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730B1 - Eco-frendly low weight carpet tile - Google Patents

Eco-frendly low weight carpet t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730B1
KR101329730B1 KR1020120109059A KR20120109059A KR101329730B1 KR 101329730 B1 KR101329730 B1 KR 101329730B1 KR 1020120109059 A KR1020120109059 A KR 1020120109059A KR 20120109059 A KR20120109059 A KR 20120109059A KR 101329730 B1 KR101329730 B1 KR 101329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itumen
carpet tile
weight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0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호전
한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씨
Priority to KR1020120109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7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7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1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 Carp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an environment-friendly lightweight carpet ti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carpet tile includes a carpet fiber layer and a back layer which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rough a bitumen layer including an asphalt resin and uses polyester nonwoven layer as a base layer. Thereby, the carpet tile improves walking sensation and constructability to be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and satisfies customer needs for environment. [Reference numerals] (AA) Carpet fiber layer;(BB) Back layer

Description

친환경 경량 카페트 타일 {Eco-Frendly Low Weight Carpet Tile}Eco-Frendly Low Weight Carpet Tile

본 발명은 보행감 및 시공성이 우수하며, 염화비닐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경량 카페트 타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friendly lightweight carpet tile that is excellent in walking and construction, and does not include vinyl chloride resin.

카페트 타일은 바닥마감의 표면이 되는 섬유층과 시공안착성 및 치수안정성을 위한 백킹층(Backing Layer)으로 이루어지며, 50~100cm 정도 크기의 정사각형 카펫으로 일반 롤형 카펫에 비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타일형 특유의 패턴연출이 가능하여 안락하고 포근한 분위기의 연출을 요하는 인테리어 현장과 정숙성, 완충성이 요구되는 학교, 도서관, 회의실 및 한곳에서 장시간 보행하는 실내 등에 적합한 바닥마감재 중 하나이다.The carpet tile is composed of a fiber layer that is the surface of the floor and a backing layer for construction stab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It is a 50 ~ 100cm square carpet, which is easier to maintain and tile than a regular roll carpet. It is one of the floor finishing materials suitable for interior scenes requiring a comfortable and cozy atmosphere and unique school, library, conference room, and indoor walks for a long time.

도 1은 기존의 카펫 타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arpet tile.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카펫 타일은 아래로부터 제1 염화비닐수지층(1), 유리섬유층(2), 제2 염화비닐수지층(3), 부직포층(4), 및 섬유층(5)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carpet tile includes a first vinyl chloride resin layer 1, a glass fiber layer 2, a second vinyl chloride resin layer 3, a nonwoven fabric layer 4, and a fiber layer 5 from below. It may include.

이러한 기존의 카페트 타일 구조는 전체 두께가 두껍고 생산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건축물에 대해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는 추세여서 염화비닐수지의 사용 제한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This conventional carpet tile structur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overall thickness is thick and the production cost is expensive. In addition, as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for buildings are strengthened and the standard of living is improved, the demand for health is increasing, so the demand for the use of vinyl chloride resin is increasing.

또한, 보행성 및 시공 용이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지만 종래의 카페트 타일 바닥재로는 이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walkability and ease of construction, but there is a limit to meet this with conventional carpet tile flooring.

본 발명의 목적은 염화비닐 수지층이 아닌 고후도 부직포 및 비투멘 수지층 상부에 제직된 섬유층을 부착함으로써 종래의 카페트 타일이 가지고 있는 쿠션성, 시공성, 취급성을 보완하고 휘발성물질(T-VOC) 등을 제로(zero)화 한 친환경 카페트 타일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the woven fiber layer on the top of the non-vinyl chloride resin layer and the high-thick nonwoven fabric and bitumen resin layer to compensate for the cushioning, workability, and handling properties of the conventional carpet tile, and to improve the volatile material (T-VOC). We want to provide eco-friendly carpet tiles with zero bac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페트 섬유층 및 백킹층(backing)으로 이루어진 카페트 타일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pet tile consisting of a carpet fiber layer and a backing layer (backing).

상기 카페트 섬유층은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재층 상부에 배치되고 돌출된 파일 섬유층이 형성되어 있다. The carpet fiber layer has a first base layer, and a pile fiber layer protruding from and protruding from the first base layer.

상기 카페트 섬유층 하부에 배치되는 백킹층은 제2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상부에 배치되고 치수안정성을 유지해주는 치수 보강층을 포함한다. The backing layer disposed under the carpet fiber layer includes a second base layer and a dimensional reinforcement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base layer and maintaining dimensional stability.

상기 제2 기재층과 치수 보강층 사이 및 상기 카페트 섬유층과 백킹층 사이에는 각각 역청수지를 함유하는 제1 비투멘층 및 제2 비투멘층이 형성되어 있다. A first bitumen layer and a second bitumen layer containing bitumen resin are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layer and the dimension reinforcement layer and between the carpet fiber layer and the backing layer, respectively.

상기 제2 기재층은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고, 층 두께가 2.5mmt~3.5mmt의 고후도 부직포층이다. The second base layer is made of polyester, and the layer thickness is a high thickness nonwoven fabric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5mmt ~ 3.5mmt.

일 구체예에서, 상기 비투멘층에서 역청수지는 연화점(Softening Point)이 84± 2℃이고, 침입도(Penetration, 25℃, 100g, 5sec)가 14±2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itumen resin in the bitumen layer may have a softening point of 84 ± 2 ° C. and a penetration rate of 25 ± 2 ° C., 100 g, 5 sec.

일 구체예에서, 상기 비투멘층이 역청수지 100 내지 105 중량부와 펠렛 형태인 폴리프로필렌 1.0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틸렌 0.1 내지 1.0 중량부, 무기 충전제 150 내지 200 중량부, 및 선택적으로 방향 성분 0 내지 0.05 중량부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bitumen layer comprises 100 to 105 parts by weight of bitumen resin and 1.0 to 3.0 parts by weight of polypropylene in pellet form, 0.1 to 1.0 part by weight of polyethylene, 150 to 200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filler, and optionally 0 to fragrance components. 0.05 parts by weight.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비투멘층의 두께는 각각 1.0mmt~1.2mmt이다. 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and second bitumen layers are each 1.0 mmt to 1.2 mmt.

일 구체예에서, 상기 치수 보강층은 스크림(scrim) 및/또는 유리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림은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 mesh 이고 치수보강층 단위면적당 55 내지 60g/㎥이고, 상기 유리섬유는 바람직하게는 15내지 20 mesh 이고 치수보강층 단위면적당 30 내지 35g/㎥이다. In one embodiment, the dimensional reinforcement layer comprises scrim and / or glass fibers. The scrim is preferably 12 to 14 mesh and 55 to 60 g / m 3 per unit area of the reinforcing layer, and the glass fiber is preferably 15 to 20 mesh and 30 to 35 g / m 3 of the unit area of the reinforcing layer.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2 기재층은 4~8 데니어의 A급 폴리에스터 약 20%,와 0.5~2.5 데니어의 재생 폴리에스터 약 80%로 이루어져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ubstrate layer comprises about 20% of 4-8 denier Class A polyester and about 80% of 0.5-2.5 denier recycled polyester.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친환경 카페트 타일은 전체 중량이 3.2kg/㎡-4.0kg/㎡이다. In one embodiment, the eco-friendly carpet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tal weight of 3.2 kg / m 2 -4.0 kg / m 2.

본 발명은 종래의 염화비닐 수지층을 적용한 카페트 타일을 탈피하여 친환경성을 극대화한 카페트 타일 바닥재이다. 본 발명의 카페트 타일 바닥재는 염화비닐 수지층을 적용한 카페트 타일의 쿠션성, 시공성, 취급성을 보완하고 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지 않으며 휘발성물질(T-VOC) 등을 제로(ZERO)화 한 친환경 카페트 타일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pet tile flooring material maximizing environmental friendliness by peeling the carpet tile to which the conventional vinyl chloride resin layer is applied. Carpet tile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co-friendly carpet tile that complements the cushioning, workability, handleability of the carpet tile to which the vinyl chloride resin layer is applied, does not contain vinyl chloride resin, and zero volatiles (T-VOC), etc. to be.

도 1은 종래 카페트 타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페트 타일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arpet til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rpet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All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defined otherwise, have the following definitions and conform to th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relevant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eferred methods or samples ar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but similar or equivalent one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of all publications referred to herein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여러 개 층이 적층된 바닥재에 있어서 친환경 소재를 접목시킨 카페트 타일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pet tile flooring in which eco-friendly materials are grafted in a flooring in which several layers are lamina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카페트 타일의 단면도로서, 하부층에서부터 고후도 부직포층인 제2 기재층(210), 제1 비투멘층(310), 치수 보강층(220), 제2 비투멘층(320), 제1 기재층(110) 및 최상층인 파일 섬유층(120)이 적층되어 있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co-friendly carpet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ase layer 210, the first bitumen layer 310, the dimension reinforcement layer 220, the second bitumen layer 320 is a high-thickness nonwoven layer from the lower layer The first base layer 110 and the uppermost pile fiber layer 120 are laminated.

카페트 섬유층은 제1 기재층(110)에 상에 세워서 제직된 다수의 파일(pile)로 이루어진 파일 섬유층(120)이 형성된 것으로서, 제1 기재층(110)은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직포의 소재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 니들펀칭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부직포층(110)은 섬유층(120)의 원사가 제직되는 기재 역할과 더불어 치수안정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The carpet fiber layer is a pile fiber layer 120 formed of a plurality of piles (pile) woven on the first base layer 110, the first base layer 110 may be preferably made of a nonwoven fabric. As the material of the nonwoven fabric,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ropylene, needle punching, or the like may be used. The nonwoven fabric layer 110 functions to secure the dimensional stability as well as the base material on which the yarn of the fibrous layer 120 is woven.

상기 파일 섬유층(120)을 구성하는 하나의 파일은 여러 가닥의 원사(섬유)가 집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때, 원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스티렌 섬유, 아크릴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One pile constituting the pile fiber layer 120 is composed of several strands of yarn (fiber). At this time, the yar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ynthetic fibers or natural fibers, for example polyester fibers, polypropylene fibers, nylon fibers, polystyrene fibers, acrylic fibers, cellulose fibers and the like can be used.

이러한 파일 섬유층(120)을 이루는 파일에는 원사가 고리모양을 하고 있는 루프 타입(loop type) 파일과 파일의 말단이 수평적인 직선, 절단된 모습을 갖는 컷 타입(cut type) 파일이 있다. 이때, 상기 섬유층은 루프 타입 또는 컷 타입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루프 타입과 컷 타입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ile forming the fibrous fiber layer 120 includes a loop type file in which yarns are looped, and a cut type file having a horizontal straight line and a cut shape. In this case, the fiber layer may be made of only a loop type or a cut type, or a combination of a loop type and a cut type.

상기 카페트 섬유층 하부에 배치되는 백킹층(backing layer)은 외부충격을 흡수하고 강도보강, 치수 안정성, 방음 성능, 쿠션감 등을 얻기 위한 것으로서, 제2 기재층(210), 및 그 상부에 배치되는 치수 보강층(220)을 포함한다. The backing layer disposed under the carpet fiber layer is for absorbing external impact and obtaining strength reinforcement, dimensional stability, soundproofing performance, cushioning, etc., and is disposed on the second base layer 210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Dimensionally reinforcing layer 220.

상기 제2 기재층(210)은 2.5mmt~3.5mmt의 고후도 부직포층으로서 층두께가 2.5mmt 미만이면 제품자체의 volume감 및 쿠션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고, 층 두께가 3.5mmt를 넘어서면 재단성이 미흡하여 재단면이 깨끗하지 못하고 제품눌림시 복원력이 부족하는 문제가 있다. 완제품을 시공한 경우를 비교하면, 2.5mmt~3.5mmt의 고후도 부직포층을 사용한 경우 쿠션성이 우수하며, 의자 등에 의하여 제품이 눌렸을때 복원력이 우수하다. 제2 기재층(210)은 폴리에스터(polyester) 소재이며, 바람직한 예에서 6 데니어 A급 폴리에스터 약 20%와 1.5 데니어 재생 폴리에스터 8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2종의 폴리에스터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인장력이 우수하며, 부직포 색상을 원하는 색상으로 적용할 수있는 장점이 있다. 제2 기재층(210)에서 치수 보강층(220)과 대면하지 않는 타면에 바람직하게는 수분흡수를 막기 위하여 발수코팅을 할 수 있다. 상기 발수제는 발수 및 방오성을 갖는 불소계 표면처리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플로로알킬우레탄, 물 등이 함유된 불소계 표면처리제를 사용할 수 있다.The second base layer 210 is a 2.5mmt ~ 3.5mmt thick nonwoven fabric layer is less than 2.5mmt thickness of the product itself there is a problem of lack of volume and cushioning, if the layer thickness exceeds 3.5mm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tting surface is not clean due to lack of sex and lack of resilience when the product is pressed. Comparing the case of the finished product, when the non-woven layer of 2.5mmt ~ 3.5mmt of high thickness is used, the cushioning property is excellent, and the restoring force is excellent when the product is pressed by a chair or the like. The second base layer 210 is a polyester material, 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base layer 210 may be made of about 20% of 6 denier A grade polyester and 80% of 1.5 denier regenerated polyester. As such, by using two kinds of polyester mixed, the tensile strength is excell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non-woven fabric color can be applied to the desired color.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ase layer 210 that does not face the dimension reinforcing layer 220, a water repellent coating may be preferably performed to prevent water absorption. The water repellent may be a fluorine-based surface treatment agent having water repellency and antifouling properties, for example, may be used a fluorine-based surface treatment agent containing sodium dodecyl benzenesulfonate, fluoroalkylurethane, water and the like.

상기 치수 보강층(220)은 제2 기재층(210) 상에 적용되어 향상된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카페트 타일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스크림(scrim) 및/또는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한 점도를 유지하면서 적절한 분산을 보장하기 위하여 평균 크기가 약 15 메쉬 내지 20 메쉬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의 함유량은 약 20 내지 50g/㎥, 바람직하게는 30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림은 평균 크기가 약 12 메쉬 내지 14 메쉬 범위일 수 있다. 스크림의 함유량은 약 55 내지 60g/㎥, 바람직하게는 57g/㎥일 수 있다. 유리섬유가 20 g/㎥ 미만으로 첨가되거나 스크림의 함유량이 55 g/㎥ 미만인 경우에는 소망하는 강도향상 및 치수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유리섬유가 50g/㎥를 초과하거나 스크림의 함량이 60g/㎥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에는 과다한 첨가로 인해 역청수지가 유리섬유 또는 스크림사이를 통과하지 못하여 가공시 접착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The dimensional reinforcement layer 220 may be applied on the second base layer 210 to provide improved strength and dimensional stability to the carpet tile and may include scrim and / or glass fibers. The glass fi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have an average size in the range of about 15 mesh to 20 mesh to ensure proper dispersion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viscosity.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glass fiber may be about 20 to 50g / ㎥, preferably 30g / ㎥. In addition, the scrim may have an average size in the range of about 12 mesh to 14 mesh. The content of the scrim may be about 55 to 60 g / m 3, preferably 57 g / m 3. If glass fiber is added below 20 g / m 3 or the content of scrim is below 55 g / m 3,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desired strength improvement and dimensional stability. If the glass fiber is added in excess of 50g / ㎥ or the content of the scrim in excess of 60g /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itumen resin does not pass between the glass fiber or scrim due to the excessive addition, weakening the adhesion during processing.

상기 제2 기재층(210)과 치수 보강층(220)은 제1 비투멘층(310)을 통해 상호 결합된다. 또한, 섬유층과 백킹층도 제2 비투멘층(320)에 의해 결합된다. The second base layer 210 and the dimension reinforcing layer 2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bitumen layer 310. In addition, the fibrous layer and the backing layer are also joined by the second bitumen layer 320.

상기 제1 및 제2 비투멘층(310, 320)은 역청수지를 포함한다. 역청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연화점(Softening Point)이 84±2℃이고, 연화점이 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열압착 온도가 높아져 소재 변형이 유발될 수 있고 비투멘층 원료배합시 점도가높아져 배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연화점이 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형성된 비투멘층이 제품시공후 녹아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역청수지의 침입도(Penetration, 25℃, 100g, 5sec)는 14±2 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범위보다 낮으면 수지가 딱딱하고, 이보다 높으면 밀가루반죽처럼 형성되어 배합 및 가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적정 연화점 및 침입도가 되어야 가공시 유리하며, 카페트 타일이 형성된 후에도 원형 자체의 형상을 유지되어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itumen layers 310 and 320 include bitumen resin. The bitumen resin preferably has a softening point of 84 ± 2 ° C., and a softening point higher than this may cause high thermal compression temperature, which may cause deformation of the material. . If the softening point is lower than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rmed bitumen layer melts down after construction of the product. In addition, the penetration of bitumen resin (Penetration, 25 ℃, 100g, 5sec) is preferably 14 ± 2, if lower than this range the resin is hard, if higher than this is formed as a flour dough, difficult to mix and process have. The appropriate softening point and penetration degree as described above is advantageous during processing, and even after the carpet tiles are formed, the shape of the circle itself can be maintained to maintain uniform quality.

상기 비투멘층이 역청수지 100 내지 105중량부와 펠렛 형태인 폴리프로필렌 1.0 내지 3.0중량부, 폴리에틸렌 0.1 내지 1.0중량부, 무기 충전제 150 내지 200중량부, 및 선택적으로 방향 성분 0 내지 0.0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itumen layer may include 100 to 105 parts by weight of bitumen resin and 1.0 to 3.0 parts by weight of polypropylene in pellet form, 0.1 to 1.0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150 to 200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filler, and optionally 0 to 0.05 parts by weight of aromatic component. Can be.

상기 성분 중 폴리프로필렌(PP)의 기능은 제품의 Hardness 부여 및 재단성을 용이하기 위해 첨가되고, 폴리에틸렌(PE)은 원료배합시 침강현상을 막아주고 점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저밀도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The function of polypropylene (PP) in the above components is added to facilitate the hardness and cutting of the product, polyethylene (PE) is used to prevent sedimentation and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when mixing the raw materials, preferably low density May be polyethylene.

상기 무기 충전제는 예를 들어, 탄산 칼슘,탄산 마그네슘,황산 마그네슘,알루미나 수화물,황산 바륨 및 유리 입자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The inorganic filler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calc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 magnesium sulfate, alumina hydrate, barium sulfate and glass particles.

본 발명의 카페트 타일에는 항균성분, 방향성분 등 다양한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Carpet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ariety of additives, such as antibacterial components, aroma components as needed, these may be used known in the art generally used in the art.

상기 비투멘층의 두께는 각각 1.0mmt~1.2mmt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재단성이나 연기밀도를 저해하는 하는 문제가 있다. The bitumen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0 mmt to 1.2 mmt, respectively. If the bitumen layer is out of the range, there is a problem of inhibiting cutting property or smoke density.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카페트 타일에서 경량화에 따른 운반용이성 및 시공 용이성을 위해 카페트 타일의 전체 중량은 2M 폭 기준 약 4kg/M 정도로 한다.
In the eco-friendly carpet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weight of the carpet tile is about 4 kg / M based on 2M width for ease of carrying and construc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기존의 Existing 염화비닐수지를Vinyl chloride resin 포함한  inclusive 카페트carpet 타일 tile

종래의 카페트 타일 바닥재로서, 도 1과 같이 하부층에서 고필라 제1 염화비닐층(1), 유리섬유층(2), 고필라 제2 염화비닐층(3), 부직포층(4), 및 섬유층(5)으로 이루어진 카페트 타일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As a conventional carpet tile flooring, as shown in Figure 1, in the lower layer, the high-fiber first vinyl chloride layer 1, the glass fiber layer 2, the high-fiber second vinyl chloride layer 3, the nonwoven fabric layer 4, and the fiber layer ( Carpet tile flooring consisting of 5) was prepared.

먼저, 유리섬유층(2)에 고필라 제1 염화비닐층(1)을 침적시킨다. 이때 고필라 제1 염화비닐층(1)은 염화비닐 페이스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40-100 중량부, 탄석 200-500 중량부, 첨가제 0.1- 10 중량부, 블랙안료 0.1- 10 중량부를 혼합한 졸을 사용한다. 상기 고필라 제1 염화비닐층(1)의 두께는 1.0mmt 2.0mmt로 한다. 다음에 유리섬유층(2) 위에 고필라 제2 염화비닐층(3)을 나이프코타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여 적층시킨다. 이때 고필라 제2 염화비닐층(3)은 염화비닐 페이스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50-100 중량부, 탄석 200-400 중량부, 첨가제 0 1- 10 중량부, 블랙안료 0 1- 10 중량부를 혼합한 졸을 사용한다. 고필라 제2 염화비닐층의 두께는 0.5 mmt 1.5 mmt로 한다. 이어서 마지막 공정으로 부직포층(4) 상부에 원사를 제직한 섬유층(5) 표면에 발수 및 방오처리가 부여된 물질을 코팅한 후 고필라 제2 염화비닐층(3)위에 적층시킨다. 상기 적층된 반제품을 150℃-250℃의 열풍 오븐(OVEN)에 3분-6분 건조하여 염화비닐수지 카페트 타일을 제조한다.
First, the high-fiber first vinyl chloride layer 1 is deposited on the glass fiber layer 2. In this case, the first high chloride vinyl chloride layer 1 is mixed with 100 to 10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paste resin, 40-100 parts by weight of plasticizer, 200-500 parts by weight of charcoal, 0.1-10 parts by weight of additive, and 0.1-10 parts by weight of black pigment. Use one sol. The thickness of the high pillar first vinyl chloride layer 1 is 1.0 mmt 2.0 mmt. Next, the high pillar second vinyl chloride layer 3 is coated on the glass fiber layer 2 by using a knife coat and laminat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this time, the high pillar 2 vinyl chloride layer (3) is 50-100 parts by weight of plasticizer, 200-400 parts by weight of charcoal, additive 0 1-10 parts by weight, black pigment 0 1-10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paste resin. Use a sol mixed with wealth. The thickness of the high pillar second vinyl chloride layer is 0.5 mmt 1.5 mmt. Subsequently, in the final process, the water-repellent and antifouling treatment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fibrous layer 5 on which the yarn is woven onto the nonwoven fabric layer 4, and then laminated on the second high vinyl chloride layer 3. The laminated semi-finished product is dried in a hot air oven (OVEN) at 150 ° C.-250 ° C. for 3 minutes to 6 minutes to prepare a vinyl chloride resin carpet tile.

[[ 실시예Example 1] One]

먼저, 보행감을 부여해주는 제2 기재층인 고후도부직포층을 준비한다. 고후도부직포층의 소재는 폴리에스터로서 A급 20%, 6 데니어와 재생 80%, 1.5 데니어의 구성으로 제조되었으며, 한쪽면에 수분흡수를 막기 위하여 발수코팅을 한다. 고후도부직포층의 두께는 2,5mmt 3.5mmt로 한다. First, a highly thick nonwoven fabric layer is prepared, which is a second base layer that gives a walking feeling. The material of the high-thickness non-woven fabric layer is polyester and is composed of 20% grade A, 6 denier, 80% recycled and 1.5 denier, and is water-repellent coated to prevent water absorption on one side. The thickness of the high-thickness nonwoven fabric layer is 2,5 mmt 3.5 mmt.

제2 기재층 상에 유리섬유 또는 스크림을 포함하는 치수 보강층을 적층하고 적층된 위에 비투멘(역청)을 코팅한다. 역청은 아스팔트 100 중량부, P.P 1.0-3.0 중량부, PE 0.1-1.0 중량부, 탄석 150-200 중량부를 혼합한 SOL을 사용한다. A dimensional reinforcement layer comprising glass fibers or scrims is laminated on the second substrate layer, and bitumen (bitumen) is coated on the laminated layer. Bitumen uses SOL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asphalt, 1.0-3.0 parts by weight of P.P, 0.1-1.0 parts by weight of PE, and 150-200 parts by weight of coal.

역청코팅 전 고후도부직포와 치수 보강층을 적층하여 코타에 투입시킨다. 이때 적용하는 유리섬유는 30g/㎡을 사용하고 스크림은 14 메쉬(Mesh)를 적용하였다. Before the bitumen coating, the high-thickness nonwoven fabric and the dimensional reinforcement layer are laminated and put into the cota. At this time, the glass fiber used was 30g / ㎡ and the scrim was applied to 14 mesh (Mesh).

한편, 제1 기재층인 부직포층 상부에 원사를 제직한 파일 섬유층을 적층시킨 후 상기 역청 코팅층 상에 배치한다. Meanwhile, a pile fibrous layer woven from yarn is laminated on the nonwoven fabric layer, which is the first base layer, and then disposed on the bitumen coating layer.

역청의 코팅은 나이프코타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여 적층시킨다. 고후도부직포 상에 치수보강층을 형성한 후 역청코팅을 한 후 롤로 압착을 하면 치수보강층 사이로 역청이 침투되어 고후도부직포와 치수보강층 사이에도 비투멘층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적용하는 비투멘층은 코팅점도가 중요한 사항으로 코팅점도는 약 20,000 c.p.s를 유지해야 코팅의 용이성 및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코팅온도는 145℃-150℃를 유지해 주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온도,점도) 배합 탱크의 온도는 180℃-190℃가 되어야 한다. The coating of bitumen is laminated by coating with a constant thickness using a knife coater. After forming the dimensional reinforcing layer on the high-thickness nonwoven fabric and then performing bituminous coating and pressing with a roll, bitumen penetrates between the dimensional reinforcing layer to form a bitumen layer between the high-thickness nonwoven fabric and the dimensional reinforcing layer. At this time, the bitumen layer to be applied is important for the coating viscosity, the coating viscosity should be maintained about 20,000 c.p.s to maintain the ease and uniformity of the coating. Coating temperature should be maintained at 145 ℃ -150 ℃. In order to maintain the above conditions (temperature, viscosity) the temperature of the mixing tank should be 180 ℃-190 ℃.

한편, 상부에 원사를 제직한 섬유층(5) 표면에 내오염성 및 발수효과를 부여해주기 위해 발수제를 코팅해 준다. 상기와 같이 합판된 제품의 표면은 잠재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온 순환풍 및 냉각존을 통과하면서 냉각효과를 부여해준다. 합판된 제품이 충분히 냉각되어야만 재단이 용이해진다.On the other hand, it is coated with a water repellent agent to impart a fouling resistance and a water repellent effect on the surface of the fiber layer 5 woven the yarn on the top. 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of the laminated product has latent heat, thereby providing a cooling effect while passing through a normal temperature circulation wind and a cooling zone. Plywood products must be sufficiently cooled to facilitate cutting.

완제품 카페트 타일의 중량은 약 800-820 (g/1장당) 으로 비교예 1의 염화비닐수지를 포함한 제품보다 약 ½ 정도로 제품 무게를 낮출 수 있다.
The finished carpet tile has a weight of about 800-820 (per g / sheet), which can lower the product weight by about ½ of the product containing the vinyl chloride resin of Comparative Example 1.

[실험예 1] 열간컬링 측정Experimental Example 1 Hot Curing Measurement

KS K 2621 카펫타일 기준에 따른 열간컬링 시험을 수행하였다. 표준상태에서의 말림성은 시험편을 두께 6mm 이상의 유리판 또는 두께 3mm 이상의 스테인리스 강판 위에 수평으로 놓고 표준상태에서 24시간 방치 후 수평 시료대 위에 놓고 시험편의 네 변과 시료대 사이의 간극을 0.05mm 까지 측정한다. 또한 열 및 물에 의한 말림성은 표준상태 말림성 측정 후 60±2℃에서 2시간 건조 후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0.4%를 함유한 20℃ 정도 물속에 2시간 담가둔 다음 60±2℃에서 24시간 건조시키고 표준상태에서 한번 더 24시간 방치한 후 시험편의 네 변과 시료대 사이 간극을 측정한다. 이에 따르면, 열 및 물에 의한 말림은 1.5mm 이하이어야 한다. Hot curling tes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KS K 2621 carpet tile criteria. The curling property in the standard condition is to place the specimen horizontally on a glass plate of 6 mm thickness or more or a stainless steel sheet of 3 mm thickness and left for 24 hours in a standard condition. . In addition, the heat and water curling properties were measured for 2 hours at 60 ± 2 ℃ after standard condition curling, and then immersed in water for about 2 hours at 20 ℃ containing 0.4% of nonionic surfactant and then 24 hours at 60 ± 2 ℃. Allow to dry for another 24 hours at standard condition and measure the gap between the four sides of the specimen and the sample bed. According to this, the curling by heat and water should be 1.5 mm or less.

그 결과, 비교예 1과 실시예 1 카페트 타일의 열간컬링은 각각 1.23mm와 0.02mm 이었다.
As a result, hot curling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 1 carpet tile was 1.23 mm and 0.02 mm, respectively.

[실험예 2] T-VOC 측정Experimental Example 2 T-VOC Measurement

환경부 ‘공기질공정시험방법 중 <소형 챔버법>에 따라, T-VOC를 측정하였다. 이에 다르면, 스테인리스강 또는 유리 용기로 된 소형챔버 내부를 일정하게 환기시키면서 오염물질의 방출량을 측정한다. 즉, 챔버 내에 청정공기를 공급하고 출구에서 채취된 공기에서 챔버내부 공기농도, 배경농도, 및 환기량을 파악하여, 단위표면적당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을 산정한다. T-VOC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small chamber method> of the air quality process test method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therwise, the amount of pollutant emissions is measured while constantly ventilating the interior of a small chamber of stainless steel or glass vessel. That is, clean air is supplied into the chamber, and the air concentration,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and the ventilation amount in the chamber are determined from the air collected at the outlet, and the amou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and formaldehyde emission per unit surface area is calculated.

그 결과, 비교예 1의 염화비닐수지를 포함한 제품의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함량(T-VOC) 이 약 2.0-3.0 mg/㎡h 인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카페트 타일의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함량은 약 0.05-0.1 mg/㎡h 로 친환경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tent (T-VOC) of the product containing the vinyl chloride resin of Comparative Example 1 is about 2.0-3.0 mg / ㎡h, while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tent of the eco-friendly carpet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t can be seen that the environment-friendly performance is excellent at about 0.05-0.1 mg / ㎡h.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10: 제1 기재층
120: 파일 섬유층
210: 제2 기재층
220: 치수 보강층
310: 제1 비투멘층
320: 제2 비투멘층
110: first substrate layer
120: pile fiber layer
210: second substrate layer
220: dimension reinforcement layer
310: first bitumen layer
320: second bitumen layer

Claims (8)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재층 상부에 배치되고 돌출된 파일 섬유층이 형성된 카페트 섬유층; 및
제2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상부에 배치되고 치수안정성을 유지해주는 치수 보강층을 포함하고, 상기 카페트 섬유층 하부에 배치되는 백킹층(backin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기재층과 치수 보강층 사이 및 상기 카페트 섬유층과 백킹층 사이에는 각각 역청수지를 함유하는 제1 비투멘층 및 제2 비투멘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재층은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고, 층 두께가 2.5 mmt ~ 3.5 mmt의 고후도 부직포층이며,
카페트 타일의 전체 중량이 3.2 kg/㎡ ~ 4.0 kg/㎡의 경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경량 카페트 타일.
A carpet fiber layer having a first base layer and a pile fiber layer disposed on and protruding from the first base layer; And
A second backing layer and a dimensional reinforcing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base layer and maintaining dimensional stability, and comprising a backing layer disposed under the carpet fiber layer,
A first bitumen layer and a second bitumen layer containing bitumen resin are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layer and the dimension reinforcement layer, and between the carpet fiber layer and the backing layer, respectively.
The second base layer is made of polyester, the layer thickness is 2.5 mmt ~ 3.5 mmt of a high thickness non-woven layer,
Eco-friendly lightweight carpet t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weight of the carpet tile is 3.2 kg / ㎡ to 4.0 kg / ㎡ light w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투멘층에서 역청수지는 연화점(Softening Point)이 84±2℃이고, 침입도(Penetration, 25℃, 100g, 5sec)가 1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경량 카페트 타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bitumen resin in the bitumen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ftening point (Softening Point) of 84 ± 2 ℃, the penetration (Penetration, 25 ℃, 100g, 5sec) is 14 ± 2, eco-friendly lightweight carpet ti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투멘층이 역청수지 100 내지 105중량부와 펠렛 형태인 폴리프로필렌 1.0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틸렌 0.1 내지 1.0중량부, 무기 충전제 150 내지 200중량부, 및 선택적으로 방향 성분 0 내지 0.0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경량 카페트 타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bitumen layer comprises 100 to 105 parts by weight of bitumen resin and 1.0 to 3.0 parts by weight of polypropylene in pellet form, 0.1 to 1.0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150 to 200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filler, and optionally 0 to 0.05 parts by weight of aromatic component. Eco-friendly lightweight carpet til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비투멘층의 두께는 각각 1.0mmt~1.2mm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경량 카페트 타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bitumen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1.0mmt ~ 1.2mmt, eco-friendly lightweight carpet t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수 보강층은 스크림(scrim) 및/또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경량 카페트 타일.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imensionally reinforcing layer comprises scrim and / or glass fib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림은 12 내지 14 mesh 이고 치수보강층 단위면적당 55 내지 6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경량 카페트 타일.
The method of claim 5,
The scrim is 12 to 14 mesh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eco-friendly lightweight carpet tile, characterized in that 55 to 60g / ㎥ per unit area of the reinforcement lay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15 내지 20 메쉬(mesh) 이고 치수보강층 단위면적당 20 내지 5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경량 카페트 타일.
The method of claim 5,
The glass fiber is 15 to 20 mesh (mesh)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20 to 50g / ㎥ per unit area of the reinforcing layer, eco-friendly lightweight carpet ti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재층은 4~8 데니어의 A급 폴리에스터 20%,와 0.5~2.5 데니어의 재생 폴리에스터 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경량 카페트 타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base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vironmental grade lightweight carpet tile, consisting of 20% 4 ~ 8 denier A class polyester, 80% 0.5 ~ 2.5 denier recycled polyester.
KR1020120109059A 2012-09-28 2012-09-28 Eco-frendly low weight carpet tile KR1013297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059A KR101329730B1 (en) 2012-09-28 2012-09-28 Eco-frendly low weight carpet t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059A KR101329730B1 (en) 2012-09-28 2012-09-28 Eco-frendly low weight carpet t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730B1 true KR101329730B1 (en) 2013-11-14

Family

ID=4985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059A KR101329730B1 (en) 2012-09-28 2012-09-28 Eco-frendly low weight carpet t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73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4323A (en) * 2016-08-18 2017-05-24 马福顺 Modular carpet precoating and pitch bottom back covering combination machine
KR20210001742A (en)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금진 Flocking Carpet Ti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210001763A (en)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금진 Woven Ti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5389A (en) * 1985-02-13 1986-08-19 Mitsubishi Electric Corp Apparatus for purifying drinking water
KR20110012495A (en) * 2009-07-30 2011-02-0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locking carp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2501235A (en) 2008-09-02 2012-01-19 インターフェイ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ow weight carpets and carpet tiles, and manufacturing, sizing, and installation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5389A (en) * 1985-02-13 1986-08-19 Mitsubishi Electric Corp Apparatus for purifying drinking water
JP2012501235A (en) 2008-09-02 2012-01-19 インターフェイ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ow weight carpets and carpet tiles, and manufacturing, sizing, and installation methods
KR20110012495A (en) * 2009-07-30 2011-02-0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locking carp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4323A (en) * 2016-08-18 2017-05-24 马福顺 Modular carpet precoating and pitch bottom back covering combination machine
KR20210001742A (en)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금진 Flocking Carpet Ti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210001763A (en)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금진 Woven Ti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2203913B1 (en) 2019-06-28 2021-01-15 주식회사 금진 Woven Ti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2277572B1 (en) 2019-06-28 2021-07-15 주식회사 금진 Flocking Carpet Ti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62862A1 (en)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anels and granulate applied herewith
DE60208201T2 (en) WATER VAPOR BARRIER-PAD
US7521385B2 (en) Fire resistant structural material, fabrics made therefrom
CA2294637C (en) Coated structural articles
US7563733B2 (en) Composite material
RU2625359C2 (en) Car parts
US20030228460A1 (en) Fire resistant structural material and fabrics made therefrom
US20030224679A1 (en) Fire resistant structural material and fabrics made therefrom
CN103221214A (en) Fire-resistant laminate
CN103299009A (en) Flooring material including a PLA surface layer having wood patterns
KR101329730B1 (en) Eco-frendly low weight carpet tile
US8030229B2 (en) Composite material
KR20130140703A (en) Lightweight carpet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A2303452A1 (en) Underlayment for surface covering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210268539A1 (en) Method for coating a tile element
US20110308181A1 (en) Barrier sheet useful for housewrap
JP5841507B2 (en) Base fabric for foamed plastic heat insulating surfac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200362176A1 (en) Porous polymer coatings
JPH0462535B2 (en)
US20070000597A1 (en) Methods for making high intensity flame resistant composites
JP2000158572A (en) Weatherable protective material
DE102006001097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heet-like, linoleum-like material and sheet-like material
EP3204549A1 (en) Linoleum composition with hydrophobic additive
EP0855462A2 (en) Coating composition for the preparation of water-impermeable, vapour-permeable and flame-retardant coatings
US20230278314A1 (en) Acoustic article, decorative element, and systems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