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963B1 -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963B1
KR101328963B1 KR1020110076416A KR20110076416A KR101328963B1 KR 101328963 B1 KR101328963 B1 KR 101328963B1 KR 1020110076416 A KR1020110076416 A KR 1020110076416A KR 20110076416 A KR20110076416 A KR 20110076416A KR 101328963 B1 KR101328963 B1 KR 101328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mobile device
specific content
multimedia devic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4763A (en
Inventor
김택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963B1/en
Publication of KR2013001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7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9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transcoding, i.e. partial or full decoding of a coded input stream followed by re-encoding of the decoded outpu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제1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인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2프로토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제2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includes setting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a mobile device as a first protocol and receiving a content list from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set first protocol. And selecting specific content from the received content list, and if the data format of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is a data format that the multimedia device can process, changing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to a second protocol. Transmitting the execu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to the mobile device, receiving the specific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changed second protocol, and displaying the specific content. It includes.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재생 가능한 포맷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에 해당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dia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media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converting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format reproducible in a multimedia device. The multimedia device corresponds to, for example, a network TV, a smart TV, a hybrid broadcast broadband television (HBBTV), an internet TV, a web TV, an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and the like.

최근 들어, 홈 네트워크 서비스나 통신방송 융합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디바이스간 데이터 공유를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기술들을 응용한 디바이스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Recently, in providing a home network service or a communication broadcasting convergence service, various devices have been introduced that apply technologies for efficiently realizing data sharing between devices.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홈 네트워크 상용화를 위한 공식적 협력체로서 3003년 6월 출범한 DHWG(Digital Home Working Group) 명칭을 변경하여 새롭게 출범한 것이다. Th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is a formal partnership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home networks, and was newly launched by renaming the Digital Home Working Group (DHWG), which was launched in June 3003.

DLNA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공개 업계 표준에 기반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업계 간 컨버젼스(convergence)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DLNA는 가전제품, 개인용 컴퓨터(PC), 무선기기 등의 제조업체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기반으로 업체의 가이드라인 도입을 촉진하고 있다. DLNA aims to build interoperable platforms based on open industry standards already in place and to achieve industry convergence. Such DLNA is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guidelines by companies based on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which is widely used by manufacturers of consumer electronics, personal computers (PCs), and wireless devices.

여기서, UPnP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정보가전 기기 간에 복잡한 설정 절차 없이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로서, 한 기기가 가진 서비스를 다른 기기가 자동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Here, UPnP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information appliances connected to a network without complicated setting procedure, and enables other devices to automatically find a service of one device.

한편, DLNA에서 현재 도입된 가이드라인은 가전제품, PC, 무선기기 사이의 유무선 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다른 브랜드와 제품 간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설계 원칙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 라인에 따라 설계된 제품들은 음악, 사진, 비디오 등의 미디어 콘텐츠(Media Contents)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guidelines currently introduced in DLNA provide design principles for sharing content between different brands and products through wired and wireless home networks between home appliances, PCs and wireless devices. As a result, products design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will be able to share media content such as music, photos, and videos over the home network.

그러나, DLNA에 의할 경우에도,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수 있을 뿐, PPT, WORD, 게임과 같은 비동영상 및 압축 형식이 다른 파일은 재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even with the DLNA,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multimedia files such as audio and video streams can be played, and files with different non-video and compressed formats such as PPT, WORD, and games cannot be play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재생 가능한 포맷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media device for converting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layable format of the multimedia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재생 가능한 포맷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정의하고자 한다.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fine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 playable format of the multimedia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재생 가능한 포맷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a user by automatically converting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playable format of a multimedia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제1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인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2프로토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제2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includes setting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a mobile device as a first protocol and receiving a content list from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set first protocol. And selecting specific content from the received content list, and if the data format of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is a data format that the multimedia device can process, changing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to a second protocol. Transmitting the execu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to the mobile device, receiving the specific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changed second protocol, and displaying the specific content. It includes.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설정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와,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특정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인 경우, 제2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for setting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a mobile device as a first protocol,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for receiving a content list from the mobile device, and the content list. A display unit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a specific content from the content list, and the data format of the specific content is a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network interface to transmit and recei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재생 가능한 포맷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정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multimedia device may be defined according to a playable format of the multimedia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재생 가능한 포맷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the mobile device can be automatical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in the multimedia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재생 가능한 포맷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convenience is increased by automatically converting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the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layable format of the multimedia device.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More specific effect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the table of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1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2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DLNA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제1프로토콜에 따라 트랜스코딩한 프레임을 수신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제2프로토콜에 따라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제2프로토콜에 따라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data by a mobile device and a first protocol.
3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data by a mobile device and a second protocol.
4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DLNA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receiving a frame transcoded according to a first protocol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receiving and displaying content according to a second protocol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receiving and displaying content according to a second protocol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module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10.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a multimedia device and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module "and" part "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media device described herein is, for example, an intelligent network TV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The multimedia device is faithful to the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has an Internet function added thereto. It can have a more convenient interface than a remote control. 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with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and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ing.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can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ultimedia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because various applications can be freely added or deleted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for example.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oreover,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As used herei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다만,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FIG. 1 is an embodiment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some component modules may be deleted or new component modules may be add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방송수신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 메모리(140), 컨트롤러(150), 유저 인터페이스(160), 디스플레이부(170), 오디오출력부(180)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multimedia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er 110, a network interface 12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a memory 140, and a controller 150. , A user interface 160, a display unit 170, an audio output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방송수신부(110)는 튜너(111), 복조부(113)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1)와 복조부(113)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를 구비하면서 튜너(111)와 복조부(113)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broadcast receiver 110 may include a tuner 111, a demodulator 113, and a network interface 120. Of course, if necessary, the tuner 111 and the demodulator 113 may be provided so that the network interface 120 is not included. On the contrary, the tuner 111 and the demodulator are provided while the network interface 120 is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not to include 113.

튜너(1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복조부(113)는 튜너(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The tuner 111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The demodulator 113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1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복조부(113)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컨트롤러(150)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7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출력부(180)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13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ler 150 performs demultiplexing, image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and then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170 and outputs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120 may include, for example, an Ethernet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 wired network. In addition, for connection with a wireless network, wireless 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communication standards, etc. Can be used.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120 may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from among applications that are open to the public through the network.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는 외부 장치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ma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multimedia device 100.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따라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BD(Blu-ray Disc,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50) 또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Therefor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a BD (Blu-ray Disc, Blu-ray Disc) player,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laptop), or the like by wire or wireless. Can be.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may receive an application or a list of applications in the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the received application to the controller 150 or the memory 140.

메모리(14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150)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40 may be implemented by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or the like. The memory 14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ler 150, or may store a processed image, audio, or data signal. It may be.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or the network interface 120. In addition, the memory 140 may store an application or a list of application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or the network interface 120.

유저 인터페이스(16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5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5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6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15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3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16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50 or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5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160 may be configured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selection, screen setting, etc. from the remote controller 300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The control signal may be received and processed, or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15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ler 300.

디스플레이부(170)는 컨트롤러(15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70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or an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into an R, G, and B signal, respectively, and is a driving signal. Create The display unit 170 may be a PDP, an LCD, an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or the like.

오디오출력부(180)는 컨트롤러(15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출력부(18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The audio output unit 180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5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a voice signal. The audio output unit 18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전원공급부(19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컨트롤러(15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7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출력부(1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corresponding power throughout the multimedia device 100. For example,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ler 150 which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the display unit 17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the audio output unit 180 for audio output. Can be supplied.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사용자 입력을 유저 인터페이스(16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500)에 대해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The remote controller 300 transmits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160.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ler 300 may use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ZigBee). In particular, the remote controller 5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particular, the multimedia device 100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는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설정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 모바일 디바이스간의 데이터 전송은 제1프로토콜에 의한다. The network interface 120 sets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the mobile device as the first protocol. Therefore, basically,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100 and the mobile device is based on the first protoco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1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프로토콜은 근거리 무선망,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데이터를 트랜스코딩(transcoding)하여 프레임 단위로 수신하는 프로토콜일 수 있다. 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data by a mobile device and a first protocol. The first protocol uses a local area network, for example, Wi-Fi.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may be a protocol for transcoding and receiving data of the mobile device 200 in units of frames.

와이파이(Wi-Fi)는 무선랜 연결과 장치 간 연결 등을 지원하며, 무선 인터넷이 개방된 장소에서는 무선접속장치(AP -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방식이므로 전화선이나 전용선은 필요 없지만 사용자의 기기에는 무선랜카드가 장착되어 있어야만 한다. Wi-Fi supports wireless LAN connection and device-to-device connection, and high-speed Internet can be us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lace where AP (Access Point) is installed in the place where wireless Internet is open. Make sure Because it uses radio frequency, no telephone line or dedicated line is required, but your device must be equipped with a wireless LAN card.

따라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무선랜카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며, 무선접속장치(AP) 범위 이내에서는 와이브로(wibro)를 이용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ultimedi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 wireless LAN card is mounted, and within the range of a wireless access device (AP), wireless internet can be used wirelessly without using a wibro.

트랜스코딩(transcoding)은 단일 환경을 목표로 제작된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른 환경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가공, 선별, 변환하는 기술로서, 파일 베이스에서 다른 포맷의 파일로의 변환을 의미한다. 즉, 파일 대 파일을 변환하는 것이다. Transcoding is a technology that processes, sorts, and converts multimedia contents such as voice, data, and video, which are designed for a single environment, so that they can be used in other environments. do. That is, file to file conversion.

인터넷 환경은 각종 디지털 가입자 회선(xDSL), 케이블(Cable), 모바일(Mobile), 공중(公衆) 무선 랜 서비스(WLAN), 전력선 통신 등 다양한 네트워크와 고성능 개인용 컴퓨터(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휴대폰 등 사용자 단말이 혼재된 상황에다가 MPEG 1, MPEG 2, MPEG 4, H.264 등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압축 방식들이 공존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다 감안하여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엄청난 종류의 콘텐츠가 제작되어야 한다. The Internet environment is composed of various networks such as various digital subscriber line (xDSL), cable, mobile, public wireless LAN service (WLAN), power line communication, high performance personal computer (PC) PDA), mobile phones, and the like, and different multimedia compression schemes such as MPEG 1, MPEG 2, MPEG 4, and H.264 coexist. If you develop content with all of these factors in mind, a huge variety of content needs to be produced.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 해결 방안은 하나의 콘텐츠를 상이한 네트워크, 해상도, 프로세서 성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변환 기능을 제공하여 "one source multi use"의 개념을 구현하는 것이다. "one-source multi-use" 개념의 서비스는 하나의 콘텐츠를 특성과 성능이 서로 다른 다양한 단말기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해 주는 서비스로, 디스플레이 해상도나 컬러/흑백, 프로세서 성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동 휴대가능 여부, 그 밖에 DTV 수신기, 개인용 컴퓨터(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휴대폰 등의 서비스 기종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윈래의 콘텐츠를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원래의 콘텐츠를 각 네트워크 대역폭, 단말기 특성 및 성능에 적합하도록 가공, 변환, 선별하는 과정이 멀티미디어 트랜스코딩이다. The fundamental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o implement the concept of "one source multi use" by providing a conversion function so that one content can be commonly used in different networks, resolutions, processor performances, and user interfaces. The "one-source multi-use" concept is a service that provides a content to be used in various terminal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Its display resolution, color / monochrome, processor performance, user interface, mobile portability, etc.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Winrae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so that it can be used in service models such as DTV receivers, personal computers (PC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mobile phones, and the like. For this, multimedia transcoding is the process of processing, converting, and sorting the original contents to suit each network bandwidth, termin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이와 같이 트랜스코딩을 이용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콘텐츠 종류에 상관없이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스크린을 미러링(mirroring)한 형태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보여줄 수 있다. 그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Using transcoding as described above, the multimedia device 100 may be shown in a form in which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200 is mirrored regardless of the content type of the mobile device 200. Accordingly, the multimedia device 100 may display data displayed by the mobile device 200 regardless of whether the multimedia device 100 recognizes the data format.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수신한 콘텐츠 리스트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 모바일 디바이스(200)간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은 제1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포맷인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콘텐츠 리스트를 모두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receives a content list from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the received content list on a screen. In this case, since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100 and the mobile device 200 uses the first protocol, the contents list is not included in the multimedia device 100 regardless of whether the multimedia device 100 supports the data form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see all.

다만, 제1프로토콜에 의한 경우, 트랜스코딩에 따른 화질 열화와 같은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포맷이라면 트랜스코딩 과정을 거치지 않고, 콘텐츠 자체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이 보다 선명한 화질로 볼 수 있는 방법이다. However, in case of the first protocol,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due to transcoding. Therefore, if the data format can be processed in the multimedia device 100, receiving and playing the content itself without going through a transcoding process is a method that can be seen with clearer picture quality.

그에 따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특정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인 경우, 제2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한다. Accordingly, the user interface 160 receives a signal for selecting specific content from the content list, and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that the data format of the specific content is a data format that the multimedia device can process. The network interface 120 is controll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ased on the second protoco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2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프로토콜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수신하는 프로토콜일 수 있다. 3 is a diagram for one embodiment in which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data by a mobile device and a second protocol, and the second protocol uses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It may be a protocol for receiving the data of the 200) in real time streaming.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서의 네트워크 연결은 IP(Internet Protocol)을 기반으로 하고, 상기 IP는 인터넷 상에서 운용되는 기기의 기본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로 다양한 매체 상에서 운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투명한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The network connection in th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is based on the Internet Protocol (IP), which is a basic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 for devices operating on the Internet, and exchanges information in a transparent manner in applications running on various media. Do it.

예를 들면, PC나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이더넷 케이블에 연결된 802.11 AP(Access Point)를 통해 무선으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P를 통하여 모든 DLNA 기기는 전세계 어디라도 인터넷과 연결된 다른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PC or mobile device 200 may transmit media content to the multimedia device 100 wirelessly through an 802.11 access point (AP) connected to an Ethernet cable. As such, all DLNA devices can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ywhere in the world through IP.

그리고 DLNA의 물리 계층으로 유선 고속 이더넷(802.11u)과 무선 이더넷(802.11a/b/g)이 사용되며, 유선 이더넷의 경우 안정성이 이미 입증되었고, 무선 이더넷은 무선 홈 네트워크 통신의 증가에 따라 와이파이(Wi-Fi)를 채택하게 되었다. Wired Fast Ethernet (802.11u) and Wireless Ethernet (802.11a / b / g) are used for the physical layer of DLNA, and stability has already been proved for Wired Ethernet. (Wi-Fi) was adopted.

또한, DLNA 망 내부에서 기기를 발견하고 제어하는 기술은, IP 주소 같은 네트워킹 설정을 자동으로 구성하고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다른 기기를 인식하도록 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기존의 UPnP AV Architecture 및 UPnP Device Architecture에 기반을 두고 있고, DLNA 망 내부의 서비스를 발견하고 제어하는 기술 역시 마찬가지이다. In addition, the technology for discovering and controlling devices in the DLNA network automatically configures networking settings such as IP addresses and manages them by recognizing other devices on the network, based on the existing UPnP AV Architecture and UPnP Device Architecture. The same holds true for technologies that discover and control services within DLNA networks.

이와 같은 DLNA에서, 장치 클래스는 DMS(Digital Media Server)와 DMP(Digital Media Player)로 구분되며, 전자는 UPnP AV 스펙에서 MSD(Media Server Device)의 기능, 즉 미디어를 제공하는 서버 역학을 하고, 후자는 MRD(Media Renderer Device) 및 MRCP(Media Renderer Control Point)의 기능, 즉 미디어의 선택, 제어 및 선택된 미디어를 플레이해 주는 역할을 한다. In such DLNA, the device class is divided into Digital Media Server (DMS) and Digital Media Player (DMP), and the former performs the server dynamics of providing a function of the Media Server Device (MSD), that is, media in the UPnP AV specification. The latter serves as the function of the Media Renderer Device (MRD) and Media Renderer Control Point (MRCP), namely the selection, control and play of selected media.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DLNA 시스템의 구성도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LNA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DMS(Digital Media Server, 430)와, 상기 DMS(43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행하는 DMP(Digital Media Player, 450, 470)로 구성된다. 상기 DMS(430)와 DMP(450, 470)간은 유선 기반은 이더넷 또는 IEEE 1394로 서비스되고, 무선 기반은 블루투스(BT), IEEE 803.11, UWB(Ultra Wideband)로 서비스한다.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DLNA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4, the DLNA system includes a digital media server (DMS) 430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and a multimedia provided from the DMS 430. DMP (Digital Media Player, 450, 470) for executing content. The wired base is serviced by Ethernet or IEEE 1394 between the DMS 430 and the DMPs 450 and 470, and the wireless base is serviced by Bluetooth (BT), IEEE 803.11, and Ultra Wideband (UWB).

그리고 DMS(430)가 외부의 인터넷(400)을 통해 유무선으로 연결된 DMP(휴대 단말 또는 PMP, 420) 또는 PC(또는 노트북,460)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IP V4, V6(HTTP, VPN)으로 서비스한다. 일반적으로 DMP는 유뮤선 DMP를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DMS는 홈 네트워크에서 홈 게이트웨이를 겸할 수 있으며, DMP는 CP(Control Point)의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provide content to a DMP (mobile terminal or PMP, 420) or a PC (or laptop, 460) connected by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hrough an external Internet 400, the DMS 430 may use IP V4, V6 (HTTP, VPN). Service. In general, DMP refers to the integration of wired and wireless DMP. The DMS may serve as a home gateway in a home network, and the DMP may also include a function of a control point (CP).

또한, DLNA를 본 발명에 이용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DMS이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가 DMP일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를 실시 예로 설명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콘텐츠 리스트 중에서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여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수신하여 수신과 동시에 재생하거나, 상기 DLNA에 따른 저장 공간에 다운로딩한 후에 별도로 재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using DLN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device 200 may be a DMS, the multimedia device 100 may be a DMP, and vice versa. The former case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multimedia device 100 selects and receives a specific content from a content list of the mobile device 200, the multimedia device 100 receives the mobile device 200 from the mobile device 200. Receive and play a specific content in real time streaming at the same time, or downloaded to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DLNA can be played separately.

다만, 제2프로토콜에 의할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받고자 하는 데이터의 포맷이 PPT, WORD, 게임과 같은 비동영상이거나, 압축 형식이 다른 경우에는 전송을 완료하더라도 수신한 콘텐츠를 재생할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특정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인 경우 제2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고, 처리할 수 없는 데이터 포맷인 경우 제1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한다. However, in case of the second protocol, if the format of the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is a non-video such as PPT, WORD, or game, or the compression format is different, the received content cannot be played even if the transmission is completed. non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ased on a second protocol when the data format of the specific content is a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and when the data format cannot be processed, the first protocol. The network interface 120 is controll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ased on the contro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포맷 리스트를 테이블 형태로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고,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150)는 메모리(140)를 참조하거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와의 통신을 통하여 재생 가능한 포맷인지 판단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를 제어한다. 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data format list supported by the multimedia device 1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40 in a table form, or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200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hav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network device 120 by determining whether the format is a playable format by referring to the memory 140 or by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device 200.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재생 가능한 Video 포맷(131)은 H264, MPEC2, MPEC4 등이 있고, 재생 가능한 Audio 포맷(133)는 MP3, AAC 등이 있으며, 재생 가능한 AV system 포맷(135)은 MPEG-TS, MPEG4 SL 등이 있다. Video formats 131 playable in the multimedia device 100 include H264, MPEC2, MPEC4, and the like. Playable audio formats 133 include MP3 and AAC, and the playable AV system format 135 is MPEG-. TS, MPEG4 SL and the like.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재생 가능한 데이터 포맷일 경우에, 제2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프로토콜에 의할 경우,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특정 콘텐츠 실행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통해 콘텐츠 실행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multimedia device 100 is in a playable data format, the multimedia device 100 may transmit and receive content using a second protoco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protocol is use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specific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200.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mobile device 200 to control content execution.

또한, 상기 컨트롤러(150)는 특정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1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 모바일 디바이스(200)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은 제1프로토콜을 기본 프로토콜로 한다. 따라서, 특정 콘텐츠를 수신할 때만 제2프로토콜에 의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고, 제2프로토콜을 통해 특정 콘텐츠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에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재설정하도록 상기 컨트롤러(150)가 제어한다.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of specific content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network interface 12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ased on the first protocol. That is,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100 and the mobile device 200 defaults to the first protocol. Accordingly, the data is transmitted by the second protocol only when receiving specific content, and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specific content is completed through the second protocol, the network interface 120 resets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to the first protocol. The controller 150 controls.

물론 제2프로토콜을 기본 프로토콜로 설정하고, 필요에 따라 제2프로토콜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Of course,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t the second protocol as the basic protocol and to use the second protocol as necessary.

다만, 제1프로토콜을 기본 프로토콜로 설정해두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콘텐츠 리스트를 보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지원하지 않는 데이터 포맷의 콘텐츠도 포함하여 콘텐츠 리스트를 볼 수 있다. However, if the first protocol is set as the default protocol,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view the content list of the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the multimedia device 100. That is, the content list may be viewed including content of a data format not supported by the multimedia device 100.

또한,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는 경우에, 암호화된 AP에 대해서는 암호키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1프로토콜을 기본 프로토콜로 설정해둘 때 암호키를 미리 입력 및 저장해둠으로써 프로토콜이 변환될 때마다 암호키를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using Wi-Fi, it is often necessary to enter an encryption key for the encrypted AP. Therefore, when the first protocol is set as the default protocol, the encryption key is input and stored in advance,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input the encryption key every time the protocol is conver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로, 도 6을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multimedia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설정한다(S500). 상기 제1프로토콜은 근거리 무선망,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데이터를 트랜스코딩(transcoding)하여 프레임 단위로 수신하는 프로토콜일 수 있다.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the mobile device is set as the first protocol (S500). The first protocol may be a protocol for transcoding and receiving data of the mobile device 200 in a frame unit using a local area network, for example, Wi-Fi.

상기 설정된 제1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한다(S510).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 제1프로토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트랜스코딩(transcoding)하여 프레임 단위로 수신한다. Based on the set first protocol, a content lis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S510).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is set to the first protocol. Accordingly, the multimedia device transcodes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displaying the content list and receives the frame by fram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제1프로토콜에 따라 트랜스코딩한 프레임을 수신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을 트랜스코딩하여 미러링(mirroring)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보여지는 그대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트랜스코딩은 상술한 바이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receiving a frame transcoded according to a first protocol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by transcoding and mirroring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200, the multimedia device 100 may be displayed as it is seen by the mobile device 200. Since transcoding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ame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수신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를 선택한다(S520).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인지 확인하여(S530),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2프로토콜로 변경한다(S540). In operation S520, specific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received content list. If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is a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S530),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is changed to a second protocol when it is a processable data format (S540).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서, 재생 가능한 Video 포맷은 H264, MPEC2, MPEC4 등이 있고, 재생 가능한 Audio 포맷은 MP3, AAC 등이 있으며, 재생 가능한 AV system 포맷은 MPEG-TS, MPEG4 SL 등이 있다. As a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in a multimedia device, playable video formats include H264, MPEC2, MPEC4, and playable audio formats include MP3 and AAC, and playable AV system formats include MPEG-TS and MPEG4 SL. There is this.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인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상기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의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해 뒀다가, 상기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데이터 포맷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A method of checking whether a multimedia format is a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includes storing a list of data formats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in a memory and then checking the data format when the specific content is selected. .

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포맷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특정 콘텐츠를 전송하기 이전에, 처리 가능한 데이터 포맷임을 먼저 알려주는 방법이 있다. Alternatively, there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 list of data formats that can be processed in a multimedia device to the mobile device, and before not transmitting specific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to the multimedia device, informing the first data format.

또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포맷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리스트를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포맷의 콘텐츠 리스트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처리 가능한 콘텐츠들에 대한 리스트 내에서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ultimedia device transmits a list of data formats that can be processed in the multimedia device to the mobile device, and the multimedia device transmits a list of contents of a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in the multimedia device to the multimedia device with reference to the list. You can also choose to select specific content within a list.

한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2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특정 콘텐츠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S550). 제2프로토콜에 따라,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이용하여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상기 특정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특정 콘텐츠는 별도로 저장하였다가 추후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실시간 스트리밍되므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S570).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완료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재변경함으로써, 제1프로토콜을 기본 프로토콜로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ultimedia device receives a specific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second protocol (S550). According to a second protocol, the specific content may be received by real time streaming using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The received specific content may be stored separately and later displayed, or may be displayed in real time because it is streamed in real time (S570). When the display of the specific content is completed, the first protocol may be set as the default protocol by changing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back to the first protocol.

다만, 상기 선택한 특정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이 아닌 경우에,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은 변경되지 않고 제1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특정 콘텐츠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S560). 상기 수신한 특정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데(S570), 특정 콘텐츠를 트랜스코딩하여 프레임 단위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2프로토콜에 의할 때보다 화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data format of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is not a data format that the multimedia device can process,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is not changed and receives the specific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first protocol (S560). In order to display the received specific content (S570), since the specific content is transcoded and received and displayed in units of fram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mage quality is lower than that in the second protocol.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제2프로토콜에 따라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한 특정 콘텐츠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DLNA를 통해 자동 저장되고, 저장된 특정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포맷의 콘텐츠이므로, 별도의 트랜스코딩 등의 과정 없이 전송되므로 화질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DLNA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receiving and displaying content according to a second protocol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may be automatically stored through the DLNA from the mobile device 200, and the stored specific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multimedia device 100. Since the multimedia device 100 is a content of a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the image quality is maintained because it is transmitted without a separate transcoding process. Since the DLNA has been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제2프로토콜에 따라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DLNA를 통해 자동 저장된 특정 콘텐츠(171)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다만, 도 8과 비교해보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선택하여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도록, 특정 콘텐츠(171) 이외에 콘텐츠 제공자 리스트(173),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75)가 함께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그 외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오브젝트들(177)도 함께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receiving and displaying content according to a second protocol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certain content 171 automatically stored via DLNA from the mobile device 200 is being displayed on the multimedia device 100. 8, in addition to the specific content 171, the content provider list 173 and the application list 175 are displayed together, so that the functions of the multimedia device 100 can be selected and used at any time. Objects 177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 are also displayed.

도 8 및 도 9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지만,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서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8 and 9, the mobile device 200 may control the multimedia device 100, but may also be controlled through a remote controller of the multimedia device 10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an appearance of a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s as follows.

우선,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대응하는 포인터(301)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나아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7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한다. First, as illustrated in FIG. 10A, a pointer 301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ler 300 is displayed on the multimedia device 100. Furthermore, the display unit 170 illustrated in FIG. 10 corresponds to,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of the multimedia device illustrated in FIG. 1.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상하, 좌우(도 10의 (b)), 앞뒤(도 10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포인터(301)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301)가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The user may move or rotate the remote controller 300 up and down, left and right (FIG. 10B) and front and rear (FIG. 10C). The pointer 30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of the multimedia device 100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Such a remote controller 300 may be referred to as a spatial remote controller such that the pointer 301 is moved and displayed as the movement in the 3D space is performed.

도 10의 (b)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외쪽으로 이동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포인터(301)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10 (b) illustrates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ler 300 outward, the pointer 30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of the multimedia device 100 also moves to the left side correspondingly.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로 전송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30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301)를 표시할 수 있다.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detected through th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is transmitted to the multimedia device 100. The multimedia device 100 may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301 from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The multimedia device 100 may display a pointer 301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도 10의 (c)는, 리모트 컨트롤러(3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디스플레이부(17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30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7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 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디스플레이부(17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30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7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 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FIG. 10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ler 300 away from the display unit 170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ler 300. As a result, the selection area in the display unit 17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301 may be zoomed in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ler 300 to approach the display unit 170, the selection area in the display unit 17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301 may be zoomed out to be reduced.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이용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화면에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선택 및 제어하는 것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when the remote controller 300 shown in FIG. 10 is used, selecting and controlling a func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100 on the screen shown in FIG. 9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selected.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 모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module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10.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module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310), 사용자입력부(320), 센서부(330), 출력부(340), 저장부(350), 전원공급부(360), 제어부(370)를 포함하고, 무선통신부(31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remote controller 300 may include,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 user input unit 320, a sensor unit 330, an output unit 340, a storage unit 350, and a power supply unit ( 360, and a control unit 37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본 실시 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31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313)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ler 300 may include an RF module 31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multimedi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300 may include an IR module 313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multimedi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본 실시 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로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311)을 통하여 전송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ler 3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to the multimedia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311.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31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3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313)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로 전원 온(on)/오프(off),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3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311.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300 may transmit a command regarding power on /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etc. to the multimedia device 100 through the IR module 313 as necessary.

사용자입력부(32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320)를 조작하여 리모트 컨트롤러(300)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330)는 자이로센서(331) 또는 가속도센서(33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320 may include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multimedia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ler 300 by manipulating the user input unit 320. In addition, the sensor unit 330 may include a gyro sensor 331 or an acceleration sensor 333.

일례로, 자이로센서(331)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333)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yro sensor 331 may sens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333 may sense information regarding a moving speed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On the other hand, it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thereby sensing the distance to the multimedia device 100.

출력부(340)는 사용자입력부(32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4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320)의 조작 여부 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340 may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320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100. 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320 is manipulated or whether the multimedia device 100 is controlled through the output unit 340.

일례로, 출력부(340)는 사용자입력부(320)가 조작되거나 무선통신부(310)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34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34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34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47)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put unit 340 is an LED module 341 which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unit 320 is manipul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multimedia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nd a vibration module 343 generating vibration. ), A sound output module 345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module 347 for outputting an image.

저장부(35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리모트 컨트롤러(300)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와 RF 모듈(31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300)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storage unit 35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and the like necessary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ler 300. If the remote controller 30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100 and the RF module 311, the remote controller 300 and the multimedia device 10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전원공급부(36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36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36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360 supplies power to the remote controller 300. The power supply unit 360 may reduce power waste by stopping power supply when the remote controller 30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ower supply unit 36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300 is operated.

제어부(370)는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370)는 사용자입력부(32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330)에서 센싱한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통신부(310)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70 controls various item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The controller 370 may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manipulation of the user input unit 320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sensed by the sensor unit 33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 Can be sent.

특히, 상기 제어부(370)는, RF 모듈(311) 또는 IR 모듈(313) 등을 제어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70)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움직임에 따른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정확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 특유의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370 controls the RF module 311 or the IR module 313 to input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of the multimedia device 100. It is designed to transmit to the multimedia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can be transmitted, there is a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accurately select any one of the adjacent areas.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포맷의 콘텐츠인지 여부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컨트롤러에 의해서 제어된다. 그에 따라, 종래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상황에 따라 직접 선택 또는 변경 해야했던 불편함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the mobile device and the multimedia devic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depending on whether the multimedia device is a content of a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ventional user has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directly select or change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according to the situation.

한편, 상기 제2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특정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가 완료된 경우,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다시 재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프로토콜로 다시 재변경함으로써, 제1프로토콜을 기본 프로토콜로 설정해두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콘텐츠 리스트를 보는 것이 용이하고,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 변환될 때마다 사용자가 암호키를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Meanwhile, when the display is completed by receiving specific content based on the second protocol,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may be changed back to the first protocol. In this way, the change back to the first protocol has the effect of setting the first protocol as the basic protocol.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view the content list of the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the multimedia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having to input the encryption key every time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is converted.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로, 도 12를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상술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2,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will be described. Howev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items a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aforementioned multimedia device will be omitted.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설정한다(S600).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프로토콜을 기본 프로토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1프로토콜 및 제2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은 설명한 바이다.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the mobile device is set as the first protocol (S600).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rotocol may be set as the basic protocol, and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protocol and the second protocol will be described.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610). 다만, 상기 제1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S600)와 데이터 포맷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S610)의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The data format lis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S610). However, the order of setting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to the first protocol (S600) and transmitting the data format list (S610) may be changed.

상기 제1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하면(S620), 리스트 중에서 특정 콘텐츠를 선택한다(S630). 상기 특정 콘텐츠가 로컬 데이터 즉,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DLNA에 따른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인지 판단하는데(S640),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판단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수신한 특정 콘텐츠가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아니면 로컬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Based on the first protocol, upon receiving a content list from the mobile device (S620), specific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list (S630).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 content is local data, that is, data stored in a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or DLNA (S640), a signal for determin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and the specific receiv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If the content is not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local data.

특정 콘텐츠가 로컬 데이터이면(S640-Yes),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인지 체크한다(S650).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 경우라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콘텐츠 전송 전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별도로 알려줄 수 있으므로 상기 체크하는 단계(S650)는 생략될 수 있다. If the specific content is local data (S640-Yes), it is checked whether it is a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S650). However, if the list of data formats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device may separately indicate whether the data format corresponds to the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efore the content is transmitted. Step S650 may be omitted.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이면,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2프로토콜로 변경하고, 상기 제2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선택한 특정 콘텐츠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S660). 수신한 특정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S670), 디스플레이가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재설정한다(S700).If the data format can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is changed to the second protocol, and specific content selected based on the second protoco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S660). The received specific content is displayed (S670), and when the display is completed,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the mobile device is reset to the first protocol (S700).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없는 데이터 포맷이면, 선택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1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특정 콘텐츠를 트랜스코딩(transcoding)하여 상기 콘텐츠의 프레임별로 수신하므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없는 데이터 포맷이더라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f the data format cannot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an execu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and the specific content is received and displayed based on the first protocol. Since the specific content is transcoded and received for each frame of the content, it is possible to display even a data format that cannot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한편, 상기 선택한 특정 콘텐츠가 로컬 데이터가 아니면(S640-No),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선택한 특정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수신할 수 있다(S680). Meanwhile, if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is not local data (S640-No),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of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may be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S680).

상기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 알려주기 위하여, 인터넷에서 접근 가능한 자원의 주소를 일관되게 표현한 형식이다. 상기 자원의 형태는 인터넷 응용 프로토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상기 자원이란 HTML 페이지, 이미지 파일, CGI나 자바 애플릿과 같은 프로그램, 기타 HTTP가 자원하는 다른 파일들이 될 수 있다. The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is a format in which the address of a resource accessible from the Internet is consistently expressed in order to indicate where the resource is located on the network. The form of the resourc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an internet appl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urce may be an HTML page, an image file, a program such as a CGI or Java applet, or other files that HTTP resources.

상기 URL은 자원에 접근하는데 필요한 프로토콜의 이름, 인터넷에서 특정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한 도메인 이름, 그리고 컴퓨터 파일의 위치를 계층적으로 나타낸 경로명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URL을 수신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URL에 따라 특정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S690). The URL consists of the name of the protocol required to access the resource, the domain name to identify the particular computer on the Internet, and a pathname that hierarchically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computer file. Accordingly, the multimedia device receiving the URL receives and displays specific content according to the URL (S690).

다만, 이 경우, 상기 URL에 따른 특정 콘텐츠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임을 전제로 하며, 그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2프로토콜로 변경한다. 상기 수신한 특정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재설정한다(S700). In this case,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 specific content according to the URL is a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ly,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the mobile device and the multimedia device is changed to the second protocol. When the display of the received specific content is completed,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is reset to the first protocol (S700).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로, 도 13을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설명한다.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a multimedia device and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between a multimedia device and a mobile device will be described.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설정한다(S800). 상기 제1프로토콜은 근거리 무선망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데이터를 트랜스코딩(transcoding)하여 프레임 단위로 수신하는 프로토콜일 수 있다.The multimedia device 100 sets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the mobile device 200 as the first protocol (S800). The first protocol may be a protocol for transcoding and receiving data of the mobile device 200 in units of frames using a local area network.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S810).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상기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리스트를 참조하여,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들 중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포맷에 해당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820). The data format lis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200 (S810). The mobile device 200 transmits to the multimedia device 100 a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ultimedia device 100 among the contents held by referring to the processable data format list. (S820).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2프로토콜로 변경한다(S830). 상기 제2프로토콜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수신하는 프로토콜일 수 있다. The multimedia device 100 changes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the mobile device 200 to the second protocol in order to receive specific content from the content list (S830). The second protocol may be a protocol for receiving data of the mobile device 200 by real time streaming by using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상기 제2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로 특정 콘텐츠를 전송하면(S840),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특정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850). Based on the second protocol, when specific content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to the multimedia device 100 (S840), the multimedia device 100 displays the specific content (S850).

상기 특정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재변경한다(S860). When the display of the specific content is completed, the multimedia device 100 changes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the mobile device 200 to the first protocol (S860).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Furthermore, although the drawing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a new embodiment to be implemented by merg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each drawing.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sig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s is record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ultimedia device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whole or in part to enable various modifications. It may alternativel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한편,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processor-readable code i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the network devi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both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of the method are explain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two inventions can be supplementarily applied as necessary.

100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10 방송수신부 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 140 메모리
150 컨트롤러 160 유저 인터페이스
170 디스플레이부 180 오디오출력부
190 전원공급부
200 모바일 디바이스
300 리모트 컨트롤러
100 multimedia devices
110 Broadcast Receiver 120 Network Interface
130 External device interface 140 Memory
150 Controller 160 User Interface
170 Display 180 Audio Output
190 Power Supply
200 mobile devices
300 remote controller

Claims (16)

모바일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제1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인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2프로토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제2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로토콜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이용하여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상기 특정 콘텐츠를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Setting a data transfer protocol with the mobile device as a first protocol;
Receiving a content list from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set first protocol;
Selecting specific content from the received content list;
If the data format of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is a data format that the multimedia device can process, changing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to a second protocol;
Transmitting an execu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to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modified second protocol, receiving the specific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And
Displaying the specific content;
The second protocol is a control method of a multimedia device for receiving the specific content by real-time streaming using a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재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the display of the specific content is completed, changing the data transmission protocol to the first protoc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ransmitting a list of data formats that can be processed in the multimedia device to the mobil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무선망을 이용하여,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트랜스코딩(transcoding)한 프레임을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 content list from the mobile device,
And a frame obtained by transcoding a screen of a mobile device displaying a content list using a local area network.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the specific content,
And receiving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for the specific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기설정된 데이터 포맷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이 상기 데이터 포맷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f a data format of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is not included in the data format list by using a preset data format list supported by the multimedia device, transmitting an execu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to the mobile device; ; And
Based on the first protocol, receiving the specific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And
And displaying the specific cont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콘텐츠를 트랜스코딩(transcoding)하여 상기 콘텐츠의 프레임별로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Based on the first protocol, receiving the specific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And transcoding the specific content and receiving the frame-by-frame for the content.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4 or 6 to 8 is recorded. 모바일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1프로토콜로 설정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특정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인 경우, 제2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로토콜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In the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A network interface for setting a data transmission protocol with a mobile device as a first protocol;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for receiving a content list from the mobile device;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content list;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specific content from the content list;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network interfac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ased on a second protocol when the data format of the specific content is a data format that the multimedia device can process.
The second protocol is a multimedia device for receiving data of the mobile device in real time streaming using a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1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ler,
And when the display of the specific content is completed, controlling the network interfac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ased on the first protoco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토콜은,
근거리 무선망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트랜스코딩(transcoding)하여 프레임 단위로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protocol is,
A multimedia device using a local area network, transcoding content of the mobile device and receiving the frame unit.
삭제dele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기설정된 데이터 포맷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이 상기 데이터 포맷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ler,
If the data format of the selected specific content is not included in the data format list by using a preset data format list supported by the multimedia device, the network interface is controll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ased on the first protocol. , Multimedia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And transmitting a list of data formats that the multimedia device can process to the mobile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 실행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Receiving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the specific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KR1020110076416A 2011-08-01 2011-08-01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289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416A KR101328963B1 (en) 2011-08-01 2011-08-01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416A KR101328963B1 (en) 2011-08-01 2011-08-01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63A KR20130014763A (en) 2013-02-12
KR101328963B1 true KR101328963B1 (en) 2013-11-13

Family

ID=4789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416A KR101328963B1 (en) 2011-08-01 2011-08-01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9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229A (en)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tributed trans-coding of recorded cont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929B1 (en) * 2015-09-25 2022-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streaming service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plurality of radio access interfa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537A (en) * 2003-05-28 2004-12-08 정보통신연구진흥원 Mobile system and method for compatibility of mobile contents servies
KR100674085B1 (en) * 2004-12-13 2007-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oding of Media format and Translating of the Transport Protocol in home network
KR100772366B1 (en) * 2001-12-11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descriptor
KR20100065452A (en) * 2008-12-08 2010-06-17 대덕대학산학협력단 Moving picture contents providing system based on m-lms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366B1 (en) * 2001-12-11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descriptor
KR20040102537A (en) * 2003-05-28 2004-12-08 정보통신연구진흥원 Mobile system and method for compatibility of mobile contents servies
KR100674085B1 (en) * 2004-12-13 2007-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oding of Media format and Translating of the Transport Protocol in home network
KR20100065452A (en) * 2008-12-08 2010-06-17 대덕대학산학협력단 Moving picture contents providing system based on m-lms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229A (en)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tributed trans-coding of recorded contents
KR102269927B1 (en) * 2015-01-13 2021-06-2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tributed trans-coding of recorded cont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63A (en)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5998B2 (en) Wireless display with multiscreen service
JP49502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networking using mobile phones and headsets
US8612036B2 (en) Portable terminal, pairing system and pairing method
JP6271568B2 (en) Establishing a wireless display session between a computing device and a vehicle head unit
KR1007825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orming Contents of Broadcasting in DLNA Network
US201103044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Media Devices
US1072573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90075391A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network in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network
KR100663448B1 (en) Providing method for user interface of 3 frame in dlna system
KR20160078024A (en)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transmitting/receiving video data
KR101713788B1 (en) Control device, broadcast receiver, method for control of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WO2014126973A1 (en) Audio output distribution
KR20140134915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328963B1 (en)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956495B2 (en) Source device and wireless system
KR20120022156A (e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conducting wireless communicatoin among devices and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210121777A (en) A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00349B1 (en) Display apparatus and streaming tranforting method of the same
US20130060910A1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reproduc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1034499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60072616A (e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sound reproducing system
JP2013143154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program of electronic device
US11917257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20240137604A1 (en) Display device and system
US2023038858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