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959B1 - Sensibility lighting apparatus interconnectable with smart device - Google Patents

Sensibility lighting apparatus interconnectable with smar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959B1
KR101342959B1 KR1020120035365A KR20120035365A KR101342959B1 KR 101342959 B1 KR101342959 B1 KR 101342959B1 KR 1020120035365 A KR1020120035365 A KR 1020120035365A KR 20120035365 A KR20120035365 A KR 20120035365A KR 101342959 B1 KR101342959 B1 KR 101342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lighting
emotional
ap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13073A (en
Inventor
박성호
유경옥
Original Assignee
유경옥
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옥, 박성호 filed Critical 유경옥
Priority to KR1020120035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959B1/en
Publication of KR20130113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LED 어레이부가 구비된 조명체; 및 상기 조명체의 기저단을 형성하며, 외부 전원을 받아 조명용 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 스마트기기와 전원 및 제어 관점의 도킹을 위한 도킹부, 상기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조명 및 오디오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본체 제어부를 적어도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도킹된 스마트기기로부터 오디오 정보 신호와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오디오 출력부와 LED 어레이부가 동기화된 오디오 출력과 감성 조명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 lighting mechanism,
Illumination body provided with an LED array unit; And a base end of the lighting unit,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supplying power to the lighting unit, an audio output unit for audio output, a docking unit for docking a smart device and a power and control point, and the smart device. And a main body having at least a main body control unit which executes lighting and audio control functions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The main body includes at least one main body control unit. The LED array sec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synchronized audio output and emotional lighting.

Description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 {SENSIBILITY LIGHTING APPARATUS INTERCONNECTABLE WITH SMART DEVICE}Smart device linked emotional lighting {SENSIBILITY LIGHTING APPARATUS INTERCONNECTABLE WITH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LED를 이용한 감성조명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되되, 특히 스마트기기에 대한 도킹 기능을 구비하여 스마트기기의 앱을 통해 음악이 연주되면서 해당 음악의 분위기 패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의 제어가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device, which is configured to produce an emotional lighting effect using the LED, in particular equipped with a docking function for the smart device while playing music through the app of the smart device of the musi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evice-linked emotional lighting device configured to control emotional lighting synchronized with an atmosphere pattern.

LED 조명기술의 발전과 함께, 세계 조명시장은 백열등, 형광등과 같은 전통조명 환경에서 LED 조명 환경으로 급속히 재편하고 있다. 특히, LED 조명은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전통적인 조명기구가 미처 제공하지 못했던 에너지 고효율, 친환경, 지능감성기능의 제공 등 다양하고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LED lighting technology, the global lighting market is rapidly reorganizing from traditional lighting environment such as incandescent and fluorescent light to LED light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through the convergence with digital technology, LED lighting provides various new functions such as providing energy efficiency, eco-friendliness, and intelligent sensitivity that traditional lighting fixtures have not yet provided.

LED 조명의 응용기술의 일예로서, 감성 조명 분야가 부각되고 있다. 감성 조명이란, 각 사용 환경이나 상황에 맞추어 사용자의 신체리듬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빛의 색온도를 제어하여, 조명에 대한 사용자의 기능적인 만족도에서 더욱 나아가 감성적인 측면의 만족도까지 높이는 조명을 의미한다. 도 1은 색온도에 따른 감성 조명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빛의 색상과 밝기에 따라 빛이 제공하는 감성 효과를 예시하고 있다. As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technology of LED lighting, the field of emotional lighting is emerging. Emotional lighting refers to illumination that controls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 to improve the user's physical rhythm according to each use environment or situation,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functional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ing and even the emotional aspect.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lighting according to color temperature, and illustrates an emotional effect provided by light according to the color and brightness of light.

LED는 점광원으로서, 여러 가지 광원의 혼합이 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은 색온도 제어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예를 들어, 하루의 시간대별 태양광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것과 같이 색온도를 제어하여 조명 사용자의 신체리듬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기 표 1은 빛의 색상별 테라피 효과를 예시한 표이다.Since the LED is a point light source, various light sources can be mixed, and thus the color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body of the lighting user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color temperature as depicting the movement of sunlight by time of day. Improve rhythm Table 1 below is a table illustrating the therapy effect by color of light.

구분division 빛의 색상별 테라피 효과Therapeutic effect by color of light 빨강색Red 혈액순환 촉진대사에 도움Helps to promote blood circulation 청색blue 염증을 가라않히는데 도움Helps to relieve inflammation 노랑색Yellow 운동신경 활성화와 코감기에 도움Helps activate motor nerves and colds 보라색purple 식욕을 억제하며 비만치료에 도움Suppresses appetite and helps treat obesity 녹색green 항암효과와 담석증에 도움Helps with anticancer effect and cholelithiasis 주황색Orange 인슐린 분비를 증대시켜 당뇨병에 효과Increased insulin secretion, effective for diabetes 파란색blue 혈압 강하에 효과Effect on lowering blood pressure 주광색Daylight 우울증 환자에 도움Help with depressed patients 남색Indigo 심리적 안정에 도움Helps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그런데, 상기와 같은 감성조명은 조명적 측면에서만 감성 효과를 고려하므로, 다양하고 깊이 있는 감성 효과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더욱 개선된 감성조명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emotional lighting considers the emotional effects only in terms of lighting, there is a limit in providing various and deep emotional effects, and the development of a more improved emotional lighting technolog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s urgently needed.

특히,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컴팩트하면서도 다양한 감성 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감성조명기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In particular,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lighting devices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emotional patterns while being compact in order to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LED를 이용한 감성조명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되되, 특히 스마트기기에 대한 도킹 기능을 구비하여 스마트기기의 앱을 통해 음악이 연주되면서 해당 음악의 분위기 패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의 제어가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configured to produce a sensitized lighting effect using the LED, in particular equipped with a docking function for the smart device music while playing the music through the app of the smart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 lighting device configured to control the emotional lightin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tmosphere pattern of the.

또한, 본 발명은 LED 조명부를 본체부와 착탈식으로 구성하고, LED 조명부에 별도의 충전부를 구비하여, 비상시에 비상 조명 겸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devic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nfigured with the LED lighting unit and the main body portion, and equipped with a separate charging unit in the LED lighting unit, can be used as an emergency lighting in an emergency. It is do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LED 어레이부가 구비된 조명체; 및 상기 조명체의 기저단을 형성하며, 외부 전원을 받아 조명용 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 스마트기기와 전원 및 제어 관점의 도킹을 위한 도킹부, 상기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조명 및 오디오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본체 제어부를 적어도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도킹된 스마트기기로부터 오디오 정보 신호와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오디오 출력부와 LED 어레이부가 동기화된 오디오 출력과 감성 조명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가 개시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illumination body provided with an LED array; And a base end of the lighting unit,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supplying power to the lighting unit, an audio output unit for audio output, a docking unit for docking a smart device and a power and control point, and the smart device. And a main body having at least a main body control unit which executes lighting and audio control functions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The main body includes at least one main body control unit. A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is disclosed in which an LED array unit is configured to provide synchronized audio output and emotional lighting.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정보 신호와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는,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앱(APP)의 실행에 의해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audio inform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and the emotion lighting control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smart device may be a signal generated by execution of an app (APP) in the smart devic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정보 신호와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가 오디오 정보와 동기화되어 하나의 파일로 저장된 오디오 정보 파일을 상기 스마트기기의 앱(APP)이 재생하는 방식으로 생성한 것일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audio inform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and the emotion lighting control signal synchronized therewith, the emotion information control signal is synchronized with the audio information, the audio information file stored in one file to the app (APP) of the smart device This may have been created in a way to play.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정보 신호와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는, 오디오 정보 파일의 재생 시에 오디오 음원을 분석하여 음원의 분위기를 판별하고, 판별된 분위기에 해당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를 동기화하여 스마트기기가 출력하도록 상기 앱(APP)이 구동하여 생성한 것일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audio inform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and the emotion lighting control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smart device may analyze an audio sound source to determine an atmosphere of the sound source when the audio information file is reproduced, and the emotion ligh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tmosphere. The app APP may be generated by synchronizing a control signal to output the smart devic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기기의 앱(APP)의 실행 시, 다양한 분위기 연출을 위한 오디오 선택 기능과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선택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분위기의 감성조명 및 오디오 선택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when the app (APP) of the smart device is executed, an audio selection function and a sensitivity lighting selection function synchronized with the same are provided for the production of various atmospheres, and the emotional lighting and the audio selection output of various atmospheres are selected by the user. This may be configured to enable.

보다 바람직하게, 감성조명기구의 종류별로 2 종류 이상의 LED 어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앱(APP)에는 연동되는 감성조명기구를 선택하는 기능이 더욱 구비되어, 감성조명기구별로 각 LED 어레이부에 최적화 생성된 조명 출력이 이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wo or more kinds of LED array units are provided for each kind of the lighting device, and the app (APP) of the smart devi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unction of selecting the linked lighting device, and each LED array unit for each lighting device. Can be configured to achieve a generated light output.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킹부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상단에 연장 형성된 도킹 슬롯부와, 상기 도킹 슬롯부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기기의 커넥터와 제어 신호 송수신을 위한 결합이 이뤄지도록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docking unit is provided with a docking slot portion exte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mart device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he docking slot portion is provid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docking, coupling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with the connector of the smart devi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or to make this happen.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명체는, 기둥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조명체 바디와, 상기 조명체 바디의 상단부에 결합 구성된 LED 어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체 바디는, 본체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LED 어레이부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적어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illuminator includes an illuminator body extending in a columnar shape and an LED array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illuminator body, wherein the illuminator body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a main body control unit and the LED arra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a ligh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negativ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명체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조명 결합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충전 상태를 유지하는 충전지와, 상기 LED 어레이부의 조명 온/오프 조작을 위한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 시 비상 조명수단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illumination body is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ghting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maintains the state of charge wit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ody, and the light on / off operation of the LED array unit It is provided with a switch means for, can be configured to be used as an emergency lighting means when removing from the body.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LED 어레이부에는,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색상을 가진 LED가 구비되어, 빛의 색상과 밝기를 별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LED array unit is provided with LEDs having at least two kinds of colors, and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ly control the color and the brightness of the light.

이러한 본 발명은, 조명적 측면과 청각적 측면을 연동하여 감성 환경을 연출하므로써, 기존 감성조명에 비해 더욱 다양하고 깊이 있는 감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more diverse and deep emotional effects than the existing emotional lighting by creating an emotional environment by interlocking the lighting and auditory aspects.

특히, 스마트기기를 스탠드형의 조명기구 본체에 도킹 방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조명기구 자체를 복잡한 고가의 부품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의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최소의 제어부 구성만으로 고 기능의 감성조명기구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smart device is used by docking method to the stand type luminaire main body, the luminaire itself does not need to be composed of complicated and expensive parts.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emotional lighting.

또한, 조명 및 음악의 설정과 제어를 스마트기기의 앱(APP)을 통해 구현하므로, 간단한 조작만으로 다양한 부가 기능 제공과, 편리한 기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tting and control of lighting and music are implemented through an app (APP) of a smart device, various simple functions can be provided and a convenient function improvement can be expected by simple operation.

또한, 스탠드 형의 컴팩트한 구성을 취하므로, 고정된 형태의 조명기구에 비하여 더욱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mpact configuration of the stand type,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more convenient use environment than the fixed type lighting fixtures.

또한, 도킹 상태에서 스마트기기의 자동충전기능과, 착탈식 LED 조명체의 탈거에 의한 비상 조명 겸용 사용 등 다양하고 편리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docking state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variety of convenient and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utomatic charging of smart devices, combined use of emergency lighting by removing the removable LED lighting body.

도 1은 색온도에 따른 감성 조명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본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본체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본체의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조명체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전기 및 제어 체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UI 화면 예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rrelation with emotional lighting according to the color temperat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device linked emotional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device linked emotional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smart device linked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smart device linked emotional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smart device linked emotional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lluminator of the smart device linked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and control system of the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 to (c) is an exemplary view of the UI screen of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of.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하는 스마트기기는, 안테나, 무선신호 처리부, 모뎀, 스피커, 마이크 폰, 코덱, 터치 스크린, 램(RAM), 플래시 롬(FLASH ROM), 이이피롬(EEPROM), 중앙처리장치 등을 구비한 통상의 모바일 스마트기기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을 통해 웹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앱, APP)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패드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통상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기능 관점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Smart devices mention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s include antennas,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s, modems, speakers, microphones, codecs, touch screens, RAM, FLASH ROM, EEPROM, central processing units, etc. It may be a conventional mobile smart device having a, for example,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that can use a web service and application (app, APP) service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cription of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such a smart device will be omitted,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functional aspect requir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전기 및 제어 체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Separation perspective view of a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and control system of the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는 조명체(200)와 본체(100)를 구비한다. The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ing body 200 and a main body 100.

조명체(200)에는 LED 어레이부(214)가 구비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조명체의 사시도이다. The illuminator 200 includes an LED array unit 214.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lluminator of the smart device linked emotional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명체(200)는, 기둥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조명체 바디(230)와, 상기 조명체 바디(230)의 상단부에 결합 구성된 LED 어레이부(214)를 포함한다. 일예로서, LED 어레이부(214)는 조명체 바디(230)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 어레이 지지부(220)를 통해 설치되어, 조명 각도 조절을 위한 회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명 각도 조작에 관한 구성은 공지의 다양한 회동식 결합 구성이 적용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illuminator 200 includes an illuminator body 230 extending in a columnar shape and an LED array unit 214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illuminator body 230. As an example, the LED array unit 214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array support unit 22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illuminator body 230 in a rotatable form, and may be configured to enable a rotation operation for adjusting the illumination angle. The configuration of the illumination angle operation is applicable to a variety of known rotational coupling configur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조명체 바디(230)는, 본체 제어부(102)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LED 어레이부(214)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20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체 제어부(102)로서는 예를 들어, 공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PU)가 적용될 수 있으며, 조명제어부(202)로서는 예를 들어, 공지의 LED 구동 드라이버가 적용될 수 있다. The illuminator body 2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ght control unit 202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body control unit 102 to control the illumination of the LED array unit 214. As the main body control unit 102, for example, a known microprocessor (MPU) may be applied. As the lighting control unit 202, for example, a known LED driving driver may be applied.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조명체(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형성된 조명 결합부(13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조명체(200)의 하단부의 외주 단면과 본체의 조명 결합부(130)의 내주 단면은 대략 일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결합 방식이 응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more preferably, the illuminator 200 is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ghting coupling portion 130 form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100. To this end, the outer circumferential cross s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illuminator 2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cross section of the illumination coupling unit 130 of the main body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oincident shape to be coupled in an insertion manner. In addition to this, a variety of known coupling methods may be applied.

또한, 전원 공급 및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조명체(200) 하단부에는 충전단자(210)와 커넥터(206)가 구비되며, 조명 결합부(130)의 상부면의 일치하는 위치에 또 다른 충전단자(110b)와 커넥터(106b)가 구비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the power supply and control signals, the lower end of the illuminator 200 is provided with a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connector 206, another charging in the same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ing coupling unit 130 The terminal 110b and the connector 106b are provided.

충전단자(210)와 커넥터(206)는 기능적으로는 별도의 요소로 구분되지만, 전원공급과 제어 신호가 하나의 단자로 제공/공급되도록 구성된 다양한 공지의 표준 규격을 적용하여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단자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은 스마트기기(300)의 충전단자(310) 및 커넥터(306)와, 본체(100)의 충전단자(110a) 및 커넥터(106a)의 결합 단자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기기(300) 및 본체(100), 조명체(200)에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각각 구비된 인터페이스부(304,104a,104b,204)는 각 제어부(302,102,202)가 상호 간에 각각의 커넥터(306,106a,106b,206)를 통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Although the charging terminal 210 and the connector 206 are functionally divided into separate elements, one terminal is physically applied by applying various well-known standard specifications configured to provide / supply a power supply and a control signal to one terminal.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This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charging terminal 310 and the connector 306 of the smart device 300 and the coupling terminal of the charging terminal 110a and the connector 106a of the main body 100. On the other hand, the interface unit 304, 104a, 104b, 204, respectively provided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ontrol signal to the smart device 300, the main body 100, the illuminator 200, each control unit 302, 102, 202, each connector It can be understood as an interface elem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s through (306, 106a, 106b, 206).

이와 함께, 조명체(200)는, 상기 본체(1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충전 상태를 유지하는 충전지(208)와, 상기 LED 어레이부(214)의 조명 온/오프 조작을 위한 제2스위치부(212)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100)로부터 탈거 시 별도의 비상 조명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lluminator 200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208 for maintaining a state of charge wit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ody 100, and a second switch unit for lighting on / off operation of the LED array unit 214. 212, it may be used as a separate emergency lighting means when removing from the main body 100.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LED 어레이부(214)에는,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색상을 가진 LED가 구비되어, 빛의 색상과 밝기를 별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감성조명을 위한 색온도 제어를 위해서는 빛의 색상과 밝기가 함께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러한 구성을 통해 효과적인 감성조명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색상별 LED가 배치되는 구조는 제품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Further, more preferably, the LED array unit 214 is provided with LEDs having at least two kinds of colors, and configured to separately control the color and brightness of the light. In order to control the color temperature for the emotional light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or and brightness of the light are controlled together, so that the effective emotional lighting can be achieved throug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structure in which the LEDs for each color are arranged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product characteristic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미설명 부호 108a는 외부 전원공급선과 결합하는 컨넥터부이고, 110c는 본체의 비상충전단자로서 스마트기기의 여분의 충전지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추가 구비될 수 있으며, 112는 본체의 조명 전원 제어를 위한 제1스위치부, 114는 스마트 기기의 오디오 출력을 증폭 출력하는 본체의 오디오 출력부(스피커), 116은 본체의 USB 인터페이스부로서 본체 제어부 또는 도킹 연결된 스마트기기에 별도의 부가 기기가 USB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120은 본체의 도킹부 슬롯로서 스마트기기가 도킹되는 부분이다. 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108a is a connector coupl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line, 110c may be further provided to charge the extra rechargeable battery of the smart device as an emergency charging terminal of the main body, 112 is to control the lighting power of the main body The first switch unit, 114 is an audio output unit (speaker) of the main body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audio output of the smart device, 116 is a USB interface unit of the main body as a separate control device or a separate additional device connected to the smart device docked by a USB method To be connected, 120 is a docking unit slot of the main body is a docked smart device.

또 다른 미설명 부호 308은 스마트기기의 충전지이다. 스마트기기의 충전지는 도킹 상태에서 본체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 자동 충전될 수 있다.
Another reference numeral 308 is a rechargeable battery of a smart device. The rechargeable battery of the smart device may be automatically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body in a docked stat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본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본체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의 본체의 배면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The rear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smart device linked emotional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100)는 상기 조명체(200)의 기저단을 형성하며, 외부 전원을 받아 조명용 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08)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14), 스마트기기(300)와 전원 및 제어 관점의 도킹을 위한 도킹부(120,106a), 상기 스마트기기(300)와 연동하여 조명 및 오디오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본체 제어부(102)를 구비한다. 전원공급부(108)는 예를 들어, 교류의 외부 전원을 적절한 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 공급하는 공지의 직류전원회로부로 이해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forms a base end of the illuminator 200, and receives a power supply 108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lighting power, an audio output unit 114 for audio output, and a smart device 300. And a docking unit (120, 106a) for docking in terms of power and control, and the main body control unit 102 for executing the lighting and audio control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 device 300. The power supply unit 108 may be understood as, for example, a known DC power supply circuit unit that converts and supplies an external power supply of AC into a DC power supply having an appropriate voltage.

상기 도킹부는, 상기 스마트기기(300)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0) 상단에 연장 형성된 도킹 슬롯부(120)와, 상기 도킹 슬롯부(120)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기기(300)의 커넥터(306)와 제어 신호 송수신을 위한 결합이 이뤄지도록 하는 커넥터(106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킹 슬롯부(120)는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기기(300)가 모두 삽입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슬롯의 양단이 오픈된 형태로 구성된다. The docking unit may include a docking slot unit 120 extend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to enable insertion and coupling of a lower end of the smart device 300,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docking slot unit 120. And a connector 106a for coupling to the connector 306 of the 3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s. Docking slot portion 120 is configured so that both ends of the slot is open, so that all the smart devices 300 of various sizes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본체(100)에 도킹된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오디오 정보 신호와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오디오 출력부(114)와 LED 어레이부(214)가 동기화된 오디오 출력과 감성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audio information signal and the emotion lighting control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same are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300 dock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audio output unit 114 and the LED array unit 214 are synchronized. Audio output and emotional lighting.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정보 신호와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는, 상기 스마트기기(300)에서 앱(APP)의 실행에 의해 생성된 신호가 된다. On the other hand, preferably, the audio inform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300 and the emotional light control signal synchronized with it, the signal generated by the execution of the app (APP) in the smart device (300).

앱 실행에 의한 신호 생성의 일예로서, 상기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정보 신호와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가 오디오 정보와 동기화되어 하나의 파일로 저장된 오디오 정보 파일을 상기 스마트기기(300)의 앱(APP)이 재생하는 방식으로 생성한 것이 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signal generation by running an app, an audio inform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300 and an emotional lighting control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audio information file are stored in one file by synchronizing the emotional lighting control signal with audio information. It may be generated in such a way that the app (APP) of the smart device 300 to play.

이러한 파일은 예를 들어, 감성조명기구의 제조자에 의해 미리 준비된 것일 수 있으며, 다양한 분위기의 오디오 정보 파일(예를 들어, MP3 규격의 음악 오디오 파일)에 감성조명 제어 신호가 동기화되어 하나의 파일로 저장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감성조명 제어 신호 정보를 별도의 파일로 미리 제작 및 생성하여 두고, MP3 음악 파일의 재생 시 매칭되는 분위기의 감성조명 파일을 동기화하여 재생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러한 파일은 다운로드 방식으로 스마트기기에 미리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되는 것일 수도 있다. Such a file may be prepared in advance by the manufacturer of the lighting device, for example, and the lighting control signal is synchronized with the audio information file (for example, the music audio file of the MP3 standard) of various moods as a single file. It may be stored. On the other hand, the emotion lighting control signal information is produced and generated in advance as a separate file in advance, it is also possible to synchronize the reproduction of the emotional lighting files of the matching atmosphere when playing the MP3 music file. Such a file may be pre-stored in a smart device by a download method or may be played by a streaming method.

감성조명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다양한 색상의 LED를 가진 LED 어레이에 대하여, 각각의 감성패턴에 맞도록 빛의 색상과 밝기를 출력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motion lighting control signal may be understood as a signal for driving control to output color and brightness of light to match each emotion pattern, for an LED array having LEDs of various colors.

또 다른 신호 생성의 일예로서, 상기 스마트기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정보 신호와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는, 오디오 정보 파일의 재생 시에 오디오 음원을 분석하여 음원의 분위기를 판별하고, 판별된 분위기에 해당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를 동기화하여 스마트기기(300)가 출력하도록 상기 앱(APP)이 구동하여 생성한 것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8008호, 10-0250017호 등을 통해 이러한 감성조명의 개념 자체에 대하여는 개시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예시 설명은 생략하며, 이외에도 음원의 분위기를 판별하여 실시간으로 조명 제어를 동기화하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another example of signal generation, the audio inform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300 and the emotion lighting control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smart device 300 analyze the audio sound source at the time of reproduction of the audio information file to determine the atmosphere of the sound source, The app (APP) may be generated by driving the smart device 300 to output the synchronizing the emotional light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atmosphere. Since the concept of the emotional light itself has been disclosed through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958008, 10-0250017, etc.,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in addition to the various technologies for determining the atmosphere of the sound source to synchronize the lighting control in real time Of course this can be applied.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기기(300)의 앱(APP)의 실행 시, 다양한 분위기 연출을 위한 오디오 선택 기능과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선택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분위기의 감성조명 및 오디오 선택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감성의 연출을 제공할 수 있는 음악과 조명이 선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preferably, when executing the app (APP) of the smart device 300, the audio selection function and the emotional light selection function for synchronizing the various atmosphere is provided, the emotion of various atmospheres by the user's selection It is configured to enable lighting and audio selection output. For example, music and lighting can be selected that can provide the presentation of the various emotions shown in FIG. 1.

한편, 바람직하게는, 감성조명기구의 종류별로 2 종류 이상의 LED 어레이부(214)가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기기(300)의 앱(APP)에는 연동되는 감성조명기구를 선택하는 기능이 더욱 구비되어, 감성조명기구별로 각 LED 어레이부(214)에 최적화 생성된 조명 출력이 이뤄지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preferably, two or more kinds of LED array unit 214 is provided for each type of emotional lighting device, the app (APP) of the smart device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unction for selecting the emotional lighting device to be linked. For example, each of the lighting fixtures is configured to achieve an optimally generated lighting output for each LED array unit 214.

여기서, 최적화 생성된 조명 출력이란, 동일 내지 유사한 색온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배열을 갖는 각 종류 별 LED 어레이부를 최적화 제어하여 조명을 출력한다는 의미로서, 이를 위하여, 각 종류별로 미리 설정된 변환 로직에 의하여 기본 조명 제어 신호를 최적화 변환하거나, 각 감성조명기구의 종류별로 미리 각각의 조명 제어 신호를 별도로 설정 및 저장하여 재생하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Here, the optimally generated light output means that the LED array unit for each type having various arrangements is optimized to output the light to form the same or similar color temperature. For this purpose, the lighting output is basically set by the conversion logic preset for each type. A method of optimizing and converting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or separately setting, storing, and reproducing each illumination control signal in advance for each type of emotional lighting device may be applied.

도 1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UI 화면 예시도로서, 본 실시예의 감성조명기구 제어를 위한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UI를 예시한다.
10A to 10C are diagrams illustrating UI screens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various UIs of the smart device for controlling the emotional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100: 본체
200: 조명체
300: 스마트기기
100:
200: illuminator
300: smart device

Claims (10)

LED 어레이부가 구비된 조명체; 및
상기 조명체의 기저단을 형성하며, 외부 전원을 받아 조명용 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 스마트기기와 전원 및 제어 관점의 도킹을 위한 도킹부, 상기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조명 및 오디오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본체 제어부를 적어도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도킹된 스마트기기로부터 오디오 정보 신호와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오디오 출력부와 LED 어레이부가 동기화된 오디오 출력과 감성 조명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조명체는,
기둥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조명체 바디와,
상기 조명체 바디의 상단부에 결합 구성된 LED 어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체 바디는,
본체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LED 어레이부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적어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
Illumination body provided with an LED array unit; And
Forming the base of the illuminator, the power supply for receiv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for lighting and the audio output for audio output, the docking unit for docking the smart device and the power and control perspective, interworking with the smart device A main body having at least a main body control unit configured to execute lighting and audio control functions.
Receiving an audio information signal and the emotional lighting control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smart device docked in the main body,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LED array unit is configured to provide synchronized audio output and emotional lighting,
The illuminator is
Illuminator body extending in the shape of a column,
An LED array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illuminator body,
The illuminator body,
Smart device linked emotional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a ligh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of the LED array unit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body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정보 신호와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는,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앱(APP)의 실행에 의해 생성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audio inform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and the emotional light control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smart device, the emotional light mechanism linked to the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generated by the execution of the app (APP) in the smar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정보 신호와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가 오디오 정보와 동기화되어 하나의 파일로 저장된 오디오 정보 파일을 상기 스마트기기의 앱(APP)이 재생하는 방식으로 생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udio inform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and the emotion lighting control signal synchronized thereto,
Emotional lighting device linked to the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motional light control signal is synchronized with the audio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pp (APP) of the smart device to reproduce the audio information file stored as one fi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정보 신호와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는,
오디오 정보 파일의 재생 시에 오디오 음원을 분석하여 음원의 분위기를 판별하고, 판별된 분위기에 해당하는 감성조명 제어 신호를 동기화하여 스마트기기가 출력하도록 상기 앱(APP)이 구동하여 생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udio inform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and the emotion lighting control signal synchronized thereto,
The app (APP) is generated by driving the app so that the smart device outputs the sound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audio source at the time of playing the audio information file, and synchronizing the emotional ligh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tmosphere. Emotional lighting mechanism linked to smart de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의 앱(APP)의 실행 시, 다양한 분위기 연출을 위한 오디오 선택 기능과 이에 동기되는 감성조명 선택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분위기의 감성조명 및 오디오 선택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app (APP) of the smart device is executed, an audio selection function for synchronizing various moods and an emotional lighting selection function ar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output emotional illumination and audio selection of various moods by a user's selection.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감성조명기구의 종류별로 2 종류 이상의 LED 어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앱(APP)에는 연동되는 감성조명기구를 선택하는 기능이 더욱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wo or more kinds of LED array units are provided for each kind of emotional lighting device.
App (APP) of the smart device is a smart device linked emotional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function to select the linked emotional ligh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상단에 연장 형성된 도킹 슬롯부와,
상기 도킹 슬롯부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기기의 커넥터와 제어 신호 송수신을 위한 결합이 이뤄지도록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docking unit,
A docking slot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mart device can be inserted and coupled;
Equipped with a central portion of the docking slot portion, the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mechanism comprising a connector to be made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ontrol signal and the connector of the smart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체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조명 결합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충전 상태를 유지하는 충전지와, 상기 LED 어레이부의 조명 온/오프 조작을 위한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 시 비상 조명수단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ing body is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ghting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top of the body,
It is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for maintaining a state of charge wit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ody, and a switch means for lighting on / off operation of the LED array unit,
Smart device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used as an emergency lighting means when removing from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부에는,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색상을 가진 LED가 구비되어, 빛의 색상과 밝기를 별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연동식 감성조명기구.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LED array unit,
Equipped with at least two colors of LEDs, smart devices interlocking emotional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ontrol the color and brightness of light separately.

KR1020120035365A 2012-04-05 2012-04-05 Sensibility lighting apparatus interconnectable with smart device KR101342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365A KR101342959B1 (en) 2012-04-05 2012-04-05 Sensibility lighting apparatus interconnectable with smar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365A KR101342959B1 (en) 2012-04-05 2012-04-05 Sensibility lighting apparatus interconnectable with smar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073A KR20130113073A (en) 2013-10-15
KR101342959B1 true KR101342959B1 (en) 2013-12-18

Family

ID=4963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365A KR101342959B1 (en) 2012-04-05 2012-04-05 Sensibility lighting apparatus interconnectable with smar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9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611B1 (en) * 2014-11-19 2015-05-15 임예솔 Lighting device which enable to increase study effciency and mobile terminal capable of managing study related to the same
KR101992046B1 (en) * 2018-01-17 2019-06-24 (주)세보에너지 Oxygen vending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35B1 (en) * 2010-09-07 2011-01-13 (주)엠에스티 Light system enable to control illuminance
KR101039274B1 (en) * 2010-11-11 2011-06-07 (주)싸이트리 Smart system for wireless audio ser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35B1 (en) * 2010-09-07 2011-01-13 (주)엠에스티 Light system enable to control illuminance
KR101039274B1 (en) * 2010-11-11 2011-06-07 (주)싸이트리 Smart system for wireless audio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073A (en)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51413B (en) Lamp light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160315652A1 (en) Mobile device case
US20130249403A1 (en)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WO2017101590A1 (en) Audio-based lamp control system, device and method,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1641510B1 (en) Free transformable bluetooth LED speaker
CN205508402U (en) System for perception mood changes control lamp light sum music
CN106061058A (en) Bluetooth two-mode intelligent light-sound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0465111Y1 (en) Desk lamp interlocking with smart phone
KR101342959B1 (en) Sensibility lighting apparatus interconnectable with smart device
CN107889322A (en) Automatic regulating heading control loop and its method
CN204425616U (en) Can the Baffle Box of Bluetooth of acoustic control target device
CN207340116U (en) Earphone
US11369865B2 (en) Microprocessed electronic device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by controlling and synchronizing light and sound
KR101659428B1 (en) Complex lighting system linked with user terminal controller
JP2017091840A (en) Lamp fitting system and lamp fitting
CN207732953U (en) A kind of Baffle Box of Bluetooth
CN208124076U (en) A kind of intelligent radio music downlight
CN204442606U (en) Lifting soundbox
KR102345027B1 (en) Lighting device and frame with said lighting device attached thereto
CN205332154U (en) Intelligence bluetooth sound lamp
CN210958665U (en) Bluetooth sound lamp string
CN217337937U (en) Multifunctional chair armrest
CN215991147U (en) Wireless microphone with hardware sound effect
US117168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smart home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CN208719985U (en) A kind of laser snowflake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