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223B1 -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223B1
KR101336223B1 KR1020070008525A KR20070008525A KR101336223B1 KR 101336223 B1 KR101336223 B1 KR 101336223B1 KR 1020070008525 A KR1020070008525 A KR 1020070008525A KR 20070008525 A KR20070008525 A KR 20070008525A KR 101336223 B1 KR101336223 B1 KR 101336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keypad
broadcast
broadcast chann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0422A (ko
Inventor
윤영화
전성익
김준환
이정연
황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223B1/ko
Priority to US11/836,934 priority patent/US20080184324A1/en
Priority to EP07116047.7A priority patent/EP1950955B1/en
Priority to CNA2007101928296A priority patent/CN101232590A/zh
Priority to CN201310160680.9A priority patent/CN103237184B/zh
Publication of KR20080070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422A/ko
Priority to US13/615,796 priority patent/US9686495B2/en
Priority to US13/966,041 priority patent/US948544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방송채널 선택용 GUI는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인터 및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가능한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가 나타나 있으며, 사용자는 키패드와 포인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송채널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숫자-버튼들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원하는 방송채널을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 원격제어장치에는 숫자-버튼들이 필요 없게 되어 원격제어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70008525
방송채널, 포인터, 키패드, GUI

Description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Method for providing GUI for selecting broadcast channel with key pad operated by pointer and broadcast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V와 리모콘의 상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e는, 도 3에 도시된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의 부연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블럭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TV 130 : GUI 생성부
150 : 제어부 200 : 리모콘
440 : 키패드 P : 포인터
본 발명은 방송채널 선택용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GUI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것이 TV이다. TV 사용자는 리모콘을 통해 원하는 방송채널을 입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모콘에 마련되어 있는 숫자-버튼들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원하는 방송채널을 입력하게 된다.
방송채널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된 숫자-버튼들로 인하여, 리모콘으의 크기는 비교적 크다. 하지만, 사용자는 크기가 작은 리모콘을 선호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숫자-버튼들이 없는 리모콘을 통해서도 원하는 방송채널을 입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숫자-버튼들이 없이도 원하는 방송채널을 입력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은,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인터 및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가능한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를 생성하여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와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입력한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번호키들 및 메이저 방송채널 번호와 마이너 방송채널 번호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가단계는, 상기 키패드를 디스플레이로 호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이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패드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가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특정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패드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에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조작은,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마련된 특정 버튼을 일정 시간 이내에 2번 누르는 조작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은, 채널 리스트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채널 리스트에 나열된 방송채널들 중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된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는, 공간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2차원적 움직임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는, 디스플레이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은, 상기 포인터 및 상기 키패드가 부가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국단계에서 선국된 방송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방송 수신부; GUI를 생성하여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는 GUI 생성부; 및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인터 및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가능한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와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입력한 방송채널이 선국되도록 상기 방송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번호키들 및 메이저 방송채널 번호와 마이너 방송채널 번호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를 디스플레이로 호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이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패드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특정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패드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특정 조작은,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마련된 특정 버튼을 일정 시간 이내에 2번 누르는 조작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채널 리스트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방송채널 리스트에 나열된 방송채널들 중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된 방송채널을 선국하도록 상기 방송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인터는, 공간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2차원적 움직임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는, 디스플레이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방송수신장치는, 상기 포인터 및 상기 키패드가 부가된 방송을 표시하고, 선국된 방송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수신 시스템은 방송수신장치의 일종인 TV(100)와 원격제어장치의 일종인 리모콘(200)으로 구축된다.
TV(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을 디스플레이(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리모콘(200)은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TV(100)로 전달하며, TV(100)는 전달받은 사용자의 조작 내용에 부합하는 기능과 동작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리모콘(200)에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리모콘(200)에는 1개 또는 2개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00) 앞면은 사용자에 의해 가상의 평면(Virtual Plane : VP) 상에서 이동된다. 즉, 리모콘(200) 앞면은 VP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예를 들면, 좌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즉, 리모콘(200) 앞면은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VP는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평행한 평면이다.
리모콘(200) 앞면이 VP 상에서 이동되면,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포인터(P)는 리모콘(200)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i) 사용자가 리모콘(200) 앞면을 VP 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인터(P)도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ii) 사용자가 리모콘(200) 앞면을 VP 상에서 좌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인터(P)도 좌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포인터(P)는 공간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의 2차원적 움직임에 의해 이동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VP와 TV(100)의 디스플레이(D)의 화면은 완전한 평행을 이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VP 역시 완전한 평면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이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은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불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불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TV(100)와 리모콘(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V(100)와 리모콘(2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00)은 이동 감지부(210), 송신부(220), 리모콘 제어부(230) 및 버튼 입력부(240)를 구비한다.
이동 감지부(210)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후술할 리모콘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이동 감지부(210)는 예를 들어, 2축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가능하다.
버튼 입력부(240)에는 전원-버튼, 채널-버튼, 볼륨-버튼, 선택-버튼 등이 마련된다.
리모콘 제어부(230)는 이동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결과를 통해 획득한 이동에 대한 정보(이동 방향, 이동 거리)를 송신부(220)를 통해 TV(100)에 전달한다. 또한, 리모콘 제어부(230)는 버튼 입력부(24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버튼에 대한 정보를 송신부(220)를 통해 TV(100)에 전달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100)는 방송 수신부(110), 방송 처리 부(120), GUI 생성부(130), 출력부(140), 제어부(150) 및 수신부(160)를 구비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방송채널들 중 어느 하나를 선국하여 복조한다. 방송 처리부(120)는 방송 수신부(110)에 의해 선국된 방송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신호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등의 방송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GUI 생성부(130)는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GUI를 생성하고, 생성한 GUI를 방송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방송에 부가한다.
출력부(140)는 GUI 생성부(130)에서 출력되는 GUI가 부가된 방송을 디스플레이(D)에 표시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외부 TV)로 출력한다.
제어부(150)는 수신부(160)를 통해 리모콘(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 내용(리모콘(200) 앞면의 이동, 버튼 누름)에 따라 TV(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방송 수신부(110)의 선국 동작, GUI 생성부(130)의 GUI 생성 동작 등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포인터(P)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 선택용 GUI가 제공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하며, 제공된 방송채널 선택용 GUI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채널을 선국하도록 방송 수신부(110)를 제어하는 바,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채널 리스트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S310-Y), 제어부(150)는 방송채널 리스트와 포인터(P)가 디스플레이(D)에 표시되도록 제어한 다(S315).
S310단계에서의 방송채널 리스트 표시 명령은,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버튼 입력부(240)에 마련된 채널-버튼을 1번 누르는 조작에 의해 입력가능하다.
S315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50)는 방송채널 리스트와 포인터(P)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한다.
S315단계 수행에 의해 방송채널 리스트(410)와 포인터(P)가 표시된 디스플레이(D)를 도 4a에 도시하였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채널 리스트(410)의 하부에는 키패드 아이콘(420)과 선호채널 아이콘(430)이 표시되어 있다.
키패드 아이콘(420)은 키패드를 디스플레이(D)로 호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이며, 선호채널 아이콘(430)은 선호 방송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D)로 호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이다.
포인터(P)에 의해 키패드 아이콘(420)이 선택되면(S320-Y), 제어부(150)는 키패드가 디스플레이(D)에 나타나도록 제어한다(S325).
S320단계에서의 선택은,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앞면을 VP 상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키패드 아이콘(420)을 지시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리모콘(200)의 버튼 입력부(240)에 마련된 선택-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가능하다.
S325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50)는 키패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한다.
S325단계 수행에 의해 방송채널 리스트(410)의 우측에 키패드(440)가 나타난 디스플레이(D)를 도 4b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440)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번호키들(1 ~ 0), 메이저 방송채널 번호와 마이너 방송채널 번호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키(-) 및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완료키(OK)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키들은 포인터(P)를 이용하여 선택가능하다.
도 4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키패드(440)의 상부에는 입력창(450)이 나타나 있다. 입력창(450)은 키패드(440) 상에서 포인터(P)에 의해 선택된 숫자(1 ~ 9)와 구분(-)이 표시되는 창이다. 도 4b에 도시된 입력창(450)에는 "16"이 나타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키패드(440)와 포인터(P)를 이용하여 숫자키 "1"과 숫자키 "6"을 선택하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가 키패드(440)와 포인터(P)를 이용하여 숫자키를 입력하는 중에, 방송채널 리스트(410)에 나열되는 방송채널들이 변경되도록 구현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방송채널 리스트(410)에는 사용자가 키패드(440)와 포인터(P)를 이용하여 입력한 숫자키가 지시하는 숫자로 시작되는 방송채널들만이 나타나도록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패드(440)와 포인터(P)를 이용하여 숫자키 "3"을 선택한 경우, 방송채널 리스트(410)에는 "3"으로 시작되는 방송채널들만이 나타나게 된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키패드(440)와 포인터(P)를 이용하여 숫자키 "3"을 선택한 경우, 방송채널 리스트(410)에는 "3"이 포함되어 있는 방송채널들(예를 들어, 13, 311, 73 등)만이 나타나도록 구현가능하다.
S325단계에서 표시된 키패드(440)와 포인터(P)를 이용하여 방송채널이 입력되면(S330), 제어부(150)는 입력된 방송채널이 선국되도록 방송 수신부(110)를 제 어한다(S335).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D)에는 S335단계에서 선국된 방송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이 표시되게 된다.
S330단계에서의 방송채널 입력은, 키패드(440)와 포인터(P)를 이용하여 방송채널이 입력된 후에, 1) 포인터(P)에 의해 키패드(440)에 구비된 입력완료키(OK)가 선택된 경우나, 2) 소정 시간 예를 들어, 2초 동안 포인터(P)에 의해 어떠한 키도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완료된다.
한편, S315단계 이후에 포인터(P)에 의해 선호채널 아이콘(430)이 선택되면(S320-N 및 S340-Y), 제어부(150)는 선호 방송채널 리스트가 디스플레이(D)에 나타나도록 제어한다(S345).
S340단계에서의 선택은,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앞면을 VP 상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선호채널 아이콘(430)을 지시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리모콘(200)의 버튼 입력부(240)에 마련된 선택-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가능하다.
S345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50)는 선호 방송채널 리스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한다.
S345단계 수행에 의해 방송채널 리스트(410)의 우측에 선호 방송채널 리스트(460)가 나타난 디스플레이(D)를 도 4d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 방송채널 리스트(460)에는 선호 방송채널들이 나열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포인터(P)를 이용하여 나열된 선호 방송채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S345단계에서 표시된 선호 방송채널 리스트(460)에 나열된 선호 방송채널들 중 어느 하나가 포인터(P)에 의해 선택되면(S350-Y), 제어부(150)는 선택된 선호 방송채널이 선국되도록 방송 수신부(110)를 제어한다(S335).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D)에는 S335단계에서 선국된 방송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이 표시되게 된다.
한편, S315단계에서 표시된 방송채널 리스트(410)에 나열된 방송채널들 중 어느 하나가 포인터(P)에 의해 선택되면(S320-N, S340-N 및 S355-Y), 제어부(150)는 선택된 방송채널이 선국되도록 방송 수신부(110)를 제어한다(S335).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D)에는 S335단계에서 선국된 방송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이 표시되게 된다.
다른 한편, 디스플레이(D)에 방송채널 리스트(410)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키패드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S310-N 및 S360-Y), 제어부(150)는 키패드(440)와 포인터(P)가 디스플레이(D)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65).
S360단계에서의 키패드 표시 명령은,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버튼 입력부(240)에 마련된 채널-버튼을 1초 이내에 2번 누르는 조작에 의해 입력가능하다.
S365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50)는 키패드(440)와 포인터(P)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한다.
S365단계 수행에 의해 키패드(440)와 포인터(P)가 표시된 디스플레이(D)를 도 4e에 도시하였다. 도 4e에 도시된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채널선택용 GUI에는 방송채널 리스트(410)가 나타나 있지 않았다는 점에서, 도 4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채널선택용 GUI와 차이가 있다.
S365단계에서 표시된 키패드(440)와 포인터(P)를 이용하여 방송채널이 입력 되면(S370-Y), 제어부(150)는 입력된 방송채널이 선국되도록 방송 수신부(110)를 제어한다(S335).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D)에는 S335단계에서 선국된 방송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이 표시되게 된다.
지금까지,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 선택용 GUI를 통해 선택된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과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는 물론,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선호 방송채널 리스트나 방송채널 리스트를 통해서도 방송채널 선택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수신장치로 TV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TV 이외의 방송수신장치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적용가능한 다른 방송수신장치로 STB(Set Top Box),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 수신장치, 방송수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 모듈이 내장된 포터블 기기(예를 들면, DMB 수신용 모듈이 내장된 모바일 폰) 등을 들 수 있다. 포터블 기기의 경우에는 리모콘이 아닌 터치패드를 통해 포인터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가능하다.
또한, 방송채널 선택용 GUI를 구성하는 포인터와 키패드는 반드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구현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된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키패드에 구비되는 키들도 도 4b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구현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에 방송채널 리스트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키패드를 표시시키기 위한 명령은, 리모콘에 마련된 채널-버튼을 1초 이내에 2번 누르는 조작에 의해 입력가능한 것으로 상정하였다. 여기서, 2번 조작이 이루어지는 시간 "1초"는 필요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또한, 리모콘에 마련된 특정 버튼을 특정 시간 이내에 2번 누르는 조작이 아닌 다른 조작(예를 들면, 리모콘에 마련된 키패드-버튼을 1번 누르는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방송채널 리스트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키패드를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방송 수신부(510), GUI 생성부(520) 및 제어부(530)를 구비한다.
방송 수신부(510)는 방송채널을 선국하고, GUI 생성부(520)는 GUI를 생성하여 표시될 영상에 부가한다. 제어부(530)는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인터 및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가능한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를 생성하여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5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30)는 사용자가 키패드와 포인터를 이용하여 입력한 방송채널이 선국되도록 방송 수신부(520)를 제어한다.
도 6에 도시된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에 따르면, 먼저 제어부(530)는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인터 및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가능한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를 생성하여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GUI 생 성부(510)를 제어한다(S610). 그리고, 제어부(530)는 사용자가 키패드와 포인터를 이용하여 입력한 방송채널이 선국되도록 방송 수신부(520)를 제어한다(S620).
이에 의해서도,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 선택용 GUI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통해 방송채널 선택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숫자-버튼들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원하는 방송채널을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 원격제어장치에는 숫자-버튼들이 필요 없게 되어 원격제어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8)

  1.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인터,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가능한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 및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와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입력한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리스트는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상기 키패드에서 선택된 숫자키에 대응하는 숫자로 시작되는 방송채널번호를 포함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번호키들 및 메이저 방송채널 번호와 마이너 방송채널 번호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키패드를 디스플레이로 호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이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패드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특정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패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작은,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마련된 특정 버튼을 일정 시간 이내에 2번 누르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리스트에 나열된 방송채널들 중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된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공간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2차원적 움직임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디스플레이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9. 삭제
  10.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방송 수신부;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인터,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가능한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 및 채널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와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입력한 방송채널이 선국되도록 상기 방송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리스트는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상기 키패드에서 선택된 숫자키에 대응하는 숫자로 시작되는 방송채널번호를 포함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번호키들 및 메이저 방송채널 번호와 마이너 방송채널 번호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호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이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패드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특정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패드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작은,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마련된 특정 버튼을 일정 시간 이내에 2번 누르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리스트에 나열된 방송채널들 중 상기 포인터에 의해 선택된 방송채널을 선국하도록 상기 방송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공간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2차원적 움직임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8. 삭제
KR1020070008525A 2007-01-26 2007-01-26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KR101336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525A KR101336223B1 (ko) 2007-01-26 2007-01-26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US11/836,934 US20080184324A1 (en) 2007-01-26 2007-08-10 Method for providing gui for selecting broadcast channel with keypad operated by pointer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ereof
EP07116047.7A EP1950955B1 (en) 2007-01-26 2007-09-10 Method for providing gui for selecting broadcast channel with keypad operated by pointer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ereof
CNA2007101928296A CN101232590A (zh) 2007-01-26 2007-11-20 提供选择广播频道的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广播接收设备
CN201310160680.9A CN103237184B (zh) 2007-01-26 2007-11-20 提供选择广播频道的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广播接收设备
US13/615,796 US9686495B2 (en) 2007-01-26 2012-09-14 Method for providing GUI for selecting broadcast channel with keypad operated by pointer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ereof
US13/966,041 US9485449B2 (en) 2007-01-26 2013-08-13 Method for providing GUI for selecting broadcast channel with keypad operated by pointer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525A KR101336223B1 (ko) 2007-01-26 2007-01-26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422A KR20080070422A (ko) 2008-07-30
KR101336223B1 true KR101336223B1 (ko) 2013-12-16

Family

ID=3922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525A KR101336223B1 (ko) 2007-01-26 2007-01-26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20080184324A1 (ko)
EP (1) EP1950955B1 (ko)
KR (1) KR101336223B1 (ko)
CN (2) CN1032371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223B1 (ko) * 2007-01-26 2013-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US8582957B2 (en) * 2008-09-22 2013-11-12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visually displaying recording timer information
US9357262B2 (en) 2008-09-30 2016-05-31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control of picture-in-picture windows
US8473979B2 (en) 2008-09-30 2013-06-25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adjustment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8572651B2 (en) 2008-09-22 2013-10-29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supplemental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US8763045B2 (en) 2008-09-30 2014-06-24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ustomer service features via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 television receiver
US8937687B2 (en) * 2008-09-30 2015-01-20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control of symbol-based features in a television receiver
US8793735B2 (en) 2008-09-30 2014-07-29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channel recall on a television receiver
US20100083319A1 (en) * 2008-09-30 2010-04-01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ting content in an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US8397262B2 (en) 2008-09-30 2013-03-12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control of user interface features in a television receiver
US9100614B2 (en) 2008-10-31 2015-08-04 Echostar Technologies L.L.C. Graphical interface navigation based on image element proximity
KR101527017B1 (ko) * 2008-12-22 2015-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채널 디스플레이 방법
EP2424731B1 (en) 2009-04-30 2014-01-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589179B1 (ko) * 2009-08-31 2016-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EP2337323A1 (en) * 2009-12-17 2011-06-22 NTT DoCoMo,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ac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screen
TW201128442A (en) * 2010-02-01 2011-08-16 Hwacom Systems Inc Text input method for television
WO2011102656A2 (en) * 2010-02-17 201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20130078514A (ko)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30080891A (ko) * 2012-01-06 2013-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23947B1 (ko) * 2012-03-19 2018-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104981A (zh) * 2013-04-01 2014-10-15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电视接收***
CN104349196A (zh) * 2013-08-07 2015-02-1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遥控器及使用遥控器控制设备的方法
CN103491405B (zh) * 2013-08-30 2018-06-0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遥控***、遥控器、显示设备及遥控方法
JP2015106763A (ja) * 2013-11-28 2015-06-0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ハイブリッドキャストデータ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ハイブリッドキャストデータ受信方法
KR20160109304A (ko) * 2015-03-10 201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EP3096514A1 (en) * 2015-05-22 2016-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apparatus
US10567694B2 (en) * 2015-05-27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f electronic apparatus
CN111641856A (zh) * 2020-05-22 2020-09-0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中引导用户操作的提示信息显示方法及显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2433A (ja) * 2003-06-18 2005-01-13 Innotech Corp 電子番組ガイドの画面操作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方法
EP1655953A1 (en) 2003-08-14 2006-05-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ser interface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A (en) * 1930-04-01 1935-07-23 Maul Michael Record controlled printing machine
US5539479A (en) * 1995-05-31 1996-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deo receiver display of cursor and menu overlaying video
US5737028A (en) 1995-11-01 1998-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vious channel listing with cursor controlled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video displays
US5889506A (en) * 1996-10-25 1999-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user's environment
US6215417B1 (en) * 1997-11-04 2001-04-10 Allen M. Krass Electronic equipment interface with command preselection indication
GB2332293A (en) * 1997-12-11 1999-06-16 British Telecomm An Input Device
JPH11327791A (ja) 1998-05-18 1999-11-30 Sony Corp 遠隔操作装置
US20050028206A1 (en) * 1998-06-04 2005-02-03 Imagictv, Inc. Digital interactive delivery system for TV/multimedia/internet
US6661472B2 (en) * 1998-09-30 2003-12-09 Sony Corporation Channel selection in digital television
US6766526B1 (en) * 1998-12-03 2004-07-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mart channel entry system
US6642939B1 (en) 1999-03-30 2003-11-04 Tivo, Inc. Multimedia schedule presentation system
CN1112822C (zh) 1999-07-22 2003-06-25 英业达集团(上海)电子技术有限公司 具有遥控功能的手机及其遥控功能处理方法
US6640337B1 (en) 1999-11-01 2003-10-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 television (DTV) including a smart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and operating methods therefor
US7228556B2 (en) * 1999-12-21 2007-06-05 Tivo Inc. Distributed,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and method
US6501516B1 (en) * 2000-06-16 2002-12-31 Intel Corporation Remotely controlling video display devices
WO2002021831A2 (en) * 2000-09-08 2002-03-14 Kargo, Inc. Video interaction
US7506350B2 (en) * 2001-02-28 2009-03-17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ying different types of searches in electronic program guide
US20020162108A1 (en) * 2001-03-30 2002-10-31 Catherine Lin-Hendel Interactive/ active electronic program/ content guide (IAEPG) with computer enhanced, web-wrapped user interfaces, programablility, and automated search, record, and present
AU2001297686A1 (en) * 2001-04-13 2002-10-28 Digeo, Inc. Personalized remote control for an interactive system
EP1435731A4 (en) * 2001-09-26 2008-12-31 Mitsubishi Electric Corp BROADCAST RECEIVER
US6724368B2 (en) * 2001-12-14 2004-04-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television receiver
JP2004173003A (ja) 2002-11-20 2004-06-17 Toshiba Corp 放送受信装置とコード信号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40261040A1 (en) * 2003-06-23 2004-12-2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 access control
JP2005269249A (ja) * 2004-03-18 2005-09-29 Orion Denki Kk リモコンガイド表示
WO2005109908A2 (en) * 2004-04-30 2005-11-17 Vulcan Inc. Maintain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state that is based on a selected piece of content
KR100639973B1 (ko) * 2004-11-30 2006-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입자 망에서 멀티캐스트 기반 ip tv 방송 서비스수신을 위한 방송 채널 정보 획득 및 등록 방법
JP2006245721A (ja) 2005-03-01 2006-09-14 Seiko Epson Corp 遠隔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並びに制御システム
US20060253874A1 (en) * 2005-04-01 2006-11-09 Vulcan Inc. Mobile interface for manipulating multimedia content
US20070157232A1 (en) * 2005-12-30 2007-07-05 Dunton Randy R User interface with software lensing
US8464295B2 (en) * 2006-10-03 2013-06-1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teractive search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KR101336223B1 (ko) * 2007-01-26 2013-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CN101681371B (zh) * 2007-05-15 2012-12-05 Tivo有限公司 多媒体内容搜索和记录安排***
US20110035774A1 (en) * 2009-08-07 2011-02-10 Echostar Technologies Llc Previously viewed channel quick b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2433A (ja) * 2003-06-18 2005-01-13 Innotech Corp 電子番組ガイドの画面操作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方法
EP1655953A1 (en) 2003-08-14 2006-05-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ser interface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422A (ko) 2008-07-30
EP1950955B1 (en) 2017-12-27
CN103237184A (zh) 2013-08-07
CN103237184B (zh) 2017-11-03
US20130002967A1 (en) 2013-01-03
EP1950955A2 (en) 2008-07-30
US9686495B2 (en) 2017-06-20
US20130329141A1 (en) 2013-12-12
US20080184324A1 (en) 2008-07-31
EP1950955A3 (en) 2008-12-10
CN101232590A (zh) 2008-07-30
US9485449B2 (en)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223B1 (ko)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KR101451271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14688B1 (ko)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
KR2014004690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 작방법
KR20140142054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92182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30026234A (ko) 영상표시장치와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128962A (ko)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
KR20080057082A (ko)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시스템, 그 제어방법
KR101411586B1 (ko) 방송 프로그램 선택을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av 기기
JP2010183438A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通信端末、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遠隔制御プログラム
JP4473739B2 (ja) 映像装置、及びそのメニュー操作方法
JP5184491B2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KR100864723B1 (ko) 방송채널 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방송수신장치
KR101359882B1 (ko)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599530B1 (ko)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KR101480890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99315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09889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4742177B1 (ja) 番組表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079596B1 (ko) 원격조정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원격제어방법
KR100742338B1 (ko) 채널을 네비게이션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1809045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20653A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80546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