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014B1 - 휴대단말에서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에서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014B1
KR101329014B1 KR1020080106916A KR20080106916A KR101329014B1 KR 101329014 B1 KR101329014 B1 KR 101329014B1 KR 1020080106916 A KR1020080106916 A KR 1020080106916A KR 20080106916 A KR20080106916 A KR 20080106916A KR 101329014 B1 KR101329014 B1 KR 101329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signal
switching circuit
mod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7967A (ko
Inventor
김순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014B1/ko
Priority to US12/607,054 priority patent/US8412861B2/en
Priority to EP09174298.1A priority patent/EP2182709B1/en
Priority to CN200910208162.3A priority patent/CN101727428B/zh
Publication of KR2010004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967A/ko
Priority to US13/751,762 priority patent/US871946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송수신 신호 검출에 따라 휴대단말의 USB 스위칭 회로의 동작모드를 자동 전환하여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에서 유에스 스위칭 회로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USB(Universal Serial Bus) 스위칭 회로 제어 방법에 있어서,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가 연결될 시, 상기 USB 인터페이스에 걸리는 신호 검출에 의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장치가 USB 통신을 위한 특정 외부장치일 시 통신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통신모드에서 상기 특정 외부장치에 따른 내부 모듈의 신호 패스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모드에서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부 이벤트 및 상기 특정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외부 이벤트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내부 및 외부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USB 스위칭 회로를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80106916
휴대단말, USB 스위칭 회로, 외부장치, 헤드셋, 소모전류

Description

휴대단말에서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DE OF SWITCHING IC IN A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외부장치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 접속되는 외부장치를 판별하고, 판별하는 외부장치에 따른 경로 및 그에 따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외부장치 판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단말은 휴대의 용이성과, 다양한 프로그램들의 저장이 가능하며, 활용도가 뛰어나 매우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 중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 음성통화가 가능한 특성으로 인하여 이용자 및 서비스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휴대단말은 초기에 배터리 및 기타 소자들의 안정화를 위하여 그 크기가 매우 커서 휴대단말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무게와 크기가 매우 큰 편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소자의 개발과 배터리의 개발에 힘입어 무게와 크기가 매우 작아졌으며, 휴대단말의 두께 또한 매우 얇아지고 있다.
한편, 휴대단말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모드와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통신모드를 가진다.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충전모드를 지원하기 위하여 충전기(TA, Terminal Adaptor)와 연결되며, 상기 통신모드를 지원하기 위하여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을 충전시키기거나,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충전기 또는 외부장치를 연결하는 데이터케이블(data cable)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데이터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인터페이스는 상기 휴대단말의 충전기가 연결되는 통로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의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로로도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휴대단말의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핀(pin)의 개수는 한정되어 있는데 반하여, 휴대단말의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외부장치들의 개수는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의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핀들을 종류가 다른 외부장치들에 공통으로 할당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외부장치의 종류에 따라 휴대단말이 다르게 동작하는 상황에서, 상술한 공통 핀의 사용은 휴대단말 제어회로 또는 외부장치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도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에 접속되는 외부장치의 종류를 올바르게 판별하고, 판별하는 외부장치에 대응하게 휴대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 접속되는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하고, 판별하는 외부장치에 대응하게 휴대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 접속되는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하고, 접속되는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통신모드 지원을 위한 신호 처리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 접속하는 외부장치와의 연결 경로 상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검출하고, 이벤트의 검출 여부에 따라 USB 스위치 회로의 동작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과 접속하는 외부장치와의 신호 송수신 상태에 따라 USB 스위치 회로의 동작 모드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장치의 연결 유지에 따르는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 접속하는 외부장치와 신호 송수신이 검출되지 않을 시, USB 스위치 회로를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USB 스위치 회로에서 발생하는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장치로부터 유입되는 신호 검출에 의해 USB 스위치 회로의 슬립모드/액티브모드 전환을 적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접속된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발생하던 불필요한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 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USB 스위칭 회로의 저전력 설계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 접속하는 외부장치로부터 유입되는 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USB 스위치 회로의 슬립모드 및 액티브모드를 적응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외부장치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 인터페이스와,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와의 신호라인을 연결/분리하고, 상기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해당 내부 모듈로 신호 패스를 설정하는 스위칭 회로와,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될 시 상기 외부장치 접속으로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에 대응하는 제1 검출 값을 출력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모드 시, 상기 외부장치에서 유입되는 외부 이벤트를 검출하여 검출된 외부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2 검출 값을 출력하는 신호 검출부와, 상기 외부장치 접속 시 상기 신호 검출부의 상기 제1 검출 값에 의하여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는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외부장치 사이의 통신모드를 활성화하며,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모드 시 상기 신호 검출부의 상기 제2 검출 값에 의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의 액티브 모드와 슬립모드 사이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모드 동안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해당 내부 모듈 사이의 신호패스가 연결되고, 상기 슬립모드 동안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해당 내부 모듈 사이의 신호패스가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가 연결될 시,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걸리는 신호 검출에 의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하는 과정과, 검출된 신호에 따라 통신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상기 통신모드에서 상기 외부장치에 따른 내부 모듈의 신호 패스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상기 통신모드에서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부 이벤트 및 상기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외부 이벤트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내부 및 외부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스위칭 회로의 액티브모드를 상기 스위칭 회로의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모드 동안 상기 내부 모듈과 상기 외부장치 사이의 상기 신호패스가 연결되고, 상기 슬립모드 동안 상기 내부 모듈과 상기 외부장치 사이의 상기 신호패스가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에서 USB 스위칭 회로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에 접속되는 외부장치를 올바르게 판별할 수 있으며, 외부장치의 접속에 따라 동작하는 USB 스위칭 회로의 동작모드를 송수신 신호의 발생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과 외부장치 간 송수신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USB 스위칭 회로를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불필요한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립모드에서도 휴대단말과 외부장치 간 송수신 신호를 검출하고, 송신 또는 수신 신호가 검출될 시 USB 스위칭 회로를 액티브모드로 전환하여, 저전력에 신뢰도 높은 통신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접속되는 외부장치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휴대단말의 배터리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모드와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통신모드를 지원하며, 상기 휴대단말은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는 상기 휴대단말의 충전기(TA, Terminal Adaptor)가 연결되는 통로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로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충전모드 및 통신모드 지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USB 인터페이스인 것을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며, 이에 의해 상술한 통신은 USB 통신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의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수 있는 외부장치를 충전기와 USB 장치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 접속될 수 있는 외부장치는 상기 충전기와 USB 장치뿐만 아니라,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개인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게임기, 디지털방송수신기, 무선통신모듈, 외부 메모리 및 헤드셋 등 상기 휴대단말 과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 가능한 모든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휴대단말의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USB 장치를 구분하고, 구분하는 특정 USB 장치에 따른 USB 스위칭 회로(USB Switching IC)의 동작 모드 및 신호 처리를 제어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충전기에 의한 충전모드에 의한 통신모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무선통신모듈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외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인터페이스 특히, USB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와 접속하여 외부장치의 해당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방송단말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노트북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의 휴대단말, 커넥터 인터페이스 및 외부장치 간의 연결 구조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능 설명을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 및 외부장치 간 연결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휴 대단말의 커넥터 인터페이스(USB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수 있는 USB 장치로서, 충전기 및 헤드셋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하는 충전기 및 헤드셋과 같은 각각의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고, 해당 외부장치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휴대단말(100)과, 헤드셋(200)과, 충전기(300) 및 상기 휴대단말(100)과 각 외부장치(200, 300)를 연결하는 데이터케이블(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케이블(250)은 USB 데이터케이블을 나타내며, 상기 데이터케이블(250)은 상기 헤드셋(200) 및 충전기(300) 각각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 데이터케이블(250)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헤드셋(200) 또는 상기 충전기(300)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하는 검출 값(예컨대, 외부장치 접속 시 검출되는 신호의 피크 값)에 따라 접속되는 장치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상기 헤드셋(200)인지, 상기 휴대단말(100)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300)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데이터케이블(250)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헤드셋(200) 및 상기 충전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식별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식별신호에 따라 접속되는 장치가 상기 헤드셋(200)인지, 상기 충전기(300)인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즉, 각 외부장치(200, 300)는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될 시, 자신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식별신호를 상기 휴대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데이터케이블(250)을 통하여 상기 충전기(300)로부터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가정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케이블(250)을 통하여 상기 헤드셋(200)과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정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되는 외부장치의 종류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가지는 USB 인터페이스(150)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헤드셋(200)과 충전기(30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되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헤드셋(200) 또는 상기 충전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검출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에 접속되는 장치의 종류를 판단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결과를 기반으로 접속되는 장치와의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하는 장치가 상기 헤드셋(200)으로 판단할 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모드에서 상기 헤드셋(200)과의 데이터 통신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하는 장치가 상기 충전기(300)로 판단할 시 휴대단말(100)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모드에서 상기 충전기(300)로부터 배터리 충전 조건에 따라 공급되는 충전용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에 통신용 USB 장치가 접속되면 통신모드를 활성화하고, 통신용 USB 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 또는 저장된 정보를 읽어오거나, 휴대단말(100)에서 발생하는 신호 또는 저장된 정보를 상기 USB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USB 장치가 상기 헤드셋(200)일 시, 상기 휴대단말(100)은 통신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헤드셋(200)에서 발생하여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검출하거나,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발생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헤드셋(200)으로 전송한다.
한편, 접속되는 외부장치가 USB 인터페이스를 가지되 충전을 위한 장치 즉, 상기 충전기(300)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충전기(300)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충전모드를 활성화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충전기(300)로부터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휴대단말(10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충전기(300)는 일측이 상기 휴대단말(100)의 USB 인터페이스(150)와 데이터케이블(250)을 통하여 접속됨과 아울러, 타 측이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 등에 접속되어 콘센트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100)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충전기(300)는 콘센트가 제공하는 고전위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전위로 조정하여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기(30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배터리 고속 충전을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100) 및 상기 휴대단말(100)의 배터리가 허용할 수 있는 일정 마진을 가지는 최대 정격전류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헤드셋(200)은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 가능한 다양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휴대단말(100)과 접속되면, 상기 휴대단말(100)과 요청되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헤드셋(200)은 상기 데이터케이블(150)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100)과 접속될 시,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헤드셋(200)과 같은 외부장치와 상기 휴대단말(100) 간의 USB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케이블(250)은 상기 휴대단말(100) 일 측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헤드셋(200)과 같은 및 상기 충전기(300)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를 연결하는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상기 외부장치(200) 및 상기 충전기(300) 일 측에 USB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수 있는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와 같이 헤드셋(200)인 경우, 상기 헤드셋(200)의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헤드셋(200)에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휴대단말(100)과 외부접속기기를 상기 데이터케이블(250)을 이용하여 접속시킨다. 특히, 상기 휴대단말(100)은 접속된 외부접속기기의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되는 외부접속기기가 전술한 헤드셋(200)과 같은 외부장치인지, 충전기인지(300)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접속된 외부접속기기의 USB 인터페이스 형 태를 기반으로 외부접속기기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100)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거나, 상기 휴대단말(100)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하는 외부접속기기가 상기 충전기(300)인 경우에는 충전모드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하는 외부접속기기가 상기 헤드셋(200)과 같은 외부장치인 경우에는 통신모드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100)은 판별하는 해당 외부장치의 종류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하는 외부장치가 헤드셋(200)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헤드셋(200)을 인지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헤드셋(200)과 통신모드를 위한 신호 패스(Signal Path)를 설정하고, 상기 신호 패스를 통해 상기 헤드셋(200)과 통신모드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헤드셋(200)에서 발생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발생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헤드셋(200)으로 전달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헤드셋(200)과 음성통신과 관련한 오디오신호의 송수신을 처리하거나, 음악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신호 송신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접속하는 외부장치가 노트북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노트북을 인지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노트북과 통신모드를 위한 신 호 패스를 설정하고, 상기 신호 패스를 통해 상기 노트북과 통신모드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노트북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신호를 상기 노트북으로 전달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노트북으로부터 주소록, 음악파일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주소록, 음악파일 등의 데이터를 상기 노트북으로 전송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장치와 접속하고, 접속하는 외부장치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한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USB 스위칭 회로(USB Switching I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상적으로 외부장치와 통신모드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USB 스위칭 회로는 상기 외부장치와의 신호 패스를 설정하고, 상기 신호 패스의 유지를 위한 전류를 계속하여 발생하여야 한다.
즉, 상기 USB 스위칭 회로의 신호 패스의 오프(off) 상태에서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전달 신호를 처리할 수 없음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100)은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호 수신을 항상 대기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100)은 외부장치로부터의 신호 수신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USB 스위칭 회로의 상기 신호 패스 유지를 위한 전류를 계속하여 공급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시에는, 상기 USB 스위칭 회로를 슬립모드(Sleep mode)로 자동 전환시켜,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슬립모드에서도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유입되는 신호가 검출될 시, 상기 슬립모드에서 액티브모드(Active mode)로 자동 전환시켜, 원활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장치와의 통신 상태에 따라, 외부장치 또는 사용자의 간섭 없이 저전력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USB 스위칭 회로의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고, 그에 따른 신호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USB 스위칭 회로의 적응적인 동작모드 전환을 통한 저전력을 설계할 수 있는 수단 및 이러한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USB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제어를 위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은 무선통신모듈(110)과, 입력부(120)와, 오디오처리부(130)와, 표시부(140)와, USB 인터페이스(150)와, 저장부(160)와, USB 스위칭 회로(170)와, 신호 검출부(180)와, 충전회로(190) 및 제어부(400)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동작모드 제어를 위한 스위칭 제어부(4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상기 휴대단말(100)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무선 네트워크(기지국 포함)와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 등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10)은 경우에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되는 외부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외부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모듈인 경우,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휴대단말(1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휴대단말(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를 별도로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쿼티 방식의 키패드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키 등과 같은 입력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입력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헤드셋(200) 및 충전기(300) 등과 같은 외부장치가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될 시, 상기 외부장치의 제어를 위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되는 외부장치로 대체될 수 도 있다. 즉,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휴대단말(100)의 보조 입력장치인 경우,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휴대단말(100) 제어에 필요한 키 신호를 생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오디오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특히, 상기 오디오처리부(130)는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되었을 경우, 상기 외부장치의 접속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130)의 기능은 상기 외부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헤드셋(200)과 같은 독립 형태의 오디오 기기인 경우, 상기 헤드셋(200)이 상기 휴대단말(100)의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정보, 키 조작 등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설정정보 등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제 어부(40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LCD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140)에 의한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의 기능은 상기 외부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노트북/영상출력장치 등과 같은 경우, 상기 노트북/영상출장치가 상기 휴대단말(100)의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발생하는 화면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데이터는, 휴대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100)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일반적인 기능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본 발명의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해당 외부장치와 상호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USB 스위칭 회로 모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 접속될 수 있는 다양한 외부장치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데이터는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검출되는 신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부(160)는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저장부(160)의 기능은 상기 외부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외부저장매체 등과 같은 경우, 상기 외부저장매체가 상기 휴대단말(100)의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4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되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는 임의의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USB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거나,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USB 통신 방식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USB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 전송을 위한 내부 구성은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는 크게 외부장치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제어부(400)로 신호 전달을 위한 접속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접속부를 하나의 형태로 도시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는 임의의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과, 상기 충전회로(190)로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100)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VBus) 과, 접속되는 외부장치의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식별라인(ID)과, 접지라인(GND)을 포함한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는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에 흐르는 신호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신호라인(D+)은 일정 전압에서 저하되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라인(D-)은 접지 전압에서 상승되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신호라인(D+)은 예를 들면, 3.3V에서 1.5V 사이를 하강 및 상승 변화하면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2 신호라인(D-)은 예를 들면, 접지 전압에서 1.5V 사이를 상승 및 하강 변화하면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상기 제2 신호라인(D-)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라인에는 풀업(PU, Pull Up) 전압(예컨대, 3.3V)이 걸려 있어, 임의의 외부장치와 접속되는 경우 상기 풀업 전압이 풀다운(PD, Pull Down) 전압으로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린 풀업 전압이 외부장치가 접속된 이후에 풀다운 전압으로 변화하기 위해서 상기 풀업 전압에 외부장치에 배치된 저항(R)보다 큰 저항(Rpu)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3에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상기 제1 신호라인(D+)은 충전기(300)가 아닌 상기 헤드셋(200)과 같은 외부장치와 접속되었을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이 접속하였음을 상기 외부장치에 알리기 위한 풀업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는 일정 전원을 풀업 된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 기 외부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풀업 전원을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접속되었음을 인지하고, 해당 기능 수행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풀업 전원은 일정 전압 예를 들면, 3.0 ~ 3.3V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풀업 전원은 휴대단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외부장치들은 USB 규격에 따라 풀다운 저항(Rpd)을 가지며, 상기 풀다운 저항(Rpd) 값은 통상적으로 15Kohmㅁ5%(14.25Kohm~15.75Kohm)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연결될 시, 상기 휴대단말(100) 특히,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 내부에서 풀업 저항(Rpu)을 인가함으로써 USB 통신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한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 시 상기 제어부(400) 내 회로의 안정성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와의 신호라인 연결/분리를 위하여 스위치(SW,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는 특정 외부장치와 USB 데이터 통신 시, 상기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해당 모듈과 신호 패스를 설정하여 상기 USB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On/Off) 제어는 USB 인터페이스(150)의 제1 신호라인(D+)과 제2 신호라인(D-)에 스위칭 동작을 위해 사용하는 차지펌프(Charge Pump)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차지펌프는 L(인덕터)의 역기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콘덴서만으로 승압 또는 강압을 할 수 있는 스위칭 전원 중 하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신호 검출부(180)의 검출 값에 의해 USB 스위칭 회로(170)의 슬립모드 진입을 위한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 제어하거나,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슬립모드에서 액티브모드 전환을 위한 상기 스위치를 온(On)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는 본 발명의 설정 방식에 따라, 특정 외부장치와 USB 데이터 통신이 시작되기 이전까지 상기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거나, 또는 외부장치가 접속될 시 초기에는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USB 데이터 통신이 시작되기 이전까지 상기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는 경우,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으로부터 USB 데이터 통신을 위해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외부 이벤트)를 체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 USB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휴대단말(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신호(내부 이벤트)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 접속으로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에서 검출하는 신호로부터 로직 레벨(logic level)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하는 로직 레벨을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상기 로직 레벨의 값으로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로직 레벨이 로직 하이(Logic High) 신호인 경우 상기 외부장치가 충전기(300)인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로직 레벨이 로직 로 우(Logic Low) 신호인 경우 상기 외부장치가 헤드셋(200)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식별라인(ID)에서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하는 식별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상기 식별신호로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외부장치는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에 접속될 시, 자신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식별신호를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신호 검출에 의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충전기(300)인지 헤드셋(200)인지 식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외부장치가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되어 USB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모드에서도,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모드 전환을 위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통신모드에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제1 신호라인(D+)과 제2 신호라인(D-)에 발생하는 외부 이벤트를 검출하고, 검출하는 결과를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검출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모드에서 USB 데이터 통신 중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그에 의해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슬립모드 및 액티브모드의 전환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190)는 상기 외부장치가 충전기(200)인 경우, 상기 휴대단 말(100)의 배터리 충전과 관련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충전회로(190)는 배터리를 충전할 충전전류량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190)는 상기 충전기(300)로부터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전원라인(VBus)을 전달되는 전류량을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100) 내의 상기 각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10)과, 상기 입력부(12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130)와, 상기 표시부(140)와, 상기 저장부(160)와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와, 상기 신호 검출부(180) 및 상기 충전회로(19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코덱(CODEC) 및 적어도 하나의 모뎀(MODEM)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처리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신호 검출부(180)의 검출 결과를 수신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외부장치가 헤드셋(200)과 같은 외부장치로 판별되었을 경우,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가 충전기(300)인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충전 기능을 활성화하여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100)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이러한 응용으로, 상기 외부장치가 이동통신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모듈인 것으로 판별되었을 경우, 상기 네트워크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무선 통신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신호 검출부(180)의 검출 결과를 수신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모드를 슬립모드 및 액티브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접속되는 외부장치와 통신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신호 검출부(180)가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신호 패스에서 송수신 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동작모드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모드는 특정 외부장치와 설정된 신호 패스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각 스위치로 일정량의 전류(예컨대, 1mA)를 계속하여 공급함으로써,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를 활성화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슬립모드는 상기 특정 외부장치와 설정된 신호 패스에서 데이터 통신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발생하지 않을 시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로 유입되는 일정량의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각 스위치를 오프 즉,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를 비활성화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일정량의 전류를, 신호 송수신 상태에 따른 모드 전환을 통해 차단/공급함으로써, USB 스위칭 회로(170)의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400)는 스위칭 제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또는 검출 핀(detection pin)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신호 검출부(180)로부터 검출 값을 제공받는 입력핀과, 상기 검출 값에 따라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제어를 위한 출력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핀은 상기 GPIO 또는 검출 핀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출력핀은 상기 GPIO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신호 검출부(180)의 검출 값에 따라 상기 출력핀을 통해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를 온/오프(On/Off)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신호 검출부(180)에 의해 검출된 값(데이터 신호, 식별신호, 로직 레벨 등)을 상기 GPIO 또는 검출 핀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식별신호 또는 로직 레벨의 검출 값에 의해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접속되는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되는 기준 데이터와 상기 신호 검출부(180)에 의해 검출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현재 접속되는 외부장치가 어떠한 장치인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그 기능을 구분하여 검출신호 판별부와 스위칭 처리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검출 값에 의해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모드 전환을 제어한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외부장치의 접속에 따른 통신모드 수행 시, 상기 신호 검출 부(180)의 데이터 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동작모드(슬립모드/액티브모드)를 제어한다.
한편, 전술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장치의 신호처리를 위한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ART 모듈은 상기 휴대단말(100)에 부착된 직렬장치들로 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칩(micro chip)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UART 모듈은 상기 외부장치에서 유입되는 직렬신호를 휴대단말(100) 내부에서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병렬신호로 변경하고, 휴대단말(100)에서 출력되는 병렬신호를 직렬신호로 변경하는 UART 버스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UARt 모듈은 상기 휴대단말(100)로부터 병렬회로를 통해 전달받은 바이트들을, 외부장치에 전달하기 위해 하나의 단일 직렬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상기 외부장치에서 유입되는 직렬 비트 스트림을 상기 휴대단말(100)이 처리할 수 있도록 바이트로 변환하여 내부로 전송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 상기 신호 검출부(180) 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에서 외부장치 접속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에 상기 충전기(300)가 접속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충전기(300)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충전 기(30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은 단락(short)되므로,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로부터 로직 하이(Logic High)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로직 하이 신호를 상기 스위칭 제어부(175)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GPIO 또는 검출 핀을 통해 상기 로직 하이 신호를 인가받는다. 즉,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충전기(30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이 단락(short)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제1 신호라인(D+)에 일정 전압(High)을 공급하여, 제2 신호라인(D-)에 상기 일정 전압(High)이 체크되는 경우 현재 접속된 외부장치를 충전기(300)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충전기(300) 접속에 따른 충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에 상기 헤드셋(200) 등과 같은 USB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에는 특정 풀다운 저항(Rpd, 예컨대 15Kohm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제1 신호라인(D+)에는 특정 크기의 전압이 걸리게 된다. 즉,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제1 신호라인(D+)에 일정 전압(High)을 공급하여, 제2 신호라인(D-)에 일정 전압(Low)이 체크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라인에 걸린 일정 전압이 외부장치로 전달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의거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 다.
또한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에 기 설정된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로 전달하면,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에서는 상기 기 설정된 전압의 변화 값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저장부(160)에 기 저장되는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검출된 검출 값을 서로 비교하여 현재 접속된 외부장치가 어떠한 장치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의 식별라인(ID)으로부터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로 인가되는 식별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단말(100)은 판단하는 해당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신호 패스를 설정하고, 통신모드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외부장치의 접속에 따른 통신모드 수행 시,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을 전술한 예시와 같은 동작으로 체크하여, 특정 데이터 신호를 체크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로 전달한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신호 검출부(180)의 결과 신호에 의하여 상기 통신모드에서 데이터 통신이 수행 중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만약, 데이터 통신이 수행중이지 않으면,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슬립모드 전환 즉, 비활성화를 위한 명령신호를 상기 USB 스위칭 회 로(170)로 전달한다. 이에 의해,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는 슬립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슬립모드에서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는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해당 외부장치에 대응하게 설정된 신호 패스를 오프한다. 즉,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 각각과 연결되는 스위치를 오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가 슬립모드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을 체크하고, 특정 데이터 신호를 검출할 시 그에 대한 검출 값을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로 전달한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신호 검출부(180)의 검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슬립모드의 USB 스위칭 회로(170)의 액티브모드 전환 즉, 활성화를 위한 명령신호를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로 전달한다. 이에 의해,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는 상기 슬립모드에서 액티브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해당 신호 패스를 통해 전달한다.
아울러,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통신모드에서 상기 휴대단말(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한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동작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한 USB 스위칭 회로(170)의 슬립모드에서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가 발생할 시,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액티브모드 전환 즉, 활성화를 위한 명령신호를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로 전달한다. 이에 의해,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는 상기 슬립모드에서 액티브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신호 패스를 설정하여 상 기 휴대단말(100)의 데이터 신호를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도 2 및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디지털방송수신모듈, 근거리통신모듈, 인터넷통신모듈 및 음악재생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이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할 시 이를 위한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다른 휴대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이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을 지원할 시 이를 위한 인터넷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넷모듈은 상기 제어부(450)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망을 통해 다른 휴대단말 및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이 디지털 방송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할 시 이를 위한 방송수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개략적인 구성 및 그 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장치와의 통신모드에서 상기한 USB 스위칭 회로(170)의 모드 전환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SB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전환을 위한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100)의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특정 외부장치가 연결되면(401단계),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에 걸리는 신호 검출에 의거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한다(403단계, 405단계). 이때, 상기 신호 검출부(180)에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에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검출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추출하는 검출 값을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검출 값에 의해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판별 방법에 의해, 상기 외부장치가 충전기인 것으로 판별하면, 충전모드를 활성화(407단계)한 후, 상기 충전모드에서 상기 휴대단말(100)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한다(409단계).
반면, 전술한 판별 방법에 의해, 상기 외부장치가 USB 통신을 위한 특정 외부장치인 것으로 판별하면, 통신모드를 활성화(411단계)한 후, 상기 통신모드에서 해당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 패스를 설정한다(413단계). 이어 서, 상기 설정되는 신호 패스를 통해 내부(휴대단말) 또는 외부(외부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이벤트를 체크할 수 있다(415단계).
상기 발생하는 이벤트 체크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의 신호 검출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의 신호를 체크하여, 설정된 임계 이상의 전압을 검출하면 이벤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된 임계 미만의 전압을 검출하면 이벤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특정 이벤트(예컨대, 데이터 신호 송신/수신)가 발생하면, 상기 설정된 신호 패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을 처리하고, 그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417단계). 상기 415단계의 체크결과,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상기 휴대단말(100)의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USB 통신을 위한 신호 패스를 제공하는 USB 스위칭 회로(170)의 모드를 슬립모드로 전환한다(419단계).
다음으로,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슬립모드 진입 시, 상기 신호 검출부(180)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50)의 각 신호라인에 발생하는 외부 이벤트를 체크할 수 있다(421단계). 이때, 상기 외부 이벤트 체크결과 외부 이벤트가 없으면 상기 슬립모드를 유지하고(427단계), 계속하여 외부 이벤트 발생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 종료를 감지하면(425단계), 상기한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장치 연결 종료 시,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는 비활성화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 이벤트 체크결과 외부 이벤트가 있으면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상기 슬립모드를 액티브모드로 전환한다(429단계).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상기 액티브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장치와 USB 통신을 수행하는 해당 내부 모듈과 설정된 해당 신호 패스를 통해 상기 수신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431단계).
한편, 상기 도 4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가 슬립모드에 존재할 시,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부 이벤트를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스위칭 제어부(450)는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상기 슬립모드를 액티브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의 상기 액티브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단말(100)의 데이터 신호를 상기 USB 스위칭 회로(170) 및 USB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 및 외부장치 간 연결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USB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제어를 위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SB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전환을 위한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

Claims (16)

  1.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외부장치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 인터페이스와,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와의 신호라인을 연결/분리하고, 상기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해당 내부 모듈로 신호 패스를 설정하는 스위칭 회로와,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될 시 상기 외부장치 접속으로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에 대응하는 제1 검출 값을 출력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모드 시, 상기 외부장치에서 유입되는 외부 이벤트를 검출하여 검출된 외부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2 검출 값을 출력하는 신호 검출부와,
    상기 외부장치 접속 시 상기 신호 검출부의 상기 제1 검출 값에 의하여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는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외부장치 사이의 통신모드를 활성화하며,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모드 시 상기 신호 검출부의 상기 제2 검출 값에 의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의 액티브모드와 슬립모드 사이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모드 동안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해당 내부 모듈 사이의 신호패스가 연결되고, 상기 슬립모드 동안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해당 내부 모듈 사이의 신호패스가 분리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회로의 슬립모드 중, 상기 내부 이벤트 또는 외부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스위칭 회로의 상기 슬립모드를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모드에서, 상기 제2 검출 값에 의하여 외부 이벤트 발생이 없음을 인지할 시, 상기 스위칭 회로를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모드에서, 상기 휴대단말 내부에서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내부 이벤트 발생이 없을 시, 상기 스위칭 회로를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회로 동작에 필요한 일정량의 전류를, 상기 제2 검출 값에 따라 차단 또는 공급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의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 접속 시 상기 신호 검출부의 상기 제1 검출 값의 판별에 의해 접속하는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모드 시 상기 신호 검출부의 상기 제2 검출 값의 판별에 따라 상기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전환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모드에서, 상기 신호 검출부의 제2 검출 값에 의해 데이터 통신이 없는 것을 판단할 시 상기 스위칭 회로를 슬립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슬립모드에서 상기 신호 검출부의 제2 검출 값에 의해 데이터 통신이 있는 것을 판단할 시 상기 슬립모드를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회로 제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회로의 슬립모드에서,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장치로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감지할 시, 상기 스위칭 회로를 상기 슬립모드에서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검출부는,
    상기 스위칭 회로의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에서,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의 신호라인에 유입되는 상기 외부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는,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신호라인(D+) 및 제2 신호라인(D-)과,
    상기 휴대단말의 충전회로로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의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VBus)과,
    접속되는 외부장치의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식별라인(ID)과,
    접지라인(GN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장치.
  11.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가 연결될 시,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걸리는 신호 검출에 의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를 판별하는 과정과,
    검출된 신호에 따라 통신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상기 통신모드에서 상기 외부장치에 따른 내부 모듈의 신호 패스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상기 통신모드에서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부 이벤트 및 상기 외부장치에서 발생하는 외부 이벤트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내부 및 외부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스위칭 회로의 액티브모드를 상기 스위칭 회로의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모드 동안 상기 내부 모듈과 상기 외부장치 사이의 상기 신호패스가 연결되고, 상기 슬립모드 동안 상기 내부 모듈과 상기 외부장치 사이의 상기 신호패스가 분리되며,
    상기 스위칭 회로의 슬립모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이벤트 또는 외부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스위칭 회로의 상기 슬립모드를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이벤트 체크는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의 신호라인의 신호를 체크하여, 설정된 임계 이상의 전압을 검출하면 상기 외부 이벤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된 임계 미만의 전압을 검출하면 상기 외부 이벤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의 슬립모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인터페이스의 신호라인에 발생하는 외부 이벤트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이벤트가 없으면 상기 슬립모드를 유지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이벤트가 있으면 상기 스위칭 회로의 상기 슬립모드를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가 슬립모드에 존재할 시,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부 이벤트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내부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스위칭 회로의 상기 슬립모드를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휴대단말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일 시 충전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충전모드에서 상기 휴대단말의 충전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스위칭 회로 제어 방법.
KR1020080106916A 2008-10-30 2008-10-30 휴대단말에서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29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916A KR101329014B1 (ko) 2008-10-30 2008-10-30 휴대단말에서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607,054 US8412861B2 (en) 2008-10-30 2009-10-2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B switching circuit in portable terminal
EP09174298.1A EP2182709B1 (en) 2008-10-30 2009-10-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B switching circuit in portable terminal
CN200910208162.3A CN101727428B (zh) 2008-10-30 2009-10-28 控制便携式终端中usb开关电路的设备和方法
US13/751,762 US8719461B2 (en) 2008-10-30 2013-01-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B switching circuit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916A KR101329014B1 (ko) 2008-10-30 2008-10-30 휴대단말에서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967A KR20100047967A (ko) 2010-05-11
KR101329014B1 true KR101329014B1 (ko) 2013-11-12

Family

ID=4160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916A KR101329014B1 (ko) 2008-10-30 2008-10-30 휴대단말에서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412861B2 (ko)
EP (1) EP2182709B1 (ko)
KR (1) KR101329014B1 (ko)
CN (1) CN1017274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4721B (zh) * 2009-08-19 2013-02-01 Richtek Technology Corp 充電器及具有該充電器的可攜式裝置
JP4823352B2 (ja) * 2009-12-24 2011-11-24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JP5454224B2 (ja) * 2010-02-25 2014-03-26 ソニー株式会社 記憶装置および記憶システム
JP5496722B2 (ja) * 2010-03-18 2014-05-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JP5134037B2 (ja) * 2010-04-27 2013-01-3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待機電力の低減が可能な情報機器および電力の制御方法
KR101729511B1 (ko) * 2010-05-25 2017-04-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TW201203954A (en) * 2010-07-09 2012-01-16 Netklass Technology Inc Network device with routing function and the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US8850082B2 (en) * 2010-08-30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Virtual USB compound device enumeration
US8478912B2 (en) * 2011-02-07 2013-07-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gnetic connector for data and power transfer
US8743856B2 (en) * 2011-02-23 2014-06-03 Lg Electronics Inc. Wireless charging of mobile device
JP2012204880A (ja) * 2011-03-23 2012-10-22 Toshiba Corp メモリ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2147779B (zh) * 2011-04-07 2014-02-12 广东金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usb外设处理装置及usb外设的处理方法
US8707068B2 (en) * 2011-05-09 2014-04-22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USB host wake up via a USB device when in shut down mode
WO2011137843A2 (zh) * 2011-05-30 2011-11-10 华为终端有限公司 设备标识信息的获取方法及装置
CN102214115A (zh) * 2011-07-21 2011-10-12 松翰科技股份有限公司 通用串行总线控制装置及其初始化方法
KR101294818B1 (ko) * 2011-08-01 201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N103092306B (zh) * 2011-11-04 2016-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设备以及电源切换方法
KR101300756B1 (ko) * 2012-01-04 2013-08-29 주식회사 리얼브레인 블루투스 통신 지원장치
KR101969726B1 (ko) * 2012-05-02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범용 직렬 버스 호스트 식별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329129B1 (ko) * 2012-06-19 2013-11-14 (주)한국엘에스아이 배터리가 적용된 시스템의 양산테스트를 위한 전원 제어장치
CN202841070U (zh) * 2012-06-28 2013-03-27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的音频接口匹配识别的装置及电子签名工具
CN103677197B (zh) * 2012-08-30 2017-08-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Usb数据传输***的省电方法及装置
CN102883255B (zh) * 2012-09-13 2014-12-03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转接装置、电子签名工具、检测装置和接口检测***
EP2907070A1 (en) * 2012-10-11 2015-08-19 Giesecke & Devrient GmbH Sim usb interface to external world
CN103777973A (zh) * 2012-10-24 2014-05-07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电脑装置及其唤醒方法
TWI538318B (zh) * 2013-02-04 2016-06-11 金士頓數位股份有限公司 連接裝置及電子裝置總成
US20140237143A1 (en) * 2013-02-21 2014-08-21 Skymedi Corporation Debugging Fixture
CN103149983B (zh) * 2013-03-27 2016-11-02 苏州朗昇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扩展外设配合方法及扩展外设
EP2997440A4 (en) * 2013-05-13 2017-03-0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switch feature
KR102136068B1 (ko) * 2013-07-04 2020-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Usb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10873198B2 (en) 2014-01-28 2020-12-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harging mode switching circuit and method
CN107069848B (zh) * 2014-01-28 2019-05-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模式切换电路和方法
KR102218242B1 (ko) * 2014-03-18 2021-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FR3021404A1 (fr) * 2014-05-26 2015-11-27 Netatmo Systeme comportant un dosimetre et un dispositif de chargement du dosimetre pour controler le mode de fonctionnement du dosimetre
US20160036596A1 (en) * 2014-08-04 2016-02-04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804977B2 (en) 2015-04-28 2017-10-31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Universal serial bus smart hub
CN104967200B (zh) 2015-08-05 2018-04-2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充电方法及移动终端
CN104967199B (zh) 2015-08-05 2018-07-10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快速充电方法及移动终端
CN104993562B (zh) * 2015-08-05 2017-12-05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可直充电源适配器
CN104993182B (zh) * 2015-08-05 2018-01-0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可直充电源适配器及充电方法
CN104967201B (zh) 2015-08-05 2018-10-0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快速充电方法、移动终端及可直充电源适配器
KR102249946B1 (ko) * 2015-09-04 2021-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및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70109248A1 (en) * 2015-10-20 2017-04-20 Quanta Computer Inc. Sharing bus port by multiple bus hosts
JP6661342B2 (ja) * 2015-11-26 2020-03-11 Dynabook株式会社 ポート接続回路、ポート接続制御方法、電子機器
CN105721225A (zh) * 2016-04-07 2016-06-29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检测远端网络设备状态的电路及其方法
CN105872879A (zh) * 2016-04-28 2016-08-1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耳机供电方法及耳机供电装置
TWI601015B (zh) * 2016-05-25 2017-10-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資料處理電路與資料處理方法
US11101674B2 (en) * 2016-08-05 2021-08-24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Battery charging architectures
KR101777660B1 (ko) * 2016-10-25 2017-09-12 주식회사 티에스피글로벌 플래시 스토리지 디바이스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CN106849928A (zh) * 2017-01-18 2017-06-13 上海与德信息技术有限公司 Usb开关电路及终端
WO2019071577A1 (zh) * 2017-10-13 2019-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用串行总线设备和通用串行总线设备的省电方法
CN107608280B (zh) * 2017-11-03 2024-05-03 深圳市康冠商用科技有限公司 多信源usb接口电路
CN109885517B (zh) * 2017-12-06 2024-01-12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切换电路及终端设备
CN109218880A (zh) * 2018-07-26 2019-01-15 上海与德通讯技术有限公司 耳机充电二合一电路及控制方法、终端
CN109343387B (zh) * 2018-09-29 2021-03-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数据通讯方法、装置、设备及空调
CN109743240B (zh) * 2018-12-17 2023-11-14 澳克多普有限公司 通信设备的接口切换装置及方法
CN113168207A (zh) * 2019-05-31 2021-07-23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口组件、芯片及电子设备
CN110543439B (zh) * 2019-09-10 2023-05-12 南方科技大学 一种信号处理***
CN112526275B (zh) * 2020-12-21 2022-05-13 中认英泰检测技术有限公司 用于质量安全监测的自适应电参数测试***及方法
CN113347011B (zh) * 2021-04-20 2022-11-15 深圳市广和通无线股份有限公司 通信设备、***及通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564A (ko)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루트미디어 허브형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를 이용한 다기능 이동식저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31489A (ko) * 2005-06-16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단일포트를 통해 멀티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864A (en) * 1995-06-09 1998-10-27 Canon Information Systems, Inc. Network board which responds to status changes of an installed peripheral by generating a testpage
US6460094B1 (en) * 1998-07-08 2002-10-01 Microsoft Corporation Peripheral device configured to detect the type of interface to which it is connected and configuring itself accordingly
US6725061B1 (en) * 1999-01-12 2004-04-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of accessories coupl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3819658B2 (ja) * 1999-12-27 2006-09-13 三洋電機株式会社 共通シリアルバスコネクターを具えた携帯電子機器
KR100466098B1 (ko) 2003-07-03 2005-01-13 주식회사 스테이션지 오디오 포트와 유에스비 포트를 일체화시킨 음원재생장치및 그를 이용한 신호처리방법
GB0327216D0 (en) * 2003-11-22 2003-12-24 Nokia Corp An interface for serial data communication
US7271568B2 (en) * 2004-02-11 2007-09-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Battery charger for porta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100619898B1 (ko) * 2004-08-24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장치 감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TWI263902B (en) * 2004-09-10 2006-10-11 Mediatek Inc Multiple apparatuses connec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US7415626B2 (en) * 2004-10-01 2008-08-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devices and circuits for activating a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n external bus
US20080005366A1 (en) * 2006-04-04 2008-01-03 Sreenidhi Raatni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requests over an interface
US20100033018A1 (en) * 2006-10-11 2010-02-11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charging controlling method
US8117475B2 (en) * 2006-12-15 2012-02-14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US20080272741A1 (en) * 2007-05-03 2008-11-06 Summit Microelectron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power sources
KR101397932B1 (ko) * 2007-07-04 201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접속 장치 판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US7863865B2 (en) * 2007-07-26 2011-01-04 Summit Microelectron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ulse charging a battery
US7711870B2 (en) * 2008-02-06 2010-05-04 Panasonic Corporation Interface detecting circuit and interface detect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564A (ko)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루트미디어 허브형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를 이용한 다기능 이동식저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31489A (ko) * 2005-06-16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단일포트를 통해 멀티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19461B2 (en) 2014-05-06
US20130138838A1 (en) 2013-05-30
CN101727428B (zh) 2014-12-24
US8412861B2 (en) 2013-04-02
EP2182709A2 (en) 2010-05-05
CN101727428A (zh) 2010-06-09
EP2182709B1 (en) 2017-02-22
US20100115147A1 (en) 2010-05-06
EP2182709A3 (en) 2013-07-17
KR20100047967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014B1 (ko) 휴대단말에서 스위칭 회로의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494637B1 (ko) 휴대단말에서 외부접속기기 판별 방법 및 장치
KR101409766B1 (ko) 외부 장치 접속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휴대 단말기
KR101397932B1 (ko) 외부 접속 장치 판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US7804311B2 (en) Electronic machine, connected machine identifying method for electronic machine and control system
KR101682386B1 (ko)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전 방법 및 충전 시스템
KR101339822B1 (ko) 외부 장치에 따른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KR101790042B1 (ko) 이어폰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이어폰 운용 방법
KR20100072857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럽트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US8335870B2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on external device basis and external device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1000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sertion of headset into mobile station
KR101477056B1 (ko)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는 외부 장치 판별 방법 및 장치
KR20130122266A (ko) 호스트모드에서 충전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109218914B (zh) 音频播放装置及音频传输电路
KR101409757B1 (ko) 휴대 단말기의 안정화 장치 및 안정화 방법
KR20100043824A (ko)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는 접속 장치 구별 시스템 및 방법
CN117639146A (zh) 充电方法及用电设备
KR101595390B1 (ko) 이동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KR20130061310A (ko) 휴대 단말기의 액세서리 인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