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476B1 -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476B1
KR101336476B1 KR1020110146170A KR20110146170A KR101336476B1 KR 101336476 B1 KR101336476 B1 KR 101336476B1 KR 1020110146170 A KR1020110146170 A KR 1020110146170A KR 20110146170 A KR20110146170 A KR 20110146170A KR 101336476 B1 KR101336476 B1 KR 10133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nanoparticles
gold
synthesis
synthesized
stainles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452A (ko
Inventor
조무환
이진태
한티힙
샤피어칼라틸
모하마드만숩칸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46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47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liquid metal compounds, e.g.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5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 B22F1/054Nanosize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4Obtaining noble metals by we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25Noble metals, i.e. Ag Au, Ir, Os, Pd, Pt, Rh, Ru
    • B22F2301/255Silver or g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4/00Physical aspects of the powder
    • B22F2304/05Submicron size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 및 상기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금나노입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금 전구체가 포함된 수용액과 스텐레스 스틸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은 단순할 뿐만 아니라, 공정시간이 빠르고 외부적 에너지 유입이 필요 없어 경제적이며 유독한 용매, 산화제, 환원제, 안정화제 등의 첨가가 없기에 환경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므로, 상기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금나노입자는 약학, 바이오테크놀로지, 촉매 및 나노크기의 전자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가능할 것이다.

Description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 {Method for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본 발명은 양성 전하를 띤 금나노입자의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나노입자 (AuNPs)는 약학, 바이오테크놀로지, 촉매 및 나노 크기의 전기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이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록 종래의 대부분 합성방법에 의해 순수하게 잘 정제된 금나노입자를 성공적으로 생산되었을지라도, 상기 방법은 공정비용이 비싸고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에 악영향을 막기 위한 깨끗하고 환경친화적 방법의 개발에 관한 현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환경친화적이고 좋은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금나노입자를 합성방법 중 한 방편으로, 식물, 조류, 균류, 박테리아 및 효모와 같은 생체모방적 과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상기 공정은 환경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공정과정이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금나노입자의 합성시 합성비용 및 시간이 적게 들며 합성과정이 단순하고 환경에 무해한, 환경친화적인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25~40℃의 온도에서 금 염화물이 포함된 수용액과 스텐레스 스틸망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금염화물은 HAuCl4 , AuCl, AuCl2, AuCl3, Na2Au2Cl8 및 NaAuCl2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금나노입자는 양성 전하를 띨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은 종래의 어떠한 금나노입자 합성공정보다 단순할 뿐만 아니라, 공정시간이 빠르고 경제적이며 환경친화적이다. 상기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금나노입자는 양성의 전하를 띤 것으로 종래의 음전하를 띠는 약제와 결합력이 강하여 타겟 부위로의 전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성 매체를 포함한 다양한 응용분야에 쉽게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금나노입자는 약학, 바이오테크놀로지, 촉매 및 나노크기의 전자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가능할 것이다.
도 1A 합성된 금나노입자의 TEM 이미지이고, 도 1B는 개개의 금나노입자의 HRTEM의 현미경 사진이며, 도 1C는 금나노입자의 UV-가시광선 스펙트럼이며, 도 1D는 선택영역 전자회절 (Selected-area electron diffraction) 패턴을 나타낸다.
도 2는 합성된 금나노입자의 에너지분산형 X-선 (Energy-dispersive X-ray, EDX)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금나노입자의 건조분의 X-선 회절 (X-ray diffraction , XRD)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스텐레스 스틸을 사용한 금나노입자 합성 기작을 예측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금 전구체가 포함된 수용액과 스텐레스 스틸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 및 상기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금나노입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금나노입자 합성방법은 공정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산화제, 환원제 등의 첨가로 인해 환경에 강력하게 위협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순하고 비용절감적이며 비독성의 환경친화적인 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던 중 본 발명의 합성방법에 의할 때 상기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금 전구체가 포함된 수용액과 스텐레스 스틸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금 전구체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전구체에 염소가 포함되어 있는 금염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 HAuCl4 , AuCl, AuCl2, AuCl3, Na2Au2Cl8, NaAuCl2 및 이의 수화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텐레스 스틸은 철의 최대 결점인 내식성의 부족을 개선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내식용 강으로, 일반적으로 Fe, Ni 등 전이금속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 상기 스텐레스 스틸 (stainless steel)은 SUS 304 (Ildong Wire Cloth, Korea)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68-72% Fe, 18-20% Cr, 8-10% Ni 및 매우 소량의 C, Mn와 Si를 포함하는 상업적 합금이다.
스텐레스 스틸은 금나노입자 합성에 사용되는 종래의 물질들과는 달리 값이 싸며 깨끗하며 재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응물과 생산물 (AuNPs)로부터 쉽게 분리가능하고 쉽게 살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텐레스 스틸은 금나노입자의 활성이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적어도 6회 이상 재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기에 경제적일 수 있다.
상기 수용액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물과 같은 비독성 용매의 사용은 합성비용을 크게 절감할 뿐만 아니라,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하여 본 발명의 합성공정을 환경 친화적으로 만들 뿐 아니라, 그 결과 얻어진 생성물은 수용성 매체를 포함한 다양한 응용분야에 쉽게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나노입자의 합성 온도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며, 20 내지 50℃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에서는 종래의 나노입자 합성 방법과는 달리 특별한 외부적 에너지의 유입을 필요하지 않으므로, 환경친화적일 뿐 아니라 합성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금나노입자의 합성 시간은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나, 금 전구체가 포함된 수용액과 스텐레스 스틸을 혼합 후 30분 내지 3시간 내에 반응을 완결할 수 있다.
상기 시간보다 짧으면 금나노입자의 합성이 불충분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보다 길면 합성이 이미 완료되었기에 시간 소모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체나 환경에 해로운 용매, 부수적인 안정화제 (stabilizing agents), 산화제, 환원제 등이 요구되지 않아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 전체 합성 공정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어떠한 산화제나 환원제의 사용없이 실온 (30 ℃)의 물에서 수행되었는데, HAuCl4이 함유된 수용액에 스텐레스 스틸 망 (2.5 x 4.5 cm)을 첨가하여 금나노입자를 합성할 수 있다.
상기 금나노입자 합성 메카니즘은, 금 전구체 내에 존재하는 Cl-이온이 스텐레스 스틸 표면을 침투하여 표면이 부식되면서 전자가 방출되고 이러한 전자에 의해 Au3 + Auo 로 환원시키는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도 4 참조). 즉, 스텐레스 스틸이 물에 잠기면 이 주위에 부동 피막 (passive film)이 형성되는데, 상기 피막에는 Fe뿐만 아니라, Cr와 Ni의 산화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피막의 바깥 부분은 Cr3 +을 함유하는 반면, 안쪽 및 바깥 부분은 Cr3 + 와 Ni2 +를 모두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 (transition metals, e.g., Fe, Cr, Ni) 상의 부동층 (Passive layers)은 얇고 (less than 100Å, i.e., 10 nm), 좋은 전기전도성 및 음이온 선택성을 나타낼 수 있기에, 금 전구체로부터의 Cl- 이온은 산화피막을 통해 기저의 금속 표면으로 이동되는데, 여기서 금속/산화 접점에서 국소적 용해에 참여하여 전자를 방출시켜서 Au3 + 환원시킬 수 있다. 산성용액하에서, 주변의 수소이온 (H+)이 상기 환원된 금나노입자에 흡착하여 금나노입자의 표면이 양성 전하를 띨 수 있다.
상기 메카니즘은 실시예 5에서 나타난 결과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데, AuNPs 형성 전 HAuCl4에서 M+n (M = Fe, Cr and Ni)의 함량이 매우 소량인데 반하여, AuNPs의 형성 후에 Cr, Ni 및 Fe의 농도는 용액 (in ppm)내에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합성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나노입자는 양성 전하를 띨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양성 전하를 띤 금나노입자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가능성이 높을 수 있으며, 일례로 종래의 많은 약제가 음성 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양성 전하를 띤 금나노입자는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약제와 결합함으로 약제를 타겟 지점으로 전달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금나노입자를 제공한다.
상기 금나노입자는 양성 전하를 띤 것으로, 상기 금나노입자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평균 80 내지 120nm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합성된 금나노입자는 6각형 (hexagonal), 막대형 (rod), 구형 (spherical), 삼각형 (triangular)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합성될 수 있다.
상기 합성된 금나노입자는 막형성물질 (capping agent)이나 안정화제 (stabilizer)의 첨가없이도 반영구적으로 안정한 화합물로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금 나노입자의 합성방법
전체 합성 공정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어떠한 산화제나 환원제의 사용없이 실온 (30 oC)의 물에서 수행되었다. 스텐레스 스틸 망(2.5 x 4.5 cm)을 1mM HAuCl4이 함유된 100 mL 수용액에 떨어뜨리고, 30분 내에 전구체의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금 전구체의 색상이 흐린 노랑에서 루비의 붉은 색으로 변화가 관찰되어 금나노입자 (AuNPs)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금나노입자의 확인
실시예 2-1. 합성된 금나노입자의 형태관찰
에너지 분산형 X-선 (energy-dispersive X-ray, EDX) 분석 시스템이 장착된 200 kV의 가속전압 (accelerating voltage)에서 작동하는 고배율 투과전자현미경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HRTEM; Tecnai G2 F20, FEI, USA)에 의해 입자의 형태가 결정되었다.
도 1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TEM 형상은 합성된 AuNPs가 6각형 (hexagonal), 막대형 (rod), 구형 (spherical), 삼각형 (triangular) 형태로 복합분산 (polydisperse)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나노입자는 표면에 다양한 쌍으로된 구조 (twinnd defect)를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2. 금나노입자의 UV -가시광선 스펙트럼
UV_160A (Shimadzu, Japan)상에서 분산된 용액의 UV-가시광선 분광측정이 이루어졌다.
도 1C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540 nm (appearance of ruby red color)에서 최대 흡광도가 나타났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AuNPs의 플라즈몬 공명으로 야기된다. 흡광도 스펙트럼은 거의 3시간 동안 변하지 않고 남아있는데, 이는 상기 기간 내에 반응이 완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UV-가시광선 스펙트럼이 4달 이상 동일하게 유지되었는데, 이는 합성 AuNPs가 막형성물질 (capping agent)이나 안정화제 없이도 장기간 동안 안정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2-3. 선택영역 전자회절 ( Selected - area electron diffraction )
금 나노입자의 결정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SAED 검출기가 부착된 TEM 장비(실시예 2-1에서 사용)를 사용하였다.
도 1D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선택영역 전자회절 (Selected-area electron diffraction)은 금 element의 결정 평면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4. Energy - dispersive X- ray ( EDX ) spectra
금나노입자의 원소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EDX 검출기가 부착된 TEM 장비 (실시예 2-1에서 사용)를 사용하였다.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합성된 AuNPs의 전형적 EDX 스펙트럼은, AuNPs의 특징인 대략 2 keV에서 강한 피크를 보였다. EDX 스펙트럼은 또한 약한 탄소와 구리의 신호를 보였는데, 이는 탄소 코팅된 구리 그리드 (carbon coated copper grid)로부터로 얻어진 것으로 예측되었다.
실시예 3. 평균적 유체역학적 크기와 제타포텐셜
동적광산란법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DelsaTM Nano 제타 포텐셜을 사용한 전기영동적 움직임 및 서브마이크론 입자분석기 (submicron particle size analyzer, Beckman Coulter, USA)를 사용하여 수용액에서의 AuNPs의 평균적 유체역학적 크기와 제타포텐셜을 각각 결정하였다.
제타포텐셜 측정은 표면 전위가 약 +24.2 mV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AuNPs가 양성 전하를 띰을 의미한다.
실시예 4. 금나노입자 건조분의 X-선 회절 (X- ray diffraction ) 패턴
합성된 AuNPs의 면은 X-선 회절분석측정기 (X-ray diffractiometry, PANalytical, X'Pert-PRO MPD)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도 3은 Au3 +의 완전한 환원 후에 스텐레스 스틸에 의해 합성된 AuNPs의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네 개의 굴절 피크가 30-90o 2θ range 범위에서 관찰되는데, 이는 37.9o (111), 44.2o (200), 64.5o (220), 77.4o (311), 88.5o (222)로 찾을 수 있다.
실시예 5. 전이금속 함량의 측정
전구체 및 금 나노입자 용액 중에 용해되어 있는 전이금속 이온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유도 결합 플라즈마 분광기 (ICP-AES, OPTIMA 3000)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금나노입자가 형성되기 전의 초기의 HAuCl4 수용액에서 M+n (M = Fe, Cr and Ni)의 함량이 매우 소량이었으나, AuNPs의 형성 후 Cr, Ni 및 Fe의 농도는 용액 (in ppm)내에서 증가 되었다.
Fe Cr Ni
1 mM HAuCl4 0.28 0.16 0.15
Solution of AuNPs 32.53 8.94 3.82

Claims (5)

  1. 25~40℃의 온도에서 금 염화물이 포함된 수용액과 스텐레스 스틸망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금염화물은 HAuCl4 , AuCl, AuCl2, AuCl3, Na2Au2Cl8 및 NaAuCl2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나노입자는 양성 전하를 띤,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
  5. 삭제
KR1020110146170A 2011-12-29 2011-12-29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 KR10133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170A KR101336476B1 (ko) 2011-12-29 2011-12-29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170A KR101336476B1 (ko) 2011-12-29 2011-12-29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452A KR20130077452A (ko) 2013-07-09
KR101336476B1 true KR101336476B1 (ko) 2013-12-04

Family

ID=4899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170A KR101336476B1 (ko) 2011-12-29 2011-12-29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4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487A (ko) 2019-12-03 2021-06-1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금 나노입자 합성을 위한 미세 액적 기반 미세유체칩 및 이의 용도
KR20220126976A (ko) 2021-03-10 2022-09-19 주식회사 하이젠 솔루션 플라즈마 프로세스를 이용한 촉매의 제조방법
KR20220168627A (ko) 2021-06-16 2022-12-26 주식회사 하이젠 솔루션 플라즈마 프로세스를 이용한 촉매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366B1 (ko) * 1988-07-15 1999-01-15 알프레드 엘. 미첼슨 촉매물질을 포함한 일체화된 다공성 구조체로부터 형성된 촉매물질-담체로 구성된 촉매 구조물
KR20070041072A (ko) * 2005-10-14 2007-04-18 조종수 금속 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 및 이를 이용한 항균성 적층체의 제조방법
KR20090077530A (ko) * 2008-01-11 2009-07-15 광주과학기술원 모양 조절이 가능한 금 나노 입자의 합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366B1 (ko) * 1988-07-15 1999-01-15 알프레드 엘. 미첼슨 촉매물질을 포함한 일체화된 다공성 구조체로부터 형성된 촉매물질-담체로 구성된 촉매 구조물
KR20070041072A (ko) * 2005-10-14 2007-04-18 조종수 금속 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 및 이를 이용한 항균성 적층체의 제조방법
KR20090077530A (ko) * 2008-01-11 2009-07-15 광주과학기술원 모양 조절이 가능한 금 나노 입자의 합성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un Jv et al. Chemical communications, vol.46 no.42, pp.8017-8019 (2010.09.27.) *
Yun Jv et al. Chemical communications, vol.46 no.42, pp.8017-8019 (2010.09.27.)*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487A (ko) 2019-12-03 2021-06-1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금 나노입자 합성을 위한 미세 액적 기반 미세유체칩 및 이의 용도
KR20220126976A (ko) 2021-03-10 2022-09-19 주식회사 하이젠 솔루션 플라즈마 프로세스를 이용한 촉매의 제조방법
KR20220168627A (ko) 2021-06-16 2022-12-26 주식회사 하이젠 솔루션 플라즈마 프로세스를 이용한 촉매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452A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Long-term antibacterial stable reduced graphene oxide nanocomposites loaded with cuprous oxide nanoparticles
Kumar et al. Band gap tailoring of cauliflower-shaped CuO nanostructures by Zn doping for antibacterial applications
Ghaseminezhad et al. Evaluation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Ag/Fe3O4 nanocomposites synthesized using starch
Rafaie et al. Decoration of ZnO microstructures with Ag nanoparticles enhanced the catalytic photo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dye
Qin et al. Template‐free fabrication of Bi2O3 and (BiO) 2CO3 nanotubes and their application in water treatment
Lin et al. Micellar layer-by-layer synthesis of TiO2/Ag hybrid particles for bactericidal and photocatalytic activities
US20140377790A1 (en) Metal nanoparticle decorated carbon nanotub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Khudhair et al. Phosphotungstic acid immobilized onto ZnO coated zerovalent iron (Fe@ ZnO/PW) core/shell magnetic nanocomposite for enhanced photocatalytic bacterial inactivation under visible light
Wang et al. Iron oxide nanowires from bacteria biofilm as an efficient visible-light magnetic photocatalyst
Naghizadeh et al. Novel CoFe2O4@ ZnO-CeO2 ternary nanocomposite: Sonochemical green synthesis using Crataegus microphylla extract, characterization and their application in catalyt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Biswal et al. Short aspect ratio gold nanorods prepared using gamma radiation in the presence of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CTAB) as a directing agent
Mao et al. Effective loading of well-doped ZnO/Ag3PO4 nanohybrids on magnetic core via one step for promoting its photocatalytic antibacterial activity
Darroudi et al.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γ-irradiated silver nanoparticles in aqueous gelatin
Chang et al. Efficient synthesis of Ag/AgCl/W18O49 nanorods and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Anirudhan et al. Magnetically retrievable cysteine modified graphene oxide@ nickelferrite@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t for the effective degradation of chlorpyrifos from aqueous solutions
KR101336476B1 (ko) 금나노입자의 합성방법
Alenad et al. Visible light driven Ni doped hematite for photocatalytic reduction of noxious methylene blue
Londoño-Calderón et al. Cupric oxide nanoleaves for the oxidative degradation of methyl orange without heating or light
Zou et al. Photoinduced transformation of silver ion by molybdenum disulfide nanoflakes at environmentally relevant concentrations attenuates its toxicity to freshwater algae
JP6248875B2 (ja) 柱状集合体
Rajabi Photocatalytic activity of quantum dots
Tseng et al. Photocatalytic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mesoporous TiO2–Ag nanocomposite particles
Huang et al. Zn2SnO4 decorated SnS2 flower-like ball for enhance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tetracycline under visible irradiation: The role of Zn2SnO4 in photoinduced electrons transfer
Honetschlägerová et al. Enhanced colloidal stability of nanoscale zero valent iron particles in the presence of sodium silicate water glass
Wei et al. Calcium hydroxide coating on highly reactive nanoscale zero-valent iron for in situ remediation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