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735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on cotrol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on cotrol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735B1
KR101328735B1 KR1020110123101A KR20110123101A KR101328735B1 KR 101328735 B1 KR101328735 B1 KR 101328735B1 KR 1020110123101 A KR1020110123101 A KR 1020110123101A KR 20110123101 A KR20110123101 A KR 20110123101A KR 101328735 B1 KR101328735 B1 KR 101328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connection
access
policy
specific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1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7271A (en
Inventor
정인장
한창문
배성수
김지훈
정수환
채강석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3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735B1/en
Publication of KR20130057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2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7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는 상태판단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 중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확인하는 접속수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기초로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는 정책결정단계;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고, 재접속 요청되는 단말장치가 상기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말장치식별단계; 및 상기 식별 결과를 토대로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식별된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네트워크중계장치의 전체 유효 대역폭이 매우 낮아진 상황이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중계장치에 접속된 사용자의 재인증을 통해 선별적 접속 제어를 수행하여 해당 네트워크중계장치의 가용성을 회복함에 따라 네트워크중계장치의 동작 성능을 고려한 서비스 품질 보장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That is, the status determination step of checking the actual bandwidth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A connection number checking step of confirming a connection number of a predetermined specific terminal device among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s according to the checking result; A policy determination step of setting an access selection policy based on the identified number of accesse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 terminal device identification step of releasing a connection to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and identify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requested to be reconnected is the predetermined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a connection control step of allowing access to the identifi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se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result, so that when a situation in which the total effective bandwidth of the network relay device becomes very low occurs, accessing the network relay device occurs. By performing selective access control through re-authentication of the user, the service quality can be guaranteed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network relay device as the availability of the network relay device is restored.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ON COTROL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ON COTROL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본 발명은 네트워크중계장치의 가용성 제어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의 접속 과부하로 인해 네트워크중계장치의 전체 유효 대역폭이 매우 낮아진 상황에서, 네트워크중계장치에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재인증을 통해 선별적 접속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중계장치의 가용성을 회복시키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vailability of a network relay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connected to a network relay device in a situation where the total effective bandwidth of the network relay device is very low due to a user's connection overload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for recovering the availability of a network relay device by performing selective access control through re-authentication, and an apparatus applied thereto.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비공인 주파수 대역(2.4GHz 및 5GHz)을 사용하여 저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최대 54Mbps(IEEE 802.11a/g)의 높은 전송률을 제공한다.IEEE 802.11 based wireless network systems can provide services at low cost using unlicensed frequency bands (2.4 GHz and 5 GHz), and provide high data rates of up to 54 Mbps (IEEE 802.11a / g).

그러나, 사용자의 접속 증가로 인한 무선 구간의 데이터 전송시 충돌 현상이 증가하여 실사용 대역폭이 가용 대역폭에 심하게 미달하는 상황, 다수 사용자의 동시 사용으로 극악의 전송률을 보이는 상황과 같은 서비스 품질에 대한 문제가 동시에 존재한다.However, there are problems with the quality of service such as the situation where the actual bandwidth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vailable bandwidth due to the increase of collisions during data transmission in the wireless section due to the increase of the user connection, and the worst rate due to the simultaneous use of multiple users. Is present at the same time.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발생 가능한 서비스 품질 문제의 해결을 위한 기존의 방법으로는 사용자 접속 수 또는 트래픽 양을 제한하는 방법, 요구 대역폭 및 사용 대역폭 현황을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 접속 제어 방법 등이 있다.Existing methods for solving the quality of service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e a method of limiting the number of user accesses or the amount of traffic, a user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the required bandwidth and the use bandwidth.

그러나 상기 기존의 방법들은 실시간으로 현황을 모니터하고 파악하여 기준을 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동적으로 변하는 AP의 상황에 따라서 유연하게 대처하기가 어려우며, 실제 AP의 성능 문제로 인해서 이러한 모든 기능을 구비하여 동작하기는 어렵다.However, since the existing methods monitor and grasp the current situation in real time and determine the criteria, it is difficult to flexibly respond to the dynamically changing AP situation, and operate with all these functions due to the actual AP performance problem. Is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 중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기초로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며,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고, 재접속 요청되는 단말장치가 상기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를 토대로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식별된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는 네트워크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접속 과부하로 인해 네트워크중계장치의 전체 유효 대역폭이 매우 낮아진 상황에서, 네트워크중계장치에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재인증을 통해 선별적 접속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중계장치의 가용성을 회복시키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rm a real-time bandwidth according to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and to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The terminal determines a connection number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specified in advance and sets a connection selection policy based on the identified number of connec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releases the connection to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and requests a reconnection. A network relay device for identify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is a predetermined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allowing access to the identifi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connection selection policy se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result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When the total effective bandwidth of the network relay device becomes very low, the network relay device The selective access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re-authentication of the connected user, thereby restoring the availability of the network relay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중계장치는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는 상태판단부;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 중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기초로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는 정책설정부; 및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고, 재접속 요청되는 단말장치가 상기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 결과를 토대로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식별된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etwork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status determination unit for confirming the actual bandwidth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A policy setting unit for checking a connection number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which is currently designated among the terminal devices current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checking result, and setting an access selection policy based on the identified number of connec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disconnecting the access to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identify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requested to be reconnected is the predetermined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for the identifi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se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resul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control unit for allowing the conn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판단부는,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termined available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more than a threshold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책설정부는,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만을 허용하기 위한 제1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며,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설정 개수만큼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2정책정보, 및 설정시간 동안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상기 타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3정책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olicy setting unit sets the access selection policy to include first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only access of the specific terminal apparatus when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specific terminal apparatu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If the number of connections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secon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acces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s the set number, and after allowing the connec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for the set time, And setting the access selection policy to include at least one policy information of thir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access of the other terminal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접속선택정책이 설정된 이후, 상기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정책설정부는,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이 확인될 경우, 상기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after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s set, checks whether or no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etermined available bandwidth compared to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under a threshold value, and setting the policy.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ancel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identified difference in the actual use bandwidth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that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은,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는 상태판단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 중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확인하는 접속수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기초로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는 정책결정단계;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고, 재접속 요청되는 단말장치가 상기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말장치식별단계; 및 상기 식별 결과를 토대로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식별된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relay apparatus, including: a status determination step of confirming an actual bandwidth used by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A connection number checking step of confirming a connection number of a predetermined specific terminal device among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s according to the checking result; A policy determination step of setting an access selection policy based on the identified number of accesse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 terminal device identification step of releasing a connection to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and identify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requested to be reconnected is the predetermined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an access control step of allowing access to the identifi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access selection policy se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result.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판단단계는,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atus determination step, characterized in that whether or no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termined available bandwidth and the predetermined available bandwidth is a threshold value or mo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책결정단계는,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만을 허용하기 위한 제1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며,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설정 개수만큼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2정책정보, 및 설정시간 동안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상기 타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3정책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olicy determination step, when the number of connection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s set to include first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only the connec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If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devic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secon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access to the other terminal device after allowing the access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s much as the set number, and allowing access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for the set time. Thereafter, the access selection policy is set to include at least one policy information among thir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access of the other terminal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선택정책이 설정된 이후, 상기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상태유지판단단계; 및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이 확인될 경우, 상기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해제하는 정책해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thod, after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s set, the state maintenance determination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etermined available bandwidth to the predetermined available bandwidth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less than a threshold value; And a policy release step of releasing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identified difference in the actual usage bandwidth is maintained for a set time in a state that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의 접속 과부하로 인해 네트워크중계장치의 전체 유효 대역폭이 매우 낮아진 상황이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중계장치에 접속된 사용자의 재인증을 통해 선별적 접속 제어를 수행하여 해당 네트워크중계장치의 가용성을 빠르게 회복함으로써, 네트워크중계장치의 동작 성능을 고려한 서비스 품질 보장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when the total effective bandwidth of the network relay device is very low due to the user's connection overload in th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connected to the network relay device By performing selective access control through re-authentication of the user, the availability of the network relay device can be quickly restored, thereby ensuring the quality of service consider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network relay device.

또한, 네트워크중계장치의 가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상황에서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선택적 접속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지정된 사용자(예: 프리미엄 사용자) 우선으로 서비스 가용성을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performing selective access control for the connected user when the availability of the network relay is very low,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tore service availability to a designated user (eg, a premium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중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etwork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system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중계장치(200)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중계장치(2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장치(100); 접속된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며, 단말장치(100)의 접속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여 접속된 단말장치(100)에 대한 재인증을 통해 선별적 접속 제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중계장치(200);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요금제에 따른 가입자정보를 저장하고, 네트워크중계장치(200)의 접속선택정책의 설정을 위한 기 설정된 정책정보를 제공하는 가입자관리장치(300); 및 네트워크중계장치(200)에 접속된 단말장치(100)에 대한 인증 수행을 지원하는 인증지원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network relay apparatus 200 that supports a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supported for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and if a connection overload occurs in the terminal device 100, a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s set to selectively perform re-authentication for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A network relay apparatus 200 for performing access control; A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300) storing subscriber information according to a pla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providing preset policy information for setting a connection selection policy of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And an authentication support apparatus 400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terminal apparatus 100 connected to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는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컨대, WiFi 네트워크가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WiFi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WiFi AP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가입자관리장치(300) 및 인증지원장치(400)는 각각의 서버의 형태로 독립된 구성을 가지거나, 각각의 기능이 통합된 하나의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network refers to an IEEE 802.11-based wireless network, and for example, may correspond to a WiFi network. Accordingly,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may correspond to a WiFi AP for operating a WiFi network. In addition, th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300 and the authentication support apparatus 400 may have an independent configuration in the form of each server, o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one server in which each function is integrated.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의 확인을 통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다.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detects an event occurrence by checking a real bandwidth according to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apparatus 100.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접속선택정책을 설정이 요구되는 제1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checks the actual bandwidth according to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currently connected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dentified actual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critical. If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s determined to be the occurrence of the first event requiring setting.

이에,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 중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확인한다.Accordingly,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checks the connection number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that is designated among the terminal devices that are currently connected.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발생되는 제1이벤트 감지에 따라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 중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를 확인한다. 이때,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가입자관리장치(300)에 전송함으로써, 가입자관리장치(300)를 통해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 중 상기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를 확인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may determine a specific terminal device among the terminal devices that are current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first event generat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ecked actual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Check the number of connections (e.g., premium subscribers). At this time,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currently connected to th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300, whereby the device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currently connected through th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300. The number of connections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for example, premium subscriber) specified is checked.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에 대응하여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한다.Based on this,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sets a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number of connection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현재 접속중인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에 대응하여, 가입자관리장치(300)로부터 제공된 정책정보 기반으로 단말장치(100)의 선별적 접속 제어를 위한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만을 허용하기 위한 제1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한다. 반면,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설정 개수만큼 상기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예: 일반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2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거나, 설정시간 동안 상기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예: 일반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3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상술한 제2정책정보 및 제3정책정보가 병행 적용될 수 있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접속선택정책 설정과 관련하여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별도의 접속선택정책 설정 동작을 직접 수행하지 않고, 가입자관리장치(300)로부터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에 대응하여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수신하여 적용하는 구성의 적용 또한 가능할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selectively selects the terminal apparatus 100 based on policy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300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connection of a specific terminal apparatus (for example, premium subscriber) currently connected.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for access control. In this case,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includes first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only the acces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when the identified number of connec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Set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to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confirmed connections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for example, premium subscriber)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allows other terminals after accessing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for example, premium subscriber) by the set number. After setting the access selection policy to include the secon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access of the device (e.g., general subscriber), or allowing the connec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e.g. premium subscriber) for the set time, the other terminal device ( For example, an access selection policy may be set to include thir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access of a general subscriber), or the access selection policy may be set such that the above-described second policy information and third policy information may be applied in parallel. have. Meanwhile,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setting,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does not directly perform a separat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setting operation, but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connections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from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300.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configuration that receives and applies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나아가,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에 대한 재접속을 유도하고, 재접속되는 단말장치(100)의 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In addition,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induces reconnection to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and selectively permits conn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be reconnected.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현재 접속중인 모든 단말장치(100)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여 재접속을 유도한 이후, 재접속되는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고, 상기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기초로 상기 식별된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게 된다. 이때,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재접속되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가입자관리장치(300)에 전송하여 가입자관리장치(300)를 통해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판별 결과를 기초로 해당 단말장치(100)가 접속 허용 대상임이 확인될 경우, 인증지원장치(400)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기반의 인증 처리를 수행하게 되고, 인증 처리가 완료될 경우에만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해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 예컨대,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선택정책이 설정된 경우, 해당 접속선택정책에 따라 재접속되는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만을 허용하게 된다. 또는,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가 임계값 미만일 경우에 대응하여 접속선택정책이 설정된 경우, 설정 개수만큼 재접속되는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예: 일반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하거나, 설정시간 동안 재접속되는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예: 일반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after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induces reconnection by releasing connection to all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apparatuses 100,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identifies the terminal apparatuses 100 to be reconnected and based on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To selectively allow access to the identified terminal device. At this time,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to be reconnected to th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30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specific terminal apparatus (eg, premium subscriber) through th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300. do. In addition, when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0 is allowed to acces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may extend the EAP (Extensible) to the terminal apparatus 100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authentication support apparatus 400. 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and access is per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only when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completed. 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s set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number of connections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being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reconnect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Example: Premium subscribers only). Alternatively, when the access selection policy is set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number of accesses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being less than a threshold value,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reconnects as many as a specific number of terminal devices (eg, premium subscriber). After allowing access to another terminal device (eg general subscriber) after allowing access, or allowing another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to be reconnected during the set time ) Will be allowed.

한편,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재접속된 단말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의 확인을 통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y checking the actual bandwidth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re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재접속된 단말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의 해제가 요구되는 제2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checks the actual bandwidth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reconnec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dentified actual bandwidth and the predetermined available bandwidth is the threshold If it is maintained for less than the set time for a se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event occurs that the release of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s required.

이에,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해제한다.Accordingly,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releases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에 발생되는 제2이벤트 감지에 따라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해제함으로써, 이후에 접속되는 모든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인증 처리를 수행하여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may set a connection selection policy se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second event generat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ecked actual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less than a threshold value. By releas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on all terminal devices 100 to be connected afterwards to allow connection.

한편, 본 발명에서는 현재와 같이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단말장치(100)의 2 이상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2 이상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several networks, such as WCDMA, CDMA, WiBro, WLAN (WiFi), and Long Term Evolution (LTE), are mix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terminals of the terminal device 100 are actively activ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network. A heterogeneous network based data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scheme is considered for selecting an ideal network and for efficient data transmission using the selected two or more networks.

이러한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7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600) 간에 하나의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WiFi 및 3G)를 사용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함으로써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는 동시 전송 서비스 이용을 위해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WiFi 및 3G)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할 것이다.The heterogeneous network-based data transmission service divides one piece of data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management device 600 and transmits the divided partial data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700.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is implemented by transmitting us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eg WiFi and 3G) and restoring original data by combining received partial data. 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100 will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be connected to two or more networks (for example, WiFi and 3G) to use the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여기서, 도 1에서 제1네트워크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고, 제2네트워크는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 즉 3G를 지칭하고 네트워크장치(500)는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장비를 지칭할 수 있다.Here, in FIG. 1, a first network refers to a local area wireless network (WiFi), a second network refers to a wireless packet service network (WCDMA), that is, 3G, and the network apparatus 500 uses a GGSN for operating a wireless packet service network. (Gateway GPRS Support Node) may refer to the equipment.

이러한 동시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 단말장치(100)가 전체 유효 대역폭이 매우 낮은 상태인 네트워크중계장치(200)를 통해 WiFi 네트워크에 접속한다면 하나의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간 지정된 데이터 전송률을 보장받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전술의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중계장치(200)에 접속된 단말장치(100)의 재인증을 통해 선별적 접속 제어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중계장치(200)의 가용성을 빠르게 회복시켜 네트워크 간 지정된 데이터 전송률을 유지시킴에 따라, 동시 전송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In this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environment, if the terminal device 100 accesses the WiFi network through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in which the total effective bandwidth is very low, the terminal device 100 is designated between networks for transmission of the partial data divided from one transmission target data. Data rates will be difficult to guarante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rough the selective access control through the re-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connected to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the availability of the corresponding network relay device 200 can be quickly restored to designate data between networks. By maintaining the transmission rate, simultaneous transmission service quality can be guaranteed.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중계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의 확인을 통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상태판단부(210);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 중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에 대응하는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는 정책설정부(220); 및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에 대한 접속 해제를 통해 재접속을 유도한 이후 재접속되는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고, 상기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기초로 상기 식별된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접속제어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e determination unit 210 for detecting an event occurrence by checking a real bandwidth according t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A policy setting unit 220 for checking a connection number of a predetermined specific terminal device among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and setting a connection selection policy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number of connec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identifying the terminal device 100 to be reconnected after inducing reconnection by disconnecting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and selectively accessing the identified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onnection control unit 230 to allow.

상태판단부(210)는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접속선택정책을 설정이 요구되는 제1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게 된다.The state determining unit 210 checks the real bandwidth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currently connected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ecked actual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s determined to be the occurrence of the first event requiring setting.

정책설정부(220)는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발생되는 제1이벤트 감지에 따라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 중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를 확인한다.The policy setting unit 220 may select a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among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s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first event generat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ecked actual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exceeds a threshold. Check the number of subscribers).

이때, 정책설정부(220)는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가입자관리장치(300)에 전송함으로써, 가입자관리장치(300)를 통해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 중 상기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를 확인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policy setting unit 22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to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300, whereby the device of the terminal device 100 currently connected throug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300. The number of connections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for example, premium subscriber) specified is checked.

이를 기반으로, 정책설정부(220)는 현재 접속중인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에 대응하여, 가입자관리장치(300)로부터 제공된 정책정보 기반으로 단말장치(100)의 선별적 접속 제어를 위한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게 된다.Based on this, the policy setting unit 220 selectively selects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policy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300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accesses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for example, premium subscriber) currently being accessed.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for access control.

이때, 정책설정부(220)는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만을 허용하기 위한 제1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한다.In this case, the policy setting unit 220 includes first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only acces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when the identified number of accesse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Set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to

반면, 정책설정부(220)는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설정 개수만큼 상기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예: 일반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2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거나, 설정시간 동안 상기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예: 일반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3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상술한 제2정책정보 및 제3정책정보가 병행 적용될 수 있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identified number of accesses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policy setting unit 220 allows other terminals after accessing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by the set number. After setting the access selection policy to include the secon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access of the device (e.g., general subscriber), or allowing the connec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e.g. premium subscriber) for the set time, the other terminal device ( For example, an access selection policy may be set to include thir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access of a general subscriber), or the access selection policy may be set such that the above-described second policy information and third policy information may be applied in parallel. have.

접속제어부(230)는 현재 접속중인 모든 단말장치(100)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여 재접속을 유도한 이후, 재접속되는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고, 상기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기초로 상기 식별된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게 된다.After the connection controller 230 releases the connection to all the terminal devices 100 currently connected to induce reconnection, the connection controller 230 identifies the terminal device 100 to be reconnected and identifies the terminal on the basis of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t will optionally allow access to the device.

이때, 접속제어부(230)는 재접속되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가입자관리장치(300)에 전송하여 가입자관리장치(300)를 통해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access controller 23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be reconnected to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300 to determine whether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throug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300. .

또한, 접속제어부(230)는 판별 결과를 기초로 해당 단말장치(100)가 접속 허용 대상임이 확인될 경우, 인증지원장치(400)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기반의 인증 처리를 수행하게 되고, 인증 처리가 완료될 경우에만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해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is a connection allowanc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access control unit 230 performs EAP (Extensible Authentication) for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authentication support device 400. Protocol-based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and access is per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only when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completed.

한편, 상태판단부(210)는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재접속된 단말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의 해제가 요구되는 제2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atus determination unit 210 checks the real-time bandwidth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reconnec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dentified available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If it is maintained in the state for a se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event is required to cancel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이에, 정책설정부(220)는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에 발생되는 제2이벤트 감지에 따라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해제함으로써, 접속제어부(230)로 하여금 이후에 접속되는 모든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인증 처리를 수행하여 접속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policy setting unit 220 releases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se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second event generat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ecked actual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maintained below a threshol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the connection control unit 230 may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ss for all terminal devices 100 to be subsequently connected to allow the conn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의 접속 과부하로 인해 네트워크중계장치의 전체 유효 대역폭이 매우 낮아진 상황이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중계장치에 접속된 사용자의 재인증을 통해 선별적 접속 제어를 수행하여 해당 네트워크중계장치의 가용성을 빠르게 회복함으로써, 네트워크중계장치의 동작 성능을 고려한 서비스 품질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중계장치의 가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상황에서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선택적 접속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지정된 사용자(예: 프리미엄 사용자) 우선으로 서비스 가용성을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ituation in which the total effective bandwidth of the network relay device becomes very low due to the user's connection overload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occurs, the user accesses the network relay device again. By performing selective access control through authentication to quickly recover the availability of the network relay device,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quality of service consider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network relay device. In addition, by performing selective access control for the connected user when the availability of the network relay is very low,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tore service availability to a designated user (eg, a premium user).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figurations shown in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네트워크중계장치(200)가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의 확인을 통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다(S110-S120).First,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detects an event occurrence by checking a real bandwidth according to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apparatus 100 (S110-S120).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접속선택정책을 설정이 요구되는 제1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게 된다.Preferably,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checks the actual bandwidth according to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currently connected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dentified actual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critical. If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s determined to be the occurrence of the first event requiring setting.

그리고 나서, 네트워크중계장치(200)가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 중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확인한다(S130-S140).Then,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checks the connection number of the predetermined terminal device among the terminal devices currently connected (S130-S140).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발생되는 제1이벤트 감지에 따라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 중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를 확인한다. 이때,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가입자관리장치(300)에 전송함으로써, 가입자관리장치(300)를 통해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 중 상기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를 확인하게 된다.Preferably,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may determine a specific terminal device among the terminal devices current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first event generated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determined available bandwidth and the determined actual bandwid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Check the number of connections (e.g., premium subscribers). At this time,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currently connected to th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300, whereby the device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currently connected through th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300. The number of connections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for example, premium subscriber) specified is checked.

그런 다음, 네트워크중계장치(200)가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에 대응하여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한다(S150).Then,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sets a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number of connections of the specific terminal apparatus (S150).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현재 접속중인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에 대응하여, 가입자관리장치(300)로부터 제공된 정책정보 기반으로 단말장치(100)의 선별적 접속 제어를 위한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만을 허용하기 위한 제1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한다. 반면,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설정 개수만큼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예: 일반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2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거나, 설정시간 동안 상기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예: 일반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3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상술한 제2정책정보 및 제3정책정보가 병행 적용될 수 있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selectively selects the terminal apparatus 100 based on the policy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300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connection of a specific terminal apparatus (for example, premium subscriber) that is currently connected.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for access control. In this case,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includes first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only the acces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when the identified number of connec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Set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to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confirmed connections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for example, premium subscriber)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allows another terminal device (for example, general subscriber) after allowing access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by the set number. Set the access selection policy to include the secon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access to the terminal) or allow the connec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for the set time and then the other terminal device (eg, general subscriber). The access selection policy may be set to include thir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access, or the access selection policy may be set such that the above-described second policy information and third policy information may be applied in parallel.

다음으로, 네트워크중계장치(200)가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에 대한 재접속을 유도하고, 재접속되는 단말장치(100)의 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S160-S210).Next,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induces reconnection to the terminal apparatus 100 currently connected, and selectively permits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to be reconnected (S160-S210).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현재 접속중인 모든 단말장치(100)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여 재접속을 유도한 이후, 재접속되는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고, 상기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기초로 상기 식별된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게 된다. 이때,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재접속되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가입자관리장치(300)에 전송하여 가입자관리장치(300)를 통해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판별 결과를 기초로 해당 단말장치(100)가 접속 허용 대상임이 확인될 경우, 인증지원장치(400)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기반의 인증 처리를 수행하게 되고, 인증 처리가 완료될 경우에만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해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Preferably,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releases the connection to all the terminal devices 100 currently connected to induce reconnection, and then identifies the terminal device 100 to be reconnected and based on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To selectively allow access to the identified terminal device. At this time,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to be reconnected to th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30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specific terminal apparatus (eg, premium subscriber) through th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300. do. In addition, when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apparatus 100 is allowed to acces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may extend the EAP (Extensible) to the terminal apparatus 100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authentication support apparatus 400. 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and access is per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only when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completed.

이후,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재접속된 단말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의 확인을 통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다(S220-S230).Thereafter,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detects the occurrence of an event by checking the actual bandwidth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reconnected terminal apparatus 100 (S220-S230).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재접속된 단말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의 해제가 요구되는 제2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게 된다.Preferably,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checks a real bandwidth according to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reconnec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dentified real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determined by the threshold. If it is maintained for less than the set time for a se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event occurs that the release of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s required.

이에, 네트워크중계장치(200)가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해제한다(S160).Accordingly, the network relay device 200 releases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S160).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중계장치(200)는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에 발생되는 제2이벤트 감지에 따라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해제함으로써, 이후에 접속되는 모든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인증 처리를 수행하여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Preferably,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sets a connection selection policy se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second event generat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ecked actual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under a threshold value. By releas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on all terminal devices 100 to be connected afterwards to allow connection.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중계장치(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re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상태판단부(210)가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접속선택정책을 설정이 요구되는 제1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게 된다(S310).First, the state determining unit 210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checks the actual bandwidth according t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dentified available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In this case, the access selection policy is determined to be the occurrence of the first event requiring setting (S310).

그리고 나서, 정책설정부(220)는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발생되는 제1이벤트 감지에 따라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 중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를 확인한다(S320).Then, the policy sett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first event generat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termined available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more than a threshold value,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designated among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s ( Example: check the number of access of the premium subscriber) (S320).

바람직하게는, 정책설정부(220)는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가입자관리장치(300)에 전송함으로써, 가입자관리장치(300)를 통해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100) 중 상기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를 확인하게 된다.Preferably, the policy setting unit 22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to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300, among the terminal devices 100 currently connected throug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300.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predetermined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is checked.

그런 다음, 정책설정부(220)가 현재 접속중인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에 대응하여, 가입자관리장치(300)로부터 제공된 정책정보 기반으로 단말장치(100)의 선별적 접속 제어를 위한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게 된다(S330-S360).Then, the policy setting unit 220 selectively connects the terminal apparatus 100 based on the policy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300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number of the specific terminal apparatus (for example, premium subscriber) currently being accessed. A connection selection policy for control is set (S330-S360).

바람직하게는, 정책설정부(220)는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만을 허용하기 위한 제1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한다. 반면, 정책설정부(220)는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 수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설정 개수만큼 상기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예: 일반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2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거나, 설정시간 동안 상기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예: 일반 가입자)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3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상술한 제2정책정보 및 제3정책정보가 병행 적용될 수 있도록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olicy setting unit 220, when the identified number of accesses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first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only acces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Set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to include On the other hand, if the identified number of accesses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policy setting unit 220 allows other terminals after accessing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by the set number. After setting the access selection policy to include the secon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access of the device (e.g., general subscriber), or allowing the connec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e.g. premium subscriber) for the set time, the other terminal device ( For example, an access selection policy may be set to include thir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access of a general subscriber), or the access selection policy may be set such that the above-described second policy information and third policy information may be applied in parallel. have.

다음으로, 접속제어부(230)가 현재 접속중인 모든 단말장치(100)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여 재접속을 유도한 이후, 재접속되는 단말장치(100)를 식별하고, 상기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기초로 상기 식별된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게 된다(S370-S410).Next, after the connection control unit 230 releases the connection to all the terminal device 100 currently connected to induce reconnection, the terminal device 100 to be reconnected is identified and based on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The connection to the identified terminal device is selectively allowed (S370-S410).

바람직하게는, 접속제어부(230)는 재접속되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가입자관리장치(300)에 전송하여 가입자관리장치(300)를 통해 특정 단말장치(예: 프리미엄 가입자)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또한, 접속제어부(230)는 판별 결과를 기초로 해당 단말장치(100)가 접속 허용 대상임이 확인될 경우, 인증지원장치(400)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기반의 인증 처리를 수행하게 되고, 인증 처리가 완료될 경우에만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해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 Preferably, the connection controller 23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be reconnected to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300 to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terminal device (eg, premium subscriber) through the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300. Done.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is a connection allowanc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access control unit 230 performs EAP (Extensible Authentication) for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authentication support device 400. Protocol-based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and access is per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only when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completed.

이후, 상태판단부(210)는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재접속된 단말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의 해제가 요구되는 제2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게 된다(S420-S430).Thereafter, the status determination unit 210 checks the real-time bandwidth according to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reconnec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ecked real-time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If it is maintained in the state for a se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event is required to cancel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S420-S430).

이에 따라, 정책설정부(220)는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에 발생되는 제2이벤트 감지에 따라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해제함으로써, 접속제어부(230)로 하여금 이후에 접속되는 모든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인증 처리를 수행하여 접속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policy setting unit 220 releases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se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second event generat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ecked actual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maintained for less than a threshold for a predetermined time. As a result, the connection control unit 230 may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ss for all terminal devices 100 to be subsequently connected to allow the conn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의 접속 과부하로 인해 네트워크중계장치의 전체 유효 대역폭이 매우 낮아진 상황이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중계장치에 접속된 사용자의 재인증을 통해 선별적 접속 제어를 수행하여 해당 네트워크중계장치의 가용성을 빠르게 회복함으로써, 네트워크중계장치의 동작 성능을 고려한 서비스 품질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중계장치의 가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상황에서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선택적 접속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지정된 사용자(예: 프리미엄 사용자) 우선으로 서비스 가용성을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tal effective bandwidth of the network relay device becomes very low due to the user's connection overload in th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the user accesses the network relay device again. By performing selective access control through authentication to quickly recover the availability of the network relay device,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quality of service consider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network relay device. In addition, by performing selective access control for the connected user when the availability of the network relay is very low,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tore service availability to a designated user (eg, a premium user).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a processor, or in a combination of both. A software module may reside in a RAM memory, a flash memory, a ROM memory, an EPROM memory, an EEPROM memory, registers,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a CD-ROM, or any other form of storage medium known in the art.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such that the processor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ted into the processor.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be included within an ASIC. The ASIC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In the alternative,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be included as separate components within the user terminal device.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의 접속 과부하로 인해 네트워크중계장치의 전체 유효 대역폭이 매우 낮아진 상황에서, 네트워크중계장치에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재인증을 통해 선별적 접속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중계장치의 가용성을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and the apparatus applied thereto, in the situation that the total effective bandwidth of the network relay device is very low due to the user's connection overload in th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the user access to the network relay device By performing selective access control through authentica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tore the availability of the network relay devic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echnology. It is an invention with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it is not only sufficient but also practically evident.

100: 단말장치
200: 네트워크중계장치
210: 상태판단부 220: 정책설정부
230: 접속제어부
300: 가입자관리장치
400: 인증지원장치
100: terminal device
200: network relay device
210: status determination unit 220: policy setting unit
230: connection control section
300: subscriber management device
400: authentication support device

Claims (8)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는 상태판단부;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 중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기초로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는 정책설정부; 및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고, 재접속 요청되는 단말장치가 상기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 결과를 토대로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식별된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중계장치.
Status determination unit for checking the actual bandwidth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A policy setting unit for checking a connection number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which is currently designated among the terminal devices current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checking result, and setting an access selection policy based on the identified number of connec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Releases the connection to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identifies whether the terminal device requested to be reconnected is the predetermined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accesses to the identifi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connection selection policy se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result. Network relay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control unit for allow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단부는,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중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confirming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determined available bandwidth and a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설정부는,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만을 허용하기 위한 제1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며,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설정 개수만큼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2정책정보, 및 설정시간 동안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상기 타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3정책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중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licy setting unit,
When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the access selection policy is set to include first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only acces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If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secon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access to the other terminal device after allowing access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s much as a set number, and acces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for a set time; And setting the access selection policy to include at least one policy information of thir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access of the other terminal device after allowing the acc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접속선택정책이 설정된 이후, 상기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정책설정부는,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이 확인될 경우, 상기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중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After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s se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termined available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under a threshold value.
The policy setting unit,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identified difference in the actual use bandwidth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that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canceling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실사용 대역폭을 확인하는 상태판단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 중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확인하는 접속수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를 기초로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는 정책결정단계;
상기 현재 접속중인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해제하고, 재접속 요청되는 단말장치가 상기 기 지정된 특정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말장치식별단계; 및
상기 식별 결과를 토대로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에 따라 상기 식별된 단말장치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A state determination step of confirming a real bandwidth according to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A connection number checking step of confirming a connection number of a predetermined specific terminal device among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s according to the checking result;
A policy determination step of setting an access selection policy based on the identified number of accesse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 terminal device identification step of releasing a connection to the currently connected terminal device and identify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requested to be reconnected is the predetermined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And a connection control step of allowing access to the identifi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se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resul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단단계는,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ate determination step,
And determining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determined available bandwidth and a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결정단계는,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만을 허용하기 위한 제1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며,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 수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설정 개수만큼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타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2정책정보, 및 설정시간 동안 상기 특정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한 이후 상기 타 단말장치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제3정책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책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접속선택정책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olicy decision step,
When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the access selection policy is set to include first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only acces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If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secon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access to the other terminal device after allowing access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s much as a set number, and access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for a set time; And setting the access selection policy to include at least one policy information of third policy information for allowing access of the other terminal device after allowing the acces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선택정책이 설정된 이후, 상기 기 설정된 가용 대역폭 대비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상태유지판단단계; 및
상기 확인된 실사용 대역폭의 차이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상태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이 확인될 경우, 상기 설정된 접속선택정책을 해제하는 정책해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A state maintenance judging step of checking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determined available bandwidth and the preset available bandwidth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onnection selection policy is set below a threshold value;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identified difference in the actual bandwidth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tate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further comprising a policy release step of canceling the set connection selection policy. .
KR1020110123101A 2011-11-23 2011-11-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on cotrol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KR1013287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01A KR101328735B1 (en) 2011-11-23 2011-11-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on cotrol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01A KR101328735B1 (en) 2011-11-23 2011-11-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on cotrol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271A KR20130057271A (en) 2013-05-31
KR101328735B1 true KR101328735B1 (en) 2013-11-11

Family

ID=4866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101A KR101328735B1 (en) 2011-11-23 2011-11-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on cotrol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73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541A (en) * 2004-11-04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transmitting a short data burst for mobile station in idle mode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65510A (en) * 2005-12-20 2007-06-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Wireless modem and mobile terminal having a modem
KR20100067793A (en) * 2008-12-12 2010-06-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ast handover method in the wireless lan and mobile device using the fast handover method
KR101026064B1 (en) 2008-10-06 2011-04-0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femto cell service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541A (en) * 2004-11-04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transmitting a short data burst for mobile station in idle mode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65510A (en) * 2005-12-20 2007-06-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Wireless modem and mobile terminal having a modem
KR101026064B1 (en) 2008-10-06 2011-04-0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femto cell service environment
KR20100067793A (en) * 2008-12-12 2010-06-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ast handover method in the wireless lan and mobile device using the fast handover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271A (en)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8429B2 (en) Multi-network based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es applied to the same
JP5977882B2 (en) Network-controlled adaptive terminal behavior managing high network load scenarios
US200502152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ad balanc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921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ata transmission service over multiple networks
US20150341946A1 (en) Selecting base station at a mutli-sim communication device
US789436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communication rate based on radio signal propagation condition
EP3294037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mproving concurrent processing ability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6213882B2 (en) Wireless terminal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connec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nection control method
US2014009289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service over heterogeneous networks
US20220159503A1 (en) Controlling performance of a wireless device in a heterogeneous network
US92043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service over two or more networks
KR101426578B1 (en) Dual mode terminal for supporting access in different network,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WO2019097599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10575239B2 (en) Data network management
KR1020031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KR1013287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on cotrol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EP2632192B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accessing multi-operator core network
US8495216B2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3923724A (en) Flow control method and device
Enghardt et al. Metrics for access network selection
EP42400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a network
KR1015742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US119975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a network
KR1013063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KR101207034B1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