(55)의 상단부가 제2 스위치를 닫는다. 상기 스위치가 닫히면, 각각의 스위치에 연결된 전구(전원 표시장치)는 전원이 공급되어, 점열 표시가 이루어진다. 일예로, 시험 모드에서는 제1 탄성바(53)가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면, 제1 탄성바(53)의 상단부가 제1 스위치를 닫는다. 이때 전원이 공급되면 전구가 점멸되어 작동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원 공급은 레버(91)를 회전시켜 잠금축(93)이 회전 되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운전 모드에서는 제2 스위치가 닫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판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조정판(79a)은 차단바(72a)가 회전 할 수 있도록 한다. 조정판(79a)은 다수의 조정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조정판이 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79b, 79c).
각각의 조정판(79a)의 일측에 굴곡부(79e)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정판(79a)의 타측에는 수직부(79d)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79e)는 차단바(72a)에 형성된 돌기(74a)와 접촉하는 것이 특징이다. 조정판(79a)이 회전하면 굴곡부(79e)의 내측 굴곡에 의해 돌기(74a)가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차단바(72a)가 회전하게 된다. 수직부(79d)는 연결대(75)의 일단부와 접촉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대(75)의 최외각측에 형성된 2개의 기어날(115) 사이에 수직부(79d)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연결대(75)가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에 조정판(79b)도 한축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연결대(75)가 탄성바 구동부(70)내부로 움직이는 경우에 조정판(79a)이 회전하게 되고, 조정판(79a)의 회전으로 인하여 차단바(72a) 또한 회전하게 된다.
경사대(49)는 배전반 유닛(2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경사대(49)의 경사면(49a)은 배전반 유닛(20)의 삽입이 시작되는 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면(49a)의 뒤쪽은 일정 높이를 갖는 수평면(49b)으로 형성되며, 경사면(49a)과 수평면(49b)의 단부 사이에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이동부(74)가 삽입되는 유도홈(49c)이 형성되고, 경사면(49a)의 측면에는 차단바(72a)의 이동부(74b)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49d, 49e)이 형성된다. 이때 경사대(49)에 대응되는 배전반 유닛(20)의 바닥면에는 경사대(49)가 노출될 수 있는 삽입홀(21b)이 형성되어 있다. 그 삽입홀(21b)을 통하여 구동 모드 표시바(72) 및 차단바(72a)가 상기 경사대(49)에 접촉되어 이동한다.
그리고 구동 모드 표시바(72)는 모드 전환 장치(80)에 표시되는 구동 모드와 함께 보조적으로 도어(25)에 설치된 표시창(65), 즉 도어 케이스(63)의 표시창(65)을 통하여 현재의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 이러한 구동 모드 표시바(72)는 일단부가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에 따라 경사대(49)를 따라 이동하여 일단부에 연결되어 도어(25)에 설치된 표시창(65)으로 노출되는 타단부를 통하여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 타단부에는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 즉, 운전 모드, 시험 모드, 오프 모드를 라인이나 띠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판(78a)이 설치된다. 구동 모드 표시바(72)는 배전반 유닛(20)의 안쪽에 설치된 탄성바 구동 모듈(5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 모드 표시바(72)는 케이스(71)의 외측면에 제1 및 제2 연결핀(121, 123)을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동 모드 표시바(72)는 이동부(74), 연결부(76) 및 표시부(78)를 포함한다. 이동부(74)는 일단부가 제1 연결핀(121)을 매개로 케이스(71)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가 경사대(49)에 접촉되어 이동한다. 연결부(76)는 이동부(74)의 일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도어(25)의 내측면을 향하여 뻗어 있다. 그리고 표시부(78)는 연결부(76)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동부(74)의 회전 이동을 상하 이동으로 변환시켜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 표시부(78)는 연결부(76)와 연결되는 쪽에 수직 방향으로 슬롯(78b)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롯(78b)에 삽입된 제2 연결핀(123)을 매개로 케이스(71)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표시부(78)의 단부에는 구동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판(78a)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판(78a)은 표시창(65)을 향하여 현재의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에 따라 이동부(74)가 경사대(49)를 타고 이동하면, 이동부(74) 및 연결부(76)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연결부(76)에 연결된 표시부(78)가 슬롯(78b)에 연결된 제1 연결핀(123)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표시판(78a)에 전환된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 예컨대 이동부(74)가 경사대(49)의 수평면(49b)에 있는 경우, 표시판(78a)은 운전 모드를 표시한다. 이동부(74)가 경사면(49a)에 있는 경우, 표시판(78a)은 시험 모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부(74)가 경사대(49)를 완전히 내려오게 되면 오프 모드를 표시한다.
차단바(72a)는 구동 모드 표시바(72)와 탄성바 구동 모듈(50) 사이에 설치된다. 차단바(72a)는 구도 모드 표시바(72)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나 그 기능이 다르다. 차단바(72a)는 차단부(78c)는 키(89)가 탄성바 구동 모듈(50)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14에서는 차단바(72a)가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 내지 17에는 차단바(72a)가 위쪽에 위치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차단바(72a)가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키(89)가 차단부(78c)에 막혀서 탄성바 구동 모듈(50) 쪽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차단바(72a)가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판(81)의 회전이 제한되고 배전반 유닛(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차단바(72a)는 일단부가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에 따라 경사대(49)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부(74d)는 시험 모드와 구동 모드시에 삽입홀(49d, 49e)에 삽입된다. 이때 차단부(78c)는 아래 쪽에 위치하게 되며, 키(89)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이 경우 배전반 유닛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차단바(72a)도 슬롯(78d)를 포함한다.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에 따라 이동부(74b)가 경사대를 타고 이동하면, 이동부(74b) 및 연결부(76a)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연결부(76a)에 연결된 차단부 (78c)가 슬롯(78d)에 연결된 제1 연결핀(123)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차단바(72a)의 돌기(74a)는 케이스 상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탄성 구동 모듈(50)의 내부로 들어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 상에 형성된 구멍은 돌기(74a)가 이동하기에 충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기(74a)는 복수의 조정판(79)과 접촉하며, 조정판(79)의 회전에 따라, 돌기(74a)가 움직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차단바(72a)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장치(30)가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을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운전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시험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배전반 유닛(20)이 운전 모드인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바(53)가 제1 로킹홀(46)에 삽입되어 배전반 유닛(20)의 운전 모드에 따른 위치를 정확히 안내한다. 그리고 배전반 유닛(20)이 시험 모드인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탄성바(55)가 제2 로킹홀(47)에 삽입되어 배전반 유닛(20)의 시험 모드에 따른 위치를 정확히 안내한다.
먼저 운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모드인 경우 제1 탄성바(53)는 제1 로킹홀(46)에 삽입되고, 제2 탄성바(55)는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이때 제2 탄성바(55)는 늘어난 제2 스프링(도 6의 77b)에 의해 탄성력이 축적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운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레버(도 9의 91)를 시험 모드로 전환시키면, 잠금 모듈의 키(도 4의 89)가 연결대(도 4의 75)의 키홀(도 4의 79)에서 빠져 탄성바 조작 버튼(도 9의 61)의 잠금을 해제한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제1 탄성바 조작 버튼(도 9의 61a)을 누르면, 배전반 유닛(20)은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앞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1 탄성바 조작 버튼(도 9의 61a)을 누르면, 제1 탄성바(53)는 제1 로킹홀(46)에서 빠져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이 가이드 레일판(40)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전반 유닛(20)을 앞쪽으로 당기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탄성바(55)는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이동한 후, 제2 로킹홀(47)에 위치하게 되면, 제2 스프링(도 7의 77b)에 의해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제2 로킹홀(47)에 삽입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은 더 이상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앞쪽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장치(30)는 배전반 유닛(20)이 시험 모드를 진행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면, 제2 로킹홀(47)에 제2 탄성바(55)를 삽입시켜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을 막는다. 이때 제1 탄성바 조작 버튼(61a)을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제1 탄성바(53)는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위치한다.
운전 모드에서는 이동부(74b)는 경사대(49)의 두 번째 삽입홈(49e) 삽입되어 차단부(78c)가 키(89)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다. 운전 모드에서 키(89)가 연결대(75b)의 슬롯에 삽입되어 연결대(75)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4,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드 표시바(72)를 통하여 운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구동 모드가 전환되었음을 표시한다. 즉 운전 모드인 경우, 구동 모드 표시바(72)는 이동부(74)가 경사대(49)의 수평면(49b) 위에 있기 때문에,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표시판(78a)은 운전 모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운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하면, 이동부(74)가 수평면(49b)에서 경사면(49a)으로 이동하여 표시판(78a)은 시험 모드를 표시한다.
시험 모드에서는 이동부(74b)는 경사대(49)의 첫 번째 삽입홈(49d) 삽입되어 차단부(78c)가 키(89)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다. 시험 모드에서 키(89)가 연결대(75a)의 슬롯에 삽입되어 연결대(75)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한편 시험 모드를 수행할 때,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조작할 수 있는 상태로 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온/오프 키(67)를 이용하여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을 막을 수 있다.
반대로 시험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제2 탄성바 조작 버튼(도 9의 61b)을 누르면, 배전반 유닛(20)은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뒤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2 탄성바 조작 버튼(61b)을 누르면, 제2 탄성바(55)는 제2 로킹홀(47)에서 빠져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이 가이드 레일판(40)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1 탄성바(53) 또한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전반 유닛(20)을 뒤쪽으로 밀면, 제1 탄성바(53)는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이동한 후, 제1 로킹홀(46)에 위치하게 되면, 제1 스프링(도 7의 77a)에 의해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제1 로킹홀(46)에 삽입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은 더 이상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뒤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레버(도 9의 91)를 시험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전환시키면, 잠금 모듈의 키(도 5의 89)가 연결대(도 5의 75)의 키홀(79)에 삽입되어 탄성바 조작 버튼(도 9의 61)을 잠근다.
또한 도 4,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드 표시바(72)를 통하여 시험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구동 모드가 전환되었음을 표시한다. 시험 모드인 경우,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이동부(74)가 경사대(49)의 경사면(49a) 위에 있기 때문에,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표시판(78a)은 시험 모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시험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하면, 이동부(74)가 경사면(49a)에서 수평면(49b)으로 이동하여 표시판(78a)은 운전 모드를 표시한다.
시험 모드에서는 이동부(74b)는 경사대(49)의 첫 번째 삽입홈(49d) 삽입되고, 차단부(78c)는 키(89)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다. 즉, 키(89)는 연결대의(75) 슬롯에 삽입되도록 이동이 가능하다.
시험모드와 운전 모드 사이에서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야한다. 보통 서비스 모드의 경우에는 매우 큰 전압이 공급되는 반면, 시험 모드에서는 작은 전압이 공급된다. 시험모드의 경우에는 전압이 작아서 안전상 문제가 없으나, 운전 모드의 경우에는 안전상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험 모드와 운전 모드 사이에서 레버(91)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사대(49)의 삽입홈(49d, 49e)에 차단바(72a)의 이동부(74b)가 삽입되는 경우에만 레버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는 이동부(74b)가 수평면(49b) 상에 위치하여, 차단부(78c)가 위 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때 키(89)가 탄성바 구동 모듈(50)쪽으로 움직이지 못하여, 레버(91)의 회전도 제한된다. 즉, 잠금축(93)의 회전이 제한되어 배전반 유닛(2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시험 모드와 운전 모드 사이에서는 전원 공급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감전 사고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시험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버(91)를 시험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전환시켜, 배전반 유닛(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제2 탄성바 조작 버튼(도 8의 61b)을 누른 상태에서 배전반 유닛(20)을 앞쪽으로 잡아 당기면, 배전반 유닛(20)은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탄성바 조작 버튼(도 8의 61b)을 누르면 제2 탄성바(55)는 제2 로킹홀(47)에서 빠져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이 가이드 레일판(40)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 탄성바(53) 또한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탄성바(53,55)가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판(40)에서 배전반 유닛(20)을 완전히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드 표시바(72)를 통하여 시험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구동 모드가 전환되었음을 표시한다. 시험 모드인 경우,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이동부(74)가 경사대(49)의 경사면(49a) 위에 있기 때문에,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표시판(78a)은 시험 모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시험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하면, 이동부(74)가 경사면(49a)에서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판(78a)은 오프 모드를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오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제1 및 제2 탄성바(53,55)가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에 상에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배전반 유닛(20)을 뒤쪽으로 밀면, 배전반 유닛(20)은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뒤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탄성바(53,55)가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에 상에 있기 때문에, 배전반 유닛(20)은 가이드 레일판(40)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전반 유닛(20)을 뒤쪽으로 밀면, 제2 탄성바(55)는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이동한 후, 제2 로킹홀(47)에 위치하게 되면, 제2 스프링(77b)에 의해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제2 로킹홀(47)에 삽입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은 더 이상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뒤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모드 전환 장치(90)의 레버(91)를 오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전환시킨다.
또한 도 4,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드 표시바(72)를 통하여 오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구동 모드가 전환되었음을 표시한다. 오프 모드인 경우,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이동부(74)가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위에 있기 때문에,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표시판(78a)은 오프 모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오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하면, 이동부(74)가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에서 경사면(49a)으로 이동하여 표시판(78a)은 시험 모드를 표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장치(90)에 대해서 도 1, 도 2, 도 10 및 도 19 를 참조하여 좀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9는 모드 전환 장치(9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모드 전환 장치(90)는 잠금축(93), 잠금 모듈(80) 및 레버(91)를 포함한다. 잠금축(93)은 배전반 유닛(20)의 유닛 구동 모듈(23)에서 배전반 유닛(20)의 도어(25)쪽으로 돌출되며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잠금 모듈(80)은 도어(25) 안쪽의 배전반 유닛(20)에 고정 설치되며, 잠금축(93)이 관통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레버(91)는 도어(25)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잠금축(93)이 결합되어 잠금축(93)을 회전시켜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전환시킨다.
레버(91)는 작업자가 현재의 구동 모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레버(91)의 위치에 따른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 레버(91)의 회전 방향으로 운전 모드, 시험 모드 및 오프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잠금 모듈(80)은 회전판(81), 키축(87) 및 키(89)를 포함한다.
회전판(81)은 잠금축(9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잠금축(93)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둘레의 일측에 결합부재가 연결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키축(87)은 회전판(81)의 둘레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키축(87)의 양단에는 결합부재가 연결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키(89)는 키축(87)의 일단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재를 통하여 키축(87)의 통공과 연결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결합부재로는 연결핀이 이용될 수 있다.
잠금 모듈(80)은 별도의 키 가이드(84)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키 가이드(84)는 키가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키 홈(84a)을 포함한다. 또한 탄성바 구동 모듈(5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탄성바 구동 모듈의 결합홈(8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판(81)은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잠금축(93)과 키(89)가 위치한 위치에 대응되게 잠금 모듈(80)을 위치시킬 수 있다. 키(89)가 위치하는 수평면에 잠금축(93)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 모듈(80)은 잠금축(93)과 연결되어 키(89)가 위치하는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키(89)는 키축(87)의 일단부에 고정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키축(87)의 이동에 따라 키(89)는 연결대(75)의 키홀(79)에 이탈하거나 삽입되어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
배전반 유닉(20)의 크기에 따라, 잠금 모듈(80)의 크기도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별도의 키축(87)을 제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또한, 키축(87)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고려해 볼 수도 있으나, 그 제작 비용의 상승에 비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잠금 모듈(80)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은 비용적인 면에서 이롭지 못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장치(90)로 모드를 전환할 때 잠금 모듈(80)과 위치 안내 장치(30) 간의 작동 관계를,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험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변환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심험 모드 및 운전 모드에서 잠금모듈(80)이 배전반 유닛(20)에 잠겨있는 경우에는, 잠금 모듈(80)의 키(89)는 연결대(75)의 키홀(79)에서 삽입된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배전반 유닛(20)은 외력에 의해 움직이지 못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시험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레버(91)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키(89)는 키홀(79)에서 빠져나오며, 작업자가 탄성바 조작 버튼(61)를 누르면 탄성바(51)는 위로 올라가게 되어 배전반 유닛(20)은 자유롭게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배전반 유닛(20)을 운전 모드 위치로 변경할 수 있고, 모드 전환 장치(90)의 레버(도 9의 9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 모듈(80)의 키(89)가 연결대(75)의 키홀(79)에 삽입되어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잠근다. 즉 레버(91)를 회전시켜 레버(91)에 연결된 잠금축(9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잠금축(93)에 결합된 회전판(8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키축(87)에 연결된 키(89)가 연결대(75)의 키홀(79)에 삽입된다. 레버(91)의 회전으로 운전 모드에서 잠금 모듈(80)과 위치 안내 장치(30)가 서로 결속하게 되며, 이때 배전반 유닛(20)에 전원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운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은 레버(91)를 회전시킴으로써 가능하며, 이때 키(89)는 연결대(75)의 키홀(79)에서 빠지게 된다. 모드 전환 장치(90)의 잠금 모듈(80)의 구동은 전술된 운전 모드로의 전환과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배전반 프레임 11 : 설치 공간
20 : 배전반 유닛 21 : 유닛 케이스
21a, 21b : 삽입홀 23 : 유닛 구동 모듈
25 : 도어 29 : 롤러
30 : 위치 안내 장치 40 : 가이드 레일판
41 : 베이스판 43 : 가이드 레일
45 : 로킹홀 46 : 제1 로킹홀
47 : 제2 로킹홀
49 : 경사대
49a : 경사부 49b : 수평면
49c : 유도홈 49d, 49e : 삽입홈
50 : 탄성바 구동 모듈 51 : 탄성바
53 : 제1 탄성바 55 : 제2 탄성바
61 : 탄성바 조작 버튼 63 : 버튼 케이스
65 : 표시창 67 : 온/오프 키
70 : 탄성바 구동부 71 : 케이스
73 : 기어 75 : 연결대
77 : 스프링 79 : 키홀
75a : 이동바 75b : 누름바
72 : 구동 모드 표시바
74 : 이동부
76 : 연결부 78 : 표시부
78a : 표시판
72a : 차단바 74a : 돌기
74b : 이동부 76a : 연결부
78c : 차단부 78d : 슬롯
80 : 잠금 모듈 79a : 조정판
79b : 제1 조정판 79c : 제2 조정판
79d : 간격링
81 : 회전판 87 : 키축
89 : 키
84 : 키 가이드 84a : 키 홈
90 : 모드 전환 장치 91 : 레버
93 : 잠금축 100 : 배전반

Claims (12)

  1. 배전반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유닛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에 대응되게 로킹홀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판;
    상기 배전반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배전반 유닛의 하부로 돌출되는 탄성바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상기 배전반 유닛이 이동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탄성바가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로킹홀에 삽입되어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을 막는 탄성바 구동 모듈;
    을 포함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의 슬롯을 통하여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의 일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바; 및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돌기의 이격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조정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은,
    상기 탄성바가 설치된 영역을 덮도록 상기 배전반 유닛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바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기어;
    상기 복수의 기어와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을 각각 연결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연결대; 및
    상기 복수의 연결대와 상기 케이스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동한 상기 연결대를 원래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판은 굴곡부 및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의 기어날에 의해 형성된 홈에 상기 조정판의 수직부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정판이 회전하도록하고,
    상기 조정판에 상기 돌기가 접촉하여 상기 조정판의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돌기의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차단바가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과 연결되는 일단부에 잠금 모듈의 키가 삽입되는 키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은,
    상기 배전반 유닛의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을 보호하는 버튼 케이스; 및
    상기 버튼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을 온/오프하는 온/오프 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경사대; 및
    일단부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경사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에 설치된 표시창으로 노출되는 타단부를 통하여 상기 배전반의 구동 모드를 표시하는 구동 모드 표시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대는,
    상기 경사대의 일단에 형성된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경사대의 타단부와 연장 형성된 수평면;
    상기 구동 모드 표시바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유도홈; 및
    상기 차단바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의 탄성바는,
    상기 구동 모드 중 운전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 탄성바;
    상기 제1 탄성바 보다는 뒤쪽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드 중 시험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2 탄성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바 및 제2 탄성바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탄성바 및 제2 탄성바는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 중 운전 모드에서는, 상기 제1 탄성바가 상기 로킹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바는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 모드 중 시험 모드에서는, 상기 제2 탄성바가 상기 로킹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탄성바는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은 제1 스위치; 및 제2스위치;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탄성바가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면, 상기 제1 탄성바의 상단부가 제1 스위치를 닫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탄성바가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면, 상기 제2 탄성바의 상단부가 제2 스위치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12. 배전반 프레임;
    상기 배전반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전반 유닛;
    상기 배전반 프레임 및 상기 배전반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를 안내하는 위치 안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안내 장치는,
    상기 배전반 유닛 하부의 상기 배전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 유닛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에 대응되게 로킹홀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판;
    상기 배전반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배전반 유닛의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탄성바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상기 배전반 유닛이 이동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탄성바가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로킹홀에 삽입되어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을 막는 탄성바 구동 모듈;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의 슬롯을 통하여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의 일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바; 및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돌기의 이격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조정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장치를 갖는 배전반.
KR1020120116815A 2012-10-19 2012-10-19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KR101352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815A KR101352593B1 (ko) 2012-10-19 2012-10-19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815A KR101352593B1 (ko) 2012-10-19 2012-10-19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593B1 true KR101352593B1 (ko) 2014-01-17

Family

ID=5014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815A KR101352593B1 (ko) 2012-10-19 2012-10-19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5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541A (ko) * 2014-03-28 2016-12-26 멜퀴세덱 프랜시스퀴니 인출 가능한 mcc 드로어에 배치된 전기 커넥터의 로킹 및 동작을 위한 안전 장치
KR101786430B1 (ko) 2017-07-13 2017-10-17 이완재 무소음 및 무진동의 기능을 갖는 열반형 배전반의 위치안내장치
KR20200120147A (ko) * 2019-04-11 2020-10-21 엘에스일렉트릭(주)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KR102264775B1 (ko) * 2020-09-09 2021-06-15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전동기 제어반의 인터록 장치
KR20210115333A (ko) * 2020-03-12 2021-09-27 국인호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구비하는 mcc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309A (ja) 1998-07-22 2000-02-08 Toshiba Fa Syst Eng Corp 配電盤のユニット引出し装置
KR100954559B1 (ko) 2008-08-08 2010-04-22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동작표시형 배전반
KR101184922B1 (ko) 2011-05-09 2012-09-20 김진웅 도어의 잠금 모듈, 그를 갖는 모드 전환 장치 및 배전반
KR101194385B1 (ko) 2012-06-13 2012-10-24 (주)서전기전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309A (ja) 1998-07-22 2000-02-08 Toshiba Fa Syst Eng Corp 配電盤のユニット引出し装置
KR100954559B1 (ko) 2008-08-08 2010-04-22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동작표시형 배전반
KR101184922B1 (ko) 2011-05-09 2012-09-20 김진웅 도어의 잠금 모듈, 그를 갖는 모드 전환 장치 및 배전반
KR101194385B1 (ko) 2012-06-13 2012-10-24 (주)서전기전 위치표시부 레버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541A (ko) * 2014-03-28 2016-12-26 멜퀴세덱 프랜시스퀴니 인출 가능한 mcc 드로어에 배치된 전기 커넥터의 로킹 및 동작을 위한 안전 장치
KR102456785B1 (ko) 2014-03-28 2022-10-21 멜퀴세덱 프랜시스퀴니 인출 가능한 mcc 드로어에 배치된 전기 커넥터의 로킹 및 동작을 위한 안전 장치
KR101786430B1 (ko) 2017-07-13 2017-10-17 이완재 무소음 및 무진동의 기능을 갖는 열반형 배전반의 위치안내장치
KR20200120147A (ko) * 2019-04-11 2020-10-21 엘에스일렉트릭(주)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KR102208664B1 (ko) 2019-04-11 2021-01-28 엘에스일렉트릭(주)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US11715939B2 (en) 2019-04-11 2023-08-01 Ls Electric Co., Ltd. Distributing board having position lock device
KR20210115333A (ko) * 2020-03-12 2021-09-27 국인호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구비하는 mcc
KR102357414B1 (ko) * 2020-03-12 2022-02-04 국인호 수납 유니트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구비하는 mcc
KR102264775B1 (ko) * 2020-09-09 2021-06-15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전동기 제어반의 인터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593B1 (ko)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US10541092B2 (en) Bucket assemblies for motor control centers (MCC) with disconnect assemblies and related MCC cabinets and methods
EP2230734B1 (en) Electric switchgear
KR100576952B1 (ko) 전기 기구 모듈용 로킹 장치를 구비한 저전압 스위치 기어
US78472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a position of an electrical distribution device
US20100230256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withdrawing or inserting of carriage in circuit breaker
KR101492556B1 (ko)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EP2405545B1 (en) Shutter device and switchgear apparatus using such shutter device
EP3103129A1 (en) Disconnect operating handles suitable for circuit breakers and related bucket assemblies and handle interlocks
EP2149948B1 (en) Draw-out mechanism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ZA201001312B (en) Electric switchgear
RU2467424C2 (ru) Блок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ключателей, комплект деталей, включаю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многополюс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KR101403513B1 (ko) 도어의 잠금 모듈, 그를 갖는 모드 전환 장치 및 배전반
EP2684265B1 (en) Flexible cover for contacts of a plug-in or withdrawable unit
CN107978493B (zh) 包括旋转手柄的断路器
KR101184922B1 (ko) 도어의 잠금 모듈, 그를 갖는 모드 전환 장치 및 배전반
DK2843781T3 (en) Door locking means for an electrical switchboard
KR101403514B1 (ko) 도어의 잠금 모듈, 그를 갖는 모드 전환 장치 및 배전반
KR101218278B1 (ko)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US9455505B2 (en) Connection device, in particular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spring-type terminal and a drive for actuating the spring-type terminal
KR101604280B1 (ko) 배전반
KR102517740B1 (ko) 배전반의 도어 잠금 장치
KR102208664B1 (ko)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KR101387367B1 (ko)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KR101479530B1 (ko) 공동주택 진공차단기의 패드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