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132B1 - Apparatus for refilling ink and nozzle adap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filling ink and nozzle adap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132B1
KR101332132B1 KR1020120014879A KR20120014879A KR101332132B1 KR 101332132 B1 KR101332132 B1 KR 101332132B1 KR 1020120014879 A KR1020120014879 A KR 1020120014879A KR 20120014879 A KR20120014879 A KR 20120014879A KR 101332132 B1 KR101332132 B1 KR 101332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artridge
passage
nozzle
nozzle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8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40594A (en
Inventor
우현재
Original Assignee
우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현재 filed Critical 우현재
Priority to KR1020120014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132B1/en
Publication of KR2012014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5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1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13/00Stencilling apparatus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use
    • B41L13/18Inking unit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 충전 장치 및 장치에 사용되는 노즐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는 잉크 주입부, 잉크 회수부, 카트리지 고정부, 노즐 어댑터를 포함한다. 잉크 주입부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공급하고, 실린더에 남은 잉크를 잉크 회수부에 회수한다. 노즐 어댑터는 내부에 하방 통로, 미세 통로, 적어도 하나의 측방 통로가 형성된 내부 통로를 구비한다. 잉크 주입부에서 공급된 잉크는 노즐 어댑터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에 주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는 간단한 동작으로 잉크 카트리지에 정확한 양의 잉크를 주입할 수 있으며, 잉크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된 잉크 카트리지의 상태가 양호하며, 충전을 반복하여도 잉크 카트리지의 상태가 저하되지 않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filling apparatus and a nozzle adapter for use in the apparatus. An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 injection portion, an ink recovery portion, a cartridge fixing portion, and a nozzle adapter. Ink is supplied to the ink cartridge by the ink injection portion, and the ink remaining in the cylinder is collected in the ink recovery portion. The nozzle adapter has an internal passage formed therein with a downward passage, a micro passage, and at least one lateral passage. Ink supplied from the ink injection portion is injected into the nozzle of the ink cartridge by the nozzle adapter.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ject the correct amount of ink into the ink cartridge with a simple operation, and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ink filling.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filled ink cartridge is good, and the state of the ink cartridge does not deteriorate even after the filling is repeated.

Description

잉크 충전 장치 및 노즐 어댑터 {Apparatus for refilling ink and nozzle adapter}Ink filling device and nozzle adapter {Apparatus for refilling ink and nozzle adapter}

본 발명은 잉크 충전 장치 및 장치에 사용되는 노즐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즐 어댑터와 결합된 카트리지 고정부에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피스톤, 실린더, 센서부, 주입 밸브를 구비한 잉크 주입부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공급하고, 실린더에 남은 잉크를 잉크 회수부에 회수하며, 노즐 어댑터는 내부에 하방 통로, 미세 통로, 적어도 하나의 측방 통로가 형성되어 잉크 주입부에 의해 공급된 잉크를 잉크 카트리지에 주입시키는 잉크 충전 장치 및 노즐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filling apparatus and a nozzle adapter used in th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mount an ink cartridge in a cartridge fixing portion coupled to a nozzle adapter, thereby injecting ink having a piston, a cylinder, a sensor portion, and an injection valve. Supplies ink to the ink cartridge, and collects the ink remaining in the cylinder to the ink recovery unit, and the nozzle adapter has a lower passage, a fine passage, and at least one side passage formed therein, and the ink supplied by the ink injection unit. An ink filling apparatus and a nozzle adapter for injecting the ink into an ink cartridge.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는 잉크를 가는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종이에 인쇄하는 프린터를 말한다. 잉크젯 프린터는 비용이 저렴하고, 인쇄 성능이 좋으며, 다용도 인쇄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기가 많다. An inkjet printer is a printer that prints on paper by spraying ink through a thin nozzle. Inkjet printers are popular because of their low cost, good printing performance, and versatile printing.

하지만,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카트리지는 소모품으로써 사용에 따라 지속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잉크 카트리지의 가격은 높은 편으로 잉크를 계속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것을 생각한다면 잉크젯 프린터의 유지비가 만만치 않게 된다. 특히 칼라 프린터의 경우 각 색상마다 다른 잉크를 사용하므로, 각 색상이 여러 칸으로 나뉘어진 한 개의 카트리지에 들어 있는 경우 한 색상의 잉크가 떨어지면 카트리지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일이 생긴다. 또한, 카트리지 교체시 사용된 카트리지는 그냥 버려지기 때문에 자원이 낭비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요즘은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리필하여 쓰는 재생 잉크 카트리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재생 잉크 카트리지는 프린터의 유지비를 줄일 수 있고 잉크 카트리지를 재활용하는 것이어서 환경에도 유익하다. However, ink cartridges in inkjet printers are consumables and must be replaced as needed. The cost of ink cartridges is high, and the cost of maintaining an inkjet printer can be daunting given the need to constantly replace ink. In particular, color printers use different inks for each color, so when each color is contained in one cartridge that is divided into several compartments, the entire cartridge may need to be replaced when one color of ink runs out. In addition, the cartridges used to replace the cartridges are simply thrown away, which wastes resources. For this reason, a number of recycled ink cartridges are nowadays used to refill ink in ink cartridges. Remanufactured ink cartridges can reduce printer maintenance costs and recycle the ink cartridges for the environment.

일반적으로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리필할 때 잉크 카트리지 상단에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잉크를 주입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도 1에는 드릴로 잉크 카트리지 상단에 구멍을 뚫어 니들을 이용하여 잉크를 충전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150)를 이용한 주입 방식은 잉크 카트리지(110) 내에 구비된 스펀지(120)에 잉크가 균일하게 스며들지 않으며, 어느 한 곳에 잉크가 뭉치고 다른 한쪽에는 잉크가 전혀 흡수되지 않는 현상이 생긴다. 이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에 주입된 잉크가 노즐(140)을 통해 흐르거나 인쇄시 많은 양의 잉크가 분사되어 인쇄 성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노즐(140)이 막히는 경우도 생긴다. 또한, 잉크의 주입시 잉크가 새어 나와 작업자의 손이나 카트리지 외부에 잉크가 묻게 되는 일도 생기며, 스펀지(120)나 카트리지 내부의 메쉬(130)가 오염되어 수 회 잉크를 리필하면 카트리지가 손상되어 버리게 된다.In general, when refilling ink in an ink cartridge, a method of injecting ink using a syringe or the like on the top of the ink cartridge is used. 1 illustrates a method of filling an ink using a needle by drilling a hole in an upper portion of an ink cartridge with a drill. However, as shown in FIG. 1, in the injection method using the needle 150, ink does not uniformly penetrate the sponge 120 provided in the ink cartridge 110, and ink is aggregated at one place and ink at the other side. Is not absorbed at all. For this reason, the ink injected into the ink cartridge flows through the nozzle 140, or a large amount of ink is ejected during printing, resulting in a decrease in printing performance, thereby causing the nozzle 140 to be clogged. In addition, when the ink is injected, the ink leaks and the ink may be deposited on the operator's hand or the outside of the cartridge. If the sponge 120 or the mesh 130 inside the cartridge is contaminated and refilled, the cartridge may be damaged. do.

따라서 리필 과정의 번거로움과 위험을 없애고, 잉크가 카트리지 내부에 골고루 수용되는 잉크 충전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많은 종류의 잉크 카트리지에 대응하여 잉크를 간편하고 빠르게 충전할 수 있으며, 리필 비용도 저렴한 잉크 충전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ink filling device that eliminates the hassle and risk of the refilling process and evenly accommodates the ink in the cartridge. In addition, the ink can be easily and quickly charged in response to many types of ink cartridges, and an ink filling device having a low refilling cost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종류의 잉크 카트리지에 대해서 그에 대응하는 노즐 어댑터를 장착하여 간편하고 빠르게 잉크를 충전할 수 있는 잉크 충전 장치 및 노즐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k filling apparatus and a nozzle adapter capable of filling ink easily and quickly by mounting nozzle adapters corresponding to many types of ink cartridges.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을 통해 잉크를 충전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의 성능 저하를 막고, 잉크가 카트리지 내부에 균일하게 수용되는 잉크 충전 장치 및 노즐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k filling apparatus and a nozzle adapter in which ink is prevented from being degraded by filling ink through nozzles of an ink cartridge, and ink is uniformly contained in the cartridg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는 잉크 주입부, 잉크 회수부, 카트리지 고정부, 노즐 어댑터를 포함한다. 잉크 주입부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 잉크의 주입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잉크가 수용되며 내부로 피스톤이 삽입 이동하는 실린더, 잉크의 주입을 제어하는 주입 밸브를 구비한다. 잉크 회수부는 실린더로부터 잉크를 회수한다. 카트리지 고정부에는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다. 노즐 어댑터는 카트리지 고정부의 하부와 결합되고, 잉크 주입부와 연결되어 잉크 주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잉크를 잉크 카트리지에 주입시킨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 injection unit, an ink recovery unit, a cartridge fixing unit, a nozzle adapter. The ink injection unit includes a piston movable up and down, a sensor unit sensing an injection amount of ink, a cylinder in which ink is accommodated, and a piston into which the piston is inserted and moved, and an injection valve controlling injection of ink. The ink recovery unit recovers ink from the cylinder. An ink cartridge is mounted in the cartridge fixing portion. The nozzle adapter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rtridge fix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ink injection portion to inject ink supplied from the ink injection portion into the ink cartridg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에서 센서부는 피스톤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외부에 높이를 달리하여 부착된 복수의 리드 스위치와, 피스톤에 내장된 자석을 구비한다. In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reed switches attached at different heights to the outside of the case accommodating the piston, and a magnet embedded in the pist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에서 잉크 주입부와 잉크 회수부는 각각 N개 구비되어 노즐 어댑터에 N개 종류의 잉크를 공급하고, 노즐 어댑터에 의해 N개 종류의 잉크를 충전할 수 있다.In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 ink injection unit and the ink recovery unit are each provided with N kinds of ink to the nozzle adapter, and the N kinds of ink can be filled by the nozzle adap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댑터는 상부면, 하부면, 측면을 구비하며, 상부면에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에 대응하는 뱅크가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본체부의 내부에는 하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천공되는 하방 통로와, 상부면에서 상기 뱅크에 의해 구획된 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천공되는 미세 통로와, 하방 통로와 미세 통로를 연결하며, 하부면에 대해 수평으로 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통로가 형성된다.The nozzle adap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a bank corresponding to the nozzle of the ink cartridg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side the main body, the lower passage is vertically drilled from the lower surface, the micro passage is vertically drilled from the surface partitioned by the bank at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passage and the micro passag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orizontally drill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At least one lateral passageway is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댑터는 상부면에는 뱅크에 의해 N개의 면이 구획되고, 본체부의 내부에는 N개의 하방 통로와 N개의 미세 통로가 형성되어 각각의 하방 통로와 미세 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통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In the nozzle adap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 surfaces are partitioned by a bank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N downward passages and N fine passages ar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so that each of the downward passages and the fine passages is at least one. It can be connected by the lateral passage of.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에서 노즐 어댑터는 상부면, 하부면, 측면을 구비하며, 상부면에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에 대응하는 뱅크가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본체부의 내부에는 하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천공되는 하방 통로와, 상부면에서 뱅크에 의해 구획된 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천공되는 미세 통로와, 하방 통로와 미세 통로를 연결하며, 하부면에 대해 수평으로 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통로가 형성된다. In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adapt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a bank corresponding to the nozzle of the ink cartridg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side the main body, the lower passage is vertically drilled from the lower surface, the micro passage is vertically drilled from the surface partitioned by the bank at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passage and the micro passage is connected, and is horizontally drill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At least one lateral passage is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에서 노즐 어댑터는 상부면에는 뱅크에 의해 N개의 면이 구획되고, 본체부의 내부에는 N개의 하방 통로와 N개의 미세 통로가 형성되어 각각의 하방 통로와 미세 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통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In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adapter has N surfaces defined by banks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N downward passages and N fine passages ar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to form respective downward passages and fine passages. The passageway may be connected by at least one lateral passageway.

본 발명의 일체형 노즐은 잉크 카트리지 노즐에 대응하도록 다양하게 제조되므로, 많은 종류의 잉크 카트리지에 대해서 간단하게 잉크를 충전할 수 있다. Since the integrated no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to correspond to the ink cartridge nozzles, ink can be simply filled for many kinds of ink cartridges.

본 발명의 일체형 노즐을 이용한 잉크 충전 장치는 잉크가 카트리지 내부에 균일하게 수용되도록 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잉크를 충전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게 해준다. The ink filling apparatus using the integrated no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ow the ink to be uniformly accommodated inside the cartridge, and can fill the ink with a simple ope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work efficiency.

도 1은 종래의 니들을 이용한 잉크 충전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에서 잉크 주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로 잉크를 충전하기 전에 잉크를 석션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댑터에서 측방 통로의 개구에 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에서 카트리지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에서 카트리지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에서 카트리지 고정부에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잉크를 충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nk filling method using a conventional needle.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ink injection unit in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suctioning ink before filling the ink with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nozzle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and 7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nozzle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lt is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side passage in the nozzle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 to 9 (d)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rtridge fixing unit in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diagrams showing the cartridge fixing part in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 and 11 (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k cartridge is mounted on a cartridge fixing unit in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showing the filling of ink using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2000)는 잉크 주입부(2100), 잉크 회수부(2200), 노즐 어댑터(2300), 카트리지 고정부(2400)를 포함한다. 잉크 주입부(2100)는 잉크를 사용자가 원하는 용량만큼 주입시키도록 하며, 주입 밸브(2110), 피스톤(2120), 센서부(2130), 실린더(2140)를 구비한다. 주입 밸브(211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개폐 동작에 의해 잉크의 유동을 제어한다. 피스톤(212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센서부(2130)는 잉크의 주입량을 감지한다. 피스톤(2120)이 지나는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잉크의 주입량을 알 수 있다. 실린더(2140)의 내부에는 잉크가 수용된다. 실린더(2140)의 내부로 피스톤(2120)이 상하 이동하여 잉크를 주입 밸브(2110)로 밀어낸다.As shown in FIG. 2, the ink filling apparatus 20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 injection unit 2100, an ink recovery unit 2200, a nozzle adapter 2300, and a cartridge fixing unit 2400. do. The ink injecting unit 2100 injects ink to a user's desired capacity, and includes an injection valve 2110, a piston 2120, a sensor unit 2130, and a cylinder 2140. Injection valve 2110 is a solenoid valve, and controls the flow of ink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e piston 2120 may move up and down. The sensor unit 2130 detects an injection amount of ink. The amount of ink injected can be known by sens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piston 2120 passes. Ink is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2140. The piston 2120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cylinder 2140 to push the ink to the injection valve 2110.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밸브(2110)는 잉크 주입관(2111)에 설치된다. 잉크 주입관(2111)은 잉크를 실린더(2140)로부터 잉크 주입구(2112)로 이동시킨다. 잉크 주입관(2111)의 한쪽 단부는 실린더(2140)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쪽 단부는 잉크 주입구(2112)에 연결된다. 잉크 주입관(2111)에 주입 밸브(2110)가 설치됨으로써 잉크의 유동이 제어된다. 즉, 주입 밸브(2110)가 개방되면 잉크가 잉크 주입구(2112)로 이동하며, 주입 밸브(2110)가 닫히면 잉크는 주입되지 않는다. 잉크 주입구(2112)는 후술할 노즐 어댑터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와 결합된다. 잉크 주입구(2112)는 노즐 어댑터와 밀착될 수 있도록 빨판 형태의 흡착판을 구비할 수 있다. 흡착판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잉크가 주입 도중에 노즐 어댑터 밖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injection valve 2110 is installed in the ink injection pipe 2111. The ink injection tube 2111 moves ink from the cylinder 2140 to the ink injection hole 2112. One end of the ink injection pipe 2111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214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k injection hole 2112. An injection valve 2110 is installed in the ink injection pipe 2111 to control the flow of ink. That is, when the injection valve 2110 is opened, ink moves to the ink injection hole 2112, and when the injection valve 2110 is closed, ink is not injected. The ink injection hole 2112 is coupled to an opening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nozzle adapter to be described later. The ink injection hole 2112 may include a suction plate in the form of a suck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nozzle adapter. By adhering by the suction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k from leaking out of the nozzle adapter during injection.

피스톤(2120)은 케이스(2125) 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2125)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관(2121, 2122)이 구비된다. 공기 유입관(2121, 2122)을 통해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피스톤(2120)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피스톤(2120)이 실린더(2140)에 삽입되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2140) 내부에 수용된 잉크가 잉크 주입관(2111)을 통해 주입된다. The piston 2120 is housed in the case 2125. The case 2125 is provided with air inlet pipes 2121 and 2122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s air enters through the air inlet pipes 2121 and 2122, the piston 2120 moves upward or downward. As the piston 2120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2140 and moved downward, the ink contained in the cylinder 2140 is injected through the ink injection pipe 2111.

피스톤(2120) 및 케이스(2125)의 외부에는 센서부(2130)가 부착된다. 센서부(2130)에 의해 피스톤(2120)이 이동한 위치를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입되는 잉크의 양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2130)는 리드 스위치와 자석을 이용하며, 케이스(2125)의 외부에 복수의 리드 스위치(2132a, 2132b, ...)를 구비한 연성 회로 기판(2131)이 부착되고, 피스톤(2120)의 내부에 자석(2133)이 내장된다. The sensor unit 2130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piston 2120 and the case 2125. The position of the piston 2120 is moved by the sensor unit 2130, and thus the amount of ink injected can be known. 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unit 2130 uses a reed switch and a magnet, and a flexible circuit board 2131 having a plurality of reed switches 2132a, 2132b, ...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2125. The magnet 2133 is embedded in the piston 2120.

한편, 실린더(2140)에는 잉크 공급관(2151, 2152)이 연결되어 있으며, 잉크 공급관(2151, 2152)을 통해 잉크 저장부(2155)에 저장된 잉크가 실린더(2140) 내부에 공급된다. 잉크 공급관(2152)의 일단은 잉크 저장부(2155)에 연결되며, 피스톤(2120)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실린더(214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일정량의 잉크가 실린더(2140) 내부에 채워진다. 잉크 공급관(2152)에는 공급 밸브(2154)가 설치된다. 공급 밸브(2154)는 일방향 밸브이며, 잉크를 잉크 저장부(2155)로부터 실린더(2140) 방향으로만 이동시킨다.Meanwhile, ink supply pipes 2151 and 2152 are connected to the cylinder 2140, and ink stored in the ink storage unit 2155 is supplied into the cylinder 2140 through the ink supply pipes 2151 and 2152. One end of the ink supply pipe 2152 is connected to the ink reservoir 2155, and when the piston 2120 moves upward to lower the pressure in the cylinder 2140, a predetermined amount of ink is filled in the cylinder 2140. An ink supply pipe 2152 is provided with a supply valve 2154. The supply valve 2154 is a one-way valve and moves ink only from the ink reservoir 2155 in the direction of the cylinder 2140.

잉크 회수부(2200)는 잉크 주입부(2100)에 의해 원하는 용량만큼 잉크가 주입되면, 실린더(2140) 내부에 남은 나머지 잉크를 잉크 저장부(2155)로 회수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잉크 회수부(2200)는 회수 밸브(2210), 잉크 회수관(2220), T자형 노즐 연결구(2230)를 구비한다. 회수 밸브(221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개폐 동작에 의해 잉크의 유동을 제어한다. 회수 밸브(2210)는 잉크 회수관(2220)에 설치되며, 잉크가 잉크 주입 밸브(2110)를 통해 주입되는 동안에는 닫힌 상태이다. 잉크가 원하는 용량만큼 주입되어 주입 밸브(2110)가 닫히면 회수 밸브(2210)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개방된다. 잉크 회수관(2230)의 일단은 T자형 노즐 연결구(2230)를 통해 잉크 공급관(2151)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잉크 저장부(2155)에 연결되어 있다. 회수 밸브(2210)가 개방되면 잉크가 잉크 저장부(2155)로 이동한다. 이 때, 공급 밸브(2154)는 일방향 밸브이므로 잉크가 실린더(2140)로부터 공급 밸브(2154)를 통하여 잉크 저장부(2155)로 이동하지는 않는다.The ink recovery unit 2200 recovers the remaining ink remaining in the cylinder 2140 to the ink storage unit 2155 when ink is injected by the ink injection unit 2100 in a desired capacity. For this operation, the ink recovery unit 2200 includes a recovery valve 2210, an ink recovery tube 2220, and a T-shaped nozzle connector 2230. The recovery valve 2210 is a solenoid valve and controls the flow of ink by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The recovery valve 2210 is installed in the ink recovery pipe 2220, and is closed while ink is injected through the ink injection valve 2110. When the injection valve 2110 is closed by injecting ink to a desired capacity, the recovery valve 2210 is opened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One end of the ink recovery pipe 2230 is connected to the ink supply pipe 2151 through the T-shaped nozzle connector 22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k reservoir 2155. When the recovery valve 2210 is opened, ink moves to the ink reservoir 2155. At this time, since the supply valve 2154 is a one-way valve, ink does not move from the cylinder 2140 to the ink reservoir 2155 through the supply valve 2154.

노즐 어댑터(2300)는 잉크 주입구(2112)와 연결되어 잉크를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에 주입시킨다. 복수의 잉크를 주입하는 경우, 각각의 색을 주입하는 잉크 주입구(2112)의 간격은 1cm 이상으로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의 간격에 비교하여 많이 크다. 따라서 노즐 어댑터(2300)의 내부에는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 간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내부 통로가 형성된다. 노즐 어댑터(2300)는 잉크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nozzle adapter 2300 is connected to the ink injection hole 2112 to inject ink into the nozzle of the ink cartridge. In the case of injecting a plurality of inks, the spacing between the ink inlets 2112 for injecting the respective colors is 1 cm or more, which is much larger than the spacing of the nozzles of the ink cartridge. Therefore, an internal passage is formed in the nozzle adapter 2300 to correspond to the nozzle gap of the ink cartridge. A plurality of nozzle adapters 2300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k cartridg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카트리지 고정부(2400)는 잉크 카트리지를 장치에 고정시켜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이 노즐 어댑터(2300)와 잘 밀착되도록 한다. 카트리지 고정부(2400)는 잉크 카트리지의 크기에 따라 여러 형태가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노즐 어댑터(2300)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cartridge fixing unit 2400 fixes the ink cartridge to the device so that the nozzles of the ink cartridg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nozzle adapter 2300. The cartridge fixing part 2400 is provid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k cartridge, and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nozzle adapter 2300 of various forms as necessary.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에서 잉크 주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n ink injection unit in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잉크 주입부(2100)의 동작을 도 4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잉크 주입부(2100)를 점선 내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120)은 잉크가 주입되기 전인 초기 상태에 놓여 있다. 초기 상태에서 실린더(2140)에 수용된 잉크의 용량은 50ml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2140)에 수용된 잉크의 용량을 50ml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대용량의 카트리지를 고려하여 실린더(2140)의 내부에 다양한 용량의 잉크를 수용할 수 있다. An operation of the ink injection unit 2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The ink injection portion 2100 is shown in the dotted line. As shown in FIG. 4, the piston 2120 is in an initial state before ink is injected. The volume of ink contained in the cylinder 2140 in the initial state is 50 ml. In this embodiment, the capacity of the ink contained in the cylinder 2140 is set to 50 m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k of various capacities may be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2140 in consideration of a large capacity cartridge.

피스톤(2120)이 수용된 케이스(2125)의 외부에는 연성 회로 기판(2131)이 부착된다. 연성 회로 기판(2131)에는 복수의 리드 스위치(2132a, 2132b, ...)가 높이를 달리하여 부착되어 있다. 리드 스위치(2132a, 2132b, ...)는 탄성에 의해 서로 떨어진 상태로 있는 한 쌍의 리드 조각을 구비하며, 자석을 가까이 하면 한 쌍의 리드 조각이 서로 접하여 회로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스위치를 말한다. 복수의 리드 스위치(2132a, 2132b, ...)가 부착되는 위치는 주입되는 잉크의 양을 선형적으로 나타내는 위치이다. 즉, 케이스(2125)의 단부로부터 각각의 리드 스위치(2132a, 2132b, ...)까지의 거리는 일정한 양의 잉크를 주입하기 위하여 피스톤(2120)이 이동하여야 할 거리이다. 리드 스위치(2132a, 2132b, ...)는 피스톤(2120)이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주입하는 잉크의 양에 대응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연성 회로 기판(2131)의 하부에 부착된 리드 스위치일수록 많은 용량의 잉크 주입을 의미한다. The flexible circuit board 2131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2125 in which the piston 2120 is accommodated. A plurality of reed switches 2132a, 2132b, ... are attached to the flexible circuit board 2131 at different heights. Reed switches (2132a, 2132b, ...) are provided with a pair of lead piece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elasticity, and refers to a switch in which a pair of lead piec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initiate operation of a circuit when the magnet is close to each other. . The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reed switches 2132a, 2132b, ... are attached is a position indicating linearly the amount of ink to be injected. 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case 2125 to each of the reed switches 2132a, 2132b, ... is a distance that the piston 2120 should move in order to inject a certain amount of ink. The reed switches 2132a, 2132b, ... are attached at regular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ink injected by the piston 2120 moving downward, and the reed switche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2131 It means a lot of ink injection.

한편, 피스톤(2120)의 상부에는 자석(2133)이 내장된다. 자석(2133)은 피스톤(2120)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같이 위치가 내려간다. 자석(2133)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스(2125)에 부착된 리드 스위치(2132a, 2132b, ...)가 온 상태가 되도록 한다. 자석(2133)이 이동하면 리드 스위치(2132a, 2132b, ...)는 차례로 온 상태가 된다. 단, 제어부에 의해 세팅되지 않은 리드 스위치는 스위치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선택된 리드 스위치(2132a, 2132b, ...)가 온 상태가 됨으로써 주입 밸브(2110)가 닫히고 회수 밸브(2210)가 개방된다. 피스톤(2120)의 이동 거리가 커질수록 자석(2133)의 위치는 아래쪽으로 내려가므로, 아래쪽에 있는 리드 스위치를 선택할수록 많은 양의 잉크를 주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t 2133 is embed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2120. The magnet 2133 is lowered in position as the piston 2120 moves downward. The magnet 2133 moves downward so that the reed switches 2132a, 2132b, ... attached to the case 2125 are turned on. When the magnets 2133 are moved, the lead switches 2132a, 2132b, ... are sequentially turned on. However, a reed switch not set by the controller does not function as a switch. When the selected reed switches 2132a, 2132b, ... are turned on, the injection valve 2110 is closed and the recovery valve 2210 is opened.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piston 2120 increases, the position of the magnet 2133 is lowered, so that a larger amount of ink may be injected as the lower reed switch is selected.

제어부(미도시)는 잉크 충전 장치(2000) 외부의 입력부에 입력되는 잉크 용량에 따라 하나의 리드 스위치를 선택하여 세팅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에 10ml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리드 스위치(2132b)를 선택하여 세팅한다. 제어부는 공기 유입관(2121)에 공기를 유입시켜 피스톤(212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피스톤(2120)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내장된 자석(2133)의 위치도 내려간다. 이 때, 주입 밸브(2110)는 개방 상태이며, 회수 밸브(2210)는 닫힘 상태이다. 자석(2133)이 세팅된 리드 스위치(2132b) 근처를 지나면서 리드 스위치(2132b)가 온 상태가 되면, 주입 밸브(2110)는 닫힘 상태가 된다. 또한, 주입 밸브(2110)가 닫힘과 동시에 회수 밸브(2210)가 개방 상태가 된다. 피스톤(2120)은 단부가 실린더(2140)의 바닥에 닿을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하며, 주입 밸브(2110)가 닫히고 회수 밸브(2410)가 개방됨으로써 실린더에 남은 잉크가 잉크 저장부(2155)로 회수된다. 회수 과정이 종료되면 주입 밸브(2110) 및 회수 밸브(2210)가 모두 닫힌다.The controller (not shown) selects and sets one reed switch according to the ink capacity input to the input unit outside the ink filling apparatus 2000. For example, when 10 ml is input to the input unit, the controller selects and sets the reed switch 2132b. The controller moves the piston 2120 downward by introducing air into the air inlet pipe 2121. As the piston 2120 moves downward, the position of the built-in magnet 2133 is also lowered. At this time, the injection valve 2110 is in an open state, and the recovery valve 2210 is in a closed state. When the reed switch 2132b is turned on while passing near the reed switch 2132b in which the magnet 2133 is set, the injection valve 2110 is in a closed state. In addition, while the injection valve 2110 is closed, the recovery valve 2210 is opened. The piston 2120 moves downward until the end reaches the bottom of the cylinder 2140, and the ink remaining in the cylinder is recovered to the ink reservoir 2155 by closing the injection valve 2110 and opening the recovery valve 2410. do. When the recovery process ends, both the injection valve 2110 and the recovery valve 2210 are closed.

피스톤(2120)의 초기 상태에서 실린더(2140) 내에는 항상 일정한 양의 잉크가 수용되는데, 수용된 잉크의 일부만이 주입되고 피스톤(2120)이 원상태로 복귀하면 초기 상태와 동일한 양의 잉크가 수용되기 어려우며, 이는 잉크의 부정확한 주입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남은 잉크를 일단 전부 회수한 후 다시 초기 상태로 잉크를 채워 정확한 양이 수용되도록 한다. 피스톤(2120)이 실린더(2140)의 바닥까지 이동하면 회수 밸브(2210)도 닫힘 상태가 되며, 피스톤(2120)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감에 따라 잉크 공급부로부터 실린더(2140) 내부로 잉크가 공급된다. 피스톤(2120)의 위치와 실린더(2140)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양은 초기 상태로 된다.In the initial state of the piston 2120, the cylinder 2140 always receives a certain amount of ink. If only a portion of the received ink is injected and the piston 212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it is difficult to receive the same amount of ink as the initial state. This leads to incorrect injection of the ink. Therefore, once the remaining ink is recovered, the ink is filled back to the initial state so that the correct amount is received. When the piston 2120 moves to the bottom of the cylinder 2140, the recovery valve 2210 also closes, and ink is supplied from the ink supply into the cylinder 2140 as the piston 212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do. The position of the piston 2120 and the amount of ink contained in the cylinder 2140 are in an initial state.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잉크 주입부(2100)와 하나의 잉크 회수부(2200)를 갖는 잉크 충전 장치(2000)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주입하고자 하는 잉크의 개수만큼 잉크 주입부 및 잉크 회수부를 구비하여 복수 종류의 잉크를 주입할 수도 있다. 이 때, 노즐 어댑터는 복수의 잉크 주입구와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통로를 통하여 잉크를 잉크 카트리지 노즐에 주입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k filling apparatus 2000 having one ink injecting unit 2100 and one ink collecting unit 2200 is describ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part may be provided to inject a plurality of types of ink. At this time, the nozzle adapter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ink inlets, and injects ink into the ink cartridge nozzle through a plurality of passages formed therei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로 잉크를 충전하기 전에 잉크를 석션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suctioning ink before filling the ink with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잉크를 정량 충전하기 위해서 우선 잉크 카트리지 내의 잉크를 제거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석션 장치(3000)는 진공 펌프(3100), 제1 석션관(3110), 흡입 밸브(3111), 제2 석션관(3120)을 구비한다. 진공 펌프(3100)는 흡입 동작을 수행하며, 잉크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잉크를 빨아들인다. 잉크를 잉크 카트리지 노즐을 통해 석션함에 따라 노즐에 낀 오염 물질 등이 제거될 수 있다. To quantitatively fill the ink, the ink in the ink cartridge must first be removed. As shown in FIG. 5, the ink suction device 3000 includes a vacuum pump 3100, a first suction pipe 3110, a suction valve 3111, and a second suction pipe 3120. The vacuum pump 3100 performs a suction operation and sucks ink contained in the ink cartridge. As the ink is suctioned through the ink cartridge nozzles, contaminants and the like caught on the nozzles may be removed.

제1 석션관(3110)은 잉크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단부가 노즐 어댑터와 연결된다. 제1 석션관(3110)에는 각각 흡입 밸브(3111)가 설치된다. 흡입 밸브(3111)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개폐 동작에 의해 잉크의 유동을 제어한다. 흡입 밸브(3111)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잉크를 석션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석션관(3110)은 십(十)자형 연결구를 이용하여 하나로 모아질 수 있으며, 모아진 제1 석션관(3110)은 진공 펌프(3100)와 연결된다. The first suction tube 311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ks, and an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nozzle adapter. Intake valves 3111 are installed in the first suction pipes 3110, respectively. The intake valve 3111 is a solenoid valve and controls the flow of ink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By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take valve 3111, ink can be selectively sucked. The plurality of first suction pipes 3110 may be gathered into one using a cross-shaped connector, and the collected first suction pipes 3110 may be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3100.

제2 석션관(3120)은 진공 펌프(3100)와 연결되며, 진공 펌프(3100)에 의해 흡입된 잉크를 모아서 잉크 수거부(미도시)로 이동시킨다. 흡입된 잉크는 버려지는 것으로 제2 석션관(3120)을 통해 잉크 수거부로 배출된다. 입력부에 석션 버튼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진공 펌프(3100)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진공 펌프(3100)가 흡입 동작을 수행하면 잉크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잉크가 흡입되어 잉크 수거부로 이동한다. 잉크 카트리지 내의 복수의 잉크를 동시에 석션하거나, 색상 별로 따로 석션할 수 있다.
The second suction tube 3120 i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3100, collects the ink sucked by the vacuum pump 3100, and moves the collected ink to an ink collecting unit (not shown). The sucked ink is discard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tube 3120 to the ink collecting unit. When the suction button is input to the input uni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vacuum pump 3100 to operate, and when the vacuum pump 3100 performs the suction operation, the ink contained in the ink cartridge is sucked and moved to the ink collecting unit. A plurality of inks in the ink cartridge may be simultaneously suctioned or separately for each color.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댑터에서 측방 통로의 개구에 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a) and 6 (b) are views showing a nozzle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a) and (b) are views showing a nozzle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lt is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side passage in the nozzle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노즐 어댑터를 설명한다. 노즐 어댑터는 잉크 주입관으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에 주입한다. 보통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은 그 폭이 1mm 정도로 매우 좁다. 따라서 주입구 사이의 간격이 큰 잉크 주입구를 통하여 잉크를 바로 주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이 나란히 붙어 있기 때문에 잉크 주입 과정에서 잉크가 혼색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노즐 어댑터는 내부에 각기 다른 색의 잉크가 지나가는 내부 통로를 형성하여 잉크 주입구로부터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까지 잉크를 공급한다. Next, the nozzle adapter will be described. The nozzle adapter injects ink supplied from the ink injection tube into the nozzle of the ink cartridge. Usually, the nozzles of an ink cartridge are very narrow, about 1 mm in width.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irectly inject the ink through the ink injection hole having a large gap between the injection holes. In addition, since nozzles for ejecting ink of different colors are attached side by side, the ink may be mixed in the ink injection process. The nozzle adapter forms an internal passage through which different colored inks pass, and supplies ink from the ink inlet to the nozzle of the ink cartridge.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선 내부에 한 종류의 잉크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노즐 어댑터를 설명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어댑터(300)는 상부면(310), 하부면(320), 측면(330, 340, 350)을 구비하는 직육면체의 형상이다. 노즐 어댑터(300)의 상부면(310)에는 잉크 카트리지의 하면에 대응하는 오목부(31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15)의 형상은 잉크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오목부에는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에 대응하여 뱅크(317)가 형성되어 있다. 뱅크(317)는 잉크 카트리지 노즐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것으로, 잉크가 노즐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오목부(315)에 잉크 카트리지의 하면이 끼워 맞춤되면서 뱅크(317)가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노즐 어댑터(300)는 일체의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노즐 어댑터(300)가 고무로 형성되는 경우 잉크 카트리지의 끼워 맞춤으로 인해 뱅크(317)는 노즐의 가장자리에 더욱 잘 밀착되게 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rst, a nozzle adapter in which a passage through which one kind of ink passes is described. As shown in FIG. 6A, the nozzle adapter 300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upper surface 310, a lower surface 320, and side surfaces 330, 340, and 350. The upper surface 310 of the nozzle adapter 300 has a recess 315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k cartridge. The shape of the recess 315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ink cartridge. A bank 317 is formed in the recess corresponding to the nozzle of the ink cartridge. The bank 31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ink cartridge nozzle and prevents ink from leaking out of the nozzle. The lower surface of the ink cartridge is fitted into the recess 315 so that the bank 31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ozzle edge of the ink cartridge. The nozzle adapter 300 may be formed of an integral rubber, and when the nozzle adapter 300 is formed of rubber, the bank 317 may b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edge of the nozzle due to the fitting of the ink cartridge.

노즐 어댑터(300)의 내부에는 잉크가 통과하는 내부 통로가 형성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어댑터(300)의 하부면(320)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하방 통로(321)가 형성된다. 하방 통로(321)는 노즐 어댑터(300) 내부의 일정 높이까지 천공되며, 송곳이나 드릴 등을 이용하여 천공한다. 다음으로 측면(330)에 하부면(320)에 대하여 수평으로 제1 측방 통로(331)를 형성한다. 제1 측방 통로(331)는 하방 통로(321)와 측면(340)과의 거리(A)만큼 측면(340)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천공되며, 하방 통로(321)와 연결된다. 제1 측방 통로(331)는 노즐 어댑터(300)의 깊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측면(350)에 제1 측방 통로(331)가 형성된 높이(B)와 같은 높이에서 제2 측방 통로(351)가 천공된다. 제2 측방 통로(351)는 노즐 어댑터(30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측방 통로(331)와 연결된다. 제2 측방 통로(331, 351)는 드릴 등을 이용하여 천공한다. An internal passage through which ink passes is formed inside the nozzle adapter 300. As shown in FIG. 6B, a downward passage 321 is formed vertically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320 of the nozzle adapter 300. The lower passage 321 is perforated to a certain height inside the nozzle adapter 300, and perforated using an awl or a drill. Next, the first side passage 331 is form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320 on the side surface 330. The first side passage 331 is perforat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side surface 340 by the distance A between the lower passage 321 and the side surface 340,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ssage 321. The first lateral passage 331 is form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nozzle adapter 300. The second lateral passage 351 is drilled at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B in which the first lateral passage 331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350. The second side passage 351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nozzle adapter 30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assage 331. The second lateral passages 331 and 351 are drilled using a drill or the like.

노즐 어댑터(300)의 상부면(310)에서 뱅크(317)에 의해 구획된 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미세통로(311)가 형성된다. 뱅크(317)에 의해 구획된 면은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에 대응하여 노즐의 폭과 같은 0.8~1.2mm의 길이를 갖는다. 미세 통로(311)는 수직으로 천공되어 제2 측방 통로(351)와 연결된다. 미세 통로(311)는 드릴 등을 이용하여 천공하며, 하방 통로(321), 제1 및 제2 측방 통로(331, 351)에 비해 통로의 폭이 좁게 형성되도록 천공할 수 있다. In the upper surface 310 of the nozzle adapter 300, a fine passage 311 is formed vertically from a surface partitioned by the bank 317. The surface partitioned by the bank 317 has a length of 0.8 to 1.2 mm equal to the width of the nozzle corresponding to the nozzle of the ink cartridge. The micro passage 311 is vertically drilled and connected with the second lateral passage 351. The fine passage 311 may be drilled using a drill or the like, and may be drilled so that the width of the passage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lower passage 321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passages 331 and 351.

하방 통로(321), 측방 통로(331, 351), 미세 통로(311)가 연결됨으로써 노즐 어댑터(300) 내부에 내부 통로가 형성된다. 노즐 어댑터(300)의 측면(330, 350)에 형성된 측방 통로(331, 351)의 개구에 볼트를 삽입하여 잉크의 유출을 방지한다. 한편, 노즐 어댑터(300)의 측면(330)에는 노즐 어댑터(300)가 카트리지 고정부에 장착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 홀(335)이 형성된다. 노즐 어댑터(300)는 카트리지 하부에 장착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The lower passage 321, the side passages 331 and 351, and the fine passage 311 are connected to form an internal passage inside the nozzle adapter 300. A bolt is inserted into the openings of the side passages 331 and 351 formed in the side surfaces 330 and 350 of the nozzle adapter 300 to prevent the ink from leaking. Meanwhile, a screw hole 335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330 of the nozzle adapter 300 so that the nozzle adapter 300 may be mounted to the cartridge fixing part and fixed by the bolt. The nozzle adapter 300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cartridge and is fixed by bolts.

노즐 어댑터(300)의 내부 통로를 통과한 잉크는 뱅크(317)에 의해 구획된 공간으로 공급되고, 구획된 공간에 공급된 잉크는 잉크 카트리지 노즐에 형성된 미세 구멍을 통하여 잉크 카트리지에 충전된다. 잉크 카트리지 노즐을 통하여 잉크가 충전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 내부에 잉크가 균일하게 수용된다.
Ink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passage of the nozzle adapter 300 is supplied to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bank 317, and the ink supplied to the space partitioned is filled in the ink cartridge through the fine holes formed in the ink cartridge nozzles. The ink is filled through the ink cartridge nozzle to uniformly receive the ink inside the ink cartridge.

칼라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의 경우,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종류에 따라 세 개의 격실로 나뉘어져 있고, 각각 옐로우(Y, Yellow), 마젠타(M, Magenta), 시안(C, Cyan) 잉크가 채워진다. 세 종류의 잉크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세 종류의 잉크를 통과시키는 노즐 어댑터를 사용한다. In the case of an ink cartridge for a color printer, the ink cartridge is divided into three compartments according to ink types, and filled with yellow (Y, Yellow), magenta (M, Magenta), and cyan (C, Cyan) inks, respectively. To inject three types of ink, a nozzle adapter that passes three types of ink is used.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2310), 하부면(2320), 측면(2330, 2340, 2350)을 구비하는 직육면체의 형상이다. 노즐 어댑터(2300)의 상부면(2310)에는 잉크 카트리지의 하면에 대응하는 오목부(231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315)의 형상은 잉크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노즐 어댑터(2300)의 오목부(2315)에는 잉크 카트리지 노즐에 대응하는 뱅크(2317)가 형성되어 있다.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은 3개이므로, 뱅크(2317)에 의해 3개의 면이 구획되어야 한다. 잉크 카트리지에서 각 색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은 각각의 폭이 1mm 정도이며, 미세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뱅크(2317)는 각각의 노즐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노즐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구획된 공간을 이웃 노즐과 격리시킴으로써, 잉크 주입시 이웃한 노즐로 다른 색의 잉크가 혼색되어 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뱅크(2317)의 높이는 0.3~0.7mm이다. 뱅크(2317)는 또한 잉크 카트리지의 각각의 노즐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잉크가 노즐 어댑터(230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오목부(2315)에 잉크 카트리지의 하면이 끼워 맞춤됨으로써 뱅크(2317)가 잉크 카트리지 노즐의 가장자리에 밀착될 수 있다. 노즐 어댑터(2300)의 재질은 탄성이 있는 고무 등이며, 뱅크(2317)는 탄성에 의해 노즐의 가장자리에 더욱 잘 밀착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즐 어댑터(2300)의 재질은 고무이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실리콘, 실리콘 고무 등 탄성이 있는 재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A,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cludes an upper surface 2310, a lower surface 2320, and side surfaces 2330, 2340, and 2350. An upper surface 2310 of the nozzle adapter 2300 has a recess 2315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k cartridge. The shape of the recesses 2315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k cartridge. A recess 2315 of the nozzle adapter 2300 is formed with a bank 2317 corresponding to the ink cartridge nozzle. Since the nozzles of the ink cartridge are three, three sides should be partitioned by the bank 2317. The nozzles for ejecting ink of each color from the ink cartridge are about 1 mm in width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minute intervals. The bank 2317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dge of each nozzle, isolating the space partitioned close to each nozzle edge and the neighboring nozzle, it is possible to mix the different colors of ink into the neighboring nozzle when ink injection prevent. The height of the bank 2317 is 0.3 to 0.7 mm. Bank 2317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each nozzle edge of the ink cartridge to prevent ink from flowing out of nozzle adapter 2300. By fit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ink cartridge into the recess 2315, the bank 2317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ink cartridge nozzle. The material of the nozzle adapter 2300 may be elastic rubber or the like, and the bank 2317 may be closely adhered to the edge of the nozzle by elasticit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terial of the nozzle adapter 2300 is rub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silicone rubber may be used.

노즐 어댑터(2300)의 내부에는 세 가지 종류의 잉크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어댑터(2300)의 하부면(2320)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하방 통로(2321, 2322, 2323)가 형성된다. 하방 통로(2321, 2322, 2323)는 노즐 어댑터(2300) 내부의 일정 높이까지 천공된다. 다음으로 측면(2330)에 하부면(2320)에 대하여 수평으로 제1 측방 통로(2331, 2332, 2333)를 형성한다. 제1 측방 통로(2331, 2332, 2333)는 노즐 어댑터(300)의 깊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측방 통로(2331, 2332, 2333)는 각각 하방 통로(2321, 2322, 2323)와 측면(2340, 2350)과의 거리(A, A', A")만큼 측면(2340, 235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천공된다. 제1 측방 통로(2331)는 하방 통로(2321)와, 제1 측방 통로(2332)는 하방 통로(2322)와, 제1 측방 통로(2333)는 하방 통로(2323)와 연결된다. 제1 측방 통로(2331, 2332, 2333)는 각각 다른 높이에 천공될 수 있다. 노즐 어댑터(2300) 내부에 형성된 내부 통로가 중첩되어 노즐 어댑터(2300)의 내부를 통과하는 잉크가 혼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A passage through which three kinds of ink pass is formed in the nozzle adapter 2300. As shown in FIG. 7B, downward passages 2321, 2322, and 2323 are formed vertically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2320 of the nozzle adapter 2300. The downward passages 2321, 2322, and 2323 are dril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nozzle adapter 2300. Next, first side passages 2331, 2332, and 2333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2330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2320. The first lateral passages 2331, 2332, and 2333 are form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nozzle adapter 300. The first lateral passages 2331, 2332, and 2333 are separated from the sides 2340 and 2350 by the distances A, A ′, and A ″ between the lower passages 2321, 2322, and 2323 and the sides 2340 and 2350, respectively. The first lateral passage 2331 is connected to the lower passage 2321, the first lateral passage 2332 is connected to the lower passage 2232, and the first lateral passage 2333 is connected to the lower passage 2323. The first lateral passages 2331, 2332, and 2333 may be perforated at different heights, respectively, and internal passages formed inside the nozzle adapter 2300 may overlap each other, such that ink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nozzle adapter 2300 is mixed. To prevent this.

측면(2340, 2350)에 제1 측방 통로(2331, 2333)가 형성된 높이와 같은 높이(B, B')에서 제2 측방 통로(2341, 2351)가 천공된다. 제2 측방 통로(2341, 2351)는 노즐 어댑터(230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측방 통로(2331, 2333)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방 통로(2322)가 노즐 어댑터(2300)의 정중앙에 위치하므로, 가운데 위치하는 내부 통로의 경우에는 제2 측방 통로는 천공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하방 통로(2322)가 중앙에 있지 않은 경우나 잉크 카트리지 노즐의 위치가 변경(예를 들어, 색 배열의 순서가 바뀌는 경우)되는 경우에는 가운데 위치하는 내부 통로의 경우에도 제2 측방 통로를 천공한다. 하방 통로(2321, 2322, 2323)와 제1 측방 통로(2331, 2332, 2333), 제2 측방 통로(2341, 2351)는 송곳이나 드릴 등을 이용하여 천공한다. Second side passages 2231 and 2351 are perforated at heights B and B 'equal to the heights at which the first side passages 2331 and 2333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2340 and 2350. The second side passages 2231 and 2351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nozzle adapter 2300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assages 2331 and 2333.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lower passage 2232 is located at the exact center of the nozzle adapter 2300, in the case of the inner passage located in the middle, the second side passage need not be drilled. However, when the lower passage 2232 is not at the center or when the position of the ink cartridge nozzle is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order of the color arrangement is changed), the second lateral passage is also used in the middle passage. Perforate. The lower passages 2321, 2322, 2323, the first side passages 2331, 2332, and 2333, and the second side passages 2231 and 2351 are drilled using an awl or a drill.

노즐 어댑터(2300)의 상부면(2310)에서 뱅크(2317)에 의해 구획된 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미세통로(2311, 2312, 2313)가 형성된다. 미세 통로(2311, 2313)는 수직으로 천공되어 각각 제2 측방 통로(2341, 2351)와 연결되며, 미세 통로(2312)는 제1 측방 통로(2332)와 연결된다. 미세 통로(2311, 2312, 2313)는 드릴 등을 이용하여 천공하며, 하방 통로(2321, 2322, 2323), 제1 및 제2 측방 통로(2331, 2332, 2333, 2341, 2351)에 비해 통로의 폭이 좁게 형성되도록 천공할 수 있다. 하방 통로(2321)와 제1 측방 통로(2331)와 제2 측방 통로(2341)와 미세 통로(2311)가, 하방 통로(2322)와 제1 측방 통로(2332)와 미세 통로(2312)가, 하방 통로(2323)와 제1 측방 통로(2333)와 제2 측방 통로(2351)와 미세 통로(2313)가 각각 연결됨으로써 노즐 어댑터(2300) 내부에 3 개의 내부 통로가 형성된다. 한편, 노즐 어댑터(2300)의 측면(2330)에는 노즐 어댑터(2300)가 카트리지 고정부에 장착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 홀(2335)이 형성된다. 노즐 어댑터(2300)은 카트리지 하부에 장착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Fine passages 2311, 2312, and 2313 are formed vertically from a surface partitioned by the bank 2317 at the upper surface 2310 of the nozzle adapter 2300. The micro passages 2311 and 2313 are vertically punctured to connect with the second lateral passages 2231 and 2351, respectively, and the micro passages 2312 are connected to the first lateral passage 2332. The fine passages 2311, 2312, and 2313 are drilled using a drill or the like, and compared to the lower passages 2321, 2322, and 2323,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passages 2331, 2332, 2333, 2341, and 2351. It can be drilled to form a narrow width. The lower passage 2321, the first side passage 2331, the second side passage 2231, and the micro passage 2311 include the lower passage 2232, the first side passage 2332 and the micro passage 2312. The lower passages 2323, the first lateral passages 2333, the second lateral passages 2351, and the fine passages 23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ree internal passages inside the nozzle adapter 2300. Meanwhile, a screw hole 2335 is formed at the side surface 2330 of the nozzle adapter 2300 so that the nozzle adapter 2300 may be mounted to the cartridge fixing part and fixed by a bolt. The nozzle adapter 2300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cartridge and is fixed by bolt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어댑터(2300)의 측면(2330, 2340, 2350)에 형성된 제1 측방 통로(2331, 2332, 2333)의 개구, 제2 측방 통로(2341, 2351)의 개구에는 볼트(2331a, 2332a, 2333a, 2341b, 2343b)를 삽입한다. 볼트(2331a, 2332a, 2333a, 2341b, 2343b)의 재질은 금속, 고무 등이 될 수 있으며, 나사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개구에 결합될 수 있다. 볼트(2331a, 2332a, 2333a, 2341b, 2343b)를 결합함으로써 잉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openings of the first side passages 2331, 2332, and 2333 formed in the side surfaces 2330, 2340, and 2350 of the nozzle adapter 2300 are provided in the openings of the second side passages 2231 and 2351. Insert bolts 2331a, 2332a, 2333a, 2341b, and 2343b. The materials of the bolts 2331a, 2332a, 2333a, 2341b, and 2343b may be metal, rubber, or the like, and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 after applying an adhesive to the screw surface. By combining the bolts 2331a, 2332a, 2333a, 2341b, and 2343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flow of ink.

노즐 어댑터(2300)가 카트리지 고정부에 장착되면, 노즐 어댑터(2300)의 하부면(2320)에 형성된 세 개의 하방 통로(2321, 2322, 2323)의 개구는 잉크 주입구(2112)와 연결된다. 각각 다른 색의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주입구(2112)의 간격은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 간격에 비해 넓다. 따라서, 잉크의 혼색 없이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 간격에 부합하도록 내부 통로가 형성된 노즐 어댑터를 이용하여야 한다. 여기서, 잉크 주입구(2112)는 흡착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잉크 주입구(2112)와 노즐 어댑터(2300)가 더 잘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어댑터(2300) 내부에 3개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지만, 내부 통로는 잉크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잉크 카트리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노즐 어댑터(2300)를 구성하고 노즐 어댑터(2300)만을 교체하여 다양한 잉크 카트리지에 대해서 잉크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다. When the nozzle adapter 2300 is mounted to the cartridge fixing part, the openings of the three lower passages 2321, 2322, and 2323 formed in the lower surface 2320 of the nozzle adapter 2300 are connected to the ink injection hole 2112. The interval between the ink inlets 2112 for supplying ink of different colors is wider than the nozzle interval of the ink cartridge. Therefore, in order to inject ink into the ink cartridge without mixing the ink, it is necessary to use a nozzle adapter in which the inner passage is formed to match the nozzle gap of the ink cartridge. Here, the ink injection hole 2112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plate, whereby the ink injection hole 2112 and the nozzle adapter 23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passages are formed inside the nozzle adapter 2300, but the inner passages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adapters 2300 corresponding to various ink cartridge types may be configured, and only the nozzle adapters 2300 may be replaced to easily charge the ink for the various ink cartridges.

노즐 어댑터(2300)가 장착된 카트리지 고정부에 잉크 카트리지를 수용시키면, 잉크 카트리지의 하면은 노즐 어댑터(2300)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2315)와 결합된다. 뱅크(2317)는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과 정확하게 대응하며, 잉크 카트리지 노즐의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뱅크(2317)의 형태와 위치는 잉크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When the ink cartridge is accommodated in the cartridge fixing unit in which the nozzle adapter 2300 is mounte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k cartridge is engaged with the recess 2315 formed on the nozzle adapter 2300. The bank 2317 corresponds exactly to the nozzle of the ink cartridg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ink cartridge nozzle.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bank 2317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ink cartridge.

도 9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에서 카트리지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에서 카트리지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에서 카트리지 고정부에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a) to (d)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rtridge fixing unit in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0 (a) and (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artridge fixing part in an ink filling apparatus, and FIG. 11 (a) and (b)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ink cartridge was mounted in the cartridge fixing part in the ink fill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고정부(2400)는 지지대(2410), 스프링(2413), 압박부(2420)를 구비한다. 지지대(2410)는 'ㄷ'자 형상으로 내측으로 압박부(2420)를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홈(2411)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2410)의 뒤쪽 벽에는 스프링(2413)이 수용되는 홀(2412)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A, the cartridge fixing part 2400 includes a support 2410, a spring 2413, and a pressing part 2420. The support 2410 is formed with a groove 2411 for movably mounting the pressing portion 2420 inwardly in a 'c' shape. The rear wall of the support 2410 is formed with a hole 2412 in which the spring 2413 is received.

압박부(2420)는 지지대(2410)에 장착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지지대(2410)의 홈(24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측면에 한 쌍의 돌출부(2421)가 형성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부(2420)의 상부에는 스프링(2413)을 압박할 수 있는 돌기(2422)가 형성된다. 돌기(2422)는 홀(24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에 끼워진다. The pressing unit 2420 is mounted on the support 2410 and moves up and down, and a pair of protrusions 2421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to be movably coupled to the groove 2411 of the support 2410. As shown in FIG. 9B, a protrusion 2422 capable of pressing the spring 2413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part 2420. The protrusion 2422 is fitted into the sli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e 2412.

도 9의 (c)와 (d)에는 도 9의 (b)에서의 A-A'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돌기(2422)가 슬릿에 끼워진 상태에서 압박부(2420)를 누르면, 압박부(2420)는 하방으로 이동하며 스프링(2413)은 돌기(2422)에 의해 압축된다(도 9의 (d)). 압박부(2420)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2411)의 탄성력에 의해 압박부(2420)가 원위치로 돌아간다(도 9의 (c)). 지지대(2410), 스프링(2413), 압박부(2410)가 결합한 후, 홀(2412)에 볼트(2415)를 끼워 압박부(2420)가 지지대(2410)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카트리지 고정부(2400)의 하부에는 노즐 어댑터(2300)가 연결된다.9C and 9D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9B. When the pressing portion 2420 is pressed in the state where the protrusion 2422 is fitted in the slit, the pressing portion 2420 moves downward and the spring 2413 is compressed by the protrusion 2422 (Fig. 9 (d)). When the force for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2420 is removed, the pressing portion 242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411 (FIG. 9C). After the support 2410, the spring 2413, and the compression unit 2410 are coupled, the bolt 2415 is inserted into the hole 2412 to fix the compression unit 242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2410. The nozzle adapter 230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rtridge fixing part 2400.

압박부(2420)는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크기가 작은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서 하면까지의 길이가 긴 압박부(2420)를 사용하며, 크기가 큰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10의 (b)와 같이 상면에서 하면까지의 길이가 짧은 압박부(2420)를 사용한다. The pressing unit 2420 may vary in length depending on the type of cartridge to be mounted. That is, in the case of mounting a small ink cartridge, as shown in FIG. 10 (a), the pressing portion 2420 having a long length from the top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is used, and in the case of mounting the large ink cartridge, As shown in FIG. 10B, a pressing portion 2420 having a short length from an upper surface to a lower surface is used.

도 11의 (a)와 (b)에는 크기가 다른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한 카트리지 고정부(2400)가 도시되어 있다. 카트리지 고정부(2400)에 잉크 카트리지(2450)를 장착시키고, 잉크 충전 장치(2000)에 구비된 고정 로드가 카트리지 고정부(2400)의 압박부(2420) 상면을 누름으로써 잉크 카트리지가 고정된다. 이 때 크기가 작은 잉크 카트리지는 길이가 긴 압박부(2420)에 의해 고정된다(도 11의 (a)). 한편, 크기가 큰 잉크 카트리지는 길이가 짧은 압박부(2420)에 의해 고정된다(도 11의 (b)). 압박부(2420)의 길이를 잉크 카트리지의 크기에 따라 달리함으로써 고정 로드에 의해 눌려 압박부(2420)가 이동하는 거리는 비슷해진다. 이에 따라, 스프링(2413)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지지대(2410)에 형성된 홀(2412) 및 스프링(2413)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할 필요없이, 압박부(2420)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비함으로써 카트리지 고정부가 많은 종류의 잉크 카트리지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잉크 충전 장치의 제작 비용에 있어서도 경제적이다.
11A and 11B show a cartridge fixing part 2400 in which ink cartridges of different sizes are mounted. The ink cartridge 2450 is mounted to the cartridge fixing part 2400, and the ink cartridge is fixed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2420 of the cartridge fixing part 2400 with a fixing rod provided in the ink filling apparatus 2000. At this time, the small size ink cartridge is fixed by the long pressing portion 2420 (Fig. 11 (a)). On the other hand, the large size ink cartridge is fixed by the short pressing portion 2420 (Fig. 11 (b)).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pressing portion 242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k cartridge, the distance that the pressing portion 2420 moves by being pressed by the fixed rod becomes similar. This can prevent an excessive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spring 2413. In addition, the cartridge fixing part can cope with many kinds of ink cartridges by providing the length of the pressing part 2420 in various ways, without having to vary the length of the hole 2412 and the spring 2413 formed in the support stand 2410. Therefore, it is economical also in the manufacturing cost of an ink filling apparatus.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잉크를 충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filling of ink using an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n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댑터(2300)를 사용한 잉크 공급 장치(2000)를 이용하여 잉크를 충전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A method of filling ink using the ink supply device 2000 using the nozzle adapter 2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해서, 우선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 상태를 체크한다(S1210). 노즐이 막혀 있거나 오염되어 있으면, 잉크가 제대로 주입되기 어렵다. 잉크 카트리지(2450)의 노즐면을 육안 또는 전자 현미경 등으로 관찰하여 막히거나 오염된 부분이 없는지 체크한다. 노즐이 막혀 있거나 오염되어 있으면, 초음파 세척기 등을 이용하여 노즐면을 세척한다. 오염 물질이 제거됨으로써, 잉크의 충전이 잘 이루어지고, 인쇄 성능이 향상된다. As shown in Fig. 12, in order to charge ink in the ink cartridge using the ink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state of the ink cartridge is first checked (S1210). If the nozzles are clogged or contaminated, ink is difficult to inject properly. The nozzle surface of the ink cartridge 2450 is visually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or the like to check whether there is any blockage or contamination. If the nozzle is clogged or contaminated, use an ultrasonic cleaner to clean the nozzle surface. By removing the contaminants, the ink is well filled and the printing performance is improved.

다음으로, 잉크 석션 장치에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고 잉크 카트리지 내부의 잉크를 석션한다(S1220). 잉크 카트리지 내에 남아 있는 잉크의 양은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우며, 잔여 잉크로 인해 잉크 주입시 잉크 카트리지의 용량을 넘게 되면 잉크가 새어 나와 카트리지를 오염시키거나 인쇄시 다량의 잉크가 흘러나올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에 수용 가능한 용량의 잉크를 주입하기 위해서 잉크 카트리지의 내부를 비운다. 잉크 석션 장치 내의 진공 펌프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 내의 잉크가 흡입된다.Next, the ink cartridge is mounted on the ink suction device and the ink inside the ink cartridge is suctioned (S1220). The amount of ink remaining in the ink cartridge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and if the remaining ink exceeds the capacity of the ink cartridge during ink injection, the ink may leak out and contaminate the cartridge or a large amount of ink may flow out during printing. Therefore, the inside of the ink cartridge is emptied in order to inject ink of a capacity acceptable in the ink cartridge. The ink in the ink cartridge is sucked up by the vacuum pump in the ink suction device.

잉크 카트리지의 무게를 체크한다(S1230). 석션 과정을 마친 잉크 카트리지(2450)의 무게를 측정하여 카트리지 내에 남아 있는 잉크가 없는지 체크한다. 잉크를 카트리지(2450)에 수용 가능한 용량만큼 주입하기 위함이다. The weight of the ink cartridge is checked (S1230). After the suction process, the weight of the ink cartridge 2450 is measured to check whether there is no ink remaining in the cartridge. This is to inject ink into the cartridge 2450 in an acceptable capacity.

잉크 카트리지를 잉크 충전 장치에 장착하고 잉크를 주입한다(S124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충전 장치(2000)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세 종류의 잉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각각 3개의 잉크 주입부(2100)와 잉크 회수부(2200)를 구비한다. 카트리지 고정부(2400)에 잉크 카트리지(2450)를 장착하고, 잉크 충전 장치(2000) 외부의 입력부에 색상 별로 주입하고자하는 잉크의 양을 입력한다. 색상마다 잉크의 주입량을 달리할 수도 있다. 잉크의 양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고정 로드가 압박부(2420)의 상면을 눌러 잉크 카트리지(2450)를 고정하여 충전 준비를 한다. 고정 로드가 압박부(2420)를 누름으로써 잉크 카트리지(2450)가 위치 고정되고,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이 노즐 어댑터(2300)의 뱅크에 밀착된다. The ink cartridge is mounted in the ink filling apparatus and the ink is injected (S1240). As shown in FIG. 13, the ink filling apparatus 2000 may include three ink injecting portions 2100 and ink recovery so as to fill three types of ink, yellow (Y), magenta (M), and cyan (C). The part 2200 is provided. The ink cartridge 2450 is mounted on the cartridge fixing unit 2400, and an amount of ink to be injected for each color is input to an input unit outside the ink filling apparatus 2000. The amount of ink injected may be different for each color. When the amount of ink is input, the control unit prepares the filling by fixing the ink cartridge 2450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2420. The ink cartridge 2450 is fixed in position by pushing the fixing rod 2420, and the nozzle of the ink cartridg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nk of the nozzle adapter 2300.

피스톤(2120)을 수용하는 케이스(2125)에는 연성 회로 기판(2131)이 부착되어 있다. 연성 회로 기판(2131)에는 주입되는 잉크의 양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드 스위치가 높이를 달리하여 부착되어 있다. 제어부는 입력된 잉크의 양에 해당하는 리드 스위치를 선택하여 세팅한다. 충전 동작이 실행되면 에어 컴프레셔를 작동시켜 공기 유입관에 공기를 가압하고, 피스톤(212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초기 상태에서 실린더(2140)는 일정한 양의 잉크를 수용하며, 주입 밸브(2110)는 개방되고 회수 밸브는 닫혀 있는 상태이다. 피스톤(2120)이 하강하는 동안 실린더(2140)에 수용된 잉크가 잉크 주입관(2111) 및 노즐 어댑터를 통해 잉크 카트리지에 주입된다. 피스톤(2120)이 이동하는 동안 피스톤(2120)에 내장된 자석(2133)의 위치가 내려간다. 자석(2133)이 세팅된 리드 스위치의 근처를 지날 때 선택된 리드 스위치는 온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주입 밸브(2110)는 닫히고 회수 밸브(2210)는 개방된다. 주입 밸브(2110)가 리드 스위치의 온 상태에 따라 닫힘으로써 정확한 양의 잉크가 노즐 어댑터(2300)를 통해 주입된다. 피스톤(2120)은 하면이 실린더(2140)의 바닥에 닿을 때까지 이동하며, 입력된 용량 외의 잉크는 회수 밸브(2410)를 통해 잉크 저장부로 이동한다. 이 때 공급 밸브(2154)는 일방향 밸브이므로 잉크가 공급 밸브(2154)를 통해 이동하지는 않는다. 피스톤(2120)이 실린더(2140)의 바닥에 닿으면 주입 밸브(2110)와 회수 밸브(2410)는 모두 닫히며, 회수 과정이 종료된다. 실린더(2140)에 수용된 잉크의 회수가 종료되면 피스톤(2120)은 원 위치로 복귀한다. 피스톤(2120)이 원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잉크 공급관(2510)을 통해 잉크 저장부에 저장된 잉크가 실린더(2140) 내로 이동한다. 본 발명은 피스톤(2120)이 실린더(2140)의 바닥까지 이동하여 남은 잉크를 일단 전부 회수한 후 다시 초기 상태로 잉크를 채움으로써 실린더(2140)에 정확한 양의 잉크가 수용될 수 있다.The flexible circuit board 2131 is attached to the case 2125 accommodating the piston 2120. A plurality of reed switche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ink to be injected are attached to the flexible circuit board 2131 at different heights. The controller selects and sets a reed switch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k amount. When the fill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air compressor is operated to pressurize air to the air inlet pipe, and move the piston 2120 downward. In the initial state, the cylinder 2140 receives a certain amount of ink, the inlet valve 2110 is open and the return valve is closed. While the piston 2120 is lowered, the ink contained in the cylinder 2140 is injected into the ink cartridge through the ink injection pipe 2111 and the nozzle adapter. While the piston 2120 moves, the position of the magnet 2133 embedded in the piston 2120 is lowered. When the magnet 2133 passes near the set reed switch, the selected reed switch is turned on, thereby closing the injection valve 2110 and opening the recovery valve 2210. The injection valve 2110 is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on state of the reed switch so that the correct amount of ink is injected through the nozzle adapter 2300. The piston 2120 moves until the bottom surface reaches the bottom of the cylinder 2140, and ink other than the input capacity moves to the ink reservoir through the recovery valve 2410. At this time, since the supply valve 2154 is a one-way valve, ink does not move through the supply valve 2154. When the piston 2120 touches the bottom of the cylinder 2140, both the injection valve 2110 and the recovery valve 2410 are closed, and the recovery process ends. When the recovery of the ink contained in the cylinder 2140 ends, the piston 212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s the piston 212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ink stored in the ink reservoir moves through the ink supply pipe 2510 into the cylinder 2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ston 2120 moves to the bottom of the cylinder 2140 to recover the remaining ink once, and then fills the ink to the initial state so that the correct amount of ink may be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2140.

충전을 마친 잉크 카트리지의 무게를 체크한다(S1250). 충전을 마친 잉크 카트리지의 무게를 충전함으로써 정확한 양의 잉크가 충전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Check the weight of the ink cartridge is finished filling (S1250). By filling the weight of the refilled ink cartridge, you can verify that the correct amount of ink has been filled.

테스트 인쇄를 한다(S1260). 테스트 인쇄를 하여 잉크 카트리지의 인쇄 성능 및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Test printing is performed (S1260). Perform a test print to check the print performance and abnormality of the ink cartridg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2000 : 잉크 충전 장치 2100 : 잉크 주입부
2110 : 주입 밸브 2111 : 잉크 주입관
2112 : 잉크 주입구 2120 : 피스톤
2121, 2122 : 공기 유입관 2125 : 케이스
2130 : 센서부 2131 : 연성 회로 기판
2132a, 2132b : 리드 스위치 2133 : 자석
2140 : 실린더 2151, 2152 : 잉크 공급관
2154 : 공급 밸브 2200 : 잉크 회수부
2210 : 회수 밸브 2220 : 잉크 회수관
2230 : 노즐 연결구 2300 : 노즐 어댑터
2310 : 상부면 2311, 2312, 2313 : 미세 통로
2315 : 오목부 2317 : 뱅크
2320 : 하부면 2321, 2322, 2323 : 하방 통로
2330, 2340, 2350 : 측면 2331, 2332, 2333 : 제1 측방 통로
2341, 2351 : 제2 측방 통로 2400 : 카트리지 고정부
2410 : 지지대 2411 : 홈
2412 : 홀 2413 : 스프링
2420 : 압박부 2421 : 돌출부
2422 : 돌기 3000 : 석션 장치
3100 : 진공 펌프 3110 : 제1 석션관
3111 : 흡입 밸브 3120 : 제2 석션관
2000: ink filling device 2100: ink injection unit
2110: injection valve 2111: ink injection pipe
2112: ink injection hole 2120: piston
2121, 2122: air inlet pipe 2125: case
2130: sensor portion 2131: flexible circuit board
2132a, 2132b: Reed Switch 2133: Magnet
2140: cylinders 2151, 2152: ink supply pipe
2154: supply valve 2200: ink recovery unit
2210: recovery valve 2220: ink recovery tube
2230: nozzle connector 2300: nozzle adapter
2310: upper surface 2311, 2312, 2313: fine passage
2315: recess 2317: bank
2320: lower surface 2321, 2322, 2323: downward passage
2330, 2340, 2350: side 2331, 2332, 2333: first side passage
2341, 2351: second side passage 2400: cartridge fixing part
2410: support 2411: groove
2412: hole 2413: spring
2420: compression portion 2421: protrusion
2422: projection 3000: suction device
3100: vacuum pump 3110: first suction tube
3111: suction valve 3120: second suction pipe

Claims (7)

상하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 잉크의 주입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잉크가 수용되며 내부로 상기 피스톤이 삽입 이동하는 실린더, 잉크의 주입을 제어하는 주입 밸브를 구비하는 잉크 주입부;
상기 실린더로부터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 회수부;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고정부; 및
상기 카트리지 고정부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잉크 주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잉크 주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잉크를 잉크 카트리지에 주입시키는 노즐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어댑터는
상부면, 하부면, 측면을 구비하며, 상부면에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에 대응하는 뱅크가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천공되는 하방 통로와,
상기 상부면에서 상기 뱅크에 의해 구획된 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천공되는 미세 통로와,
상기 하방 통로와 상기 미세 통로를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에 대해 수평으로 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 장치.
An ink injection unit including a piston movable up and down, a sensor unit sensing an injection amount of ink, a cylinder into which ink is inserted and the piston is inserted and moved, and an injection valve controlling injection of ink;
An ink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ink from the cylinder;
A cartridge fixing part in which an ink cartridge is mounted; And
And a nozzle adapt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rtridge fix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ink injection part to inject ink supplied from the ink injection part into the ink cartridge.
The nozzle adapter
And a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a bank corresponding to the nozzle of the ink cartridg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side the body portion
A downward passage drilled vertically from the lower surface,
Fine passages perforated vertically from a surface partitioned by the bank at the upper surface;
At least one side passage connecting the lower passage and the micro passage, the at least one side passage being horizontally perfora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외부에 높이를 달리하여 부착된 복수의 리드 스위치와, 상기 피스톤에 내장된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nd a plurality of reed switches attached at different heights to the outside of the case accommodating the piston, and a magnet embedded in the pist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주입부와 상기 잉크 회수부는 각각 N개 구비되어 상기 노즐 어댑터에 N개 종류의 잉크를 공급하고, 상기 노즐 어댑터에 의해 N개 종류의 잉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nk injection unit and the ink recovery unit are each provided with N pieces of ink supplying the N kinds of ink to the nozzle adapter, the ink fil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filling the N kinds of ink by the nozzle adapter.
상부면, 하부면, 측면을 구비하며, 상부면에 잉크 카트리지의 노즐에 대응하는 뱅크가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천공되는 하방 통로와,
상기 상부면에서 상기 뱅크에 의해 구획된 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천공되는 미세 통로와,
상기 하방 통로와 상기 미세 통로를 연결하며, 상기 하부면에 대해 수평으로 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어댑터.
And a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a bank corresponding to the nozzle of the ink cartridg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side the body portion
A downward passage drilled vertically from the lower surface,
Fine passages perforated vertically from a surface partitioned by the bank at the upper surface;
And at least one side passage connecting the lower passage and the micro passage, the at least one side passage being horizontally drill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에는 상기 뱅크에 의해 N개의 면이 구획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N개의 하방 통로와 N개의 미세 통로가 형성되어 각각의 하방 통로와 미세 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통로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어댑터.
5. The method of claim 4,
N upper surfaces are partitioned by the banks,
N downward passages and N fine passages ar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each of the downward passages and the fine passages is connected by at least one side passa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어댑터는
상기 상부면에 상기 뱅크에 의해 N개의 면이 구획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N개의 하방 통로와 N개의 미세 통로가 형성되어 각각의 하방 통로와 미세 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통로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nozzle adapter
N surfaces are partitioned by the bank on the upper surface,
N down passages and N fine passages ar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each of the down passages and the micro passages is connected by at least one side passage.
KR1020120014879A 2012-02-14 2012-02-14 Apparatus for refilling ink and nozzle adapter KR101332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79A KR101332132B1 (en) 2012-02-14 2012-02-14 Apparatus for refilling ink and nozzle adap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79A KR101332132B1 (en) 2012-02-14 2012-02-14 Apparatus for refilling ink and nozzle adap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594A KR20120140594A (en) 2012-12-31
KR101332132B1 true KR101332132B1 (en) 2013-11-21

Family

ID=4790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879A KR101332132B1 (en) 2012-02-14 2012-02-14 Apparatus for refilling ink and nozzle adap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1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4301B2 (en) 2019-06-14 2022-04-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cting toner injection amount of toner refill cartrid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8738B2 (en) * 2018-08-30 2024-03-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ringe bodi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457A (en) * 2004-12-18 2005-06-23 황병옥 Refilling and cleaning machine with detachable jig for ink cartridges
KR20050100961A (en) * 2004-04-16 2005-10-20 이태규 Ink filling system for ink cart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961A (en) * 2004-04-16 2005-10-20 이태규 Ink filling system for ink cartridge
KR20050062457A (en) * 2004-12-18 2005-06-23 황병옥 Refilling and cleaning machine with detachable jig for ink cartridg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4301B2 (en) 2019-06-14 2022-04-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cting toner injection amount of toner refill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594A (en)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4183B2 (en) Liquid injection device
US7628478B2 (en) Ink container, ink jet recording apparatus, ink filling method, and ink filling device
EP2546059B1 (en) Fluid storage container
KR101332188B1 (en) Ink jet module
JP2007050666A (en) Inkjet recording system, ink cartridge, and inkjet recorder
KR101332132B1 (en) Apparatus for refilling ink and nozzle adapter
EP1886820A2 (en) Liquid injecting method and liquid container
US9434171B2 (en) Ink cartridge and inkjet printer
KR20070116933A (en) Liquid container
KR20070116934A (en) Liquid ejection device
JP2007160684A (en) Liquid ejector, its exchange liquid container, and method for mounting exchange liquid container
JP2006306041A (en) Liquid ejector
KR100732468B1 (en) Ink recharge system of ink cartridge and ink recharging method
US7686436B2 (en) Ink recharging system for ink cartridge, bulk ink cartridge used in said system, and ink recharging method using them
JP2006306042A (en) Liquid ejector and method of collecting waste liquid in the ejector
JP4665565B2 (en) Cleaning liquid recovery body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2006264276A (en) Washing fluid container and liquid injection apparatus
KR100830667B1 (en) Ink-cartridge for printers and ink refilling method
KR100672985B1 (en) Refilling and cleaning machine with detachable jig for ink cartridges
JP4711175B2 (en) Waste liquid recovery container, waste liquid discharge method from the same, and cartridge provided with the same
JP2019038125A (en) Liquid discharge device and filter unit
JP5880156B2 (en) Liquid cartridge and droplet ejecting apparatus
KR20090030405A (en) Ink charging-equipment of hand pump
JP2020131689A (en) Method for cleaning liquid discharge device
KR100673355B1 (en) Ink filling system for ink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