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502B1 - 전력량계 및 상기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량계 및 상기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502B1
KR101331502B1 KR1020130063234A KR20130063234A KR101331502B1 KR 101331502 B1 KR101331502 B1 KR 101331502B1 KR 1020130063234 A KR1020130063234 A KR 1020130063234A KR 20130063234 A KR20130063234 A KR 20130063234A KR 101331502 B1 KR101331502 B1 KR 101331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price
power transmiss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효
손병일
김영훈
박남규
장순섭
박태영
Original Assignee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3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예의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은, 복수의 전력원인 메인 발전소(A)와 보조 발전소(B)로부터 송전 및 수전되는 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으로서, 상기 A와 B의 송전 또는 수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A가 수전상태이고, B가 송전상태인 경우에, A의 수전량에 대한 가격과,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의 가격 비교 결과에 따라, B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의 정보를 사용자측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의 가격 비교 결과에 따라 B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A의 수전량에 대한 가격이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 보다 비싼 경우에는, 사용자측으로 B의 동작을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A의 수전량에 대한 가격이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 보다 싼 경우에는, 사용자측으로 B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전력량계 및 상기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Power meter and measuring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meter}
본 발명은 복수의 전력원의 입력을 단일의 전력량계에서 입력받아, 전력원의 운영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에 대한 것이다.
과거의 전력 거래는 공급자가 수요자에게 일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수요자는 공급 전력을 받아서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었으나, 최근에는 수요자도 발전소를 갖춰서 전력을 생산하여 판매할 수 있게되었다.
국내 전력 산업에서는 전력 시장의 운영, 전력 계통의 운영, 실시간 급전 운영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한국전력거래소를 통해 발전소를 갖춘 개인이나 사업자에 대해 전력 시장에서의 전력 판매를 허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발전소를 통해 계통 전력을 공급하는 한전 등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계통 연계형 발전시스템이라고 하며, 한국전력거래소에 전력을 판매하는 발전소로는 주로 원자력 발전소, 화력 발전소, 수력 발전소, 태양열발전소, 열병합 발전소 등등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계통 연계형 발전 시스템의 발전소는 발전을 하기 위한 부하 설비를 가동하기 위해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동력원으로는 축전지, 기름 등의 자원, 별도의 수전 설비를 통해 한전으로부터 수전되는 전력에 의해 확보되는 전원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한전으로부터 수전되는 전력에 의해 확보되는 전원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수전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계통 연계형 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계통 연계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발전원(20)의 발전으로 인해 생산되는 전력을 송전선(40)을 통해 한전의 계통전력을 제공하는 송배전선(10)으로 공급한다.
또한, 부하 설비(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보조 발전원(20)이 이용된다.
스위치(41)는 발전원(20)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한전의 송배전선(10)으로 공급되도록 단속하고, 스위치(51)는 한전의 송배전선(10)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부하 설비(30)로 공급되도록 단속한다. 다만, 실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개념도와는 달리, 단일망에서 송전과 수전이 모두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단일망을 이용하므로, 이를 통하여 송전 및 수전되는 양을 사용자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이, 발전원(20)이 발전을 시작하여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한편, 도 1에서 발전원(20)과 송배전선(10) 사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송전선(40)과, 송배전선(10)과 부하설비(30) 사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전선(50)에는 전력 공급을 제어하거나 계량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들이 구비되어야 하나 설명의 편의상 종래의 계통 연계형 발전 시스템의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 위해 해당 장치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계통 연계형 발전 시스템에서 한전으로부터 수전되는 전력에 의해 확보되는 전원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전원(20)을 가동하기 위한 부하 설비(30)의 가동을 위해 수전선(50), 스위치(51) 등의 별도의 수전 설비가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계통 연계형 발전 시스템에서는 발전원(2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판매하기 위한 송전 설비외에 발전을 하기 위한 전원 확보를 위해 수전 설비를 별도로 꾸며야 하는 2중의 공사비 부담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전력원으로부터 송전량과 수전량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부수적인 전력원(예를 들면, 태양열이나 풍력 등의 재생에너지 전력원)의 동작 여부에 대한 필요성을 피드백해줄 수 있는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예의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은, 복수의 전력원인 메인 발전소(A)와 보조 발전소(B)로부터 송전 및 수전되는 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으로서, 상기 A와 B의 송전 또는 수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A가 수전상태이고, B가 송전상태인 경우에, A의 수전량에 대한 가격과,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의 가격 비교 결과에 따라, B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의 정보를 사용자측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의 가격 비교 결과에 따라 B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A의 수전량에 대한 가격이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 보다 비싼 경우에는, 사용자측으로 B의 동작을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A의 수전량에 대한 가격이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 보다 싼 경우에는, B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에 의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력에 따른 비용을 고려하여 사용자측으로, 보조 발전소의 운영에 대한 피드백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자가 적절히 보조 발전소의 운영을 증가시키거나 오히려 중단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계통 연계형 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를 기준으로 한 메인 발전소와 보조 발전소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에서 메인 발전소와 보조 발전소 사이의 송전과 수전의 의미를 정의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를 기준으로 한 메인 발전소와 보조 발전소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는(100)는 메인 발전소(300)에 의해 발전된 전력의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조 발전소(200)에 의해 생산된 전력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전력량계(100)는 메인 발전소(300)와 보조 발전소(200) 각각으로 송전 및 수전되는 양을 각각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량계의 제어부는 메인 발전소(300)와 보조 발전소(200) 각각의 송전 및 수전량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보조 발전소(20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계(100)는 보조 발전소(20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상기 메인 발전소(300)측으로 제공(공급)하는 양도 함께 체크할 수 있으며, 메인 발전소(300)는 한국전력이 그 예가 될 수 있으며, 보조 발전소(200)는 풍력 발전기, 태양열 발전기 등 한국전력 이외의 기관이나 개인이 설치하여 전력을 보조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기존의 경우, 한국전력과 같은 메인 발전소와, 태양열, 풍력과 같은 재생 에너지의 보조 발전소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는 건물이나, 시설의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전력량계를 구축하여야 했지만, 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전력원의 입력을 하나의 전력량계에서 입력받고, 이것을 해당 시설로 피드백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 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단순한 입력 수단이 아닌, 전체 사용 부하량을 통해 보조 발전소의 재생 에너지의 발전원을 제어하는 역할이 전력량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100)는, 메인 발전소와 보조 발전소의 송전량과 수전량을 각각을 모니터링하여, 보조 발전소의 지속적인 가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측으로 피드백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보조 발전소의 운영이 가격대비 불합리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보조 발전소의 동작 중지를 사용자측에 알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에서 메인 발전소와 보조 발전소 사이의 송전과 수전의 의미를 정의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력의 흐름들에 따라 메인 발전소와 보조 발전소 각각을 기준으로 송전과 수전이 정의될 수 있으며, 메인 발전소의 기준에서는, 한국전력과 같은 기관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경우를 메인 발전소의 송전이 되고, 반대로, 메인 발전소 측으로 전력을 판매할 때, 즉, 메인 발전소 측으로 전력을 공급할 때가 메인 발전소의 수전이 된다.
또한, 보조 발전소의 기준에서는, 재생 에너지 등을 이용해서 생산한 전력을 사용자 측이나 메인 발전소 측으로 공급하는 경우가 보조 발전소의 송전이 되고, 반대로, 보조 발전소의 동작을 위하여 보조 발전소가 전력을 소비하는 경우를 보조 발전소의 수전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송전과 수전의 의미를 간략히 정의하여 보면, 메인 발전소의 기준에서는 사용자측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가 송전이고, 사용자측(보조 발전소)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가 수전이 된다. 그리고, 보조 발전소의 기준에서는 사용자측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가 송전, 메인 발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가 수전이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에 대해서, 아래의 표 1과, 흐름도를 중심으로 자세히 설명하여 본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를 간단히 기재한 아래의 표 1을 참조하여 본다.
Figure 112013048996419-pat00001
이하에서는, 메인 발전소를 A, 보조 발전소를 B로 간략히 기재하며, 위에서 정의한 사항을 기준으로, A와 B 모두 수전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즉, 메인 발전소 측으로 전력을 판매하면서, B가 전력을 소비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경우없음'으로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가 메인 발전소와 보조 발전소의 전력 수급량을 측정한 결과, A와 B모두 송전상태이거나, A는 수전, B는 송전 상태, A는 송전, B는 수전 상태인 경우 각각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가 메인 발전소와 보조 발전소 각각의 전력 수급 상태 및 수급량을 모니터링한 결과(S401), 메인 발전소(A)가 수전 상태이고, 보조 발전소(B)가 송전 상태인 경우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량계에 의한 모니터링 결과, A가 수전상태, B가 송전 상태(S402)인 경우에, A와 B 각각의 수전량과 송전량이 동일한지 여부가(S403)가 판단된다.
판단 결과, A의 수전량과, B의 송전량이 동일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실제로 전력을 사용한 양은 0이 되고, 이것은 결국 B에서 생산된 전력 모두가 A로 판매되는 경우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전력량계는 사용자에 의해 기저장되어 있는 A의 수전에 따른 판매금액과, B의 송전에 필요한 유지비용을 비교한다(S404).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량계는 사용자측으로 해당 결과를 피드백한다(S405).
예를 들어, A의 수전량과 B의 송전량이 동일하고, A측으로 전력을 판매한 금액이 B의 유지비용 보다 큰 경우라면, B의 동작을 유지시키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사용자측에 B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제어는 필요하지 않으며, 미리 입력된 가격 정보의 확인이나 갱신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A의 수전량과 B의 송전량이 동일하고, A측으로 전력을 판매한 금액 보다 B의 유지비용이 더 큰 경우라면, 사용자 입장에서 유지 비용 손실이 발생한 경우이므로, 상기 전력량계는 사용자측으로 이러한 비효율적인 운영을 알리거나, 상기 보조 발전소의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보조 발전소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내용의 사용자측에 알리기 위한 메시지/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S403의 판단결과, A의 수전량과 B의 송전량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라면, B의 송전량이 A의 수전량보다 큰 경우가 된다(S406). 즉, 보조 발전원에 의해 생산된 전력량 보다 한국전력측으로 판매하는 전력량이 많을 수 없기 때문에, B의 송전량이 A의 수전량보다 큰 경우가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량은 "B의 송전량 - A의 수전량"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전력량계는 A측으로 전력을 판매하는 금액과, B의 유지 비용을 비교하고(S404), 그 비교 결과를 사용자측으로 알려 B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피드백한다(S405).
즉, A의 수전에 따른 판매금액이 B의 동작 유지비용보다 큰 경우라면, 보조 발전소의 동작을 유지하여야 하지만, 그 반대인 경우에는, 사용자측에 보조 발전소의 비효율적인 운영 상태를 알릴 수 있다.
한편, S402의 판단결과, A가 수전상태이고, B가 송전 상태가 아닌 경우라면, A가 송전 상태, B가 수전 상태이거나, A와 B가 모두 송전상태가 되는데, 전력량계의 계측 결과 A가 송전 상태이고, B가 수전 상태인 경우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다.
도 5를 참조하면, S402단계에서 A가 수전 상태이고, B가 송전 상태가 아닌 경우에, A가 송전 상태이고, B가 수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01).
확인 결과, A가 전력을 공급하는 송전상태이고, B가 전력을 소비하는 수전 상태인 경우라면, A의 송전량과 B의 수전량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단(S502). 전력량계에 의한 송전, 수전량의 확인 결과, A의 송전량과 B의 수전량이 동일한 경우에는, A의 송전에 따른 비용과, B의 수전에 따른 비용의 비교없이, B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S503). 왜냐하면, A가 송전상태이고, B가 수전 상태일 경우에는, 사용자측의 실제 전력 사용량은 0임에도 불구하고, B의 동작을 위해서만 전력이 소비되고 있기 때문에, B의 비효율적 운영이라고 판단하여,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측으로 전달한다.
반대로, 전력량계에 의한 판단결과, A의 송전량과, B의 수전량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A의 송전량이 B의 수전량보다 큰 경우(S504)가 되고, 이러한 경우에도 전력량계는 사용자 측으로 B의 동작을 오프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한다(S503). 이 경우에, 사용자측이 실제로 사용한 전력량은 "A의 송전량 - B의 수전량"이 되지만, A측에 전력을 판매하여 발생하는 수입이 없는 경우이기 때문에, 사용자측에 되도록 B의 운영을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신호를 출력한다.
요약하면, A가 송전상태이고, B가 수전상태인 경우에는, A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자와 보조 발전소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되는데, 이러한 경우는 B의 운영을 비합적이라 판단하고, 사용자측으로 이러한 정보를 전달한다.
한편, S501의 판단 결과, A가 송전상태, B가 수전 상태가 아닌 경우는 A와 B 모두 송전 상태임을 나타내고, A와 B가 모두 송전 상태인 경우라면,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전력량은 "A 송전량 + B 송전량"이 되고,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다.
도 6을 참조하면, A와 B가 모두 송전 상태인 경우(S601)에는, 사용자측이 A의 송전량과 B의 송전량 모두를 사용중인 경우가 되고, 이때에는, 전력량계가 A의 송전령에 대한 가격과, B의 송전에 따른 B의 동작 유지 비용을 비교한다(S602). 전력량계에 의한 가격 비교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사용자가 미리 A의 전력량에 따른 가격과, B의 발생 전력에 따른 유지 비용이 미리 입력된 상태임은 물론이다.
A의 송전량과, B의 송전량 각각에 대한 소비 비용들을 비교한 결과(S603), A의 송전에 대한 가격이 B의 송전에 대한 가격보다 비싼 경우에는, 전력량계가 B의 동작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신호를 사용자측으로 전달한다(S604). 즉, 사용자 입장에서는, 되도록 B의 운영을 증가시켜 값싼 전력의 사용으로 인한 전력 소비 비용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반대로, A의 송전에 대한 가격이 B의 송전에 대한 가격보다 싼 경우에는, B가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상태이고, B의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거나, 사용자측에 운영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신호를 출력한다(S605).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본 실시예의 전력량계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력에 따른 비용을 고려하여 사용자측으로, 보조 발전소의 운영에 대한 피드백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자가 적절히 보조 발전소의 운영을 증가시키거나 오히려 중단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Claims (4)

  1. 복수의 전력원인 메인 발전소(A)와 보조 발전소(B)로부터 송전 및 수전되는 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으로서,
    상기 A와 B의 송전 또는 수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A의 송전 또는 수전량에 대한 가격과, 상기 B의 송전 또는 수전량에 대한 가격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의 가격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B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의 정보를 사용자측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와 B의 송전 또는 수전량을 확인한 결과,
    ⅰ) 상기 A가 수전 상태이고, 상기 B가 송전 상태인 경우에,
    상기 A의 수전량에 대한 가격이 상기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보다 비싸면, 사용자측으로 상기 B의 동작을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A의 수전량에 대한 가격이 상기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보다 싸면, 사용자측으로 상기 B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ⅱ) 상기 A가 송전 상태이고, 상기 B가 수전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측으로 상기 B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
  2. 삭제
  3. 복수의 전력원인 메인 발전소(A)와 보조 발전소(B)로부터 송전 및 수전되는 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으로서,
    상기 A와 B의 송전 또는 수전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A의 송전 또는 수전량에 대한 가격과, 상기 B의 송전 또는 수전량에 대한 가격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의 가격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B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의 정보를 사용자측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와 B의 송전 또는 수전량을 확인한 결과,
    ⅰ) 상기 A가 수전 상태이고, 상기 B가 송전 상태인 경우에,
    상기 A의 수전량에 대한 가격이 상기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보다 비싸면, 사용자측으로 상기 B의 동작을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A의 수전량에 대한 가격이 상기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보다 싸면, 사용자측으로 상기 B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ⅱ) 상기 A와 B 모두 송전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A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과, 상기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B의 동작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사용자측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
  4. 복수의 전력원인 메인 발전소(A)와 보조 발전소(B)로부터 송전 및 수전되는 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전력량계로서,
    상기 A 및 B 각각으로 송전 및 수전되는 양을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ⅰ) 상기 A가 수전 상태이고, 상기 B가 송전 상태인 경우에,
    상기 A의 수전량에 대한 가격이 상기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보다 비싸면, 사용자측으로 상기 B의 동작을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A의 수전량에 대한 가격이 상기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보다 싸면, 사용자측으로 상기 B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ⅱ) 상기 A가 송전 상태이고, 상기 B가 수전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측으로 상기 B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ⅲ) 상기 A와 B 모두 송전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A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과, 상기 B의 송전량에 대한 가격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B의 동작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사용자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KR1020130063234A 2013-06-03 2013-06-03 전력량계 및 상기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 KR101331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234A KR101331502B1 (ko) 2013-06-03 2013-06-03 전력량계 및 상기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234A KR101331502B1 (ko) 2013-06-03 2013-06-03 전력량계 및 상기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502B1 true KR101331502B1 (ko) 2013-11-21

Family

ID=4985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234A KR101331502B1 (ko) 2013-06-03 2013-06-03 전력량계 및 상기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5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626A (ko) * 2003-03-24 2004-10-06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전력 거래량 자동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246306A (ja) * 2009-04-08 2010-10-28 Ntt Facilities Inc 電力供給制御装置、電力供給制御方法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KR20110053841A (ko) * 2009-11-16 2011-05-24 일진전기 주식회사 분산전원의 전력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WO2011065495A1 (ja) 2009-11-30 2011-06-03 京セラ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626A (ko) * 2003-03-24 2004-10-06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전력 거래량 자동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246306A (ja) * 2009-04-08 2010-10-28 Ntt Facilities Inc 電力供給制御装置、電力供給制御方法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KR20110053841A (ko) * 2009-11-16 2011-05-24 일진전기 주식회사 분산전원의 전력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WO2011065495A1 (ja) 2009-11-30 2011-06-03 京セラ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8854B1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US98805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crogrid power generation management with selective disconnect
US9946237B2 (en) Energy management device,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energy management method
KR20120070903A (ko) 스마트그리드 전력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법
KR101602916B1 (ko) 스마트 마이크로그리드 운영장치 및 그 방법
EP2924840A1 (en) Power supply system,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measurement point switching apparatus
US20180130143A1 (en) Complex energy system in bidirectional energy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1320524A (zh) 多用途功率管理系統及方法
KR101109187B1 (ko) 실시간 전력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운영방법
KR101885518B1 (ko) 분산전원 전력 계통 연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9755A (ko) 부하환경을 고려한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20140088778A1 (en) Control device for distributed generators
KR20130070132A (ko)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EP25035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utility bill
AU2023203617A1 (en) Behind-the-met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distribution of solar energy in multi-unit buildings
WO2013049547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microgrid power generation management with selective disconnect and predictive modeling
JP2006278151A (ja) 発電量制御システム、発電量制御方法、及び演算装置
Jiang et al. Research on nodal wind power values and optimal accommodation based on locational marginal price
KR101331502B1 (ko) 전력량계 및 상기 전력량계의 제어를 위한 계측 방법
KR20110063184A (ko)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 장치
US11301942B2 (en) Method for trading electrical energy between small producers and end users
KR101719953B1 (ko) 전력량 모니터링 장치
JP2015130768A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2007318940A (ja) 事業用分散型熱電併給発電所間における電力相互補完制御装置と方法
US20120206273A1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