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793B1 -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793B1
KR101326793B1 KR1020110092096A KR20110092096A KR101326793B1 KR 101326793 B1 KR101326793 B1 KR 101326793B1 KR 1020110092096 A KR1020110092096 A KR 1020110092096A KR 20110092096 A KR20110092096 A KR 20110092096A KR 101326793 B1 KR101326793 B1 KR 101326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horizontal
wheel
vertical guid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494A (ko
Inventor
이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즈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즈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즈글로벌
Priority to KR102011009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7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8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는, 다수 개의 리프트암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승강실린더가 연결되어 구성된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대와,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대차로 구성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암에는 아래쪽을 향해 로드가 구비된 보조실린더가 설치되어 있으며, 로드의 선단에는 보조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리프트가 작업대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보조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보조지지부재가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리프트를 구성하는 리프트암 중 하부에 설치된 리프트암에 로드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보조실린더를 설치하여 리프트가 작업대를 상승시킨 후에 보조실린더의 로드가 보조실린더 본체로부터 밖으로 이동하여 로드 끝에 설치된 보조지지부재가 지면에 닿아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대 및 리프트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게 된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ELEVATING WORK PLATFORM}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지지부재가 베이스프레임으로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하부 지지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리프트가 작업대를 승강시키게 되면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된 지지부재가 지면과 밀착하게 되고, 리프트가 작업대를 하강시키게 되면 지지부재가 지면과 떨어지게 되어 바퀴가 구동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복잡한 구성 없이 리프트의 승하강만으로 대차가 지면에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대는 높은 천장의 배관, 덕트, 조명 등의 공사나 높은 건물의 도장, 미장, 설비 등의 공사에 사용되는 장비로써, 작동에 따라 슬라이드형, 접철형 또는 굴절형 등 여러 형태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고소작업대를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게 이동 및 지지가 이루어지는 대차(1)와, 대차부 상단에 설치된 상태로 유압에 따라 작동하는 리프트(2) 및 리프트의 상단에 설치된 작업대(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대차는 목적 장소로 작업대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바퀴에 의해 대차가 이동하는 상태가 되고, 리프트가 작업대를 상부로 이동시켜 작업자가 작업하는 동안에는 대차가 지면에 고정된다.
이처럼 대차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술을 살펴보면, "고소작업대"(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3361호, 특허문헌 1) 6페이지 도면 1에 대차의 외곽으로 뻗어나오는 부재와, 이 부재의 끝단에 나사식으로 돌려 지면에 고정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 "고소작업대"(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6659호, 특허문헌 2) 16페이지 도 7에도 바퀴와 연결된 부재에 핸들을 돌려 지면에 고정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들은 통상적으로 대차에 4 개소에 설치되는 각각의 바퀴에 핸들식 고정장치를 모두 설치되므로 지면에 대차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4군데의 핸들을 모두 회전시키면서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고정 작업은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핸들을 돌려야 하므로 자칫 핸들을 느슨하게 돌릴 경우 고정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못해 작업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작업대의 공간을 이동식으로 넓히도록 되어 있거나, 리프트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대차가 리프트 및 작업대 하중을 지지하는 면적이 적어지게 되므로 리프트가 기울어져 붕괴하는 등 각종 사고의 위험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933361 (2009.12.14) KR 10-1036659 (2011.05.17)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리프트를 구성하는 리프트암 중 하부에 설치된 리프트암에 로드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보조실린더를 설치하여 리프트가 작업대를 상승시킨 후에 보조실린더의 로드가 보조실린더 본체로부터 밖으로 이동하여 로드 끝에 설치된 보조지지부재가 지면에 닿아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대 및 리프트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또한, 리프트에 설치된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리프트가 작업대를 밀어올릴 때 베이스프레임에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이용하여 대차를 지면에 고정하고, 반대로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리프트가 작업대를 아래로 끌어당길 때 대차를 위로 상승시켜 바퀴에 의해 구동이 가능하게 하려는 것이다.
즉, 별도의 복잡한 대차 고정 작업 없이 리프트의 승하강 작업으로 대차를 지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속도를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리프트암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승강실린더가 연결되어 구성된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대와,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대차로 구성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암에는 아래쪽을 향해 로드가 구비된 보조실린더가 설치되어 있으며, 로드의 선단에는 보조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리프트가 작업대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보조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보조지지부재가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업대는 리프트와 연결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수평 이동하여 작업 공간을 넓히도록 구성된 이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대차는, 다수의 리프트암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있고, 승강실린더가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의 하부가 상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수평부재가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수평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수직한 방향의 수직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가이드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수평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수평한 방향의 수평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가이드부재와;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수직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되, 상단은 수직가이드부재 상부로 돌출되어 수직가이드부재 상단에 걸리도록 걸림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은 수직가이드부재 하부로 돌출되어 수직가이드부재 하단에 걸리도록 되어 있으면서 상기 바퀴와 연결되는 바퀴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바퀴지지부재와; 상기 수평가이드부재의 수평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수평삽입부와, 상기 수평삽입부와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지지부로 구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수평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과, 일측이 상기 브라켓과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바퀴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회동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연결장치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 하단과 바퀴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리프트를 구성하는 리프트암 중 하부에 설치된 리프트암에 로드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보조실린더를 설치하여 리프트가 작업대를 상승시킨 후에 보조실린더의 로드가 보조실린더 본체로부터 밖으로 이동하여 로드 끝에 설치된 보조지지부재가 지면에 닿아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대 및 리프트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리프트에 설치된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리프트가 작업대를 밀어올릴 때 베이스프레임에 하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이용하여 대차를 지면에 고정하고, 반대로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리프트가 작업대를 아래로 끌어당길 때 대차를 위로 상승시켜 바퀴에 의해 구동이 가능해진다.
즉, 별도의 복잡한 대차 고정 작업 없이 리프트의 승하강 작업으로 대차를 지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보조실린더 및 보조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대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퀴지지부재와 연결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대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일반적인 고소작업대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본 발명의 고소작업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프트(10), 작업대(100) 및 대차(20)로 구성되어 있다.
리프트(10)는 다수 개의 리프트암(11)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과 타측이 각각 서로 다른 리프트암(11)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실린더(12)로 구성되어 있어 승강실린더(12)의 작동에 따라 리프트암(11)이 서로 당기거나 밀어 작업대(100)를 상,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대(100)는 상기 리프트(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작업자가 탑승하여 각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이러한 작업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0)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로부터 수평 이동하여 작업 공간을 넓히도록 구성된 이동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도시된 레일홈이 고정부(110)에 형성되어 있고, 이동부(120)에는 이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부(120)의 이동 방식은 수작업으로 이동시키거나 각종 실린더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
대차(20)는 상기 리프트(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있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하지 않고 고정할 때는 후술하는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프트암(11)에 보조실린더(14)가 설치되어 있고, 보조실린더(14)의 로드(14b) 선단에는 보조지지부재(1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리프트암(11) 중 최하단 또는 최하단에 인접한 하부에 설치된 리프트암(11)에 플레이트(13)를 설치하고, 이 플레이트(13)에 로드(14b)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보조실린더(14)의 본체(14a)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이러한 보조실린더(14)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양측으로 설치되어 있어 삼각형 형상의 다리를 형성하여 리프트(10)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면에도 역시 양측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교차하는 리프트암(11)에 각각 보조실린더(14)가 설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암(11)이 2열로 형성될 경우 각 열마다 보조실린더(1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승강실린더(12)의 작동에 따라 리프트(10)가 작업대(10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보조실린더(14)의 작동에 따라 보조지지부재(15)가 지면과 접촉하여 리프트(10)를 지지하게 된다.
또는 승강실린더(12)가 작동하면서 보조실린더(14)가 함께 작동하도록 하여 작업대(100)의 상승 중에도 안정적으로 리프트(10) 및 작업대(100)를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이러한 보조실린더(14) 및 보조지지부재(15)의 설치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플레이트(13)가 리프트암(1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보조실린더(14)가 리프트암(11)의 절첩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작동이 될 수 있도록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이 보조실린더(14) 및 보조지지부재(15)를 설치함으로 인해 지지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대차(20)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여러 개의 핸들을 돌려 다리를 고정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대차(20)에 설치된 고정 수단의 고정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이를 위한 대차(20)의 구성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본 발명에서 대차(20)는 크게 베이스프레임(20a), 수직가이드부재(30), 수평가이드부재(40), 바퀴지지부재(50), 지지부재(60) 및 연결장치(70)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2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리프트(10)의 하부가 연결되어 있다.
리프트(10)는 공지된 고소작업대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리프트암(11)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있고, 일측에 승강실린더(12)가 연결되어 있어 승강실린더(12)의 작동에 따라 서로 연결된 리프트암(11)이 펼쳐졌다가 오므라졌다 하는 방식으로 상부의 작업대(10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베이스프레임(2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수평부재(21)가 상호 연결되어 사각형의 형상을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직가이드부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0a)을 구성하는 수평부재(21)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수직한 방향으로 수직가이드홈(31)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수직가이드부재(30)는 잔넬 형상을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관이나 원통형 강관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수평가이드부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0a)을 구성하는 수평부재(21)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의 수평가이드홈(41)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수평가이드부재(40)는 각관 형태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바퀴지지부재(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바퀴(51)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바퀴지지부재(50)의 중간 부분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30)의 수직가이드홈(31)에 삽입되어 있어 바퀴지지부재(50)가 수직가이드홈(31)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바퀴지지부재(50)의 상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가이드부재(30) 상부로 돌출되어 수직가이드부재(30) 상단에 걸리도록 걸림부재(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퀴지지부재(50)의 하단은 수직가이드부재(30) 하부로 돌출되어 수직가이드부재(30) 하단에 걸리도록 되어 있으면서 상기 바퀴(51)와 연결되는 바퀴연결부재(53)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서로 마주보는 바퀴연결부재(53)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54)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하부연결부재(54)는 베이스프레임(20a)의 저부에 위치하게 되어 베이스프레임(20a)이 하부로 이동하려 할 때 수평부재(21)의 저부가 하부연결부재(54)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가이드부재(40)의 수평가이드홈(41)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수평삽입부(61)와, 상기 수평삽입부(61)와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지지부(6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60)는 바퀴(51)가 지면과 닿아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수평삽입부(61)가 수평가이드홈(41)에 삽입되어 있으며, 일정 위치에 도달하여 작업대(100)를 상부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수평가이드홈(41)에 삽입되어 있는 수평삽입부(61)를 외측으로 일부 빼내어 전체적인 지지 면적을 넓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60)의 수평삽입부(61)는 수평가이드홈(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완전히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보는 수평삽입부(61)를 체인 등의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거나, 걸림수단 등을 설치하여 수평삽입부(61)가 밖으로 이동할 때 걸림수단에 걸려 더 이상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연결장치(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0a)의 수평부재(21)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71)과, 일측이 상기 브라켓(71)과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바퀴지지부재(50)와 연결되어 있는 회동연결부재(7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장치(70)는 수직가이드부재(30)의 수직가이드홈(31)에 삽입된 채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바퀴지지부재(50)와 베이스프레임(20a)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은 승강실린더(12)가 리프트암(11)을 밀어내게 되면 서로 회전 결합된 리프트암(11)이 서로를 밀어 작업대(1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승강실린더(12)는 상,하부의 리프트암(11)을 밀어내게 되는데 이때 밀어내는 힘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0a)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지지부재(60)의 수직지지부(62) 하단은 지면과 맞닿은 상태가 된다.
즉, 지지부재(60)와 바퀴(51)가 모두 땅에 맞닿아 있는 상태가 되거나, 바퀴(51)는 공중에 떠 있고 지지부재(60)가 지면과 맞닿은 상태가 된다.
아울러, 승강실린더(12)가 리프트암(11)을 끌어당기게 되면 작업대(10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승강실린더(12)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베이스프레임(20a)은 상부를 향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지지부재(60)는 지면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가 되고, 바퀴(51)는 지면과 닿아 있는 상태가 되어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작용은 바퀴(51)와 연결된 바퀴지지부재(50)가 수직가이드부재(30)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작업대(100)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전에는 수평가이드홈(41)에 삽입되어 있는 지지부재(60)의 수평삽입부(61)를 수평가이드홈(41) 바깥쪽으로 꺼내 수직지지부(62)에 의한 지지 간격을 넓혀 작업대(100) 및 리프트(10)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승강실린더(12)가 리프트암(11)을 끌어당겨 작업대(100)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승강실린더(12)에 의해 상부로 이동한 베이스프레임(20a)이 다시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브라켓(71)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바퀴연결부재(53)와 연결된 회동연결부재(72)를 바퀴측으로 더 연장하거나,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가이드부재(30) 하단과 바퀴연결부재(53) 사이에 스프링(8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80)은 베이스프레임(20a)에 가해지는 작업대(100) 및 리프트(10)의 하중으로 인해 상승했던 베이스프레임(20a)이 다시 내려오려 할 때 스프링(80)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이를 저항하도록 하여 지지부재(60) 하단이 지면으로부터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서로 마주보는 두 바퀴지지부재(50) 상단의 걸림부재(52)를 연결하는 상부수평연결부재(90)를 설치하여 리프트암(11)이 상부수평연결부재(90) 상부를 하향 가압할 경우 상부수평연결부재(90)가 하향 이동하면서 이와 연결된 바퀴지지부재(50)를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해 바퀴(51)는 지면과 맞닿는 압력을 받게 되고 반대로 베이스프레임(20a)은 상부로 떠 있게 되어 바퀴(51)를 통한 이동이 원할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는 높은 천장의 배관, 덕트, 조명 등의 공사나 높은 건물의 도장, 미장, 설비 등의 공사 등 다양한 현장에 사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 리프트 11 : 리프트암
12 : 승강실린더 13 : 플레이트
14 : 보조실린더 14a : 본체
14b : 로드 15 : 보조지지부재
20 : 베이스프레임
21 : 수평부재 30 : 수직가이드부재
31 : 수직가이드홈 40 : 수평가이드부재
41 : 수평가이드홈 50 : 바퀴지지부재
51 : 바퀴 52 : 걸림부재
53 : 바퀴연결부재 54 : 하부연결부재
60 : 지지부재 61 : 수평삽입부
62 : 수직지지부 70 : 연결장치
71 : 브라켓 72 : 회동연결부재
80 : 스프링 90 : 상부수평연결부재
100 : 작업대 110 : 고정부
120 : 이동부

Claims (3)

  1. 다수 개의 리프트암(11)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승강실린더(12)가 연결되어 구성된 리프트(10)와, 상기 리프트(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대(100)와, 상기 리프트(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대차(20)로 구성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암(11)에는 아래쪽을 향해 로드(14b)가 구비된 보조실린더(14)가 설치되어 있으며, 로드(14b)의 선단에는 보조지지부재(15)가 설치되어 있어,
    리프트(10)가 작업대(10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보조실린더(14)의 작동에 따라 보조지지부재(15)가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프트암(11) 중 최하단에 설치된 리프트암(11)에 측면으로 플레이트(13)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13)에 로드(14b)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보조실린더(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실린더(14)는 측면에서 양측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조지지부재(15)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보조지지부재(15)는 정면에서 양측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업대(100)는 리프트(10)와 연결되어 있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수평 이동하여 작업 공간을 넓히도록 구성된 이동부(12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대차(20)는,
    다수의 리프트암(11)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있고, 승강실린더(12)가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10)의 하부가 상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수평부재(21)가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20a)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0a)의 수평부재(21)에 연결되어 있고, 수직한 방향의 수직가이드홈(31)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가이드부재(3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0a)의 수평부재(21)에 연결되어 있고, 수평한 방향의 수평가이드홈(41)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가이드부재(40)와;
    하부에 바퀴(51)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30)의 수직가이드홈(3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되, 상단은 수직가이드부재(30) 상부로 돌출되어 수직가이드부재(30) 상단에 걸리도록 걸림부재(5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은 수직가이드부재(30) 하부로 돌출되어 수직가이드부재(30) 하단에 걸리도록 되어 있으면서 상기 바퀴(51)와 연결되는 바퀴연결부재(53)가 설치되어 있는 바퀴지지부재(50)와;
    상기 수평가이드부재(40)의 수평가이드홈(41)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수평삽입부(61)와, 상기 수평삽입부(61)와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지지부(62)로 구성된 지지부재(6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0a)의 수평부재(21)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71)과, 일측이 상기 브라켓(71)과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바퀴지지부재(50)와 연결되어 있는 회동연결부재(72)로 구성되어 있는 연결장치(70)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30) 하단과 바퀴연결부재(53)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80)과;
    서로 마주보는 두 바퀴지지부재(50) 상단의 걸림부재(52)를 연결하여 리프트암(11)이 상부수평연결부재(90) 상부를 하향 가압할 경우 상부수평연결부재(90)와 연결된 바퀴지지부재(50)가 하향 이동하도록 하는 상부수평연결부재(9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2. 삭제
  3. 삭제
KR1020110092096A 2011-09-09 2011-09-09 고소작업대 KR101326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096A KR101326793B1 (ko) 2011-09-09 2011-09-09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096A KR101326793B1 (ko) 2011-09-09 2011-09-09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494A KR20130028494A (ko) 2013-03-19
KR101326793B1 true KR101326793B1 (ko) 2013-11-11

Family

ID=4817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096A KR101326793B1 (ko) 2011-09-09 2011-09-09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7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1075A (zh) * 2019-03-25 2019-05-31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震动电机更换用工具小车
KR20220009175A (ko) 2020-07-15 2022-01-24 이고운 초소형 고소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773B1 (ko) * 2019-12-20 2021-07-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열진공챔버 위성체 반입 중 처짐 방지를 위한 리프팅 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102158449B1 (ko) * 2020-06-08 2020-09-21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차의 조향장치
KR102225346B1 (ko) * 2020-11-03 2021-03-09 (주) 삼건안전 리프트카의 안전 고임목 장치
KR102268727B1 (ko) * 2020-12-02 2021-06-24 반세호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
KR102512035B1 (ko) * 2021-05-12 2023-03-2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화물 운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60A (ja) * 1993-06-14 1995-01-10 Toyo Eng Corp 多層建築物のリフトアップ施工装置
JPH10277967A (ja) * 1997-04-08 1998-10-20 Shiitsupu:Kk 昇降台装置
KR200418543Y1 (ko) * 2006-03-27 2006-06-12 김선환 고소작업 리프트
JP2009299371A (ja) * 2008-06-13 2009-12-24 Yoshinobu Sato 昇降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60A (ja) * 1993-06-14 1995-01-10 Toyo Eng Corp 多層建築物のリフトアップ施工装置
JPH10277967A (ja) * 1997-04-08 1998-10-20 Shiitsupu:Kk 昇降台装置
KR200418543Y1 (ko) * 2006-03-27 2006-06-12 김선환 고소작업 리프트
JP2009299371A (ja) * 2008-06-13 2009-12-24 Yoshinobu Sato 昇降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1075A (zh) * 2019-03-25 2019-05-31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震动电机更换用工具小车
KR20220009175A (ko) 2020-07-15 2022-01-24 이고운 초소형 고소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494A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793B1 (ko) 고소작업대
KR101326794B1 (ko) 고소작업대용 대차
CN106892375B (zh) 带有拉式液压缸的剪式提升机
CN205603141U (zh) 升降台
KR20120101963A (ko) 안전 작업대를 구성한 리프트장치
RU2010109025A (ru) Средство отдирания опалубки для бетона от бетон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KR20140003277U (ko) 고소작업용 리프트
FI127507B (en) HENKILÖNOSTIN
CN101302888B (zh) 两用轮式附框组合剪叉升降脚手架
KR101629707B1 (ko)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US3048237A (en) Motor vehicle support
EP1677001A2 (en) System for removing the cover roof from a wind turbine
CN204938875U (zh) 城市综合管廊预制件起升及安装设备
JP2015214423A (ja) 昇降台装置
KR102340469B1 (ko) 무동력 리프트 장치
CN205848529U (zh) 一种结构紧凑的可移动升降屠宰作业台
KR102017503B1 (ko) 보일러용 이동식 비계장치
JP5419003B2 (ja) 貯槽用ジャッキ装置と浮屋根式貯槽の工事施工法
KR102268727B1 (ko)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
CN204299129U (zh) 简易托升架
KR200469892Y1 (ko) 고소 작업대
CN201212249Y (zh) 两用轮式附框组合剪叉升降脚手架
SE521168C2 (sv) Hissanordning
CN218950927U (zh) 一种机电工程装配式安装装置
CN213895053U (zh) 一种工具箱转运小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