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761B1 -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761B1
KR101347761B1 KR1020120063334A KR20120063334A KR101347761B1 KR 101347761 B1 KR101347761 B1 KR 101347761B1 KR 1020120063334 A KR1020120063334 A KR 1020120063334A KR 20120063334 A KR20120063334 A KR 20120063334A KR 101347761 B1 KR101347761 B1 KR 10134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assembled
cover member
rod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670A (ko
Inventor
이재관
이세준
주종민
안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to KR1020120063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76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01R24/545Elb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하우징을 구성하는 케이블 수용부에 접지기능을 부여함으로서, 접지의 필요시에 엘보커넥터의 분리없이 곧바로 접지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확보로 운용할 수 있어 장비활용의 편리성은 물론 기기의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있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절연하우징(100)의 케이블 수용부 외주면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내부공간에 관통하는 접속공을 구비하여 길게 돌출된 접속돌출부(170)를 성형하고, 상기 접속돌출부에는 탈착에 의해 결합하는 차폐커버부재(211,251)와 상기 차폐커버부재의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접속공(171)에 삽입 결합하는 절연로드(212)로 구성된 절연수단(210)이나 상기 컨덕터(140)에 선단이 접속하고 후단에 접지케이블(G/C)이 접속된 접지로드(252)로 구성된 접지수단(250)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지기능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ELBOW CONNECTOR WITH GROUNDING FUNCTION}
본 발명은 25KV 지중 또는 지상설치형 기기(개폐기, 변압기 등)에 엘보커넥터로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을 접지하고자 할 때, 엘보커넥터에서 직접 접지할 수 있도록 접지선 연결구조를 구비한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보커넥터는 지중선 배전선로에서 개폐기, 변압기 등의 특고압기기와 케이블을 연결하는 있어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매개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용도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고, 종래에도 다양한 기술로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엘보커넥터는 예컨데, 개폐기의 부싱 웰(bushing well)에 장착된 부싱인서트(bushing insert)와, 상기 부싱인서트에 접속/분리되어 상기 개폐기에 케이블로 연결된다.
이러한 엘보커넥터의 일예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즉, 고무(Rubber)와 같은 절연물의 내부절연층과 상기 내부절연층의 내, 외부에 고무(Rubber)와 같은 탄성중합물의 반도체성 보호층으로 감싸서 상호 간의 관통된 복층구조로서 수직방향의 케이블 수용부와 수평방향의 부싱결합부 및 전압검출부가 좌, 우대칭구조로 성형된 절연하우징과,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고전압 케이블의 도선을 압착 결속한 상태로 상기 부싱결합부와 전압검출부의 중앙 내부에 돌출된 상태로 조립되고 상기 개폐기에 조립된 부싱인서트와 나사조립되는 스터드볼트가 조립되는 컨덕터와,
상기 스터드볼트의 후단과 나사조립되는 조임너트와 테스트포인트가 절연물질의 전, 후단에 인서트 성형으로 조립되어 상기 전압검출부에 결합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 후단에 노출된 상기 테스트포인트의 차폐하는 절연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수용부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 방지 및 밀봉상태로 조립되도록 절연외피에 조립된 아답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은 상기 플러그의 테스트포인트에 의해 전압을 감지하여 선로의 활선상태를 확인하거나, 전원측과 부하측의 검상 및 결상상태를 체킹하는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상기한 특허문헌 1의 단점으로 지적된 전압검출부 측의 돌출길이가 커지는 단점을 해소하고자 상기 전압검출부의 길이를 부싱결합부 보다 작게 성형한 비대칭 구조로 형성하고, 절연캡의 조작고리를 절첩형으로 구성하여 전압검출부 측의 돌출크기를 최대한 줄이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8-0024646호(공개일자 : 2008년 03월 19일)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066526호(등록일자 : 2011년 09월 15일)
상기한 특허문헌 1 및 2는 선로의 활선상태를 확인하거나, 전원측과 부하측의 검상 및 결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필요시 케이블을 접지하고자 할 때, 개폐기 본체 내에 별도의 접지스위치를 가진 개폐기를 적용하거나, 기존의 접지기능이 없는 엘보커넥터는 개폐기에서 먼저 뽑아 분리하고 별도의 접지 전용 엘보커넥터를 다시 꼽아서 검전, 접지하는 매우 번거롭고 복잡한 작업이 수반됨으로 사용의 불편성은 물론 사용범위가 한정적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필요시 접지기능부에 의한 직접 간편하고 안전하게 접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사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는,
전기절연재로서 수직방향의 케이블 수용부와 수평방향의 부싱결합부 및 전압검출부가 관통된 좌, 우 대칭구조로 성형된 절연하우징;
케이블을 연결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를 통하여 상기 부싱 결합부 및 전압 검출부의 중앙 내부에 돌출된 상태로 조립된 컨덕터;
상기 전압검출부에 조립되며 전단에 조임너트와 후단에 테스트포인트가 인서트 결합된 절연수지로 성형된 플러그;
상기 컨덕터에 조립되고 상기 플러그의 전단 조임너트에 나사조립되는 스터드볼트; 및,
상기 전압검출부의 후단에 조립되어 상기 테스트포인트의 절연을 수행하는 절연캡; 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외주면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내부공간에 관통하는 접속공을 구비하여 길게 돌출된 접속돌출부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접속돌출부에는 탈착에 의해 결합하는 차폐커버부재, 상기 차폐커버부재의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접속공에 삽입 결합하는 절연로드로 구성된 절연수단이나 상기 컨덕터에 선단이 접속하고 후단에 접지케이블이 접속된 접지로드로 구성된 접지수단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지기능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접지기능부는,
상기 접속돌출부가 돌출방향의 단부 측으로 협소한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폐커버부재는 상기 접속돌출부의 외주면을 덮어 결합하는 원추형 내부공간으로 형성되되,
상기 절연로드 또는 접지로드는 상기 차폐커버부재의 내부에 인서트 고정된 고정너트에 후단부가 조립되고, 동시에 상기 차폐커버부재의 후단부 내부공간에 직교하여 관통 돌출된 분기탭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조립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결속되어 이루고,
상기 분기탭의 내부공간은 밀봉탭이나 방수탭의 조립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돌출부는 돌출시점의 외주면 차폐층이 단차부로 성형되고, 상기 차폐커버부재는 내부공간의 입구 내주면에 상기 단차부에 맞결합하는 단차부로 형성되어 상호간이 단차결합으로 상호간의 조립 계면의 확실한 기밀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분기탭은 외주면에 다수의 밀봉링을 돌출 성형함으로서, 상기 방수탭의 조립시에 내부와 밀봉을 더욱 확실히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방수탭은 내부공간에 상기 고정볼트와 접속하는 접속슬리브가 결속된 접지케이블이 결합하고, 상기 방수탭은 상기 접지케이블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사이즈별 내경을 갖고 각각의 내주면에 다수의 밀봉링이 돌출된 상태에서 단차식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방수탭은 상기 접지케이블의 결합시에 외경사이즈에 맞는 내경부분을 절단하고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분기탭과 결합하여 접속/인출되는 접지케이블의 계면을 밀봉한 상태로 절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폐커버부재는 상기 접속돌출부에서 분리가 용이하도록 후단부에 당김고리부가 형성됨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절연로드는 상기 컨덕터의 표면과 간섭되지 않는 길이의 절연재질로서 상기 접속공을 관통하여 밀봉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지로드는 상기 컨덕터의 표면에 접속하는 도체로서 상기 접속공을 관통하여 밀봉과 동시에 접지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지로드가 접속하는 상기 컨덕터는 로드접속공이 관통되어 상기 접지로드가 관통 접속되되, 상기 로드접속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접지로드와 접속을 확실하게 하는 탄성력을 갖는 멀티밴드가 결합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상기 로드접속공은 상기 접지로드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확개경사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돌출부의 단부는 외주면에 로킹환홈을 구비한 고정링이 성형되고, 상기 차폐커버부재는 내부공간 후방 내주면에 상기 로킹환홈에 맞결합하는 돌기링을 돌출하여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링은 내후성, 내오존성, 내열성, 내한성, 내화학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고 접합의 신뢰성 및 뛰어난 신장율 특성을 구비한 EPDM(Ethylene propylene rubber)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개폐기 내에 별도의 접지스위치를 가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접지스위치의 잦은 작동시에 오작동에 의한 고장요인이 제거되고, 본 발명의 적극적인 활용시에 개폐기를 작고 심플하게 제작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제작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별도 접지 전용의 엘보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 엘보커넥터의 교체 탈착과 검전, 접지 절차가 번거롭고 안전이 우려되어 작업을 꺼렸으나, 본 발명은 접속상태에서 접지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별도의 접지 전용 엘보커넥터의 교체작업을 할 필요 없이 접지작업이 곧바로 수행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간편하고 안전하며, 별도의 접지 전용 엘보커넥터가 불필요하여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시 운용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지 연결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F"부분의 발췌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를 구성하는 구성부재의 분해사시도 및 반단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요부구성의 발췌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시운용에 따른 절연 목적으로 사용되는 절연수단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접지연결에 따른 접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접지수단의 분해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절연하우징을 구성하는 케이블 수용부에 접지기능을 부여함으로서, 접지의 필요시에 엘보커넥터의 분리없이 곧바로 접지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확보로 운용할 수 있어 장비활용의 편리성은 물론 기기의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대해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단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함으로 해석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도면에 제시된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단순화나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시 운용에 따른 절연수단이 적용된 단면도이고, 도 2는 고전압 케이블에 접지수단에 의해 접지케이블이 연결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를 구성하는 구성부재의 분해사시도 및 반단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부재의 단면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지중 또는 지상설치형 특고압 개폐기나 변압기 등과 같은 지중 또는 지상설치형 기기와 배전선로를 연결하는데 있어 탈착하는 매개수단으로 사용됨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상기 개폐기나 변압기의 부싱(B/S)에 결합하는 본 발명의 절연하우징(100)은 전기절연재로 성형되어 수직방향의 케이블 수용부(110)와, 상기 수직방향의 케이블 수용부(110)에 수평방향의 부싱결합부(120) 및 전압검출부(130)가 관통된 좌, 우형상의 T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하우징(100)에는 케이블(C/A)과 결속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부(110)를 통하여 상기 부싱 결합부(120) 및 전압 검출부(130)의 중앙 내부에 돌출된 상태로 컨덕터(140)가 조립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C/A)은 상기 케이블수용부(11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 방지 및 밀봉상태로 조립되도록 절연외피에 조립된 아답터(150)에 의해 상기 케이블 수용부(110)의 내부공간은 기밀된다.
그리고 상기 전압검출부(130)는 상기 플러그(160)의 조립에 의해 상기 케이블 수용부(110)과 부싱결합부(120) 간에 연통된 내부공간은 기밀되어 절연된다.
상기 플러그(160)는 개폐기나 변압기에 결합된 부싱(B/S)에 나사조립하는 스터드볼트(B/T)의 후단과 나사조립하는 전단의 조임너트(161)와 후단에 테스트포인트(162)가 인서트 결합된 절연수지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압검출부(130)의 개방단부 외주면에는 절연캡(170)의 억지조립으로 상기 플러그(160)의 테스트포인트(162)의 노출을 차단하고 절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상기한 절연하우징(100)의 구조는 종래의 기술에서 널리알려진 기술임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해도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로 제시된 접지기능 구조의 설명에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핵심기술은 상기 케이블(C/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의 컨덕터(140)에 선택적으로 외부의 접지케이블(G/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절연파괴 방지를 위한 접지기능부(200)를 구성한 것에 있다.
상기 접지기능부(200)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110)의 외주면 일측에서 내부공간과 관통하는 접속공(171)을 구비한 접속돌출부(170)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돌출 성형되고, 상기 접속돌출부(170)에는 상시 운용시에는 상기 접속공(171)을 밀봉 절연하는 절연수단(210)이 조립되거나, 필요시에 접지기능을 부여할 경우에 적용되는 접지수단(250)이 조립된다.
이때, 상기 접지기능부(200)을 구성하는 상기 접속돌출부(170)의 성형위치는 상기 부싱결합부(120)에 의한 부싱(B/S)과의 조립시에 간섭이 없도록 그 대향 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가장 적절한 위치는 상기 전압검출부(130)의 하측에 동일한 수평방향의 돌출거리 범위 내에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지기능부(200)을 구성하는 상기 절연수단(210)에 대하여 도 7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접속돌출부(170)에 조립/분리되는 차폐커버부재(211)와, 상기 차폐커버부재(211)의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접속공(171)에 삽입 결합하는 절연로드(2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폐커버부재(211)는 내부공간 후단에 고정너트(213)가 인서트 조립되고, 상기 고정너트(213)에 연결되는 내부공간을 관통한 상태로 직교하여 분기탭(214)이 돌출 성형된다.
상기 절연로드(212)는 상기 고정너트(213)에 후단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탭(214)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직교 조립되는 고정볼트(216)에 의해 결속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탭(214)의 입구에 밀봉탭(215)을 결합하여 내부공간은 절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지기능부(200)을 구성하는 상기 접지수단(250)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절연수단(210)의 구성요소인 차폐커버부재(251), 고정너트(253) 및 분기탭(254)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절연로드(212) 대신에 도체의 접지로드(252)와 상기 분기탭(254)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접지케이블(G/C)과 결속되어 상기 고정너트(253)에 접속하는 접속슬리브(257)와, 상기 접지케이블(G/C)의 외피에 결합하여 상기 분기탭(254)에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밀봉하는 방수탭(258)으로 구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물론, 상기 접지로드(252) 역시 상기 고정너트(253)에 후단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탭(254)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고정볼트(256)에 의해 결속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탭(258)에 의해 상기 분기탭(254)의 내부공간 역시 절연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탭(254)은 외주면에 다수의 밀봉링이 돌출되어 그 외주면에 조립되는 상기 접지수단(250)의 방수탭(258)의 조립시에 계면의 기밀을 완벽하게 제공하여 내부밀봉이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수탭(258)은 상기 접지케이블(G/C)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사이즈별 내경 각각의 내주면에 다수의 밀봉링이 돌출된 상태에서 단차식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방수탭(258)은 상기 접지로드(252)에 접속하는 접지케이블(G/C)의 외피 직경에 맞는 내경을 갖는 부분을 절단하여 접지케이블(G/C)의 외피에 끼움하고, 상기 접지케이블(G/C)의 도체에 압착 조립된 접속슬리브(257)의 선단을 상기 고정너트(253)에 가공된 접속홈에 끼움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분기탭(254)의 외주면에 입구부를 억지 끼움하여 밀봉 조립된다.
이러한 조립상태는 상기 접지케이블(G/C)과 방수탭(258)의 계면부분이 다수의 상기 밀봉링에 의해 기밀되어 상기 분기탭(254)의 내부공간은 빗물이나 습기의 침투가 완벽하게 차단되어 절연된다.
또한, 상기 차폐커버부재(211)(251)는 상기 접속돌출부(170)에서 분리가 용이하도록 후단부에 당김고리부(219)(159)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접속돌출부(170)의 외주면은 그 단부 측으로 가면서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성형되고, 상기 절연수단(210) 또는 접지수단(250)의 각 차폐커버부재(211)(251)는 상기 접속돌출부(170)의 외주면을 덮어 결합하는 원추형 내부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폐커버부재(211)(251)의 조립시에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속돌출부(170)의 돌출 시작부의 차폐층 외주면에는 단차부(170a)를 성형하고, 각각의 상기 차폐커버부재(211)(251)는 내부공간의 입구 내주면에 상기 단차부(170a)에 맞결합하는 단차부(211a)(251a)가 형성되어 상호간이 단차결합에 의한 밀봉특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돌출부(170)의 단부는 외주면에 로킹환홈(176)을 구비한 고정링(175)이 성형되고, 상기 차폐커버부재(211)(251)는 내부공간 후방 내주면에 상기 로킹환홈(176)에 맞결합하는 돌기링(211b)(251b)을 돌출하여 결합됨으로서 상기 접속돌출부(170)에 결합하는 각각의 상기 차폐커버부재(211)(251)의 계면은 완벽하게 밀봉되어 절연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링(175)은 내후성, 내오존성, 내열성, 내한성, 내화학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고, 또한 접합의 신뢰성 및 뛰어난 신장율 특성을 구비한 EPDM(Ethylene propylene rubber)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시에는 접속돌출부(170)에 절연수단(21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지수단(250)의 적용은, 상기 접지기능부(200)의 접속돌출부(170)에 조립된 상기 절연수단(210)을 분리하여 교체에 의한 활용을 할 수도 있으나, 분리된 상기 절연수단(210)에서 절연로드(212)와 밀봉탭(215)을 분리하고, 접지로드(252) 및 접지케이블(G/C)의 접속슬리브(257)을 고정너트(213)에 결속하고, 상기 방수탭(258)을 이용하여 분기탭(214)의 내부공간을 밀봉한 상태에서 차폐커버부재(211)을 접속돌출부(170)에 끼움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로드(212)는 상기 컨덕터(140)의 표면과 간섭되지 않는 길이의 절연재질로서 상기 접속공(171)을 관통하여 밀봉되나, 상기 접지로드(252)는 상기 컨덕터(140)의 표면에 접속하는 길이를 갖는 도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컨덕터(140)는 상기 접속돌출부(170)의 접속공에 대응한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로드접속공(141)이 관통되고, 상기 접지로드(252)는 전단부가 삽입되는 상태로 접속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의 확대도에서 보여주듯이, 상기 로드접속공(141)에는 탄성접촉력을 제공하는 멀티밴드(142)가 조립되어 상기 접지로드(252)가 상기 로드접속공(141)에 삽입됨과 동시에 외주면에 탄성접촉에 의한 접속의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접속공(141)은 상기 접지로드(252)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확개경사부(14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확개경사부(143)는 컨덕터(140)의 조립방향의 자율성을 위하여 양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커덕터(140)와 접지로드(252)의 접속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커덕터(140)에 상기 접속돌출부(170)의 접속공(171)에 대응한 부분에 면취한 평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지로드(252)에는 탄성스프링 접지수단을 조립하여 사용하여 접속의 확실성을 기할 수도 있고, 상기 커덕터(140)에 가공되어 매립된 마그네트와 상기 접지로드(252)의 전단에 마그네트를 조립하여 전진가능으로 조립된 접지기능부를 형성하여 자력에 의한 확실한 접속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핵심을 요약하면,
선로상에서 케이블(C/A)의 접지 필요시에 접지기능부(200)을 구성하는 접속돌출부(170)에 결합된 절연수단(210)의 분리하고, 상기 접속돌출부(170)의 접지수단(250)의 조립에 의한 직접 접지를 구현할 수 있어 선로작업의 안전성과 작업의 신속성을 구현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특고압의 25KV 지중 또는 지상설치형 기기(개폐기, 변압기 등)에 접속되어 선로 작업 중에 접지의 필요시에 별도의 접지 전용 엘보커네턱의 사용을 배제한 상태에서 즉각적으로 접지기능부의 절연수단을 분리하고 접지수단을 접속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산업상 매우 편리하고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0 : 절연하우징 110 : 케이블 수용부
120 : 부싱결합부 130 : 전압검출부
140 : 컨덕터 141 : 로드접속공
142 : 멀티밴드 170 : 접속돌출부
171 : 접속공
200 : 접지기능부 210 : 절연수단
211, 251 : 차폐커버부재 212 : 절연로드
213, 253 : 고정너트 214, 254 : 분기탭
215 : 밀봉탭 216, 256 : 고정볼트
250 : 접지수단 257 : 접속슬리브
258 : 방수탭 G/C : 접지케이블

Claims (6)

  1. 전기절연재로서 수직방향의 케이블 수용부와 수평방향의 부싱결합부 및 전압검출부가 관통된 좌, 우 대칭구조로 성형된 절연하우징과, 케이블을 연결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를 통하여 상기 부싱 결합부 및 전압 검출부의 중앙 내부에 돌출된 상태로 조립된 컨덕터와, 상기 전압검출부에 조립되며 전단에 조임너트와 후단에 테스트포인트가 인서트 결합된 절연수지로 성형된 플러그와, 상기 컨덕터에 조립되고 상기 플러그의 전단 조임너트에 나사조립되는 스터드볼트 및, 상기 전압검출부의 후단에 조립되어 상기 테스트포인트의 절연을 수행하는 절연캡을 포함하는 엘보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외주면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내부공간에 관통하는 접속공을 구비하여 길게 돌출된 접속돌출부를 성형하고, 상기 접속돌출부에는 탈착에 의해 결합하는 차폐커버부재, 상기 차폐커버부재의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접속공에 삽입 결합하는 절연로드로 구성된 절연수단이나 상기 컨덕터에 선단이 접속하고 후단에 접지케이블이 접속된 접지로드로 구성된 접지수단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지기능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수단은 상기 접속돌출부에 조립/분리되는 차폐커버부재와, 상기 차폐커버부재의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접속공에 삽입 결합하는 절연로드로 구성되되,
    상기 차폐커버부재는 내부공간 후단에 고정너트가 인서트 조립되고, 상기 고정너트에 직교하여 분기탭이 돌출 성형되어 이루고,
    상기 절연로드는 상기 고정너트에 후단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탭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조립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결속되어 이루며,
    상기 분기탭의 입구에 밀봉탭을 결합하여 내부공간이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수단은 상기 접속돌출부에 조립/분리되는 차폐커버부재와, 상기 차폐커버부재의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접속공에 삽입 결합하고 상기 컨덕터에 접속하는 접지로드로 구성되되,
    상기 차폐커버부재는 내부공간 후단에 고정너트가 인서트 조립되고, 상기 고정너트에 직교하여 분기탭이 돌출 성형되어 이루고,
    상기 접지로드는 상기 고정너트에 후단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탭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조립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결속되어 이루며,
    후단부에 접지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탭의 상기 고정너트에 전단부로 접속하는 접속슬리브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케이블의 외피에 결합하고 상기 분기탭의 외주면을 감싸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밀봉하는 방수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돌출부는 단부 측으로 협소한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폐커버부재는 상기 접속돌출부의 외주면을 덮어 결합하는 원추형 내부공간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속돌출부의 단부는 외주면에 로킹환홈을 구비한 고정링이 성형되어 이루고,
    상기 차폐커버부재는 내부공간 후방 내주면에 돌기링을 돌출하여 이루며,
    상기 로킹환홈에 상기 돌기링이 맞결합으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는 로드접속공이 관통되어 상기 접지수단의 접지로드가 관통 접속되되, 상기 로드접속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접지로드와 접속을 확실하게 하는 탄성력을 갖는 멀티밴드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돌출부는 돌출시점의 외주면 차폐층이 단차부로 성형되고, 상기 차폐커버부재는 내부공간의 입구 내주면에 상기 단차부에 맞결합하는 단차부로 형성되어 상호간이 단차결합으로 상호간의 접속계면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KR1020120063334A 2012-06-13 2012-06-13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KR10134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34A KR101347761B1 (ko) 2012-06-13 2012-06-13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34A KR101347761B1 (ko) 2012-06-13 2012-06-13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670A KR20130139670A (ko) 2013-12-23
KR101347761B1 true KR101347761B1 (ko) 2014-01-03

Family

ID=4998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334A KR101347761B1 (ko) 2012-06-13 2012-06-13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7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948B1 (ko) 2014-05-16 2014-07-31 주식회사 평일 접지용 절연플러그의 절연캡
KR101469892B1 (ko) * 2014-05-16 2014-12-08 주식회사 평일 검전기 내장 접지형 엘보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1388A (zh) * 2018-10-03 2021-05-07 3M创新有限公司 用于高电压可分离连接器的测试点电压传感器
KR102359511B1 (ko) * 2020-05-29 2022-02-09 한국전력공사 절연플러그용 절연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407A (en) 1998-04-23 2000-03-28 Hubbell Incorporated Safe-operating load reducing tap plug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70066923A (ko) * 2005-12-21 2007-06-27 토마스앤베츠 인터내셔널, 인크. 전압 출력 브랜치 및 디렉트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하는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KR20080024646A (ko) * 2006-09-14 2008-03-19 김기준 지중 배전선로 지상 개폐기의 데드브레이크형 접속 장치
KR20110031794A (ko) * 2009-09-21 201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407A (en) 1998-04-23 2000-03-28 Hubbell Incorporated Safe-operating load reducing tap plug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70066923A (ko) * 2005-12-21 2007-06-27 토마스앤베츠 인터내셔널, 인크. 전압 출력 브랜치 및 디렉트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하는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KR20080024646A (ko) * 2006-09-14 2008-03-19 김기준 지중 배전선로 지상 개폐기의 데드브레이크형 접속 장치
KR20110031794A (ko) * 2009-09-21 201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948B1 (ko) 2014-05-16 2014-07-31 주식회사 평일 접지용 절연플러그의 절연캡
KR101469892B1 (ko) * 2014-05-16 2014-12-08 주식회사 평일 검전기 내장 접지형 엘보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670A (ko) 201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5274B2 (en) Electronic connection arrangement
KR101368384B1 (ko) 접지형 엘보접속재
US8408925B2 (en) Visible open for switchgear assembly
US8597040B2 (en) Device having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sacrificial cap
US817259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acrificial appendage
MX2013008425A (es) Conector electrico que tiene mecanismo de puesta a tierra.
US8137136B1 (en) Electrical disconnect for hazardous areas
KR101347761B1 (ko)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BR102015028823A2 (pt) Ligação de aterramento para mecanismo conector elétrico
US20140106619A1 (en) Shield connector
US9472868B2 (en) Permanent ground point for splicing connectors
US9039450B2 (en) Termination arrangement for a cable bundle
US11271342B2 (en) Pin and sleeve devices
US1084539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acrificial cap and integrated test point
MX2011004213A (es) Conector electrico que tiene mecanismo de alineacion.
BR102016003840A2 (pt) capa em várias peças para conector separável
US861690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ap with a sacrificial conductor
KR100823052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1423948B1 (ko) 접지용 절연플러그의 절연캡
KR101649863B1 (ko) 에폭시몰드 캐니스터 퓨즈홀더
KR101191752B1 (ko) 매설형 지중 배전선 보호를 위한 절연 커넥터
KR101415135B1 (ko) 수직방향 분기접속부가 구비된 엘보접속재
KR101597353B1 (ko)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용 커넥터
MX2014004629A (es) Conector electrico con apendice de proteccion.
CA2818427C (en) Restraint and lock for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