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656B1 - 맥관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한 의료 장치 - Google Patents

맥관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한 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656B1
KR101344656B1 KR1020130054613A KR20130054613A KR101344656B1 KR 101344656 B1 KR101344656 B1 KR 101344656B1 KR 1020130054613 A KR1020130054613 A KR 1020130054613A KR 20130054613 A KR20130054613 A KR 20130054613A KR 101344656 B1 KR101344656 B1 KR 101344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re
loops
shaft
grapple
med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용
Original Assignee
안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지용 filed Critical 안지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0Instruments, other than pincettes or toothpicks, for removing foreign bodies from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31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 A61B2017/22035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for retrieving or repositioning foreign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5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n open distal e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내어 샤프트(snare shaft)와 상기 스내어 샤프트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루프를 포함하는 맥관 스내어(vascular snare); 및 그래플 부재(grapple memebr)를 포함하는 맥관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한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에 따르면, 스내어 샤프트(snare shaft)와 상기 스내어 샤프트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루프를 포함하는 맥관 스내어(vascular snare); 및 그래플 부재(grapple memebr)를 포함하여 이물질이 맥관 벽 내에 박혀 있는지 또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지에 상관없이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바, 카테터를 이용한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된다.

Description

맥관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한 의료 장치{MEDICAL INSTRUMENT FOR DISLODGEMENT, CAPTURE, AND WITHDRAWAL OF A FOREIGN BODY FROM THE VASCULATURE OF A PATIENT}
본 발명은 환자의 맥관으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맥관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한 스내어(snare) 및 그래플 부재(grapple member)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Ravenscroft 등의 미국 특허번호 제6,458,14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자의 맥관으로부터 이물질을 회수하여 제거하기 위한 스내어가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에서 개시된 장치는, 이물질이 맥관계의 맥관 내에 박히거나 맞물린 경우에는 도움이 거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스내어를 형성하는 루프의 폐쇄 성질로 인해, 이물질을 옮기는 데 저항이 발생하는 경우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본 발명자 등은 이물질이 맥관 벽 내에 박혀 있는지 또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지에 상관없이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할 수 있는 의료 장치 개발에 대해 연구하였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내어 샤프트(snare shaft)와 상기 스내어 샤프트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루프를 포함하는 맥관 스내어(vascular snare); 및 그래플 부재(grapple memebr)를 포함하는 맥관구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한 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스내어 샤프트(snare shaft)와 상기 스내어 샤프트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루프를 포함하는 맥관 스내어(vascular snare); 및 그래플 부재(grapple memebr)를 포함하는 맥관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한 의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상기 루프는 형상 기억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복수개의 루프 각각은 근단부와 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루프의 근단부는 상기 스내어 샤프트에 고정되고, 인접한 상기 루프의 쇼트 세그먼트(short segment)가 인접한 상기 루프의 근단부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스내어 샤프트는 상기 그래플 부재가 위치되기 위한 개방된 통로(open passagewa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그래플 부재는 근단부와 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그래플 부재의 원단부는 후크 요소(hook element)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그래플 부재는 상기 후크 요소로부터 상기 그래플 부재의 근단부까지 연장된 세장형 그래플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후크 요소는 상기 그래플 샤프트에 결합되어 고정된 제1 단부와 비-고정된 제2 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 요소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후크 요소가 동일한 면 내에 있는 아치형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맥관 스내어 및 상기 그래플 부재가 위치되는 가이드 카테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그래플 부재는 상기 맥관 스내어에 고정된(secured)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에 따르면, 스내어 샤프트(snare shaft)와 상기 스내어 샤프트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루프를 포함하는 맥관 스내어(vascular snare); 및 그래플 부재(grapple memebr)를 포함하여 이물질이 맥관 벽 내에 박혀 있는지 또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지에 상관없이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바, 카테터를 이용한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된다.
도 1은 맥관 스내어를 통해 연장되는 그래플 부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에서, 루프 구조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스내어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는 그래프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는 의료 장치에서, 후크 요소의 형상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를 사용하는 각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이물질과 맞물리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맥관 스내어(12) 및 그래플 부재(14)를 조합하여 제공하는 의료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구성들의 조합은, 이물질(16)을 내강(17) 및/또는 맥관(20)의 벽(18)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하며 후속하는 이물질(16)의 옮김을 가능하게 한다.
맥관 스내어(12)는 형상 기억 재료로 형성된 복수개의 인접하는 세장형(elongated) 루프(22, 24, 26, 28)를 포함한다. 루프들(22, 24, 26, 28)은 환자의 맥관계로부터 이물질(16)을 제거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팽창하기 위한 형상과 치수를 갖는다. 각각의 루프들(22, 24, 26, 28)은 근단부(30)와 원단부(32)를 포함하고, 이러한 루프들(22, 24, 26, 28)의 각각의 원단부(32)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인접하는 루프들과 상호 연결되지 않는다. 각각의 루프들(22, 24, 26, 28)의 각 측은 루프의 근단부(30)에 인접한 위치에서 인접한 루프의 일 측과 직접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또한, 맥관 스내어(12)는 루프들(22, 24, 26, 28)의 근단부(30)에 연결된 가요성 스내어 샤프트(60)를 포함하고, 여기서, 루프들(22, 24, 26, 28)의 근단부들(30)은 스내어 샤프트(60)에서 함께 취합된다(gathered). 또한, 맥관 스내어(12)는 맥관 벽(18)으로부터 박힌 성분들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도록 형상과 치수를 갖는, 예를 들면, 카테터의 그래플 부재(14)를 제공받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맥관 스내어(12)는 원단부(82)와 근단부(84)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루프(22, 24, 26, 28)는 맥관 스내어(12)의 원단부(82)에 위치하고, 핸들(86)은 맥관 스내어(12)의 근단부(84)에 위치한다. 가요성 스내어 샤프트(60)는 맥관 스내어(12)의 원단부(82)와 근단부(84) 사이에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루프(22, 24, 26, 28)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 와이어(34, 36, 38, 4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제1, 제2, 제3, 및 제4 와이어(34, 36, 38, 40)는 다중-스트랜드 합성물(multi-strand composite)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관련 부분이 원용되는 미국 특허번호 제6,458,145호("INTRA VASCULAR SNA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에 개시된 스내어 처럼, 이러한 합성물은 니티놀(nitinol)과 금이나 백금, 이리듐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니티놀은 형상 기억의 성질을 가지며, 귀금속은 방사선비투과성이다. 제1, 제2, 제3, 및 제4 와이어(34, 36, 38, 40)를 형성하는 다중-스트랜드들은 땋고(braid), 뜨고(knit), 짜고(weave), 또는 권선(wind)될 수 있다. 다른 재료들은 베타-티타늄, MP35N,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와이어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데이크론(Dacron)(폴리에스테르)이나 케블라(Kevlar) 같은 섬유를 형성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다중-스트랜드의 제1, 제2, 제3, 및 제4 와이어(34, 36, 38, 40)를 엮기 위해, 와이어들은 각각의 해당 자유 단부들(free ends)(52, 54, 56, 58)에 인접하여 땋아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와이어들(34, 36, 38, 40)의 인접한 자유 단부들(52, 54, 56, 58)을 연결하는 결합된 쇼트 세그먼트들(short segments)(88a, 88b, 90a, 90b, 92a, 92b, 94a, 94b)을 가진 4개의 루프(22, 24, 26, 28)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와이어(34)의 자유 단부(52)는 제2 와이어(36)의 자유 단부(54)로 땋아지고, 제2 와이어(36)의 자유 단부(54)는 제3 와이어(38)의 자유 단부(56)로 땋아지고, 제3 와이어(38)의 자유 단부(56)는 제4 와이어(40)의 자유 단부(58)로 땋아지고, 제4 와이어(40)의 자유 단부(52)는 제1 와이어(34)의 나머지 자유 단부(52)로 땋아진다.
한편, 땋는 방식이 상기에서 기재한 바에 따른 땋는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145 특허 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와이어들을 고착(secure)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미세한 게이지 피하 바늘을 사용하여, 제1 와이어를 형성하는 스트랜드들의 대략 50 퍼센트가 그 바늘의 각 측에 있도록 제1 와이어의 스트랜드들 사이를 관통시킨다. 이어서, 제2 와이어를 피하 바늘과 제1 와이어 사이로 통과시키고, 피하 바늘을 회수하고, 이로 인해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 사이에 엮여진 결합점(interlaced joinder point)을 생성한다. 이어서, 모든 와이어들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방식으로 연결될 때까지 이 방법을 계속 사용한다. 일단 4개의 와이어가 엮여지면, 이 와이어들은 정사각형(square)을 형성하며, 정사각형의 크기는 맥관 내 스내어의 최대 직경을 나타낸다. 이어서, 정사각형의 4개의 변을 형성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와이어의 부분들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제1, 제2, 제3, 및 제4 루프의 자유 원단부(free distal ends)들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맥관내 스내어는 4개의 와이어로 형성된 4개의 루프가 바람직하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내어를 2개의 상호 연결된 와이어, 3개의 상호 연결된 와이어, 또는 4개 이상의 상호 연결된 와이어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루프(22, 24, 26, 28)의 형성을 완료하기 위해, 결합된 쇼트 세그먼트들(88a, 88b, 90a, 90b, 92a, 92b, 94a, 94b)를 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와이어(34)의 자유 단부(52), 제2 와이어(36)의 자유 단부(54), 제3 와이어(38)의 자유 단부(56), 및 제4 와이어(40)의 자유 단부(58)가 스내어 샤프트(60)에 부착된 중심점으로 순차적으로 취합된다. 그 결과 제1, 제2, 제3, 및 제4 루프(22, 24, 26, 28)는 인접한 루프가 일정 구간 겹쳐서 형성된 쇼트 세그먼트(88a, 88b, 90a, 90b, 92a, 92b, 94a, 94b)와 양 끝단이 쇼트 세그먼트(88a, 88b, 90a, 90b, 92a, 92b, 94a, 94b)에 연결되어 환형을 이루는 제거부(35)로 구성되고, 이러한 제거부(35)는 자류롭게 이동 가능하고 인접하는 루프들과 상호 연결되지 않는다(도 3 및 도 4 참조).스내어 샤프트(60)는 그래플 부재(14)의 연장을 위해 개방된 통로(62)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들(22, 24, 26, 28)의 자유 원단부(32)는 맥관(20)으로부터 옮겨질 이물질과 자유롭게 맞물릴(engage)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루프(22, 24, 26, 28)의 형성 동안 와이어들을 땋는 것에 더하여, 루프들은, 루프들(22, 24, 26, 28)의 근단부(30)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전술한 땋는 방식을 통해 제한된 세그먼트들을 따라 인접하는 루프들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루프들(22, 24, 26, 28)의 근단부(30)에 인접하는 제1 루프(22)의 쇼트 세그먼트(88a)는 루프들(22, 24, 26, 28)의 근단부(30)에 인접하는 제2 루프(24)의 유사 길이의 쇼트 세그먼트(88b)에 결합되고(conjoined), 루프들(22, 24, 26, 28)의 근단부(30)에 인접하는 제2 루프(24)의 쇼트 세그먼트(90a)는 루프들(22, 24, 26, 28)의 근단부(30)에 인접하는 제3 루프(26)의 유사 길이의 쇼트 세그먼트(90b)에 결합되고, 루프들(22, 24, 26, 28)의 근단부(30)에 인접하는 제3 루프(26)의 쇼트 세그먼트(92a)는 루프들(22, 24, 26, 28)의 근단부(30)에 인접하는 제4 루프(28)의 유사 길이의 쇼트 세그먼트(92b)에 결합되고, 루프들(22, 24, 26, 28)의 근단부(30)에 인접하는 제4 루프(28)의 쇼트 세그먼트(94a)는 루프들(22, 24, 26, 28)의 근단부(30)에 인접하는 제1 루프(22)의 유사 길이의 쇼트 세그먼트(94b)에 결합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루프(22, 24, 26, 28)가 형성되면, 맥관 스내어(12)가 성형 지그(forming jig) 상에 위치하여 루프들의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루프들(22, 24, 26, 28)은, 대략 15°의 각도로 스내어 샤프트(60)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스내어 샤프트(60)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며, 각 루프(22, 24, 26, 28)는 외측으로 대략 15° 더 나팔 모양으로 되어(flare) 루프들(22, 24, 26, 28)의 원단부들(32)을 와이어 대 맥관 표면 영역 접촉을 증가시키는 보다 큰 직경으로 개방한다. 루프들은, 샤프트에 대하여 최대 40°까지 연장되는 루프들을 제공할 다른 조합 각도들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루프(도 3 참조) 또는 세장형 루프(도 4 참조)가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형 루프는 직선적 맥관 적용 분야에서 가장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세장형 루프는 각도상 배향(angular orientations)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방사선비투과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루프들은 딥 캐스팅(dip castin)이나 이온 증착(ion deposition)에 의해 귀금속으로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브레이드(braid)의 외면 상에 잘 부착되는 노블 코팅(noble coating)을 제공하는 불균형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프로세스(unbalanced magnetron sputtering process)를 이용하며, 이는 루프 변형 동안 코팅 균열을 방지한다. 귀금속과 같은 방사선비투과성 재료 혹은 방사선비투과성 재료로 충전된 관형 스트랜드로부터 루프를 형성하는 다중-스트랜드 재료의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를 제조함으로써, 코팅 프로세스 없이 방사선비투과성도 얻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제2, 제3, 및 제4 와이어(34, 36, 38, 40)는 방사선비투과성 재료로 충전된 와이어의 단일 스트랜드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맥관 스내어(12)는, 니티놀 와이어 또는 유사한 온도 감응성 형상 기억 재료(thermally responsive shape memory material)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어서 카테터나 전달 튜브 내에 삽입되도록 마르텐사이트 상태로 냉각될 수도 있다. 맥관 스내어(12)가 신체 맥관(20) 내에서 전달 튜브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면, 맥관 스내어는 체온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복귀하고 외측으로 팽창하여 맥관(20) 벽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지된 기술에 따라 스내어를 성형함으로써, 스내어를 조성하는 재료는, 탄성적으로 사이클링되는 경우 오스테나이트 상으로 형상 기억되는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형상은 마르텐사이트 상에서 제어 변형(controlled deformation)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단 새로운 형상이 형성되면, 재료는 탄성적으로 사이클링되는 경우 그 새로운 형상을 기억한다. 따라서, 마르텐사이트 상태의 의료 장치를 전달 장치 내에 밀어 넣어 의료 장치의 기억되어 있는 오스테나이트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맥관 스내어(12)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10)는 그래플 부재(14)를 포함한다. 그래플 부재(14)는 원단부(64)와 근단부(66)를 포함한다. 그래플 부재(14)의 원단부(64)에는, 후크 요소(hook element)가 결합되며, 상기 후크 요소는 상기 후크 요소로부터 그래플 부재(14)의 근단부(66)로 연장되는 세장형 그래플 샤프트(70)를 갖는다. 그래플 샤프트(70)는, 가요성을 갖고, 스내어 샤프트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스내어 샤프트(60)의 개방된 통로(62) 내에 설치되기 위한 형상과 치수를 갖는다. 그래플 부재(14)에서, 의료인이 그래플 부재(14)의 원단부(64)에서의 후크 요소(68)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핸들 구조(74)가 그래플 부재의 근단부(66)에서 배치된다. 이처럼, 그래플 부재(14)는, 이러한 방식으로 스내어 샤프트(60) 내에서 이동을 위한 형태를 갖추고 있어서, 필요에 따라 그래플 부재(14)를 스내어 샤프트로부터 선택적으로 옮기거나 스내어 샤프트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기재한 그래플 부재(14)의 구조를 고려할 때, 후크 요소(68)는 고정된 제1 단부(96)와 자유로운(비-고정) 제2 단부(98)를 포함한다. 후크 요소(68)의 본체는, 제1 단부(96)로부터 제2 단부(98)로 연장되는 경우, 자유로운(비-고정) 제2 단부(98)가, 고정된 제1 단부(96)에 인접하여 후크 요소(68)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비스듬한(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동일한 면 내에 있는 아치형 경로를 따른다. 제2 단부(9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기구(10)의 사용에 관한 이하의 설명에 기초하여 이해되는 방식으로 그 성능을 향상시키는 비외상적 특징(non-traumatic features)이 또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자유로운(비-고정) 제2 단부(98)는 그래플 부재(14)의 비외상적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기능하는 작은 직경의 루프(100)를 맨 끝단부에 포함한다.
후크 요소는 다른 형상들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후크 요소는, 약 270°의 원호(포물선)로 연장된 평면 아치형 구조(도 1, 2, 5 참조), 제2 단부(98)의 팁이 그래플 샤프트(70)의 길이 방향 축과 대략 정렬되도록 제1 단부(96)에서의 비스듬한 결합부(attachment)와 약 180도의 아치형 본체를 갖는 평면 아치형 구조(도 6 참조), 및 제2 단부(98)의 팁이 그래플 샤프트(70)(도 7 참조) 또는 나선 형상 후크(도 8 참조)의 길이 방향 축과 대략 정렬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단부(96)에서의 비스듬한 결합부(attachment)와 약 90°의 아치형 본체를 갖는 아치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형상들의 각각은 특정한 구조와 특정한 적용 분야에 대하여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맥관 스내어(12)와 같이, 후크 요소(68)도 니티놀 와이어 또는 유사한 온도 감응성 형상 기억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어서, 카테터 또는 전달 튜브 내로 삽입되도록 마르텐사이트 상태로 냉각될 수 있다. 후크 요소(68)는 배치 전에 대략 직선형이다. 후크 요소(68)가 신체 맥관(20) 내에서 맥관 스내어(12)와 전달 튜브(76)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면, 후크 요소는 체온에 반응하여 원하는 후크 형상(즉, 예를 들면, 도 1, 2, 5 내지 8, 14 및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후크 형상들)을 취하게 된다. 또한, 맥관 스내어(12)와 같이, 후크 요소(68)는 방사선비투과성을 향상시키도록 코팅될 수 있다.
맥관 스내어(12)와 그래플 부재(14)는 가이드, 또는 전달 카테터(76)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는 가이드 카테터(76) 내에서의 맥관 스내어(12)와 그래플 부재(14)의 상대적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 카테터(76)의 가시화를 향상시키고자, 가이드 카테터(76)의 원단부(78)에는 방사선비투과성 마킹(8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의 사용은, 도 9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환자의 맥관계에서 이물질(16)이 식별된다. 이어서, 제거할 필요가 있는 이물질(16)에 인접한 원단부(78)가 있는 가이드 카테터(76)를 맥관계 내에 배치한다. 이후, 맥관 스내어(12)와 그래플 부재(14)는, 그래플 부재(14)뿐만 아니라 제1, 제2, 제3, 및 제4 루프(22, 24, 26, 28)가 가이드 카테터(76)의 원단부(78)로부터 완전히 연장될 때까지, 가이드 카테터(76)를 통과하며, 이에 따라 루프들(22, 24, 26, 28)이 각자의 원하는 형상을 취할 수 있게 한다.
그래플 부재(14) 및 제1, 제2, 제3, 및 제4 루프(22, 24, 26, 28)가 완전히 배치되면, 맥관(20) 벽(18)과 맞물려 있는 이물질(16)을 분리하는 데 그래플 부재(14)의 후크 요소(68)를 이용하게 된다. 일단 이물질(16)이 맥관(20) 벽(18)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루프들(22, 24, 26, 28)과 후크 요소(68)가 이물질(16)과 맞물린다. 이물질(16)이 맥관 스내어(12) 및 그래플 부재(14)와 완전히 맞물리면, 루프들(22, 24, 26, 28)과 그래플 부재(14) 모두는 이물질(16)을 따라 가이드 카테터(76) 내로 끌어당겨진다. 이어서, 맥관 스내어(12), 그래플 부재(14), 및 이물질(16)은 가이드 카테터(76)와 환자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 장치(110)는 맥관 스내어(112) 내로 고정적으로 고착되는 그래플 부재(114)를 포함한다. 맥관 스내어(112)는 전술한 바와 대략 같지만, 개방된 통로가 없이 구성된다. 그래플 부재(114)는, 루프들(122)과 스내어 샤프트(160)의 접합부에 고착된 짧은 그래플 샤프트(170)를 갖는 후크 요소(168)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후크 요소(168)와 그래플 샤프트(170)는, 스내어 샤프트(160)의 원단부(182)로부터 연장되며, 이때, 그래플 샤프트(170)가 스내어 샤프트(160)의 길이 방향 축과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2 : 맥관 스내어 14: 그래플 부재
22, 24, 26, 28 : 루프 60 : 스내어 샤프트
68 : 후크 요소

Claims (9)

  1. 내강 또는 맥관벽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한 의료 장치로서,
    개방된 통로(open passageway)를 갖는 스내어 샤프트(snare shaft)와 상기 스내어 샤프트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루프를 포함하는 맥관 스내어(vascular snare); 및
    상기 스내어 샤프트 내에 배치된 그래플 부재(grapple memebr)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루프 각각은 인접한 루프가 일정구간 겹쳐져 형성된 쇼트 세그먼트(short segment)와 양 끝단이 쇼트 세그먼트(short segment)에 연결되어 환형을 이루는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플 부재는 근단부, 후크 요소(hook element)와 결합된 원단부 및 상기 후크 요소로부터 상기 그래플 부재의 근단부까지 연장된 세장형 그래플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요소는 상기 그래플 샤프트에 결합되어 고정된 제1 단부와 비-고정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형상 기억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요소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후크 요소가 동일한 면 내에 있는 아치형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관 스내어 및 상기 그래플 부재가 위치되는 가이드 카테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장치.
  9. 삭제
KR1020130054613A 2013-03-12 2013-05-14 맥관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한 의료 장치 KR101344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95,585 US20140276902A1 (en) 2013-03-12 2013-03-12 Medical instrument for dislodgement, capture, and withdrawal of a foreign body from the vasculature of a patient
US13/795,585 2013-03-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656B1 true KR101344656B1 (ko) 2013-12-27

Family

ID=4998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613A KR101344656B1 (ko) 2013-03-12 2013-05-14 맥관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한 의료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276902A1 (ko)
KR (1) KR101344656B1 (ko)
WO (1) WO20141583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8249A1 (en) * 2014-04-29 2015-11-05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Surgical snare device
WO2020055142A1 (ko) * 2018-09-13 2020-03-19 주식회사 타우피엔유메디칼 스네어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4305A (zh) * 2018-11-07 2019-03-01 徐浩 一种双叶式血管异物抓捕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0451B1 (en) 1997-10-01 2001-08-28 Scimed Life Systems, Inc. Releasable basket
US6458145B1 (en) 2000-11-28 2002-10-01 Hatch Medical L.L.C. Intra vascular sna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110034952A1 (en) 2004-11-12 2011-02-10 C.R. Bard, Inc. Filter delivery system
US20120277853A1 (en) 2008-02-28 2012-11-01 Medtronic Vascu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cutaneous Mitral Valve Repai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3275B2 (en) * 2000-11-03 2010-05-11 Cook Incorporated Medical grasping device
US7753917B2 (en) * 2000-11-03 2010-07-13 Cook Incorporated Medical grasping device
US6517551B1 (en) * 2000-11-22 2003-02-11 George Mark Driskill Intravascular foreign object retrieval catheter
US20060212042A1 (en) * 2005-03-17 2006-09-21 Lamport Ronald B Removal and repositioning device
WO2005081949A2 (en) * 2004-02-24 2005-09-0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Foreign body retrieval devices
US8469970B2 (en) * 2011-07-11 2013-06-25 Great Aspirations Ltd. Apparatus for entrapping and extracting objects from body cavit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0451B1 (en) 1997-10-01 2001-08-28 Scimed Life Systems, Inc. Releasable basket
US6458145B1 (en) 2000-11-28 2002-10-01 Hatch Medical L.L.C. Intra vascular sna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110034952A1 (en) 2004-11-12 2011-02-10 C.R. Bard, Inc. Filter delivery system
US20120277853A1 (en) 2008-02-28 2012-11-01 Medtronic Vascu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cutaneous Mitral Valve Repai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8249A1 (en) * 2014-04-29 2015-11-05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Surgical snare device
WO2020055142A1 (ko) * 2018-09-13 2020-03-19 주식회사 타우피엔유메디칼 스네어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58330A1 (en) 2014-10-02
US20140276902A1 (en)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9057B2 (ja) 脈管係蹄とその形成方法
RU2445025C2 (ru) Ловушка-экстрактор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посторонних объектов из полостей тел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9039715B2 (en) Apparatus for entrapping and extracting objects from body cavities
EP2731513B1 (en) Apparatus for entrapping and extracting objects from body cavities
EP1404237B1 (en) Foreign body retrieval device
US5522819A (en) Dual coil medical retrieval device
JP6408228B2 (ja) 血管フィルタを回収するための装置
CN106535788B (zh) 医疗取回装置和方法
KR101344656B1 (ko) 맥관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포획 및 제거하기 위한 의료 장치
KR20210038910A (ko) 와이어 편조 구성을 구비한 관강내 장치
RU2732828C2 (ru) Медицинский прибор для захватывания и извлечения посторонних объектов из полостей тела
CN207071110U (zh) 管腔支架及其输送***
US20190105066A1 (en) Foreign body retrieval device
EP3777722A1 (en) Retriev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