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662B1 - Earphone wire winder - Google Patents

Earphone wire win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662B1
KR101347662B1 KR1020130008837A KR20130008837A KR101347662B1 KR 101347662 B1 KR101347662 B1 KR 101347662B1 KR 1020130008837 A KR1020130008837 A KR 1020130008837A KR 20130008837 A KR20130008837 A KR 20130008837A KR 101347662 B1 KR101347662 B1 KR 101347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ain body
groove
row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윤지
최유진
김희은
윤희용
Original Assignee
이윤지
김희은
최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지, 김희은, 최유진 filed Critical 이윤지
Priority to KR102013000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6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6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hand-held during 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wire winder comprising: an upper body; a lower body installed to be able to relatively move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through a hinge connection unit; and an elastic member installed at the hinge connection unit to restore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in an upper wire penetration groove and a lower wire penetration groove extending respectively inwards from a sid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penetrating vertically are formed at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a plug fixing groove is formed at an end in a depth direction of the lower wire penetration groove to fix an earphone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phone wir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and from tangling since the earphone wire winder on which the earphone wire was wound can be fixed at audio equipment.

Description

이어폰 줄감개{EARPHONE WIRE WINDER}Earphone bobbin {EARPHONE WIRE WINDER}

본 발명은 이어폰 줄감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형 오디오 기기에 착탈이 가능한 이어폰 줄감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bobbi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phone bobbin that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a portable audio device.

대중 교통이나 건물의 실내에서 휴대폰을 사용하여 음악을 듣거나 전화 통화를 할 경우, 또는 MP3 플레이어, CD플레이어, 워크 맨 또는 휴대형 라디오 등을 사용하여 음악을 듣는 경우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이어폰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When listening to music or talking on the phone using a mobile phone in public transport or indoors, or listening to music using an MP3 player, CD player, walkman, or portable radio, earphones to avoid harming those around you. It is common to use.

상기 휴대폰, MP3 플레이어, CD플레이어, 워크 맨 또는 휴대형 라디오와 같은 휴대형 오디오 기기에 항상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통 서로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게 된다.Earphones are not always connected to a portable audio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 CD player, a walkman or a portable radio. When not in use, earphones are usually stor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그런데, 이어폰의 줄이 길기 때문에 별도로 보관한 경우에는 서로 엉켜서 다시 사용할 경우 불편한 점이 있었고 분실의 우려도 컸다.However, because of the long string of earphones, when stored separately, they were inconvenient when they were intertwined and reu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어폰의 줄을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이어폰 줄감개가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이하 한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1-0003427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기초하여 일 예를 간략히 기술하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variety of earphone windings that can be wound around the earphones are disclosed, based o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342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Briefly describe an exampl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 줄감개는 걸이부(1)의 홈(30)을 통과한 줄이 걸이부(1) 본체에 감긴 후 걸이부(1)의 홈(20)을 연속적으로 통과하고, 유연한 재질의 경첩부(100)에 연결된 가림부(2)의 홈(40)을 통과하며, 가림부(2)가 경첩부(100)를 중심으로 접으면 감긴 줄이 가려지면서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arphone bobbi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wound around the main body of the hook part 1 passing through the groove 30 of the hook part 1, and then the groove 20 of the hook part 1. Pass continuously, pass through the groove 40 of the blind portion (2)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100 of a flexible material, and when the blind portion 2 is folded around the hinge portion 100, the wound cord is covered It is built and fixed.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의 이어폰 줄감개는 이어폰 줄이 본체에 감긴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엉키는 현상은 방지할 수 있으나, 휴대형 오디오 기기와는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분실될 우려가 여전히 높았다.However, the earphone string reel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ntangled because the earphone string is stored in the main body, but it is still highly likely to be lost because it is stored separately from the portable audio device.

1.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3427호(2011.04.06)1. Prior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1-0003427 (April 06, 201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분실의 위험이 없으면서도 이어폰 줄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고 모양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이어폰 줄감개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bobbin that can prevent the tangling of the earphone string without the risk of loss and can be expressed in various shape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감개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arphone st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부 본체;Upper body;

힌지 연결부를 통해 상기 상부 본체에 상대 힌지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본체; 및,A lower main body installed to allow relative hinge movement to the upper main body through a hinge connection part; And

상기 힌지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소정의 자세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Is installed in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n elastic member for restor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n a predetermined posture,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에는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상부 줄 관통홈과 하부 줄 관통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줄 관통홈의 깊이방향 단부에는 이어폰 플러그가 고정되는 플러그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main body and the lower main body are formed with upper row through grooves and lower row through grooves extending inwardly from one side of the upper main body and the lower main body an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lower row through groove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g fixing groove to which the earphone plug is fixed.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줄 관통홈과 하부 줄 관통홈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main body and the lower main body has a structu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the upper row through groove and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extends in the one direction It is done.

상기 플러그 고정홈의 직경은 상기 하부 줄 관통홈의 폭보다 크며 이어폰 플러그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ameter of the plug fixing groove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and is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earphone plug.

상기 하부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 줄 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상기 하부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힌지 연결부를 향해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between the one end of the lower main body toward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상기 상부 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줄 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차단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wer body of the upp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with the upper row through grooves therebetween.

상기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 줄 관통홈과 하부 줄 관통홈의 반대쪽에서, 상기 상부 본체 또는 하부 본체에는 상기 하부 본체 또는 상부 본체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row through groove and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around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the upper body or the lower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caught on the lower body or the upper body is installed.

상기 플러그 고정홈의 둘레에는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뒷쪽이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서 걸리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ircumference of the plug fix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caught over the rear of the earphone plug elastically formed.

또는, 상기 플러그 고정홈의 둘레에는 고무소재의 밀봉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ternatively, the sealing member of the rubber material is installed around the plug fixing groov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 줄을 감은 상태로 휴대형 오디오 기기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분실의 위험이 없고 이어폰 줄의 엉킴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t can be fixed to the portable audio device while the earphone string is wou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risk of loss and tangling of the earphone str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된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이용하여 흥미와 구매력을 유발시키는 다양한 모양을 표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xpressed in a variety of shapes that cause interest and purchasing power by using the separated upper body and lower bod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 줄감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감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감개의 줄 관통홈에 이어폰 줄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감개의 플러그 고정홈에 이어폰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감개에 의해 이어폰이 감기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이어폰 줄감개가 휴대형 오디오 기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bobbin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arphone string is coupled to the string through groove of the earphone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plug is coupled to the plug fixing groove of the earphone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is wound by the earphone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arphone string is coupled to a portable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감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감개의 줄 관통홈에 이어폰 줄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감개의 플러그 고정홈에 이어폰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감개에 의해 이어폰이 감기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이어폰 줄감개가 휴대형 오디오 기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arphone string coupled to the string through groove of the earphone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plug is coupled to the plug fixing groove of the earphone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is wound by the earphone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arphone string is coupled to a portable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감개(1000)는, 상부 본체(100), 힌지 연결부(300)를 통해 상기 상부 본체(100)에 상대 힌지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본체(200) 및, 상기 힌지 연결부(300)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를 소정의 자세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2 to 5, earphone bobbin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100, through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300 is installed to allow relative hinge movement to the upper body 100. The lower main body 200 is installed, and the hinge member 30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400 for restoring the upper main body 100 and the lower main body 200 in a predetermined posture.

물론, 상기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를 각각 상부와 하부로 지시할 필요는 없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기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를 각각 상부와 하부로 나타내도록 한다.Of course,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need not be directed to the upper and lower, respectively,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to show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as the upper and lower, respectively. do.

상기 힌지 연결부(300)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의 일단부를 서로 눌러서 접근시키면 타단부가 벌어지면서 이어폰 본체가 수용되는 공간(S)이 형성된다.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재(400)에 의해 상기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의 위치가 복원되면서, 수용된 이어폰 본체를 고정하게 된다.When one end of the upper main body 100 and the lower main body 200 are approached by pressing each other around the hinge connection part 300, a space S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earphone main body while the other end is opened.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moved, the positions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are restored by the elastic member 400, thereby fixing the received earphone body.

상기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에는 상기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의 일측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상부 줄 관통홈(110)과 하부 줄 관통홈(21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줄 관통홈(210)의 깊이방향 단부에는 이어폰(900)의 이어폰 플러그(910)가 고정되는 플러그 고정홈(220)이 형성된다.The upper main body 100 and the lower main body 200 extend inwardly from one side of the upper main body 100 and the lower main body 200, and the upper row through groove 110 and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210 are formed respectively, and a plug fixing groove 22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210 in a depth direction of the earphone plug 910 of the earphone 900.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힌지 연결부(300)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의 누름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has a structu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long,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300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using the finger It is preferable to facilitate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상기 상부 줄 관통홈(110)과 하부 줄 관통홈(210)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이어폰(900)의 이어폰 줄(920)을 하부 본체(200)에 용이하게 감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row through groove 110 and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210 may exten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earphone row 920 of the earphone 900 may be easily wound on the lower main body 200.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고정홈(220)에는 이어폰 플러그(910)의 뒷부분이 고정된다.As shown in FIG. 5, the rear portion of the earphone plug 910 is fixed to the plug fixing groove 220.

이어폰 줄(920)은 상기 하부 줄 관통홈(210)을 통과하고 상기 이어폰 플러그(910)는 플러그 고정홈(220)에 걸려서 위쪽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플러그 고정홈(220)의 직경은 상기 하부 줄 관통홈(210)의 폭보다 크며 이어폰 플러그(910)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earphone string 920 passes through the lower row through hole 210 and the earphone plug 910 is caught in the plug fixing groove 220 so as not to be discharged upward. It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tring through groove 210 and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earphone plug 910.

상기 이어폰 줄(920)을 상기 하부 본체(200)에 그대로 감아도 되지만 다른 물체에 접촉하면서 벗겨질 우려가 있다.The earphone string 920 may be wound around the lower body 200 as it is, but may come off while being in contact with another object.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본체(200)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 줄 관통홈(2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상기 하부 본체(200)의 일단으로부터 힌지 연결부(300)를 향해 다수의 걸림홈(230)이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ain body 200,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210 between both sides,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from one end of the lower main body 200 toward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300 on both sides. 230 is formed.

상기 걸림홈(230)은 이웃하는 걸림돌기(2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홈(230)에 이어폰 줄(920)이 감기도록 하면 상기 걸림돌기(240)에 걸려서 이어폰 줄(920)의 이탈이 방지된다.The locking groove 230 may be formed between neighboring locking protrusions 240, and when the earphone string 920 is wound around the locking groove 230, the locking protrusion 240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240. Departure is prevented.

또한, 상기 상부 본체(100)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줄 관통홈(1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차단 돌기(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blocking projection 120 is formed on both sides with the upper row through groove 110 therebetween.

도면에서는, 차단 돌기(120)가 상기 상부 본체(100)의 일단으로부터 힌지 연결부(300)를 향해 다수 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나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In the drawing, the blocking protrusion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ing protrusions 120 are formed from one end of the upper body 100 toward the hinge connection part 300, but may be formed as one body.

상기 차단 돌기(120)은 이어폰 본체(930)가 수용되는 공간(S)의 측면을 막아서 이어폰(900)의 이어폰 본체(930)가 측면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locking protrusion 120 may prevent the earphone body 930 of the earphone 900 from falling off to the side by blocking a side surface of the space S in which the earphone body 930 is accommodated.

한편, 상기 힌지 연결부(300)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 줄 관통홈(110)과 하부 줄 관통홈(210)의 반대쪽에서, 상기 상부 본체(100) 또는 하부 본체(200)에는 상기 하부 본체(100) 또는 상부 본체(200)에 걸리는 걸림고리(500)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row through groove 110 and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210 around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300, the upper main body 100 or the lower main body 200 in the lower main body 100 Or the catch ring 500 is caught on the upper main body 200 is installed.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본체(100)에 설치된 걸림고리(500)가 힌지 이동하여 하부 본체(200)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어폰 줄(920)을 상기 하부 본체(200)에 감는 동안 상기 공간(S)이 최대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결국 이어폰 줄(920)을 감는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since the hook ring 500 installed in the upper main body 100 can hinge to fix the lower main body 200, the earphone string 920 is attached to the lower main body 200. During the winding, the space S may be maintained as wide as possible, and thus, the winding of the earphone string 920 may be easily performed.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플러그(910)를 위쪽으로 밀 때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서 딸깍소리와 함께 걸리는 결합돌기(221)가 상기 플러그 고정홈(220)의 둘레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when the earphone plug 910 is pushed upward, the coupling protrusion 221 which is caught with a click sound and rides over is formed around the plug fixing groove 220. desirable.

또는, 상기 플러그 고정홈(220)의 둘레에는 고무소재의 밀봉부재가 설치되어 이어폰 플러그(910)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 sealing member made of a rubber material may be installed around the plug fixing groove 220 so that the earphone plug 910 may be firmly fix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힌지 연결부(300)를 감싸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그 양단이 상기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를 소정의 자세로 복원시킬 수 있는 다른 구조 또한 가능함을 밝혀둔다.As shown in Figure 2, the elastic member 400 is composed of a torsion spring surrounding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300 is configured so that both ends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respectively. desirabl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other structures capable of restoring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to a predetermined posture are also possibl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를 이용하여 동물의 머리나 자동차와 같은 흥미로운 모양을 표현할 수 있어 구매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can be used to express an interesting shape such as an animal's head or a car, thereby increasing purchasing power.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줄감개(1000)를 이용하여 이어폰 줄을 감는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winding the earphone string by using the earphone string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고리(500)가 설치된 쪽의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를 서로 눌러서 이어폰 본체(930)가 수용되는 공간(S)을 최대한 넓힌다.First, as shown in FIG. 4, by pressing the upper main body 100 and the lower main body 200 on the side where the hook 500 is installed, the space S in which the earphone main body 930 is accommodated is widened as much as possible.

다음, 걸림고리(500)를 하부로 힌지 이동시켜서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의 일단을 고정시킨다.Next, one end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is fixed by moving the locking ring 500 to the lower hinge.

그리고, 상기 이어폰 플러그(910)을 상기 하부 본체(200)의 아래쪽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어폰 줄(920)을 상기 상부 줄 관통홈(110)과 하부 줄 관통홈(210)에 삽입시키고 상기 상부 줄 관통홈(110)과 하부 줄 관통홈(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In addition, the earphone string 9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row through hole 110 and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210 in a state where the earphone plug 910 is disposed below the lower main body 200. It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groove 110 and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210.

상기 이어폰 줄(920)이 상기 상부 줄 관통홈(110)과 하부 줄 관통홈(210)의 깊이방향 단부까지 이동하게 되면 이어폰 줄(920)을 위쪽으로 잡아당겨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 플러그(910)의 뒷쪽이 상기 플러그 고정홈(220)에 걸리도록 한다.When the earphone string 920 moves to the depth direction end portions of the upper string through groove 110 and the lower string through groove 210, the earphone string 920 is pulled upward, as shown in FIG. 5. The rear side of the earphone plug 910 is caught by the plug fixing groove 220.

이 경우, 상기 플러그 고정홈(220)의 둘레에 결합돌기(221, 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이어폰 플러그(910)를 위쪽으로 밀 때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서 딸깍소리와 함께 걸림으로써 상기 이어폰 플러그(910)가 상기 플러그 고정홈(220)에 한층 밀접하고 견고하게 고정된다.In this case,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221 (see FIG. 3) is formed around the plug fixing groove 220, the earphone plug 910 is elastically ride over and pushes up with a click sound when the earphone plug 910 is pushed upward. The earphone plug 910 is fixed to the plug fixing groove 220 more closely and firmly.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줄 관통홈(110)으로부터 이어폰 줄(920)을 빼내어 상기 하부 본체(200) 둘레로 이어폰 줄(920)을 감는다.Next, as shown in FIG. 6, the earphone string 920 is removed from the upper string through groove 110 and the earphone string 920 is wound around the lower body 200.

이때, 상기 하부 본체(200)에 형성된 걸림홈(230)의 홈에 차례로 감는다. 이 경우 동일한 걸림홈(230)에 1회만 감을 필요는 없으며 중복되게 감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차례를 의식할 필요 없이 감아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grooves of the locking groove 230 formed in the lower main body 200 are sequentially wound. In this case, it does not need to be wound only once in the same latching groove 230, and it is also possible to wind it repeatedly. You can also wind up without having to be aware of your tur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줄(920)을 모두 감은 후에는 이어폰 본체(930)를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의 선단 부근 공간(S)에 수용시킨다.As shown in FIG. 7, after all the earphone strings 920 are wound, the earphone body 930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S near the tip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마지막으로, 상기 걸림고리(500)를 상부 본체(100) 또는 하부 본체(200)로부터 분리하여 고정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의 선단이 상기 탄성부재(400)에 의해 서로 접근하는 위치로 복원되어 이어폰 본체(930)를 강하게 고정하도록 한다.Finally, by separating the locking ring 500 from the upper main body 100 or the lower main body 200 to release the fixed state, the front end of the upper main body 100 and the lower main body 200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400. By restoring to a position close to each other by the strong to fix the earphone body 930.

이 상태는 상기 이어폰 플러그(910)가 하부 본체(20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서 상기 이어폰 플러그(910)을 그대로 휴대형 오디오 기기(600)의 이어폰 잭(610)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earphone plug 910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main body 200, and the earphone plug 910 may be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610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600 as it is and fixed.

이와 같이 상기 이어폰 플러그(910)가 휴대형 오디오 기기(600)의 이어폰 잭에 고정되고, 이어폰 플러그(910)를 포함한 이어폰(900)이 이어폰 줄감개(1000)에 감겨 있으므로 이어폰(900)이 항상 휴대형 오디어 기기와 함께 보관되고, 이에 따라 분실의 우려가 없게 된다.As such, the earphone plug 910 is fixed to the earphone jack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600, and the earphone 900 including the earphone plug 910 is wound around the earphone string 1000. It is stored together with the audio device, so that there is no risk of loss.

이어폰(900)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이어폰 줄감개(1000)를 휴대형 오디어 기기로부터 분리하고, 걸림고리(500)가 설치된 쪽의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를 서로 눌러서 이어폰 본체(930)가 수용되는 공간(S)을 최대한 넓힌 상태에서 이어폰 본체(930)를 꺼내고 이어폰 줄(920)을 하부 본체(200)로부터 풀어서 분리한다.In case of using the earphone 900, first, the earphone string 1000 is removed from the portable audio device, and the earphone main body is pressed by pressing the upper main body 100 and the lower main body 200 on the side where the hook ring 500 is installed. The earphone body 930 is taken out from the state in which the space S 930 is accommodated as wide as possible, and the earphone string 920 is released from the lower body 200 and separated.

다음, 이어폰 플러그(910)를 휴대형 오디오 기기(600)에 삽입하고 이어폰 줄(920)을 하부 줄 관통홈(210)과 상부 줄 관통홈(110)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킨 상태에서 이어폰 본체(930)를 귀에 꽂아서 사용하면 된다.
Next, the earphone plug 910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audio device 600, and the earphone main body 930 in the state where the earphone string 920 is continuously passed through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210 and the upper row through groove 110. Just plug it into your ea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appropriately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상부 본체
110... 상부 줄 관통홈
200... 하부 본체
210... 하부 줄 관통홈
300... 힌지 연결부
400... 탄성부재
500... 걸림고리
600... 오디오 기기
900... 이어폰
1000... 이어폰 줄감개
100 ... upper body
110 ... upper row through hole
200 ... lower body
210 ... Lower row through groove
300 ... hinge connections
400 ... elastic member
500 ... hook
600 ... Audio Equipment
900 ... earphone
1000 ... earphone string

Claims (8)

상부 본체;
힌지 연결부를 통해 상기 상부 본체에 상대 힌지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본체; 및,
상기 힌지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소정의 자세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에는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상부 줄 관통홈과 하부 줄 관통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줄 관통홈의 깊이방향 단부에는 이어폰 플러그가 고정되는 플러그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감개.
Upper body;
A lower main body installed to allow relative hinge movement to the upper main body through a hinge connection part; And
Is installed in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n elastic member for restor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n a predetermined posture,
The upper main body and the lower main body are formed with upper row through grooves and lower row through grooves extending inwardly from one side of the upper main body and the lower main body an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lower row through grooves. Earphone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g fixing groove is formed is fixed to the earphone plu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줄 관통홈과 하부 줄 관통홈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감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main body and the lower main body has a structu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the upper row through groove and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extends in the one direction Earphone bobbin made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홈의 직경은 상기 하부 줄 관통홈의 폭보다 크며 이어폰 플러그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감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ameter of the plug fixing groove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earphone earphone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earphone plug.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 줄 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상기 하부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힌지 연결부를 향해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감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Earphone bobbi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between the one end of the lower body toward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 줄 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차단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감개.
5. The method of claim 4,
Earphone bobbin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the block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with the upper row of through grooves therebetween.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 줄 관통홈과 하부 줄 관통홈의 반대쪽에서, 상기 상부 본체 또는 하부 본체에는 상기 하부 본체 또는 상부 본체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감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Earphone bobbin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caught on the lower body or the upper bod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row through groove and the lower row through groove around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홈의 둘레에는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뒷쪽이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서 걸리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감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earphone string reel is formed around the plug fixing groove, wherein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ear of the earphone plug to be elastically ride ov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홈의 둘레에는 고무소재의 밀봉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줄감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Earphone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member of the rubber material is installed around the plug fixing groove.
KR1020130008837A 2013-01-25 2013-01-25 Earphone wire winder KR1013476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837A KR101347662B1 (en) 2013-01-25 2013-01-25 Earphone wire wi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837A KR101347662B1 (en) 2013-01-25 2013-01-25 Earphone wire w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662B1 true KR101347662B1 (en) 2014-01-09

Family

ID=5014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837A KR101347662B1 (en) 2013-01-25 2013-01-25 Earphone wire win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66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752B1 (en) * 2014-01-20 2015-04-16 삼본정밀전자(주) Cable winding device for earphones
KR200485717Y1 (en) 2017-08-02 2018-02-13 이상민 Ornaments for fixing earphones
CN110025093A (en) * 2018-01-11 2019-07-19 东北林业大学 It is a kind of for storing the wrist-watch of PlayGear Stealt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507Y1 (en) 2005-06-24 2005-10-05 우양기 String fixing equipment by used earphone and headphone
KR200400074Y1 (en) 2005-08-23 2005-11-01 양두영 improved simple line case for earphone
KR20100000698U (en) * 2008-07-14 2010-01-22 하형규 Earphone wire winder
KR200462974Y1 (en) 2012-02-27 2012-10-16 오승렬 Line wider for earphon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507Y1 (en) 2005-06-24 2005-10-05 우양기 String fixing equipment by used earphone and headphone
KR200400074Y1 (en) 2005-08-23 2005-11-01 양두영 improved simple line case for earphone
KR20100000698U (en) * 2008-07-14 2010-01-22 하형규 Earphone wire winder
KR200462974Y1 (en) 2012-02-27 2012-10-16 오승렬 Line wider for earphon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752B1 (en) * 2014-01-20 2015-04-16 삼본정밀전자(주) Cable winding device for earphones
KR200485717Y1 (en) 2017-08-02 2018-02-13 이상민 Ornaments for fixing earphones
CN110025093A (en) * 2018-01-11 2019-07-19 东北林业大学 It is a kind of for storing the wrist-watch of PlayGear Steal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244B1 (en) Ear set having an automatic winding apparatus
KR101538300B1 (en) Apparatus of automatic winding for cord
KR100584434B1 (en) Mobile phone with earphone winding apparatus therein
US201503657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eadphone Wires
KR101347662B1 (en) Earphone wire winder
JP5747484B2 (en) Stereo headphones and stereo headphones slider
KR101216318B1 (en) Mobile phone having funcion of winding wire of earphone
KR200463097Y1 (en) Case of portable terminal with rell type earphone and detachable rell type earphone
US9896301B2 (en) Cord management devices and methods
KR20090003689A (en) Receiving apparatus for earphone
WO2012053742A3 (en) Earphones equipped with automatic wire winding function for more convenient and sanitary storage
JP5597858B2 (en) Headphone cable entanglement prevention structure
KR200462974Y1 (en) Line wider for earphones
KR101577902B1 (en) Earphone device
KR101367110B1 (en) Earphone wire winding device
KR200462710Y1 (en) An earphone which has a variable extension line
CN205610886U (en) Can accomodate extension formula earphone of line
JP2012136351A (en) Card-shaped cord holder
US20160353192A1 (en) Earphone cord managing device
JP5001454B1 (en) Earphone with cord entanglement prevention mechanism and earphone cord entanglement prevention tool
KR101583425B1 (en) New Earphone for a preventing tangle of earphone lines
KR102634803B1 (en) Anti-tangle of earphone cord
JP6869651B2 (en) Earphones with channels for code management
JP2018037913A (en) Earphone housing tool and earphone
CN205545811U (en) Antiwind knotting device of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