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928B1 -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928B1
KR101333928B1 KR1020130058054A KR20130058054A KR101333928B1 KR 101333928 B1 KR101333928 B1 KR 101333928B1 KR 1020130058054 A KR1020130058054 A KR 1020130058054A KR 20130058054 A KR20130058054 A KR 20130058054A KR 101333928 B1 KR101333928 B1 KR 101333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isplay device
plate
fold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0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충연
Original Assignee
김충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연 filed Critical 김충연
Priority to KR1020130058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9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9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s. The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s comprises a fixing plate fixed to the ceiling surface of a car; a pair of guide rails installed to the fixing plate; a pair of guides slid along the guide rails; a moving plate detachable from a display device; a fixing hinge of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guid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moving plate; a lever of which one end is hinge-fixed to the fixing plate and the other end is hinge-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by the lever hinge attached to both ends, and which is foldable while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late slide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head injuries in a crash by solving the space limitation of a gate by maximally approaching the display device to the front glass of the car when the display device is extended, and to provide an effective space without damage to a screen by facing a plate for fixing the display device towards the rear surface instead of the screen when the display device is folded. [Reference numerals] (AA) Secure a large area;(BB) Boarding gat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좁은 공간, 특히 대형버스를 포함한 차량에 설치되는 LCD나 PDP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고 펼 수 있도록 구성하되 회전축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진되면서 최대한 차량의 전면유리 쪽에 가깝게 펼쳐지도록 하여 탑승구 주변에서의 공간을 최대로 확보함으로써 간섭에 의한 충돌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cradle of a display device, which is configured to fold and unfold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or a PDP TV installed in a vehicle including a narrow space, especially a large bus, while the rotating shaft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a sliding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stand of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unfolded close to the windshiel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collision due to interference by securing a maximum space around a gate.

현대생활에 있어 버스, 승용차 등의 차량은 단순한 운송수단의 개념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생활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다. In modern life, vehicles such as buses and cars can be perceived as an independent living space beyond the concept of transportation.

이러한 관점에서, 주행성이나 승차감과 같은 차량의 기술적인 사항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탑승자의 편의성과 안락성을 줄 수 있는 각종 편의장치의 제공이다.In view of this, one of the things that are as important as technical matters of a vehicle such as driving comfort and ride comfort is the provision of various convenience devices that can give the comfort and comfort of the occupant.

정보화시대인 현대에 이르러 장거리 여행이나 교통정체로 인하여 차량 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므로 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모니터를 설치하여 영화나 TV 프로그램 등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In modern information age, the amount of time spent in a vehicle increases due to long-distance travel or traffic congestion. Therefore, in order to use this time effectively, a monitor is installed in the vehicle to watch a movie or a TV program.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점차 늘고 있다.In other words, vehicles equipped with display devices are gradually increasing.

기존 CRT를 대체하기에 이른 LCD나 PDP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창치의 보급에 따라, 단순히 장식장 탁자에 세워지는 것을 넘어서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With the spread of display devices such as LCD and PDP TVs, which have been used to replace existing CRTs, the development of cradles for display devices that are fixed to ceilings or walls, rather than simply being built on a table, is being actively performed.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 제1999-0043589호, 등록실용 제0227372호, 등록실용 제0224719호, 등록실용 제0362224호, 등록실용 제0286371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As related arts, Patent Publication No. 1999-0043589, Registration Room No. 0227372, Registration No. 0224719, Registration No. 0362224, Registration No. 0286371, and the like are disclosed.

그런데, 버스나 소형 차량에서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나 승객의 움직임에 많은 제약을 줄 수 있다.However, a display device fixed to a ceiling or a wall in a narrow space such as a bus or a small vehicle may place a lot of restrictions on the movement of a driver or a passenger.

특히, 버스 혹은 고속버스의 경우, 운전석과 탑승구 사이의 차량 실내 전면 상측에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고, 대부분 고정형임은 물론 갈수록 대형화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때문에 운전사의 승하차시 혹은 승객의 승하차시, 그리고 검표원의 승하차시 간섭이 일어나 두부와 부딪히기 쉽고, 그로 인한 상해 사고가 유발될 소지가 매우 높아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us or a highway bus,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bove the front of the vehicle interior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boarding gate, and is mostly fixed and gets larger and larger due to the driver's getting on and off, or when getting on and off the passenger. When getting on and off, the interference is easy to hit the head,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ausing injury accidents, safety accidents occur frequently.

이를 개선한 예로, 상기 등록실용 제0286371호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예가 있다.As an improved example, there is an example configured to fold the display device as in the registration room No. 0286371.

하지만, 절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경우라도, 도 1의 예시와 같이 버스천정(B)에서 승객들의 좌석 쪽으로 돌출된 선단에 홀딩프레임(1)을 장착하고, 디스플레이 장치(A)를 앞에서 뒤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이기 때문에 도 1의 접이식구조의 단점이 있다면 접을 수 있는 구조이지만, 펼쳐져 있을 때는 역시나 디스플레이 장치가 승객쪽으로 가까이 오게 되고, 출입구에 가깝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승하차시 충돌위험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좁은 시야각과 활동공간이 좁아지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even with a foldable display device,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1, the holding frame 1 may be mounted at the tip protruding toward the passenger seat from the bus ceiling B, and the display device A may be folded back and forth. If the drawback of the folding structure of Figure 1 is a structure that is configured so that it is a collapsible structure, when it is unfolded, the display device also comes closer to the passengers, and protrudes close to the doorway, so the risk of collision when getting on and off remains intact, narrow viewing angle And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narrowing the activity spa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최대한 차량의 전면 유리측에 가깝게 펼쳐지도록 하여 탑승구와의 간격을 최대한 이격시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승객 승하차시 간섭을 없애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차량의 좁은 실내 공간, 특히 탑승구 주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was created to solve this problem. The display device is spread out as close to the front glass side of the vehicle as possible, so as to secure enough space by spaced apart from the boarding gate as much as possible. The main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foldable stand of a display device that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by eliminating interference when getting on and off, and to efficiently utilize the narrow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especially the space around the gate.

또한, 본 발명은 동력원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도 증대시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ing holder of a display device which also increases convenience for use by allowing the display device to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using a power source.

아울러, 차량뿐 아니라, 좁은 실내공간에서 실내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ing stand of a display device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the indoor space in a narrow interior space as well as a vehicle.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천정면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탈착되는 이동판; 일단은 상기 이동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xed plate fixed to the ceiling surface; A pair of guide rails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A pair of guides sliding along the guide rails; A moving plate o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and detached; One end is fixed to the moving plate, the other end is a fixed hinge fixed to each of the guide; provides a foldable holder of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여기에, 일단은 상기 고정판에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판의 배면 하단에 힌지고정되어, 상기 이동판을 접을 때 이동판의 상단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접혔다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Here, one end is hinged to the fixed plate,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the lever configured to be folded and unfolded while sliding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plate when folding the movable plate; It is also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이때,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의 각 양측단부에는 상호간에 링크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쇽업저버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both sides of each of the fixed plate and the mov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er is further installed to link with each other to cushion the impact.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고정되고, 상기 연결대는 동력원에 의해 힘을 받아 상기 가이드를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guides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rod, the connecting rod is also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slide the guide under the force of the power source.

뿐만 아니라, 상기 동력원은,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일직선상의 이동판 상단에 설치된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하거나 혹은 라인상으로 연결하는 타이밍벨트; 상기 타이밍벨트와 연결대를 상호 결속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ource, the drive motor fixed to the fixed plate; A drive pulley fix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A driven pulle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oving plate in a line with the driving pulley; A timing belt connecting the driving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or in a line; It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fixed pin for binding the timing belt and the connecting rod to each other.

아울러, 상기 동력원은,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일직선상의 이동판 상단에 고정된 고정브라켓; 일단은 상기 구동풀리에 감길 수 있도록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속되며 길이 일부는 연결대에 결속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ource, the drive motor fixed to the fixed plate; A drive pulley fix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A fixing bracket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movable plate in a line with the driving pulley; One end is fixed so as to be wound around the drive pulley, the other end is bound to the fixing bracket, and a length of the spring is bound to the connect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나아가, 상기 동력원은,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감속 모터; 상기 감속 모터의 회전축에 슬립되지 않게 고정된 축고정판; 상기 축고정판이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힌지에 고정된 동력전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Further, the power source, the reduction motor fixed to the fixed plate; A shaft fixing plate fix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reduction motor so as not to slip; The shaft fixing plate is fixed, and at the same time a power transmission plate fixed to the fixed hinge;

또한, 상기 고정판과 상기 가이드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이 더 설치되되,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고정판의 상단에 고정되고, 코일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탄성압축하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coil spring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guide, one end of the coil spring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late,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mpress elastically have.

그리고,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의 서로 대향하는 지점에는 상호 쇄정 및 해정이 가능한 후크형 결합구 혹은 영구자석 혹은 전자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호 결속될 수 있게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fixed plate and the moving plate facing each other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y type of hook-type coupler or permanent magnet or electromagnet that can be mutually locked and unlocked.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펼쳤을 때 최대한 벽면 내지 차량 전면유리 쪽에 근접 위치되게 함으로써 좁은 실내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특히 차량의 경우에는 탑승구의 공간 제약을 없애 승객 승하차시 머리 부딪힘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device is unfolded, the narrow indoor spac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by being located as close to the wall or the vehicle windshield as possible,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vehicl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space constraints of the boarding gate so that safety such as head bumps when getting on and off the passengers. You can prevent accidents.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어질 때 화면 쪽이 아닌 배면 쪽이 디스플레이 장치 고정용 플레이트를 향하게 되므로 화면 손상없이 효율적인 공간 창출에 기여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device is folded,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device, rather than the screen side, faces the display device fixing plate, thereby contributing to efficient space creation without screen damage.

아울러, 협소한 공간에서도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야각을 최대한 넓게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최대한 승객쪽에서 멀어지게 하여 활동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n a narrow space,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as wide as possible, 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as far away from the passenger as possible to secure an active spa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접이식 거치대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접이식 거치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접이식 거치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를 보이기 위해 접힌 상태로 디스플레이가 없는 상태에서 위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립상태를 보이기 위해 접힌 상태로 디스플레이가 없는 상태에서 위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제3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조립상태를 보이기 위해 접힌 상태로 디스플레이가 없는 상태에서 위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제3실시예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제4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조립상태를 보이기 위해 접힌 상태로 디스플레이가 없는 상태에서 위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 제4실시예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의 예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 제5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device folding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foldin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device folding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een from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display in a folded state to show the assembled state of FIG. 3.
5 is an exemplary view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guide rail and the guide in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from above with no display in a folded state to show the assembled state of FIG.
9 is an exemplary view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xemplary view from above with no display in a folded state to show the assembled state of FIG. 10.
12 is an exemplary view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emplary view from above with no display in a folded state to show the assembled state of FIG. 13.
15 and 16 are exemplary diagrams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to 19 show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은 좁은 실내공간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할 경우에 전반적으로 적용이 가능한데, 특히 대형버스에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은 대형버스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에서의 대형버스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에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applicable to the case of installing a display device in a narrow indoor space, and particularly useful in the case of a large bus,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large bus. However, the large bus in the following embodiment is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접이식 거치대는 고정판(100)을 포함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만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6은 추가적인 구성요소까지 도시된 상세도이다.2 to 6, the display device folding cra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late 100,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to 6 are detailed views showing further components.

본 발명 제1실시예는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디스플레이 장치(P)는 일반적으로 LCD나 PDP TV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DVD, 위성 TV, 지상파 디지탈 TV, 모니터, 노래방기기, DMB와 위성방송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그 화면의 크기가 30인치 이상이어서 크기도 상당하고 무게도 상당한 경우에 적용될 경우에 그 효과가 상당하다 할 것이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nable manual operation, and the display apparatus P may be generally an LCD or a PDP TV,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DVD, a satellite TV, a terrestrial digital TV, a monitor , Karaoke, DMB and satellite screens and the like. In particular, if the screen size is more than 30 inches, the size is significant and the weight is applied to the case that the effect is significant.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P)는 이동판(2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The display device P is detachably fixed to the moving plate 200.

아울러, 상기 고정판(100)은 버스 등 차량의 탑승구 인접 상측 천정면(C)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fixing plate 100 is fixed to the upper ceiling surface (C) adjacent to the gate of the vehicle, such as a bus.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P)가 펴졌을 때 도시와 같이 차량의 전면유리(G)와 아주 가깝게 위치되도록 배치되는데, 이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특징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P), 즉 이를 고정하고 있는 상기 이동판(200)이 상기 전면유리(G) 쪽으로부터 그 반대쪽인 승객들이 앉아 있는 좌석 쪽을 향해 접혀지면서 회동되는 형태로 접어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하여 탑승구 주변 공간을 최대한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device P is opened, the display device P is disposed to be located very close to the windshield G of the vehicle as shown in the drawing. This is according to the fea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movable plate 200 fixing the folding plate 200 is configured to be folded and unfolded so as to be folded and unfolded while being folded toward the seating area where passengers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windshield G side are seated. Because it can be widened.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P)가 펼쳐졌을 때 전면유리(G) 쪽으로 거의 붙은 상태로 펼쳐지기 때문에 기존처럼 승객쪽으로 튀어나오지 않아 탑승구에서 올라와서 승객좌석을 향해 움직일 때 그 상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간섭에 의한 충돌, 그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device P is unfolded, the display device P is almost unfolded toward the front glass G so that the upper space does not protrude toward the passenger as in the prior art and moves up toward the passenger seat. It can be secured enough to prevent collisions caused by interference and safety accidents.

이것은 거치대의 선단(승객 좌석 쪽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전면유리(G)를 향해 접어지고, 그 반대로 펼쳐짐으로 인해 탑승구와 운전석 사이의 상부공간을 디스플레이 장치(P)가 차지함으로써 협소공간을 연출했던 종래의 도 1과 같은 접이식 방식과는 달리, 거치대의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접어지고, 전면유리(G)에 최근접되게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펼쳐졌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P)가 위치하는 지점이 도시와 같이 거의 전면유리(G)에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도 3의 원형 점선으로 표시한 만큼 기존에 없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승하차시 디스플레이 장치(P)에 머리를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동시에 최대한 시야각을 넓히고 활동공간을 넓힐 수 있게 된다.This folds toward the windshield G at the tip of the cradle (protruding toward the passenger seat), and on the contrary, the display device P occupies the upper space between the gate and the driver's seat due to unfolding, thereby creating a narrow space. Unlike the folding method 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device P is almost positioned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it is folded toward the front end from the rear end of the cradle and unfolded close to the windshield G. Since it is located close to the front glass (G), as shown by the circular dotted line in Figure 3 it can be secured a space that has not existed in advance can completely eliminate safety accidents such as hitting the head to the display device (P) when getting on and off,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widen the viewing angle and the activity space as much as possible.

여기에서, 그러면 단순히 종래 폴딩 구조(도 1참조)를 가지고 방향만 바꾸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착각할 수 있으나, 고정판(100)의 노출된 판면, 즉 디스플레이 장치(P)가 접어지고 펼쳐질 때 화면이 바라보는 면은 고정 및 폴딩 구조를 갖추기 위한 각종 부품들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화면이 접혀지면서 부딪힐 경우 화면이 손상되거나 깨지는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단순히 방향만 바꾸어 접을 때 예상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고 획기적인 슬라이딩 접이식 방식을 개발함으로서 공간확보와 시야각 확대가 가능하다.Here, it may be mistaken that it can be easily realized by simply changing the orientation with the conventional folding structure (see FIG. 1), but the screen is exposed when the exposed plate surface of the fixed plate 100, that is, the display device P is folded and unfolded. Since the face is protruding from various parts for fixing and folding structure, if the screen is folded and hit, it causes serious problems such as damaging or breaking the scree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space and increase the viewing angle by developing a revolutionary sliding folding method.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접어질 때 디스플레이 장치(P)의 배면이 고정판(100)의 노출된 판면에 접촉되도록 하되, 펼쳐졌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P)의 위치가 전면유리(G)와 최근접되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탑승구 주변 공간을 충분히 넓힐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In view of this poin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P to be in contact with the exposed plate surface of the fixed plate 100 when folded, bu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P is unfolded when the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P is unfolded. It is configured to be close enough to the space around the gate by positioning the nearest.

이를 위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고정판(100)의 하면 양측에 도 2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레일(110)이 설치된다.To this end, in the cra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guide rails 11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0 as shown in FIG. 2.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10)에는 이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가이드(120)가 조립되는데, 상기 가이드(120)에는 고정힌지(130)가 구비된다.The guide rail 110 is assembled with a pair of guides 120 sliding along the guide rail 110, and the guide 120 is provided with a fixed hinge 130.

상기 고정힌지(130)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1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판(200)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판(200)을 상기 가이드(120)에 대해 회전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One end of the fixed hinge 130 is fixed to the guide 12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200 so that the movable plate 200 can be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guide 120. It is composed.

여기서의, 상기 이동판(200)은 도 2에서와 같이 제 1 측면프레임(260a) 및 제 2 측면프레임(26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측면프레임(260a)과 제 2 측면프레임(260b)은 ㄷ자 형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수용부의 폭, 길이 또는 형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나 두께, 형상이 변경됨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프레임(260a) 및 제 2 측면프레임(260b)은 상기 가로프레임(265)에 의해 연결된다. 가로프레임(265)은 상기 제 1 측면프레임 및 제 2 측면프레임과 나사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측면프레임(260a, 260b)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moving plate 200 may include a first side frame 260a and a second side frame 260b as shown in FIG. 2. The first side frame 260a and the second side frame 260b are U-shaped and fixed to the side of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width, length, or shape of the display device accommodating part is changed as the size, thickness, or shape of the display device changes.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e first side frame 260a and the second side frame 260b are connected by the horizontal frame 265. The horizontal frame 265 may be screwed and fixed to the first side frame and the second side fram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frames 260a and 260b.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단순히 가이드(12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와 상호 결합할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가이드의 하부면에 다양한 문양의 돌기를 형성시키고, 가이드레일(110)에는 이를 삽입시킬 수 있는 가이드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을 형성시킬 수도 있고, 또는 가이드(120)와 가이드레일(110)이 기어에 의해 맞물려진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rail 11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guide so that the guide 120 is simply sliding. That is, the projections of various patterns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and the guide rail 1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into which the guide rail 110 can be inserted, or the guide 120 and the guide. The rail 110 may also be manufactured in a form engaged with the gear.

도 6은 가이드와 가이드레일의 일변형예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고정판(100)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 하우징(111)과, 상기 가이드레일 하우징(111) 내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 본체(112)를 포함한다.6 is a variation of the guide and the guide rail. As illustrated in FIG. 6, the guide rail 110 includes a guide rail housing 111 fixed to the fixing plate 100 and a guide rail body 112 fixed inside the guide rail housing 111.

즉, 상기 가이드레일 하우징(111)에는 상기 가이드레일 본체(112)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레일 하우징(111)의 양 측면에는 하우징 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guide rail body 112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housing 111, and a housing groove 113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rail housing 111.

상기 하우징 홈(113)은 가이드레일 본체(112)의 양 측면에 구비된 볼 베어링(114)이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볼 베어링(114)이 상기 하우징 홈(113)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housing groove 113 may be seated ball bearings 114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body 112, so that the ball bearing 114 can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housing groove 113 do.

그리고, 상기 볼 베어링(114)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볼 베어링(114)과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본체(112)는 상기 가이드레일 하우징(111) 내에서 일정거리 왕복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rail body 112 coupled to the ball bearing 114 by the movement of the ball bearing 114 may reciprocate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guide rail housing 111.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 하우징(111)에는 슬라이드레일(116)이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레일(116)은 하우징홈(113)을 따라 일정거리 왕복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 rail 116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housing 111, the slide rail 116 may reciprocate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housing groove 113.

이때, 볼 베어링(114)은 원활한 구름 작용을 돕는다.At this time, the ball bearing 114 helps smooth rolling action.

특히, 상기 가이드레일 본체(112)는 상기 슬라이드레일(116)이 이동할 수 있도록 단선(單線)의 레일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레일(116)과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드레일(116)의 일정거리 왕복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 본체(112)는 삽입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115) 내측에는 다수의 볼 베어링(114)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볼 베어링(114)은 상기 가이드레일 본체(112)의 삽입홀(115)에 결합된다.In particular, the guide rail main body 112 may have a rail shape of a single line so that the slide rail 116 can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slide rail 116 in combination with the slide rail 116 It can induce reciprocating motion. In this case, the guide rail body 112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115. A plurality of ball bearings 114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sertion hole 115, and the ball bearing 114 is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115 of the guide rail body 112.

상기 슬라이드레일(116)은 상기 가이드레일 본체(112)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 본체(112)를 따라 일정거리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레일(116)의 양단에는 볼 베어링(114)의 내면과 결합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117)가 형성되어 있다. 볼 베어링(114)의 내면은 가이드레일 하우징(111)에 형성된 하우징 홈(113)과 결합하고, 외면은 끼움돌기(117)와 결합하게 된다.The slide rail 116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rail body 112 to be able to reciprocate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guide rail body 112. Here, both ends of the slide rail 116 is provided with fitting projections 117 to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ll bearing 114. The inner surface of the ball bearing 114 is coupled to the housing groove 113 formed in the guide rail housing 111, the outer surface is coupled to the fitting protrusion 117.

상기 슬라이드레일(116)은 가이드브라켓(118)의 하단면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118)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의 고정 방법은 제한이 없으며, 용접 또는 볼트와 너트 체결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레일(116)은 상기 가이드브라켓(118)의 직선 왕복운동을 상기 가이드레일 본체(112) 및 가이드레일 하우징(111)에 전달해주고, 상기한 구성에 의해 전달된 슬라이드레일(116)의 직선 왕복운동은 상기 가이드브라켓(118)에 고정된 가이드(120) 및 상기 가이드(120)에 고정된 고정힌지(130)를 중심으로 이동판(200)이 슬라이드 운동을 하면서 일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slide rail 116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bracket 118, i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guide bracket 118. The fixing method herein is not limited, and a welding or bolt and nut fastening method may be used. The slide rail 116 transmit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guide bracket 118 to the guide rail body 112 and the guide rail housing 111, and the straight line of the slide rail 116 transmitted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eciprocating motion is such that the movable plate 200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the slide 120 moves around the guide 120 fixed to the guide bracket 118 and the fixed hinge 130 fixed to the guide 120. can do.

또한, 상기 끼움돌기(117)는 상기 가이드레일 본체(112)의 삽입홀(115)과 부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홀(115)에 구비된 볼 베어링(114)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삽입홀(115) 내측에서 상기 슬라이드레일(116)이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tting protrusion 117 is configured in a shape that is matched with the insertion hole 115 of the guide rail body 112, it is fitted to the ball bearing 114 provided in the insertion hole 115 is inserted The slide rail 116 may be configured to linearly reciprocate in the hole 115.

아울러, 상기 가이드(120)는 양쪽에 있는 두 개의 가이드(120)가 상호간에 움직이는 힘의 균형을 맞추고, 아울러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해 가이드(120)들 상호간은 연결대(122)를 통해 상호 연결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120 is a balance between the movement of the two guides 120 on both sides of each other, and also for the smooth sliding of the guides 12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rod 122 for smooth sliding. have.

한편, 상기 고정판(100)의 노출된 판면 후단과 상기 이동판(200)의 배면 사이에는 양단이 각각 레버힌지(310)가 고정된 레버(30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exposed plate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200, the lever 300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lever hinge 310 is installed.

레버힌지(310)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차량의 운전시 차량의 흔들림이나 떨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힌지의 진동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스프링(311)이 삽입된 힌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311)은 레버힌지(310)의 일측과 타측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스프링(311)은 레버힌지(310)의 양 측면을 눌러서 차량의 흔들림이나 떨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힌지의 진동 소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이 삽입된 레버힌지(310)의 일예가 도 4의 (b)에 도시되어 있다.The type of the lever hinge 3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order to prevent the vibration noise of the hinge caused by the shaking or shaking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the vehicl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hinge with the spring 311 inserted therein. desirable. The spring 311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preven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ever hinge 310 from vibrating. That is, the spring 311 serves to prevent the vibration noise of the hinge caused by the shaking or tremor of the vehicle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lever hinge 310. One example of the lever hinge 310 with the spring is shown in Figure 4 (b).

이때, 상기 레버(300)의 위치는 도 4와 같이 상기 연결대(120)가 최대로 후퇴했을 때 레버(300)는 완전히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다른 구조 부품들과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lever 300 should be designed so that mutual interference with other structural parts is not generated because the lever 300 is completely laid down when the connecting rod 120 is fully retracted as shown in FIG. 4. Of course.

한편, 상기 고정판(100)의 양측단부에는 한 쌍의 쇽업저버(4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쇽업저버(400)는 스프링, 오일, 에어, 가스 등 다양한 매개체를 진공용기속에 넣어 압축/반발력으로 쿠션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10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shock absorber 400. The shock absorb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o cushion various pressures such as spring, oil, air, and gas into a vacuum container to compress / rebound.

상기 쇽업저버(400)는 이동판(200)이 접어질 때나 펴질 때 완충기능을 담당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운행중 차량진동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진동소음을 방지하며, 접히고 펴질 때 급속한 낙하속도를 제어하여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쇽업저버(400)의 일단은 이동판(200) 상에 링크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판(100) 상에 링크된다.The shock absorber 400 is to be responsible for the cushioning function when the moving plate 200 is folded or unfolded, to prevent shaking by vehicle vibration during driving, to prevent vibration noise, and to fall rapidly when folded and unfolded. The purpose is to prevent the impact by controlling the speed. One end of the shock absorber 400 is linked on the movable plate 200, and the other end is linked on the fixed plate 100.

따라서, 상기 이동판(200)은 고정판(100)에 대해 슬라이딩될 때 쇽업저버(400)의 압축/반발력의 작용으로 아주 원활하고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movable plate 200 can move very smoothly and smoothly by the action of the compression / repulsion force of the shock absorber 400 when sliding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100.

덧붙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판(200)이 고정판(100) 쪽으로 접어졌을 때 들뜨거나 다시 펼쳐지지 않도록 홈과 돌기의 결합구조를 갖출 수도 있고, 혹은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을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movable plate 20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structure of a groove and a protrusion so as not to be lifted or unfolded when the movable plate 200 is folded toward the fixed plate 100, or a permanent magnet or an electromagnet may be used.

또한 모터의 유격이나 조립오차에 의해 미세한 틈새이격에 따른 차량진동잡음을 방지하고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한 이동판이 움직이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결합구조를 추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d various coupling structure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vehicle vibration noise caused by minute clearance gap due to motor clearance or assembly error, preventing moving plate from moving or falling due to impact or shaking, and preventing vibration noise. .

다만, 이러한 고정판(100)과 이동판(200)의 결합 또는 해제를 위한 체결구조 및 방법은 본 발명이 기술사상을 구현하는데 있어 부수적인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시 설명을 생략했을 뿐이다.
However, the fasten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upling or releasing the fixed plate 100 and the movable plate 200 are omitted in detail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is ancillary in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operational relationship.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대형버스에 설치된 것으로 가정하고, 도 3의 (a)와 같이 펼쳐져 있는 상태를 전제로 설명을 하되, 본 발명의 범위가 버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Prior to th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large bus, and described on the premise of an unfolded state as shown in FIG. 3A,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us.

도시된 예는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디스플레이 장치(P)를 시청하기 알맞은 각도, 이를 테면 20-25°,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22°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 것을 보여 준다.The illustrated example shows that a passenger on board the bus has been inclined at a suitable angle for viewing the display device P, such as 20-25 °, particularly preferably 22 °.

이 상태를 유지한 채 버스 내부에 설치될 경우, 기존과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P)가 펼쳐졌을 때 거의 전면유리(G) 쪽으로 가깝게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구쪽 상부 공간과 디스플레이 장치(P) 간에는 상당한 거리가 유지되어 공간이 형성되므로 탑승구를 통해 승하차하는 승객은 물론, 운전석으로 출입하는 운전사, 검표원 등 관련 기관 사람들의 행동반경(동선)과 디스플레이 장치(P)가 간섭되지 않게 되어 이들의 활동시 충돌, 접촉 등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In the case of being installed inside the bus while maintaining this state, a considerabl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pace of the boarding gate and the display device P is moved since the display device P is almost moved toward the windshield G when the display device P is unfolded. Since the space is formed and the passengers who get on and off through the gates, as well as the driver's entrance to the driver's seat, the ticket counter, and the people's behavior radius (line) and the display device (P) do not interfere, Safety accidents due to contact or the like do not occur.

이와 같이 유지되다가 필요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P)를 접고자 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P)가 장착된 이동판(200)의 하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P)의 하단을 잡고 전면유리(G) 쪽으로 밀어 준다. 즉, 디스플레이장치(P)의 후면방향으로 힘을 가해 준다.In this case, when the display device P is to be folded as necessary,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plate 200 on which the display device P is mounted or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device P is held toward the front glass G. Push. That is, a force is applied to the rear direc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P.

그러면, 레버(300)가 폴딩다운되면서 그 힘이 이동판(200)을 통해 이동판(200)의 회전중심인 고정힌지(130) 쪽으로 집중되고, 고정힌지(130)는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120) 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가이드(120)가 가이드레일(110)을 타고 받은 힘을 상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이동판이 슬라이드 운동을 하면서 접히거나 펴지게 된다.Then, as the lever 300 is folded down, the force is concentrated toward the fixed hinge 130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moving plate 200 through the moving plate 200, and the fixed hinge 130 is slidable guide 120. Since the guide 120 is moved in a direction that can cancel the force received on the guide rail 110, the movable plate is folded or unfolded while the slide movement.

때문에, 도 3의 (a)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200)은 레버(300)가 연결된 레버힌지(310)와, 고정힌지(130) 이 두 지점이 서로 평행이동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려고 하지만, 가이드(120)가 가이드레일(110)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회전되지 못하고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이동판(200)의 상단은 승객쪽을 향하여 이동하고, 이동판(200)의 하단은 전면유리(G)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P)가 슬라이드 운동을 하면서 승객의 반대방향으로 접히게 된다.Therefore, as indicated by the arrows in FIG. 3A, the moving plate 200 has the lever hinge 310 to which the lever 300 is connected, and the fixed hinge 130, the two points move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However, the guide 120 is constrained by the guide rails 110, but cannot be rotated, and thus the upper end of the moving plate 200 moves toward the passenger while moving linearly along the guide rails 110. The lower end of the 200 is moved toward the windshield G. That is, the display device P is fol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assenger while the slide movement.

이와 같은 이동이 완료되면 결국, 도 3의 (b)와 같은 형태로 이동판(200)은 고정판(100)의 하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접어지게 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P)의 화면은 하방향을 향하게 되므로 고정판(100)의 판면과 접촉되는 부분은 결국 이동판(20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장치(P)의 배면이 된다.When such a movement is completed, the moving plate 200 is folded in a form of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plate 100 in the form as shown in FIG. 3 (b), and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P is directed downward. Since th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plate surface of the fixed plate 100 is eventually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P) fixed to the moving plate 200.

반대로 디스플레이장치(P)를 펼때는 이동판(200)의 끝이나 디스플레이장치(P)의 끝을 잡아당겨서 접을 때의 동작을 역으로 실행하면 전과 같은 원리로 펴지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display device P is opened, the operation of folding the display plate P by pulling the end of the moving plate 200 or the end of the display device P is reversed.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P)을 펼치고 접었을 때 그 화면이 고정판(100)과 접촉될 일은 없게 되므로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상 편의성은 물론 장수명화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접힌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when the display device P is unfolded and folded, the screen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100, so that no breakage or damage occurs, thereby achieving convenience in use and long lif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watch the image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folded stat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었다.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is shown in FIGS. 7 to 9.

본 발명 제2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P)가 장착된 이동판(200)을 고정판(100)에 대해 자동으로 펼치고 접을 수 있도록 변형된 것이므로 펼치고 접기 위한 제어 흐름만 다를 뿐 폴딩과 관련된 기본 개념과 동작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Sinc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to automatically expand and fold the movable plate 200 equipped with the display device P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100, the basic concept related to folding is different from the control flow for expanding and folding. The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본 발명 제2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동력원(M)을 포함하는데, 상기 동력원(M)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로서 강력한 회전력의 감속모터가 바람직하다.In order to implement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ource (M), the power source (M) is a drive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s preferably a deceleration motor of a strong rotational force.

구동모터 동력원(M)을 고정판(10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모터케이스(MC)를 추가로 설치하여 동력원을 보호하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In order to firmly fix the driving motor power source M to the fixed plate 100, the motor case MC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to securely fix the power source while protecting the power source.

상기 동력원(M)은 고정판(100) 상에 고정되고, 동력원(M)의 회전축에는 구동풀리(P1)가 고정된다.The power source (M) is fixed on the fixed plate 100, the drive pulley (P1)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power source (M).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P1)와 일직선상의 이동판(200) 배면 상단부에는 종동풀리(P2)가 고정되며, 상기 구동풀리(P1)와 종동풀리(P2)는 타이밍벨트(T)에 의해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의 타이밍벨트는 타이밍벨트 뿐 아니라 체인, 기어폴리등과 같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In addition, a driven pulley P2 is fix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200 in a line with the driving pulley P1, and the driving pulley P1 and the driven pulley P2 are infinitely orbited by a timing belt T. Connected in the form of Timing belt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such as a chain, gear pulley, as well as the timing belt.

아울러, 상기 타이밍벨트(T)의 길이 일부에는 고정핀(P3)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핀(P3)은 연결대(122)의 일부와 연결 고정된다. 이때 고정핀(P3)의 형상이나 구조는 볼트, 너트, 브라켓체결, 리벳압착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length of the timing belt (T)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P3), the fixing pin (P3) is fixed and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connecting table (122). At this time,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fixing pin (P3) can be variously changed, such as bolts, nuts, bracket fastening, rivet compression.

때문에, 상기 동력원(M)이 구동되면 상기 타이밍벨트(T)는 구동풀리(P1)와 종동풀리(P2)를 오가면서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데, 이때 타이밍벨트(T)의 일부가 고정핀(P3)을 통해 연결대(122)와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구동력은 연결대(122)를 밀어 올리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타이밍벨트(T)는 고정핀(P3)에 의해 연결대와 견고하게 고정되어 무한궤도운동시에 출렁거리거나 휨이 없이 슬라이드레이을 따라 일적선 운동을 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ower source (M) is driven, the timing belt (T) rotates in an orbital form while moving between the drive pulley (P1) and the driven pulley (P2), wherein a portion of the timing belt (T) is fixed pin ( Since it is fixed with the connecting rod 122 through P3), the driving force acts as a force to push up the connecting rod 122. At this time, the timing belt (T) is firmly fixed to the connecting rod by the fixing pin (P3) to perform a single line movement along the slide ray without rocking or bending during endless track movement.

이 힘은 연결대(122)이 양단에 구비된 고정힌지(130)로 전달되고, 고정힌지(130)는 가이드(1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유일하게 움직일 수 있는 수단인 가이드(120)가 그 힘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This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ixed hinge 13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table 122, the fixed hinge 130 is fixed to the guide 120, after all, the guide 120 that is the only means to move the The guide rail 110 is moved along the direction of canceling the force.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이동판(200)을 고정판(100)에 대해 슬라이드 운동을 하면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된다.By this principle, the movable plate 200 can be folded or unfolded while the slide plate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100.

한편, 이동판(200)을 펼칠 때에는 상술한 반대 동작으로 수행하면 되지만, 동작의 원활성을 갖추기 위해 코일스프링(5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unfolding the moving plate 200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operation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nsure the smooth operation of the coil spring 500 may be further provided.

코일스프링(500)은 상기 이동판(200)을 항상 접을 수 있는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일단은 가이드(120)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판(1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The coil spring 50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late 200 is always compressed in a foldable direction. For this purpose, one end is fixed to the guide 1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late 100. Can be fixed.

그러면, 코일스프링(500)의 탄성력은 이동판(200)을 펼쳤다 접을 때 코일스프링(500)의 인장력에 의해 더욱 쉽게 접을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Then,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500 acts to be more easily folded by the tension force of the coil spring 500 when the movable plate 200 is extended and folded.

이때, 코일스프링(500)은 그 역할을 대신하는 대체방법으로 변경가능하다. 예를들어, 유압피스톤, 가스쇼바, 에어압력스프링 등 압축/팽창 반발력을 응용한 방법으로 코일스프링(500)을 대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il spring 500 can be changed in an alternative way to take its role. For example, the coil spring 500 may be replaced by a method in which compression / expansion repulsive force is applied, such as a hydraulic piston, a gas shock bar, and an air pressure spring.

뿐만 아니라, 도 9와 같이 연결대(122)와 접촉하면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1,2리미트스위치(L1,L2)를 더 구비한다면 상기 동력원(M)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테면, 동력원(M)의 구동과 정지, 방향전환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얻을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토대로 동력원(M)의 구동을 제어부(미도시, 통상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L1, L2) which can perform a switching function whil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table 122 as shown in FIG. 9 it can be more efficiently controlled the power source (M) will be. For example, a control signal related to driving, stopping, and direction change of the power source M may be obtained, and a controller (not shown, usually a microprocessor)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ower source M based on thi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제2실시예 이후의 실시예)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원격조작이 가능한 원격조절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인 리모콘이나 유선으로 길게 연결된 조작스위치를 의미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folding holder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after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 remote control terminal capable of remote operation by wire or wireless. This means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or wired operation switch connected long,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고정판이나 모터케이스(MC) 일부 위치에 동력원(M)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PS) 및 모터작동스위치(MS)를 설치할 수도 있다(도 14참조).
A power switch PS and a motor operation switch MS for operating the power source M may be installed at a part of the fixed plate or the motor case MC (see FIG. 14).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었다.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is shown in FIGS. 10 to 12.

본 발명 제3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P)가 장착된 이동판(200)을 고정판(100)에 대해 자동으로 펼치고 접을 수 있도록 변형된 것이므로 펼치고 접기 위한 제어 흐름만 다를 뿐 폴딩과 관련된 기본 개념과 동작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able plate 200 on which the display device P is mounted is deformed to be automatically expanded and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100, the basic concept related to folding is different from the control flow for expanding and folding. The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다만, 본 발명 제3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를 구성한 타이밍벨트 대신 태엽스프링(S)을 사용한 것이므로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ring spring S is used instead of the timing belt of the second embodiment, only the modified part will be described.

상기 태엽스프링(S)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은 스파이어럴 스프링으로서 시계태엽, 줄자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태엽스프링(S)은 신축성 없는 철선이나 벨트 등과 같이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spring spring (S) is used as a clock spring, tape measure, etc. as a spiral spring as is well known, the spring spring (S) in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role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wire or belt without elasticity It includes what you can do.

이때, 태엽스프링(S)의 일단은 도 10과 같이, 고정브라켓(B1)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P)의 배면 혹은 더 바람직하게 이동판(200)의 배면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spring spring (S) may be fix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P) or more preferably the top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200 through the fixing bracket (B1) as shown in FIG.

그리고, 태엽스프링(S)의 타단은 도 12와 같이, 동력원(M)의 구동풀리(P1)에 구비된 태엽끼움홈(V1)에 끼워진 다음 태엽고정공(B2)를 통해 볼트 체결됨으로써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spring (S), as shown in Figure 12, is fitted into the spring fitting groove (V1) provided in the drive pulley (P1) of the power source (M) and then firmly fixed by bolted through the spring fixing hole (B2) Can be.

이 때, 동력원(M)이 정지했을 때, 태엽스프링(S)이 스스로 풀리거나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줄자케이스처럼 태엽스프링을 보호해주는 케이스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ower source (M) is stopped, the spring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to protect the spring, such as a tape measure to prevent the spring (S) from loosening or winding itself.

이 상태에서, 동력원(M)이 회전동작되면 태엽스프링(S)이 감기거나 풀리면서 이동판(200)에 힘이 가해지므로 이동판(200)이 움직이려고 하게 되고, 그 힘은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힌지(130) 쪽에 작용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고정판(100)에 대한 이동판(200)이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접히거나 펴지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power source M is rotated, the moving spring 200 is applied to the moving plate 200 while the spring spring S is wound or unwound, so that the moving plate 200 tries to move, and the force is eventually as described above. The sam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made by acting on the fixed hinge 130, the movable plate 200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100 is folded or unfolded while sliding movement.

이 때, 이동판(200)에 조립된 디스플레이 장치(P)의 무게와 숍업저버(400)의 압축/반발력의 힘이 가해짐에 따라 펼때는 중력 작용까지 합쳐져서 더욱 쉽게 펼칠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weight of the display device P assembled to the moving plate 200 and the force of the compression / repulsion force of the shop absorber 400 are applied, the gravity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combined to expand more easily.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내었다.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is shown in FIGS. 13 to 16.

본 발명 제4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P)가 장착된 이동판(200)을 고정판(100)에 대해 자동으로 펼치고 접을 수 있도록 변형된 것이므로 펼치고 접기 위한 제어 흐름만 다를 뿐 폴딩과 관련된 기본 개념과 동작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Since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to automatically expand and fold the movable plate 200 equipped with the display device P with respect to the stationary plate 100, the basic concept related to folding is different from the control flow for expanding and folding. The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다만, 본 발명 제4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를 구성한 타이밍벨트 대신 동력원(M)을 직접 레버(300)에 연결한 것이므로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er source M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ever 300 instead of the timing belt of the second embodiment, only the modified part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 제4실시예에서는 도 16의 예와 같이, 상기 동력원(M)으로 감속모터를 구비하여 일정 방향(고정판과 이동판이 형성하는 각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동력원(M)을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example of FIG. 16, the power source M is provided with a reduction motor to operate the power source M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ngle formed by the fixed plate and the moving plate increases or decreases). Can be configured to

이때, 도 16과 같이, 동력원(M)의 회전축(272a)은 레버(3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동력원(M)의 동력은 상기 회전축(272a)을 통하여 상기 레버(300)에 전달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16, the rotating shaft 272a of the power source (M)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ever 300,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M) is transmitted to the lever 300 through the rotating shaft (272a). Can be.

상기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동력원(M)은 상기 회전축(272a)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272a)은 축고정판(323)의 안착홈(323a)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ower source M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rotation shaft 272a, and the rotation shaft 272a may be seated and fixed in the seating groove 323a of the shaft fixing plate 323. .

그리고, 상기 회전축(272a)의 일측에는 평탄면(272b)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평탄면(272b)은 상기 회전축(272a)이 상기 안착홈(323a)에 안착되어 상기 동력원(M)의 회전 동력이 전달될 때, 상기 회전축(272a)이 상기 안착홈(323a) 내에서 공회전하지 않도록 덮개(321)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In addition, a flat surface 272b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272a, and the flat surface 272b may be rotated by the mounting shaft 272a by the seating groove 323a to rotate the power source M. FIG. When power is transmitted, the rotation shaft 272a is tightly fixed by the cover 321 so as not to idle in the seating groove 323a.

또한, 축고정판(323)은 상기 레버(300)의 하단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레버(300)의 상단면은 레버힌지(310)와 결합되며, 레버힌지(310)는 이동판(200)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shaft fixing plate 323 is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ever 300, the top surface of the lever 300 is coupled to the lever hinge 310, the lever hinge 310 is the moving plate 200 Is fixed to.

이에 따라, 상기 동력원(M)의 동력은 회전축(272a)을 회전운동시키고, 상기 회전축(272a)의 회전운동은 상기 레버(300)에 전달되며, 레버(300)는 회전축(272a)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운동을 하며, 그 회전력은 레버힌지(310)를 통해 이동판(200)에 전달된다.Accordingly,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M) rotates the rotary shaft 272a,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shaft 272a is transmitted to the lever 300, the lever 300 is about the rotary shaft 272a Rotational movement within a range of a certain angle,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oving plate 200 through the lever hinge 310.

또한 이동판(200)에 전달된 힘은 이동판(200)을 아래, 위로 움직이게 하며, 이동판(200)이 고정힌지(130)를 중심으로 펴지거나, 접히면서 슬라이드 운동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moving plate 200 causes the moving plate 200 to move up and down, and the moving plate 200 extends around the fixed hinge 130 or folds while sliding.

또한 레버(300)에 가해진 회전력으로 이동판(200)이 슬라이드 운동으로 바뀔 때 동력원(M)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고정판(100)과 가이드(120) 사이에 연결된 코일스프링의 인장력이 당기는 힘으로 이동판(200)이 더욱 쉽게 접힐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ling force of the coil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fixed plate 100 and the guide 120 so as not to apply an excessive force to the power source (M) when the moving plate 200 is changed to the slide movement by the rotation force applied to the lever 300 The movable plate 200 can be more easily folded.

이러한 본 발명 제4실시예는 동력원(M)의 회전축(272a)이 상기 레버(300)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하였으나, 그 결합방법과 결합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otating shaft 272a of the power source M is directly coupled to the lever 300, the coupling method and the coupling structure may be changed in various forms. no.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는 상술한 제2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 17 내지 도 17에 나타내었다. 특히, 도 18은 도 17에서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a)와 접힌 상태(b)에서의 타이밍벨트 부분만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ification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and is shown in FIGS. 17 to 17. In particular, FIG. 18 illustrates only the timing belt part in the extended state (a) and the folded state (b) of FIG. 17.

본 발명 제5실시예는 상술한 제2실시예에서 사용한 타이밍벨트(T, 도 9 참조)를 무한궤도 형태가 아닌 무한궤도의 일부를 절단하여 선상(LINE)으로 구현한 라인형 타이밍벨트(TB)를 구비하고, 동력원(M)으로 하여금 정역회전할 때 타이밍벨트(TB)가 고정된 연결대(122) 또는 이동판(200)에 힘을 가하게 되어 이동판(200)을 슬라이드 운동과 접히거나 펼치도록 제어함으로서 선상의 타이밍벨트(TB)가 일정 거리 안에서 왕복운동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ing belt (T, see FIG. 9) used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is a line type timing belt (TB) implemented by cutting a part of the endless track rather than the endless track in a line. And a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ng rod 122 or the movable plate 200 to which the timing belt TB is fixed when the power source M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to fold or unfold the movable plate 200 with the slide motion. By controlling so that the timing belt (TB) on the line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within a certain distance.

따라서, 기본 개념과 동작은 상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Therefore, the basic concept and operation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이를 좀 더 자세히 기술하면, 타이밍벨트의 길이는 접거나 펼칠 경우에 동일한 길이를 유지한다. 즉, 이동판(200)이 고정판(100)에 대해 완전히 펴졌을 때의 타이밍벨트 길이(C)는 연결대(122)가 왕복일직선 운동을 하는 길이(A)와 구동풀리(P1)와 연결대(122) 사이의 길이(B)를 합한 길이(C)와 동일한 길이를 항상 유지하도록 한다.In more detail, the length of the timing belt is the same length when folded or unfolded. That is, the timing belt length C when the movable plate 200 is completely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100 is the length A and the driving pulley P1 and the connecting rod 122 where the connecting rod 122 reciprocates linearly. Always keep the same length as the combined length (C).

접을 때에는 이동판(200)에 연결된 타이밍벨트(TB)가 구동풀리의 회전력에 의해 타이밍벨트(TB)에 전달된 힘이 이동판(200) 끝을 접힘방향으로 들어 올려 이동판(200)이 고정판(100) 방향으로 접힌다.When folded,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timing belt TB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pulley is driven by the timing belt TB connected to the movable plate 200 to lift the end of the movable plate 200 in the folding direction. Fold in the (100) direction.

펼칠때에는 연결대(122)에 고정핀(P3)에 의해 고정된 타이밍벨트(TB)가 구동풀리(P1)의 회전력에 의해 연결대(122)에 연결된 이동판(200)을 펴짐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 때 이동판(200)은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쉽게 펼쳐진다.When unfolding, the timing belt TB fixed to the connecting rod 122 by the fixing pin P3 pulls the movable plate 20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able 122 in the unfolding directio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pulley P1. At this time, the moving plate 200 is easily unfolded while sliding.

따라서 접을때는 이동판(200)의 끝을 들어올리기 때문에 모터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쉽게 접을 수 있으며, 펼때는 이동판(20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무게에 의해 이동판이 펴질려는 중력의 힘에 의해 더욱 더 쉽게 펼쳐진다.Therefore, when folding, the end of the moving plate 200 can be easily folded without applying excessive force to the motor, and when unfolding, the force of gravity to spread the moving plate by the weight of the display device fixed to the moving plate 200 It is even easier to unfold.

뿐만 아니라, 이 경우에도 도 9와 동일하게 연결대(122)와 접촉하면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1,2리미트스위치(L1,L2)를 더 구비한다면 상기 동력원(M)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테면, 동력원(M)의 구동과 정지, 방향전환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얻을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토대로 동력원(M)의 구동을 제어부(미도시, 통상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even in this case, if th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L1, L2) that can perform a switching function whil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table 122, as in Figure 9 more efficiently the power source (M) You will be able to control. For example, a control signal related to driving, stopping, and direction change of the power source M may be obtained, and a controller (not shown, usually a microprocessor)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ower source M based on this.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무게가 무거운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이식으로 응용할 때 적합한 구조이다.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suitable for foldable application of a large display device with a heavy weight.

100: 고정판 200: 이동판
300: 레버 400: 쇽업저버
500: 코일스프링
100: fixed plate 200: moving plate
300: lever 400: shock absorber
500: coil spring

Claims (12)

천정면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탈착되는 이동판;
일단은 상기 이동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힌지;
양단에 부착된 레버힌지에 의해, 일단은 상기 고정판에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판의 배면 하단에 힌지고정되어, 상기 이동판을 접을 때 이동판의 상단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접혔다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A fixed plate fixed to the ceiling surface;
A pair of guide rails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A pair of guides sliding along the guide rails;
A moving plate o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and detached;
A fixed hing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moving plat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guide;
By means of lever hinges attached at both ends, one end is hinged to the fixed plate,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plate is folded and unfolded when the movable plate is folded. Lever; The folding holder of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의 각 양측단부에는 상호간에 링크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쇽업저버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Each side end of the fixed plate and the moving plate is a folding holder of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er is further installed to be linked to each other to cushion the impa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고정되고, 상기 연결대는 동력원에 의해 힘을 받아 상기 가이드를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guides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rod, and the connecting stand is configured to slide the guide under the force of a power sour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일직선상의 이동판 상단에 설치된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하거나 혹은 라인상으로 연결하는 타이밍벨트; 상기 타이밍벨트와 연결대를 상호 결속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4,
The power source,
A drive motor fixed to the fixed plate; A drive pulley fix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A driven pulle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oving plate in a line with the driving pulley; A timing belt connecting the driving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or in a line; Folding pins of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ins for coupling the timing belt and the connecting rod to each oth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일직선상의 이동판 상단에 고정된 고정브라켓; 일단은 상기 구동풀리에 감길 수 있도록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속되며 길이 일부는 연결대에 결속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4,
The power source,
A drive motor fixed to the fixed plate; A drive pulley fix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A fixing bracket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movable plate in a line with the driving pulley; One end is fixed so as to be wound on the drive pulley, the other end is bound to the fixing bracket, and a length of the spring spring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folding cradle of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감속 모터; 상기 감속 모터의 회전축에 슬립되지 않게 고정된 축고정판; 상기 축고정판이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힌지에 고정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4,
The power source,
A reduction motor fixed to the fixed plate; A shaft fixing plate fix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reduction motor so as not to slip; The shaft fixing plate is fixed, at the same time the lever fixed to the fixed hinge; folding stand of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5,6,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가이드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이 더 설치되되,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고정판의 상단에 고정되고, 코일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탄성압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5, 6 or 7;
The coil spring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guide, one end of the coil spring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late,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compress the Folding cradle.
청구항 1, 3, 4, 5, 6,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이동판의 서로 대향하는 지점에는 상호 쇄정 및 해정이 가능한 후크형 결합구 혹은 영구자석 혹은 전자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호 결속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The compound of claim 1, 3, 4, 5, 6, 7;
Wherein the fixing plate and the moving plate opposite to each other foldable cradle of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mutually bound by any one of a hook-type coupler or a permanent magnet or an electromagnet capable of mutual locking and unlock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힌지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ver hinge folds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원격조작이 가능한 원격조절단말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4,
The folding holder of the display device is a folding holder of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mote control terminal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wire or wirel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시키는 ㄷ자 형상의 제 1 측면프레임과 제 2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 1 측면프레임과 제 2 측면프레임을 연결하는 가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이식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able plate may include a first side frame and a second side frame having a U-shap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display device to fix the display device,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first side frame and the second side frame. Folding rack of display device.







KR1020130058054A 2013-05-23 2013-05-23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KR1013339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054A KR101333928B1 (en) 2013-05-23 2013-05-23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054A KR101333928B1 (en) 2013-05-23 2013-05-23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928B1 true KR101333928B1 (en) 2013-11-27

Family

ID=49858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054A KR101333928B1 (en) 2013-05-23 2013-05-23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92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984A (en) * 2015-03-09 2016-09-21 김은광 Supporting apparatus for eiectronic device
US10054987B2 (en) 2015-03-20 2018-08-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9283716A (en) * 2018-11-27 2019-01-29 东莞市泰宇达光电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isplay screen automatic assembl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977A (en) * 2001-08-06 2003-02-14 민정 Hanging system for television
KR20100071800A (en) * 2008-12-19 2010-06-29 (주)엘티엠에이피 Stand assemblies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977A (en) * 2001-08-06 2003-02-14 민정 Hanging system for television
KR20100071800A (en) * 2008-12-19 2010-06-29 (주)엘티엠에이피 Stand assemblies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984A (en) * 2015-03-09 2016-09-21 김은광 Supporting apparatus for eiectronic device
KR101692507B1 (en) * 2015-03-09 2017-01-17 김은광 Supporting apparatus for eiectronic device
US10054987B2 (en) 2015-03-20 2018-08-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9283716A (en) * 2018-11-27 2019-01-29 东莞市泰宇达光电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isplay screen automatic assembling
CN109283716B (en) * 2018-11-27 2024-03-22 东莞市泰宇达光电科技有限公司 Automatic assembly machine for display scre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1681B2 (en) Display device, and vehicle
KR100466100B1 (en) Side step for a car
KR101333928B1 (en)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KR20070106030A (en) Hinge construction and motor vehicle exterior mirror unit
KR101267355B1 (en) Automatic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KR20200074713A (en)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seat
JP2006264664A (en) Monitor storage device for vehicle mounting
KR101309769B1 (en) Automatic Step Plate for Passenger Car
JP2006298022A (en) Platform gap adjusting device
CN101134448A (en) Vehicle boarded monitor storage device
CN216197412U (en) Opening mechanism for front cover of vehicle and vehicle
JP2000016280A (en) Platform door device
KR20150001553A (en) Fixation and easy to operate with one structural scaffold device Car Accessories
CN105774490A (en) Roller shutter drive device of car window and use method of roller shutter drive device
KR20150011937A (en)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panel
CN105644317A (en) Roller shutter lifting device for automobile window and use method for roller shutter lifting device
KR200230637Y1 (en) Safety Footing of Streetcar
KR100573362B1 (en) Link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Monitor of Rear Seat
KR100828600B1 (en) Visual field secure apparatus of sun visor for car
KR102576957B1 (en) Motorized opening/closing device of monitor for automobiles
JP3360997B2 (en) Fall prevention device
KR101487400B1 (en) Platform step unit with foldable setp plate
KR200465445Y1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for psd module
KR101003763B1 (en) Roller blind for cars
CN105774492A (en) Roller shutter drive device for car window and use method of roller shutter dri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