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616B1 -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 Google Patents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616B1
KR101331616B1 KR1020120112841A KR20120112841A KR101331616B1 KR 101331616 B1 KR101331616 B1 KR 101331616B1 KR 1020120112841 A KR1020120112841 A KR 1020120112841A KR 20120112841 A KR20120112841 A KR 20120112841A KR 101331616 B1 KR101331616 B1 KR 101331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portion
pipe
forest fire
tube
fo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12011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57Fire curtains, blankets, walls, fen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불방지용 수막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불보호대상지역 및 산불보호대상체의 주변에 상호간 이격시켜 다수개가 설치되되, 관정부로부터 지하수를 공급받아, 산불보호대상지역 주변에서 산불이 발생시, 산불이 산불보호대상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산불이 발생을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방향으로도 살수가 가능하면서, 수막타워의 수리, 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도록 한 산불방지용 수막타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불방지용 수막타워{GROUND WATER LAYER TOWER FOR FOREST FIRE PRENENTION}
본 발명은 산불보호대상지역에 상호간 이격되며 다수 설치되어, 산불이 발생된 보호대상지역 주변 어느 방향을 향해서도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불 확산 지연 및 차단이 가능토록 한 산불방지용 수막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건축물에 적용되는 소방관계법령의 소방시설은 건물의 크기 및 용도, 수용인원에 따라 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살수설비, 경보설비 등 화재진압용 소화설비를 필연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것이 법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법적 소화설비들은 모두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에 자체 진화용으로 개발되고 법정 소화설비의 규정 또한 건물의 자체 화재 진화에 초점이 맞추어 규정하고 있음으로 화재가 외부로부터 번져오는 경우는 전혀 대처가 불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화재는 대부분 대형 화재로써 복사열, 맞바람을 동반한 화염 등으로 인해 사람이 사용하는 소화전 등으로는 접근조차 불가능하여 대응할 수 없는 규모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산간 지역이나 숲 등에 인접한 건물은 산불 등이 발생시 전소하는 사례가 국내외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 중 가치를 산정할 수 없는 유일한 문화재도 있어 우리를 안타깝게 하는 게 현실이다.
아울러 대개 이런 건물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은 숲과 산림지역 등에 산재되어 있음으로 화재 시 소방차등이 진입하기 어려운 장소들이 대부분이고 설사 출동이 가능한 지역이라 할지라도 도착시간이 장시간인 점을 감안할 때 그 대비가 수월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불보호대상구역 주변에 산불이 발생할 경우, 산불보호대상구역 주변 어느 방향으로도 용이하게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근하는 산불진화, 산불의 확산 방지 및 화재진압을 위해 출동한 소방차 및 소방헬기 등이 도착할 때까지 산불의 접근을 지연이 가능토록 하며, 고장발생시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산불방지용 수막타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숲 또는 산림지역에 설치되며, 함체부(10)의 상부에 대응되어 고정설치되는 관체부(20); 상기 관체부(2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공급되는 지하수를 관체부(20)의 상단부에서 분사함으로써, 관체부(20) 주위에 산불방지를 위한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관체부(20) 내에서 함체부(10)에 내설된 엘보관(12)에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플렉시블한 연결관(31)과, 상기 연결관(31)과 타단에 연통연결되어 관체부(20)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부관(32)과, 상기 상부관(32)에 회전가능하게 연통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을 향해 지하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노즐부(33)로 이루어지는 살수부(3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관(32)은 관체부(20) 최상면에 형성된 체결부재(25)에 의해 상부관(32)의 위치가 고정도록 하되, 상기 체결부재(25)에 풀림 또는 조임에 의해 상부관(32)과 노즐부(33)를 상, 하 높이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산불이 발생시, 주변 보호대상구역까지 산불이 확산되더라도, 보호대상구역 주변에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산불을 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막의 최상단 노즐부가 회전이 가능하여, 360도 어느방향으로도 수막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 및 관 연결부위의 수리,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불 발생시, 보호대상구역 주변에 형성된 수막으로 인하여, 산불이 보호대상구역으로 확산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불 발생시, 보호대상구역 주변에 형성된 수막으로 인하여, 소화작업을 위한 각종 차량 및 헬기가 도착할 때까지의 산불 확산을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대상구역 주변에 수막타워를 사전설치함으로써, 산불발생시 실시간으로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불방지용 수막타워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의 연결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체의 회전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풀림 작동으로 인한 노즐부의 회전작동 및 점검난간의 상, 하 유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보관 내 잔여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컨대, 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숲 또는 산림지역에 설치되며, 함체부(10)의 상부에 대응되어 고정설치되는 관체부(20); 상기 관체부(2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공급되는 지하수를 관체부(20)의 상단부에서 분사함으로써, 관체부(20) 주위에 산불방지를 위한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관체부(20) 내에서 함체부(10)에 내설된 엘보관(12)에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플렉시블한 연결관(31)과, 상기 연결관(31)과 타단에 연통연결되어 관체부(20)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부관(32)과, 상기 상부관(32)에 회전가능하게 연통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을 향해 지하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노즐부(33)로 이루어지는 살수부(3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관(32)은 관체부(20) 최상면에 형성된 체결부재(25)에 의해 상부관(32)의 위치가 고정도록 하되, 상기 체결부재(25)에 풀림 또는 조임에 의해 상부관(32)과 노즐부(33)를 상, 하 높이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부(10)는 지면에 매설되는 함체(11); 상기 함체(11) 내부에 내설되되, 중단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일단은 관체부(20) 내 살수부(30)와 연통되고, 타단은 지하수관(P)과 연결되어 지하수를 공급받는 엘보관(12); 상기 엘보관(12)의 타단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엘보관(12) 내 잔여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관(13); 상기 드레인관(13)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개폐밸브(1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체부(20)는 다수개의 관체(21)가 플랜지(22)를 통해 상호간 연속체결되되, 상기 플랜지(22)에 형성된 결합공(23)을 원호방향을 향해 장공 형태로 천공형성하여, 상기 장공 길이만큼 관체(53)가 좌, 우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체부(20)는 상기 관체부(20)의 외주연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되, 관체부(20) 내 관 연결부위(α, β)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점검구(40); 상기 다수의 점검구(40) 및 관체부(20)의 상단부 근처에 위치되도록, 상기 관체부(20) 외주연에 상, 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고정설치되는 점검난간(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불방지용 수막타워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불방지용 수막타워는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한 지하 관정부(지하수를 사용하기 위해 지하에 소정의 깊이로 굴착한 후, 상기 굴착부위에 설치된 관, 미도시)와 지하수관(P)으로 연결되어, 지하 관정부로부터 공급된 지하수를 외부로 살수하는 장치이다. (물론, 상기 지하 관정부에서 본 발명의 산불방지용 수막타워로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펌프, 모터를 구비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지하 관정부에서 펌프, 모터 등의 지하수 공급수단을 통해 뽑아올린 지하수를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연통부재(ex: 관, 호스 등)로 연결하여 지하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물론, 상기 지하 관정부와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사이에도 또 다른 펌프를 설치하여, 지하수가 지하 관정부에서 산불방지용 수막타워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불방지용 수막타워는 사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지역, 즉 보존가치를 가지는 산불보호대상(ex: 문화재, 유적지, 사찰, 휴양림 등)이 있는 산불보호대상구역 주변에 상호간 이격시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로써, 산불보호대상구역 근방에서 산불이 발생하게 되었다면, 발생된 산불이 산불보호대상구역까지 확산되지 않도록 산불보호대상구역 주변에 지하수를 살수하여, 산불을 진화하거나, 또는 산불이 산불보호대상구역까지 번지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소방차 및 소방헬기가 도착할때까지 산불의 이동을 지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산불방지용 수막타워는 함체부(10), 관체부(20), 살수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함체부(10)는 후술될 관체부(20)를 설치하기 위해, 산불보호대상구역(또는 사용자가 설치를 원하는 산불방지구역) 근방 지면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함체(11), 엘보관(12), 드레인관(13), 개폐밸브(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함체(11)는 상면이 지면과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내설되는 것으로, 후술될 엘보관(1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엘보관(12)이 내설된 상태로 내부가 채워져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함체(11)는 콘크리트 등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이다.
상기 엘보관(12) 이러한 함체(11)에 내설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엘보관(12)은 중단이 절곡되어 'L'자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일단은 상부를 수직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하고, 타단은 지하 관정부와 연결된 지하수관(P)을 향해 개구되도록 하여, 상기 함체부(10) 내, 즉 지하에서 지하수관(P)을 후술될 연결관(31)과 상호간 연통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엘보관(12)의 일단은 함체(11)의 상면을 관통하여, 함체(11)의 외부로 소정길이가 수직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드레인관(13)은 전술된 엘보관(12)의 타단 외주연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엘보관(12)의 타단 외주연 하단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엘보관(12)에 잔여로 남게되는 지하수가 엘보관(12)에 고여있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드레인관(13)에는 개폐밸브(14)가 설치되어, 개폐밸브(14)를 통해 드레인관(13)을 통한 잔여 지하수 배출 유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드레인관(13) 및 개폐밸브(14)가 설치된 엘보관(12)의 타단까지는 지면에서부터 파여진 형태가 되도록 한 후, 파여진 지면 상부에 커버를 형성하여 개폐가능하게 구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이다.)
상기 관체부(20)는 전술된 함체부(10)의 상면에 대응되어 직립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이며, 상, 하단이 개구된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관체부(20)는 다수개의 관체(21)가 수직방향으로 상호간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써, 상기 다수의 관체(21)는 상호간 연결을 위한 양단에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직립으로 세워져 결합되는 관체(21) 상호간 플랜지(22) 부분이 접촉되도록 한 후, 플랜지(22)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공(23)을 연결부재(볼트와 너트, 24)로 조임으로써, 상호간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각 관체(21)의 플랜지(22)에 형성된 결합공(23)이 형상이 플랜지(22)의 원주방향을 향해 기존의 원형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공 형태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재(24)로 연결되어 있어도, 상기 장공의 길이만큼 결합되어 있는 플랜지(22)와 관체(21)를 좌, 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렇듯 플랜지(22)에 형성된 결합공(23)을 장공형태로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관체(21)에 형성된 결합공(23) 모두 또는 상호간 결합되는 복수개의 플랜지(22) 중 하나의 플랜지(22)에만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ex: 회전이 가능토록 하고자 하는 관체(21)의 플랜지(22)에만 결합공(23)을 장공형태로 형성)이며, 상호간 연결되는 관체(21)의 사용개수를 조절(사용되는 관체(21)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다 가정할 경우, 일실시예로 3개를 연속연결하는 것보다 4개를 연결할 시에 관체부(20) 전체 길이가 증가됨은 당연할 것이다.)함으로써 수막타워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관체부(20)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점검구(40)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점검구(40)는 관체부(20) 내에 길이방향으로 내설되어 상호간 연통되는 다수개의 관 연결부위(α, β)에 대응되도록 하는데, 다시 말해, 상기 관체부(20)의 외주연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점검구(40)가 상기 관체부(20) 내 다수개 관 연결부위(α, β)에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점검구(40)를 오픈했을 시, 관 연결부위(α, β)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다수의 점검구(40)는 관체부(20)에 내설된 관 연결부위(ex: 엘보관(12)과 연결관(31)의 연결부위(α), 연결관(31)의 상부관(32)의 연결부위(β))의 보수, 관 내부에 지하수가 사용되지 않고 채워져 있거나, 사용 후 내부에 고여진 채로 남아있는 지하수(겨울철 동파방지를 위해 필요함)를 관 연결부위(α, β)에서 오픈(관 연결부위(α, β)를 풀어서 상호간 연결된 관의 연결이 풀어지도록 함)함으로써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체부(20)의 외주에는 엘보관(12)과 연결관(31)의 연결부위(α), 연결관(31)의 상부관(32)의 연결부위(β) 등의 관 연결부위 근처, 또는 후술될 살수부(30)의 노즐부(33) 수리/보수를 위해 점검난간(5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검난간(50)은 관체부(20)의 외주연에서 상, 하로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거나(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그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함) 또는 관체부(20) 상단부 외주연(ex: 점검구(40) 근처, 살수부(30) 하단 등)에 개별적으로 점검난간(50)이 고정설치될 수 있음이다. 물론, 이러한 상기 다수의 점검난간(50)이 전술된 바와 같은 각각의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경우라면, 상기 관체부(20)의 외주연을 따라 각각의 점검난간(50)까지 올라갈 수 있는 사다리가 관체부(20)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살수부(30)는 전술된 함체부(10)의 엘보관(12)과 연통된 상태로 관체부(20)에 내설되어, 상기 관체부(20)의 최상단에서 지하수를 외부로 살수하고자 하는 것으로, 연결관(31), 상부관(32), 노즐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관(31)은 전술된 관체부(20)에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는 관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플렉스블한 관(ex: 고무재질 호스 등)이 사용되도록, 겨울철 동파방지에 효과가 있도록 하며, 이러한 연결관(31)의 하단부는 관체부(20) 내 하단에서 전술된 함체부(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엘보관(12) 일단과 연통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관(32)은 관체부(20) 내 상단에서 연결관(31)과 일단이 연통연결되고, 타단은 관체부(20)의 최상단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상부관(32)은 엘보관(12)과 마찬가지로 강관(steel pipe, 鋼管)이 사용되지만, 이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한 부분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부관(32)의 경우, 상부관(32)이 관체부(20) 내부에서 관통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관체부(20)의 상면에 체결부재(25)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상기 체결부재(25)는 관체부(20)의 상면에서, 관체부(20)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부관(32)의 외주연을 고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체결부재(25)를 렌치 등의 기구로 조일 경우에는 체결부재(25)가 상부관(32)을 고정하여 상부관(3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체결부재(25)를 풀 경우에는 상부관(32)을 조이고 있는 체결부재(25)가 풀어짐으로써 상부관(32)을 상, 하로 위치조절(높이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체결부재(25)로 컬렉트 척(collect chuck)이 사용되었지만, 상기와 같은 위치고정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수단으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노즐부(33)는 전술된 상부관(32)의 상단부에 연통가능하게 연결되되, 지면과 수평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구조로써, 상기 상부관(32)의 최상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지하수를 외부로 살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되,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사방 어느방향으로도, 주변 360° 어느 방향으로도 지하수 살수가 가능하여, 어떠한 방향으로도 수막 형상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노즐부(33)에 이상이 생겨, 노즐부(33)를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전술된 점검난간(50)에 작업자가 올라간 후, 이러한 작업자를 통한 유지보수가 가능토록 상기 체결부재(25)를 풀어 상부관(32)과 노즐부(33)를 하강시킨 후, 점검난간(50)에서 작업자가 노즐부(33)를 수리/보수할 수 있으며, 더불어, 점검난간(50)은 상, 하로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거나, 관체부(20) 내 관 연결부위(α, β)마다 설치된 점검부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있음으로, 상기 점검난간(50)을 통해 점검부를 열어 관 연결부위(α, β)를 보수하거나, 내부에 잔여로 채워져 남아있는 지하수를 배출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함체부 11: 함체
12: 엘보관 13: 드레인관
14: 개폐밸브 20: 관체부
21: 관체 22: 플랜지
23: 결합공 24: 연결부재
25: 체결부재 30: 살수부
31: 연결관 32: 상부관
40: 점검구 50: 점검난간

Claims (4)

  1. 숲 또는 산림지역에 설치되며, 함체부(10)의 상부에 대응되어 고정설치되는 관체부(20);
    상기 관체부(2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공급되는 지하수를 관체부(20)의 상단부에서 분사함으로써, 관체부(20) 주위에 산불방지를 위한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관체부(20) 내에서 함체부(10)에 내설된 엘보관(12)에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플렉시블한 연결관(31)과, 상기 연결관(31)과 타단에 연통연결되어 관체부(20)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부관(32)과, 상기 상부관(32)에 회전가능하게 연통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을 향해 지하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노즐부(33)로 이루어지는 살수부(3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관(32)은 관체부(20) 최상면에 형성된 체결부재(25)에 의해 상부관(32)의 위치가 고정도록 하되, 상기 체결부재(25)에 풀림 또는 조임에 의해 상부관(32)과 노즐부(33)를 상, 하 높이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10)는
    지면에 매설되는 함체(11);
    상기 함체(11) 내부에 내설되되, 중단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일단은 관체부(20) 내 살수부(30)와 연통되고, 타단은 지하수관(P)과 연결되어 지하수를 공급받는 엘보관(12);
    상기 엘보관(12)의 타단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엘보관(12) 내 잔여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관(13);
    상기 드레인관(13)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개폐밸브(1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부(20)는
    다수개의 관체(21)가 플랜지(22)를 통해 상호간 연속체결되되,
    상기 플랜지(22)에 형성된 결합공(23)을 원호방향을 향해 장공 형태로 천공형성하여, 상기 장공 길이만큼 관체(53)가 좌, 우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부(20)는
    상기 관체부(20)의 외주연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되, 관체부(20) 내 관 연결부위(α, β)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점검구(40);
    상기 다수의 점검구(40) 및 관체부(20)의 상단부 근처에 위치되도록, 상기 관체부(20) 외주연에 상, 하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고정설치되는 점검난간(50);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KR1020120112841A 2012-10-11 2012-10-11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KR101331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841A KR101331616B1 (ko) 2012-10-11 2012-10-11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841A KR101331616B1 (ko) 2012-10-11 2012-10-11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616B1 true KR101331616B1 (ko) 2013-11-22

Family

ID=4985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841A KR101331616B1 (ko) 2012-10-11 2012-10-11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6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559B1 (ko) * 2014-05-19 2015-04-17 유한회사 장원엔지니어링 수막을 이용한 산불방지 시스템
KR20160142223A (ko) 2016-03-07 2016-12-12 이플래넷 주식회사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및 관체 직립 방법
RU181922U1 (ru) * 2018-01-30 2018-07-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снабинвест" (ООО "Газснабинвест") Вышка пожарная для лафетного ствола
KR20220036413A (ko) * 2020-09-14 2022-03-23 주식회사 나브텍 소화용 오실레이팅 엘리베이티드 모니터
KR20220039220A (ko) *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나브텍 항만 크레인용 오실레이팅 엘리베이티드 소화모니터
KR102640971B1 (ko) 2023-03-17 2024-02-26 드림라인 주식회사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141A (ja) * 1994-06-06 1995-12-19 Akimoto Valve Kogyo Kk 防災用自動昇降式散水装置
KR20070031974A (ko) * 2007-02-15 2007-03-20 이우성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KR20080025706A (ko) * 2008-01-24 2008-03-21 이여한 산불진화 무인자동화장치시설과 구조물
KR100981287B1 (ko) 2010-03-03 2010-09-10 (주) 삼진정밀 산불 초기진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141A (ja) * 1994-06-06 1995-12-19 Akimoto Valve Kogyo Kk 防災用自動昇降式散水装置
KR20070031974A (ko) * 2007-02-15 2007-03-20 이우성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KR20080025706A (ko) * 2008-01-24 2008-03-21 이여한 산불진화 무인자동화장치시설과 구조물
KR100981287B1 (ko) 2010-03-03 2010-09-10 (주) 삼진정밀 산불 초기진화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559B1 (ko) * 2014-05-19 2015-04-17 유한회사 장원엔지니어링 수막을 이용한 산불방지 시스템
KR20160142223A (ko) 2016-03-07 2016-12-12 이플래넷 주식회사 전 자동 재난 경보 장치 및 관체 직립 방법
RU181922U1 (ru) * 2018-01-30 2018-07-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снабинвест" (ООО "Газснабинвест") Вышка пожарная для лафетного ствола
KR20220036413A (ko) * 2020-09-14 2022-03-23 주식회사 나브텍 소화용 오실레이팅 엘리베이티드 모니터
KR102530578B1 (ko) * 2020-09-14 2023-05-10 주식회사 나브텍 소화용 오실레이팅 엘리베이티드 모니터
KR20220039220A (ko) *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나브텍 항만 크레인용 오실레이팅 엘리베이티드 소화모니터
KR102581338B1 (ko) * 2020-09-22 2023-09-21 주식회사 나브텍 항만 크레인용 오실레이팅 엘리베이티드 소화모니터
KR102640971B1 (ko) 2023-03-17 2024-02-26 드림라인 주식회사 산불소화시설 수관수막 스마트 타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616B1 (ko)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US9764174B2 (en) Rain maker wildfire protection and containment system
KR102037710B1 (ko) 화재 방지 시스템
KR102007127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CA2702855A1 (en) Dynamic water shield fire protection system
JP6125897B2 (ja) 延焼防止用散水ノズル及びこれを用いた街路壁面用散水システム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KR100932322B1 (ko) 주변의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수막설비시스템
KR101389799B1 (ko) 수막을 이용한 산불방지 급수 시스템
KR101509559B1 (ko) 수막을 이용한 산불방지 시스템
US7165626B2 (en) Fire prevention fence
KR20050101264A (ko)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US20140374127A1 (en) System for self-protection against forest fires in an urban forest interface
KR100860361B1 (ko) 송전탑 보호 시설물
KR102175510B1 (ko) 화재경계지구 타워형 스프링클러 장치
KR102055834B1 (ko) 벽걸이 소화장치
EP3245341A1 (en) Fire hydrant with adjustable length
KR20220076813A (ko) 지하 공동구 내에서의 자동 화재 진압 장치
KR102548393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CN204193374U (zh) 室内埋地式消防栓装置
US20090301736A1 (en) Deployable exterior fire protection system
KR102358187B1 (ko) 폼분사 지하 비상소화함 시스템
CN210163986U (zh) 一种隐藏式消防栓
RU2083245C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е защитное заграждение
KR100683550B1 (ko)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소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