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133B1 - 미강과 한방생약성분이 함유된 미용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강과 한방생약성분이 함유된 미용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133B1
KR101343133B1 KR1020130096661A KR20130096661A KR101343133B1 KR 101343133 B1 KR101343133 B1 KR 101343133B1 KR 1020130096661 A KR1020130096661 A KR 1020130096661A KR 20130096661 A KR20130096661 A KR 20130096661A KR 101343133 B1 KR101343133 B1 KR 101343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an
powder
weight
fermentation
y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에코
Priority to KR102013009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강 발효 성분과 한방생약분말을 함유하여 통증 완화 효과 및 피부미백, 여드름, 아토피 등 피부질환개선에 도움이 되는 미강비누 조성물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심자 또는 유향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한 한방생약분말 1~5 중량%, 유산균, 효모, 당밀 및 미강을 배합하여 발효한 미강 발효분말 1~5 중량%, 유산균, 효모, 당밀 및 미강뜬물을 배합하여 발효한 미강뜬물 발효액 14~31 중량%, 미강유 50~70 중량%, 정제수 4~9 중량%, 수산화알칼리 5~10 중량% 및 라벤더 에센셜 오일 또는 티트리 에센셜 오일 0.01~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함유한 미강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강과 한방생약성분이 함유된 미용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Soap composition containing rice bran and oriental medical resourc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ap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강과 한방생약성분이 함유된 미용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 및 하수오, 유향, 상심자 등의 한방생약성분을 함유하여 피부미백, 탈모방지, 향균 작용, 피부질환 개선에 도움이 되고 세정력이 우수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강은 현미를 도정하여 정백미를 만들 때 생기는 과피, 종피, 호분층 등의 분쇄혼합물이다. 미강은 지방, 단백질, 식이섬유 등의 영양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A, 티아민, 피리독신, 나이신 등의 비타민B군, 칼슘, 아연, 철분 등의 미네랄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고, 피부 미백, 아토피나 여드름 등 피부 미용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근래에 미강 비누를 제조하는 곳이 증가하고 있다.
미강 비누의 종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제안된 발명은 쌀눈이 90%이상 살아있는 쌀 배아미와 배아미를 특수 도정하는 과정에서 현미의 호분층이 박리 되면서 모아지는 미세한 미강가루의 엑기스와 파우더를 주성분으로 구성하여 각질제거, 미백효과, 노화방지 및 보습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미용비누에 관한 것으로서, 쌀눈기름, 알로에즙, 녹두파우더, 율무, 산화방지제, 향료 및 유지를 첨가 하여 순식물성 미용 비누 제조하고, 상기 각 성분에 미강이 0.05-10%, 쌀눈쌀 배아미가 0.03-10%첨가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미용비누에 비하여 미백효과, 각질 제거, 주름살, 기미, 주근깨, 여드름 및 아토피 등에 효능이 있다고 제안되었다.
특허문헌 2에 제안된 발명은 95% 에탄올을 이용하여 쌀을 상온에서 48시간 추출한 쌀 추출물을 전체 비누 중량의 0.01 내지 10.0중량% 배합함으로써 항산화, 항알러지, 항염증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비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미강 비누는 피부 미백 효과나, 주름살, 아토피 및 여드름 등 대부분의 각종 피부 질환에 효능을 갖는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나, 미강을 발효나 저당체로 전환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고 있어, 피부 흡수가 효과적이지 못하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06-0091730호(2006년 08월 21일 공개) 2. 한국공개특허 제2011-0080029호(2011년 07월 12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강 발효에 의하여 인체에 흡수가 빠른 저분자 다당체가 다량 함유되고, 미생물이 배출한 폴리페놀과 같은 다량의 항산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피부 노화를 예방하고, 저온 숙성 방식에 의해 발효 효소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고, 유향 및 상심자 성분을 함유하여 항균 작용 및 탈모방지에도 효능이 우수한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함유한 미용비누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미강비누 조성물은, 상심자 또는 유향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한 한방생약분말 1~5 중량%, 유산균, 효모, 당밀 및 미강을 배합하여 발효한 미강 발효분말 6~10 중량%, 유산균, 효모, 당밀 및 미강뜬물을 배합하여 발효한 미강뜬물 발효액 17~33 중량%, 미강유 50~60 중량%, 정제수 4~9 중량%, 수산화알칼리 5~10 중량% 및 라벤더 에센셜 오일 또는 티트리 에센셜 오일 0.01~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한방생약분말은 상기 한방생약분말의 총중량 중 유향 15~25 중량%, 하수오 중량 15~30 중량%, 상심자 20~35 중량% 및 오배자 20~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미강 발효분말은 효모, 유산균, 당밀 및 미강이 1:1:30:300의 중량비로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미강뜬물 발효액은 효모, 유산균, 당밀 및 미강뜬물이 1:1:30:1000의 중량비로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강비누 제조방법은, 미강 100g당 효모 0.2 ~ 0.4g, 유산균 0.2 ~ 0.4g, 당밀 8 ~ 15g을 혼합하고 밀폐시키고 20 ~ 40일간 발효시켜 미강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미강뜬물 1000ml당 효모 0.5 ~ 1.5g, 유산균 0.5 ~ 1.5g, 당밀 200 ~ 400g을 혼합하고 밀폐시키고 10 ~ 20일간 발효시켜 미강뜬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유향 15 ~ 25 중량%, 하수오 15 ~ 30 중량%, 상심자 20 ~ 35 중량% 및 오배자 20 ~ 35 중량%을 혼합하여 한방생약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정제수에 수산화알칼리를 넣고 용해시키고, 수산화알칼리 용액 온도를 50 ~ 65℃ 이하로 내리면서 상기 미강뜬물 발효액을 배합하는 단계, 상기 수산화알칼리가 용해된 미강뜬물 발효액에 식물성 유지를 배합하여 미강 비누겔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강 비누겔에 상기 미강 발효분말과 상기 한방혼합분말을 혼합하여 성형틀에 붓고 저온 숙성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미강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효모, 유산균, 당밀 및 미강을 1:1:30:3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개월간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효모, 유산균, 당밀 및 미강뜬물을 1:1:30:10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5일간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강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어 발생된 저분자 다당체가 다량 함유되어 피부 미백 성분과 염증 완화 성분, 피부 장벽 기능 회복 성분의 인체 흡수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약 48시간동안 보온 숙성시키고,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서 3주 이상 숙성시킴으로써 제조 공정 중 발효 효소 성분의 파괴를 최소로 한다.
본 발명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여 피부 미백을 개선하며, 프로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키고, 자외선에 대한 피부 세포 손상 방지 및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피부 장벽 기능 회복을 강화시키는 효능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하수오 생약 성분이 함유되어 노화방지 및 흑발 유지에 효과가 뛰어나며, 상심자 생약 성분이 함유되어 비타민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피부 윤기에 좋고, 탈모 방지 효과가 있다. 또한 유향 성분이 함유되어 천연 항생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 염증을 가라앉히고, 항균 작용이 뛰어나며, 근육통 완화 효능이 있다. 또한, 오배자 성분이 함유되어 천연 항생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피부 질환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은 노화 방지, 미백 효과, 각질 제거에 효능이 있으며, 주름살, 기미, 주근깨, 여드름 및 아토피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함유된 미강 발효 성분은 천연보습인자의 주성분인 아미노산군이 풍부하므로, 피부에 윤기와 촉촉함을 부여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당량의 유기산, 당류 및 펩타이드(peptide) 등이 보습력을 향상시키며, 사용 시 상쾌한 느낌을 준다.
본 발명은 피부 미용에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통증완화 효능이 있으므로 환자들이 세안이나 목욕으로도 질병 치료가 가능하므로 약물치료가 곤란한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심자와 유향 성분이 함유되어 일반적인 기미뿐만 아니라 열에 의해 발생하는 기미나 어혈로 인해 발생하는 기미에도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함유한 미강비누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는 1개월간 본 발명을 사용함에 따라 나타난 피부미백 개선효과.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은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발효에 의하여 고분자의 다당체를 저분자 다당체로 전환시켜주는 미생물의 성질을 이용하여 미강에 효모 및 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인체에 흡수가 빠른 저분자 다당체를 효과적으로 추출한다. 또한 미생물이 먹이 활동을 하면서 배출하는 폴리페놀 등은 미강이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다량의 항산화물질은 피부 노화를 막아준다. 이렇게 유효 첨가물로서의 미강을 발효할 뿐만 아니라, 미강뜬물에 유산균과 효모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미강뜬물 발효액을 정제수 대신 사용함으로써 그 기능을 한층 강화하였을 뿐 만 아니라, 저온숙성 방식과 제조 공정 중 온도 상승에 의해 발효 효소의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여 그 기능성을 배가하였다.
본 발명은 미강에 효모 및 유산균을 인위적으로 투여하여 밀폐 조건에서 약 1개월간 발효시켜 미강 발효분말을 만들고, 유사한 방식으로 미강을 40℃의 물에 풀어 발생한 미강뜬물에 효모 및 유산균을 인위적으로 투여하여 약 15일간 발효시켜 미강뜬물 발효액을 제조하여 미강 발효효소를 만들고, 제조한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미강유와 혼합하고, 유향, 하수오, 상심자 및 오배자가 함유된 한방생약분말과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 저온 숙성함으로써 미강에 의한 각종 피부 미용 성분들과 한방 성분들이 비누 제조 중 파괴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인체에 흡수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함유한 미강비누 조성물은 상심자 또는 유향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한 한방생약분말 1~5 중량%, 유산균, 효모, 당밀 및 미강을 배합하여 발효한 미강 발효분말 6~10 중량%, 유산균, 효모, 당밀 및 미강뜬물을 배합하여 발효한 미강뜬물 발효액 17~33 중량%, 미강유 50~60 중량%, 정제수 4~9 중량%, 수산화알칼리 5~10 중량% 및 라벤더 에센셜 오일 또는 티트리 에센셜 오일 0.01~4 중량%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방생약분말은 상기 한방생약분말의 총중량 중 유향 15~25 중량%, 하수오 중량 15~30%, 상심자 20~35 중량% 및 오배자 20~3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방생약분말은 유향, 하수오, 상심자 및 오배자를 사용한다.
유향은 감람과에 속하는 유향나무의 수액을 건조시켜 만든 약재로서, 약성은 온화하고 독이 없으며 약간 맵고 쓰다. 유향의 효능은 타박상으로 어혈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사지동통에 진통효과가 뛰어나다. 유향은 근육경련으로 동통이 있거나 운동장애, 관절의 동통에도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외상으로 인한 피부감염으로 궤양을 일으켰을 때에는 분말로 만들어 환처에 바르면 육아조직의 형성을 촉진시키고 통증도 제거된다. 어혈로 인한 발생되는 기미를 제거하는데 유향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상심자는 뽕나무 또는 동속식물의 익지 않은 열매를 말린 약재로서,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달고 시다. 성분은 당 종류가 많고 유기산과 점액질,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 등이 함유되어 피부 미용에 효능이 있으며,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노화를 방지하는 물질인 안토시아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기미를 제거하는데 상심자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오배자는 옻나무과의 붉나무 또는 동속 식물의 잎에 오배자진딧물(melaphis chinensis bell)의 자상(刺傷)에 의하여 생긴 벌레집을 사용한 약재로서, 종기나 피부염 및 가려움증 등을 치료하는데 효능이 있다. 오배자의 gallotammin 성분은 수렴 작용이 있어서 피부 점막에 접촉이 되면 조직 단백이 응고되어 수렴효과가 있다.
하수오는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의 덩이뿌리를 약재로 사용한 것으로서,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머리를 검게 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레시틴, 아미노산, 당, 에모닌 및 레인 녹말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홍삼에 버금갈 정도로 자양 강장 및 노화방지에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한 식물성 유지는 미강유를 사용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동백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팜유, 피마자유 또는 호호바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미강유는 고지혈증의 치료약인 오리자노르나 항암 작용의 트코트리에노르산과 같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산화되기 어려운 성질을 갖고 있다. 미강유에는 산화되어 열화하기 쉬운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적기 때문에 산화되는 비율이 매우 낮다.
또한 미강뜬물 발효액에서 발생하는 에스테르향을 중화시키기 위해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서, 라벤더 에센셜 오일과 티트리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다.
라벤더 에센셜 오일은 피부의 세포재생을 도와주기 때문에 피부에 트러블이 생기거나 문제성 피부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다. 여드름, 아토피, 건선, 화상, 찰과상, 타박상, 칼로 난 상처와, 선번(sunburn)에도 효능이 있다. 정신적인 부분에서 라벤더는 사람의 마음을 안정시키며 평안하게 도와주므로, 불면증이나, 우울증, 스트레스 해소에 효능이 있다. 또한 두통이나 치통, 편두통 등의 통증 완화에도 효능이 있다.
티트리 에센셜 오일은 항미생물, 항진균, 방부, 살균, 반흔형성, 살진균 및 살충 등의 작용을 하며, 특히 이중 여드름치료와 손발톱진균에 대한 효능이 탁월하다. 티트리 오일은 여드름, 물집, 화상, 비듬, 포진, 벌레물린데, 발진, 사마귀, 상처치유, 무좀, 주부습진, 입안 염증 및 소양증의 치료에 효력이 있으며, 인체 면역력을 상승시키고, 질병회복을 빠르게 해주는 효능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함유한 저온숙성 미강비누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미강 살균처리 및 미강뜬물 제조 단계
미강을 햇빛에 살균하거나 살균용 기구를 이용해 살균시킨다. 살균 처리된 미강을 약 40℃의 미지근한 물에 넣은 후 교반기로 약 30분간 저속 교반하여 얻어진 미강뜬물을 준비한다(S1).
2. 미강 발효분말 제조 단계
효모와 유산균을 당밀에 풀어준 다음 미강분말에 투여한다. 효모, 유산균, 당밀 및 살균 처리된 미강분말을 혼합하되, 미강 100g 당 효모 0.2 ~ 0.4g, 유산균 0.2 ~ 0.4g 및 당밀 8 ~ 15g을 혼합하고, 잘 섞어 밀폐 용기에 넣어 20 ~ 40일간 발효시킨다. 최적의 조건은 1개월간 발효시킨다.(S2) 20일 이하로 발효시키면 저분자 다당체가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고, 40일을 초과하면 폴리페놀 성분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효모, 유산균, 당밀 및 미강분말을 1:1:30:300의 중량비로 배합한다.
이 때 밀폐된 용기에 혐기 발효하는 이유는 혐기조건에서 발효시 유산균과 효모 둘 다 발효 효과가 좋기 때문이다. 유산균은 혐기 조건 및 PH 3.2 이하의 산성 조건에서 급격히 증가하며, 효모는 양성 통기성이므로 혐기 조건에서도 잘 발효될 수 있기 때문이다.
3. 미강뜬물 발효액 준비단계
효모, 유산균, 당밀 및 미강뜬물을 혼합하되, 미강뜬물 1000ml 당 효모 0.5 ~ 1.5g, 유산균 0.5 ~ 1.5g, 당밀 200 ~ 400g을 혼합하고, 잘 섞어 밀폐 용기에 넣어 약 10 ~ 20일간 발효시키되, 최적의 조건은 15일간 발효시킨다.(S3) 발효 기간이 10일 미만이면 고분자 다당체에서 저분자 다당체로 전환이 충분히 되지 않고, 20일을 초과하면 폴리페놀 성분이 감소한다. 이 때 2~3일 지나면 가스가 발생된다. 1일 1회 정도 가스를 인위적으로 배출시키고 다시 밀폐시킨다. 약 10일이 지나면 더 이상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 잘 발효된 미강뜬물 발효액은 에스테르향이 난다. 바람직하게는, 효모, 유산균, 당밀 및 미강뜬물을 1:1:30:1000의 중량비로 배합한다.
4. 한방생약분말 제조단계
건조된 유향 15~25g, 하수오 15~30g, 상심자 20~35g 및 오배자 20~35g를 배합하여 분쇄하여 한방생약분말을 제조한다.(S4)
5. 미강뜬물 발효액에 수산화알칼리를 첨가하는 단계
소정의 정제수에 순도 99%의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수산화알칼리를 넣어 잘 저어 녹여 준다. 정제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산화칼륨의 용해 시에 급격히 온도가 올라가는데 높은 반응 온도로 인해 미강뜬물 발효액에 포함된 유산균과 효모가 사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수산화알칼리 용액의 온도가 50 ~ 65℃ 이하로, 바람직하게는 60℃ 이하로 하강하면 미강뜬물 발효액을 추가로 넣어 혼합하여 저온에서 혼합되도록 한다(S5).
수산화알칼리 용액의 온도가 10℃ 미만이면 미강뜬물 발효액과의 반응성이 현저히 감소하며, 수산화알칼리 용액의 온도가 65℃를 초과하면 미강뜬물 발효액 내의 미강 발효 효소가 파괴되므로 수산화알칼리의 용액의 온도가 충분히 하강하면 미강뜬물 발효액을 혼합한다.
또한 수산화알칼리 대신 트리메탄올아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트리메탄올아민은 우수한 생분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친환경적인 계면활성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산화알칼리의 용해시키기 위한 소정의 정제수 외에는 미강뜬물 발효액을 정제수 대신 사용함으로써 그 효능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다.
6. 검화 단계(비누화 단계)
미강유에 수산화칼륨이 용해된 미강뜬물을 천천히 넣어주고 골고루 혼합한다. 약 5분 정도 잘 섞어주면 서서히 비누화 반응이 일어나며 겔 상태로 변해 간다(S6).
7. 미강 발효분말, 한방생약분말 및 에센셜 오일 첨가 및 비누 성형 단계
일정 시간 이상 골고루 섞어주면 미강유가 겔화된다. 미강유에 미강 발효분말, 한방생약분말 및 라벤더 에센셜 오일이나 티트리 에센셜 오일과 같은 각종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 등을 첨가하여, 첨가물이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잘 저어주어 골고루 혼합되면 성형틀에 붓고 저온 숙성시킨다(S7).
8. 1차 숙성 건조단계
본 발명은 발효 효소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성형틀에 부어진 비누는 0 ~ 20℃로 약 48시간을 저온 숙성시킨다.
9. 2차 숙성 건조단계
1차 저온 숙성되어진 비누를 규격에 맞게 자른 후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서 약 3주 이상 추가로 숙성시켜 미강 발효 성분과 한방생약 성분이 함유된 저온숙성 미강비누를 완성한다.
[실험예 1] 미백효과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미강 비누에 대하여, 10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1개월 이상 사용하게 한 후 그 효능을 실험하였다.
미백 효과에 대한 관능평가 실험은 성인 20/30대 여성 10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4주간 하루에 1~2회씩 통상의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하게 한 후 사용 전, 1주일 경과 및 1개월경과 후 미백 상태의 정도를 5점 척도법(매우 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미흡(2점), 매우 미흡(1점))에 따라 평가하였다. 도 2는 실험예 1에 의한 피부 미백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표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미강 비누를 피시험자들이 사용 후, 1주일이 경과하고 측정한 결과, 평균 4.1% 개선되었으며, 1개월이 경과하고 측정 결과, 평균 29.1%가 개선되어 본 발명에 의한 미강비누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보습효과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미강 비누에 대하여, 20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1개월 이상 사용하게 한 후 그 효능을 실험하였다. 남녀 각각 10명씩 전체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하박 안쪽면을 온도 22도, 상대습도 45% 항온항습실에서 코르네오메타(Coroneometer) CM820을 사용하여 사용 전, 1주일 경과 및 1개월 경과 후 피부수분 상태를 측정하였다.
계산식=((B-A)/A)*100(%), A: 사용전 보습력, B: 사용 후 보습력
또한,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미강비누에 대하여, 안정성을 5점 척도법(매우 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미흡(2점), 매우 미흡(1점))에 따라 평가하였다. 위의 실험에 대한 결과의 평균값은 [표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73905765-pat00001
이상에서는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상심자 또는 유향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한 한방생약분말 1~5 중량%, 유산균, 효모, 당밀 및 미강을 배합하여 발효한 미강 발효분말 6~10 중량%, 유산균, 효모, 당밀 및 미강뜬물을 배합하여 발효한 미강뜬물 발효액 17~33 중량%, 미강유 50~60 중량%, 정제수 4~9 중량%, 수산화알칼리 5~10 중량% 및 라벤더 에센셜 오일 또는 티트리 에센셜 오일 0.01~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강비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생약분말은 상기 한방생약분말의 총중량 중 상심자 20~35 중량% , 유향 15~25 중량%, 하수오 15~30 중량% 및 오배자 20~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강비누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 발효분말은 효모, 유산균, 당밀 및 미강이 1:1:30:300의 중량비로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강비누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뜬물 발효액은 효모, 유산균, 당밀 및 미강뜬물이 1:1:30:1000의 중량비로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강비누 조성물.
  5. 미강 100g 당 효모 0.2 ~ 0.4g, 유산균 0.2 ~ 0.4g, 당밀 8 ~ 15g을 혼합하여 밀폐시키고 20 ~ 40일간 발효시켜 미강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미강뜬물 1000ml 당 효모 0.5 ~ 1.5g, 유산균 0.5 ~ 1.5g, 당밀 200 ~ 400g을 혼합하여 밀폐시키고 10 ~ 20일간 발효시켜 미강뜬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유향 가루 15 ~ 25 중량%, 하수오 15 ~ 30 중량%, 상심자 20 ~ 35 중량% 및 오배자 20 ~ 35 중량%을 혼합하여 한방생약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발효효소의 파괴를 최소로 하기 위해 정제수에 수산화알칼리를 넣어 용해시키고, 수산화알칼리 용액의 온도가 10℃ 이상 65℃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미강뜬물 발효액을 배합하는 단계;
    상기 수산화알칼리가 용해된 미강뜬물 발효액에 미강유를 배합하여 미강 비누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미강 비누겔에 상기 미강 발효분말과 상기 한방생약분말 및 라벤더 에센셜 오일 또는 티트리 에센셜 오일 0.01~4 중량%를 혼합하여 성형틀에 붓고 0 ~ 20℃로 저온 숙성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강비누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효모, 유산균, 당밀 및 미강을 1:1:30:3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개월간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강비누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뜬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효모, 유산균, 당밀 및 미강뜬물을 1:1:30:10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5일간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미강 발효분말과 미강뜬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강비누 제조방법.
KR1020130096661A 2013-08-14 2013-08-14 미강과 한방생약성분이 함유된 미용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KR101343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661A KR101343133B1 (ko) 2013-08-14 2013-08-14 미강과 한방생약성분이 함유된 미용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661A KR101343133B1 (ko) 2013-08-14 2013-08-14 미강과 한방생약성분이 함유된 미용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133B1 true KR101343133B1 (ko) 2013-12-17

Family

ID=4998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661A KR101343133B1 (ko) 2013-08-14 2013-08-14 미강과 한방생약성분이 함유된 미용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085B1 (ko) * 2018-06-19 2018-08-29 정승진 침출오일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683A (ja) 2000-10-24 2002-05-09 Umano Tekko Kk 皮膚塗布剤又は洗浄剤
KR101096774B1 (ko) 2010-08-26 2011-12-22 김백환 오소리 오일을 이용한 천연비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683A (ja) 2000-10-24 2002-05-09 Umano Tekko Kk 皮膚塗布剤又は洗浄剤
KR101096774B1 (ko) 2010-08-26 2011-12-22 김백환 오소리 오일을 이용한 천연비누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085B1 (ko) * 2018-06-19 2018-08-29 정승진 침출오일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36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060882A (ko)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553389A (zh) 一种植物保湿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CN101278994A (zh) 青刺果口腔护理软胶囊
CN105213284A (zh) 一种祛痘保湿霜及其制备方法
KR102041927B1 (ko) 한약재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977908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CN105125466A (zh) 一种祛斑晚霜及其制备方法
CN104739925A (zh) 一种治疗痤疮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238820B1 (ko) 한방 발효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KR20170029105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항아토피 및 무좀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125467A (zh) 一种祛红血丝乳液及其制备方法
CN110339249B (zh) 一种用于痔疮肛裂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10078559A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3168A (ko) 얼굴 붓기완화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20110108557A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KR101223683B1 (ko) 동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43133B1 (ko) 미강과 한방생약성분이 함유된 미용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KR101807946B1 (ko) 유자, 석류가 함유된 바디워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