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883B1 - 거름컵 - Google Patents

거름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883B1
KR101324883B1 KR1020120000929A KR20120000929A KR101324883B1 KR 101324883 B1 KR101324883 B1 KR 101324883B1 KR 1020120000929 A KR1020120000929 A KR 1020120000929A KR 20120000929 A KR20120000929 A KR 20120000929A KR 101324883 B1 KR101324883 B1 KR 101324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anure
disposable cup
disposab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157A (ko
Inventor
변종대
Original Assignee
변종대
주식회사 엠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종대, 주식회사 엠텍스 filed Critical 변종대
Priority to KR1020120000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88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60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 일회용 컵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찻잎 등의 거름대상 물질과 음용액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회용 컵에서 간편하게 탈착될 수 있는 거름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름컵{FILTER CUP}
본 발명은 일회용 컵에 장착되는 거름컵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상용 일회용 컵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찻잎 등의 거름대상 물질과 음용액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회용 컵에서 간편하게 탈착될 수 있는 거름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용 일회용 컵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찻잎 등의 거름대상 물질과 음용액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회용 컵에서 간편하게 탈착될 수 있는 거름컵에 관한 것이다.
녹차 또는 원두 커피 등을 별도의 추출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상용 일회용 컵을 사용하여 음용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티백 형태로 판매되는 제품을 음용액체가 수용된 컵에 담구어 찻잎 엑기스를 음용액체로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티백 형태로 판매되는 녹차 또는 원두 커피 등은 녹차 또는 커피의 품질이 일률적이고 저가격 대량소비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티백의 백(bag)의 재질에서 떨어져 나오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유하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용 일회용 컵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찻잎 등의 거름대상 물질과 음용액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회용 컵에서 간편하게 탈착될 수 있는 거름컵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면을 형성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유동홀이 형성된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측 단부에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며, 일회용 컵의 투입구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일회용 컵의 개구부를 통해 일회용 컵의 내측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거름컵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측면부의 상측 테두리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 간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의 간격은 다른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의 폭은 다른 고정부의 폭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연속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는 각각의 고정부 사이가 절개되는 방식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외측단은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와 일회용 컵의 측면부의 경계영역의 홈부에 안착되도록 컬링 또는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곡률반경이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의 외측단은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를 감싼 후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의 외측단은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를 내부에 끼움 결함하기 위하여 'ㄷ'자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회용 컵의 측면부와 상기 거름컵의 측면부는 수직축에 대한 경사 각도는 거름컵이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컵은 종이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름컵의 높이는 상기 일회용 컵의 높이의 0.2배 내지 0.8배의 크기를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에도 거름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에 의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용 일회용 컵에 거름컵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차 또는 커피 등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은 필요에 따라 일회용 컵 등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은 일회용 컵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물에 의한 부력 등이 인가되어도 고정부의 고정방식에 의하여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은 많이 사용되는 일회용 컵 등에 직접 장착될 수 있으므로, 거름컵의 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이 장착되는 상용 일회용 컵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과 상용 일회용 컵의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이 상용 일회용 컵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이 상용 일회용 컵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의 몇가지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상용 일회용 컵에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이 장착되는 상용 일회용 컵(100)의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상용 일회용 컵(100a)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상용 일회용 컵(100a)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c)는 타종류의 상용 일회용 컵(100b)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d)는 도 1(c)에 도시된 상용 일회용 컵(100b)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상용 일회용 컵은 종이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상용 일회용 컵(100a)은 종이 재질 컵의 일반적인 모습을 도시하며,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상용 일회용 컵(100b)은 플라스틱 재질 컵의 일반적인 모습을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일반적인 상용 일회용 컵(100)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부(130a, 130b)와 상기 저면부(130a, 130b)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측면부(120a, 120b)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부(120a, 120b)의 단부에는 일회용 컵(100)의 적층상태의 삽입깊이를 제한하여 적층된 일회용 컵(100)을 분리하는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하거나, 사용자의 액체 음용시 입술 등에 가해지는 자극 등을 완화하기 위하여 그 단면폭이 확대된 테두리부(110a, 110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110a, 110b)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일회용 컵(100)의 상단을 라운드 형태로 절곡시키거나, 단부의 두께를 두껍게 성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은 이와 같은 상용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부(110a, 110b)를 사용하여 일회용 컵(1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은 저면을 형성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거름홀(232)이 형성된 저면부(230), 상기 저면부(230)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220) 및, 상기 측면부(220)의 상측 단부에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며, 일회용 컵(100)의 투입구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고정부(210)를 포함하며, 일회용 컵(100)의 투입구를 통해 일회용 컵(100)의 내측 수용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230)에는 평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면부(230)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액체가 유동할 수 있는 거름홀(2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름홀(232)은 찻잎 또는 분쇄된 커피 입자 등은 거르고, 물과 같은 음용액체는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 또는 폭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름홀(232)의 직경 또는 폭은 수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상기 거름홀(232)은 상기 저면부에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전 영역에 골고루 분포될 수도 있다.
상기 거름홀(232)을 상기 저면부(230)에 방사형으로 배치하거나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여, 음용액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증가시켜, 찻잎 또는 분쇄된 커피에서 액기스가 쉽게 우러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상기 저면부(230)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는 일정한 경사를 갖으며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부(220)의 단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정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210)는 거름컵(200)을 상용 일회용 컵(100) 등에 장착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210)는 거름컵(200)의 측면부(220)의 일부가 연장되어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고정부(210)는 거름컵(200)의 측면부(220)의 일부를 절개하는 방법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거름컵(200)의 측면부의 상단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복수 개가 간격없이 구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각각의 고정부(210)의 경계는 각각 절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는 연속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는 각각의 고정부 사이가 절개되는 방식으로 서로 구획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고정부(210)는 거름컵(200)을 장착한 상태에서 음용액체를 일회용 컵(100)의 수용공간으로 투입하는 경우, 거름컵(200)에 작용되는 부력에 의하여 거름컵(200)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므로, 필요 이상 고정부(210)의 개수가 많을 필요는 없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부력에 의한 거름컵(200)의 부양을 방지하고, 거름컵(200)을 장착하는 과정의 장착 편의성 또는 탈착 편의성을 위하여 측면부의 테두리에 복수 개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거름컵(200)의 고정부(210)는 등간격으로 총 3개가 구비되어 부력에 의한 거컵(200)의 부양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10)는 곡면으로 구성된 고리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방법으로 거름컵(200)이 일회용 컵(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과 상용 일회용 컵(100)의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름컵(200)은 상용 일회용 컵(100)의 상부 투입구로 삽입되는 방법으로 장착된다.
상기 거름컵(200)의 상부 직경(d, 외측직경)과 상기 일회용 컵(100)의 상부 직경(D, 투입구의 내측직경)은 각각 대응되는 크기(d≤D)를 갖을 수 있다.
상용 일회용 컵(100)은 다양한 온스 단위의 용량을 갖는 제품들이 사용되지만 형상, 크기 등이 자동 판매기 등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정형화된 경우가 많다.
상기 거름컵(200)의 상부 직경과 상기 일회용 컵(100)의 상부 직경(투입구의 직경)은 각각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은 정확하게 상기 거름컵(200)의 상부 직경 중 외측직경과 상기 일회용 컵(100)의 상부 직경 중 내측직경이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거름컵(200)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거름컵(200)의 상부 직경 중 외측직경(d)과 상기 일회용 컵(100)의 상부 직경 중 내측직경(D)이 대응되는 크기로 설정하지 않고 커름컵의 상부 외측직경이 일회용 컵(100)의 상부 내측직경보다 작으면, 거름컵(200)을 장착한 상태에서 음료를 음용하는 경우 거름대상 찻잎 등이 컵과 컵 사이로 유출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 거름컵(200)이 일회용 컵(100)의 내부에 충분히 안착되어 거름컵(200)의 고정부(210)가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부에 정확하게 고정될 수 없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이 상용 일회용 컵(100)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은 일회용 컵(100)의 내측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거름컵(200)의 고정부(210)가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부(110)에 걸림 결합되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거름컵(200)은 총 3개의 고정부(210)를 구비하며, 각각의 고정부(210)는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부(110)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름컵(200)은 상기 일회용 컵(100)의 내부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이 상용 일회용 컵(100)에 장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은 아래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차 또는 커피를 음용하는 동안 계속 찻잎 또는 분쇄된 커피에서 액기스가 우러나길 원하는 경우, 일회용 컵(100)에 찻잎 또는 분쇄된 커피를 투입하고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을 장착한 뒤 물 등의 음용액체(W)를 투입하면, 사용자는 거름컵(200)을 장착한 상태로 차 또는 커피를 마실 수 있다.
즉, 차 또는 커피를 마시는 동안 거름컵(200)을 계속 장착한 상태로 유지하여 더 진하게 커피 또는 차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차 또는 커피를 음용하는 경우, 차 또는 커피 액기스가 적당히 우러난 뒤 차 또는 커피를 음용하기 원하는 경우, 일회용 컵(100)에 거름컵(200)을 장착한 뒤 거름컵(200)의 저면부(230) 상부에 차 또는 분쇄된 커피를 투입하고 물 등을 투입하고 적당한 시간이 흐른 뒤 분쇄 커피 또는 찻잎이 담긴 거름컵(200)을 일회용 컵(100)으로부터 분리한 뒤 일회용 컵(100)에 잔류하는 차 또는 커피 액기스를 포함하는 액체를 음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회용 컵(100)의 측면부와 상기 거름컵(200)의 측면부의 수직축에 대한 경사 각도는 거름컵(200)이 더 클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일회용 컵(100)의 측면부의 수직축에 대한 경사각(Θ1)은 거름컵(200)의 측면부의 수직축에 대한 경사각(Θ2)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거름컵(200)이 일회용 컵(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거름컵(200)의 측면부의 외표면과 상기 일회용 컵(100)의 측면부의 내표면 사이에 어느 정도의 공간을 확보하여 측면부 상에 형성되는 거름홀 형성시 액체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일회용 컵 및 거름컵의 측면부 간의 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 상기 거름컵(200)에 형성된 거름홀(232)은 거름컵(200)의 저면부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거름홀(232)은 상기 거름컵(200)의 측면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거름컵(200)을 일회용 컵(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각각의 컵의 측면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물 등의 음용액체가 상기 거름컵(200)의 측면부에 형성된 거름홀(232)을 통하여 유동될 수 있다.
거름홀(232)이 많아지면 찻잎 등에서 액기스가 모두 우러난 뒤 거름컵(200)을 분리하는 도 5(b)와 같은 경우에도 컵을 분리하는 동안 거름컵(200) 내부에 잔류하는 음용액체가 빠져나가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경사를 동일하게 하여, 각각의 컵의 측면부의 외표면과 내표면 사이에 발생되는 밀착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으므로 거름컵(200)을 분리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름컵(200)의 높이(h2)는 일회용 컵(100)의 높이(h1)의 0.2배 내지 0.8배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찻잎 또는 분쇄 커피 등을 거름컵(200)의 저면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용하기 위하여 일회용 컵(100)의 상부와 하부 20 % 정도는 확보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의 몇가지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거름컵(200a)의 측면부에 거름홀(232a)이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며, 도 6(b)는 거름컵(200b)의 고정부(210b)와 고정부(210b)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6(c)는 거름컵(200c)의 고정부(210c)의 개수가 4개인 경우를 도시하며, 도 6(d)는 거름컵(200d)의 고정부(210d)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6(e)는 거름컵(200e)의 하부가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컵(200a)의 측면부(220a)에 거름홀(232a)이 구비되는 경우, 거름컵(20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액체가 빠져나가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거름컵(200)을 장착한 상태로 차 또는 커피를 마시는 경우, 음용되는 액체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거름컵(200b)에 구비되는 고정부(210b1, 210b2, 210b3)가 3개 이지만, 각각의 고정부(210b)의 간격이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다.
즉, 제1 고정부(210b1) 내지 제3 고정부(210b3) 사이의 제1 간격(d1) 내지 제3 간격(d3) 중 제2 고정부(210) 및 제3 고정부(210) 사이의 간격인 제2 간격(d2)이 제1 또는 제3 간격(d1, d3)보다 크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특정 고정부 간의 간격을 다르게 구성하는 이유는 거름컵(200)을 일회용 컵(100)에 장착한 상태로 음료를 음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술 등에 고정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특정 간격(d2)을 충분히 넓게 구성하기 위함이다.
즉, 고정부 간의 간격 중 넓은 간격(d2)을 입술에 대고 사용자가 차 또는 커피를 마시게 되면 사용자의 입술은 일반 일회용 컵(100)으로 음료를 마시는 것과 차이가 없으므로, 입술과 접촉되는 부분이 투박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부(210)와 입술 등의 간섭 또는 흡착에 의한 고정부(210)의 고정상태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의 폭은 다른 고정부의 폭과 다르게 구성하는 방법으로 고정부에 의한 고정력 또는 간격 조절을 할 수도 있다.
도 6(c)는 고정부(210c)의 개수가 4개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고정부의 개수가 3개이나 도 6(c)에 구비된 고정부(210c)는 제1 내지 제4 고정부(210c)를 구비한다. 일회용 컵(100)의 투입구가 큰 제품의 경우, 거름컵(200)의 안정적 장착을 위하여 고정부(210)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부(210d)가 연속적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고정부(210) 사이에 절개부(212d)를 두어 고정부(210d)의 장착과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e)에 도시된 실시예는 거름컵(200e) 자체의 형상이 오목한 반구 등의 형상을 갖는 경우를 도시한다.
전술한 거름컵들은 평면 저면부와 저면부에서 연장된 측면부를 구비하여 종이 재질로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종이재질로는 구형 곡면을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로 거름컵(200e)을 형성하면 도 6(e)와 같은 형태의 거름컵(200e)을 구성할 수도 있다.
플라스틱 재질로 거름컵(200e)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그 측면 단부에 각각 복수 개의 고정부(210e)를 구비하여 일회용 컵(100) 등의 테두리부에 장착하여 부력에 의하여 거름컵(200)이 떠오르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마찬가지이다.
도 7은 상용 일회용 컵(100)에 본 발명에 따른 거름컵(200x, 200y, 200z, 200w)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고정부(210)는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부(110)를 감싸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0)가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210x)의 외측단(214x)은 상기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부와 일회용 컵(100)의 측면부의 경계영역의 홈부(113)에 안착되도록 컬링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210)의 곡률반경이 상기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부의 곡률반경보다 크도록 구성하여, 고정부(210)가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210y)의 외측단(215y)은 상기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부(110)를 감싼 후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부(110)를 감싸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상기 거름컵(200y)의 고정부(210y) 외측단은 거름컵(200y)을 일회용 컵(10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10z) 내측 공간의 폭이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의 폭보다 작거나 비슷하게 구성하여 상기 고정부(210z) 내측 공간(217)으로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가 끼움되는 방식으로 고정부(210z)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0z)는 곡면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적당한 두께의 재질이라면 'ㄷ'자 형태로 2번 절곡시키는 것으로 고정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의 외측단(216z)은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를 내부에 끼움 결함하기 위하여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절곡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7(d)는 도 7(a) 및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가 혼합된 형태로 상기 고정부(210w)의 외측단(216w)은 상기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부(110)와 일회용 컵(100)의 측면부의 경계영역의 홈부(113)에 안착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10w) 내측 공간의 폭이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의 폭보다 작게 또는 같도록 구성하여,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110)가 상기 고정부(210w) 내측 공간(217)으로 끼움되는 방식으로 고정부(210w)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0w)는 곡면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적당한 두께의 재질이라면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ㅁ'자 형태로 3번 절곡시키는 것으로 고정부(210w)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210x)의 외측단(216w)은 상기 일회용 컵(100)의 테두리부와 일회용 컵(100)의 측면부의 경계영역의 홈부(113)에 안착되도록 절곡된다는 점에서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별된다. 도 7(d)에 도시된 실시예는 거름컵의 장착상태에서의 안정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일회용 컵
200 : 거름컵
210 : 고정부
220 : 측면부
230 : 저면부

Claims (14)

  1. 저면을 형성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유동홀이 형성된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측 단부에 복수개 구비되며, 일회용 컵의 투입구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일회용 컵의 개구부를 통해 일회용 컵의 내측 수용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 간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의 간격은 다른 간격보다 크며, 상기 측면부와 상기 일회용 컵의 측면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컵.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의 폭은 다른 고정부의 폭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연속적으로 구비되며,상기 고정부는 각각의 고정부 사이에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컵.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외측단은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와 일회용 컵의 측면부의 경계영역의 홈부에 안착되도록 컬링 처리 또는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곡률반경이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의 곡률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컵.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외측단은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를 감싼 후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컵.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외측단은 상기 일회용 컵의 테두리부를 내부에 끼움 결함하기 위하여 'ㄷ'자 형태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컵.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컵의 측면부와 상기 거름컵의 측면부는 수직축에 대한 경사 각도는 거름컵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컵.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컵은 종이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컵.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컵의 높이는 상기 일회용 컵의 높이의 0.2배 내지 0.8배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컵.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도 거름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컵.
KR1020120000929A 2012-01-04 2012-01-04 거름컵 KR101324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929A KR101324883B1 (ko) 2012-01-04 2012-01-04 거름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929A KR101324883B1 (ko) 2012-01-04 2012-01-04 거름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157A KR20130080157A (ko) 2013-07-12
KR101324883B1 true KR101324883B1 (ko) 2013-11-01

Family

ID=4899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929A KR101324883B1 (ko) 2012-01-04 2012-01-04 거름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3610A (zh) * 2015-06-19 2017-01-11 梁北洪 一种过滤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195U (ja) * 1995-01-31 1995-08-01 博賢 笹川 コップの対応口輪
KR200357774Y1 (ko) * 2004-04-28 2004-07-30 오현경 차잎분리기
KR200376667Y1 (ko) * 2004-09-24 2005-03-11 이은태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KR200434949Y1 (ko) * 2006-09-29 2006-12-28 김수정 일회용 찻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195U (ja) * 1995-01-31 1995-08-01 博賢 笹川 コップの対応口輪
KR200357774Y1 (ko) * 2004-04-28 2004-07-30 오현경 차잎분리기
KR200376667Y1 (ko) * 2004-09-24 2005-03-11 이은태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KR200434949Y1 (ko) * 2006-09-29 2006-12-28 김수정 일회용 찻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3610A (zh) * 2015-06-19 2017-01-11 梁北洪 一种过滤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157A (ko) 201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328B2 (en) Beverage capsule
US9169060B2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US7540232B2 (en) Hot beverage maker brew basket adaptor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EP2670682B1 (en) Lid for drinking vessels
US7644653B2 (en) Coffee maker brew basket
US9629495B2 (en) Beverage brewing package
US20080035652A1 (en) Disposable lid with filter for drink container
JP2015535779A (ja) 飲み物容器用の蓋および蒸気案内バッフル
US20130256307A1 (en) Loose tea brewing lid
CN105578934A (zh) 手冲咖啡的随身杯
US9149146B2 (en) Fine filter structure
US20110271845A1 (en) Disposable coffee-brewing device
KR101324883B1 (ko) 거름컵
US10941010B2 (en) Hot liquid container lid-insert combination
US20130220142A1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US20160145011A1 (en) Container Lid Construc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20130080160A (ko) 거름기능 컵
EP3016877B1 (en) Container lid construc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200482067Y1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US11013359B2 (en)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KR20200025149A (ko) 핸드드립 커피추출기구
CN211544519U (zh) 杯子
CA2806402C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CN208550897U (zh) 水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