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342B1 - 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container shape - Google Patents

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container shape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342B1
KR101338342B1 KR20130057103A KR20130057103A KR101338342B1 KR 101338342 B1 KR101338342 B1 KR 101338342B1 KR 20130057103 A KR20130057103 A KR 20130057103A KR 20130057103 A KR20130057103 A KR 20130057103A KR 101338342 B1 KR101338342 B1 KR 10133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apparatus
wastewater treatment
tank
integrated waste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71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재영
장규만
김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Priority to KR2013005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3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3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8Chemical Oxygen Demand [CO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0Solids, e.g. total solids [TS], total suspended solids [TSS] or volatile solids [VS]

Abstract

An 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one container shape and includes: at least one treatment unit for treating the waste water; a control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treatment unit; and a wireless transceiver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 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one package such as a container, has the minimum installation space, is capable of treating waste water, and a manager can easily monitor and manage the 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Description

컨테이너 형태를 갖는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CONTAINER SHAP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container form {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CONTAINER SHAPE}

본 발명은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테이너 형태로 구비되고 무선통신을 이용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컨테이너 형태를 갖는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container form provided in a container form and capable of performing monitor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급속한 산업의 발전, 인구증가 및 도시의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각종 용수량의 증가와 함께 오폐수에 함유된 무기 및 유기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오폐수는 COD(Chemical Oxygen Demand),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SS(suspended solid), 질소, 인 등 고농도의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하천, 호수 및 강 등에 그대로 흘러들어가 부영양화에 따른 수자원의 오염 및 독성으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 등과 같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Due to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population growth and urban population concentration, the proportion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nents contained in wastewater is gradually increasing with the increase of various amounts of water. Such wastewater contains high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such as COD (Chemical Oxygen Demand),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SS (suspended solid), nitrogen and phosphorus and flows into rivers, lakes and rivers, And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due to toxicity.

따라서, 오폐수는 일정의 기준을 정해놓고 기준치 이하로 정화되고 배출되어야 한다. Therefore, wastewater should be purified and discharged to a level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by setting certain criteria.

한편, 수질환경오염 제어기술로서 막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은 다양한 유독성 오염물질의 출현과 이를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기술 및 종래 처리시설의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그 활용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treatment technology using the membrane as a water pollution control technology has been very useful for the emergence of various toxic pollutants, high treatment technology for removing them and to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conventional treatment facilities.

특히, 이러한 막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은 1)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 및 막을 병용한 기술, 2) 화학적 처리와 막을 병용한 기술, 3) 물리적 처리와 막을 병용한 기술 등의 복합적인 방법으로 수처리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In particular, the water treatment technology using the membrane is applied to the water treatment system in a complex manner, such as 1) a combination of chemical and biological treatment and membrane, 2) a combination of chemical treatment and membrane, and 3) a combination of physical treatment and membrane. have.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막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분야에서 정수처리, 난분해성의 산업폐수처리, 축산폐수처리, 매립지 침출수의 2차 처리 및 오염된 지하수의 처리를 위하여 막 공정을 활용하는 것이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막의 막힘 현상(fouling)이 쉽게 일어나 그 활용성에 큰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However, in the field of water treatment technology using membranes,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literature, the use of membrane processes for water purification, hardly degradable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secondary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and contaminated groundwater has been expanded. In spite of this, fouling of the membrane easily occurs and it is pointed out as a big disadvantage in its utility.

또한, 막의 성능 지표인 투과속도(투과율)가 저하되면 다양한 세정과정을 거쳐 막을 재이용하지만, 세정약품이나 압축공기 및 세정수 등을 활용하는 기존의 세정방법에 의해서는 막의 성능이 100% 회복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세정과정에서 이용된 약품 등에 의해 2차 오염이 발생한다. In addition, when the permeation rate (permeability), which is a performance indicator of the membrane, is decreased, the membrane is reused through various cleaning processes, but the membrane performance cannot be recovered 100% by the conventional cleaning method utilizing cleaning chemicals, compressed air, and washing water. In addition, secondary contamination occurs due to the chemicals used in the cleaning process.

이러한 종래의 세정방법은 막의 운전시 흐름을 일시적으로 단절시킨 역세척 방법을 대부분 채택하고 있어 주기적으로 공정의 흐름을 멈추게 한다. This conventional cleaning method adopts most of the backwashing method which temporarily cuts off the flow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embrane, and stops the flow of the process periodically.

즉, 종래의 막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은 오폐수의 처리과정에서 오폐수의 이물질이 분리막에 달라붙어 미세공을 차단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처리수량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That is,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technology using the membrane is difficult to ensure a smooth and stable amount of treatment water for a long time because the foreign matter stuck to the separation membrane in the process of waste water to block the micropores.

또한, 분리막의 세정시 오폐수처리 과정을 전면 중단시킨 상태에서 관리자가 각 분리막 모듈을 직접 분리하고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오폐수처리가 지연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불편하고, 막 모듈을 분리하고 세척하는 과정에서 분리막이 손상되거나 화학적 약품세정으로 인한 2차 오염물질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도 있다. In addition,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is not only delayed, but also inconvenient to work because the manager must separate and clean each membrane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is completely stopped when cleaning the membrane, and the membran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cleaning the membrane module. This may cause damage or secondary pollutants from chemical cleaning, resulting in increased management costs.

특히, 이러한 종래의 오폐수 처리 기술은 콘크리트를 이용한 토목공사로 지반에 제작한 구조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과 기간이 상당히 소모되고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실용화에 제약이 따른다.
In particular, this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y uses a structure manufactured on the ground by civil engineering using concrete, installation costs and periods are considerably consumed and occupies a lot of installation space, which leads to limitations in practical use.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 10-0402289호(2003년 10월 7일 등록)Patent Document 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402289 (October 7, 2003 registration)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29226호(2001년 4월 19일 등록)Patent Document 2: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29226 (registered April 19, 2001)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컨테이너 형태로서 최소한의 공간을 갖고 이동 설치하여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treating wastewater by moving and installing with a minimum space in one container for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오폐수 처리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onitoring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는 하나의 컨테이너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오폐수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 연결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무선송수신부를 포함한다.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at least one processing unit for treating the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processing unit, and a wireless connection to the control unit It includes a transcei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컨테이너는 우드판, 합성수지판, 및 금속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may be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a wood plate, a synthetic resin plate, and a metal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처리부는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조를 포함하고, 오폐수가 유입되어 유기물 또는 무기물의 침전이 이루어지는 스크린부;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유량 조정조와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조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한 유량으로 배출하는 유량 조정부;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혐기조, 산소공급 펌프 및 교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량 조정조로부터 상기 혐기조로 유입되는 오폐수에 대해 탈질 공정 및 인 방출을 수행하는 혐기부;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무산소조, 및 상기 무산소조 내에 구비된 교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혐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에 대해 탈질 가속화 공정을 수행하는 무산소부;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막분리조, 상기 막분리조 내에 구비된 다수의 여과막 모듈, 및 산소공급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여과막 모듈과 산소공급 펌프를 이용한 MBR(Membrane Bio Reactor) 공법의 고액 분리를 수행하는 막분리부; 및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슬러지저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막분리부에서 분리된 폐슬러지를 처리하는 슬러지저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unit includes at least one screen tank having a space form or a tank form consisting of partition walls, and a screen unit in which wastewater is introduced to precipitate organic or inorganic matters; A flow rate adjust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flow rate adjusting tank and a pump having a space form or a tank shape and discharging the waste water introduced from the screen tank at a constant flow 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t least one anaerobic tank, an oxygen supply pump and a stirrer having a space or tank form consisting of a partition wall, and performing a denitrification process and phosphorus discharge for the waste water flowing into the anaerobic tank from the flow control tan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aerobic department; An anoxic unit including at least one anoxic tank having a space form or a tank form formed of a partition wall, and an agitator provided in the anoxic tank, and performing a denitrification acceleration process on wastewater flowing from the anaerobic tan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t least one membrane separation tank having a space or tank form consisting of a partition wall, a plurality of filtration membrane modules provided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and an oxygen supply pump, the filter membrane module and the oxygen supply pump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Membrane separation unit for performing solid-liquid separation of MBR (Membrane Bio Reactor) method using; And a sludge storage tank having at least one sludge storage tank having a space form or a tank form formed of a partition wall, and processing waste sludge separated from the membrane separati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처리부는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혐기조, 산소공급 펌프 및 교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혐기조로 유입되는 오폐수에 대해 탈질 공정 및 인 방출을 수행하는 혐기부;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무산소조, 및 상기 무산소조 내에 구비된 교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혐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에 대해 탈질 가속화 공정을 수행하는 무산소부;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막분리조, 상기 막분리조 내에 구비된 다수의 여과막 모듈, 및 산소공급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산소조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대해 상기 여과막 모듈과 산소공급 펌프를 이용한 MBR 공법의 고액 분리를 수행하는 막분리부; 및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슬러지저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막분리부에서 분리된 폐슬러지를 처리하는 슬러지저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unit includes at least one anaerobic tank, an oxygen supply pump, and an agitator having a space form or a tank form of partition walls, and is introduced into the anaerobic tank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An anaerobic section performing denitrification process and phosphorus release on the waste water; An anoxic unit including at least one anoxic tank having a space form or a tank form formed of a partition wall, and an agitator provided in the anoxic tank, and performing a denitrification acceleration process on wastewater flowing from the anaerobic tan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t least one membrane separation tank having a space or tank form consisting of a partition wall, a plurality of filtration membrane modules provided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and an oxygen supply pump, and the waste water introduced from the oxygen-free tan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Membrane separation unit for performing solid-liquid separation of the MBR method using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oxygen supply pump; And a sludge storage tank having at least one sludge storage tank having a space form or a tank form formed of a partition wall, and processing waste sludge separated from the membrane separati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처리부는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막분리조, 상기 막분리조 내에 구비된 다수의 여과막 모듈, 및 산소공급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막분리조에 유입된 오폐수에 대해 상기 여과막 모듈과 산소공급 펌프를 이용한 MBR 공법의 고액 분리를 수행하는 막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part includes at least one membrane separation tank having a space form or a tank shape consisting of partition walls, a plurality of filtration membrane modules provided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and an oxygen supply pump. And a membrane separation unit for performing solid-liquid separation of the MBR method using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oxygen supply pump with respect to the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여과막 모듈은 측면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격벽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격벽 돌기들 사이에 끼움홈을 형성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끼움판;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평막;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다수의 평막의 상부에서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과 결합 수단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누름판;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지지판에 의해 형성된 'ㄷ'자형의 홈 안에 설치되는 흡입펌프 연결관; 상기 흡입펌프 연결관의 양단부와 상기 평막의 일측에 구비된 집수구에 각각 연결된 집수관;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집수관의 상부에 위치하는 인양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includes a frame composed of a side frame, an upper frame, and a support plate; Fitting plates formed integrally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 protrusions at regular intervals, forming fitting grooves between the partition protrusions, and mount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ide frame; A plurality of flat membrane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s; A pressing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by a coupling means perpendicularly to a length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lat membrane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s; A suction pump connecting tube installed in a 'c' shaped groove formed by the upper frame and the support plate; A collecting pip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ction pump connecting pipe and a collecting ho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lat membrane; And a lifting chain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and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on pi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부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모니터링 이미지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방식으로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monitoring image using information sensed by a sensor provided in the processing unit, and transmits the monitoring image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sing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method. And wireless transmission through the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는 상기 유입된 오폐수와 처리 후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수에 대한 BOD, COD, SS(suspended solid) 농도, 질소 농도 및 인 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is BOD, COD, SS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nitrogen concentration and phosphorus concentration for the introduced wastewater and the effluent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모니터링 이미지는 상기 유입된 오폐수와 처리 후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수에 대한 BOD 이미지, COD 이미지, 질소 제거효율에 관한 이미지 및 인 제거효율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image includes a BOD image, a COD image, an image related to nitrogen removal efficiency, and an image related to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for the introduced wastewater and the effluent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treatmen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상기 모니터링 이미지는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 후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수의 SS(suspended solid) 농도에 관한 이미지 및 상기 처리수의 흡입 압력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image includes an image of the SS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the treatment in the treatment unit and an image of the suction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는 상기 여과막 모듈을 인양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인양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lifting bag on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to lift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will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는 컨테이너 형태의 외형으로 구비되어, 최소한의 설치 공간을 갖고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treat the wastewater with a minimum installation spa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는 GUI 방식으로 모니터링 이미지를 관리자의 무선통신 단말기로 송신하여, 관리자가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하면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monitor and manage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by transmitting a monitoring imag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administrator in a GUI manner.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의 측단면도.
도 1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에 구비된 여과막 모듈의 분리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에 의한 BOD 처리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에 의한 COD 처리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에 의한 질소(N) 처리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에 의한 인(P) 처리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C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provided in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BOD treatment efficiency by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the COD treatment efficiency by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nitrogen (N) treatment efficiency by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phosphorus (P) treatment efficiency by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1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에 구비된 여과막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a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c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provided in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10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우드판, 합성수지판, 또는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컨테이너 형태로 구비되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각각의 처리부, 즉 스크린부(110), 유량 조정부(120), 혐기부(130), 무산소부(140), 막분리부(150), 슬러지저류부(160), 제어부(170), 및 무선송수신부(180)를 포함한다.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made of a wood plate, a synthetic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etc., as shown in Figure 1b, shown in Figure 1a As described above, each processing unit, that is, the screen unit 110, the flow rate adjusting unit 120, the anaerobic unit 130, the anaerobic unit 140, the membrane separation unit 150, the sludge storage unit 160, and the control unit 170 ), And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80.

이러한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100)는 컨테이너와 같은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구비되므로, 최소한의 처리 공간을 갖고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고, 도 1b에 도시된 인양대(105)를 이용하여 막분리부(150)에 구비된 여과막 모듈(152)을 외부로 인양하여 세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Since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is provided in one package form such as a container,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may process wastewater with a minimum treatment space, and may use a membrane separator (shown in FIG.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152 provided at 150 may be lifted to the outside to facilitate washing.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100)는 생물학적 공정과 막분리 공정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공법으로 막분리부(150) 전단에 혐기부(130)와 무산소부(140)를 추가하여, 오폐수에 대한 고도처리(advanced wastewater treatment)가 가능한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이다. Specifically,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aerobic unit 130 and an anaerobic unit 140 in front of the membrane separation unit 150 by a hybrid method combining a biological process and a membrane separation process. In addition, it is an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capable of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스크린부(11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의 스크린조(111)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예컨대 스크린조(111)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된 경사판을 이용하여 유입된 오폐수로부터 무거운 이물질인 협착물 및 토사 등과 같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침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스크린조(111) 내에 구비된 센서와 예컨대 망체(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침전된 협착물 및 토사 등을 감지하여 제거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C, the screen unit 110 includes at least one screen tank 111 having a space or a tank shape formed of a partition wall, for example, using an inclined plate selectively provided in the screen tank 111. It is possible to precipitate organic or inorganic substances such as contaminants and soils, which are heavy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ntroduced wastewate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70 may detect and remove the constricted deposits and the earth and sand, etc. using a sensor provided in the screen tank 111 and a mesh (not shown), for example.

유량 조정부(12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의 유량 조정조(121)와 내부에 구비된 펌프를 포함하고, 스크린부(110)로부터 일시에 유입되는 오폐수를 저장하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유량 조정조(121)에 구비된 펌프를 통해 오폐수를 일정한 유량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막분리부(150)의 처리량을 감지하여, 유량 조정조(121)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C, the flow rate adjusting unit 120 includes a flow rate adjusting tank 121 having a space or a tank form formed of a partition wall and a pump provided therein, and stores wastewater flowing in temporarily from the screen unit 110. The waste water may be discharged at a constant flow rate through a pump provided in the flow rate adjustment tank 12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70 may detect the throughput of the membrane separator 150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waste water discharged from the flow rate adjustment tank 121.

혐기부(13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의 혐기조(131), 혐기조(131) 내에 구비된 산소공급 펌프 및 교반기를 포함하고,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산소공급 펌프 및 교반기를 이용하여 유량 조정조(121)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산소를 공급하면서 교반하여 유기물의 탈질 반응 및 인 방출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탈질 반응 및 인 방출이 수행된 혐기조(131)의 오폐수는 무산소부(140)로 유입된다. Anaerobic unit 130 includes an anaerobic tank 131 in the form of a partition or tank form, the oxygen supply pump and agitator provided in the anaerobic tank 131, as shown in Figure 1c,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Accordingly, the denitrification reaction and the phosphorus release of the organic material may be performed by stirring while supplying oxygen to the wastewater introduced from the flow rate adjusting tank 121 using the oxygen supply pump and the stirrer. Waste water of the anaerobic tank 131 in which the denitrification reaction and phosphorus release is performed is introduced into the anaerobic unit 140.

무산소부(14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의 무산소조(141) 및 무산소조(141) 내에 구비된 교반기를 포함하고,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교반기를 이용하여 유입된 오폐수에 대한 탈질 반응을 가속화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혐기부(130)와 무산소부(140)에 구비된 교반기를 이용하여 오폐수의 침적 및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The anaerobic unit 140 includes an aerobic tank 141 and an agitator provided in the anoxic tank 141 in the form of a space or a tank, as shown in FIG. 1C, and uses an agita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This can accelerate the denitrification of the incoming waste water.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70 may prevent the deposition and decay of the waste water by using the stirrer provided in the anaerobic unit 130 and the anaerobic unit 140.

이렇게 무산소조(141)에서 처리된 오폐수는 선택적으로 별도의 공간 또는 탱크에 모이고 별도의 펌프를 통해 막분리부(150)로 배출될 수 있다. The waste water treated in the anoxic tank 141 may be selectively collected in a separate space or tank and discharged to the membrane separator 150 through a separate pump.

막분리부(15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의 막분리조(151), 막분리조(151) 내에 구비된 다수의 여과막 모듈(152), 및 산소공급 펌프를 포함하고,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여과막 모듈(152)과 산소공급 펌프를 이용한 MBR(Membrane Bio Reactor) 공법의 고액 분리가 수행된다. 여기서, 막분리조(151)는 다른 처리조의 상부에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처리조와 동일 평면에 연결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C, the membrane separation unit 150 includes a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having a space or a tank shape, a plurality of filtration membrane modules 152 provided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and oxygen supply. Including a pump, the solid-liquid separation of the MBR (Membrane Bio Reactor) method us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membrane module 152 and the oxygen supply pump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is performed. Here,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is provided above the other processing tank,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ame plane as the other processing tank.

구체적으로, MBR 공법은 종래의 활성 슬러지 공법에 따른 침전조 대신 분리막을 이용하여 고액 분리를 수행하는 공법이다. 종래 오폐수 처리의 경우 호기성 생물 반응조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오폐수 중의 유기물과 영양 염류를 섭취해서 성장하여 침전조에서 슬러지 형태로 침전되어 물과 분리, 제거되는데, 처리 공정의 운전상태에 따라 침전성이 떨어질 경우 유출수의 수질을 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중력 침전 대신 분리막에 의한 여과공정을 도입한 것이 MBR 공법이다. Specifically, the MBR method is a method for performing solid-liquid separation using a separation membrane instead of a precipitation tank according to a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method. In the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the microorganisms present in the aerobic bioreactor grow by ingesting organic matter and nutrient salts in the wastewater, and are precipitated as sludge in the sedimentation tank to be separated and removed from water.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effluent. In order to solve this fundamental problem, the MBR method is introduced by filtration process using a membrane instead of gravity precipitation.

MBR 공법은 생물학적 공정과 막 분리 공정을 조합한 것이 특징이다. 생물학적 공정은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 제거와 영양물질 분해제거 기능을 담당하고, 막 분리 공정은 고액 분리와 약 4,000 ~8,000 mg/L 등과 같은 고농도의 MLSS(Mixed Liquor Suspended Solids) 수치를 유지할 수 있다. The MBR process is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biological and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The biological process is responsible for decomposing organic matter and nutrient decomposing by microorganisms, and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can maintain solid-liquid separation and high concentrations of mixed liquor suspended solids (MLSS) such as about 4,000 to 8,000 mg / L.

이러한 MBR 공법은 종래의 활성 슬러지 공법에 따른 침전조 및 여과시스템을 대체하고, 미세공극을 갖는 분리막으로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함으로써 소독설비의 생략도 가능하다. 즉, MBR 공법은 반응조 용량을 축소할 수 있고, 침전조, 여과 및 소독 설비 등을 생략함으로써, 설비의 콤팩트화 및 운전 자동화가 용이하며, 분리막에 의해 처리수의 수질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The MBR method replaces the sedimentation tank and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omit the disinfection facility by removing pathogenic microorganisms with a separator having micropores. That is, the MBR method can reduce the capacity of the reaction tank, and by omitting the settling tank, the filtration and disinfection facilities, it is easy to compact the equipment and automate operation, and the water quality of the treated water can be stably secured by the separation membrane.

이러한 MBR 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여과막 모듈(152)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152-4), 상부 프레임(152-5) 및 지지판(152-6)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격벽 돌기(152-2)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들 격벽 돌기들 사이에 끼움홈(152-3)을 형성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152-4)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끼움판(152-1), 끼움홈(152-1)에 끼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평막(152-7), 상기 끼움홈(152-1)에 끼워진 다수개의 평막(152-7)의 상부에서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상부 프레임(152-5)과 결합 수단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누름판(152-9), 상부 프레임(152-5) 및 지지판(152-6)에 의해 형성된 'ㄷ'자형의 홈 안에 설치되는 흡입펌프 연결관(152-10), 흡입펌프 연결관(152-10)의 양단부와 평막(152-7)의 집수구(152-8)에 각각 연결된 집수관(152-12), 및 상부 프레임(152-5)의 상단에 설치되고 집수관(152-12)의 상부에 위치하는 인양 체인(152-15)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D,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152 for performing the MBR method has a frame composed of a side frame 152-4, an upper frame 152-5, and a support plate 152-6, and at regular intervals. By forming a plurality of partition projections (152-2) integrally to form a fitting groove (152-3) between these partition projections, the fitting plate (152-) respective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ide frame (152-4) 1), a plurality of flat membranes (152-7) fitted to the fitting groove (152-1), the top of the plurality of flat membranes (152-7) fitted in the fitting grooves (152-1)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ion of the suction pump installed in the '-' groove formed by the pressing plate 152-9, the upper frame 152-5, and the supporting plate 152-6, which are connected by the frame 152-5 and the coupling means. A collecting pipe 152-12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ction pipe connecting pipe 152-10 and a collecting hole 152-8 of the flat membrane 152-7, and an upper frame 152-5. ) Top Installation is provided with a lifting chain (152-15), which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me water tube (152-12).

도 1d에서는 집수관(152-12)이 3개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서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집수관의 수는 여과막 모듈(152)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측면 프레임(152-4)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끼움판(152-1) 역시 여과막 모듈(152)의 크기에 따라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In FIG. 1D, three collecting pipes 152-12 are illustrated,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ber of the collecting pipes connected to each oth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152. The number of fitting plates 152-1 mount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ide frame 152-4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152.

평막(152-7)은 상부의 중앙에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부의 좌우측에 각각 집수구(152-8)를 구비할 수 있는데, 중앙의 손잡이는 선택적으로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The flat membrane 152-7 may have a handle at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and a water collecting hole 152-8 may be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ortion, but the handle at the center may not be selectively provided.

또한, 평막(152-7)은 평판형의 분리막으로서 인접한 2장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하고 평막(152-7) 사이에는 여판을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일반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flat membrane 152-7 is a flat separator, and two adjacent sheets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filter board may be mounted between the flat membranes 152-7,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이러한 평막(152-7)이 적재된 여과막 모듈(152)은 막분리조(151)의 내부 면적이 협소하여 공간 활용이 요구될 시에는 여과막 모듈(152)을 2단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152 loaded with the flat membrane 152-7 may have two stages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152 when space utilization is required due to a narrow internal area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평막(152-7)의 집수구(152-8)는 집수관(152-12)의 돌출 연결부(152-16)와 호스(152-13)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며, 호스(152-13)는 고탄성 연질 호스로서 예컨대, 실리콘 호스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tching holes 152-8 of the flat membrane 152-7 are interconnected using the protruding connection 152-16 of the collecting pipe 152-12 and the hoses 152-13, and the hoses 152-13 are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with, for example, a silicone hose as the high elastic soft hose.

누름판(70)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판(152-1)에 끼워진 다수개의 평막(152-7)의 상부에서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상부 프레임(152-5)과 볼트, 너트 및 리벳 등과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연결 설치된다. The pressing plate 70, as shown in Figure 1d, the upper frame 152-5, bolts, nuts an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flat membranes (152-7) fitted to the fitting plate (152-1) It is connected by means of coupling means such as rivets.

또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펌프 연결관(152-10), 흡입펌프 연결관(152-10)의 양단부, 및 평막(152-7)의 집수구(152-8)에 각각 연결된 집수관(152-12)은 상부 프레임(152-5) 및 지지판(152-6)에 의해 형성된 'ㄷ'자형의 홈 안에 설치된다. 이때, 집수관(152-12)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ㄷ'자형의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52)과 지지판(53)의 사이에 이탈방지봉(미도시)을 설치할 수도 있다. Also, as shown in FIG. 1D, a house connected to the suction pump connector 152-10, both ends of the suction pump connector 152-10, and the water collecting port 152-8 of the flat membrane 152-7, respectively. The water pipe 152-12 is installed in a 'c' shaped groove formed by the upper frame 152-5 and the support plate 152-6.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collecting pipe 152-1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 shaped groove due to an external impact, a separation preventing rod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frame 52 and the support plate 53. It can also be installed.

흡입펌프 연결관(152-10)은 그 일측에 상부로 연장되는 관과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되는 관과 흡입펌프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공지의 캄락 카플링(camlack coupling)(152-11)과 플렉스블 호스(flexible hose)에 의해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The suction pump connecting pipe 152-10 is connected to a pipe extending upwar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pipe extending upward and the suction pump are not shown, but a known camlack coupling 152-11 and a flex are provided. It can be easily detached by a flexible hose.

이러한 여과막 모듈(152)은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100)의 컨테이너 외형 일측에 구비된 인양대(105)를 이용하여 외부로 인양되어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다.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152 is lifted to the outside by using the lifting stand 10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outer surface of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can be easily cleaned.

이렇게 구성된 여과막 모듈(152)을 이용한 고액 분리가 수행된 후, 막분리조(151) 내에는 슬러지가 고농도로 유지될 수 있고 부유물질 및 병원성 미생물이 제거된 안정된 처리수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고액 분리 후의 처리수는 방류관을 통해 배출되고, 막분리조(151)에서 활성된 슬러지는 혐기조(131)로 반송되어 탈질 반응 및 인 방출이 이루어진다. After the solid-liquid sepa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15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ludge may be maintained at a high concentration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and a stable treated water from which suspended matter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may be removed may be obtained. At this time, the treated water after the solid-liquid separa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the sludge activated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is returned to the anaerobic tank 131 to perform the denitrification reaction and phosphorus release.

또한, 막분리조(151) 하부의 폐슬러지는 슬러지저류부(160)의 슬러지 저류조(161)로 이송되어 농축 후에 인발 처리된다. In addition, the waste sludge under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is transferred to the sludge storage tank 161 of the sludge reservoir 160 to be concentrated after drawing.

제어부(17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실(171) 내에 구비되고, 스크린부(110), 유량 조정부(120), 혐기부(130), 무산소부(140), 막분리부(150), 슬러지저류부(160), 및 무선송수신부(180) 각각의 처리부에 연결되어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is provided in the control room 171, as shown in FIG. 1C, and includes a screen unit 110, a flow rate adjusting unit 120, an anaerobic unit 130, an anaerobic unit 140, and a membrane separation unit 150. The sludge storage unit 160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180 may be connected to respective processing unit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특히, 제어부(170)는 각 처리부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처리량, 처리효율, 유량 등을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모니터링 이미지, 즉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이미지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방식으로 무선송수신부(180)를 통해 관리자에게 무선 송수신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70 detects the throughput, processing efficiency, flow rate, etc. through the sensors provided in each processing unit, and monitors the image generated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that is, the image shown in FIGS. Graphical User Interface)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8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100)는 컨테이너와 같은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구비되어, 최소한의 처리 공간을 갖고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으며, GUI 방식으로 모니터링 이미지를 송신할 수 있다.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one package form, such as a container, can process wastewater with a minimum treatment space, and monitors the monitoring image in a GUI manner. I can send it.

이에 따라,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이미지를 통해, 관리자는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100)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하면서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rough the monitoring image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the manager can easily manage and manage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200)에 대해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Hereinafter,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Figure 2a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2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100)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유사하지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를 구성하는 처리부로서 혐기부(230), 무산소부(240), 막분리부(250) 및 슬러지저류부(260)를 포함하고, 이러한 처리부에 연결된 제어부(270) 및 제어부(270)에 연결된 무선송수신부(28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similar to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processing unit constituting the interior as shown in FIG. 2A. As an anaerobic unit 230, an anaerobic unit 240, a membrane separation unit 250 and a sludge storage unit 260, and the control unit 270 connected to this processing unit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8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70 Is different in that it includes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2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분리부(250)의 막분리조(251)가 무산소조(241)와 슬러지저류조(261) 사이에서 동일층으로 연결 구비된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200)에 관한 설명중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100)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B,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251 of the membrane separation unit 250 includes an anoxic tank 241 and a sludge storage tank 261. )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is provided in the same layer. Here, in the description of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s the description of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2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100)의 스크린부(110)와 유량 조정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막분리조(251)가 다른 처리조와 동일층에 구비되므로, 설치 공간과 설치 비용을 더욱 줄일 수 있다.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include the screen unit 110 and the flow rate adjusting unit 120 of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251 is provided on the same floor as other treatment tanks, the installation space and installation cost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200)와 별개로 컨테이너와 같은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구비되고 그 내부에 선택적으로 막분리부(250), 제어부(270), 및 무선송수신부(280) 만으로 구비되어 설치 공간과 설치 비용을 더욱 줄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one package form, such as a container, separately from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rein, a membrane separator 250 and a controller are selectively included therein. 270, and only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80 may further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and installation cost.

이하, 본 발명의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에 의한 BOD 처리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에 의한 COD 처리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에 의한 질소 처리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에 의한 인 처리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Hereinafter, a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BOD treatment efficiency by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COD treatment efficiency by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nitrogen treatment efficiency by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t is a graph showing the phosphorus treatment efficiency by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본 발명의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d에 연관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10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Here,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related to FIGS. 1A to 1D.

먼저, 본 발명의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은 제어부(170)가 스크린조(111)에 유입된 오폐수에 대해 이물질인 협착물과 토사 등을 제거한다(S310). First, in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70 removes contaminants and earth and sand, etc., from the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screen tank 111 (S310).

예를 들어, 스크린조(111)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된 경사판을 이용하여 유입된 오폐수로부터 무거운 이물질인 협착물 및 토사 등을 침전시키고, 제어부(170)는 스크린조(111) 내에 구비된 센서와 예컨대 선택적으로 구비된 망체(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침전된 협착물 및 토사 등을 감지하여 제거할 수 있다. For example, using the inclined plate selectively provided inside the screen tank 111 to precipitate the contaminants and earth and sand, which are heavy foreign matters, from the introduced waste water, and the controller 170 is a sensor provided in the screen tank 111.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remove the precipitates and sediment, such as by using a selectively provided network (not shown).

침전된 협착물 및 토사 등을 제거한 후, 제어부(170)는 스크린조(111)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유량 조정조(121)로 배출하고, 유량 조정조(121)에 유입된 오폐수를 일정 유량으로 혐기조(131)로 배출한다(S320). After removing the precipitated constriction and the earth and sand, the control unit 170 discharges the wastewater treated in the screen tank 111 to the flow rate adjusting tank 121, and discharges the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flow rate adjusting tank 121 at a certain flow rate to an anaerobic tank ( 131 to discharge (S320).

특히, 제어부(170)는 막분리부(150)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막분리부(150)의 오폐수 분리 처리량을 감지하여, 막분리부(150)의 오폐수 분리 처리량에 따라 유량 조정조(121)에서 혐기조(131)로 배출되는 오폐수의 유량을 조절한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70 detects the wastewater separation throughput of the membrane separator 150 through a sensor provided in the membrane separator 150, and according to the wastewater separation throughput of the membrane separator 150, the flow adjustment tank 121. In order to control the flow rate of waste water discharged to the anaerobic tank (131).

혐기조(131)로 배출된 오폐수에 대해, 제어부(170)는 혐기조(131) 내에 구비된 산소공급 펌프 및 교반기를 이용하여 유량 조정조(121)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에 산소를 공급하면서 교반하여 유기물의 탈질 공정 및 인 방출 공정을 수행한다(S330). With respect to the wastewater discharged to the anaerobic tank 131, the control unit 170 is stirred while supplying oxygen to the wastewater introduced from the flow rate adjustment tank 121 using the oxygen supply pump and agitator provided in the anaerobic tank 131 to denitrate the organic matter. A process and a phosphorus release process are performed (S330).

이때, 제어부(170)는 혐기조(131) 내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유입된 오폐수의 양, 질소 및 인 함량을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산소공급 펌프 및 교반기를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70 may detect the amount of wastewater, nitrogen and phosphorus introduced through the sensor provided in the anaerobic tank 131, thereby controlling the oxygen supply pump and the stirrer.

이러한 탈질 공정 및 인 방출 공정이 수행된 후, 제어부(170)는 혐기조(131)의 오폐수를 무산소조(141)로 배출하여 무산소조(141)에서 탈질 반응의 가속화 공정을 수행한다(S340). After the denitrification process and the phosphorus release process are performed, the control unit 170 discharges the waste water of the anaerobic tank 131 to the anaerobic tank 141 to perform an acceleration process of the denitrification reaction in the anoxic tank 141 (S340).

특히, 제어부(170)는 무산소조(141) 내에 구비된 산소공급 펌프 및 교반기를 이용하여 유입된 오폐수에 대한 탈질 반응을 가속화할 수 있고, 특히 교반기를 이용하여 오폐수의 침적 및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70 may accelerate the denitrification reaction of the introduced waste water by using an oxygen supply pump and an agitator provided in the anoxic tank 141, and may prevent the deposition and decay of the waste water by using the agitator. .

탈질 가속화 공정으로 처리된 오폐수는 막분리조(151)로 배출되고, 제어부(170)는 막분리조(151) 내에 구비된 다수의 여과막 모듈(152) 및 산소공급 펌프를 이용한 MBR 공법의 고액 분리공정을 수행한다(S350). The waste water treated by the denitrification acceleration process is discharged to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and the control unit 170 separates the solid-liquid separation of the MBR method us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membrane modules 152 and the oxygen supply pump provided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Perform the process (S350).

여과막 모듈(152)을 이용한 고액 분리공정에 따라, 제어부(170)는 부유물질 및 병원성 미생물이 제거된 안정된 처리수를 방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According to the solid-liquid separation process using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152, the controller 170 discharges the stable treated water from which the suspended matter and the pathogenic microorganisms are re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이때, 제어부(170)는 막분리조(151)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막분리조(151) 내에 유기물을 함유한 활성 슬러지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막분리조(151)에 존재하는 활성 슬러지를 혐기조(131)로 반송하여 탈질 공정 및 인 방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ctivated sludge containing organic matter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through the sensor provided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to determine the activated sludge present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Return to 131 may be carried out a denitrification process and a phosphorus release process.

또한, 제어부(170)는 막분리조(151) 내에 활성 슬러지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막분리조(151) 하부의 폐슬러지를 슬러지저류부(160)의 슬러지 저류조(161)로 이송하여 처리한다(S370).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active sludge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the control unit 170 transfers the waste sludge under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to the sludge storage tank 161 of the sludge storage unit 160. Process (S370).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오폐수의 처리과정에서 각 처리부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 예컨대 스크린조(111)에 유입된 오폐수와 막분리조(151)에서 방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수 각각의 BOD, COD, SS(suspended solid) 농도, 질소 농도 및 인 농도에 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이러한 BOD, COD, 질소 및 인 각각의 제거효율을 연산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7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from the wastewater and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introduced into the screen tank 111, for example,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provided in each processing unit in the waste water treatment process. Information on BOD, COD, SS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nitrogen concentration and phosphorus concentration of each effluent can be detected,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each of the BOD, COD, nitrogen and phosphorus can be calculated.

특히, 제어부(170)는 캄락 카플링(152-11)과 호스에 연결된 방류관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수의 SS(suspended solid) 농도 및 처리수의 흡입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70 may detect the SS concentration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suction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through a sensor mounted in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Kamrak coupling 152-11 and the hose. .

이러한 연산을 통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별로 BOD, COD, SS(suspended solid) 농도, 질소 및 인 각각의 제거효율에 관한 그래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제어부(170)는 이러한 제거효율에 관한 그래프 이미지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방식으로 무선송수신부(180)를 통해 관리자의 스마트폰, PDA, 무선통신 단말기 등으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Through this calculation, as shown in FIGS. 4 to 7, a graph image of BOD, COD, SS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for each day may be obtained, and the controller 170 may generate such a graph. The graphical image of the removal efficiency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administrator's smartphone, PD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tc.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80 in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method.

특히, 제어부(170)는 막분리조(151)에서 방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수의 SS(suspended solid) 농도 및 흡입 압력에 관한 검출 이미지를 GUI 방식으로 무선송수신부(180)를 통해 관리자의 스마트폰, PDA, 무선통신 단말기 등으로 무선 송신하여 막분리조(151)의 이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70 via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80 in a GUI method for detecting the image of the SS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and the suction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administrator's smartphone, PD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tc. can be notified in real time of the abnormality of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따라서,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100)의 관리자는 수신한 막분리조(151)의 이상 여부에 관한 이미지 또는 제거효율에 관한 그래프 이미지를 통해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100)의 이상 유무와 효율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anager of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may monit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and efficiency of th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0 through the image on whether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151 is received or the graph image on the removal efficiency. Can be.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200: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 105: 인양대
110: 스크린부 111: 스크린조
120: 유량조정부 121: 유량조정조
130: 혐기부 131: 혐기조
140: 무산소부 141: 무산소조
150: 막분리부 151: 막분리조
152: 여과막 모듈 160: 슬러지저류부
161: 슬러지저류조 170: 제어부
171: 제어실 180: 무선송수신부
100, 200: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105: lifting stand
110: screen portion 111: screen bath
120: flow rate adjustment unit 121: flow rate adjustment tank
130: anaerobic section 131: anaerobic tank
140: anaerobic part 141: anaerobic tank
150: membrane separation unit 151: membrane separation tank
152: filtration membrane module 160: sludge reservoir
161: sludge storage tank 170: control unit
171: control room 180: wireless transceiver

Claims (11)

하나의 컨테이너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오폐수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 연결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무선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격벽으로 이루어진 공간 형태 또는 탱크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막분리조, 상기 막분리조 내에 구비된 다수의 여과막 모듈, 및 산소공급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막분리조에 유입된 오폐수에 대해 상기 여과막 모듈과 산소공급 펌프를 이용한 MBR 공법의 고액 분리를 수행하는 막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one container,
At least one processing unit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for treating the introduced waste water,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processing unit, and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process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membrane separation tank having a space form or a tank shape consisting of partition walls, a plurality of filtration membrane modules provided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and an oxygen supply pump,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membrane separation unit for performing solid-liquid separation of the MBR method using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oxygen supply pump for the introduced waste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우드판, 합성수지판, 및 금속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is an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wood plate, synthetic resin plate, and metal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 모듈은
측면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격벽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격벽 돌기들 사이에 끼움홈을 형성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끼움판;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평막;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다수의 평막의 상부에서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과 결합 수단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누름판;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지지판에 의해 형성된 'ㄷ'자형의 홈 안에 설치되는 흡입펌프 연결관;
상기 흡입펌프 연결관의 양단부와 상기 평막의 일측에 구비된 집수구에 각각 연결된 집수관;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집수관의 상부에 위치하는 인양 체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A frame composed of a side frame, an upper frame and a support plate;
Fitting plates formed integrally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 protrusions at regular intervals, forming fitting grooves between the partition protrusions, and mount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ide frame;
A plurality of flat membrane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s;
A pressing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by a coupling means perpendicularly to a length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lat membrane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s;
A suction pump connecting tube installed in a 'c' shaped groove formed by the upper frame and the support plate;
A collecting pip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ction pump connecting pipe and a collecting ho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lat membrane; And
A lifting chain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and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on pipe;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부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모니터링 이미지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방식으로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monitoring image by using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provided in the processing unit,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monitoring image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method.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는
상기 유입된 오폐수와 처리 후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수에 대한 BOD, COD, SS(suspended solid) 농도, 질소 농도 및 인 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the BOD, COD, SS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nitrogen concentration and phosphorus concentration for the introduced waste water and effluent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treatm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이미지는
상기 유입된 오폐수와 처리 후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수에 대한 BOD 이미지, COD 이미지, 질소 제거효율에 관한 이미지 및 인 제거효율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nitoring image is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BOD image, a COD image, an image related to nitrogen removal efficiency and an image related to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for the introduced wastewater and effluent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treatm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이미지는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 후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수의 SS(suspended solid) 농도에 관한 이미지 및 상기 처리수의 흡입 압력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nitoring image is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n image of the SS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of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the treatment in the treatment unit and an image of the suction pressure of the treated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 모듈을 인양하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인양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오폐수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lifting stan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to lift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KR20130057103A 2013-05-21 2013-05-21 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container shape KR1013383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103A KR101338342B1 (en) 2013-05-21 2013-05-21 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container sh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103A KR101338342B1 (en) 2013-05-21 2013-05-21 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container sha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342B1 true KR101338342B1 (en) 2013-12-06

Family

ID=4998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7103A KR101338342B1 (en) 2013-05-21 2013-05-21 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container sha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34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504B1 (en) 2015-08-07 2016-02-03 유한회사 대신환경개발 Height adjustable Siphon consisting of submerged membrane systems
CN113248042A (en) * 2021-05-06 2021-08-13 瑞盛环境股份有限公司 Distributed domestic sewage high-efficiency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process thereof
US11274051B2 (en) 2017-08-22 2022-03-15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Capacitive-deionization-type nutritive salt removal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dam or we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63Y1 (en) * 2000-01-13 2000-06-15 주식회사케이 알 테크 Observating automatic device for water quality of river
KR20000073797A (en) * 1999-05-14 2000-12-05 김기진 Septic tank comprised of composite materials and a process for purifying wastewater by using the same
KR100435107B1 (en) 2001-10-29 2004-06-09 교우산업개발(주) Advance Treatment Equipment and Process for Nitrogen and Phosphate Removal in Sewage and Wastewater
KR101046198B1 (en) * 2011-03-22 2011-07-04 주식회사 차임이엔지 A water treatment remote control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797A (en) * 1999-05-14 2000-12-05 김기진 Septic tank comprised of composite materials and a process for purifying wastewater by using the same
KR200185863Y1 (en) * 2000-01-13 2000-06-15 주식회사케이 알 테크 Observating automatic device for water quality of river
KR100435107B1 (en) 2001-10-29 2004-06-09 교우산업개발(주) Advance Treatment Equipment and Process for Nitrogen and Phosphate Removal in Sewage and Wastewater
KR101046198B1 (en) * 2011-03-22 2011-07-04 주식회사 차임이엔지 A water treatment remote control monitor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504B1 (en) 2015-08-07 2016-02-03 유한회사 대신환경개발 Height adjustable Siphon consisting of submerged membrane systems
US11274051B2 (en) 2017-08-22 2022-03-15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Capacitive-deionization-type nutritive salt removal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dam or weir
CN113248042A (en) * 2021-05-06 2021-08-13 瑞盛环境股份有限公司 Distributed domestic sewage high-efficiency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proces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8925B (en) Sewage treatment device
KR101368295B1 (en) 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WO2012033817A2 (en) Modula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management
US20220024796A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aerobic granular sludge gravity-driven membrane system
KR101338342B1 (en) Integrate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container shape
CN113754210A (en) Small 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fully-buri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Xing et al. Performance of an inclined-plate membrane bioreactor at zero excess sludge discharge
KR20140114586A (en) Sludge an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High Density and nitrogen treatment process using the same
CN107555600A (en) A kind of sewage disposal system
KR100678657B1 (en) The total system with collecting rainwater and treating sewage and wastewater
KR100992827B1 (en) Cleaning system for waste-water purifier
CN207193070U (en) A kind of efficient equipment for processing industrial sewage
CN103319049A (en) Sewage treatment system of MBR (membrane and bioreactor) membrane
CN215886722U (en) High-efficient integration medical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CN203200128U (en) Integrated treatment equipment of food wastewater
CN215975459U (en) Small-size sewage treatment system of buri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entirely
JP2005144290A (en) Method for controlling mlss
KR20160093875A (en) Energy-saving septic tank
KR101144901B1 (en) Exclusion equipment nitrogen and phosphorus in aeration tank using sulfur charge membrane bioreactor
CN210825845U (en) MBR application effluent treatment plant
RU70512U1 (en) COMPACT INSTALLATION OF BIOLOGICAL CLEANING AND DISINFECTION OF SEWAGE WATER USING MEMBRANE FILTRATION
CN204779259U (en) Novel only formula MBR reuse of reclaimed water all -in -one
CN209890463U (en) Intelligent modularized integrated sewage treatment system
KR20040020325A (en) A method for treating the graywater by membrane
CN211847575U (en) Integrated sewage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