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508B1 -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for ventilating damper having digital display - Google Patents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for ventilating damper having digital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508B1
KR101340508B1 KR1020120080314A KR20120080314A KR101340508B1 KR 101340508 B1 KR101340508 B1 KR 101340508B1 KR 1020120080314 A KR1020120080314 A KR 1020120080314A KR 20120080314 A KR20120080314 A KR 20120080314A KR 101340508 B1 KR101340508 B1 KR 10134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shaft
control device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3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기
심홍철
Original Assignee
박상기
주식회사 다우밸브
심홍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기, 주식회사 다우밸브, 심홍철 filed Critical 박상기
Priority to KR1020120080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5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5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of a damper of a ventilating device with a digital display device which accurately controls the opened extent of the damper of the ventilating device and facilitates various set-ups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composi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which controls the opened extent of the rotary damper formed on a discharge unit of the ventilating device and which includes an operating unit having a shaft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a rotary shaft of the damper and which transmits driving power; a synchro-motor which is driven by control signals and which provides rotating power to the shaft; 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opened extent of the damper controlled by the damper control device. Therefore, the opened extent of the damper which is controlled by the damper control device joined to a duct can be easily checked.

Description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FOR VENTILATING DAMPER HAVING DIGITAL DISPLAY}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for ventilation damper with digital display device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FOR VENTILATING DAMPER HAVING DIGITAL DISPLAY}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환기장치의 댐퍼의 개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 환경이나 구성에 따라 다양한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portional type of a ventilator damper having a digital display device that can accurately control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of the ventilator, but can be easi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r configuration. The opening degree control device relates.

최근에 사용되는 건물이나 작업장 등에서는 자연환기를 위한 개별창문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고 중앙집중처리방식의 환기장치나 공기조화시스템이 적용된다. 이러한 공기조화시스템의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운전이 요구된다. 따라서, 공기조화시스템에서 공기의 유동량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한 덕트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장치를 구비하게 된다.In modern buildings and workshops, individual windows for natural ventilation are often not installed, and centralized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systems are applied. Accurate and reliable operation of such an air conditioning system is required. Therefore,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provided with a duct for precisely controlling the flow amount of air and an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의 공기조화시스템의 덕트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uc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ior art.

공기조화시스템은 실내 공기를 조화하기 위한 실내기(1), 상기 실내기(1)에서 조화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유동시켜 안내하는 덕트(3), 덕트(3)의 단부측에서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댐퍼(5) 및 상기 댐퍼(5)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댐퍼 제어부(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실내기(1)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selectively shields a flow path at an end of the duct 3 and an indoor unit 1 for harmonizing the indoor air, a duct 3 for guiding the air harmonized in the indoor unit 1 to the indoor space. And a damper controller 6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5. In addition,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indoor unit 1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실내기(1)는 실내측에 배치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정화 및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에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하게 된다.The indoor unit 1 is disposed on the indoor side and sucks inside or outside air, and the sucked air is discharged back into the indoor space after purification and heat exchange are performed.

이러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유로인 덕트(3)는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배치관계는 실내의 면적과 공기의 양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One or more ducts 3, which are flow paths for guiding the flow of air, are arranged, and this arrangement relationship can be determined by the area of the room and the amount of air.

상기 덕트(3)는 일측에서 실내기(1)와 연통되고, 그 단부측에서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댐퍼(5)를 구비한다. 상기 댐퍼(5)는 댐퍼 제어부(6)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며, 상기 덕트(3)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The duct 3 communicates with the indoor unit 1 on one side and has a damper 5 for controlling the flow on its end side. The damper 5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damper control unit 6, and selectively shields the inside of the duct (3).

종래의 댐퍼 제어부(6)는 각각의 덕트에 부착되어 사람이 직접 조작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수동으로 조작하는 방식이 적용되어왔으나 최근에는 전동모터를 사용하는 댐퍼가 구비됨에 따라 전기신호를 통해 제어하는 댐퍼 조작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Conventional damper control unit (6) is attached to each duct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directly manipulated by a human, generally manual operation has been applied, but recently the electric motor is provided with a damper using an electric motor Damper controls are also used that control via signals.

상기 댐퍼 제어부(6)는 댐퍼(5)의 온(on)/오프(off)를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댐퍼 제어부(6)를 작동하여 댐퍼(5)를 개폐함으로써 실내기(1)로부터의 유동을 차단하거나 개방하게 된다.The damper control unit 6 is provided with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off) of the damper 5, the operator operates the damper control unit 6 to open and close the damper (5) as needed, the indoor unit (1) To block or open the flow from

그런데, 종래기술의 댐퍼 조작장치는 덕트에 인접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조작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개별 덕트는 천정의 소정의 개구부위에 형성되는데 사용자가 댐퍼의 개도를 조정하거나 덕트를 개폐하고자 하는 경우에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damper operating device of the prior art has a difficulty in operation because it is coupled adjacent to the duct. That is, the individual duct is formed on a predetermined opening of the ceiling, there is a problem in the case where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or open and close the duct.

또한, 조작장치가 개도를 조정하는 기능을 구비하더라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개도를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댐퍼가 어느 정도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한계를 넘어서 무리하게 조작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고 이러한 경우는 장치의 변형이나 파손의 우려도 존재한다.In addition, even if the operating device h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ccurate opening degre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visually check. In particular, the user may excessively operate beyond the limit in a state where the damper is opened to some extent, and in such a case, there is a fear of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device.

특히, 덕트가 다수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치 과정에 따라 각각 댐퍼가 서로 다른 배치상태를 가질 가능성이 높고 이러한 경우 단일의 조작장치로 다수의 댐퍼를 조작할 수 없는 한계로 작용하기도 한다.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ducts are provid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each damper has a different arrangement stat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in this case, it may act as a limitation that a plurality of dampers cannot be operated by a single op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댐퍼제어장치가 댐퍼의 개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댐퍼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damper control device to provide a damper control device that can accurately check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또한, 입출력의 선택 및 초기 설정이 가능한 스위치류들을 모듈화하여 배치함으로써 토출측에 직접 배치되는 댐퍼제어장치의 조작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댐퍼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mper control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operation of the damper control device disposed directly on the discharge side by modularly arranging switches capable of selecting and initial setting input and output.

본 발명의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는, 환기장치의 토출부측에 배치되는 회전식 댐퍼의 개도를 조작하는 제어장치로서, 댐퍼의 회동축에 직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를 구비하는 조작부, 제어신호를 통하여 구동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싱크로모터 및 댐퍼의 개도량을 화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댐퍼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덕트에 결합된 댐퍼 제어장치에 의해 조정되는 댐퍼의 개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of the ventilator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device for manipula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rotary damper disposed on the discharge part side of the ventilator, an operation unit having a shaft connected directly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amper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and control It provides a damper control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riving the signal and the rotational force to provide a rotational power to the shaft and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ning amount of the damper as an image. Therefore,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adjusted by the damper control apparatus couple | bonded with the duct can be grasped | ascertained easily.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댐퍼의 개도량을 토출부의 폐쇄상태에서부터 완전 개방상태까지 0%에서 100%의 사이에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직관적으로 토출부에서의 송풍량 또는 개방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opening amount of the damper between 0% and 100%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fully open state of the discharge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the amount of blowing or opening in the discharge portion.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하방향의 반전을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장소나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디스플레이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setting switch for selecting an inverting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setting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lace or method.

또한,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댐퍼의 회전을 선택하는 회동방향 설정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설정으로 제어입력의 변경 없이 회동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irection setting switch for selecting rotation of the dampers in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ontrol signal. Therefore, the rotation direction can be selected without changing the control input with a simple setting.

또한, 제어신호가 차단되거나 제어계통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댐퍼의 닫힘 또는 정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선동작 설정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발생시의 댐퍼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connection operation setting switch for selecting whether the damper is closed or stopped when the control signal is blocked or an error occurs in the control system.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damper at the time of abnormal occurrence can be determined correctly.

또한, 전력의 차단 및 재연결시 또는 댐퍼와의 결합시 댐퍼를 초기위치로 초기화시키는 세팅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의 위치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switch for initializing the damper to an initial position when the power is cut off and reconnected or when the damper is coupled to the damper. Thus, the position of the damper can be easily determined and accurate control is possible.

한편, 전력의 차단 및 재연결시 또는 댐퍼와의 결합시 초기화를 자동으로 수행할지 상기 세팅스위치의 동작에 의하여 수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초기화 설정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환경에 따라 초기화 여부의 선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further include an initialization setting switch for selecting whether to perform the initialization automatically when the power is cut off and reconnected or when coupled with the damper by the operation of the setting switch. Therefore, the selection of initialization or not can be easily made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또한, 직접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켜 댐퍼의 개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샤프트와 상기 싱크로모터의 구동연결을 차단하는 수동조작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댐퍼의 수동조작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manual operation button for blocking the drive connection of the shaft and the synchro motor to directly rotate the shaft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Therefore, manual operation of the damper is possible easily.

또한, 입력전력의 전류 또는 전압의 종류를 선택하는 입력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 또는 전압이나 그 값의 범위에 따라 다양한 입력전력의 선택이 가능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the type of current or voltage of the input power. Accordingly, various input powers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a current or voltage or a range of values thereof.

또한, 상기 스위치들은 딥(Dip)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In addition, the switches may be configured as dip switches. Therefore,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and the user's convenience is increased by the simple configuration.

또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샤프트의 외주측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눈금이 배열되는 스트로크지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동의 회전동작시의 직관적인 파악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roke indicating unit is fixedly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shaft and the graduation i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fore, intuitive grasp at the time of manual rotation operation is possible.

또한, 상기 샤프트가 0도에서 90도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The shaft can also be rotated between 0 and 90 degrees.

또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샤프트의 외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걸림부와, 상기 샤프트의 외주측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를 걸림하여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개도의 제어가 가능하고 부품들의 바람직하지 않은 부하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unit protruding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af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haft, and a stopper unit fixedly dispos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haft and limiting rotation of the shaft by locking the locking unit. Can be. Therefore, accurate opening degree control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undesirable load or damage of the parts.

본 발명의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는, 댐퍼제어장치가 댐퍼의 개도를 비례식 및 전자식으로 제어하면서도 개도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정확하게 표시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도 사용자가 댐퍼의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개도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the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of the ventilation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er control device accurately displays the opening degree through the display unit while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proportionally and electronicall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damper even at a long distan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ccurately control the opening degree.

또한, 입출력의 선택 및 초기 설정이 가능한 스위치류들을 모듈화하여 배치함으로써 토출측에 직접 배치되는 댐퍼제어장치의 조작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operation of the damper control device disposed directly on the discharge side by modularizing the switches that can be selected and the initial setting of the input and output and the operation reliability is improved.

도 1은 종래기술의 공기조화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의 PCB 부위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의 딥스위치부의 조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의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of the ventilator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portional opening degree control device of the ventilator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CB portion of the proportional opening degree control device of the ventilator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E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p switch unit of the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of the ventilator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cover of the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of the ventilator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of the ventilation device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of the ventilator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환기장치의 토출부측에 배치되어 송풍의 풍량을 제어하는 회전식 댐퍼와 연결되어 개도를 조작하는 제어장치로서, 댐퍼의 회동축에 직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조작부(1100), 개도량을 화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control device for manipulating the opening degree is connected to the rotary damper for controlling the air flow rate of the ventilation device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ventilation device,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amper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the opening amount It includes a display unit 1300 for displaying the image.

환기장치는 소정의 공간에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공기의 온도나 습도 등의 상태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환기장치는 배관을 통하여 연장되는 유로를 가지며 배관의 단부측에는 덕트와 같은 토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부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는데, 유출입되는 공기의 양 또는 공간의 면적 등을 고려하여 배치와 개수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ventilator refers to a device that sucks or discharges air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may be combined with an air conditioner for controlling a condition such as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air. The ventilator has a flow path extending through the pipe, and an end portion of the pipe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art such as a duct. One or more discharge parts may be provided, and arrangement and number of the discharge parts may be selectively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or out of the space.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부측에는 댐퍼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댐퍼는 송풍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되 회전에 따라 토출부측의 유로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기능을 한다.As described in the related art, a damper may be provided on the discharge part side, and the damper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blowing air. Specifically, the damper is composed of one or more blades to function to close or open the flow path on the discharge side according to the rotation.

토출부측에 배치되는 댐퍼의 형상과 배치는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출부측의 단면적이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긴 판재형상의 블레이드들이 열을 지어 배열되어 각각 회동하여 그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반원형상의 한 쌍의 판재가 각각 회동하여 토출부를 개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댐퍼의 실시예는 반드시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의 토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되는 회동 방식의 개폐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dampers disposed on the discharge part side may be variously made according to a selection. For example,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blades of the long plate shape may be arranged in a row and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space therebetween. May be arranged to rotate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unit, respectively.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damp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rotation type switchgear applied to a variety of devices that perform the discharge function of the air can be applied.

본 발명에서는 댐퍼제어장치(1000)가 상기 댐퍼에 구동력을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직결되고, 조작부(1100)의 동작에 따라 댐퍼의 개도가 기계적/전자적으로 제어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0 is directly connected to directly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damper,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is mechanically / electron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100.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의 회동축과 조작부(1100)의 샤프트(1111)는 직결되고, 댐퍼제어장치(1000)은 제어라인에 의하여 연결되어 외부의 제어신호를 통하여 댐퍼의 회전동작을 제어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rotation shaft of the damper and the shaft 1111 of the operation unit 1100 are directly connected,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0 is connected by a control line to control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damper through an external control signal.

상기 조작부(1100)는 회전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댐퍼의 개도의 조절이 가능한 샤프트(1111)와, 상기 샤프트(1111)와 연결되는 클램프부(1113)로 이루어지는데 경우에 따라 상기 샤프트(1111)의 클램프부(1113)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operation unit 1100 includes a shaft 1111 which can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by performing a rotation operation, and a clamp unit 1113 connected to the shaft 1111. In some cases, the clamp of the shaft 1111 The unit 1113 may be integrally formed.

샤프트(1111)와 클램프부(1113)가 상호 결합되면 함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고, 샤프트(1111)의 외주측에는 샤프트(1111)의 회전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트로크지시부(1121)가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shaft 1111 and the clamp part 1113 are coupled to each other, a rotation operation is performed together, and a stroke indicating part 1121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haft 1111 to visually check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shaft 1111. have.

상기 스트로크지시부(1121)는 샤프트(1111)의 외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된 상태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데, 원주의 전체를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부에만 호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stroke indicating portion 1121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 fixed stat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111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may be made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r may be arranged in an arc shape only a part.

도 2의 예에서는 상기 스트로크지시부(1121)는 샤프트(1111)의 종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호 형상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스트로크지시부(1121)의 각도의 표시가 용이하도록 눈금이나 슬릿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예가 도시되었는데, 배치 및 형상은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example of FIG. 2, the stroke indicating unit 1121 is illustrated to be symmetrically disposed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shaft 1111. An example in which scales or slits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illustrated to facilitate the display of the angle of the stroke indicating unit 1121. Of course, the arrangement and shape may be variously ma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로크지시부(1121)는 각각 댐퍼의 회동 각도를 고려하여 0도에서 90도 간격을 나타내도록, 즉 각각 가상 원의 90도에 해당되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stroke indicating unit 1121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90 degrees of the virtual circle, respectively, so that the stroke indicating unit 1121 may be spaced from 0 degrees to 90 degrees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damper.

예를 들어, 댐퍼가 0도로 회동되는 경우 토출구가 폐쇄되고, 90도로 회동되는 경우 완전히 개방될 때, 그 사이에 배치되는 슬릿에 해당되는 각도는 토출구의 개방되는 정도를 의미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damper is rotated at 0 degrees, the discharge opening is closed, and when the damper is rotated at 90 degrees, the opening is completely opened, and the angle corresponding to the slits disposed therebetween means the opening degree of the discharge opening.

다만, 댐퍼의 배치상태에 따라 0도에서 180도 사이에서 회동동작하여 토출부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스트로크지시부(1121) 역시 0도에서 180도에 해당되는 각도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Howeve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part may be performed by rotating between 0 degrees and 180 degre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dampers. In this case, the stroke indicating portion 1121 may also be configured to display an angle corresponding to 0 degrees to 180 degrees. .

또한, 상기 샤프트(1111)는 스트로크지시부(1121)에 해당되는 각도의 회전의 지시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출된 표시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haft 1111 may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display unit (not shown) so that an indication of rotation of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stroke indicating unit 1121 can be made accurately.

샤프트(1111)의 회전은 스트로크지시부(1121)에 표시된 슬릿의 단계에 따라 다단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미세한 개도의 조정을 위하여 무단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of the shaft 1111 may be made in a multistage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step of the slit indicated in the stroke indicating portion 1121,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ft 1111 is made in an endless manner in order to adjust the fine opening degree.

이와 같은 스트로크지시부(1121)의 구성은 상기한 디스플레이부(1300)에 의한 개도의 표시가 이루어지는 경우보다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전력의 차단 또는 이상의 발생시 조작부(1100)를 수동조작하는 경우에 더 의미를 가지게 된다. 즉, 사람이 수동으로 샤프트(1111)를 회전시킬 때 직관적으로 회전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roke indicating unit 1121 is more meaningful in the case of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100 when the power is cut off or an abnormality occur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an when the opening degree i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1300. do. In other words, when a person manually rotates the shaft 1111,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the degree of rotation.

한편, 댐퍼는 상기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각도의 한계를 가지게 되는데, 예를 들어 180도의 각도 범위에서 개폐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180도를 넘어서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모터의 과부하나 댐퍼의 블레이드의 파손 등의 물리적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mper has a limit of the angle that can be physically rotat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n the 180 ° angle range if the operation exceeds 180 degrees of the overload of the motor or damper There is a fear that physical damage such as breakage of the blade occurs.

이러한 개념에 따라 본 발명의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에서는 댐퍼의 한계범위를 넘어서는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회동제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cept, the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of the ventilator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limiting means for preventing rotation beyond the limit range of the damper.

상기 회동제한수단은 댐퍼 또는 덕트 자체에 구비되어 회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댐퍼제어장치(1000)에 구비되어 조작부(1100)의 조작 범위를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limit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damper or the duct itself to limit the rotation, but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0 to limit the operation range of the operation unit 1100.

따라서, 상기 샤프트(1111)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112)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크지시부(1121)가 배치되는 측에는 스토퍼부(1122)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haft 1111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1112 protruding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topper portion 1122 may be provided on the side where the stroke indicating portion 1121 is disposed.

상기 걸림부(1112)는 샤프트(1111)가 회전하게 되면 일체로서 함께 회전하고, 상기 스토퍼부(1122)는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재로서 샤프트(1111)가 한계범위까지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그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1112)가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1111)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The engaging portion 1112 rotates together as an integral part when the shaft 1111 rotates, and the stopper part 1122 is a member that protrudes in a height direction, and the shaft 1111 rotates to a limit range corresponding thereto. It is disposed in the position so that the locking portion 1112 may be lock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shaft 1111.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예에서와 같이 샤프트(1111)가 실질적으로 대략 90도의 범위에서 회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로크지시부(1121)가 종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경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의 스토퍼부(1122)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기준으로 샤프트(11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 샤프트(1111)의 우측에 배치되는 걸림부(1112)가 우측의 스토퍼부(1122)에 걸림되어 회전을 제한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샤프트(1111)의 좌측에 배치되는 걸림부(1112)가 좌측의 스토퍼부(1122)에 걸림되어 반대방향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회전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as in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aft 1111 is substantially rotated in a range of approximately 90 degrees, and the stroke indicating portion 1121 is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respectively on both sides. One stopper portion 1122 may be disposed. When the shaft 1111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hown in the drawing, the locking portion 1112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haft 1111 is caught by the stopper portion 1122 on the right to limit the rotation. When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locking portion 1112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haft 1111 is caught by the stopper portion 1122 on the left side, thereby limiting the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by limiting the range of rotation.

다만, 상기 걸림부(1112)는 하나만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스토퍼부(1122)도 선택된 개수에 따라 일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only one locking portion 1112 may be disposed, and the stopper portion 1122 may also be disposed on only one side according to the selected number.

상기 클램프부(1113)는 샤프트(1111)의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댐퍼제어장치(1000)가 댐퍼와 연결되어 배치가 완료된 이후에 샤프트(1111)와 결합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clamp unit 1113 is configured to further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shaft 1111. The damper control apparatus 1000 may be coupled to the shaft 1111 after the damper control apparatus 1000 is connected to the damper and the arrangement is completed. Of course it can also be coupled to.

상기 샤프트(1111) 및 디스플레이부(1300)는 하나의 모듈로서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하여 제공되는데 하나의 하우징(1010)에 결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1300)는 댐퍼제어장치(1000)의 일면에 표시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댐퍼의 개폐정도를 표시한다.The shaft 1111 and the display unit 1300 are provided as a single module for the user's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are preferably coupled to one housing 1010. The display unit 1300 is disposed to expose the display unit on one surface of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0 to display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상기 디스플레이부(1300)는 LCD나 LED 등 화상으로 소정의 문자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라면 다양한 화상표시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If the display unit 1300 is a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predetermined letter or number as an image such as an LCD or an LED, various image display means may be used.

상기 디스플레이부(1300)에서 댐퍼의 개폐의 정도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개폐의 각도를 degree 단위로 표시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As a method of display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in the display unit 1300, a method of displaying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in degree units may be used.

그런데, 사용자로서는 토출부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 또는 댐퍼에 의해 토출부가 개폐되는 양이 주요한 관심일 수 있고,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0)는 댐퍼의 개도를 0%에서 100%까지 percent(%)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s a user,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by the discharge unit or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unit by the damper may be of major interest. According to this concept, the display unit 1300 may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from 0% to 100%. It is preferable to express it as percent (%).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조작부(1100)의 조작을 직관적으로 이루기 위하여 샤프트(1111)의 회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트로크지시부(1121)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특히 작업현장에 사용되는 댐퍼제어장치(1000)의 경우 토출부에 직결되어 배치되고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하면서 댐퍼의 개도를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0)를 구비하는 경우 상시적으로 댐퍼의 개도 즉, 토출부의 개도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환기 또는 공기조화의 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roke indicating unit 1121 for visually confirming the rotation of the shaft 1111 so as to intuitively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100, but particularly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0 used in the workplace. )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grasp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while performing other work. Therefore, when the display unit 1300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damper opening, that is, the discharge par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pening degree can be grasped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댐퍼제어장치(1000)는 전자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외부 제어신호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1210)와 신호의 출력을 위한 단자부(1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Since the damper control apparatus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onically controlled, an input unit 1210 for inputting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a terminal unit 1220 for outputting a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단자부(1220)에는 하나 이상의 단자들이 배치될 수 있는데, 하우징(1010)의 내부에는 전력소자들이 배치된 PCB(도 4의 1400)가 결합되고 상기 단자부(1220) 및 입력부(1210)는 상기 PCB(1400)를 포함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전기신호가 입출력될 수 있다.One or more terminals may be disposed in the terminal unit 1220. A PCB (1400 of FIG. 4) in which power devices are dispose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10, and the terminal unit 1220 and the input unit 1210 may be connected to the PCB. The electric signal may be input and output by being connec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including the 1400.

한편,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댐퍼제어장치(1000)가 싱크로모터(123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er control apparatus 1000 further includes a synchro motor 1230.

본 발명의 댐퍼제어장치(1000)는 제어신호에조작 따라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싱크로모터(1230)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1100)의 샤프트(1111)와 싱크로모터(1230)가 상호 동기화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mper control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ynchro motor 1230 for performing a rot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the shaft 1111 and the synchro motor 1230 of the manipulation unit 1100 are rotated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It is preferred to be configur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싱크로모터(1230)가 전자기력에 의하여 회전동작하는 모터의 경우가 설명되지만, 상기 싱크로모터(1230)는 엔진이나 유공압의 엑추에이터 등 다양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할 것이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synchromotor 1230 rotates by electromagnetic force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synchromotor 1230 will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driving means such as an engine or an actuator of hydraulic pressure. .

즉, 본 발명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댐퍼를 동작하도록 하는 댐퍼제어장치(1000)를 제시하는데, 이러한 개념에 따라 제어신호는 싱크로모터(1230)를 회전시키고 상기 싱크로모터(1230)에 의하여 조작부(1100)의 샤프트(1111)가 회전됨으로써 정확한 비례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mper control device 1000 to operate the damper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user's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control signal rotates the synchromotor 1230 and the synchromotor 1230 By rotating the shaft 1111 of the operation unit 1100 has the advantage that accurate proportional control is possible.

여기서 상기 싱크로모터(1230)와 샤프트(1111) 사이의 동력 전달을 위하여 기어, 체인이나 벨트 등과 같이 선택에 따라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various power transmission means may be used according to a selection such as gears, chains or belts for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synchromotor 1230 and the shaft 1111.

또한, 댐퍼제어장치(1000)는 수동조작버튼(1240)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수동조작버튼(1240)는 제어계통의 이상 또는 전력의 차단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토출부의 댐퍼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amper control apparatus 1000 may further include a manual operation button 1240. The manual operation button 1240 may manually operate the damper of the discharge part when a problem such as an abnormality in the control system or a power interruption occurs. It can be made up of a kind of switch that can be manipulated.

본 발명의 예에서는 상기 수동조작버튼(1240)이 푸시타입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manual operation button 1240 is formed as a push type switch is illustrat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사용자는 계통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수동조작버튼(1240)을 푸시하여 댐퍼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차단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조작하여 개도 또는 개폐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can operate the opening or the opening or closing by manually operating in the state of blocking the control signal input to the damper by pushing the manual operation button 1240 in case of abnormality of the system.

이때, 외부의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동조작버튼(1240)을 누른 상태에서 직접 클램프부(1113)를 통하여 샤프트(1111)를 회전시킴으로써 댐퍼의 개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user can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by rotating the shaft 1111 directly through the clamp unit 1113 while pressing the manual operation button 1240 while the external power is cut off.

즉, 사용자는 전력 또는 기기 등의 이상이 발생시 직접 상기 샤프트(1111)를 회전시켜 댐퍼의 개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샤프트(1111)와 상기 싱크로모터(1230)의 구동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동조작은 샤프트(1111)와 싱크로모터(1230)이 상호 구동연결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user may block the drive connection between the shaft 1111 and the synchro motor 1230 to directly rotate the shaft 1111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when an abnormality such as power or a device occurs. However, the manual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shaft 1111 and the synchromotor 12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 경우 모터의 부하를 제거하기 위하여 외부전력은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external power is preferably cut off to remove the load of the motor.

상기 하우징(101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댐퍼제어장치(1000)의 외관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내부의 공간은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부재들이 수용되어 결합되는데, 도면에서는 PCB(도 4의 1400)가 상기 공간의 저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데, 상기 PCB(1400)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을 덮는 내측커버(1011)가 더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1010 is a member that forms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forms most of the exterior of the damper control apparatus 1000.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1010 is accommodated and coupled with the upper side being opened.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CB 1400 of FIG. 4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pace. An inner cover 1011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10 to prevent the PCB 1400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 May be further arranged.

상기 내측커버(1011)의 일부로는 상기 싱크로모터(1230) 및/또는 수동조작버튼(1240) 및/또는 단자부(1220) 등의 부재들이 노출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할 바와 같이 커버(도 6의 1500)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내측커버(1011)는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a part of the inner cover 1011, members such as the synchro motor 1230 and / or the manual operation button 1240 and / or the terminal part 1220 may be exposed.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over 1500 of FIG. 6 is disposed, the inner cover 1011 may be omitted.

또한, 상기 하우징(1010)의 내부 부품들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부위 즉, 조작부(1100)와 디스플레이부(1300)를 제외한 나머지 부재들은 상시적으로 노출될 필요가 적기 때문에 하우징(1010)의 상면을 대부분 덮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커버(도 6의 1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6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arts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the internal parts of the housing 1010, that is, the members except for the operation unit 1100 and the display unit 1300, need not be exposed at all times, mos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10 is exposed. The cover 1500 of FIG. 6 may be further provid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6.

도 4는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PCB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PCB provided in the housing.

상기한 바와 같이 PCB(1400)는 하우징(1010)의 공간에 배치되고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부품들과 연결된다. 상기 PCB(1400)는 디스플레이부(1300)와 연결되어 댐퍼의 회동에 의한 각도 또는 개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CB 1400 is disposed in the space of the housing 1010 and connected to electronically actuated components. The PCB 140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300 to visually express the angle or the opening degree by the rotation of the damper.

또한, 상기 PCB(1400)에는 입출력 전력 또는 댐퍼의 기초적인 설정을 위한 스위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CB 1400 may be provided with switches for basic setting of input / output power or a damper.

상기 PCB(1400)에 직접 구비되는 스위치들은 각종 변환, 설정 또는 온오프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후술할 바와 같이 입력전력의 선택, 댐퍼의 동작방향의 설정, 디스플레이 표시방식의 설정, 제어라인의 단선시의 댐퍼의 위치 설정 및 초기화 방식 등과 같이 빈번하게 조작하지 않고 한 번 설정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The switches directly provided on the PCB 1400 perform operations for various conversion, setting, or on / off. As will be described later, selection of input power, operation direction of a damper, setting of a display display method, a control line It is used to select a function that is used continuously in the set state without frequent operation such as the damper position setting and initialization method when disconnection of.

이러한 개념에 따라 본 발명의 댐퍼제어장치(1000)는 상기 PCB(1400)와 연결되는 딥스위치부(1420)와 세팅스위치(1410)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cept, the damper control apparatus 1000 may include a dip switch unit 1420 and a setting switch 1410 connected to the PCB 1400.

본 발명의 개념에서 초기화설정과 관련한 기능이 상기 스위치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는데, 상기 세팅스위치(1410)가 초기화의 명령을 입력받게 된다.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 related to initialization may be set by the switch, and the setting switch 1410 receives a command of initialization.

상기한 초기화는 처음 댐퍼의 회동축에 댐퍼제어장치(1000)가 연결되는 경우나 사용 도중에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댐퍼제어장치(1000)는 디스플레이부(1300)가 구비되고 댐퍼의 개도가 디지털화되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데 특히 최초 댐퍼에 연결되거나 전력차단이 이루어진 경우는 댐퍼의 현재 위치를 댐퍼제어장치(1000)가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개도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세팅스위치(1410)가 동작되면 댐퍼는 초기(default)위치로 재설정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itializa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0 is first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amper or when the power is cut off during use. That is,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300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is digitized and visually displayed. In particular, when the damper control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damper or the power is cut off, the damper control device Since 1000 is not recognizable, the precise opening degree cannot be controll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setting switch 1410 is operated, the damper may be configured to be reset to the default position.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의 초기위치는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 상태로 정의될 수 있고, 전력이 차단된 경우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세팅스위치(1410)를 누르게 되면 댐퍼는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의 초기위치로 재설정이 되고, 댐퍼제어장치(1000)는 상기 위치를 초기값으로 지정하여 다음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detail,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amper may be defined as a fully open or fully closed state,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setting switch 1410 to set the initial value when the power is cut off, the damper may be fully open or completely closed. The initial position is reset, and the damper control apparatus 1000 may perform the next opening / closing operation by designating the position as an initial value.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300)는 0% 또는 100%로 개도를 초기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300 may display the opening degree as an initial state at 0% or 100%.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접촉에 의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세팅스위치(1410)는 소정 시간 동안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세팅스위치에 의한 초기위치 재설정의 동작은 세팅스위치(1410)를 3~5초 가량 누른 상태가 지속되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tting switch 1410 may require an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rder to prevent an operation by an undesired contact.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initial position reset by the setting switch may cause the setting switch 1410 to turn off.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activate when held down for about 5 seconds.

이하 상기한 딥스위치부(1420)의 동작을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p switch unit 14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E.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딥스위치부(1420)는 하나 이상의 딥스위치와 입력선택 스위치(14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딥스위치부(1420)는 복수의 딥스위치가 열을 지어 배열될 수 있는데, 상기 입력선택 스위치(1430)는 상기 딥스위치들과 함께 열을 지어 배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er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p switch unit 1420 may include one or more dip switches and an input selection switch 1430. In the dip switch unit 1420, a plurality of dip switches may be arranged in a row, and the input selection switch 1430 may be arranged in a row with the dip switches.

도 5A는 입력전력을 설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5A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setting input power.

상기 입력선택 스위치(1430)는 입력전력의 전류 또는 전압의 종류를 선택하는 경우 조작되고, 제1스위치(1421)는 입력전력의 세부선택을 하는 경우 조작될 수 있다.The input selection switch 1430 may be operated when selecting the type of current or voltage of the input power, and the first switch 1421 may be operated when performing detailed selection of the input power.

(a)의 예에서 입력신호를 0V ~ 10V의 직류(DC)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입력선택 스위치(1430)는 전압측인 우측으로 선택되고, 입력선호 설정 스위치로 정의되는 제1스위치(1421)는 우측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a), when the input signal uses a DC power supply of 0V to 10V, the input selection switch 1430 is sel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voltage side, and is defined as an input preference setting switch. ) May be set to the right.

또한, (b)의 예에서 입력신호를 2V ~ 10V의 직류(DC)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입력선택 스위치(1430)는 전압측인 우측으로 선택되고, 제1스위치(1421)는 좌측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b), when the input signal uses a DC power supply of 2V to 10V, the input selection switch 1430 is sel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voltage side, and the first switch 1421 is set to the left side. Can be.

또한, (c)의 예에서와 같이 입력신호가 전류로 제어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4mA ~ 20mA 의 직류(DC)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입력선택 스위치(1430)는 전류측이 좌측으로 선택되고, 제1스위치(1421)는 왼쪽으로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signal is controlled by the current as in the example of (c), for example, when using a DC (DC) power supply of 4 mA to 20 mA, the input selection switch 1430 selects the current side to the left. The first switch 1421 may be selected to the left.

다만, 본 발명의 입력전력의 선택의 실시예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embodiments of selecting the input p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5B는 회동방향의 동작을 설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Fig. 5B shows an embodiment for setting the operatio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예를 들어, 제2스위치(1422)가 회동방향 설정 스위치로 구성되고, 우측이 시계방향으로 정의되고 좌측이 반시계방향으로 정의될 때, 상기한 조작부(1100)의 동작에 따른 댐퍼의 개폐방향을 설정에 따라 방향전환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switch 1422 is configured as a rotation direction setting switch, the right side is defined as clockwise and the left side is defined as counterclockwise,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damp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100 described above. You can change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따라서, 제2스위치(1422)의 간단한 설정으로 제어입력의 변경 없이 회동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imple setting of the second switch 1422 has the advantage of selecting the rotation direction without changing the control input.

도 5C는 디스플레이가 설정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5C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display is set.

설치 장소나 방법에 따라 댐퍼제어장치(1000)가 사람이 거동하는 장소에 대해 거꾸로 배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히려 디스플레이부(1300)의 직관적인 인식이 어렵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방향을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r method,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0 may be disposed upside down with respect to a place where a person moves. In this case, since the intuitive recognition of the display unit 1300 is difficult,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제3스위치(1423)를 디스플레이 설정 스위치로 정의하고, 우측을 정위치로 하고 좌측을 역위치로 정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0)에 의한 개도의 표시위치에 따라 그 디스플레이 방향을 180도 회전하여 정학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third switch 1423 is defined as the display setting switch, the right side is set to the right position and the left side is set to the reverse position, the user rotates the display direction by 180 degrees according to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pening degree by the display unit 1300. Can be displayed accurately.

도 5D는 시그널 단선시의 동작 설정의 실시예를 나타낸다.5D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setting at the time of signal disconnection.

시그널의 단선이란 전력라인의 이상을 의미하는데 이 경우는 댐퍼의 정확한 동작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댐퍼의 제어동작은 정지되고 댐퍼는 정지하거나 초기(default)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Disconnection of the signal means an abnormality in the power line, in which case the correct operation of the damper is virtually impossible. Therefore,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damper is stopped and the damper can be stopped or returned to the default position.

따라서, 제4스위치(1424)는 단선동작 설정 스위치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시그널의 단선시 제4스위치(1424)가 우측에 선택되면 댐퍼제어장치(1000)는 완전 폐쇄 상태로 초기화되고, 좌측에 선택되면 댐퍼는 단선 당시의 댐퍼의 위치에 고정된다.Therefore, the fourth switch 1424 means a disconnection operation setting switch. For example, when the fourth switch 1424 is selected on the right side when the signal is disconnected,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0 is initialized to a completely closed state and the left side is When is selected, the damper is fixed at the position of the damper at the time of disconnection.

도 5E는 초기화 설정의 실시예를 나타낸다.5E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initialization settings.

상기한 세팅스위치(1410)에 의한 초기화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댐퍼제어장치(1000)가 초기 설치되거나 전력이 차단 및 재연결된 경우에는 초기위치로의 설정이나 재설정 단계가 요구되고 세팅스위치(1410)의 푸시동작에 의하여 초기위치로의 설정이 진행된다.As described in the example of initialization by the setting switch 1410, when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0 is initially installed or the power is cut off and reconnected, a setting or reset step to the initial position is required and the setting switch 1410 is required. The setting to the initial position proceeds by the push operation.

그런데, 상기한 세팅스위치(1410)의 푸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경우로서 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딥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 push of the setting switch 1410 is a case of the user's selection may be provided with a dip switch to automatically perform this.

제5스위치(1425)는 초기화 설정 스위치로 정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제5스위치(1425)가 오른쪽에 선택되면 초기화의 작동은 세팅스위치(1410)와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5스위치(1425)의 우측에의 선택은 수동 초기화의 설정을 의미한다.The fifth switch 1425 may be defined as an initialization setting switch. For example, when the fifth switch 1425 is selected on the right side, the operation of initialization may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setting switch 1410. That is, selection to the right of the fifth switch 1425 means setting of manual initialization.

또한, 제5스위치(1425)가 왼쪽에 선택되면 초기화의 작동은 세팅스위치(1410)와 무관하게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력의 차단 및 연결이 있는 경우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의 선택된 초기위치로의 설정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fifth switch 1425 is selected on the left side, the initialization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regardless of the setting switch 1410. When the power switch is disconnected and the power is connected, the initial switch is set to the selected initial position. This is don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딥스위치부(1420)가 PCB(1400)에 입력신호 설정 스위치(1421), 회동방향 설정 스위치(1422), 디스플레이 설정 스위치(1423), 단선동작 설정 스위치(1424), 초기화 설정 스위치(1425) 및 입력선택 스위치(1430)로 이루어지고, 각각 동작 또는 입출력의 초기 설정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댐퍼제어장치(1000)로서 종래기술에 비하여 다양한 동작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하도록 설정이 가능하므로 편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p switch unit 1420 has an input signal setting switch 1421, a rotation direction setting switch 1422, a display setting switch 1423, and a disconnection operation setting switch on the PCB 1400. 1424, an initialization setting switch 1425, and an input selection switch 1430, respectively, to perform a function for initial setting of operation or input / output.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as one damper control device 1000 can be set to perform a variety of operation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compared to the prior art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is improved.

도 6은 본 발명의 댐퍼제어장치의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상기 커버의 측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cover of the damper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of the cover.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010)은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부품과 단자들이 노출된 상태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1500)가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1010 has an open shape and has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parts and terminals are exposed, and a cover 1500 may be provided to protect the interior.

상기 커버(1500)는 대략 장방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0)는 커버(15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커버(1500)의 디스플레이부(130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디스플레이부(1300)의 화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노출부(1510)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150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Preferably, at least the display unit 13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1500. Accordingly, an exposure unit 151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1300 of the cover 1500 to visually check the image of the display unit 1300.

또한, 계통의 이상시에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수동조작버튼(1240)의 조작의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수동조작버튼(124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에서 확인되고 푸시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개구부(15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of the manual operation button 1240 to enable manual operation in the event of a system abnormality, part or all of the manual operation button 1240 is confirmed from the outside and the opening 1520 is provided to enable the operation of the push. It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0)가 시각적으로 댐퍼의 개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조작부(1100)가 커버(1500)에 의하여 덮여있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나, 유지보수 및 설치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unit 1300 is configured to visually check the degree of damper, the operation unit 1100 may be disposed to be covered by the cover 1500, but it is easy to maintain and install.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preferable to be exposed and disposed as shown in the drawings.

상기 커버(1500)는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1501)와 하우징(1010)의 외주측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부(150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추가적으로 상기 하우징(1010)과 커버(1500)의 결합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over 1500 may be formed of an upper surface portion 1501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a side portion 1502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housing 1010, and additionally, the housing 1010 and the cover 1500. The coupling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1500)와 하우징(1010)은 후크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결합력 및 생산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1500 and the housing 1010 are coupled in a hooked manner in consideration of coupling force and productivity.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10)은 하측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는 후크부(1030)와 상기 후크부(1030)가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1500)가 후크걸림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상측에서도 커버(1500)에 커버부후크(1530)가 구비되고, 하우징(1010)의 대응되는 부위에 후크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drawing, the housing 1010 may include a hook portion 1030 protruding in a height direction from a lower side thereof, and the cover 1500 may include a hook catching portion (not shown) so that the hook portion 1030 is fixed to the hook portion 1030. In addition, a cover part hook 1530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1500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a hook catching part (not shown) may be formed at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housing 1010.

한편, 본 발명의 댐퍼제어장치(1000)는 댐퍼의 회동축에 연결되기 때문에 회전 각도가 제어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벽면 또는 덕트부위에의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1010)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경우 제어의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amper, the rotation angle becomes an important factor of the control. Therefore, when the housing 1010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rotation axis in a fixed state on the wall surface or the duct part, a control error may occur.

따라서, 하우징(1010)은 벽면 또는 덕트부위에 고정을 위한 고정부(10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20)는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벽면 또는 하우징에 상기 슬릿의 폭에 대응되는 돌기가 구비되는 브라켓(미도시)가 고정되면 상기 슬릿의 사이에 브라켓의 돌기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댐퍼제어장치(1000)의 바람직하지 않은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housing 101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ortion 1020 for fixing to the wall or the duct portion. The fixing part 1020 may be formed in a slit shap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a bracket (not shown) hav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lit is fixed to a wall surface or a housing, protrusions of the brackets between the slits are fixed. Sliding is inserted to prevent the undesirable flow of the damper control device 1000.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댐퍼제어장치가 댐퍼의 개도를 비례식 및 전자식으로 제어하면서도 개도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정확하게 표시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도 사용자가 댐퍼의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amper control device displays the opening degree accurately through the display unit while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proportionally and electronicall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damper even at a long distance.

또한, 입출력의 선택, 초기화 및 각종 설정이 가능한 스위치류들을 모듈화하여 배치함으로써 토출측에 직접 배치되는 댐퍼제어장치의 조작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operation of the damper control device disposed directly on the discharge side by modularly arranged switches that can be selected, initialized and various settings of the input and output,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reliability is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ims.

1000...댐퍼제어장치 1010...하우징
1011...내측커버 1020...고정부
1030...후크부 1040...걸림부
1100...조작부 1111....샤프트
1112...걸림부 1113....클램프부
1210...입력부 1220...단자부
1230...싱크로모터 1240...수동조작버튼
1300...디스플레이부 1400...PCB
1410...세팅스위치 1420...딥스위치부
1430...입력선택 스위치 1500...커버부
1000 ... damper control unit 1010 ... housing
1011 Inner cover 1020 ... Fixed
1030 Hook part 1040 Hook part
1100.Control panel 1111 .... Shaft
1112 ... Clamping section 1113 .... Clamp section
1210 ... Input 1220 ... Terminal
1230 ... Synchromotor 1240 ... Manual operation button
1300 ... Display unit 1400 ... PCB
1410 ... Setting switch 1420 ... Dip switch section
1430 ... Input selector 1500 ... Cover

Claims (13)

환기장치의 토출부측에 배치되는 회전식 댐퍼의 개도를 조작하는 제어장치로서,
댐퍼의 회동축에 직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를 구비하는 조작부;
제어신호를 통하여 구동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싱크로모터;
댐퍼의 개도량을 화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신호가 차단되거나 제어계통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댐퍼의 닫힘 또는 정지 여부를 선택하는 단선동작 설정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제어장치.
A control device for manipulating the opening degree of a rotary damper disposed on the discharge side of a ventilator,
An operation unit having a shaft connected directly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amper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A synchro motor driven through a control signal to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shaft;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opening amount of the damper as an image; And
And a disconnection operation setting switch for selecting whether the damper is closed or stopped when the control signal is blocked or an error occurs in the control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댐퍼의 개도량을 토출부의 폐쇄상태에서부터 완전 개방상태까지 0%에서 100%의 사이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opening amount of the damper between 0% and 100%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fully open state of the discharg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하방향의 반전을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isplay setting switch for selecting an inver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댐퍼의 회전을 선택하는 회동방향 설정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rotation direction setting switch for selecting rotation of the damper in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ontrol signal.
삭제delete 환기장치의 토출부측에 배치되는 회전식 댐퍼의 개도를 조작하는 제어장치로서,
댐퍼의 회동축에 직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를 구비하는 조작부;
제어신호를 통하여 구동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싱크로모터;
댐퍼의 개도량을 화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전력의 차단 및 재연결시 또는 댐퍼와의 결합시 댐퍼를 초기위치로 초기화시키는 세팅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제어장치.
A control device for manipulating the opening degree of a rotary damper disposed on the discharge side of a ventilator,
An operation unit having a shaft connected directly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amper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A synchro motor driven through a control signal to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shaft;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opening amount of the damper as an image; And
And a setting switch for initializing the damper to an initial position when the power is interrupted and reconnected or when the damper is coupled with the damper.
제6항에 있어서,
전력의 차단 및 재연결시 또는 댐퍼와의 결합시 초기화를 자동으로 수행할지 상기 세팅스위치의 동작에 의하여 수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초기화 설정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n initialization setting switch for selecting whether to perform initialization automatically when the power is cut off and reconnected or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damper, by the operation of the setting switch.
제7항에 있어서,
직접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켜 댐퍼의 개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샤프트와 상기 싱크로모터의 구동연결을 차단하는 수동조작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manual operation button for blocking the drive connect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synchro motor so as to directly rotate the shaft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환기장치의 토출부측에 배치되는 회전식 댐퍼의 개도를 조작하는 제어장치로서,
댐퍼의 회동축에 직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를 구비하는 조작부;
제어신호를 통하여 구동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싱크로모터;
댐퍼의 개도량을 화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전력의 전류 또는 전압의 종류를 선택하는 입력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제어장치.
A control device for manipulating the opening degree of a rotary damper disposed on the discharge side of a ventilator,
An operation unit having a shaft connected directly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amper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A synchro motor driven through a control signal to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shaft;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opening amount of the damper as an image; And
And an input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the type of current or voltage of the input power.
제1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딥(Dip)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7, and 9,
The switch is a dampe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ip (Dip) switc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80314A 2012-07-24 2012-07-24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for ventilating damper having digital display KR1013405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314A KR101340508B1 (en) 2012-07-24 2012-07-24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for ventilating damper having digi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314A KR101340508B1 (en) 2012-07-24 2012-07-24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for ventilating damper having digital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508B1 true KR101340508B1 (en) 2013-12-11

Family

ID=4998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314A KR101340508B1 (en) 2012-07-24 2012-07-24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for ventilating damper having digital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50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132Y2 (en) * 1989-03-24 1995-09-13 株式会社巴技術研究所 Motorized valve operation control device
JPH09243159A (en) * 1996-03-05 1997-09-16 Kajima Corp Opening regulation display device for air conditioning damper
KR100942274B1 (en) * 2009-05-25 2010-02-16 (주)써니콘트롤스 Damper controller of auto control pannel with opening rate display function
KR20100040193A (en) * 2008-10-09 2010-04-19 (주)써니콘트롤스 Operat0r for controlling valve in flui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132Y2 (en) * 1989-03-24 1995-09-13 株式会社巴技術研究所 Motorized valve operation control device
JPH09243159A (en) * 1996-03-05 1997-09-16 Kajima Corp Opening regulation display device for air conditioning damper
KR20100040193A (en) * 2008-10-09 2010-04-19 (주)써니콘트롤스 Operat0r for controlling valve in fluid
KR100942274B1 (en) * 2009-05-25 2010-02-16 (주)써니콘트롤스 Damper controller of auto control pannel with opening rate display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3143B2 (en) HVAC actuator with light indicator
US10295215B2 (en) HVAC actuator with range adjustment
US10184681B2 (en) HVAC actuator
US8972064B2 (en) Actuator with diagnostics
US9568207B2 (en) HVAC actuator with removable wire blocking tab
US20180251010A1 (en) Actuator having a test mode
US10113762B2 (en) Actuator having an adjustable running time
US8749182B2 (en) Actuator having an adjustable auxiliary output
US10941960B2 (en) HVAC actuator with position indicator
KR101517084B1 (en) Apparatus for controling air conditioner
EP2977688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50129571A (en) Air-conditioner system
KR101788016B1 (en) Air-conditioner system
KR20150129572A (en) Air-conditioner system
CA2755031A1 (en) Remote zone balancing damper and air flow sensor system
JP2010002076A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US7344089B1 (en) Wireless air-volume damper control system
US8922140B2 (en) Dual potentiometer address and direction selection for an actuator
KR101340508B1 (en) Proportional opening control device for ventilating damper having digital display
CN105910170B (en) Equipment machine
KR101048999B1 (en) Duct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KR101657559B1 (en) Air-conditioner system
JP2009079786A (en) Air conditioner
US2855795A (en) Mechanism controller
CN219454055U (en) Hea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