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329B1 -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329B1
KR101339329B1 KR1020130055073A KR20130055073A KR101339329B1 KR 101339329 B1 KR101339329 B1 KR 101339329B1 KR 1020130055073 A KR1020130055073 A KR 1020130055073A KR 20130055073 A KR20130055073 A KR 20130055073A KR 101339329 B1 KR101339329 B1 KR 101339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crew
wire
fixed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대한기술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기술단(주) filed Critical 대한기술단(주)
Priority to KR1020130055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바람이나 기온의 변화에 의해 송배전선이 받게 되는 출렁임이나 진동을 상쇄하고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송배전선의 출렁임으로 인한 진동 및 열팽창에 의한 수축 팽창에 따른 송배전 전선케이블의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전선케이블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ADAPTER FOR CONNECTING ELECTRIC DISTRIBUTION CABLE LINE TO SUPPORTING POST}
본 발명은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람이나 기온의 변화에 의해 송배전선이 받게 되는 출렁임이나 진동을 상쇄하고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에는 완철이 설치되어 송배전선이 고정된 애자를 지지하고 있다.
이때, 애자는 송배전선이 완철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통상 송배전선을 애자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당겨 연결하기 때문에 중간부가 하측으로 처지도록 느슨하게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송배전선이 유동(출렁거림)을 하게 되고, 송배전선이 유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하중이나 진동이 애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애자가 손상되어 기능을 상실하거나 심하게는 완철 상에서 이탈되어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곤 하였다.
예컨대, 이와 같은 종래 애자로는 등록특허 제0989444호(2010.10.15.)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에 개시된 예를 들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애자는 전주의 몸체 상부측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완금과, 이 완금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다수개의 애자가 장착되고, 애자의 상부측에 송배전 전선케이블과 대지를 절연하는 점퍼선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애자는 송배전 전선케이블을 매우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애자와 완금 간의 결합시 작업자 별도의 공구(예를 들면, 스패너)를 이용하여 설치 또는 해체해야 하므로, 작업자는 이를 위해 반드시 공구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송배전선은 전류의 저항을 가능한 줄이기 위해 구리와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열변화에 민감하고 열에 의한 팽창과 수축이 빈번하여 실제로 여름철에는 전주에 고정된 전선이 늘어지는 것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애자를 매개로 전주에 연결된 전선에 추와 같은 중량체를 매달아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전선이 항상 하중을 받도록 하여 팽팽하게 유지도록 한 예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전선이 늘어진 상태에서 지속적인 중력방향으로의 하중을 가하기 때문에 전선의 단면적이 좁아지면서 전류저항을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전선 교체 주기가 짧아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를 파생시킨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0613878호(2006.08.10.) "고압전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전신주용 전선 연결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0613878호는 전주에 고정되는 어댑터를 제공하여 송배전 전선케이블이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전선의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는 연동바퀴가 단순 민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연동벨트가 감겨 있는 벨트를 이용한 동력전달 구조이기 때문에 전선 양단에 강한 장력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구동모터가 회전할 경우 연동벨트가 연동바퀴 표면으로부터 미끌리면서 슬립이 일어나 장력조절 가능이 유명무실화되는 문제는 물론, 스크류가 고정된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구동모터 회전시 스크류 자체가 이동하는 문제로 인해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지 못하는 한계에 봉착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바람에 의해 송배전선이 받게 되는 출렁임이나 진동 및 열팽창에 의해 수축 팽창하는 전선케이블의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전선케이블의 수명단축을 방지하도록 한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측에 공간을 갖는 관형상으로, 둘레면 소정위치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가이드홈과 인출홈이 각각 형성되고, 전주와 절연식 고정쇠를 매개로 일렬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기준체; 한 쌍의 상기 기준체를 관통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바아형상으로, 상기 기준체들로 각각 삽입되는 양단부의 제1나사산 및 제2나사산은 상호 역방향으로 형성된 스크류; 상기 기준체의 안쪽에서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 및 인출홈에 끼워지는 돌부 및 연결쇠를 구비하면서 상기 기준체에 상응하는 한 쌍으로 된 이동체; 상기 스크류와 벨트를 매개로 연동하여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직류전기형 구동모터; 상기 연결쇠에 고정되어 상기 기준체의 외곽에 배치되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따라 상기 기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인입홈을 통해 관통하는 전선의 외주면과 고정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에 고정된 전극과, 상기 이동자를 전주의 중심을 향해 밀어내면서 탄발하는 탄발체와, 상기 인입홈 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이동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극과 접촉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구성된 이동형 고정체; 및 상기 전극은 상기 구동모터의 일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각각 상기 구동모터의 타단자와 병렬로 연결되되, 상기 타단자와 제1전극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1직류전원과, 상기 타단자와 제2전극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2직류전원의 전극이 서로 반대로 되어서, 상기 전극과 제1전극 및 제2전극 간의 접촉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도록 하는 제1직류회로 및 제2직류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연동바퀴는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다수의 기어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동벨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기어와 맞물려 슬립되지 않게 하는 다수의 벨트요철이 더 형성되며, 상기 연동바퀴를 기준으로 양측의 스크류에는 플랜지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를 자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더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에는 연결고정대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절연식 고정쇠에 위치 고정하며,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정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한 쌍의 고정바를 더 형성하고, 상기 고정바에는 전선안내롤을 자회전 가능하게 고정설치하되, 상기 전선안내롤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홈을 요입 형성하며, 상기 전선(70)의 일부를 상기 나선형 홈에 감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배전선의 출렁임으로 인한 진동 및 열팽창에 의한 수축 팽창에 따른 송배전 전선케이블의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전선케이블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의 작동모습을 순차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613878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613878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613878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연동벨트가 연동바퀴로부터 슬립되지 않도록 하면서, 스크류를 자회전가능하게 지지고정하는 구조를 더욱 강화시킨 구성으로서,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613878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는 전주(미 도시함)에 전선(70)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프레임(10)의 일지점에 배치되며 전선(70)을 고정하는 이동형 고정체(50)와, 상기 이동형 고정체(50)을 고정하는 이동체(60)와, 상기 이동체(60)를 수평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스크류(40)와, 상기 스크류(40)를 고정하는 기준체(30)와, 상기 이동형 고정체(50), 이동체(60), 스크류(40) 및 기준체(30) 등으로부터 통전되는 전류가 고정프레임(10)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면서 고정하는 절연식 고정쇠(2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절연식 고정쇠(20)의 경우 일반적인 애자 재질로 되며, 필요한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단단한 재질이기본 골격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기준체(3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관형상을 이루며 상기 절연식 고정쇠(20)와 단단히 연결된다. 이때, 상기 기준체(30)는 상기 전주를 기준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인출되므로, 서로 이웃하는 전주 사이에 배선된 전선(70)의 장력을 양방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나의 전주에는 한 쌍의 기준체(30, 30')가 구비된다.
계속해서, 상기 기준체(30, 30')에는 외주면에 나사산(42, 42')이 형성된 스크류(40)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40)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면서 맞물리는 한 쌍의 이동체(60, 60')가 상기 스크류(40)와 기준체(30, 3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이동체(60, 6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40)의 나사산(42, 42')에 맞물리는 나사산(63)이 형성되어서, 스크류(40)의 회전 시 이동체(60, 60')가 나사산들(42, 42', 63)의 맞물림으로 기준체(30, 30')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된다.
그런데, 한 쌍의 상기 이동체(60, 60')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양방향에 형성된 제1나사산(42)과 제2나사산(42')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서, 상기 스크류(40)가 회전하면 이동체(60, 60')와의 나사산 간 맞물림이 서로 반대로 되어 상기 이동체(60,60')의 이동이 상호 반대가 된다.
즉, 상기 스크류(40)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이동체(60, 60')가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준체(30, 30')는 상기 이동체(60, 60')가 스크류(40)의 회전과 더불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면서도 상기 기준체(30, 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60, 60')에는 상기 가이드홈(31)과 맞물리는 돌부(61)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기준체(30, 30')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인출홈(32)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체(60, 60')에는 상기 인출홈(32)을 관통하는 연결쇠(6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체(60, 60')는 상기 기준체(30, 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스크류(40)의 회전방향에 따라 그 이동방향이 결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스크류(40)의 회전은 구동모터(80 ; 도 5 참조)에 의하며, 이때, 상기 구동모터(80)와 스크류(40)의 연동바퀴(43)를 잇는 연동벨트(41)를 매개로 연동하게 된다. 즉, 구동모터(80)의 회전축과 연동바퀴(43)가 체인 또는 고무재질의 벨트 등이 선택될 수 있는 연동벨트(41)를 통해 서로 이어져 회전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전선연결구조의 작동모습을 순차도시한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설명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이동체(60)의 연결쇠(62)에는 이동형 고정체(50)가 배치 고정된다.
상기 이동형 고정체(50)는 상기 전선(70)을 고정하는 고정기능을 가지면서 이동체(60)의 이동으로 전선(70)에 가해지는 장력을 완충한다.
상기 이동형 고정체(50)는 전선(70)이 관통하는 인입홈(51)을 구비하고, 상기 인입홈(51) 내에는 인입홈(5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내입된 이동자(52)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자(52)는 전선(70)의 외주면에 단단히 부착되어서, 상기 이동체(60)와의 연결을 매개한다.
계속해서, 상기 이동자(52)는 전주의 바깥쪽을 향하는 장력에 대해 탄발하는 탄발체(56)에 의해 지지되어서, 전선(70)이 당기는 힘을 완충한다.
즉, 여름철 기온이 높은 상황에서 전선(70)이 팽창하면 전선(70)의 하중 이외에는 장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탄발체(56)는 전선(70)의 하중보다 큰 탄발력으로 전선(70)을 잡아당긴다. 반면, 겨울철 기온이 낮은 상황에서 전선(70)이 수축하면 전선(70)의 수축에 의한 장력이 크게 발생하면서 상기 탄발체(56)를 강하게 압박하여 상기 이동자(52)의 압력으로 압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자(52)에는 전극(53)이 구비되고, 이동형 고정체(50)의 상기 인입홈(51) 내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전극(54)과 제2전극(55)이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전선연결구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상기 도 3 및 도 4와 더불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터(80)는 직류전압을 받아 회전하는 모터로, 제1직류회로(A) 및 제2직류회로(B)가 서로 병렬적으로 연결되며, 전극의 위치가 서로 반대로 된 제1직류전원(91) 및 제2직류전원(92)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로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80)가 제1직류전원(91)이 있는 제1직류회로(A)와 제2직류전원(92)이 있는 제2직류회로(B)에 선택적으로 통전되어 직류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1전극(54), 제2전극(55) 및 전극(53)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53)은 구동모터(80)의 일단자와 고정적으로 통전되고, 구동모터(80)의 타단자는 제1전극(54) 또는 제2전극(55)에 선택적으로 통전되도록 된다.
결국, 구동모터(80)의 타단자가 제1전극(54)에 접속되느냐 제2전극(55)에 접속되느냐에 따라 구동모터(80)가 받는 전극이 바뀌면서 구동방향, 즉 회전방향을 바꾸게 된다.
이를 참고로 하여 도 3 및 도 4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3의 (a)도면에 도시한 것은 일상적인 기준체(30) 내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일상적으로는 상기 전극(53)이 제1전극(54) 및 제2전극(55) 어디에도 접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발체(56)의 탄발력만으로 전선(70)이 지지되고 있는 모습이다.
(b)도면은 겨울철 낮은 기온에 의해 전선(70)이 수축되면서 강한 장력을 발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탄발체(56)가 압축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이동자(52)는 전선(70)이 가하는 장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탄발체(56)에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이동자(52)에 구비된 전극(53)이 제1전극(54)과 접속된다. 이후, 구동모터(80)는 제1전극(54)을 포함하는 제1직류회로(A)의 제1직류전원(91)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상기 구동모터(80)의 회전은 스크류(40)의 회전으로 이어지고, 상기 스크류(40)가 회전하면 이와 맞물리는 이동체(60)에 힘을 가해 이동시키는데, 상술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체(60)가 탄발체(56)에 가해지는 힘을 약화시키는 방향인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술한 설명은 (c)도면을 통해 도시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설명하면, 겨울철 수축되는 전선(70)이 가하는 장력을 완화하기 위해 전선(70)이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이동체(60)를 이동시켜 탄발체(56)가 받는 압력을 줄이고, 이를 통해 전극(53)이 다시 제1전극(54) 및 제2전극(55)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결국, 겨울철 강하게 발생하는 전선(70)의 장력을 완화하면서도 전선(70)이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힘만을 가할 수 있어 전선(70)의 활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미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상기 기준체(30)와 이동체(60) 및 이동형 고정체(50)는 스크류(4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는 한 쌍을 이루는데, 스크류(40)의 회전으로 상기 한 쌍의 이동체(60)가 상호 역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전주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인출된 전선(70)을 잡아당기거나 밀어내게 된다.
계속해서, 도 4의 도면을 활용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도면에 도시한 것은 일상적인 기준체(30) 내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일상적으로는 상기 전극(53)이 제1전극(54) 및 제2전극(55) 어디에도 접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발체(56)의 탄발력 만으로 전선(70)이 지지되고 있는 모습이다.
(b)도면은 여름철 기온의 상승으로 인해 전선(70)이 팽창하면서 장력이 상실되어 상기 탄발체(56)의 탄발력으로 인해 전선(70)이 전주 쪽으로 당겨지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전극(53)은 제2전극(55)과 접속하면서 제2직류회로(B) 내의 제2직류전원(92)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되고, 이를 통해 전극이 바뀌면서 구동모터(80)의 회전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이동체(60)는 전주 쪽으로 이동하면서 이동형 고정체(50)를 매개로 전선(70)을 잡아당기게 되고, 이로 인한 전선(70)의 장력이 탄발체(56)에 가해지면서 상기 전극(53)이 제1전극(54)과 제2전극(55)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상술한 구조를 그대로 가지면서, 도 6과 같이 스크류(40)를 자회전 가능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즉, 추가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류(40)의 중앙부에 형성된 연동바퀴(43)를 기점으로 그 양측에 플랜지(120)를 구비한다.
상기 플랜지(120)는 상기 스크류(40)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연동바퀴(43)와 후술될 베어링(130)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베어링(130)이 연동바퀴(43) 쪽으로 움직이면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플랜지(120)는 베어링(130)을 스크류(40)에 설치한 다음 일측 스크류(40)의 단면에 반경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를 체결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그 반대측 스크류(40)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이 두 스크류(40)는 서로 나사산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부, 즉 연동바퀴(43)를 두 스크류(40) 면에 나사체결하는 형태로 상호 연결고정하여 하나의 스크류(40)를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두 개의 스크류샤프트가 하나의 연동바퀴(43) 양단면에 각각 체결 고정되어 하나의 스크류(40)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연동바퀴(43)와 스크류샤프트의 상호 고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사체결도 가능하고, 또는 키(key) 고정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것은 도 1 내지 도 5의 설명 중 스크류(40)에 대한 부연 설명으로, 본 발명 추가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130)을 설치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보충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상기 베어링(130)은 상기 스크류(40)를 자회전 가능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130)은 연결고정대(140)를 통해 절연식 고정쇠(20)에 고정된다.
즉, 상기 연결고정대(140)의 일단은 상기 베어링(130)의 외주면 일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고정대(140)의 타단은 연장된 후 상기 절연식 고정쇠(20)에 견고히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베어링(130)은 유동되지 않고 한 곳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의해 지지되는 스크류(40)는 위치이동없이 자회전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이와 결합된 기준체(30)와 이동형 고정체(50)만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한편, 상기 연동바퀴(43)는 연동벨트(41)와의 슬립(Slip)을 방지하기 위해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기어(110)가 형성되는 일종의 기어풀리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동바퀴(43)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기는 연동벨트(41)의 내측면도 상기 기어(11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벨트요철(100)이 형성되어 일종의 타이밍벨트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 벨트요철(100)과 상기 기어(110)가 항상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연동벨트(41)가 연동바퀴(43)로부터 미끌리는 슬립 현상을 생기지 않게 된다.
아울러, 전선(70)은 단순히 이동자(52)가 양측에서 맞물고 있는 상태이므로 양측에 강한 장력이 작용할 경우 전선(70)이 이동자(52)가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전선(70)이 이탈되면서 장력 불균일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서는 이러한 현상까지 완전히 해소키 위해 상기 연결고정대(14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베어링(13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된 고정바(150)를 한 쌍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바(150)에 의해 회전 지지되게 전선안내롤(160)를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전선안내롤(160)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전선홈(170)를 요입되게 더 형성하고, 상기 전선(70)를 단순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나선형 전선홈(170)을 경유하여 한번 감긴 후 타측 이동자(52)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전선(70)에 걸리는 장력을 적절히 분해 하도록 구성된다.
더구나, 상기 전선안내롤(160)은 자회전 가능한 구조이므로 상기 전선(70)의 수축 팽창에 따라 전선(70)이 유동될 때 함께 회전되면서 전선(70)을 안내하므로 전선(70)에 걸리는 장력이 이동자(52)에 집중되지 않도록 분산처리하며, 이에 따라 전선(70)을 더욱 더 안전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된다.
10 ; 고정프레임 20 ; 절연식 고정쇠
30, 30' ; 기준체 31 ; 가이드홈
32 ; 인출홈 40 ; 스크류
41 ; 연동벨트 42, 42' ; 나사산
43 ; 연동바퀴 50, 50' ; 이동형 고정체
51 ; 인입홈 52 ; 이동자
53 ; 전극 54, 55 ; 제1,2전극
56 ; 탄발체 60, 60' ; 이동체
70 ; 전선 80 ; 구동모터
91, 92 ; 제1,2직류전원 A, B ; 제1,2직류회로

Claims (1)

  1. 내측에 공간을 갖는 관형상으로, 둘레면 소정위치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가이드홈과 인출홈이 각각 형성되고, 전주와 절연식 고정쇠를 매개로 일렬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기준체; 한 쌍의 상기 기준체를 관통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바아형상으로, 상기 기준체들로 각각 삽입되는 양단부의 제1나사산 및 제2나사산은 상호 역방향으로 형성된 스크류; 상기 기준체의 안쪽에서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 및 인출홈에 끼워지는 돌부 및 연결쇠를 구비하면서 상기 기준체에 상응하는 한 쌍으로 된 이동체; 상기 스크류와 벨트를 매개로 연동하여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직류전기형 구동모터; 상기 연결쇠에 고정되어 상기 기준체의 외곽에 배치되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따라 상기 기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인입홈을 통해 관통하는 전선의 외주면과 고정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에 고정된 전극과, 상기 이동자를 전주의 중심을 향해 밀어내면서 탄발하는 탄발체와, 상기 인입홈 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이동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극과 접촉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구성된 이동형 고정체; 및 상기 전극은 상기 구동모터의 일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각각 상기 구동모터의 타단자와 병렬로 연결되되, 상기 타단자와 제1전극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1직류전원과, 상기 타단자와 제2전극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2직류전원의 전극이 서로 반대로 되어서, 상기 전극과 제1전극 및 제2전극 간의 접촉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도록 하는 제1직류회로 및 제2직류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의 중앙부에 형성된 연동바퀴는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다수의 기어가 더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연동바퀴를 잇는 연동벨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기어와 맞물려 슬립되지 않게 하는 다수의 벨트요철이 더 형성되며,
    상기 연동바퀴를 기준으로 양측의 스크류에는 플랜지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를 자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더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에는 연결고정대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절연식 고정쇠에 위치 고정하며,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정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한 쌍의 고정바를 더 형성하고,
    상기 고정바에는 전선안내롤을 자회전 가능하게 고정설치하되, 상기 전선안내롤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홈을 요입 형성하며,
    상기 전선(70)의 일부를 상기 나선형 홈에 감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
KR1020130055073A 2013-05-15 2013-05-15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 KR101339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73A KR101339329B1 (ko) 2013-05-15 2013-05-15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73A KR101339329B1 (ko) 2013-05-15 2013-05-15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329B1 true KR101339329B1 (ko) 2013-12-10

Family

ID=4998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073A KR101339329B1 (ko) 2013-05-15 2013-05-15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3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037B1 (ko) 2016-03-15 2017-02-22 합자회사 금남엔지니어링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
KR101856696B1 (ko) * 2018-01-12 2018-05-14 주식회사 더한양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철탑 연결용 어댑터
KR20190143321A (ko) 2018-06-20 2019-12-30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선로 절연 커버용 케이블 어댑터
CN115833003A (zh) * 2022-12-20 2023-03-21 北京恒扉嘉泰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电缆张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214B1 (ko) 2008-08-11 2008-11-06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KR100890063B1 (ko) 2008-12-04 2009-03-25 홍봉선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214B1 (ko) 2008-08-11 2008-11-06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KR100890063B1 (ko) 2008-12-04 2009-03-25 홍봉선 가공배전선 지지용 전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037B1 (ko) 2016-03-15 2017-02-22 합자회사 금남엔지니어링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
KR101856696B1 (ko) * 2018-01-12 2018-05-14 주식회사 더한양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철탑 연결용 어댑터
KR20190143321A (ko) 2018-06-20 2019-12-30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선로 절연 커버용 케이블 어댑터
CN115833003A (zh) * 2022-12-20 2023-03-21 北京恒扉嘉泰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电缆张紧***
CN115833003B (zh) * 2022-12-20 2024-03-26 北京恒扉嘉泰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电缆张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329B1 (ko)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전주 연결용 어댑터
KR100613878B1 (ko) 고압전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전신주용 전선연결구조
KR101038975B1 (ko)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곡선지지장치
KR101335928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US8839921B2 (en) Pressure plate assembly and method for power transmission
KR102153479B1 (ko) 가공 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임시걸이 장치
CN206093205U (zh) 地下电力电缆用电缆固定夹
CN202127205U (zh) 电缆快速固定卡具
CN205555752U (zh) 一种轨道电动车电缆卷筒
RU2577034C1 (ru) МЕЖДУФАЗНАЯ ДИСТАНЦИОННАЯ РАСПОРКА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НАПРЯЖЕНИЕМ 35-1150 кВ
KR101572374B1 (ko)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
KR101311453B1 (ko) 가선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방법
KR101856696B1 (ko)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철탑 연결용 어댑터
KR102461766B1 (ko) 가공송전 현수애자 장력 밸런스 장치
CN207774458U (zh) 一种用于供电电缆松弛调节装置
CN103023238A (zh) 一种发电机定子绕组浸漆夹具
CN117060306A (zh) 一种电力通信线路辅助固定设备
CN103573764A (zh) 一种母线槽插接箱锁紧装置
CN106033872A (zh) 等电位更换单联双软母线耐张绝缘子的工具
CN103107494B (zh) 导线、电缆固定支撑装置
CN111030022B (zh) 一种导线防震锤防滑装置
CN106384974B (zh) 一种旋转固定式预绞丝安装工具
KR101771144B1 (ko)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CN205565531U (zh) 一种低压架线用紧线装置
CN209709551U (zh) 一种带电更换绝缘子的成套工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