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226B1 - 2회선 시공공법과 스마트 접속반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2회선 시공공법과 스마트 접속반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226B1
KR101344226B1 KR1020130078711A KR20130078711A KR101344226B1 KR 101344226 B1 KR101344226 B1 KR 101344226B1 KR 1020130078711 A KR1020130078711 A KR 1020130078711A KR 20130078711 A KR20130078711 A KR 20130078711A KR 101344226 B1 KR101344226 B1 KR 101344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olar cell
wiring
string
smar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형
강길준
김영진
전사윤
Original Assignee
에디슨솔라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슨솔라이텍(주) filed Critical 에디슨솔라이텍(주)
Priority to KR102013007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으로부터 직류 전력을 생산하는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과, 태양전지 스트링에서 생산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와, 태양전지 스트링들로부터 생상된 직류 전력을 인버터에 이송하는 메인배선, 및 태양전지 스트링들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결된 태양전지 스트링들에서 발생되는 직류 전력을 입력받아 메인배선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스마트 접속반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2회선 시공공법과 스마트 접속반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 향상과 시공비 절감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2회선 시공공법과 스마트 접속반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SOLAR POWER SYSTEM USING TWO LINE CONTACT CABLE AND SMART JUNCTION PANEL}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회선 시공공법과 스마트 접속반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 에너지의 무공해성 및 무한정성에 힘입어 지구 환경 문제와 미래 에너지원의 다각화 대책으로서 선진 각국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발전한 전력의 이용방법에 따라, 발전 전력을 축전지에 저장하여 필요한 시간에 전력을 공급하는 독립형 발전시스템과, 발전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고 잉여전력을 계통에 공급하는 계통연계형 발전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분산전원의 계통 영향 최소화, 사고에 대비한 계통보호 기술, 인버터의 제어기술 향상 등으로 계통연계형 발전시스템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계통연계형 발전시스템은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들이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들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어레이,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들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력들을 병합하여 출력하는 접속반 및 상기 접속반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 또는 상용계통에 공급하는 인버터를 포함한다.
종래의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10개에서 20개의 스트링이 한 개의 접속반에 결선되어 1개의 스트링 케이블이 길게는 30m~40m씩 포설되고 각 어레이의 고장유무를 접속반에서 판단하여 역추적하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이와 같이, 한 개의 접속반을 사용하게 되므로 크기가 큰 접속반이 태양광 발전소 내의 특정장소에 별도의 자리를 만들어 위치하게 되고, 각 어레이에서 접속반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많아진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소 전체로 보았을 때 어레이 전선이 거미줄처럼 엉켜있는 형태가 됨으로써 고장진단 및 처리시간이 지연되었으며, 대용량 접속반에 사고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복구되는 시간 동안 발전량 손실이 많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3236호(2010.09.1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171580호(2012.08.0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시공이 간단하고, 고장진단 및 처리시간이 단축되며 발전량 손실이 적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시한다.
나아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추가적인 과제는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으로부터 직류 전력을 생산하는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과,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에서 생산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들로부터 생상된 직류 전력을 상기 인버터에 이송하는 메인배선, 및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들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결된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들에서 발생되는 직류 전력을 입력받아 상기 메인배선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스마트 접속반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접속반에 연결되는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은 2개 내지 4개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접속반과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들을 연결하는 각각의 서브배선은 서로 동등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접속반은 연결되는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접속반은,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들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력을 병합하여 상기 메인배선으로 출력하는 스트링전력병합부,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와 상기 메인배선을 연결하는 메인배선연결부, 및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로 입력되는 직류 전력 또는 스트링전력병합부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을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접속반은,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의 이상 유무에 대한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배선은 플러스극에 해당하는 제1배선과 마이너스극에 해당하는 제2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선과 상기 제2배선은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배선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단면의 면적은 상기 제1배선의 단면의 면적과 상기 제2배선의 단면의 면적을 합한 면적의 2배 내지 3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따르면 시공이 간단하고, 고장진단 및 처리시간이 단축되며 발전량 손실이 적다.
또한, 2회선 시공공법과 스마트 접속반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 향상과 시공비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태양전지 스트링의 확대 결선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속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1), 인버터(2), 메인배선(3) 및 복수의 스마트 접속반(4,5)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1)은 태양광으로부터 직류 전력을 생산한다.
상기 메인배선(3)은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1)에서 생산된 직류 전력을 상기 인버터(2)에 이송한다.
상기 스마트 접속반들(4,5)은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들(1)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들(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결된 태양전지 스트링들(1)에서 발생하는 직류 전력을 입력받아 메인배선(3)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접속반들(4,5)은 동일한 메인배선(3)에 연결되는 제1 스마트 접속반(4) 및 제2 스마트 접속반(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마트 접속반(4)은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들(1) 중에서 2개 이상의 태양전지 스트링(1)에 연결되고, 연결된 태양전지 스트링들(1)에서 발생된 직류 전력을 입력받아 메인배선(3)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스마트 접속반(5)은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들(1) 중에서 상기 제1 스마트 접속반(4)에 연결되지 않은 2개 이상의 태양전지 스트링들(1)과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1)에서 발생하는 직류 전력을 입력받아 메인배선(3)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스마트 접속반(4)과 상기 제2 스마트 접속반(5)에는 서로 다른 태양전지 스트링들(1)이 접속된다. 상기 제1 스마트 접속반(4)과 상기 제2 스마트 접속반(5)은 접속되는 태양전지 스트링들(1)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력을 병합하여 메인배선(3)으로 출력한다.
상기 인버터(2)는 메인배선(3)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시킨다.
이와 같이, 메인배선(3)에 복수의 스마트 접속반(4,5)이 배선되고, 메인배선(3)이 인버터(2)에 연결되므로, 복수의 접속에서 출력된 직류 전력이 메인배선(3)을 통해 병합되어 인버터(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인버터(2)로 집중되는 배선을 간소화 할 수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태양전지 스트링의 확대 결선도이다.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1)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들을 포함한다.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의 최소단위인 솔라 셀들이 직렬로 연결된 구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약 20 ~ 60V의 직류전력을 출력한다. 태양전지 스트링(1)은 인버터(2)에서 필요로 하는 입력 전압까지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기 위하여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태양전지모듈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 스트링(1)은 약 8개에서 10개 정도의 태양전지 모듈들로 구성되며, 약 200 ~ 700V의 전압을 갖는 직류전력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접속반(4,5) 각각에 연결되는 태양전지 스트링(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이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스마트 접속반(4,5)에 연결되는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들(1)을 태양전지 어레이라고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태양전지 스트링들(1)이 1개의 태양전지 어레이를 구성한다.
한편, 스마트 접속반(4,5)에 연결되는 태양전지 스트링(1)의 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접속반(4,5)에 연결되는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1)은 2 내지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스마트 접속반(4,5)에 연결되는 태양전지 스트링(1)이 2개 미만인 경우에는 태양전지 스트링(1) 하나당 하나의 스마트 접속반(4,5)이 연결됨을 의미하므로, 스마트 접속반(4,5)의 수가 너무 많아져 경제성이 떨어지고, 4개가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스마트 접속반(4,5)이 대응하는 태양전지 스트링(1)의 수가 너무 많아져 스마트 접속반(4,5)이 대형화되고 효과적인 배선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스마트 접속반(4,5)에 연결되는 태양전지 스트링(1)의 수가 제한되면 경제적이고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배선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에서 4개의 태양전지 스트링(1) 별로 1개의 스마트 접속반(4,5)을 배치하는 경우, 각 태양전지 스트링(1)에서 스마트 접속반(4,5)으로 배선되는 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시공비용 및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접속반(4,5)은 태양전지 스트링들(1) 사이에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므로, 상기 스마트 접속반(4,5)과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1)을 연결하는 각각의 서브배선은 비교적 짧으면서 동등한 길이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배선을 규격화 및 표준화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2)는 메인배선(3)을 통해 병합되어 입력되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한다.
상기 인버터(2)에서 교류로 변환된 전력은 교류배선을 통해 배전시스템으로 이송되고 상기 배전시스템으로 이송된 전력은 공급처로 보내진다.
상기 배전시스템은 인버터(2)에서 교류배선을 통해 입력된 전력을 공급처로 보내기 위한 터미널의 역할을 한다. 상기 배전시스템에는 인버터(2)에서 나오는 교류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교류배선에는 배전시스템으로부터 공급처에 이동되는 전력의 양을 측정하는 계량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마트 접속반(4)은 하나의 태양전지 어레이를 이루는 태양전지 스트링들(1)과 인버터(2) 및 제2 스마트 접속반(5)에 연결되고, 연결된 태양전지 스트링(1)에서 발생하는 직류 전력과 제2 스마트 접속반(5)에서 입력받은 직류 전력을 병합하여 인버터(2)로 송출한다.
제1 스마트 접속반(4)은 직류 배선의 최종 터미널이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스마트 접속반(4)에는 태양전지 스트링(1) 4개가 접속된다.
제1 스마트 접속반(4)은 패널 내부에 각종 전기 및 전자부품이 장착되고 각 부품이 전기적으로 결선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접속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기 제1 스마트 접속반(4)은, 스트링전력병합부(41)와 메인배선연결부(42) 및 스위치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41)는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1)에서 발생하는 직류 전력을 입력받아 병합하여 출력한다.
스트링전력병합부(41)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은 제1 스마트 접속반(4)에 연결되는 태양전지 스트링(1)에서 태양광 발전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병합한 전력이다.
상기 메인배선연결부(42)는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41)와 메인배선(3)을 연결시켜준다.
상기 스위치부(43)는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41)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41)로 입력되는 전력 또는 스트링전력병합부(41)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상기 스위치부(43)는 태양전지 스트링(1)과 스트링전력병합부(41)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스트링전력병합부(41)와 메인배선연결부(42)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스마트 접속반(4)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스위치부(43)를 차단함으로써 이상 부분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배선연결부(42)는 터미널블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링전력병합부(41)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스위치부(43)를 차단함으로써, 제2 스마트 접속반(5)에서 출력되는 전력은 안정적으로 인버터(2)로 송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마트 접속반(4)은,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41)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41)의 이상 유무에 대한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통신부와 이상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트링전력병합부(41)는 연결되는 태양전지 스트링(1)이 소수이므로 작은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스마트 접속반(4)은 소용량으로 구성할 수 있고, 크기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용량 접속반을 사용하여 기존 대용량 접속반에 비해 접속반 구입비용 및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연결되는 태양전지 스트링(1)의 수가 적으므로 접속반에 화재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복구시간 동안 발전량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접속반을 소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공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제1 스마트 접속반(4)은 전력을 입력받는 태양전지 스트링(1)에 인접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 스트링(1)에서 접속반까지의 거리가 기존설비에 비해 가깝게 되므로 배선비용이 절감된다.
한편, 상기 제1 스마트 접속반(4)은 연결되는 태양전지 스트링(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별도의 구성없이 제1 스마트 접속반(4)의 낙뢰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스마트 접속반(5)은 하나의 태양전지 어레이를 이루는 태양전지 스트링(1)과 메인배선(3)에 연결되고, 연결된 태양전지 스트링(1)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메인배선(3)에 송출한다.
이 때의 태양전지 스트링(1)은 제1 스마트 접속반(4)에 연결되지 않은 태양전지 스트링(1) 중에서 태양전지 어레이를 이루는 태양전지 스트링(1)을 의미한다.
제2 스마트 접속반(5)을 시작으로 하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구성되는 경우에 제2 스마트 접속반(5)은 직류 배선의 최초 터미널이 된다. 한편 제3 스마트 접속반(미도시)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스마트 접속반(5)은 직류 배선의 중간 터미널이 될 수 있다. 도시된 제2 스마트 접속반(5)은 직류 배선의 중간 터미널로 사용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2 스마트 접속반(5)도 제1 스마트 접속반(4)과 마찬가지로 패널 내부에 각종 전기 및 전자부품이 장착되고 각 부품이 전기적으로 결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마트 접속반(5)은 기본적으로 제1 스마트 접속반(4)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스마트 접속반(4)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한편 제2 스마트 접속반(5)도 연결되는 태양전지 스트링(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배선(3)은 인버터(2)와 연결되고 제1 스마트 접속반(4) 및 제2 스마트 접속반(5)에 인접하여 포설된 배선이다.
상기 메인배선(3)은 태양전지 스트링(1)에서 생성된 직류전력을 이송하는 배선으로서, 메인배선(3)을 통해 전체 태양전지 스트링들(1)에서 생성되는 전력이 최종적으로 인버터(2)에 송출된다.
상기 메인배선(3)은 플러스극에 해당하는 제1배선과 마이너스극에 해당하는 제2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배선(3)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배선될 수 있다. 즉 제1배선과 제2배선은 쌍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배선될 수 있다.
제1배선과 제2배선을 쌍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배선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배치되는 전선의 수가 적으므로 케이블 트레이를 작은 사이즈로 할 수 있다.
특히, 케이블 트레이의 단면의 면적은 제1배선의 단면의 면적과 상기 제2배선의 단면의 면적을 합한 면적의 2배 내지 3배로 할 수 있다.
2배 미만인 경우에는 제1배선과 제2배선의 너무 밀착되어 설치되어 간섭이 있을 수 있고 3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케이블 트레이의 크기가 너무 커져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배선방식을 이용하면, 인버터(2)에 배선이 집중되지 않고, 각 스마트 접속반(4,5)과 메인배선(3) 사이에 배선이 이루어지므로, 제1배선과 제2배선에 굵고 짧은 선을 이용할 수 있다. 굵은 선을 이용하면 선로저항이 감소하여 전체적인 임피던스가 감소로 전력손실을 최소화 할 뿐 아니라, 전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발전소 내의 케이블 포설이 간소화 됨으로 배선과 대지 사이의 캐패시턴스의 존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장기간 운용되어야 할 태양광 발전소 특성상 고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전선 과부하로 인한 발열로 인해 모듈 내부의 셀과 백시트간의 증착 및 리본의 발열을 방지할 수 있어 모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모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1)을 배치한다.
다음으로, 2개 내지 4개의 태양전지 스트링(1)을 태양전지 어레이로 하여 그룹핑한다.
다음으로, 각 그룹의 태양전지 어레이를 통과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고 케이블 트레이 내에 메인배선(3)을 배설하여 인버터(2)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각 그룹의 태양전지 어레이 내에 스마트 접속반들(4,5)을 설치한다. 스마트 접속반들(4,5)은 소형의 접속반으로서 태양전지 스트링(1) 아래에 배치할 수 있다. 스마트 접속반(4,5)은 태양전지 스트링(1)에서 생성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스위치부(43)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스마트 접속반(4,5)과 메인배선(3) 사이에 서브배선을 한다.
각 배선은 플러스 배선과 마이너스 배선의 2회선 배선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2회선 시공공법과 스마트 접속반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완성할 수 있다.
한편 태양전지 스트링(1)에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이 발생한 태양전지 스트링(1)의 전력이 입력되는 스마트 접속반(4,5)의 스위치부(43)를 차단한 후 보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각 어레이 밑으로 용량에 적합한 메인배선(3)을 포설하고 2개 내지 4개의 태양전지 스트링(1)을 스마트 접속반(4,5)을 이용하여 직접 메인배선(4)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자재절감 및 시공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발전량이 증대되고 신뢰성이 높으며 경제성이 좋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태양전지 스트링
2 : 인버터
3 : 메인배선
4 : 제1 스마트 접속반
5 : 제2 스마트 접속반

Claims (8)

  1. 태양광으로부터 직류 전력을 생산하는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에서 생산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들로부터 생상된 직류 전력을 상기 인버터에 이송하는 메인배선; 및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들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결된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들에서 발생되는 직류 전력을 입력받아 상기 메인배선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스마트 접속반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접속반은,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들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력을 병합하여 상기 메인배선으로 출력하는 스트링전력병합부,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와 상기 메인배선을 연결하는 메인배선연결부, 및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로 입력되는 직류 전력 또는 스트링전력병합부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을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접속반에 연결되는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은 2개 내지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접속반과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스트링들을 연결하는 각각의 서브배선은 서로 동등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접속반은 연결되는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접속반은,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링전력병합부의 이상 유무에 대한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선은 플러스극에 해당하는 제1배선과 마이너스극에 해당하는 제2배선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선과 상기 제2배선은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배선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단면의 면적은 상기 제1배선의 단면의 면적과 상기 제2배선의 단면의 면적을 합한 면적의 2배 내지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0130078711A 2013-07-05 2013-07-05 2회선 시공공법과 스마트 접속반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344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711A KR101344226B1 (ko) 2013-07-05 2013-07-05 2회선 시공공법과 스마트 접속반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711A KR101344226B1 (ko) 2013-07-05 2013-07-05 2회선 시공공법과 스마트 접속반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226B1 true KR101344226B1 (ko) 2013-12-23

Family

ID=4998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711A KR101344226B1 (ko) 2013-07-05 2013-07-05 2회선 시공공법과 스마트 접속반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2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397B1 (ko) * 2021-06-09 2021-12-24 푸른전력유한회사 과도과전압 크기를 최소화하는 태양광 전지 패널 직렬 결선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1693A (ja) * 2007-04-19 2008-11-06 Hitachi Ltd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0460392Y1 (ko) 2012-02-01 2012-05-25 주식회사 앤엠에스 태양광모듈용 공용접속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1693A (ja) * 2007-04-19 2008-11-06 Hitachi Ltd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0460392Y1 (ko) 2012-02-01 2012-05-25 주식회사 앤엠에스 태양광모듈용 공용접속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397B1 (ko) * 2021-06-09 2021-12-24 푸른전력유한회사 과도과전압 크기를 최소화하는 태양광 전지 패널 직렬 결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9106U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ES2702988T3 (es) Procedimientos y sistemas de operación de un sistema de generación de energía
KR101026353B1 (ko) 디씨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태양전지모듈 제어 및 모니터링시스템
KR101979920B1 (ko) 모듈식 dc 발생기들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의 발생, 저장 및 공급을 위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101628697B1 (ko) 다중 스위칭 구조 접속함의 모니터링을 적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2002091586A (ja)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4047327A1 (en) Serially connected micro-inverter system with trunk and drop cabling
US20150288329A1 (en) Junction Box
CN203984337U (zh) 一种小型光伏汇流箱
CN104170202A (zh) 具有简化连接的可再生能源单元
US10523117B2 (en) Dead band direct current converter
KR101344226B1 (ko) 2회선 시공공법과 스마트 접속반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US11018619B2 (en) Photovoltaic cabling optimization for solar trackers using a plug and play harness configuration
JP2013013174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EP3319195A1 (en) Photovoltaic inverter system
US10742165B2 (en) Bypass mechanisms for energy generation systems
CN107735941B (zh) 太阳能电池监控装置
US20190103746A1 (en) Reservoir combiner system
CN219717944U (zh) 叠光控制***
CN103872980A (zh) 一种基于前置调配的实时调控汇流装置的构造与方法
JP2012217255A (ja) 配電システム
CN212115268U (zh) 基于能源管理的电力运行监测***
KR102358816B1 (ko) 고속 전력선 통신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개별 모니터링 하는 태양광 접속함.
KR20210020327A (ko) 태양광 전지의 발전 효율 향상 장치 및 방법
ITVI20110117A1 (it) Impianto fotovolta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