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606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606B1
KR101351606B1 KR1020130054406A KR20130054406A KR101351606B1 KR 101351606 B1 KR101351606 B1 KR 101351606B1 KR 1020130054406 A KR1020130054406 A KR 1020130054406A KR 20130054406 A KR20130054406 A KR 20130054406A KR 101351606 B1 KR101351606 B1 KR 101351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food waste
opening
unit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홍순
Original Assignee
문홍순
정도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홍순, 정도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홍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부에 대한 혐오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심미적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제1, 제2 발효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부와, 상기 제1 발효실과 제2 발효실의 음식물 쓰레기를 각각 제2 발효실과 본체 외부로 이송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하는 발효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발효실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게 된 호퍼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호퍼유닛은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개폐부재의 개방시 본체 내부를 노출시키지 않게 하여 시각적 혐오감을 감소시키고, 악취의 누출을 최소화하는 호퍼부재를 포함하는 투입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투입부는 상기 개폐부재와 호퍼부재가 자동으로 연동하여 구동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부에 대한 혐오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심미적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전에는 가정, 식당, 호텔, 시장 등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 및 이와 혼합된 협잡물 등의 처리방법은 매립지에 직접 매립하거나 또는 하수도로 흘려보내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방법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배출하거나 미생물을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한 뒤 하수구를 통해 흘려보낼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가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는 각 가정에서 별도의 구입비용을 들여 제푸을 구매해야 하므로 가정에서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있기 때문에 모든 가정에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 하였다.
또한 현재 아파트와 같은 대부분의 공동주택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별도의 수거통을 구비하고, 각 세대 주거민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통에 배출하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차량이 주기적으로 수거통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방법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수거용 차량의 수거용량에 한계가 있어 다수의 수거차량을 이용하거나 하나의 수거차량으로 반복 수거를 실시해야 하므로 불편하였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가 신속하게 진행되어 악취가 나는 등 수거통에 의해 공동 주택 내의 쾌적함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함수율을 낮추도록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되었으나,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열 건조방식을 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사용되는 전력량이 과다하여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발하였고, 한국특허공개 제10-2012-0002768호에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음식물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투입부를 통해 발효기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가 보이고, 발효기의 악취가 올라와 위생적이지 못하며 혐오감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이와 같은 문제를 헤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투입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음식물쓰레기의 투입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최소화하고,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혐호가을 줄일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제1, 제2 발효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부와, 상기 제1 발효실과 제2 발효실의 음식물 쓰레기를 각각 제2 발효실과 본체 외부로 이송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하는 발효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발효실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게 된 호퍼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호퍼유닛은 상기 제1 발효실과 연통되도록 상하로 개구된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소정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충진홈이 형성된 호퍼부재와, 상기 제2 바디의 상단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와 호퍼부재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되, 상기 개폐부재가 열림상태일 때 상기 충진홈이 상방을 향하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개폐부재가 닫힘상태일 때 상기 충진홈이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도록 상기 개폐부재와 호퍼부재를 연동시키는 호퍼구동부를 포함하는 투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호퍼유닛은 상기 투입부와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의 호퍼부재에서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파쇄부는 상기 제2 바디와 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바디와 본체의 제1 발효실이 연통되도록 상하로 개구된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시키도록 상호 인접하여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제2 파쇄스크류와,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 제2 파쇄스크류의 스크류축에 각각 형성되며 상호 맞물리는 제1, 제2 연결기어와, 상기 제1, 제2 파쇄스크류 중 어느 일측의 스크류축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축에 설치되는 제1 연결스프로킷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는 제2 연결스프로킷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부의 호퍼구동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개폐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개폐스위치와, 상기 제2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스위치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된 호퍼구동모터와, 상기 호퍼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2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동일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호퍼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제2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호퍼구동축에 설치되는 제1 회전스프로킷과,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2 바디에 설치되는 개폐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 회전스프로킷과, 상기 제1 회전스프로킷과 제2 회전스프로킷 및 호퍼구동스프로킷을 경유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호퍼구동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제1, 제2 회전스프로킷으로 전달하는 호퍼구동체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호퍼회전축을 지지하여 상기 호퍼부재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발효실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및 발효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유닛을 더 구비하되, 상기 탈취유닛은 상기 제1 발효실 및 제2 발효실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된 제1, 제2 탈취호스와, 상기 제1, 제2 탈취호스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형성된 응축수를 배수하는 드레인호스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제습이 이루어진 공기가 배출되고, 통로에 배출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취필터가 마련된 배출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상하로 이격되고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제2 메인관과, 상기 제1, 제2 메인관을 상하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보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메인관 및 보조관은 금속재로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제2 메인관과 보조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바람을 통과시켜 상기 응축기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줄일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중 발생하는 악취와, 발효중인 음식물 쓰레기를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혐오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중 호퍼유닛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호퍼유닛 중 투입부의 뚜껑이 개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3의 호퍼유닛 중 투입부의 뚜껑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투입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투입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투입부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9는 도 7의 투입부의 보조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7의 투입부의 보조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1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 및 건조되는 본체(110)를 포함하는 발효유닛(100)과,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본체(110)의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호퍼유닛(200)과, 본체(110)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 및 건조되는 동안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유닛(300)을 포함한다.
발효유닛(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및 건조가 이루어지는 본체(110)를 포함하는데, 상기 본체(110)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되는 두 개의 발효공간 즉, 제1, 제2 발효실(111,112)을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발효유닛(100)은 제1, 제2 발효실(111,112)에 설치되어 발효 및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120)와, 제1 발효실(111)의 음식물 쓰레기를 제2 발효실(112)로 운반하고, 제2 발효실(112)의 음식물 쓰레기를 본체(110) 외부로 배출하는 이동부(130)를 포함한다.
제1 발효실(111)은 호퍼유닛(200)과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여 건조시키고, 제2 발효실(112)은 제1 발효실(111)에서 소정시간 건조 및 발효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부를 통해 전달받아 미생물에 의해 완전 분해되도록 발효된다.
제1 발효실(111)은 제2 발효실(112)로 이동하기 전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예비 발효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제2 발효실(112)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 및 발효되는 소정의 시간동안 추가적인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차단되도록 호퍼유닛(200)을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대기하는 대기공간으로 이용된다.
제1 발효실(111)과 제2 발효실(112)은 내부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열부는 통상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에서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1, 제2 발효실(111,112)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는 전열선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제2 발효실(111,112)을 감싸는 별도의 하우징에 전열부재에 의해 가열되는 열매체를 충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교반부(120)는 제1, 제2 발효실(111,112)을 가로지르도록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축(121)과, 상기 교반축(121)에 설치되며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된 교반부재(122)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구동부(140)에 의해 교반축(121)이 회전하면 교반부재(122)가 제1, 제2 발효실(111,112)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뒤섞으면서 교반하거나 제1, 제2 발효실(111,112)의 출구(113) 측으로 이동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킨다.
이동부(130)는 제1 발효실(111)과 제2 발효실(112)을 연결하는 제1 이동부(131)와, 제2 발효실(112)로부터 외부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제2 이동부(132)를 구비하는데, 제1, 제2 이동부(131,132)는 모두 이송관(133)과, 이송관(13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스크류(134)와, 이송스크류(134)를 회전시키도록 이송관(133)의 단부에 설치되는 이송모터(135)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1 이송부는 이송관(133)의 단부가 제2 발효실(112)로 연결되어 제1 발효실(111)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제2 발효실(112)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고, 제2 이송부의 경우 이송관(133)의 단부를 통해 발효 및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40)는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41)와, 상기 구동모터(141)와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142)과, 체인(144)을 통해 연결되며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 교반축(121)에 설치된 종동스프로킷(143)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호퍼유닛(200)은 음식물 쓰레기를 본체(110)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10)의 투입구에 설치되는 파쇄부(210)와, 상기 파쇄부(210)의 상측에 설치되는 투입부(220)를 포함한다.
파쇄부(210)는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제1 바디(211)와, 상기 제1 바디(211)에 설치되는 제1, 제2 파쇄스크류(212,213)를 구비한다.
제1, 제2 파쇄스크류(212,213)는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투입부(220)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 및 건조가 용이하도록 소정 크기로 파쇄시키는 것이다.
제1, 제2 파쇄스크류(212,213)는 각각 스크류축(214)의 단부가 제1 바디(2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호 맞물리는 제1, 제2 연결기어(215,2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연결기어(215)가 설치되는 제1 파쇄스크류(212)의 스크류축(214) 단부에는 상기 교반축(121)에 설치되는 제1 연결스프로킷(217)과 체인(144)을 통해 연결되는 제2 연결스프로킷(218)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41)에 의해 교반축(121)이 회전하도록 회전구동이 이루어질 때 제1, 제2 연결스프로킷(217,218)을 통해 체인(144)연결되어 있는 제1 파쇄스크류(212)가 회전하게 되고, 제1, 제2 파쇄스크류(212,213)가 제1, 제2 연결기어(215,216)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한다. 상기 제1, 제2 파쇄스크류(212,213)는 교반부(120)가 구동하는 동안 함께 구동이 이루어진다.
투입부(220)는 파쇄부(210)의 상부에 설치된다.
투입부(220)는 제1 바디(211)의 상부에 플랜지 결합되는 제2 바디(221)와, 제2 바디(2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호퍼부재(222)와, 제2 바디(22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바디(221)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230)와, 상기 개폐부재(230)와 호퍼부재(222)를 회전 구동시키는 호퍼구동부(240)를 포함한다.
제2 바디(221)도 상하부가 개구되어 제1 바디(211)와 통로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부재(222)는 제2 바디(221)에 양단이 호퍼회전축(224)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호퍼부재(222)는 음식물 쓰레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홈(223)이 형성된 반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길이방향의 양단과 폭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제2 바디(221)의 내면과 접촉하거나 밀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때 본체(110)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고 본체(1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호퍼부재(222)는 후술하는 호퍼구동부(240)에 의해 상부와 하부의 위치가 뒤집히도록 호퍼회전축(224)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개폐부재(230)가 열린 상태에서는 충진홈(223)이 상방을 향하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충진홈(223)으로 투입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개폐부재(230)가 닫힘상태일 때에는 충진홈(223)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하부로 낙하하도록 호퍼부재(222)가 180°회전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230)는 제2 바디(221)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제2 바디(2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바디(221)의 상단에 접촉하는 개폐부재(230)의 하단에는 악취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드(231)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230)는 제2 바디(221)에 결합되어 입구를 닫았을 때 호퍼부재(222)가 회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호퍼구동부(240)는 상기 호퍼부재(222)와 개폐부재(230)를 연동시키는 것이다.
호퍼구동부(240)는 개폐부재(230)를 회전시켜 제2 바디(221)의 입구를 개방 또는 닫힘상태가 되도록 구동시키는 열림버튼(242)과 닫힘버튼(243)이 포함된 개폐스위치(241)와, 상기 개폐스위치(241)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호퍼구동모터(244)와, 상기 호퍼부재(222)의 호퍼회전축(224)에 설치되는 제1 회전스프로킷(245)과, 개폐부재(230)와 연결되도록 제2 바디(2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개폐회전축(232)에 설치된 제2 회전스프로킷(246)과, 호퍼구동모터(244)에 설치되는 구동기어(247)와, 상기 구동기어(247)에 치합되도록 제2 바디(2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248)와, 상기 종동기어(248)와 동일축에 설치되는 호퍼구동스프로킷(249)과, 상기 호퍼구동스프로킷(249), 제1, 제2 회전스프로킷(245,246)을 경유하도록 연결되는 호퍼구동체인(250)을 포함한다.
개폐부재(230)가 제2 바디(2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입구가 닫힘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술한 것처럼 상기 호퍼부재(222)가 충진홈(223)이 파쇄부(210)를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개폐스위치(241)의 열림버튼(242)을 누르면 호퍼구동모터(244)가 구동하면서 구동기어(247)를 정회전시키고, 구동기어(247)와 치합된 종동기어(248)가 역회전하게 된다. 종동기어(248)가 회전함에 따라 종동기어(248)와 동일 축에 설치된 호퍼구동스프로킷(249)이 회전하게 되면서 호퍼구동체인(250)을 돌려 상기 제1 회전스프로킷(245)과 제2 회전스프로킷(246)을 회전 구동시킨다.
제2 회전스프로킷(246)이 회전하게 되면 개폐회전축(232)이 회전하면서 개폐부재(230)를 제2 바디(221)로부터 분리시켜 제2 바디(221)의 입구를 개방하게 되고, 개폐부재(230)가 개방되는 동안 제1 회전스프로킷(245)도 호퍼회전축(224) 및 호퍼부재(222)를 회전시키면서 호퍼부재(222)의 충진홈(223)이 상방을 향하도록 회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폐부재(230)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충진홈(223)이 상방을 향하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호퍼부재(222)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완료된 후 닫힘버튼(243)을 누르면 호퍼구동모터(244)가 역회전하면서 제1, 제2 회전스프로킷(245,246)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개폐부재(230)가 제2 바디(221)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닫히는 동안 호퍼부재(222)도 충진홈(223)이 파쇄부(210)를 향하도록 회전하여 호퍼부재(222)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부(210)로 낙하하게 된다.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제2 파쇄스크류(212,213)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발효 및 건조가 용이하도록 파쇄된 후 제1 발효실(111)로 투입이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부(220)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호퍼회전축(224)을 지지하도록 제2 바디(221)에 설치되는 로드셀(26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로드셀(260)은 호퍼회전축(224)을 지지하여 호퍼부재(222)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이며,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에 따라 처리비용을 정산해야 하는 경우 상기 로드셀(260)에서 측정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통해 처리비용을 계산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투입부(220)는 로드셀(260)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면 앞선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10에는 투입부(270)와 개폐부재(28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투입부(270)는 호퍼부재(272)의 외측에 보조도어(273)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 보조도어(273)는 상기 호퍼부재(272)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제2 바디(27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조도어(273)는 반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는데, 호퍼부재(272)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때에는 폐쇄부측이 호퍼부재(272)의 하부에 위치하여 호퍼부재(272)의 상부를 개방시키고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완료된 후에는 보조도어(273)가 반바퀴 회전하여 폐쇄부가 상방으로 올라와 투입구를 막은 다음 호퍼부재(272)를 회전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본체(110)에 투입한다.
본 실시예의 투입부(270)는 제2 바디(27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호퍼부재(272)와 보조도어(27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74)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호퍼부재(272)와 보조도어(273)를 제2 바디(27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들을 포함하는데, 각각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모터에는 회전력이 전달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구속되지 않도록 단순 회전 지지만 되어 있어서 호퍼부재(272)와 보조도어(273)의 회전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개폐도어(280)에는 흡기구(2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로 투입부(27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는 흡기라인(282)이 설치되어 있다. 흡기구(281)에서는 투입부(27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악취성분과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제거한다. 이렇게 개폐도어(280)에 형성된 흡기구(28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흡기라인(282)을 통해 후술하는 탈취유닛(300)으로 이동해 탈취 및 제습처리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체(110)의 후방에는 탈취유닛(300)이 설치되어 있다.
탈취유닛(300)은 응축기(310)와, 응축기(310)로부터 연장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는 드레인호스(320)와, 응축기(310)에 설치되는 냉각팬(330)과, 제1, 제2 발효실(111,112)과 응축기(310)를 연결하는 제1, 제2 탈취호스(341,342)와, 응축기(310)와 연결되어 응축수와 분리된 악취성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파이프(350)를 포함한다.
제1, 제2 발효실(111,112)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및 발효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제1, 제2 탈취호스(341,342)를 통해 응축기(310)로 이동한다.
응축기(310)는 상하로 이격되어 있고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제2 메인관(311,312)과, 제1, 제2 메인관(311,312)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하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보조관(313)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제2 메인관(311,312) 및 보조관(313)들은 열전달이 용이한 금속재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팬(330)이 보조관(313)들 사이로 바람이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보조관(313) 및 제1, 제2 메인관(311,312)의 온도를 낮춘다. 상기 제1, 제2 발효실(111,112)에서 토출된 공기는 제1, 제2 메인관(311,312) 및 보조관(31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에너지를 상실하여 온도가 낮아짐에따라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형성되며, 응축수는 하부에 위치한 제2 메인관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드레인호스(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1, 제2 메인관(311,312) 및 보조관(313)을 통과하면서 제습이 이루어진 공기는 배출파이프(350)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배출파이프(350)를 통과하는 통로 상에 악취성불을 제거하기 위한 탈취필터(351)가 마련되어 있으며, 탈취필터(351)를 통과하면서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본체(110) 주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사용상의 혐오감을 최소화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1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0; 발효유닛
110; 본체
111; 제1 발효실 112; 제2 발효실
113; 출구
120; 교반부
121; 교반축 122; 교반부재
130; 이동부
131; 제1 이동부 132; 제2 이동부
133; 이송관 134; 이송스크류
135; 이송모터
140; 구동부
141; 구동모터 142; 구동스프로킷
143; 종동스프로킷 144; 체인
200; 호퍼유닛
210; 파쇄부
211; 제1 바디 212; 제1 파쇄스크류
213; 제2 파쇄스크류 214; 스크류축
215; 제1 연결기어 216; 제2 연결기어
217; 제1 연결스프로킷 218; 제2 연결스프로킷
220; 투입부
221; 제2 바디 222; 호퍼부재
223; 충진홈 224; 호퍼회전축
230; 개폐부재
231; 고무패드 232; 개폐회전축
240; 호퍼구동부
241; 개폐스위치
242; 열림버튼 243; 닫힘버튼
244; 호퍼구동모터 245; 제1 회전스프로킷
246; 제2 회전스프로킷 247; 구동기어
248; 종동기어 249; 호퍼구동스프로킷
250; 호퍼구동체인
260; 로드셀
300; 탈취유닛
310; 응축기
311; 제1 메인관 312; 제2 메인관
313; 보조관
320; 드레인호스 330; 냉각팬
341; 제1 탈취호스 342; 제2 탈취호스
350; 배출파이프
351; 탈취필터

Claims (6)

  1. 제1, 제2 발효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부와, 상기 제1 발효실과 제2 발효실의 음식물 쓰레기를 각각 제2 발효실과 본체 외부로 이송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하는 발효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발효실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게 된 호퍼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호퍼유닛은 상기 제1 발효실과 연통되도록 상하로 개구된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소정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충진홈이 형성된 호퍼부재와,
    상기 제2 바디의 상단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와 호퍼부재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되, 상기 개폐부재가 열림상태일 때 상기 충진홈이 상방을 향하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개폐부재가 닫힘상태일 때 상기 충진홈이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도록 상기 개폐부재와 호퍼부재를 연동시키는 호퍼구동부를 포함하는 투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유닛은 상기 투입부와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의 호퍼부재에서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는 파쇄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파쇄부는 상기 제2 바디와 본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바디와 본체의 제1 발효실이 연통되도록 상하로 개구된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시키도록 상호 인접하여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제2 파쇄스크류와,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 제2 파쇄스크류의 스크류축에 각각 형성되며 상호 맞물리는 제1, 제2 연결기어와,
    상기 제1, 제2 파쇄스크류 중 어느 일측의 스크류축에 설치되고, 교반축에 설치되는 제1 연결스프로킷과 체인을 통해 연결되는 제2 연결스프로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의 호퍼구동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개폐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개폐스위치와,
    상기 제2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스위치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된 호퍼구동모터와,
    상기 호퍼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2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동일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호퍼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제2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호퍼구동축에 설치되는 제1 회전스프로킷과,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2 바디에 설치되는 개폐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 회전스프로킷과,
    상기 제1 회전스프로킷과 제2 회전스프로킷 및 호퍼구동스프로킷을 경유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호퍼구동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제1, 제2 회전스프로킷으로 전달하는 호퍼구동체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에 설치되고 호퍼회전축을 지지하여 상기 호퍼부재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발효실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및 발효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유닛을 더 구비하되,
    상기 탈취유닛은 상기 제1 발효실 및 제2 발효실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된 제1, 제2 탈취호스와,
    상기 제1, 제2 탈취호스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형성된 응축수를 배수하는 드레인호스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제습이 이루어진 공기가 배출되고, 통로에 배출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취필터가 마련된 배출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하로 이격되고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제2 메인관과,
    상기 제1, 제2 메인관을 상하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보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메인관 및 보조관은 금속재로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제2 메인관과 보조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바람을 통과시켜 상기 응축기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30054406A 2012-08-22 2013-05-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51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1703 2012-08-22
KR1020120091703 2012-08-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606B1 true KR101351606B1 (ko) 2014-01-22

Family

ID=50145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406A KR101351606B1 (ko) 2012-08-22 2013-05-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6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712B1 (ko) * 2015-12-24 2016-08-30 주식회사 우람 악취발생이 저감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37479B1 (ko) 2018-12-17 2019-01-10 서인호 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67765B1 (ko) 2019-12-13 2020-10-19 주식회사 피앤엔피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067B1 (ko) * 1997-11-04 2000-12-15 고일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067B1 (ko) * 1997-11-04 2000-12-15 고일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712B1 (ko) * 2015-12-24 2016-08-30 주식회사 우람 악취발생이 저감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37479B1 (ko) 2018-12-17 2019-01-10 서인호 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67765B1 (ko) 2019-12-13 2020-10-19 주식회사 피앤엔피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787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유닛
KR10135160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2287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09789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 및 감량 처리장치
KR200482103Y1 (ko) 동일축상에서 정회전, 역회전이 동시에 실행되는 분쇄날과 uv모듈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036488B1 (ko)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20100000689A (ko) 싱크볼 매입형 건조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3662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7326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교반발효장치
KR10048429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323839B1 (ko) 음식물쓰레기감량처리장치
KR10102669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07207B1 (ko) 음식폐기물 복합처리장치
KR2014003964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02828U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91237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399421B1 (ko) 음식물 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36623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2012020434A1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rganic waste
KR102616838B1 (ko) 음식물 쓰레기 발효처리기
KR10136633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7417065A (zh) 智能环保厕所用的污物分离干燥处理***
JP2889467B2 (ja) 生ゴミ処理機
KR2009000940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