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262B1 -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262B1
KR101323262B1 KR1020120079237A KR20120079237A KR101323262B1 KR 101323262 B1 KR101323262 B1 KR 101323262B1 KR 1020120079237 A KR1020120079237 A KR 1020120079237A KR 20120079237 A KR20120079237 A KR 20120079237A KR 101323262 B1 KR101323262 B1 KR 101323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
angle
rotation angle
symbol rotation
structur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영광
현혜자
한종규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9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7/00Tracing profiles
    • G01C7/02Tracing profiles of land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서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을 추출하는 제 1속성 추출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을 추출하는 제 2속성 추출 단계; 및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공간DB 구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A method and system for the geologic spatial-database construction of geologic structure measurement points}
본 발명은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질도 구성요소 중 기하학적 특징을 반영하기 어려운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간정보 처리기술의 발달로 지질도를 비롯하여 기존에 구축된 다양한 종이 도면들이 공간데이터베이스로 변환되어 구축되고 있다.
여기서, 공간데이터베이스는 실제 지형 공간상 크기를 갖는 지형지물에 대하여 점, 선, 면 기하요소를 이용하여 표현하며, 설명요소들은 속성 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공간데이터베이스는 부가적으로 각 기하요소별 특징에 따라 공간 분석을 할 수 있도록 산술 연산, 관계 연산 및 기하 연산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고,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원도면 형태는 물론 사용자가 정의한 방법으로 가시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 구축된 도면을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도면상에 표현된 기하요소들이 그 특성에 맞게 변환 저장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간분석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질도는 3차원적 공간상에 분포된 암상 및 지질구조들에 대하여 지질 조사자에 의해 해석되어 2차원 상에 표현된 도면이다.
도 1은 종래의 구조화 지수를 이용한 3차원 지질구조 해석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3차원 측량시스템을 보여주는 도이다.
예를 들어, 출원번호 제10-2011-0129545호의 3차원 지질구조 해석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물성의 상관관계 패턴을 지시하는 구조화 각도와, 각 물성 모델 내에서의 분포 위치를 지시하는 구조화 강도를 이용하여 지질 구조를 해석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출원번호 제20-2002-0021053호의 3차원 측량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을 3차원으로 영상화함과 동시에 기준좌표계를 구현하여 상기 기준좌표계를 기준으로 대상물의 3차원 영상을 좌표변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한편, 지질도는 지형도와 달리 3차원적인 지질구조를 2차원 상에 다양한 심벌과 패턴에 의해 지질요소들이 식별되어 표현되는데, 이러한 지질요소 표현의 복잡성은 기하학적 성격을 반영하여 공간데이터베이스로의 구축을 용이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지질도는 도엽 단위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도면과 연계하여 통합된 정보로 관리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간데이터베이스로의 변환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지질도 구성요소들은 지형공간상 차지하는 크기를 축적에 따른 길이와 넓이를 갖는 기하학적 요소들로 표현되어 있으나, 지질구조 측점은 3차원적 지질구조의 형태를 조사 위치에서 방향성을 포함한 서술적 심벌로 표현되어있다.
따라서 종이도면으로 제작된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 위치를 점 심벌이 아닌 원도 형태의 기하요소 그대로 변환할 경우 측점에 대한 정확한 위치 식별 및 기하학적 특징에 따른 공간분석 등의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지질도를 공간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때 기하학적 성격을 반영하여 저장하기 힘든 수평 혹은 수직 형태를 제외한 경사각을 갖는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질구조의 해석적 요소인 지질구조 측점을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지질도의 가시화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정보 관리 및 다양한 응용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서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을 추출하는 제 1속성 추출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을 추출하는 제 2속성 추출 단계; 및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공간DB 구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속성 추출 단계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계산하는 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 및 상기 심벌 회전각을 제 1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속성 유도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에서, 상기 심벌 회전각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이 주향과 경사로 구성되는 경우, 주향선의 이등분 위치인 심벌의 중심점이 기준 심벌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한 각도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 심벌은 경사 심벌이 상향 90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변환 규칙은, 상기 심벌 회전각(r)이 0 °초과 9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9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NE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90 °초과 18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9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SE이며, 상기 심벌 회전각(r)이 180 °초과 27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27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SW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270 °초과 36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27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N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E는 동, W는 서, S는 남, N은 북의 방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 2속성 추출 단계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을 획득하는 주향 및 경사각 획득 공정; 및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제 2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심벌 회전각 유도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변환 규칙은, 상기 경사방위가 N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S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며, 상기 경사방위가 S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N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E는 동, W는 서, S는 남, N은 북의 방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공간DB 구축 단계에서,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지질구조 측점의 속성 데이터는 심벌 회전각,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DB 구축 단계 후,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지리정보 시스템(GIS)과 연계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을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에 표현하는 측점 가시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은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여 위치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위치 식별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1속성 추출부;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2속성 추출부; 상기 위치 식별부로부터 발생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 1속성 추출부와 제 2속성 추출부로부터 각각 발생된 속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위치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특정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공간DB 구축부; 및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지리정보 시스템(GIS)과 연계시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을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에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연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속성 추출부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계산하는 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 및 상기 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로부터 계산된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속성 유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 2속성 추출부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을 획득하는 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 및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로부터 획득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심벌 회전각 유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종이 및 단순 디지털화된 지질도 구성 요소 중 지질구조 측점에 대하여 공간 기하학적 특성을 반영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변환규칙 및 방법을 제공하여 자동화된 메카니즘을 통해 손쉽게 공간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정확한 위치식별 및 공간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공간연산 기능을 이용 가능하게 하여 부가적인 지질정보 분석 응용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조화 지수를 이용한 3차원 지질구조 해석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3차원 측량시스템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제 1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속성 추출 단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속성 추출 단계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제 2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심벌 회전각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변환 규칙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변환 규칙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제 1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식별 단계(S10),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S20), 제 1속성 추출 단계(S30), 제 2속성 추출 단계(S40) 및 공간DB 구축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식별 단계(S10)는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이다.
상기 위치 식별 단계(S10)에서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위치를 식별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은 경사각을 갖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의해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나, 예를 들어,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경사각이 수직 또는 수평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식별된 위치에서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제 1속성 추출 단계(S30) 또는 제 2속성 추출 단계(S40) 없이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S2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서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S20)에서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지질 정보인 주향 및 경사각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식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S20)에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후술할 제 1속성 추출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후술할 제 2속성 추출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속성 추출 단계(S3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속성 추출 단계의 블록도이다.
상기 제 1속성 추출 단계(S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S31) 및 속성 유도 공정(S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S31)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계산하는 공정으로, 상기 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S31)에서는 기준 심벌에 대한 심벌 중심점의 회전 각도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심벌 회전각을 계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심벌 회전각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여기서, 도 8은 지질구조 측점 중 층리에 대한 기준 심벌로, 좌우 수평선은 주향 심벌을 나타내고, 주향 심벌의 중심위치에서 직각으로 상향 90도에 위치되는 수직선은 경사 심벌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벌 회전각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이 주향과 경사로 구성되는 경우, 주향선의 이등분 위치인 심벌의 중심점을 상기 기준 심벌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한 각도로 계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지질구조 측점 중 지질도에 표현된 경사층리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의 기준 심벌에 대하여 30°회전한 형태로 표현되고 있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은 30°일 수 있다.
상기 속성 유도 공정(S32)은 상기 심벌 회전각을 제 1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공정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변환 규칙을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서, 상기 제 1변환 규칙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상기 심벌 회전각(r)이 0 °초과 9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9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NE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90 °초과 18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9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S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벌 회전각(r)이 180 °초과 27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27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SW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270 °초과 36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27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NW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심벌 회전각이 30°인 도 9에 도시된 지질구조 측점은 상기 제 1변환 규칙에 의해 각각 주항각 60°, 주향방위 NW, 경사방위 NE가 유도되어 N60°W/40°NE로 주향/경사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제 2속성 추출 단계(S4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속성 추출 단계의 블록도이다.
상기 제 2속성 추출 단계(S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향 및 경사각 획득 공정(S41) 및 심벌 회전각 유도 공정(S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획득 공정(S41)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을 획득하는 공정이다.
상기 심벌 회전각 유도 공정(S42)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제 2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공정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변환 규칙을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서, 상기 제 2변환 규칙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상기 경사방위가 N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S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방위가 S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N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주향 및 경사가 N60°W/40°NE인 지질구조 측점은 상기 제 2변환 규칙에 의해 심벌 회전각 30°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공간DB 구축 단계(S5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로,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지질구조 측점의 속성 데이터는 상술한 심벌 회전각,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제 2블록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DB 구축 단계(S50) 후, 측점 가시화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점 가시화 단계(S60)는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지리정보 시스템(GIS)과 연계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을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에 표현하는 단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식별부(100), 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200), 제 1속성 추출부(300), 제 2속성 추출부(400), 데이터 저장부(500), 공간DB 구축부(600) 및 디스플레이 연계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식별부(100)는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여 위치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식별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식별 단계(S10)를 수행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위치 데이터를 후술할 데이터 저장부(5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20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200)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S20)를 수행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지질 정보인 주향 및 경사각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식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200)에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후술할 제 1속성 추출부(300)를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후술할 제 2속성 추출부(4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속성 추출부(30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속성 추출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속성 추출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제 1속성 추출부(30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계산하는 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310) 및 상기 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310)로부터 계산된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속성 유도 모듈(32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속성 데이터를 후술할 데이터 저장부(5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 2속성 추출부(40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속성 추출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속성 추출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제 2속성 추출부(40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을 획득하는 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410) 및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410)로부터 획득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심벌 회전각 유도 모듈(42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속성 데이터를 후술할 데이터 저장부(5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500)는 상기 위치 식별부(100)로부터 발생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 1속성 추출부(300)와 제 2속성 추출부(400)로부터 각각 발생된 속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공간DB 구축부(600)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DB 구축 단계(S50)를 수행(S10)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500)의 위치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800)에 입력함으로써 특정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연계부(700)는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800)를 지리정보 시스템(GIS)과 연계시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을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에 표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위치 식별부 200: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
300:제 1속성 추출부 310: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
320:속성 유도 모듈 400:제 2속성 추출부
410: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 420:심벌 회전각 유도 모듈
500:데이터 저장부 600:공간DB 구축부
700:디스플레이 연계부 800:공간데이터베이스
900:지리정보시스템(GIS)
S10:위치 식별 단계
S20: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
S30:제 1속성 추출 단계
S31: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
S32:속성 유도 공정
S40:제 2속성 추출 단계
S41:주향 및 경사각 획득 공정
S42:심벌 회전각 유도 공정
S50:공간DB 구축 단계
S60:측점 가시화 단계

Claims (12)

  1.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은 면구조 및 선구조에 대하여 조사 위치에서의 주향과 경사각을 조사한 측점으로, 지질도에서 공간데이터베이스에 기하요소와 연계된 속성들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서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
    지질도상에서 지질도 작성자에 의해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명시되지 않을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제 1속성 추출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제 2속성 추출 단계; 및
    상기 지질구조 측점 위치에 대한 기하요소와 이와 연계된 심벌 표현을 위한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공간DB 구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심벌 회전각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이 주향과 경사로 구성되는 경우, 주향선의 이등분 위치인 심벌의 중심점이 상향 90도에 경사 심벌이 위치된 기준 심벌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한 각도이며,
    상기 제 1속성 추출 단계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제 1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속성인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추출하고,
    상기 제 2속성 추출 단계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제 2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속성인 심벌 회전각을 추출하며,
    상기 제 1변환 규칙은,
    상기 심벌 회전각(r)이 0 °초과 9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9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NE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90 °초과 18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9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SE이며,
    상기 심벌 회전각(r)이 180 °초과 27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27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SW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270 °초과 36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27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NW이며,
    상기 제 2변환 규칙은,
    상기 경사방위가 N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S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며,
    상기 경사방위가 S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N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여기서, E는 동, W는 서, S는 남, N은 북의 방위를 의미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속성 추출 단계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계산하는 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 및
    상기 심벌 회전각을 제 1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속성 유도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속성 추출 단계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을 획득하는 주향 및 경사각 획득 공정; 및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제 2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심벌 회전각 유도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DB 구축 단계에서,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지질구조 측점의 속성 데이터는 심벌 회전각,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DB 구축 단계 후,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지리정보 시스템(GIS)과 연계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을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에 표현하는 측점 가시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10.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여 위치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위치 식별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주향각, 주향방위, 경사방위를 발생시키는 제 1속성 추출부;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발생시키는 제 2속성 추출부;
    상기 위치 식별부로부터 발생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 1속성 추출부와 제 2속성 추출부로부터 각각 발생된 속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위치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특정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공간DB 구축부; 및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지리정보 시스템(GIS)과 연계시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을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에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연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심벌 회전각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이 주향과 경사로 구성되는 경우, 주향선의 이등분 위치인 심벌의 중심점이 상향 90도에 경사 심벌이 위치된 기준 심벌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한 각도이며,
    상기 제 1속성 추출부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제 1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인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2속성 추출부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제 2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인 심벌 회전각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 1변환 규칙은,
    상기 심벌 회전각(r)이 0 °초과 9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9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NE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90 °초과 18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9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SE이며,
    상기 심벌 회전각(r)이 180 °초과 27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27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SW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270 °초과 36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27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NW이며,
    상기 제 2변환 규칙은,
    상기 경사방위가 N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S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며,
    상기 경사방위가 S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N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여기서, E는 동, W는 서, S는 남, N은 북의 방위를 의미한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속성 추출부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계산하는 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 및
    상기 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로부터 계산된 심벌 회전각을 상기 제 1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속성 유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속성 추출부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을 획득하는 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 및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로부터 획득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상기 제 2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심벌 회전각 유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KR1020120079237A 2012-07-20 2012-07-20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 KR101323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237A KR101323262B1 (ko) 2012-07-20 2012-07-20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237A KR101323262B1 (ko) 2012-07-20 2012-07-20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262B1 true KR101323262B1 (ko) 2013-10-30

Family

ID=4963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237A KR101323262B1 (ko) 2012-07-20 2012-07-20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689B1 (ko) * 2018-02-23 2018-09-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터치기반 인터페이스에서의 지질 요소 편집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332A (ja) 1998-07-07 2000-01-28 Mitsubishi Heavy Ind Ltd 3次元計測装置及び3次元計測方法
KR100446195B1 (ko) 2001-07-10 2004-08-30 (주)한양 3차원 위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493809B1 (ko) 2002-07-13 2005-06-03 주식회사 아이너스기술 기준좌표계를 이용한 3차원 영상 및 측점의 좌표변환방법
JP2007248214A (ja) 2006-03-15 2007-09-27 Yunitekku:Kk 水平角度測定方法及び位置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332A (ja) 1998-07-07 2000-01-28 Mitsubishi Heavy Ind Ltd 3次元計測装置及び3次元計測方法
KR100446195B1 (ko) 2001-07-10 2004-08-30 (주)한양 3차원 위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493809B1 (ko) 2002-07-13 2005-06-03 주식회사 아이너스기술 기준좌표계를 이용한 3차원 영상 및 측점의 좌표변환방법
JP2007248214A (ja) 2006-03-15 2007-09-27 Yunitekku:Kk 水平角度測定方法及び位置測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689B1 (ko) * 2018-02-23 2018-09-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터치기반 인터페이스에서의 지질 요소 편집 장치
US10706603B2 (en) 2018-02-23 2020-07-07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Apparatus for editing geological elements using touch-based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ojaei et al. Visualization requirements for 3D cadastral systems
Bueno et al. Automatic point cloud coarse registration using geometric keypoint descriptors for indoor scenes
Hardebol et al. DigiFract: A software and data model implementation for flexible acquisition and processing of fracture data from outcrops
CN104318617A (zh) 一种面向虚拟应急演练的三维地理场景仿真方法
Manferdini et al. Reality-based 3D modeling, segmentation and web-based visualization
CN104835202A (zh) 一种三维虚拟场景快速构建方法
Zhu et al. Research and practice in three-dimensional city modeling
CN102214367A (zh) 史前聚落遗址的三维建模与可视化方法
Ozturk et al. A low-cost approach for determination of discontinuity orientation using smartphone images and application to a part of Ihlara Valley (Central Turkey)
Landeschi et al. Enhanced 3D-GIS: documenting insula V 1 in Pompeii
CN109522381A (zh) 基于3dgis+bim的建筑物隐蔽设施安全检测方法
KR20100025144A (ko) 지리 정보 시스템과 건축도면을 기반으로 하는 건축물 전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andeschi et al. Ancient Hermione revealed: the contribution of high‐performance computing and digital methods to the analysis of a hidden cityscape
KR101323262B1 (ko)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
Wu et al. [Retracted] Intelligent City 3D Modeling Model Based on Multisource Data Point Cloud Algorithm
Timár System of the 1: 28 800 scale sheets of the Second Military Survey in Tyrol and Salzburg
Albert Aspects of cave data use in a GIS
Litwin et al. Improving the Perception in Urban Planning by 3D Modelling and 3D Visualization
Lu [Retracted] Algorithm of 3D Virtual Reconstruction of Ancient Buildings in Qing Dynasty Based on Image Sequence
Cemellini Web-based visualization of 3D cadastre
Zhou et al. Validation analysis of OpenStreetMap data in some areas of China
Wang et al. A propagating update method of multi-represented vector map data based on spatial objective similarity and unified geographic entity code
Guo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large karst cave point cloud registration in various scanning modes
Comes et al. From theory to practice: digital reconstruction and virtual reality in archaeology
Hill et al. 3D visualization of subsurface objects from La brea tar pits, Los Angeles, 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