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227B1 - Anode off-gas recirculation system for solid oxide fuel cell - Google Patents

Anode off-gas recirculation system for solid oxide fuel c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227B1
KR101352227B1 KR1020110143880A KR20110143880A KR101352227B1 KR 101352227 B1 KR101352227 B1 KR 101352227B1 KR 1020110143880 A KR1020110143880 A KR 1020110143880A KR 20110143880 A KR20110143880 A KR 20110143880A KR 101352227 B1 KR101352227 B1 KR 101352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gas
exhaust gas
fuel
anod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5493A (en
Inventor
박상현
조승환
김현정
황정태
최영재
김성완
Original Assignee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3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227B1/en
Publication of KR2013007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4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2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은, 연료극과 공기극을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및 연료극으로부터 배기되는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코안다 효과에 의해 끌어당겨 연료극으로 공급될 연료가스로 토출하는 코안다 송풍기를 포함한다. The anod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 solid oxide fuel cell includes a fuel cell stack having a fuel electrode and an air electrod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node exhaust gas exhausted from the fuel electrode is drawn by a Coanda effect and discharged to a fuel gas to be supplied to the fuel electrode. It includes a blower.

Description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 {ANODE OFF-GAS RECIRCULATION SYSTEM FOR SOLID OXIDE FUEL CELL}Fuel cell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solid oxide fuel cell {ANODE OFF-GAS RECIRCULATION SYSTEM FOR SOLID OXIDE FUEL CELL}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재순환 시스템의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od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 solid oxide fuel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od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 solid oxide fuel cell that improves reliability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and does not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recycling system.

연료전지는 탄화수소 연료에 저장된 화학 에너지를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장치이다. 즉, 연료전지는 연료극에서의 수소 산화반응과 공기극에서의 산소 환원반응에 의해 화학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반응을 위해서는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극에 연료(수소)를 공급하여야 하고, 연료전지 스택의 공기극에 공기(산소)를 공급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반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은 크게 연료전지 스택, MBOP(Mechanical Balance of Plant), EBOP(Electrical Balance of Plant)로 구성된다. 연료전지 스택은 전기화학반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구성이고, MBOP는 연료전지 스택으로 수소와 산소를 공급하는 구성이며, EBOP는 연료전지 스택으로터의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변환하여 필요한 곳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다.Fuel cells are devices that directly convert chemical energy stored in hydrocarbon fuels into electrical energy by electrochemical reactions. That is, a fuel cell is a device that converts chemical energy directly into electrical energy by hydrogen oxidation reaction in the anode and oxygen reduction reaction in the cathode. For this reaction, fuel (hydrogen) must be supplied to the anode of the fuel cell stack, and air (oxygen) must be supplied to the cathode of the fuel cell stack. Fuel cell systems that produce electricity through these reactions are composed of fuel cell stack, MBOP (Mechanical Balance of Plant) and EBOP (Electrical Balance of Plant). The fuel cell stack produces electricity by electrochemical reaction, the MBOP supplies hydrogen and oxygen to the fuel cell stack, and the EBOP converts direct current electricity from the fuel cell stack into alternating current electricity and supplies it to the required place. It is a constitution.

한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와 같은 고온형 연료전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한 방법들 중 최근에는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극으로부터 배기되는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재순환시켜 연료로 재사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가습 열교환기(20)를 거친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재순환시켜 연료로 재사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재순환을 위해 종래에는 일반적인 송풍기(50, blower)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연료 재순환 송풍기(anode recycle blower)를 사용하면,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이 10% 정도 개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 fuel cell system including a high temperature fuel cell such as a solid oxide fuel cell, various methods have been tri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Recently, a method of recyc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node exhaust gas exhausted from the anode of the fuel cell stack and reusing it as fuel has been attempted. That is, as shown in FIG. 5, a method of recycling at least a part of the anode exhaust gas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20 to reuse it as a fuel has been attempted. Conventional blowers 50 have been used for this recirculation. Using an anode recycle blower as described above, it is known that the efficiency of the fuel cell system is improved by about 10%.

그러나 종래의 연료 재순환 송풍기는 신뢰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기생부하가 높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하면, 연료 재순환 송풍기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작동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송풍기는 팬의 회전을 위해 모터와 같은 기계적 구동부를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고, 이러한 기계적 구동부는 습기에 의해 부식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송풍기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종래의 송풍기는 그 수명이 길지 않아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송풍기는 전술한 것과 같이 팬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와 같은 부하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송풍기는 기생부하가 커서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fuel recirculation blower is not only low reliability, but also has a high parasitic load. Specifically, the fuel recycle blower must operate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However, the conventional blower must be provided with a mechanical drive such as a motor for the rotation of the fan, and since such a mechanical drive can be corroded by moisture, the conventional blower is very vulnerable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blower has a problem that its life is not long and reliability is low. In addition, a conventional blower must use a load such as a motor to rotate the fa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blower has a problem that the parasitic load is large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fuel cell system is limited.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재순환 시스템의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od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 solid oxide fuel cell while improving the reliability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while not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recycling system. will be.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은, 연료극과 공기극을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및 연료극으로부터 배기되는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코안다 효과에 의해 끌어당겨 연료극으로 공급될 연료가스로 토출하는 코안다 송풍기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od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 solid oxide fuel cell, the fuel cell stack having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node exhaust gas exhausted from the anode And a Coanda blower that is drawn by the Coanda effect and discharges the fuel gas to be supplied to the anode.

여기서 상기 코안다 송풍기는, 상기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배기가스 유입구,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로 유입된 연료극 배기가스가 유출되는 배기가스 유출구, 상기 연료극으로 공급될 연료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연료가스 유입구, 및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로 유입된 연료가스가 상기 배기가스 유출구를 향해 유출되는 연료가스 유출구를 가지는 송풍기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 몸체는 상기 연료가스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연료가스가 코안다 효과에 의해 내면을 따라 상기 배기가스 유출구를 향해 흐르도록 유선형의 내면을 가질 수 있다.The Koanda blower may include an exhaust gas inlet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anode exhaust gas flows in, an exhaust gas outlet through which the anode exhaust gas introduced into the exhaust gas inlet flows ou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uel gas to be supplied to the anode It may include a blower body having a fuel gas inlet, and a fuel gas outlet through which the fuel gas introduced into the fuel gas inlet flows toward the exhaust gas outlet. The blower body may have a streamlined inner surface such that fuel gas flowing out from the fuel gas outlet flows toward the exhaust gas outlet along an inner surface by a Coanda effect.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은 연료극 배기가스의 재순환을 위해 모터와 같은 기계적 구동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부식 등이 염려가 없어 그 신뢰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생부하가 거의 없어 재순환 시스템의 효율도 낮추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anod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 solid oxide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mechanical driving unit such as a motor for recycling the anode exhaust gas, it is not only concerned about corrosion even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and its reliability is high. There is little parasitic load, which does not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recircul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
도 2 내지 도 4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유체를 강제로 끌어당기는 현상을 설명하고 있는 도면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nod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henomenon in which fluid is forcibly attracted by the Coanda effect.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el electrod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same number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may be described by quoting contents described in other drawings under these rules. And it can be omitted that it is determined or repeat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천연가스(natural gas)와 같은 연료가스는 일차적으로 탈황기(110)에서 탈황된다. 연료가스 중의 황은 개질기(130)의 개질 촉매에 영향을 미쳐 개질기(130)의 성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연료가스 중의 황은 제거될 필요가 있다. 그런 다음 연료가스는 가습 열교환기(120)를 거치면서 가습(加濕)된다. 개질기(130)에서 일어나는 개질반응은 물을 필요로 하는 반응이다. 그러나 액상의 물은 개질 촉매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연료가스에는 기상의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nod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fuel gas such as natural gas is primarily desulfurized in the desulfurizer 110. Sulfur in the fuel gas needs to be removed because the sulfur in the fuel gas affects the reforming catalyst of the reformer 130 and lowers the performance of the reformer 130. Then, the fuel gas is 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20). The reforming reaction that occurs in reformer 130 is a reaction requiring water. However, it is necessary to supply gaseous water to the fuel gas because liquid water may damage the reforming catalyst.

이를 위해 액상의 물을 고온의 연료극 배기가스와 열교환을 시켜 기화시키는 가습 열교환기(120)가 사용된다. 이러한 가습 열교환기(120)를 통해 가습된 연료가스는 전개질기(130)를 거치면서 수소로 개질된다. 이러한 수소는 연료전지 스택(140)의 연료극으로 공급되어 산화반응을 거친 다음 연료극 배기가스로서 연료극으로부터 배기된다. 이렇게 배기된 연료극 배기가스는 전술한 가습 열교환기(120)를 거치면서 연료가스를 가열하고 액상의 물을 기화시킨다. To this end, a humidifying heat exchanger 120 for evaporating liquid water by exchanging heat with hot anode exhaust gas is used. The fuel gas humidifi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20 is reformed into hydrogen while passing through the developing unit 130. This hydrogen is supplied to the anode of the fuel cell stack 140, undergoes an oxidation reaction, and is then exhausted from the anode as anode exhaust gas. The anode exhaust gas thus exhausted heats the fuel gas while passing through the above-described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20 and vaporizes liquid water.

이러한 과정 중에 가습 열교환기(120)를 거친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연료가스와 혼합되어 다시 연료전지 스택(140)의 연료극으로 공급된다. 즉, 가습 열교환기(120)를 거친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는 가습 열교환기(120)로 공급될 연료가스와 혼합된 다음, 가습 열교환기(120)와 전개질기(130)를 거쳐 연료전지 스택(140)의 연료극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연료극 배기가스를 재순환시켜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재순환 시스템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이다. During this process, at least a part of the anode exhaust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20 is mixed with the fuel gas as shown in FIG. 1 and supplied to the anode of the fuel cell stack 140.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anode exhaust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20 is mixed with the fuel gas to be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20, and then the fuel cell stack is pass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20 and the developing unit 130. It is supplied to the anode of 140.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fuel cell system by recycling the anode exhaust gas. For reference, the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uel cell system using a solid oxide fuel cell.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재순환 시스템은 위와 같이 연료극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기 위해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이용하는 코안다 송풍기(150)를 사용한다. 코안다 효과에 대해 보다 상술하면, 코안다 효과라 함은 흐르는 유체에 휘어진 물체를 갖다 놓으면 유체도 휘어진 물체를 따라 휘면서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유체는 자기의 에너지가 가장 덜 소비되는 쪽으로 흐르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면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를 강제로 끌어당겨 연료가스로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recirc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Coanda blower 150 using the Coanda effect to recycle the anode exhaust gas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anda effect, the coanda effect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 fluid flows along a curved object when a curved object is placed on a flowing fluid. This happens because fluids tend to flow towards the side where their energy is least consumed. By using this Coanda effect, it is possible to forcibly draw at least a part of the anode exhaust gas and to discharge it as fuel gas.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술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유체를 강제로 끌어당기는 현상을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3(도 2의 고리부의 단면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고리부(210)의 내면이 비행기 날개의 외면과 유사하게 완만한 곡면(즉, 유선형)으로 형성되면, 유입구(212)를 통해 흡입되어 고리부(210)의 유출구(2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전술한 코안다 효과에 의해 고리부(210)의 내면(표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가 고리부(210)의 내면을 따라 흐르면(도 3의 화살표 참조), 상대적으로 고리부(210)의 중심 쪽은 그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압력의 하강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결과적으로 고리부(210) 후방(도 4를 기준으로 오른쪽)의 공기를 고리부(210) 전방(도 4를 기준으로 왼쪽)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면, 종래의 송풍기와 같이 팬의 회전으로 후방의 공기를 끌어당기는 것과는 다르게 팬의 회전 없이도 후방의 공기를 끌어당겨 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2 to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henomenon in which a fluid is forcibly attracted by the Coanda effect. If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210 is formed with a smooth curved surface (ie, streamlined) simila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irplane wing, as shown in FIG. 3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ng portion of FIG. 2), suction through the inlet 212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14 of the ring portion 210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surface) of the ring portion 210 by the aforementioned Coanda effect. As such, when air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210 (see arrows in FIG. 3), the pressur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ring portion 210 is relatively lowered. This drop in pressure results in the pulling of air behind the collar 210 (right side with respect to FIG. 4) to the front of the collar portion 210 (left with respect to FIG. 4) as a result. Play a role. By using the Coanda effect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conventional fan, the rear air can be pulled out by the rotation of the fan and the rear air can be pulled out without the rotation of the fan.

본 실시예에 따른 재순환 시스템은 이와 같은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연료극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코안다 송풍기(150)를 구성한 점에 중요한 특징이 있다. 보다 상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안다 송풍기(150)는,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배기가스 유입구(미도시, 도 4의 고리부의 후방 개구 참조), 배기가스 유입구로 유입된 연료극 배기가스가 유출되는 배기가스 유출구(미도시, 도 4의 고리부의 전방 개구 참조), 연료극으로 공급될 연료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연료가스 유입구(미도시, 도 2의 유입구 참조), 및 연료가스 유입구로 유입된 연료가스가 배기가스 유출구를 향해 유출되는 연료가스 유출구(미도시, 도 2의 유출구 참조)를 가지는 송풍기 몸체(미도시)를 포함한다.The recirc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important feature in that the coanda blower 150 which recycles the anode exhaust gas using the coanda effect is configured. More specifically, the Koanda blow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xhaust gas inlet (not shown, see the rear opening of the annular portion of FIG. 4)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anode exhaust gas flows, and an anode introduced into the exhaust gas inlet. An exhaust gas outlet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flows (not shown, see the front opening of the annular portion of FIG. 4), a fuel gas inlet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uel gas to be supplied to the anode is introduced (not shown, see the inlet of FIG. 2), and fuel And a blower body (not shown) having a fuel gas outlet (not shown, see the outlet of FIG. 2) through which the fuel gas flowing into the gas inlet flows out toward the exhaust gas outlet.

배기가스 유입구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가습 열교환기(120)와 버너(160) 사이의 도관에 연결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재순환 시스템은 가습 열교환기(120)를 거친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재순환시킨다. 그리고 배기가스 유출구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탈황기(110)와 가습 열교환기(120) 사이의 도관에 연결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재순환 시스템은 가습 열교환기(120)로 공급될 연료가스에 연료극 배기가스를 혼합시킨다. 또한 연료가스 유입구는 연료가스가 흐르는 도관에 연결되어 연료가스를 송풍기 몸체로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유입된 연료가스는 연료가스 유출구를 통해 배기가스 유출구를 향해 토출된다.The exhaust inlet is connected to the conduit between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20 and the burner 160 as shown in FIG. 1. That is, the recirc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ycles at least a part of the anode exhaust gas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20. And the exhaust gas outlet is connected to the conduit between the desulfurizer 110 and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2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recirc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ixes the anode exhaust gas with the fuel gas to be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20. In addition, the fuel gas inlet is connected to the conduit through which the fuel gas flows to inject the fuel gas into the blower body. The fuel gas introduced in this way is discharged toward the exhaust gas outlet through the fuel gas outlet.

이때 코안다 송풍기(150)의 송풍기 몸체는 연료가스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연료가스가 코안다 효과에 의해 내면을 따라 배기가스 유출구를 향해 흐르도록 유선형의 내면(도 3 참조)을 가진다. 송풍기 몸체의 내면이 이와 같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면, 연료가스 유출구로부터 유출된 연료가스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송풍기 몸체의 내면을 따라 흐르면서 송풍기 몸체의 내측(즉, 중심 쪽) 압력을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연료가스가 송풍기 몸체의 내면을 따라 배기가스 유출구를 향해 흐르면서 송풍기 몸체의 중심 쪽의 압력을 떨어뜨리면, 연료가스 흐름의 반대 방향 쪽(즉, 배기가스 유입구 쪽)의 유체는 연료가스 흐름의 방향 쪽(배기가스 유출구 쪽)으로 끌어당겨진다. 이에 따라 가습 열교환기(120)와 버너(160) 사이의 도관 내의 연료극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유입구를 통해 송풍기 몸체의 내부로 끌어당겨져 배기가스 유출구를 통해 탈황기(110)와 가습 열교환기(120) 사이의 도관으로 토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lower body of the coanda blower 150 has a streamlined inner surface (see FIG. 3) so that the fuel gas flowing out from the fuel gas outlet flows toward the exhaust gas outlet along the inner surface by the Coanda effect. When the inner surface of the blower body is formed as such a smooth curved surface, the fuel gas flowing out from the fuel gas outlet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lower body by the Coanda effect and lowers the pressure inside the blower body (ie, the center side). In this way, when the fuel gas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lower body toward the exhaust gas outlet and reduces the pressure at the center side of the blower body, the flui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uel gas flow (ie, the exhaust gas inlet side) becomes To the direction (exhaust gas outlet). Accordingly, the anode exhaust gas in the conduit between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20 and the burner 160 is drawn into the blower body through the exhaust gas inlet, and the desulfurizer 110 and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20 through the exhaust gas outlet. Can be discharged into conduits between.

이와 같이 연료가스의 공급을 위해 연료가스로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연료가스를 송풍기 몸체의 연료가스 유입구로 주입하면, 코안다 효과(다만, 송풍기 몸체의 내면이 전술한 것과 같이 코안다 효과를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에 의해 연료가스가 송풍기 몸체의 내면을 따라 흐르면서 배기가스 유입구 쪽의 연료극 배기가스를 배기가스 유출구 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코안다 송풍기(150)를 통해 연료극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재순환 시스템은 모터와 같은 기계적 구동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의 결과로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부식 등이 염려가 없어 그 신뢰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생부하가 거의 없어 재순환 시스템의 효율도 낮추지 않는다는 장점(결과적으로 기존의 송풍기를 사용할 때보다 3~4% 정도의 효율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이 있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예에서는 모터를 이용하여 공기를 유입구(212)로 흡입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안다 송풍기에서는 연료가스의 공급을 위해 연료가스로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연료가스를 연료가스 유입구로 주입한다. In this way, when the fuel gas is injected into the fuel gas inlet of the blower body by u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uel gas to supply the fuel gas, the coanda effect may be caused (but the inner surface of the blower body may cause the coanda effect as described above). Fuel gas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lower body and draws the anode exhaust gas at the exhaust gas inlet toward the exhaust gas outlet. The anod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recycle the anode exhaust gas through the Coanda blower 150 using this principle. Accordingly, the recirc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require a mechanical driving part such as a motor, and as a result, there is no fear of corrosion, even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resulting in high reliability and almost no parasitic load.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not lowering efficiency (as a result,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3-4% compared to using a conventional blower). For reference,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S. 2 to 4, the air is sucked into the inlet 212 by using a motor, but in the Koanda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uel gas is supplied to supply the fuel gas. Fuel gas into the fuel gas inlet.

그런데 연료가스가 연료가스 유출구로부터 빠르게 유출되면 유출될수록 압력 하강이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배기가스 유입구로부터 끌어당겨지는 연료극 배기가스의 양도 많아진다. 이러한 효과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가스 유출구가 연료가스 유입구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연료가스 유입구로 유입된 연료가스가 연료가스 유출구로 유출되면서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가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가스 유출구가 연료가스 유입구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 연료가스에 가해지는 압력이 크지 않다고 하더라도 연료가스 유출구로 유출되는 연료가스는 필요한 정도의 연료극 배기가스를 송풍기 몸체로 끌어들일 수 있을 정도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However, when the fuel gas quickly flows out of the fuel gas outlet, the pressure decreases as the outflow increases, so the amount of anode exhaust gas drawn from the exhaust gas inlet increases. For this effect, the fuel gas outlet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uel gas inlet in this embodiment. In this configuration, the fuel gas introduced into the fuel gas inlet may be accelerated according to Bernoulli's principle while the fuel gas flows into the fuel gas outlet. If the fuel gas outlet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uel gas inlet, even i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uel gas is not large, the fuel gas flowing out to the fuel gas outlet can draw the required amount of anode exhaust gas into the blower body. Can have spe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은 전술한 연료가스 유입구로 유입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연료가스 조절기(도 1의 'A'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기를 더 포함하면, 코안다 송풍기(150)로 유입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재순환되는 연료극 배기가스의 양(코안다 송풍기로 유입되는 연료가스의 양이 증가하면 끌어당겨지는 연료극 배기가스의 양도 증가할 것이다)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은 전술한 코안다 송풍기(150)에 더해서 종래의 연료 재순환 송풍기, 즉 팬을 이용하여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를 끌어당기는 팬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코안다 송풍기(150)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코안다 송풍기(150)와 종래의 연료 재순환 송풍기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od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uel gas regulator (see 'A' of FIG. 1) for adjusting the amount of fuel gas introduced into the fuel gas inlet. If the regulator is further included, the amount of fuel gas that is recycl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fuel gas flowing into the Coanda blower 150 (the anode exhaust gas attracted when the amount of fuel gas flowing into the Coanda blower increases). Will also increase). The anod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ventional fuel recycle blower, that is, a fan blower that draws at least a portion of the anode exhaust gas using a fan,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Koanda blower 150. . In this case, only the Coanda blower 150 may be selectively used, or the Coanda blower 150 may be used in parallel with the conventional fuel recycling blow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탈황기 120: 가습 열교환기
130: 전개질기 140: 연료전지 스택
150: 코안다 송풍기 160: 버너
210: 고리부 212: 유입구
214: 유출구
110: desulfurizer 120: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130: deploying machine 140: fuel cell stack
150: Koanda blower 160: burner
210: ring portion 212: inlet
214: outlet

Claims (7)

연료극과 공기극을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및
상기 연료극으로부터 배기되는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끌어당겨 상기 연료극으로 공급될 연료가스로 토출하는 코안다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코안다 송풍기는 상기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배기가스 유입구,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로 유입된 연료극 배기가스가 유출되는 배기가스 유출구, 상기 연료극으로 공급될 연료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연료가스 유입구, 및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로 유입된 연료가스가 상기 배기가스 유출구를 향해 유출되는 연료가스 유출구를 가지는 송풍기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 몸체는 상기 연료가스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연료가스가 코안다 효과에 의해 내면을 따라 상기 배기가스 유출구를 향해 흐르도록 유선형의 내면을 가지며,
상기 연료가스 유출구로부터 유출된 연료가스는 상기 송풍기 몸체의 내면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송풍기 몸체의 내측 압력을 하강시켜 상기 연료극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로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
A fuel cell stack having a fuel electrode and an air electrode; And
And a coanda blower that draws at least a portion of the anode exhaust gas exhausted from the anode by a Coanda effect and discharges the fuel gas to be supplied to the anode,
The Koanda blower includes an exhaust gas inlet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anode exhaust gas flows in, an exhaust gas outlet through which the anode exhaust gas introduced into the exhaust gas inlet flows out, and a fuel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uel gas to be supplied to the anode flows in A blower body having a gas inlet and a fuel gas outlet through which fuel gas introduced into the fuel gas inlet flows out toward the exhaust gas outlet,
The blower body has a streamlined inner surface such that fuel gas flowing out from the fuel gas outlet flows toward the exhaust gas outlet along an inner surface by a Coanda effect.
Fuel gas discharged from the fuel gas outlet port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lower body to lowe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lower body to draw the anode exhaust gas to the exhaust gas inlet port. Recirculation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스 유출구는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로 유입된 연료가스는 상기 연료가스 유출구로 유출되면서 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uel gas outlet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uel gas inlet, and the fuel gas flowing into the fuel gas inlet is accelerated as it flows out of the fuel gas outl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극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발생시켜 상기 연료극으로 공급될 연료가스에 공급하는 가습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안다 송풍기는 상기 가습 열교환기를 거친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로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configured to generate water vapor using the anode exhaust gas and supply the fuel gas to the fuel gas to be supplied to the anode. The coanda blower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anod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as the exhaust gas inlet. An anod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 solid oxide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 pull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로 유입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연료가스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uel gas regulato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fuel gas flowing into the fuel gas inl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안다 송풍기와 함께 상기 연료극 배기가스 중의 적어도 일부를 팬의 회전에 의해 끌어당겨 상기 연료극으로 공급될 연료가스로 토출하는 팬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극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an blower that draws at least a portion of the anode exhaust gas by the rotation of the fan and discharges the fuel gas to the fuel gas to be supplied to the anode, together with the Koanda blower. .
KR1020110143880A 2011-12-27 2011-12-27 Anode off-gas recirculation system for solid oxide fuel cell KR1013522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880A KR101352227B1 (en) 2011-12-27 2011-12-27 Anode off-gas recirculation system for solid oxide fuel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880A KR101352227B1 (en) 2011-12-27 2011-12-27 Anode off-gas recirculation system for solid oxide fuel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493A KR20130075493A (en) 2013-07-05
KR101352227B1 true KR101352227B1 (en) 2014-01-16

Family

ID=4898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880A KR101352227B1 (en) 2011-12-27 2011-12-27 Anode off-gas recirculation system for solid oxide fuel c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2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437B1 (en) * 2022-06-03 2023-07-13 (주)에프씨아이 Hybrid system based on soe-sofc-cc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4937A (en) * 2020-06-30 2021-12-31 海宁亿脑智能科技有限公司 Humidifier
EP4145079A1 (en) * 2021-09-06 2023-03-08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Cool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oling at least one oil-to-air external heat exchang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9226A1 (en) * 2004-02-13 2007-11-08 Nucellsys Gmbh Fuel Cell System with Variable Coanda Amplifiers for Gas Recirculation and System Pressure Regulation
KR100836371B1 (en) * 2007-06-25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ydrogen recirculation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it for fuel cell vehicle
US20090142644A1 (en) * 2007-12-03 2009-06-04 Ford Motor Company Hydrogen recirculation system using integrated motor generator energy
KR20110100274A (en) * 2009-03-04 2011-09-09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A fa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9226A1 (en) * 2004-02-13 2007-11-08 Nucellsys Gmbh Fuel Cell System with Variable Coanda Amplifiers for Gas Recirculation and System Pressure Regulation
KR100836371B1 (en) * 2007-06-25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ydrogen recirculation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it for fuel cell vehicle
US20090142644A1 (en) * 2007-12-03 2009-06-04 Ford Motor Company Hydrogen recirculation system using integrated motor generator energy
KR20110100274A (en) * 2009-03-04 2011-09-09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A fa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437B1 (en) * 2022-06-03 2023-07-13 (주)에프씨아이 Hybrid system based on soe-sofc-ccs
WO2023234553A1 (en) * 2022-06-03 2023-12-07 (주)에프씨아이 Soe-sofc-ccs hybri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493A (en)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3912B2 (en) Method for stopping a fuel cell device having an anode exhaust recirculation loop
JP2007531969A (en) Fuel release management for fuel cell systems
JP2009176422A (en) Hydrogen recirculation supply device for fuel cell vehicle and its method
JP5354941B2 (en) Fuel cell system
JP2009224306A (en) Hydrogen exhaust device of fuel cell system
JP2007242280A (en) Fuel cell system
KR101352227B1 (en) Anode off-gas recirculation system for solid oxide fuel cell
EP3336945B1 (en) Fuel cell system
JP5112757B2 (en) Fuel cell system
JP4530176B2 (en) Fuel cell vehicle
JP5354943B2 (en) Fuel cell system
JP5354942B2 (en) Fuel cell system
KR101875632B1 (en) Device for decreasing hydrogen concentration of fuel cell system
KR20120026809A (en) Fuel cell system
CN110588381B (en) Fuel cell vehicle
JP2004158221A (en) Fuel cell system
JP2007280696A (en) Fuel cell system
JP2007242522A (en) Fuel cell system
JP2006331822A (en) Fuel cell system
JP7028742B2 (en) Fuel cell system
KR101113644B1 (en) Purging method for fuel cell system
JP2007018837A (en) Hydrogen gas dilution apparatus for fuel cell
JP5171103B2 (en) Fuel cell cogeneration system
EP1860717A2 (en) Fuel cell system having unreacted gas discharge pipeline
KR101282689B1 (en) Hydrogen off-gas exhau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 cel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