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135B1 -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IEEE802.11e HCCA PROTOCOL - Google Patents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IEEE802.11e HCCA PROTOC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135B1
KR101345135B1 KR1020070086742A KR20070086742A KR101345135B1 KR 101345135 B1 KR101345135 B1 KR 101345135B1 KR 1020070086742 A KR1020070086742 A KR 1020070086742A KR 20070086742 A KR20070086742 A KR 20070086742A KR 101345135 B1 KR101345135 B1 KR 101345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access point
frame
polled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21869A (en
Inventor
정진우
정홍규
김병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6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135B1/en
Publication of KR2009002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8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1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04L47/28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in response to processing delays, e.g. caused by jitter or round trip time [RT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액세스 포인트(AP)가 업링크 스케줄링 동안, RTS/CTS 등의 프레임을 통하여 스테이션(STA)으로부터 정확한 큐(Queue)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태정보 수신시점과 TXOP 할당시점간의 시간지연인 렉(lag)을 감소시킴으로써, 시간 또는 위치에 따른 채널의 조건이 다양한 무선 매체에 있어서, 유선 네트워크의 스케줄러에서와 같이 효율적인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다 많은 트래픽 스트림을 허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of the HCCA protocol, wherein an access point (AP) receives accurate queue status information from a station (STA) through a frame such as an RTS / CTS during uplink scheduling, and thus status information. By reducing the lag, which is the time delay between the reception time and the TXOP allocation time, efficient scheduling is possible as in the scheduler of a wired network in a wireless medium having various channel conditions according to time or loc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llow more traffic streams,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network.

HCCA, Queue, 렉, 스케줄링 HCCA, Queue, Rack, Scheduling

Description

IEEE 802.11e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방법 및 시스템{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IEEE802.11e HCCA PROTOCOL}ICHEE METHOD AND SYSTEM FOR IEEE802.11e HCCA PROTOCOL

본 발명은 효율적인 스케줄링이 가능한 HCCA 프로토콜 기반의 스케줄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the HCCA protocol capable of efficient scheduling.

IEEE 802.1는 무선네트워크 표준 재정에 관여하고 있는 IEEE의 작업그룹으로, DSSS, FHSS, 적외선 방식에 대한 표준을 마련하고 있다. IEEE는 1998년에 FHSS와 DSSS 2Mbps프로토콜을 인준했으며, 1998년 말에 802.11 FHSS와 DSSS의 상호구동성을 한 단계 발전시킨데 이어, 1999년 말에는 IEEE 802.11의 고속 표준(2.4GHz 11Mbps)을 인준했다.IEEE 802.1 is a working group of IEEE that is involved in the redefinition of wireless network standards. It is setting standards for DSSS, FHSS, and infrared methods. The IEEE ratified the FHSS and DSSS 2 Mbps protocols in 1998, and at the end of 1998, furthered the interoperability of 802.11 FHSS and DSSS.In late 1999, the IEEE ratified the IEEE 802.11 high-speed standard (2.4 GHz 11 Mbps). did.

IEEE 802.11 표준은 MAC 레이어에서 정의된 접속 방식인 DCF(Distributed Cordination Function)와 PCF(Point Cordination Function)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IEEE 802.11e는 다양한 QoS 를 지원할 수 있도록 802.11 MAC 레이어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The IEEE 802.11 standard does not satisfy the various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of the Distributed Cordination Function (DCF) and Point Cordination Function (PCF), which are defined in the MAC layer. Therefore, IEEE 802.11e was created to improve the 802.11 MAC layer to support various QoS.

QoS 향상의 목적으로 IEEE 802.11e가 제안한 채널 접속 방식은 HCF(Hybrid Coordination Function)이며, HCF는 EDCF(Enhanced DCF)라는 경쟁 기반의 채널 접 속 방식과 폴링 방식(Polled Channel Access)을 함께 사용한다.The channel access method proposed by IEEE 802.11e for the purpose of QoS improvement is HCF (Hybrid Coordination Function), and HCF uses a polled channel access method and a polled channel access method called EDCF (Enhanced DCF).

이와 같은 기존의 IEEE 802.11e의 방식에서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가 스테이션들에게 구간을 지정해 주어, 해당 구간 동안에만 데이터 전송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전체적인 형평을 맞추고 대역폭을 할당한다. 이러한 구간을 TXOP(Transmission Opportunity)라 한다. 스테이션들은 코디네이터에게 약속된 대역폭 정보 이외에 다이내믹한(dynamic)한 큐 상태를 알려서 필요에 따라 좀 더 많거나 적은 TXOP를 할당 받는다. 이러한 큐 사이즈 정보는 TXOP기간 중에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에 포함하여 전송한다.In the conventional IEEE 802.11e scheme, a coordinator assigns intervals to stations, and allocates bandwidth to the entire spectrum by applying data transmission only during the interval. This section is called TXOP (Transmission Opportunity). Stations are informed of the dynamic queue state in addition to the bandwidth information promised by the coordinator to be allocated more or less TXOP as needed. Such queue size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a data frame during the TXOP period.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복수개의 스테이션(STA)이 존재 시에, 스테이션의 큐 사이즈를 알린 후 TXOP를 할당 받는 데까지, 다른 스테이션들에게 할당된 TXOP 동안의 인터벌을 기다려야 하며, 따라서 큐 사이즈의 증감을 TXOP에 정확히 반영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is method must wait for an interval during TXOP allocated to other stations until it is notified of the queue size of the station and the TXOP is allocated when there is a plurality of STAs, and thus the queue size increases or decreases. It was impossible to accurately reflect on the disadvant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액세스 포인트(AP)가 업링크 스케줄링 동안, RTS/CTS 등의 프레임을 통하여 스테이션(STA)으로부터 정확한 큐(Queue)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렉(lag)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rein an access point (AP) receives accurate queue state information from a station (STA) through a frame such as RTS / CTS during uplink scheduling. It is aimed at reducing la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 또는 위치에 따른 채널의 조건이 다양한 무선 매체에 있어서, WFF, DRR 등의 유선 네트워크의 스케줄러에서와 같이 효율적인 스케줄링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많은 트래픽 스트림을 허용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wireless medium having a variety of channel conditions according to time or location, as in the scheduler of a wired network such as WFF and DRR, efficient scheduling is possible, thereby allowing more traffic streams. It aims to improve performance.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AP)가 TXOP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비경쟁 폴(CF-Poll)을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TXOP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할당된 TXOP 듀레이션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scheduling method of the HCCA protoco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 transmits a non-competition poll (CF-Poll) contain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XOP to the station And transmitting, by the station, a data frame (during an assigned TXOP dur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XOP, wherein the transmitting of the frame comprises: Transmitting the queue state information of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side, and controlling the station to transmit a data frame based on the received queue state information and the access point receiving the queue state information.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큐 상태 정보는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 정보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polled TXOP duration information polled on the st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큐 상태 정보는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included in a frame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rame is a Request to Send (RTS) fram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수신한 상기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의 조절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판단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tation to transmit the data frame, based on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of the station received by the access point, a polled TXOP duration on the station (Polled TXOP duration Determining, by the access point, the transmission of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station, and receiving, by the stati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mitting a data frame based on the received determination result.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판단 결과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included in a frame transmitted from the access point to the station 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CTS(Clear to Send) 프레임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rame is a CTS (Clear to Send) frame.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AP)가 업링크 스케줄링 동안, RTS/CTS 등의 프레임을 통하여 스테이션(STA)으로부터 정확한 큐(Queue)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렉(lag)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cess point (AP) may receive accurate queue state information from a station (STA) through a frame such as RTS / CTS during uplink scheduling to reduce la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 또는 위치에 따른 채널의 조건이 다양한 무선 매체에 있어서, WFF, DRR 등의 유선 네트워크의 스케줄러와 같이 효율적인 스케줄링이 가능하여, 보다 많은 트래픽 스트림을 허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wireless medium having various channel conditions according to time or location, efficient scheduling is possible, such as a scheduler of a wired network such as WFF and DRR, and thus, it is possible to allow more traffic streams. Can improve the performance.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IEEE 802.11e는 IEEE내에서 QoS(Quality of Service)보증과 802.1x와 결합된 보안 등 MAC 강화를 위한 표준화 그룹이다. 따라서 QoS요구를 가지는 LAN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도록 802.11.MAC층을 강화하는 것과 보안. 그리고 프로토콜의 효율과 능력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IEEE 802.11e is a standardization group for MAC enhancement such as QoS (Quality of Service) guarantee and security combined with 802.1x in IEEE. Thus, enhancing the 802.11.MAC layer to support LAN applications with QoS requirements and security. The aim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capabilities of the protocol.

HCF(Hybrid Coordination Function) 비경쟁 채널 접속 방식인 HCCA(HCF Controlled Channel Access) 프로토콜은 액세스 포인트와 스테이션 간의 계약에 기반을 두고 패러미터(Parameterize) QoS를 지원한다.The HCF Controlled Channel Access (HCCA) protocol, a hybrid coordination function (HCF) non-competitive channel access method, supports parameter QoS based on a contract between an access point and a 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heduling system of the HCCA protoc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AP) 및 스테이션(STA)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액세스 포인 트(110)는 제어부(111) 및 전송부(1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테이션(120)은 수신부(121) 및 송신부(12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scheduling system of the HCCA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ss point (AP) and a station (STA), and the access point 110 includes a control unit 111 and a transmission unit. 112, etc., the station 120 includes a receiver 121, a transmitter 122, and the like.

액세스 포인트(AP)는 TXOP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비경쟁 폴(CF-Poll)을 제공하며, 스테이션(STA)으로부터 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제어한다.The access point (AP) provides a non-competition poll (CF-Poll) con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XOP, receives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tation (STA) and based on the received queue status information, the station is a data frame Control to send.

스테이션(STA)은 TXOP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하고, 할당된 TXOP 듀레이션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The station STA transmits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of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sid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XOP, and transmits a data frame during the assigned TXOP duration.

이때, 상기 큐 상태 정보는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정보로서,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어 전달되며, 상기 프레임은 RTS(Request to Send)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XOP duration information polled on the station, which is included in a frame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and the frame is used to request to send (RTS). Can be.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의 전송부(112)는, TXOP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비경쟁 폴(CF-Poll)을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며, 제어부(111)는 상기 비경쟁 폴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제어한다.The transmitting unit 112 of the access point 110 transmits a non-competitive poll (CF-Poll)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XOP to the station, and the control unit 111 is a queue of the station as a response to the non-competitive poll. Receives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station to transmit a data frame based on the received queue status information.

특히, 상기 제어부(111)는 수신한 상기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의 조절을 판단하고, 상기 전송부(112)는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한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11 determines the adjustment of the polled TXOP duration polled on the station based on the received queue state information of the station, and the transmitter 112 determines the determination result. Transmit to the station side.

본 발명의 제어부(111)는 HCCA 프로토콜의 엑세스 포인트에서, 무선 매체 접 근에 대한 중앙 관리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HC(Hybrid Coordinator)가 사용될 수 있다.In the access point of the HCCA protocol, the control unit 11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hybrid coordinator (HC) used for central management of wireless medium access.

HC는 무선 매체를 중앙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스테이션 간 무선 매체에 대한 경쟁을 줄임으로써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HC의 제어에 의해 프레임 교환을 아주 짧고 일정한 전송 지연시간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HC centrally manages wireless media, increasing network efficiency by reducing competition for wireless media between stat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HC, the frame exchange can be kept at a very short and constant transmission delay time.

따라서, HC는 EDCA 프로토콜에서의 CW(Contention Window)와는 다르게 네트워크 상의 트래픽이 증가해도 프레임간 전송 지연시간은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동일 HC의 제어를 받지 않지만,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스테이션(STA)을 제외하고는 전송 프레임 간 충돌 가능성은 거의 없다. 패러미터 QoS 지원을 위해 응용 서비스로부터의 특정한 QoS 트래픽에 대해 개별 맞춤화된 QoS 패러미터로 적용하고 엄격한 전송 지연과 스케줄링 제어를 한다.Thus, unlike the CW (Contention Window) in the EDCA protocol, HC does not increase the interframe transmission delay even if the traffic on the network increases. In addition,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ransmission frames except for a station (STA) which is not controlled by the same HC but uses the same frequency band. For parameter QoS support, individual QoS parameters are applied to specific QoS traffic from application services and strict transmission delays and scheduling controls.

HCCA에서는 패러미터화된 QoS를 요구하는 어떤 프레임의 전송을 개시하기 이전에 트래픽 스트림(Traffic Stream)이라는 가상 연결(Virtual Connection)을 우선적으로 설정한다. 트래픽 스트림은 스테이션(STA)과 액세스 포인트(AP)의 업링크(Uplink), 액세스 포인트와 스테이션 간의 다운링크(Downlink), 또는 스테이션 과 스테이션 간의 직접 링크 모두에 해당될 수 있다.The HCCA preferentially establishes a virtual connection called a traffic stream before initiating transmission of any frame requiring parameterized QoS. The traffic stream may correspond to an uplink of a station STA and an access point, a downlink between an access point and a station, or a direct link between a station and a station.

액세스 포인트와 스테이션간에 트래픽 스트림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프레임 크기, 평균 전송 속도 등의 트래픽 특성, 그리고 지연 시간과 같은 QoS 요구 패러미터들이 상호 협상 과정을 통해 교환된다. 또한 HC는 호 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해 특정한 트래픽 스트림을 해당 BSS(Basic Service Set)로 받아들일 것인지를 최종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order to establish a traffic stream between an access point and a station, QoS requirements such as frame size, average transmission rate, and latency are exchanged through mutual negotiation. In addition, HC implements a call control algorithm to make a final decision whether to accept a specific traffic stream as a corresponding basic service set (BSS).

상기 스테이션(120)의 수신부(121)는 TXOP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비경쟁 폴(CF-Poll)을 수신하고, 송신부(122)는 상기 비경쟁 폴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하며, 상기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 측으로 전송한다.The receiving unit 121 of the station 120 receives a non-competitive poll (CF-Poll)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XOP, and the transmitting unit 122 receives the queue state information of the station as a response to the non-competitive poll. And transmits the data frame to the access point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access point 110 based on the queue state information.

특히, 상기 수신부(121)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의 조절을 판단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122)는 상기 수신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In particular, the receiver 121 receives a result of determining adjustment of a polled TXOP duration polled on the station from the access point, and the transmitter 122 receives a data frame based on the received determination result. Send it.

이때, 상기 판단 결과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며, 상기 프레임은 CTS(Clear to Send)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result is included in a frame transmitted from the access point to the station side, and the frame may be a clear to send (CTS) frame.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수퍼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HC가 비경쟁 구간 및 경쟁 구간에서 TXOP를 제공하는데 있어서의 수퍼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perfram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superframe in which an HC provides TXOP in a non-competition period and a contention perio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퍼프레임(superframe)은 비경쟁 구간(Contention Free Period: CFP) 및 경쟁 구간(Contention Period: CP)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a super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ion free period (CFP) and a contention period (CP).

비경쟁 구간(CFP: 210)에서는 본 발명의 액세스 포인트(110)의 제어부(111), 즉 HC(Hybrid Coordinator)가 매체에 대한 전체적인 제어권을 가지고 스테이션에게 전송 기회를 부여한다. 또한, 경쟁 구간(CP: 220)에서는 EDCA 방식으로 스테이션에게 전송기회를 부여한다.In the non-competition period (CFP) 210, the control unit 111 of the access poin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hybrid coordinator (HC), gives the station a transmission opportunity with overall control over the medium. In addition, in the contention period (CP: 220), a transmission opportunity is given to the station by the EDCA method.

HC가 스테이션 측으로 QoS CF-Poll 프레임(230)을 전송할 경우, 해당 스테이션에게 허용된 서비스 제공 시간인 TXOP(The concept of transmission opportunity)를 정의한 TXOP 제한 값이 QoS 제어 필드에 포함된다. 즉, HC는 TXOP를 사용해 매체 접근 시간의 할당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HC transmits the QoS CF-Poll frame 230 to the station side, a TXOP restriction value defining the concept of transmission opportunity (TXOP), which is a service provision time allowed to the station, is included in the QoS control field. That is, the HC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allocation of medium access time using TXOP.

HCCA의 중요한 QoS 패러미터중 하나인 TXOP 제한 값은 TSPEC(Traffic Specification)에 의해 결정되며, TSPEC에는 명목 MSDU size(Nominal MSDU size), 최대 MSDU size(Maximum MSDU size), 최소 서비스 인터벌(Minimum Service Interval), 최대 서비스 인터벌(Maximum Service Interval), 비활성 인터벌(Inactivity Interval), 최소 데이터 전송 속도(Minimum Data Rate), 평균 데이터 전송 속도(Mean Data Rate), 최대 버스트 사이즈(Maximum Burst Size), 최소 PHY rate, 피크 데이터 rate(Peak Data Rate), 딜레이 바운드(Delay Bound), 및 허용된 서플러스 대역폭(Suplus Badnwidth Allowed) 등이 있다.TXOP limit value, one of HCCA's important QoS parameters, is determined by TSPEC (Traffic Specification), which includes nominal MSDU size, maximum MSDU size, and minimum service interval , Maximum Service Interval, Inactivity Interval, Minimum Data Rate, Mean Data Rate, Maximum Burst Size, Minimum PHY Rate, Peak Data Rate, Delay Bound, and Suplus Badnwidth Allowed.

TSPEC은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며, 액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TSPEC의 요청에 대해 허용 또는 거절을 할 수 있다.The TSPEC is requested by the station, and the access point may allow or reject the TSPEC's request depending on the network situation.

액세스 포인트(AP)가 TXOP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CF-Poll 프레임(230)을 전송하면, 스테이션(STA)은 상기 CF-Poll 프레임(230)을 수신한다. When the access point AP transmits a CF-Poll frame 230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XOP, the station STA receives the CF-Poll frame 230.

상기 CF-Poll 프레임(230)에는 TXOP와 관련된 정보, 즉 스테이션(STA)의 TXOP(240)에서의 전송할 수 있는 프레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The CF-Poll frame 230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TXOP, that is, information about a frame that can be transmitted in the TXOP 240 of a station (STA).

스테이션(STA)은 상기 CF-Poll 프레임(230)을 수신하고, 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241)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AP) 측으로 전송하는데, 이때 상기 프레임은 CTS(Clear to send)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큐 상태 정보는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정보이다.The station STA receives the CF-Poll frame 230 and transmits a frame 241 including queue status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wherein the frame is to use clear to send (CTS). Can be. In particular,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Polled TXOP duration information polled on a station.

액세스 포인트(AP)는 상기와 같은, 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241)을 수신하고, 상기 스테이션 상의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의 조절을 판단한 후, 판단 결과를 스테이션(STA) 측으로 전송하는데, 이때 액세스 포인트(AP)는 상기 판단 결과를 프레임(242)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레임은 RTS(Request to send)가 사용될 수 있으며, 802.11e에서는 비경쟁 구간(CFP) 또는 CAP(Contolled Access Period) 동안의 RTS/CTS의 사용은 옵션 사항이다.The access point (AP) receives the frame 241 including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and adjusts the polled TXOP duration on the station based on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on the station. After the determinatio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station STA. In this case, the access point AP may include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frame 242 and transmit the determination result. In particular, the frame may be a request to send (RTS), and in 802.11e, the use of the RTS / CTS during a non-competition period (CFP) or a controlled access period (CAP) is optional.

스테이션(STA)은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프레임(242)을 수신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243)을 전송한다.The station STA receives the frame 242 including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mits the data frame 243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이후, 데이터 프레임(243)의 전송이 완료되면, 액세스포인트(AP)는 Ack 프레임(244)을 전송한다.Thereafter,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frame 243 is completed, the access point AP transmits the Ack frame 244.

즉, TXOP 소유자라고 불리우는 폴링된 스테이션(STA)은, 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241), 예를 들어 CTS(Request to send)를 수신하고, 상기 큐 상태 정보의 TXOP 제한 값만큼의 시간 동안 채널 접속에 대한 권한을 갖고 데이터 프레임(243)을 전송한다. 이때, 다른 스테이션들은 TXOP 시간과 일정 시간을 합해 자신의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설정하며, 이 시간 동안은 채널 접속에 대 한 경쟁을 하지 않는다.That is, a polled station (STA), called a TXOP owner, receives a frame 241 containing queue status information, for example, Request to send (CTS), for a time equal to the TXOP limit value of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Send data frame 243 with authority to channel access. At this time, other stations set their own Network Allocation Vector (NAV) by adding TXOP time and a certain time, and do not compete for channel access during this tim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AP)가 업링크 스케줄링 동안, RTS/CTS 등의 프레임을 통하여 스테이션(STA)으로부터 정확한 큐(Queue)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렉(lag)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uplink scheduling, the access point (AP) may receive accurate queue state information from the station (STA) through a frame such as RTS / CTS to reduce the lag.

그러므로, 시간 또는 위치에 따른 채널의 조건이 다양한 무선 매체에 있어서, WFF, DRR 등의 유선 네트워크의 스케줄러와 같이 효율적인 스케줄링이 가능하여, 보다 많은 트래픽 스트림을 허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a wireless medium having various channel conditions according to time or location, efficient scheduling can be performed like a scheduler of a wired network such as WFF and DRR, thereby allowing more traffic stream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network. .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cheduling system of the HCCA protoco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2.11e HCCA 업링크 시스템(Uplink System)은 스위치 출력 포트(switch output port)를 내장한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802.11e HCCA Uplink System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erver having a switch output port.

스테이션(120)이 RTS 등의 프레임을 통하여 정확한 큐(Queue)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액세스 포인트(110)는 큐(Queue)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렉(lag)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110)의 제어에 의해서 각 스테이션(120)으로 리소스(140)의 효율적인 분배가 이루어진다.The station 120 may provide accurate queue state information through a frame such as an RTS, and the access point 110 may receive queue state information to reduce lag. Thus, the efficient distribution of resources 140 to each station 120 is controlled by the access point 110.

즉, 종래의 무선 서버에서는, 큐(130)의 상태가 일정 시간 후에 전달되는데, 이것을 렉(lag)이라고 하며, 이와 같은 렉은 서비스 인터벌(Service Interval) 내에 존재하게 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server, the state of the queue 130 is transmitted after a certain time, which is called a lag, and such a rack exists within a service interval.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 서버의 경우에서와 같이, 큐(130)의 상태가 즉시 스케줄러(115) 측으로 즉시 전달되므로, 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case of a wired server, since the state of the queue 130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scheduler 115 sid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ack.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RTS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CTS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RTS fram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TS fram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TS 프레임(Request to send) 또는 CTS(에는 프레임의 크기를 나타내는 2 byte 크기의 듀레이션(Duration) 필드(410, 420)가 포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an RTS frame (Request to send) or a CTS (2D) includes duration fields 410 and 420 having a 2-byte size indicating the size of the frame.

802.11e에서는 비경쟁 구간(CFP) 또는 CAP(Contolled Access Period) 동안의 RTS/CTS 프레임의 사용은 옵션 사항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RTS/CTS 등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스테이션(STA) 상의 큐 상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AP) 측으로 제공하여, 상기 스테이션(STA)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이 조절된다.In 802.11e, the use of an RTS / CTS frame during a non-competition period (CFP) or a controlled access period (CAP) is optional. In the present invention, a queue state on a station (STA) using the above-described RTS / CTS frame is used. By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AP) side, the polled TXOP duration on the station STA is adjus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scheduling system of an HCCA protoco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액세스 포인트(AP: 110)가 TXOP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비경쟁 폴(CF-Poll)을 스테이션(STA: 120) 측으로 전송하면(S610), 스테이션(STA: 120)은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한다(S620). 이때, 상기 큐 상태 정보는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 정보이고,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데, 이때 상기 프레임은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AP 110 transmits a non-competition poll (CF-Poll)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XOP to the station (STA) 120 (S610), the station (STA) 120 recalls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of the station. Transmit to the access point (S620). In this case,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polled TXOP duration information polled on the station, and is included in a frame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wherein the frame uses a request to send (RTS) frame. Can be.

액세스 포인트(AP) 수신한 상기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의 조절을 판단하고(S630),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한다(S640).On the basis of the received queue state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AP), it is determined to adjust the polled TXOP duration polled on the station (S630), and the access point transmits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station side. Transmit (S640).

이때, 상기 판단 결과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며, 상기 프레임은 CTS(Clear to Send)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result is included in a frame transmitted from the access point to the station side, and the frame may be a clear to send (CTS) frame.

스테이션(STA)은 상기 판단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S650).The station STA receives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mits a data frame based on the received determination result (S65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heduling system of the HCCA protoc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수퍼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perfram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cheduling system of the HCCA protoco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RTS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4 illustrates an RTS fram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CTS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5 illustrates a CTS fram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scheduling system of an HCCA protoco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액세스 포인트(AP)110: access point (AP)

111: 제어부111:

112: 전송부112: transmission unit

120: 스테이션(STA)120: station (STA)

121: 수신부121: receiver

122: 송신부122: transmitter

Claims (33)

액세스 포인트(AP)가 TXOP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비경쟁 폴(CF-Poll)을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Sending, by the AP, a non-competitive poll (CF-Poll)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XOP to the station; And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TXOP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The station transmitting a data fram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XOP 를 포함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In the scheduling method of the HCCA protocol comprising a, 상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는,The step of transmitting the frame,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The station transmitting queue state information of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side; And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The access point receiving the queue stat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station to transmit a data frame based on the received queue state information;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Controlling the station to transmit the data frame,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수신한 상기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의 조절을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an adjustment of a polled TXOP duration polled on the station based on the queue state information of the station received by the access point;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The access point transmit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station side; And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판단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The station receiving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mitting a data frame based on the received determination resul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방법.Scheduling method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큐 상태 정보는,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 정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방법.Scheduling method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led TXOP duration (polled TXOP duration) information on the st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큐 상태 정보는,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방법.Scheduling method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in a frame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프레임은,The frame,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방법.Scheduling method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quest to Send (RTS) fra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판단 결과는,The determination result is,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방법.Scheduling method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in a frame transmitted from the access point to the station sid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프레임은,The frame, CTS(Clear to Send)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방법.A scheduling method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the CTS (Clear to Send) frame. TXOP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비경쟁 폴(CF-Poll)을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AP)가; 및An access point (AP) providing a non-competitive poll (CF-Poll) compri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XOP; And 상기 TXOP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스테이션A station for transmitting a data fram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XOP 을 포함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scheduling system of the HCCA protocol comprising: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The access point comprising: 상기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의 조절을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며,Receiving queue status information of the station, determining an adjustment of a polled TXOP duration polled on the station based on the received queue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station side, Controls the station to transmit data frames, 상기 스테이션은,The station, 상기 큐 상태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판단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And transmitting the queue state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receiving the determination result from the access point, and transmitting a data frame based on the received determination result.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큐 상태 정보는,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 정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Scheduling system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led TXOP duration (polled TXOP duration) information on the station.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큐 상태 정보는,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And a frame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프레임은,The frame,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A scheduling system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quest to Send (RTS) frame.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판단 결과는,The determination result is,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And a frame transmitted from the access point to the station side. 제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프레임은,The frame, CTS(Clear to Send)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 시스템.A scheduling system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the CTS (Clear to Send) frame. TXOP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비경쟁 폴(CF-Poll)을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a non-competitive poll (CF-Poll)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XOP to the station; And 상기 비경쟁 폴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Receiving queue status information of the station as a response to the non-competition poll, and controlling the station to transmit a data frame based on the received queue status information;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Controlling the station to transmit the data frame,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수신한 상기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의 조절을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an adjustment of a polled TXOP duration polled on the station based on the queue state information of the station received by the access point; And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The access point transmit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station sid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the access point of the HCCA protocol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큐 상태 정보는,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 정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the access point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led TXOP duration (polled TXOP duration) information on the station.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큐 상태 정보는,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And a frame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side. 삭제delete TXOP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비경쟁 폴(CF-Poll)을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non-competitive poll (CF-Poll)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XOP to the station; And 상기 비경쟁 폴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queue state information of the station as a response to the non-competition poll, and controls the station to transmit a data frame based on the received queue state information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제어부는,Wherein, 수신한 상기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의 조절을 판단하고,Based on the received queue status information of the station, determine the adjustment of the polled TXOP duration (polled TXOP duration) on the station, 상기 전송부는,The transmission unit,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액세스 포인트.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station side. 제19항에 있어서,20.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큐 상태 정보는,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 정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led TXOP duration information polled on the station. 제19항에 있어서,20.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큐 상태 정보는,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frame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삭제delete 제19항에 있어서,20.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판단 결과는,The determination result is,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frame transmitted from the access point to the station side. TXOP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비경쟁 폴(CF-Poll)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non-competition poll (CF-Poll)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XOP; 상기 비경쟁 폴에 대한 응답으로,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In response to the non-competition poll, transmitting queue status information of the station to an access point side; And 상기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data frame under control of the access point based on the queue state information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는,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frame by the station,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의 조절을 판단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a result of determining adjustment of a polled TXOP duration polled on the station from the access point; And 상기 수신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data frame based on the received determination resul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the station of the HCCA protocol, comprising a. 제24항에 있어서,25. 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큐 상태 정보는,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 정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a station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led TXOP duration (polled TXOP duration) information on the station. 제24항에 있어서,25. 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큐 상태 정보는,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The method of controlling a station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frame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삭제delete 제24항에 있어서,25. 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판단 결과는,The determination result is,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테이션의 제어 방법.The control method of a station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frame transmitted from the access point to the station side. TXOP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비경쟁 폴(CF-Poll)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non-competition poll (CF-Poll)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XOP; And 상기 비경쟁 폴에 대한 응답으로, 스테이션의 큐 상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하며, 상기 큐 상태 정보에 기초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부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of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in response to the non-competition poll, and transmits a data frame under the control of the access point based on the queue status information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수신부는,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의 조절을 판단한 결과를 수신하고,Receiving a result of determining an adjustment of a polled TXOP duration polled on the station from the access point, 상기 송신부는,The transmitter may further comprise: 상기 수신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테이션.The station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data frame based on the received determination result. 제29항에 있어서,30. 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큐 상태 정보는,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상기 스테이션 상에 폴링된 TXOP 듀레이션(Polled TXOP duration) 정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테이션.Station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led TXOP duration (polled TXOP duration) information on the station. 제29항에 있어서,30. 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큐 상태 정보는,The queue status information is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테이션.A station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in the frame transmitted from the station to the access point. 삭제delete 제29항에 있어서,30. 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판단 결과는,The determination result is,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측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CCA 프로토콜의 스테이션.A station of the HCCA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in the frame transmitted from the access point to the station side.
KR1020070086742A 2007-08-28 2007-08-28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IEEE802.11e HCCA PROTOCOL KR1013451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742A KR101345135B1 (en) 2007-08-28 2007-08-28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IEEE802.11e HCCA PROTOC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742A KR101345135B1 (en) 2007-08-28 2007-08-28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IEEE802.11e HCCA PROTOC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869A KR20090021869A (en) 2009-03-04
KR101345135B1 true KR101345135B1 (en) 2013-12-26

Family

ID=4069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742A KR101345135B1 (en) 2007-08-28 2007-08-28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IEEE802.11e HCCA PROTOC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1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731B1 (en) * 2014-10-16 2015-04-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access point employ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2874A1 (en) * 2005-06-29 2007-01-04 Intel Corporation Block acknowledgements with reduced recipient state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2874A1 (en) * 2005-06-29 2007-01-04 Intel Corporation Block acknowledgements with reduced recipient state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731B1 (en) * 2014-10-16 2015-04-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access point employ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869A (en)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83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US7328026B2 (en)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with sequential coordinated channel access
JP4401352B2 (en) Scheduler system and method thereof
JP4684776B2 (en) Channel access method and system in a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stations and access points connected by a common radio channel
KR10138968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tation and Access point for Wireless LAN system and Scheduling method thereof
JP4734335B2 (en) Network array, transfe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ransfer device
EP1956742A2 (en) Wireless LAN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of data thereof
US2023037999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multi-link,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JP2007509532A (en) High-speed medium access control with existing system interoperability
US2023017968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multiple link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US2023030915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multiple link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EP4199636A1 (e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53632B1 (en) EDCA Communication system, Station and Access point therefor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Xu Advances in WLAN QoS for 802.11: an Overview
KR101345135B1 (en)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IEEE802.11e HCCA PROTOCOL
US202201597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in wireless lan system
Majkowski et al. QoS protection for IEEE 802.11 E in WLAN with shared EDCA and DCF access.
KR200401646Y1 (en)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WO20060263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quality of service mechanism for a wirel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