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965B1 - A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A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965B1
KR101328965B1 KR1020110102834A KR20110102834A KR101328965B1 KR 101328965 B1 KR101328965 B1 KR 101328965B1 KR 1020110102834 A KR1020110102834 A KR 1020110102834A KR 20110102834 A KR20110102834 A KR 20110102834A KR 101328965 B1 KR101328965 B1 KR 101328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upport
display unit
support member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8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38464A (en
Inventor
이인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965B1/en
Publication of KR2013003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4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9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간편하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와; 소정의 지지면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탄성변형을 제한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easily adjusting an arrangement angle of the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display unit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upport surface, the support member being rotatably provided, and elastically deformabl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display unit; And a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and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to limi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member to maintain the support state of the support memb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간편하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easily adjusting an arrangement angle of the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젼,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화면 출력장치의 일종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구동회로에 의하여 각 화소의 발광상태가 구현되어 전체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display device is a kind of screen output device such as a television or a computer monitor. Such a display device is a device in which an emission state of each pixel is realized by a driving circuit arranged in a matrix form to form an image as a whole.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의 구동방식에 따라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및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EL) 표시장치 등으로 구분된다. The display device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n electrophoresis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of a display module for outputting an image. It is divided into an luminescence display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우징 내부에는 전자 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유닛과, 소정의 정보처리를 위한 회로장치 및 디스플레이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장부품들이 장착된 회로기판 등이 구비된다. The housing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a circuit board for predetermined information processing, and a circuit board on which electrical components for driving the display module are mounted.

디스플레이장치는 일반적으로 벽걸이 방식으로 벽면 등에 고정되거나, 스탠드 방식으로 책상 등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display apparatus may be fixed to a wall surface by a wall-mounted method, or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a desk or the like by a stand-up method.

디스플레이장치가 벽걸이 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 설치용 브라켓을 벽면에 고정시키고, 그 설치용 브라켓에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다.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 wall-mounted manner, the mounting bracket is fixed to the wall, and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the mounting bracket.

반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탠드 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그 일부가 편평한 플레이트의 형태로 바닥면에 지지되는 스탠드에 장착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 stand manner,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a stand whose part is supported on the bottom in the form of a flat plate.

종래 기술 중 한국 공개특허 10-2005-00558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일종인 LCD모니터와 그 스탠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모니터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탠드 포스트와, 상기 스탠드 포스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탠드 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55800 discloses an LCD monitor, which is a type of display unit, and a stand structure thereof. Here, a stand pos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onitor and a stand bas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tand post.

이러한 종래기술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나, 그 조절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부품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ior ar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to the display portion, but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adjustment range is very limited, there was a problem that a lot of parts constituting such a support structure.

또한, 최근 디스플레이부의 슬림화 경향에 맞추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용이한 각도 조절이 구현가능한 지지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re is a need for a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easily adjusting the angle while having a simpler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slimming trend of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의 용이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upport member that can be easily adjusted angle of the display unit, implemented in a simple structur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 디스플레이부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display unit;

소정의 지지면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와;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display unit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upport surface, the support member being rotatably provided, and elastically deformabl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display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탄성변형을 제한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And a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and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to limi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member to maintain the support state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지지부재는 그 일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2 지지부재와,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whose one end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상기 제1,2지지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2지지부재를 연결하며 지지면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thir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nd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상기 제1,2지지부재는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고,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2지지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2지지부재의 일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이 구비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며,The display unit further includes a head portion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is rotatably inserted, respectively.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삽입공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ac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sertion hole.

상기 제1,2지지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공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may be provided to be bent and extended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상기 삽입공의 상하직경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rtical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상기 접촉부는 하향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경사부와;The first inclined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contact portion;

상기 제1경사부와 연결되며 상항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경사부와, A second inclina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inclination part and provided to be always inclined;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 사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rotrus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지지면에 대해서 제1각도범위를 유지하며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경사부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while maintaining a first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the first support member is supported by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is disposed to be caught by the protrusion.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지지면에 대해서 제2각도범위를 유지하며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2경사부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while maintaining a secon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the first support member is supported by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is disposed to be caught by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제1,2지지부재의 간격은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서는, 디스플레이부와; 소정의 지지면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과;상기 가이드 홈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display unit;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display unit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upport surface, the support member being rotatably provided, and elastically deformabl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display unit; A guide groov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and guide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in the guide groove and includes a fixing groove provided to hold the support member.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호 대칭되게 마련되는 제1,2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provid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상기 제1,2가이드 홈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are arranged to be wid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상기 고정홈은 상기 가이드홈의 테두리부에 마련되되,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edge portion of the guide groove, it is provided in plurality,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지지부재는 그 일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2 지지부재와,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whose one end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상기 제1,2지지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2지지부재를 연결하며 지지면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thir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nd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상기 제1,2지지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할수록,A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move upward along the guide groove,

상기 제1,2지지부재 간의 간격은 넓어지게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widens.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placement angle of the display device.

특히, 탄성력을 가진 절곡된 지지부재를 디스플레이 후면에 장착하게 하고, 이 지지부재의 회동운동을 제한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접촉부만으로 지지구조가 구성되기 때문에 지지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upport structure can be simplified because the support structure is composed only of the contact portion which allows the bent support member having elastic force to be mount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and can restric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또한, 지지부재의 회동각도의 변화 폭이 종전 발명에 비하여 현저하게 커질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지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로 놓거나, 또는 수평상태에 근접한 상태로 배치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member may be significantly larger than in the previous invention, the display may be plac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or may be disposed in a state close to a horizontal stat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There are advantages to it.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배치각도로 배치된 경우의 제1,2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배치각도로 배치된 경우의 제1,2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3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3배치각도로 배치된 경우의 제1,2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4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와 후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5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와 후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6배치각도도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와 후면도이다.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with a first arrangement angle.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whe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at a first arrangement angle.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arrangement angle is also disposed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ing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when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at a second arrangement angle. FIG.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third arrangement angle is also disposed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ing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when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at a third arrangement angle. FIG.
8 is a side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ourth arrangement angl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rranged.
FIG. 9 is a side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rranged with a fifth arrangement angle. FIG.
FIG. 10 is a side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rranged with a sixth arrangement angle.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mplemen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u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유닛(11)이 수용되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부재(20)와, 상기 하우징(12)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20)가 접촉되어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접촉부(3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2 in which a predetermined display unit 11 is accommodated, and a support member 20 rotatably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2. ) And a contact portion 30 provided in the housing 12 so that the support member 20 is in contact with and caught.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과 상기 하우징(12)을 합하여 디스플레이부(10)라고 하겠다. Hereinafter, the display unit 11 and the housing 12 will be referred to as a display unit 10.

상기 디스플레이부(10) 후방에는 개방부(13)가 마련되는데, 상기 개방부(13)는 상기 하우징(12)의 후면의 중심에 마련되며, 상기 개방부(12)의 테두리에 상기 지지부재(20)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opening part 13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part 10, and the opening part 13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2, and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part 12.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20) is inserted rotatably.

이를 위하여 상기 개방부(13) 테두리 양측에는 상기 지지부재(20)의 단부가 삽입되는 헤드부(40)가 마련되며, 상기 헤드부(40)에는 상기 지지부재(20)의 단부가 삽입되는 터널 형태의 삽입공(45)이 마련된다.To this end, both sides of the edge of the opening part 13 are provided with a head part 40 into which an end of the support member 20 is inserted, and the head part 40 has a tunnel into which an end of the support member 20 is inserted. The insertion hole 45 of the form is provided.

상기 지지부재(20)는 'ㄷ' 형태로 절곡되어져 마련되며, 그 단부는 폭 방향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마련된다. The support member 20 is bent in a 'c' shape, the end of which is bent and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is provided.

상기 지지부재(20)의 단부에서 절곡된 부분의 단부가 상기 삽입공(40)에 삽입되는 것이다.The end of the bent portion at the end of the support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0.

후술하겠지만,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하우징(12)의 후방에 플립(Flip)형태로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대해서 접힐 수 있거나 또는 펴질 수 있게 있게 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member 20 is provided in a flip shape at the rear of the housing 12, so that the support member 20 can be folded or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0.

상기 지지부재(20)의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2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지면에 대한 배치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20, the placement angle of the display unit 10 with respect to the ground may var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20.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삽입공(45)에 삽입되어 지지되되, 각각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2지지부재(21,22)와,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와 연결되고 피지지면과 접촉하는 제3지지부재(23)를 포함한다.The support member 20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the insertion hole 45, and is provided with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respectively. And a third support member 23 connected to the end and in contact with the sebum surface.

상기 제1,2지지부재(21,22)는 연결 다리 형태로 마련되어, 지지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3지지부재(23)는 상기 제1지지부재(21)의 단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그 외주면이 지지면에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connecting legs, and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3 may have an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 and th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40)도 상기 개방부(13)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촉부(30) 또한 상기 개방부(13)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d part 40 may also be provided at both edges of the opening part 13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21 and 22 may be rotatably installed, and the contact part 30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side is provided at both edges of the opening portion 13.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재(21)의 단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단부는 각각 상기 개방부(13)의 양측 테두리에 마련되는 헤드부(40)의 삽입공(45)을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 and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 respectively have insertion holes 45 of the head portion 40 provided at both edges of the opening portion 13. It is preferably bent toward and extending.

상기 지지부재(30)가 'ㄷ' 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제1지지부재(21)의 단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22)의 단부의 간격을 좁히게 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 위치로 복귀하려는 특성을 갖는다. Since the support member 30 is bent in a 'c' shap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 and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 is narrow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circle by elastic restoring force. Has the property to return to position.

즉, 상기 탄성복원력은 양측 방향으로 가해지고, 이러한 탄성복원력은 상기 제1,2지지부재(31,32)가 상기 접촉부(30)에 대하여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는 마찰력을 작용할 수 있다. That i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in both directions,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may act as a frictional force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31 and 32 may contact with and support the contact part 30.

특히 상기 지지부재(20)를 금속성 재질이나, 또는 소정의 수지물로 제작한 경우, 그러한 탄성 복원력의 특성이 현저하게 나타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support member 20 is made of a metallic material or a predetermined resin material, such elastic restoring force may be remarkably exhibited.

따라서, 이러한 지지부재(20)가 상기 접촉부(30)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와 상기 접촉부(30)의 접촉위치에 따라서,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upport member 20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30, the display us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nd the contact portion 30.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part 10 can be adjusted.

이러한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접촉부(30)는 상기 삽입공(45)보다 외측에 마련되되, 상기 개방부(13)의 측면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2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act portion 3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than the insertion hole 45 for adjusting the angle, is formed on the side edge of the opening 13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20. .

상기 접촉부(3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면, 내측을 돌출되게 마련되는 돌출부(33)와, 상기 돌출부(33)의 상부에 마련되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경사부(31)와, 상기 돌출부(33)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항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경사부(32)를 포함하고 있다. Looking at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portion 30, the protrusion 33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inside,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33 inclined downward, and the protrusion 33 It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 is provided to be inclined.

상기 돌출부(33)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는 상기 제2경사부(32)에 접촉되거나, 상기 제1경사부(31)에 접촉되어 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may contact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 or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 based on the protrusion 33. I can keep it.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제2경사부(32)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돌출부(33)를 넘어갈 수 없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re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re not applied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user. 22 cannot go beyond the protrusion 33.

따라서,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후방 위쪽으로 회동하려 하여도, 상기 돌출부(33)에 걸려서 그 회동운동이 제한되고, 상기 돌출부(33)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3지지부재(23)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10)를 지지한다. Therefore, even wh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ttempt to rotate rearward upward, the rotational movement is restricted by the protrusion 33, while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protrusion 33 is maintained. The display unit 10 is supported together with the third support member 23.

한편,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를 잡고 위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1,2지지부재(21,22)는 상기 돌출부(33)을 타고 넘어가서, 상기 제2경사부(32)에 접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grabs the support member and rotates up,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move over the protruding portion 33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

이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돌출부(33)에 접촉할 때,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간의 간격이 최소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제2경사부(32)에 접촉하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그 간격이 넓어진다.In this case, wh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contact the protruding portion 33,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maintains a minimum value. When the second supporting members 21 and 22 come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 the interval is widen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에 의한 탄성복원력이 상기 제2경사부(32)에 가해지고, 이러한 탄성복원력은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제2경사부(32)에 지지될 수 있는 마찰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The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21 and 22 is applied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caused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21 and 22 to the second inclination. It can act as a friction force that can be supported on the portion (32).

도2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지면의 수직선에 대해서 제1배치각도(θ1)를 유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1배치각도(θ1) 범위는 대략 20°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display unit 10 maintains the first placement angle θ1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of the paper. Here, the first placement angle θ1 is preferably in a range of about 2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 측면과 상면이 상기 제2경사부(32)와, 상기 돌출부(33)에 접촉되어 지지된다.In this case, side surfaces and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re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 and the protrusion 33.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제1배치각도(θ1)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상기 지지부재(20)를 후방으로 힘을 가하고, 이러한 후방으로 미는 힘은 상기 지지부재(20) 후방 상부 방향(A방향)으로 회동시키려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When the display unit 10 is disposed at the first arrangement angle θ1, the display unit 10 exerts a force on the support member 20 to the rear, and such a force to push backward is applied to the support member 20. ) It acts as a driving force to rotate in the rear upward direction (A direction).

그러나,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탄성복원력이 상기 제2경사부(32)에 대하여 작용하고,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측면 또는 상면이 상기 돌출부(33)에 걸려 있기 때문에, A방향으로 회동이 제한된다. However,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cts on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 and the side or top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is the protruding portion. Since it is locked at 33, rotation is limited in the A direction.

따라서, 상기 돌출부(33)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수직선에 대하여 제1배치각도(θ1)로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Therefore, the display unit 10 is supported so that the display unit 10 may be disposed at the first placement angle θ1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protrusion 33.

도3(a)와 도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도2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측면 및 측상면은 상기 제2경사부(32)와 접촉을 하면서, 상기 돌출부(33)에 걸려 지지된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when the state as shown in Fig. 2 is maintained, the side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21 and 22 are the second inclination. While in contact with the portion 32, it is caught by the projection 33 is supported.

특히,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탄성복원력이 양측 방향(E 방향)으로 가해지면서 일종의 마찰력으로 작용하고, 이러한 힘의 분포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돌출부(33)를 넘지 못한다.In particular,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is applied in both directions (E direction) and acts as a kind of frictional force,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re distributed by the force distribution. ) Does not exceed the protrusion 33.

상기 탄성복원력이 양측 방향(E) 방향으로 가해지면 상기 제1,2지지부재(21,22)는 그 간격이 넓어지게 되려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그 간격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제2경사부(32) 전체에 압력을 가한다.Whe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in both directions (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have a property that the gap is to be widened, so that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 is used to widen the gap. Apply pressure to the whole.

하지만 그러한 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경사부(32)의 변형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결국 힘의 평형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가 상기 돌출부(33)의 하부 방향, 즉, 상기 제2경사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고정된다. However, despite such pressure, the deformation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 does not occu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re moved downwardly of the protrusion 33, that is, the second inclined portion due to the balance of the force. It is supported and fixed by the part.

도4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20)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제2배치각도(θ2)를 유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20 so that the display unit 10 maintains the second placement angle θ2.

여기서 수직선에 대한 상기 제2배치각도(θ2)는 상기 제1배치각도(θ1)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배치각도(θ2)는 수직선에 대해서 대략 5°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second placement angle θ2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has a smaller value than the first placement angle θ1. For example, the second arrangement angle θ2 is preferably about 5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제2배치각도(θ2)가 되면, 도2의 경우와 비교하여 지면에 대하여 보다 수직상태에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That is, when the display unit 10 becomes the second arrangement angle θ2, it means that the display unit 10 is closer to the ground than in the case of FIG. 2.

이러한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의 위치는 상기 삽입공(45)의 상부에 위치한다. 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re located above the insertion hole 45.

즉, 상기 삽입공(45)의 형태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도2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가 상기 삽입공(45)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shape of the insertion hole 45 is in the form of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ure 2, th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22) is the insertion hole ( 45).

이는 사용자가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을 상향회동시키면,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돌출부(33)를 타고 넘은 후 상기 제1경사부(31)에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가 상기 삽입공(45)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pivot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upwardl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cross the protruding portion 33 and th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re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45.

이로 인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 측면과 측하면이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돌출부(33)에 접촉되어 지지된다.Accordingly, the side surfaces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re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33.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제2배치각도(θ2)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상기 지지부재(20)에 대하여 하방으로 힘을 가한다. When the display unit 10 is disposed at the second arrangement angle θ2, the display unit 10 exerts downward force on the support member 20.

이러한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도 하측 방향(B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Due to this pressing force,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lso have a tendency to move downward (B direction).

그러나,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탄성복원력이 상기 제1경사부(31)에 대하여 가하는 힘과, 상기 제1,2지지부재의 측면 또는 측하면이 상기 돌출부(33)의 상측에 걸려 있기 때문에, B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돌출부(33)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제2배치각도(θ2)로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However, the force appli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 and the side or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re the protrusions 33. Since it is caught on the upper side, movement in the B direction is limited, and the display unit 10 is supported so that the display unit 10 can be disposed at the second arrangement angle θ2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protrusion 33.

도5(a)와 도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도3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측면 및 측하면은 상기 제1경사부(31)와 접촉을 하면서, 상기 돌출부(33)에 걸려 지지된다.As shown in FIGS. 5 (a) and 5 (b), when the state as shown in FIG. 3 is maintained, the side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re the first inclination. While in contact with the portion 31, it is caught by the projection 33 is supported.

특히,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탄성복원력이 양측 방향(E 방향)으로 가해지면서 일종의 마찰력으로 작용하고, 이러한 힘의 분포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상기 돌출부(33)를 넘지 못한다.In particular,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is applied in both directions (E direction) and acts as a kind of frictional force,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re distributed by the force distribution. ) Does not exceed the protrusion 33.

상기 탄성복원력이 양측 방향(E) 방향으로 가해지면 상기 제1,2지지부재는 그 간격이 넓어지게 되려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그 간격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제1경사부(31) 전체에 압력을 가한다.Whe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in both directions (E), sinc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have a property of widening the gap, pressure is applied to the entire first inclined portion 31 to widen the gap. do.

하지만 그러한 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경사부(32)의 변형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결국 힘의 평형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가 상기 돌출부(33)의 상부 방향, 즉, 상기 제2경사부(32)에 의하여 지지되어 고정된다. However, despite such pressure, the deformation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2 does not occu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re moved upwardly, that is, the second inclined portion, due to the balance of the force. It is supported and fixed by the part 32.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도3의 경우보다 지면에 대하여 수직상태에 가까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display member 1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20 in a state closer to the vertical state than in the case of FIG. 3.

도6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대해서 눕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10) 후면에 대해서 완전하게 접혀지는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제3지지부재(23)는 지면과 이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후면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10 is laid down, and in this case, the support member 20 is complete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In particular, the third support member 23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치각도(θ3)는 도3의 경우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지면과 평행상태에 근접하게 된다. The arrangement angle θ3 of the display unit is larger than that of FIG. 3, and is closer to the parallel to the ground.

이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를 통상 태블릿 PC와 같이 지면에 놓고 쓰는 것을 감안한 지지상태이다.This is a supporting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ground like a tablet PC.

이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는 상기 삽입공(45)의 상단부까지 이르게 된다.In this cas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extend up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45.

이 지지상태는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20)를 잡고 회동시켜서, 상기 제3지지부재(23)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후면까지 이르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This support state may be implemented by allowing the user to grab the support member 20 and rotate it so that the third support member 23 reaches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도7(a)과 도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5와 같은 지지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가 상기 삽입공(4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2지지부재(21,22)가 회동하여 상기 헤드부()의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하면 된다.As shown in FIGS. 7 (a) and 7 (b),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45 in order to be in the supported state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may be disposed to face upward of the head part.

이 경우, 상기 제1,2지지부재(21,22)는 상기 제1경사부(31) 및 상기 돌출부(33)와 이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31 and the protrusion 33.

도6 내지 도7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세워진 상태가 아니라 거의 눕혀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도2내지 도5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가 상기 제1,2경사부()과 접촉하고, 상기 돌출부(33)에 의하여 걸려서 지지될 필요가 없다.6 to 7, since the display unit 10 is almost lying down, rather than being upright, the support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as shown in FIGS. 2 to 5. And do not need to be caught and supported by the protrusions 33.

다만 이 경우에서도,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는 그 양측 방향(E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1,2지지부재(21,22)의 단부가 상기 헤드부(40)로부터 이탈되지는 않는다.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provide elastic force in both directions (E direction). Therefor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 and 22 are not separated from the head portion 40.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8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120)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100)가 개시된다. 8, a display unit 100 including the display unit 110 and a housing 120 accommodating the display unit 110 is disclosed.

상기 디스플레이부(10) 후방에는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121)과, 상기 가이드 홈의 일측에 상호 이격되는 고정홈(122)이 마련된다.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0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121 formed in an oblique shape, and a fixing groove 1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상기 가이드홈(121)은 곡선형태로 형성되거나,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groove 121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or may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상기 고정홈(122)은 상기 가이드홈(121)의 하부에 상호 이격되는 형태로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21)을 따라 형성된다. The fixing groove 122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groove 121, is formed along the guide groove 121.

상기 가이드홈(12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방에 상호 이격되는 형태로 마련되되,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The guide groove 121 is provided in the form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00, it is provided in a form symmetric with each other.

여기서, 우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제1가이드홈(121a)이라고 하고, 좌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제2가이드홈(121b)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가이드홈(121a)과 상기 제2가이드 홈(121b) 간의 간격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배치된다. Here, when the guide groove formed on the right side is defined as the first guide groove 121a and the guide groove formed on the left side is defined as the second guide groove 121b, the first guide groove 121a and the second guide are defined. The gap between the grooves 121b is disposed to widen from the bottom to the top.

한편, 상기 가이드홈(12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20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2지지부재(210,220)와,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를 연결하는 제3지지부재(23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groove 121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200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display unit 100, the support member 200 is made of a rotatably supported by the display unit 100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210 and 220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210 and 2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3지지부재(230)는 통상적으로 지면에 대해 접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200)의 지지력을 제공한다. In this case,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is generally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provide a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member 200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00.

그리고, 상기 제3지지부재(230)는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에 대해서 절곡되게 배치되어 있다.The third support member 230 is arranged to be bent relative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한편,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의 단부도 절곡되어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양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Meanwhil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are also bent and disposed to extend toward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100.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그 양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그 사이가 오므라들게 되면 오므라드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are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at both sides thereof, when the space is retracte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may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in opposite directions.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헤드부(140)가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unit 100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140,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are rotatably inserted.

상기 가이드홈(121)의 하부 테두리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홈(122)이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홈(122)은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의 외주면 일부가 삽입되어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22 are provided on the lower edge of the guide groove 121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xing grooves 122 are partially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210 and 220. It can be a component.

고정홈(122)은 그 아래부터 위까지 상기 제1고정홈(122a), 제2고정홈(122b), 제3고정홈(122c)으로 구성된다. The fixing groove 122 is composed of the first fixing groove 122a, the second fixing groove 122b, and the third fixing groove 122c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reof.

상기 고정홈(122)은 상기 제1,2가이드홈(121a, 122b)에 대해서 동일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groove 122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for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121a, 122b).

이하에서는 지면에 대한 수직선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00) 간의 각도 변화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0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가 어떻게 지지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Hereinafter, how the display unit 1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200 according to the angle change between the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display unit 100 will be described.

도8(a) 내지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가 상기 수직선에 대해서 제4각도범위(θ4)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부(100)가 수직 상태에 가장 근접한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S. 8A to 8C, when the display unit 100 maintains the fourth angle range θ4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the display unit 100 is closest to the vertical state. It becomes a state.

여기서 상기 제4각도범위(θ4)는 대략 10°내외로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ourth angle range θ4 is preferably about 10 degre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상기 제1고정홈(122a)에 걸리게 되는데, 도8(b)에서는 그 위치를 ①번으로 표시하였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are caught by the first fixing groove 122a. In FIG. 8 (b), the position is indicated as ①.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양쪽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제1고정홈(122a)에 걸리는 경우, 상기 제1고정홈(122a)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Sinc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in both direction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fixing groove 122a when they are caught by the first fixing groove 122a.

이와 같은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상기 제1고정홈(122a)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may be supported and fixed by the first fixing groove 122a by the elastic support force.

이 때, 상기 제3지지부재(230)는 지면에 접하여,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이룬다.At this time,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form a state parallel to the ground.

도9(a) 내지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가 상기 수직선에 대해서 제5각도범위(θ5)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도8의 상태보다 약간 눕혀진 상태가 된다. As shown in FIGS. 9A to 9C, when the display unit 100 maintains the fifth angle range θ5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the display unit 100 is less than the state of FIG. 8. Slightly laid down.

여기서 상기 제5각도범위(θ5)는 대략 30°내외로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fth angle range θ5 is preferably about 3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상기 제2고정홈(122b)에 걸리게 되는데, 도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리는 위치는 ①번에서 ②로 바뀐다.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are caught by the second fixing groove 122b,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is changed from ① to ② as shown in FIG.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상기 제2고정홈(122b)에 걸릴 수 있도록,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재()를 잡고 그 폭을 약간 줄여서 상기 제1고정홈(122a)과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다음, 상기 지지부재()를 들어올린 후,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를 상기 제2고정홈(122b)이 있는 위치에 배치한다. To hol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in the second fixing groove 122b, the user grasps the support member and reduces the width thereof slightly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are caught in the first fixing groove 122a. After releasing, after lifting the support member (2),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are dispos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fixing groove 122b is located.

그 상태에서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를 놓으면,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 간의 폭이 확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이동하여 상기 제2고정홈(122b)에 걸리게 된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are released in this state, the wid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is enlarg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u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are moved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It is caught in the two fixing groove (122b).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양쪽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제2고정홈(122b)에 걸리는 경우, 상기 제2고정홈(122b)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Sinc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in both direction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elastically support the second fixing groove 122b when they are caught by the second fixing groove 122b.

이와 같은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상기 제2고정홈(122b)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may be supported and fixed by the second fixing groove 122b by the elastic support force.

이 때, 상기 제3지지부재(230)는 지면에 접하여,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이룬다.At this time,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form a state parallel to the ground.

도10(a) 내지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가 상기 수직선에 대해서 제6각도범위(θ6)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도9의 상태보다 약간 눕혀진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S. 10A to 10C, when the display unit 100 maintains the sixth angle range θ6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the display unit 100 is less than the state of FIG. 9. Slightly laid down.

여기서 상기 제6각도범위(θ6)는 대략 45°내외로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ixth angle range θ6 is preferably about 45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상기 제3고정홈(122c)에 걸리게 되는데, 도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리는 위치는 ②번에서 ③으로 바뀐다.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210 and 220 are caught by the third fixing groove 122c,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210 and 220 is changed from ② to ③ as shown in FIG.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상기 제3고정홈(122c)에 걸릴 수 있도록,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재(200)를 잡고 그 폭을 약간 줄여서 상기 제2고정홈(122b)과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다음, 상기 지지부재(200)를 들어올린 후,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를 상기 제3고정홈(122c)이 있는 위치에 배치한다. In order for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to be caught in the third fixing groove 122c, the user grasps the support member 200 and slightly reduces the width thereof, thereby engaging the second fixing groove 122b. After releasing the state, the support member 200 is lifted up,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are disposed at the position where the third fixing groove 122c is located.

그 상태에서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를 놓으면,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 간의 폭이 확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이동하여 상기 제3고정홈(122c)에 걸리게 된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are released in this state, the wid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is enlarg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are expanded. It is moved and caught in the third fixing groove 122c.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는 양쪽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제3고정홈(122c)에 걸리는 경우, 상기 제3고정홈(122c)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Sinc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in both direction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elastically support the third fixing groove 122c when they are caught by the third fixing groove 122c.

이와 같은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0,220)가 상기 제3고정홈(122c)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10 and 220 may be supported and fixed by the third fixing groove 122c by the elastic support force.

이 때, 상기 제3지지부재(230)는 지면에 접하여,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이룬다.At this time, the third support member 23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form a state parallel to the ground.

이러한 제2실시예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20)의 회동상태 및 상기 가이드홈(121)과 상기 고정홈(122)간의 걸림상태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지면에 대한 배치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arrangement of the ground of the display unit 1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tate of the support member 20 and the locking state between the guide groove 121 and the fixing groove 122. Can be.

10, 100: 디스플레이부 20, 200: 지지부재
30: 접촉부 31: 제1경사부
32: 제2경사부 33: 돌출부
40,140: 헤드부 45: 삽입공
121: 가이드홈 122: 고정홈
10, 100: display unit 20, 200: support member
30: contact portion 31: first inclined portion
32: second inclined portion 33: protrusion
40, 140: head 45: insertion hole
121: guide groove 122: fixed groove

Claims (16)

디스플레이부와;
소정의 지지면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치각도 변화에 따라서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탄성변형을 제한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타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며 지지면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하향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와 연결되며 상항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경사부 및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 사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가 상기 돌출부와 접촉할 때,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의 간격이 최소로 유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제2 경사부와 접촉할 때,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unit;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display unit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upport surface, the support member being rotatably provided, and elastically deformabl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display unit;
A contact portion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and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to limi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member to maintain the support state of the support member,
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having one end rotatably provided at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 thir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support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surface;
The contact part includes a first inclined part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and a second inclined part connected to the first inclined part and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 and a protrus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part and the second inclined part,
Wh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come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is kept to a minimum,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re formed in the first inclined portion or the first. 2,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widen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부재는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2지지부재의 일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이 구비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삽입공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unit further includes a head portion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is rotatably inserted, respectively.
And the contact por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sertion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공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is provided in a form that extend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상하직경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upper and lower diameters of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지지면에 대해서 제1각도범위를 유지하며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경사부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while maintaining the first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the first support member is supported by the first inclined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device is arranged to be caught on the proj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지지면에 대해서 제2각도범위를 유지하며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2경사부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while maintaining a secon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the first support member is supported by the second inclined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projection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102834A 2011-10-10 2011-10-10 A display device KR1013289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34A KR101328965B1 (en) 2011-10-10 2011-10-10 A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34A KR101328965B1 (en) 2011-10-10 2011-10-10 A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464A KR20130038464A (en) 2013-04-18
KR101328965B1 true KR101328965B1 (en) 2013-11-14

Family

ID=4843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834A KR101328965B1 (en) 2011-10-10 2011-10-10 A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9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614B1 (en) * 2016-08-11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616671B1 (en) * 2021-12-13 2023-12-21 주식회사 케이시스 LED display unit that is easy to adjust the ang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298U (en) * 1999-05-25 2000-12-26 서평원 Mobil Telephone
KR20110068284A (en) * 2009-12-16 2011-06-22 (주)진명 Bend type stand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and protection cover mounted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298U (en) * 1999-05-25 2000-12-26 서평원 Mobil Telephone
KR20110068284A (en) * 2009-12-16 2011-06-22 (주)진명 Bend type stand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and protection cover mounted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464A (en)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7388B2 (en) Support assembly and computer device having the same
KR100553677B1 (en) Portable computer with mechanism supporting cover
JP6077060B2 (en) Stand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10386666B2 (en)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KR20140075411A (en) Foldable compu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recting display unit
US20080174947A1 (en) Portable computer with support legs
EP3136714A1 (en) Display device
KR20140139169A (en) Portable computing apparatus
JP4344385B2 (en) Display device
KR101328965B1 (en) A display device
US20070201196A1 (en) Support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29727A (en) Tablet apparatus
TWI433540B (en) Panel fix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101506035B1 (en) Display device
TWI404414B (en)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screen and related display device
KR100658837B1 (en) A supporting apparatus for a display monitor
KR101009572B1 (en) Notebook Computer Supportor
US20090268106A1 (en) Display Screen Support Mechanism and Television Set
JP3229910U (en) External monitor for laptop
US801855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60112110A (en) Screw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crew
KR20050109310A (en) Display apparatus
KR102635652B1 (en) Touchbook pedestal for surveying current status and underground facilities
KR200496368Y1 (en) A assembly device for large electronic board
JP6997407B1 (en) Keyboard with stand and electron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