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741B1 - A grain mixer - Google Patents

A grain mix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741B1
KR101322741B1 KR1020110104378A KR20110104378A KR101322741B1 KR 101322741 B1 KR101322741 B1 KR 101322741B1 KR 1020110104378 A KR1020110104378 A KR 1020110104378A KR 20110104378 A KR20110104378 A KR 20110104378A KR 101322741 B1 KR101322741 B1 KR 101322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shaft
sprocket
drive
pup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3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39800A (en
Inventor
용 석 장
Original Assignee
용 석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석 장 filed Critical 용 석 장
Priority to KR1020110104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741B1/en
Publication of KR20130039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8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7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65Dr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더류 및 물엿 반죽시 반죽통의 양내측에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서로 대향되게 동일축 선상에 설치된 임펠러가 닿지 않는 반죽통의 내측벽에 파우더 및 물엿 등이 달라 붙는 반죽 사각지대를, 반죽통에 인접한 회전반경을 갖는 외부 임펠러를 이용하여 반죽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곡물 반죽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기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로 이루어진 내부 임펠러와; 상기 내부 임펠러의 외측에 축설되고, 반죽통의 내측벽에 인접한 회전 반경을 갖는 외부 임펠러와; 상기 반죽통의 양측을 관통하여 설치됨은 물론 선단부에 내부 임펠러가 결합되는 내측 동공축 및, 상기 내측 동공축을 외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선단부에 외부 임펠러가 결합되는 외측 동공축과, 반죽통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 동공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공축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1 임펠러 지지부 및 제2 임펠러 지지부와; 상기 제1 임펠러 지지부 및 제2 임펠러 지지부의 내측 동공축을 구동시키는 내측 구동부 및, 외측 동공축을 구동시키는 외측 구동부;로 구성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der and starch dough kneading the powder and starch to the inner wall of the kneading container does not touch the impeller installed on the same axis so as to face the first and second spoon parts on both inner sides of the kneading container It relates to a grain dough machine to solve the blind spot by using a blind spot, an external impeller having a rotation radius adjacent to the kneading barrel, the configuration comprising: an inner impeller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An outer impeller arranged outside the inner impeller and having a radius of rotation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kneader; It is installed through both sides of the kneading barrel, as well as the inner pupil shaft that the inner impeller is coupled to the front end, and the outer pupil shaft rotatably supporting the inner pupil shaft from the outside and the outer impeller coupled to the front end, and the outside of the keg A pair of first impeller support and a second impeller support fixed to a side and made of a coaxial housing rotatably supporting the outer pupil shaft; And an inner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inner pupil shaft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and an outer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outer pupil shaft.

Description

곡물 반죽기{A grain mixer}Grain Kneader {A grain mixer}

본 발명은 곡물 반죽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더류 및 물엿 반죽시 반죽통의 양내측에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서로 대향되게 동일축 선상에 설치된 임펠러가 닿지 않는 반죽통의 내측벽에 파우더 및 물엿 등이 달라 붙는 반죽 사각지대를, 반죽통에 인접한 회전반경을 갖는 외부 임펠러를 이용하여 반죽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곡물 반죽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kneader,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inside of the kneading container which impellers installed on the same axis line are opposed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kneading container during powder and starch knea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dough machine in which a dough blind spot in which powder and starch syrup adheres to a side wall, can be solved by using an external impeller having a rotation radius adjacent to the batter.

주지된 바와 같이 곡물 반죽기는 반죽통 내부에,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임펠러를 설치하여 상기 임펠러에 의해서 반죽통에 투입된 곡물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하도록 된 것이고, 임펠러는 반죽통의 양내측에 서로 대향되게 동일축 선상에 한 쌍의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곡물 반죽기는 곡물가루, 즉 파우더류나 물엿 반죽시 임펠러가 닿지 않는 반죽통의 내측벽에 파우더 또는 물엿이 달라 붙는 반죽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사각지대는 반죽의 비효율성 및 기기의 신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is well known, the grain kneader is to install the impeller to rotate in the inside of the kneading barrel, the external power received to knead the grain powder put into the kneading bin by the impeller with water, the impeller is both inside the kneading container The first and second pairs of straw holders are arranged on the same axis line as opposed to each other. However, such a conventional grain kneader is a dough dead zone where the powder or starch is stuck to the inner wall of the keg, the powder container, that is, the impeller does not touch when kneading powder or starch syrup, this blind spot is ineffective and equipment of the dough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s a decrease in reliability.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파우더류 및 물엿 반죽시 반죽통의 양내측에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서로 대향되게 동일축 선상에 설치된 임펠러가 닿지 않는 반죽통의 내측벽에 파우더 및 물엿 등이 달라 붙는 반죽 사각지대를, 반죽통에 인접한 회전반경을 갖는 외부 임펠러를 이용하여 반죽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곡물 반죽기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which is to coaxially face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on both inner sides of the kneading barrel during powder and starch kneading Provides a grain dough where the powder and syrup sticks to the inner wall of the kneading container which is not touched by the impeller, and uses the external impeller having a rotation radius adjacent to the kneading container to solve the dough blind area. Is i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외부 임펠러를 이용한 반죽 사각지대의 해소가 보다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곡물 반죽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in kneader that can be solved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the dough blind area using the external impell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를 서로 동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방향을 바꾸거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죽의 다양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곡물 반죽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dough machine that can vary the variety of dough by allowing the first or second handle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or change the rotation speed hav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봉에 의해서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양단 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집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콤팩트화 및 단순화를 기할 수 있도록 한 곡물 반죽기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intensivel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allow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to be supported by both ends by a support ro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ain kneader for compacting and simplifying the apparatus.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곡물 반죽기의 한 형태는, 반죽통의 내부 양측에 한 쌍의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서로 대향되게 축설되어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반죽통 내부에 투입된 곡물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하도록 구성된 곡물 반죽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로 이루어진 내부 임펠러와; 상기 내부 임펠러의 외측에 축설되고, 반죽통의 내측벽에 인접한 회전 반경을 갖는 외부 임펠러와; 상기 반죽통의 양측을 관통하여 설치됨은 물론 선단부에 내부 임펠러가 결합되는 내측 동공축 및, 상기 내측 동공축을 외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선단부에 외부 임펠러가 결합되는 외측 동공축과, 반죽통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 동공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공축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1 임펠러 지지부 및 제2 임펠러 지지부와; 상기 제1 임펠러 지지부 및 제2 임펠러 지지부의 내측 동공축을 구동시키는 내측 구동부 및, 외측 동공축을 구동시키는 외측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aspect of the grain dough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pair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rts are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kneading barrel while being rotated under external power A grain kneading machine configured to knead grains introduced into a kneading bowl together with water, the grain kneading machine comprising: an internal impeller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salters; An outer impeller arranged outside the inner impeller and having a radius of rotation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kneader; It is installed through both sides of the kneading barrel, as well as the inner pupil shaft that the inner impeller is coupled to the front end, and the outer pupil shaft rotatably supporting the inner pupil shaft from the outside and the outer impeller coupled to the front end, and the outside of the keg A pair of first impeller support and a second impeller support fixed to a side and made of a coaxial housing rotatably supporting the outer pupil shaft; And an inner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inner pupil shaft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and an outer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outer pupil shaf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 임펠러는 제1 임펠러 지지부 및 제2 임펠러 지지부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중간에 외측 동공축의 선단부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회전축공을 갖는 한 쌍의 수직바 및, 상기 수직바의 각 단부측에 한 쌍의 수평바가 각각 일체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태의 회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부 임펠러는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impeller is a pair of vertical bars having a rotary shaft hole perpendicular to the first impeller support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and fitted in the middle of the outer end of the outer pupil shaft and coupled, the angle of the vertical bar A pair of horizontal bar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nd side, respectively, and are formed of a rotary body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the external impeller further includes a scrap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측 구동부에 의해서 제1 임펠러 지지부 및 제2 임펠러 지지부의 내측 동공축을 서로 동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 임펠러 지지부의 내측 동공축과 제2 임펠러 지지부의 내측 동공축이 각각의 구동모터에 의해서 개별 구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2 임펠러 지지부의 내측 동공축에 대한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riving shaft and the inner impeller shaft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portion is configured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and the inner pupil shaft and the first impeller support portion The inner pupil shaft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is configured to be individually driven by the respective driving motors, so that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speed with respect to the inner pupil shaft of the first and second impeller supports can be chang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우더류 및 물엿 반죽시 반죽통의 양내측에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서로 대향되게 동일축 선상에 설치된 임펠러가 닿지 않는 반죽통의 내측벽에 파우더 및 물엿 등이 달라 붙는 반죽 사각지대를, 반죽통에 인접한 회전반경을 갖는 외부 임펠러를 이용하여 반죽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반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죽의 효율성에 따른 기기의 품질 향상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owder and starch syrup to the inner wall of the kneader, in which impellers installed on the same axial line do not touch the first and second panchetes on both inner sides of the kneading pan when the powders and the syrup are kneaded. This clinging dough blind area can be solved by using an external impeller having a rotation radius adjacent to the kneading container to solve the dough blind spot, and various types of dough are possible. It will have an effect which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임펠러에 고무,펠트 또는 브러시 등으로 이루어진 스크래퍼를 설치하여 반죽통의 내벽에 달라 붙은 파우더류나 물엿 등을 긁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반죽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반죽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을 효과도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scraper made of rubber, felt or brush on the external impeller to be able to scrape off the powder or starch stuck to the inner wall of the kneading bin can not only eliminate the blind spot of the dough more reliably But this also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e accuracy of the dough.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를 서로 동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방향을 바꾸거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죽의 다양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반죽 형태에 따른 별도의 반죽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비용절감으로 인한 경제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increase the variety of the dough by chang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r the rotational speed in the same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handle and the second handle, thereby resulting in a dough form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kneading machine has an effect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economics due to cost reduction.

또한, 본 발명은 지지봉에 의해서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양단 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집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콤팩트화 및 단순화를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설치공간 활용의 효율성 및 기기의 외관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ower transfer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while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ortion by the support rod intensively made of the device Not only can it be compact and simplified, bu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installation space utilization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역전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기어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show the reversing apparatus of FIG. 4,
5A is a sectional view,
5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gear coupling relationship of FIG. 5A.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반죽통(100) 및, 상기 반죽통(100)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동일축 선상으로 한 쌍의 제1 젓개부(1a) 및 제2 젓개부(1b)가 구비되어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반죽통(100) 내부에 투입된 곡물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하도록 구성된다.1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dough container 100 and a pair of coaxial lines on opposite sides of the dough container 100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first handle (1a) and the second handle (1b) is provided is configured to knead the water with the grain powder introduced into the kneading container 100 by receiving external power.

이러한 곡물 반죽기에 있어, 본 발명은 상기 제1 젓개부(1a) 및 제2 젓개부(1b)가 내부 임펠러(1)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내부 임펠러(1)의 외측에 반죽통(100)의 내측벽에 인접한 회전 반경을 갖는 외부 임펠러(2)를 더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내부 임펠러(1)는 고속 회전하고 외부 임펠러(2)는 저속 회전하도록 개별 구동되는 것으로, 파우더 믹싱은 뭉친 파우더를 해소하기 위해서 고속 회전으로 이루어지고, 액상 투여 믹싱은 저중속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인한다.In such a grain kneade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paddle portion 1a and the second paddle portion 1b are rotated by the internal impeller 1, and the dough container (outside the internal impeller 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xternal impeller (2) having a radius of rotation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100, wherein the internal impeller (1) is rotated at high speed and the external impeller (2) is driven separately at low speed, powder Mixing is at high speed to dissolve the agglomerated powder, and liquid dosing mixing is at low medium speed.

또한, 상기 내부 임펠러(1)와 외부 임펠러(2)가 동일축 선상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반죽통(100)의 양측에 구성이 동일하고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임펠러 지지부(3) 및 제2 임펠러 지지부(3a)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임펠러 지지부(3) 및 제2 임펠러 지지부(3a)는 반죽통(100)을 관통하여 설치됨은 물론 선단부에 제1 젓개부(1a) 및 제2 젓개부(1b)가 결합되는 내측 동공축(31)과, 상기 내측 동공축(31)을 외측에서 베어링(B)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은 물론 선단부 외부 임펠러(2)가 결합되는 외측 동공축(32)과, 반죽통(100)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 동공축(32)을 베어링(B)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공축 하우징(33)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as a means for supporting the inner impeller (1) and the outer impeller (2) to be rotated separately on the same axis,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configuration on both sides of the kneading container 100 and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 pair of first impeller support 3 and second impeller support 3a are provided. The first impeller support part 3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part 3a are installed through the kneading container 100 as well as the inner pupil to which the first paddle part 1a and the second paddle part 1b are coupled to the front end portion. A shaft 31 and the outer pupil shaft 32 rotatably supporting the inner pupil shaft 31 to the bearing B from the outside as well as the outer pupil shaft 32 to which the distal end impeller 2 is coupled, and the kneading container 100. And a coaxial shaft housing 33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axial shaft housing 33 to rotatably support the outer coaxial shaft 32 with a bearing B.

그리고, 상기 제1 젓개부(1a) 및 제2 젓개부(1b)로 구성된 내부 임펠러(1) 및, 외부 임펠러(2)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내부 임펠러(1)가 결합된 제1 임펠러 지지부(3) 및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 및, 상기 외부 임펠러(2)가 결합된 외측 동공축(32) 측으로 외부의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내측 동공축(31) 및 외측 동공축(32)을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내측 구동부(4) 및 외측 구동부(5)가 구비된다.And, as the means for rotating the inner impeller 1 and the outer impeller 2, respectively composed of the first handle 1a and the second handle 1b, the inner impeller 1 is coupled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portion 3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portion 3a and the outer pupil shaft 32 to which the outer impeller 2 is coupled to transmit the external power to the inner pupil. An inner drive 4 and an outer drive 5 for rotating the shaft 31 and the outer pupil shaft 32 respectively are provided.

상기 외측 구동부(5)는 제1 감속기(5b)와 연결된 제1 구동모터(5a)와, 상기 제1 감속기(5b)에 축설된 제1 원동스프로킷(5c)과, 상기 제1 원동스프로킷(5c)과 체인(C)으로 연결되고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외측 동공축(32) 후방측에 일체로 구비된 종동 스프로킷(5d)으로 구성된다. 이같이 구성된 외측 구동부(5)는 제1 구동모터(5a)의 구동력이 제1 감속기(5b)를 통해 제1 원동스프로킷(5c)으로 전달되고, 제1 원동스프로킷(5c)의 구동력은 다시 체인(C)을 통해 종동 스프로킷(5d)으로 전달됨으로써 제1 임펠러 지지부(3) 및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외측 동공축(32)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외측 동공축(32)의 선단부에 결합된 외부 임펠러(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outer drive unit 5 includes a first drive motor 5a connected to the first reducer 5b, a first drive sprocket 5c built in the first reducer 5b, and the first drive sprocket 5c. ) And a driven sprocket (5d) which is connected to the chain (C) and integrally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outer pupil shaft (32)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In the outer drive unit 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ing motor 5a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riving sprocket 5c through the first reduction gear 5b,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ing sprocket 5c is again connected to the chain ( C) is externally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outer pupil shaft 32 by driving the outer pupil shaft 32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by being transferred to the driven sprocket 5d.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impeller (2).

상기 내측 구동부(4)는 제2 감속기(4b)와 연결된 제2 구동모터(4a)와, 상기 제2 감속기(4b)에 축설된 제2 원동스프로킷(4c)과, 상기 제2 원동스프로킷(4c)과 체인(C)으로 연결되고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2 피동스프로킷(41a)을 갖는 제1 피동스프로킷(41)과, 상기 제2 피동스프로킷(41a)과 체인(C)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내측 동공축(31)과 평행한 전동축(42)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전동스프로킷(42a)과, 상기 제1 전동스프로킷(42a)의 타측 전동축(42) 상에 축설되는 제2 전동스프로킷(42b)과, 상기 제2 전동스프로킷(42b)과 체인(C)으로 연결되고,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내측 동공축(31)의 후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3 피동스프로킷(43)으로 구성된다.The inner drive unit 4 includes a second drive motor 4a connected to the second reducer 4b, a second drive sprocket 4c built in the second reducer 4b, and the second drive sprocket 4c. And a first driven sprocket 41 connected to the chain C and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and having a second driven sprocket 41a; A first electric sprocket 42a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n sprocket 41a and a chain C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lectric shaft 42 parallel to the inner pupil shaft 31; and the first electric sprocket A second electric sprocket 42b arranged on the other transmission shaft 42 of 42a,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 sprocket 42b and a chain C, and has an inner pupil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It consists of the 3rd driven sprocket 43 integrally formed in the rear end side of the shaft 31. As shown in FIG.

이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2 구동모터(4a)의 구동력이 제2 감속기(4b)를 통해 제2 원동스프로킷(4c)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2 원동스프로킷(4c)의 구동력은 체인(C)을 통해 함께 동축상에 구비된 제1 피동스프로킷(41) 및 제2 피동스프로킷(41a)으로 전달되어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을 구동시킴으로써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 및 상기 내측 동공축(31)의 선단부에 결합된 내부 임펠러(1)의 제2 젓개부(1b)를 회전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motor 4a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riving sprocket 4c through the second reduction gear 4b,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sprocket 4c is the chain C.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riven sprocket 41 and the second driven sprocket 41a provided coaxially with each other to drive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to provide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An inner pupil shaft 31 and a second stopper 1b of the inner impeller 1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inner pupil shaft 31 are rotated.

또한, 상기 제2 피동스프로킷(41a)의 구동력은 체인(C)을 통해 제1 전동스프로킷(42a)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전동스프로킷(42a)의 타측 전동축(42) 상에 구비된 제2 전동스프로킷(42b)도 함께 동일 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상기 제2 전동스프로킷(42b)의 구동력은 다시 체인(C)을 통해 제3 피동스프로킷(43)으로 전달되어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내측 동공축(31)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내측 동공축(31)의 선단부에 결합된 내부 임펠러(1)의 제1 젓개부(1a)를 제2 젓개부(1b)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en sprocket 41a is transmitted to the first electric sprocket 42a through the chain C and is provided on the other transmission shaft 42 of the first electric sprocket 42a. The two electric sprockets 42b are also driven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electric sprockets 42b is again transmitted to the third driven sprocket 43 through the chain C, so that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By driving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impeller 1a of the internal impeller 1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inner pupil shaft 31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e second holder 1b. It will be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특징은 내부 임펠러(1)의 제1 젓개부(1a) 및 제2 젓개부(1b)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고, 이를 위해 전동축(42)과 제3 피동스프로킷(43)의 사이에 제1,2 역회전 기어(44)(44c)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다.FIG. 2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eature is that the first paddle 1a and the second paddle 1b of the internal impeller 1 can b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this end, the first and second reverse gears 44 and 44c are provided between the transmission shaft 42 and the third driven sprocket 43.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전동스프로킷(42a)의 타측 전동축(42) 상에 제1 역회전 기어(44)를 구비함과 아울러 별도의 회전축(44a)에 상기 제1 역회전 기어(44)에 치합되는 제2 역회전 기어(44c)를 구비하여 회전방향이 역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 역회전 기어(44c)가 구비된 회전축(44a) 상에 제3 전동스프로킷(44b)을 구비하여 상기 제3 전동스프로킷(44b)을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내측 동공축(31)에 구비된 제3 피동스프로킷(43)과 체인(C)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In more detail, the first reverse rotation gear 44 is provided on the other transmission shaft 42 of the first transmission sprocket 42a and the first reverse rotation gear 44 is formed on a separate rotation shaft 44a. The second reverse rotation gear 44c meshed with 44 is configured to reverse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third electric sprocket 44b is disposed on the rotation shaft 44a provided with the second reverse rotation gear 44c. And the third driven sprocket 44b is connected to the third driven sprocket 43 provided on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part 3 by a chain C.

이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2 구동모터(4a)의 구동력이 제2 감속기(4b)를 통해 제2 원동스프로킷(4c)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2 원동스프로킷(4c)의 구동력은 체인(C)을 통해 함께 동축상에 구비된 제1 피동스프로킷(41) 및 제2 피동스프로킷(41a)으로 전달되어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을 구동시킴으로써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 및 상기 내측 동공축(31)의 선단부에 결합된 내부 임펠러(1)의 제2 젓개부(1b)를 회전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motor 4a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riving sprocket 4c through the second reduction gear 4b,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sprocket 4c is the chain C.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riven sprocket 41 and the second driven sprocket 41a provided coaxially with each other to drive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to provide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An inner pupil shaft 31 and a second stopper 1b of the inner impeller 1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inner pupil shaft 31 are rotated.

또한, 상기 제2 피동스프로킷(41a)의 구동력은 체인(C)을 통해 제1 전동스프로킷(42a)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전동스프로킷(42a)의 타측 전동축(42) 상에 구비된 제1 역회전 기어(44)도 함께 동일 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상기 제1 역회전 기어(44)의 구동력은 제1 역회전 기어(44)에 치합된 제2 역회전 기어(44c)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2 역회전 기어(44c)는 제1 역회전 기어(44)와 반대방향으로 회전 및 역전되고, 이 역전된 제2 역회전 기어(44c)의 구동력은 회전축(44a)을 통해 동일축 상에 축설된 제3 전동스프로킷(44b)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3 전동스프로킷(44b)의 구동력은 체인(C)을 통해 제3 피동스프로킷(43)으로 전달되어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내측 동공축(31)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내측 동공축(31)에 결합된 제1 젓개부(1a)를 제2 젓개부(1b)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en sprocket 41a is transmitted to the first electric sprocket 42a through the chain C and is provided on the other transmission shaft 42 of the first electric sprocket 42a. The first reverse rotation gear 44 is also driven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reverse rotation gear 44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everse rotation gear 44c engaged with the first reverse rotation gear 44. . At this time, the second reverse rotation gear 44c is rotated and rever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everse rotation gear 44,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reversed second reverse rotation gear 44c is the same axis through the rotation shaft 44a. Is transmitted to the third electric sprocket 44b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third electric sprocket 44b is transmitted to the third driven sprocket 43 through the chain C to provide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By driving the inner pupil shaft 31,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first handle (1a) coupled to the inner pupil shaft 31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 handle (1b).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특징은 내부 임펠러(1)를 구성하는 제1 젓개부(1a) 및 제2 젓개부(1b)의 회전 방향을 동일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및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회전속도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회전속도의 경우에는 제1 젓개부(1a)를 제2 젓개부(1b)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제2 젓개부(1b)를 제1 젓개부(1a)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도 포함한다.FIG. 3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eatures of the first impeller 1a and the second impeller 1b constituting the internal impeller 1 are rotated in the same or different directions. It is to be able to rotate and drive as well as to adjust the rotational speed arbitrarily. In the case of the rotational speed, the first holder 1a can be made to speed up the rotation of the second holder 1b or the second holder 1b can be rotated fast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holder 1a. It includes on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측 구동부(4)를 제2 구동모터(4a) 및 제2 원동스프로킷(4c)을 갖는 제2 감속기(4b)와, 상기 제2 원동스프로킷(4c)과 체인(C)으로 연결되고,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피동스프로킷(41)과, 상기 제1 피동스프로킷(41)의 타측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내측 동공축(31)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3 피동스프로킷(43)과, 상기 제3 피동스프로킷(43)과 체인(C)으로 연결되는 제3 원동스프로킷(45b)을 갖는 제3 감속기(45a) 및 제3 구동모터(45)로 구성한 것이다.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drive unit 4 has a second drive motor 4a and a second reducer 4b having a second drive sprocket 4c, and the second drive sprocket 4c and a chain C. A first driven sprocket 41 which is integrally formed at a rear end of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part 3a, and the first impeller support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riven sprocket 41; The third driven sprocket 43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pupil shaft 31 of 3) and the third driven sprocket 45b connected to the third driven sprocket 43 and the chain 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consists of the 3rd reduction gear 45a and the 3rd drive motor 45 which have.

이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2 구동모터(4a)의 구동력이 제2 감속기(4b)를 통해 제2 원동스프로킷(4c)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2 원동스프로킷(4c)의 구동력은 체인(C)을 통해 제1 피동스프로킷(41)으로 전달되어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을 구동시킴으로써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 및 상기 내측 동공축(31)의 선단부에 결합된 내부 임펠러(1)의 제2 젓개부(1b)를 회전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motor 4a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riving sprocket 4c through the second reduction gear 4b,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sprocket 4c is the chain C.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riven sprocket 41 through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by driving the inner pupil shaft 31 and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It rotates the second handle (1b) of the inner impeller (1)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또한, 제3 구동모터(45)의 구동력은 제3 감속기(45a)를 통해 제3 원동스프로킷(45b)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3 원동스프로킷(45b)의 구동력은 체인(C)을 통해 제3 피동스프로킷(43)으로 전달되어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내측 동공축(31)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내측 동공축(31)에 결합된 내부 임펠러(1)의 제1 젓개부(1a)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내측 동공축(31)은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과 별개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하고 있어, 제3 구동모터(45)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1,2 임펠러 지지부(3)(3a)의 내측 동공축(31)에 결합된 제1,2 젓개부(1a)(1b)를 동일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제2 구동모터(4a)와 제3 구동모터(45)의 구동력을 달리하는 경우에는 제1,2 젓개부(1a)(1b)의 회전속도를 달리 할 수 있어 반죽의 다양성을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제1 젓개부(1a)를 제2 젓개부(1b)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하면, 반죽물은 제2 젓개부(1b) 측으로 편중되어 제2 젓개부(1b) 측의 반죽통(100) 내측벽에 충돌하면서도 반죽되고, 제2 젓개부(1b)를 제1 젓개부(1a)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하면, 반죽은 제1 젓개부(1a) 측으로 편중되어 제2 젓개부(1b) 측의 반죽통(100) 내측벽에 충돌하면서 반죽됨으로써 반죽의 다양성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of the third driving motor 45 is transmitted to the third driving sprocket 45b through the third reduction gear 45a,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third driving sprocket 45b is third through the chain C. Rotating the first stator portion 1a of the internal impeller 1 coupled to the inner pupil shaft 31 by driving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to be transmitted to the driven sprocket 43. You will be able to. In this case,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part 3 is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separately from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part 3a, so that the third drive motor 45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a and 1b coupled to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and second impeller supports 3 and 3a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n the same direction or in opposite directions. When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e motor (4a) and the third drive motor (45) is different,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1a) and (1b) can be varied. There is an advantage to diversity. That is, when the first handle 1a is fast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handle 1b, the dough is biased toward the second handle 1b and the dough container 100 on the side of the second handle 1b. Kneading while impinging on the inner wall, and making the second spoon portion 1b fast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spoon portion 1a, the dough is biased toward the first spoon portion 1a and the second spoon portion 1b. By kneading while impinging on the inner wall of the kneading container 100 on the side, it is possible to give a variety of dough.

한편, 상기 외부 임펠러(2)는 상기 제1 임펠러 지지부(3) 및 제2 임펠러 지지부(3a)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중간에 외측 동공축(32)의 선단부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회전축공(21b)을 갖는 한 쌍의 수직바(21)(21a) 및, 상기 수직바(21)(21a)의 각 단부측에 한 쌍의 수평바(22)(22a)가 각각 일체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태의 회전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에 국한됨이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나, 반죽통(100)에 인접한 회전 반경으로 구동하면서 일시에 반죽물을 긁어 내는 점에서 수평바를 갖는 사각형태의 회전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제1,2 임펠러 지지부(3)(3a)의 내측 동공축(31) 및 외측 동공축(32)에 대한 양단 지지가 이루어지는 점에 보다 더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impeller (2)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and the rotary shaft hole (21b)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distal end of the outer pupil shaft 32 in the middle A pair of vertical bars (21) (21a) and a pair of horizontal bars (22) (22a) are respectively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end side of the vertical bars (21) (21a) having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It is made of a rotary body, but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but made of a rectangular rotary body having a horizontal bar at the point of scraping the dough at a time while driving at a rotation radius adjacent to the dough container 100 Not only this is preferable, but also more preferable in th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impeller support portions 3 and 3a are supported on the inner pupil shaft 31 and the outer pupil shaft 32.

그리고,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제1,2 임펠러 지지부(3)(3a)의 내측 동공축(31)에 의해서 양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봉(34)을 도시하였으나, 외부 임펠러(2)에 의해서 제1,2 임펠러 지지부(3)(3a)의 내측 동공축(31) 및 외측 동공축(32)에 대한 양단 지지가 이루어지므로 상기 지지봉(34)을 생략하여도 무방하고, 지지봉(34)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보다 큰 힘의 양단 지지가 이루어져 반죽을 위한 임펠러 구동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이와함께 상기 외부 임펠러(2)의 수평바(22)(22a)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23)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보다 효율적으로 파우더 믹싱 또는 액상 투여 믹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고무 또는 브러시, 펠트 등이 적용되어 통상의 고정방법, 예컨대 볼트 체결 등에 의해서 외부 임펠러(2)의 수평바(22)(22a)에 고정 및 부착된다.1 to 3 illustrate a support rod 34 rotatably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and second impeller supports 3 and 3a. Since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impeller support portions 3 and 3a support both the inner and outer pupil shafts 31 and 32, the support rods 34 may be omitted, and the support rods 34 may be omitted. In the case of further comprising the support of both ends of the greater force is possible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impeller drive for the dough. In addition, when the scraper 23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bars 22 and 22a of the external impeller 2 as shown in FIG. 6, powder mixing or liquid administration mixing can be more efficiently performed. Rubber or a brush, a felt or the like is applied to fix and attach to the horizontal bars 22, 22a of the external impeller 2 by a conventional fixing method such as bolt fastening.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특징은 역전장치를 이용해 제1 임펠러 지지부(3) 및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 및 외측 동공축(32)에 대한 동력전달수단이 집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콤팩트와 및 단순화를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즉, 여기서는 상기 지지봉(34)을 반드시 필요로 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스프로킷 및 체인, 기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제1 젓개부(1a)와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제2 젓개부(1b)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FIG. 4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eatures of the inverting device include an inner pupil shaft 31 and an outer pupil shaft 32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It is to provide a compact and simplification of the device by allowing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o be intensive. In other words, the support rod 34 is necessary here, and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can be used without the use of a separate sprocket, chain and gear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andle portion 1b of the handle portion 1a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portion 3a can b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측 구동부(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내측 구동부(4)는 제2 구동모터(4a) 및 제2 원동스프로킷(4c)을 갖는 제2 감속기(4b)와, 상기 제2 원동스프로킷(4c)과 체인(C)으로 연결되고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의 후단부 및 지지봉(34)의 일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피동스프로킷(41)과, 상기 제1 피동스프로킷(41)의 타측부 지지봉(34) 상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봉(34)의 회전력을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내측 동공축(31) 측으로 역회전시켜 전달하는 역전장치(V)로 구성한 것이다.Referring to this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outer drive unit 5 is the same as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drive unit ( 4)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ducer 4b having the second drive motor 4a and the second drive sprocket 4c, the second drive sprocket 4c and the chain C,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On the first driven sprocket 41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end of the inner pupil shaft 31 and one end of the support rod 34 and the other side support rod 34 of the first driven sprocket 41 It is provided with a reversing device (V) is provided to rotate by rota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upport rod 34 toward the inner pupil shaft 31 side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이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2 구동모터(4a)의 구동력이 제2 감속기(4b)를 통해 제2 원동스프로킷(4c)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2 원동스프로킷(4c)의 구동력은 체인(C)을 통해 제1 피동스프로킷(41)으로 전달되어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 및 지지봉(34)을 함께 동일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지지봉(34)을 통해 전달된 구동력은 역전장치(V)에 의해서 회전방향이 역전되어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내측 동공축(31)으로 전달되어 제1,2 임펠러 지지부(3)(3a)의 내측 동공축(31)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2 임펠러 지지부(3)(3a)의 내측 동공축(31)에 결합된 제1 젓개부(1a) 및 제2 젓개부(1b)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motor 4a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riving sprocket 4c through the second reduction gear 4b,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sprocket 4c is the chain C.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riven sprocket 41 to drive the inner pupil shaft 31 and the support rod 34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in the same direction together, and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 rod 34 is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reversed by the reversing apparatus V and transmitted to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to drive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and second impeller supports 3 and 3a.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first handle portion (1a)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1b) coupled to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and second impeller support (3) (3a) in opposite directions. .

한편, 상기 역전장치(V)는 본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곡물 반죽기의 역전장치를 적용한 것으로서, 일 례로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34)과 결합된 입력측 스퍼어기어(46a)와, 내측 동공축(31)에 결합된 출력측 스퍼어기어(46b)와, 연동 스퍼어기어(46c)에 의해서 입력측 스퍼어기어(46a)와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단독 아이들기어(46e) 및, 상기 제1 단독 아이들기어(46e)로부터 지지축(46d)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동일 방향으로 회전함은 물론 출력측 스퍼어기어(46b)에 치합된 제2 단독 아이들기어(46f)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versing device (V) is applied to the reversing device of the grain kneader as previously selected by the applicant, for example, the input side spur gear 46a coupled with the support rod 34 as shown in Figure 5a to 5c ), The first single idle gear (1)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input side spur gear 46a by the output side spur gear 46b coupled to the inner pupil shaft 31 and the interlocking spur gear 46c. 46e) and a second single idle gear 46f engaged with the output side spur gear 46b as well as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single idle gear 46e through the support shaft 46d. It consists of.

이같이 구성된 역전장치(V)는 지지봉(34)을 통하여 입력된 구동력은 상기 지지봉(34)에 구비된 입력측 스퍼어기어(46a)로 전달되어 입력측 스퍼어기어(46a)가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고, 입력측 스퍼어기어(46a)의 회전력은 다시 입력측 스퍼어기어(46a)에 치합된 연동 스퍼어기어(46c)로 전달되어 상기 연동 스퍼어기어(46c)가 입력측 스퍼어기어(46a)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reversing apparatus V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riven by the driving force input through the support rod 34 to the input side spur gear 46a provided in the support rod 34 so that the input side spur gear 46a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nput side spur gear 46a is transmitted to the interlocking spur gear 46c meshed with the input side spur gear 46a so that the interlocking spur gear 46c is opposite to the input side spur gear 46a. Will rotate.

또한 연동 스퍼어기어(46a)의 회전력은 연동 스퍼어기어(46c)에 치합된 제1 단독 아이들기어(46e)로 전달되어 상기 제1 단독 아이들기어(46e)가 연동 스퍼어기어(46c)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단독 아이들기어(46e)의 회전력은 상기 제1 단독 아이들기어(46e)와 지지축(46d)으로 연결된 제2 단독 아이들기어(46f)로 전달되어 제2 단독 아이들기어(46f)가 제1 단독 아이들기어(46e)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2 단독 아이들기어(46f)의 회전력은 제2 단독 아이들기어(46f)에 치합되고 내측 동공축(31)에 결합된 출력측 스퍼어기어(46b)로 전달되어 상기 출력측 스퍼어기어(46b)가 내측 동공축(31)과 함께 제2 단독 아이들기어(46f)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지지봉(34) 및 내측 동공축(31)에 결합된 제1 젓개부(1a)를 제2 젓개부(1b)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nterlocking spur gear 46a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ingle idle gear 46e meshed with the interlocking spur gear 46c so that the first single idle gear 46e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spur gear 46c.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sole idle gear 46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ole idle gear 46f connected to the first sole idle gear 46e and the support shaft 46d so as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 sole idle gear 46e. The gear 46f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ole idle gear 46e,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sole idle gear 46f is meshed with the second sole idle gear 46f and is applied to the inner pupil shaft 31. The output rod spur gear 46b is coupled to the output side spur gear 46b so that the output side spur gear 46b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cond sole idle gear 46f together with the inner pupil shaft 31. Rotating the first paddle portion 1a coupled to the inner pupil shaft 3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paddle portion 1b. It will be able to kill.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특징은 제2 구동모터(4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감속 구동하는 제2 감속기(4b)에 역회전 구동부(6)를 결합시켜 상기 제2 감속기(4b)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갖는 2개의 출력이 나와 제1,2 임펠러 지지부(3)(3a)에 의해서 양단이 지지되는 지지봉(34)의 일측에 지지봉(34)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 제1 젓개부(1a)와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의 선단부에 결합된 제2 젓개부(1b)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같이 기기의 단순화 및 동력 전달의 다양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FIG. 6 show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everse rotation drive unit 6 is coupled to a second reducer 4b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drive motor 4a and drives the speed reduction. Two outputs having rotational driving forces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two reduction gears 4b come out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rods 34 on one side of the supporting rods 34 which are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first and second impeller supports 3 and 3a.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rotate the second stopper (1b) coupl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impeller (1a)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coupled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As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plification of the device and the variety of power transmission are provided.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역회전 구동부(6)는 제2 감속기(4b)와 연결된 제1 구동축(61) 및, 상기 제1 구동축(61)과 평행하게 구비된 제2 구동축(61a)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축(61) 및 제2 구동축(61a) 상에는 제1 구동기어(62) 및 제2 구동기어(62a)가 서로 치합되게 설치됨은 물론 제1 구동축(61) 및 제2 구동축(61a)의 각 단부에 제1 구동스프로킷(63) 및 제2 구동스프로킷(63a)을 설치하여 제2 임펠러 지지부(3a) 측의 지지봉(34) 단부측에 구비된 제1 종동스프로킷(64) 및 제2 임펠러 지지부(3a) 측의 내측 동공축(31) 단부측에 구비된 제2 종동스프로킷(64a)과 체인(C)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more detail, the reverse rotation drive unit 6 includes a first drive shaft 61 connected to the second reducer 4b and a second drive shaft 61a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drive shaft 61. The first drive shaft 62 and the second drive gear 62a are provid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on the first drive shaft 61 and the second drive shaft 61a, as well as the first drive shaft 61 and the second drive shaft. The first driven sprocket 64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pporting rod 34 on the side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by installing the first driving sprocket 63 and the second driving sprocket 63a at each end of the 61a. And a second driven sprocket 64a and a chain C provided at the end side of the inner pupil shaft 31 on the side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2 감속기(4b)가 제2 구동모터(4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역회전 구동부(6)의 제1 구동축(61)이 회전하면, 제1 구동축(61) 상에 설치된 제1 구동기어(62)가 회전하고 상기 제1 구동기어(62)에 치합된 제2 구동축(61a) 상의 제2 구동기어(62a)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1 구동축(61)과 제2 구동축(61a)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력을 갖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drive 4b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drive motor 4a and the first drive shaft 61 of the reverse rotation drive unit 6 rotates, the second reducer 4b is installed on the first drive shaft 61. As the first drive gear 62 rotates and the second drive gear 62a on the second drive shaft 61a meshed with the first drive gear 62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first drive shaft 61 and the first drive gear 62 are rotated. The two drive shafts 61a have rotational driving force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이에 따라 상기 제1 구동축(61) 및 제2 구동축(61a)의 각 단부에 설치된 제1 구동스프로킷(63) 및 제2 구동스프로킷(63a)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구동스프로킷(63) 및 제2 구동스프로킷(63a)의 회전력은 체인(C)을 통해 제2 임펠러 지지부(3a) 측의 지지봉(34) 및 내측 동공축(31) 상에 설치된 제1 종동스프로킷(64) 및 제2 종동스프로킷(64a)으로 전달되어 상기 지지봉(34) 및 내측 동공축(31)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봉(34) 상에 설치된 제1 젓개부(1a)와 내측 동공축(31)에 설치된 제2 젓개부(1b)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및 구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first drive sprocket 63 and the second drive sprocket 63a installed at each end of the first drive shaft 61 and the second drive shaft 61a als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first drive sprocket ( 63) and the first driven sprocket 64 provided on the support rod 34 and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side through the chain C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drive sprocket 63a; The first stopper portion 1a and the inner pupil shaft 31 which are delivered to the second driven sprocket 64a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rod 34 by rotating the support rod 34 and the inner pupil shaft 31 in opposite directions. It is to be able to rotate and dri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the second handle (1b) installed in.

이같이 본 발명은 파우더류 및 물엿 반죽시 반죽통의 양내측에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서로 대향되게 동일축 선상에 설치된 임펠러가 닿지 않는 반죽통의 내측벽에 파우더 및 물엿 등이 달라 붙는 반죽 사각지대를, 반죽통에 인접한 회전반경을 갖는 외부 임펠러를 이용하여 반죽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der and syrup to stick to the inner wall of the kneading bowl which does not touch the impeller installed on the same axis so as to face the first and second spoon parts on both inner sides of the kneading container when the powders and the syrup are kneaded. Dough blind spo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blind spot by using an external impeller having a rotation radius adjacent to the kneading barrel.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곡물 반죽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limit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내부 임펠러 1a,1b: 제1,2 젓개부
2: 외부 임펠러 3,3a: 제1,2 임펠러 지지부
4: 내측 구동부 4a: 제2 구동모터
4b: 제2 감속기 4c: 제2 원동스프로킷
5: 외측 구동부 5a: 제1 구동모터
5b: 제1 감속기 5c: 제 원동스프로킷
5d: 종동스프로킷 21,21a: 수직바
21b: 회전축공 22,22a: 수평바
23: 스크래퍼 31: 내측 동공축
32: 외측 동공축 33: 동공축 하우징
34: 지지봉 42: 전동축
42a,42b: 제1,2 전동스프로킷 43: 제3 피동스프로킷
44: 제1 역회전기어 44a: 회전축
44b: 제3 전동스프로킷 44c: 제2 역회전기어
45: 제3 구동모터 45a: 제3 감속기
45b: 제3 원동스프로킷 V: 역전장치
1: internal impeller 1a, 1b: 1st, 2nd
2: external impeller 3,3a: first and second impeller support
4: inner drive part 4a: second drive motor
4b: second reducer 4c: second prime sprocket
5: outer drive part 5a: first drive motor
5b: first reducer 5c: primary drive sprocket
5d: driven sprocket 21, 21a: vertical bar
21b: rotating shaft hole 22,22a: horizontal bar
23: scraper 31: inner pupil shaft
32: outer pupil shaft 33: pupil shaft housing
34: support rod 42: electric shaft
42a, 42b: 1st, 2nd electric sprocket 43: 3rd driven sprocket
44: first reverse rotation gear 44a: rotating shaft
44b: 3rd electric sprocket 44c: 2nd reverse rotation gear
45: third drive motor 45a: third reduction gear
45b: 3rd drive sprocket V: reversing apparatus

Claims (10)

반죽통의 내부 양측에 한 쌍의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서로 대향되게 축설되어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반죽통 내부에 투입된 곡물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하도록 구성된 곡물 반죽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젓개부(1a) 및 제2 젓개부(1b)로 이루어진 내부 임펠러(1)와;
상기 내부 임펠러(1)의 외측에 축설되고, 반죽통(100)의 내측벽에 인접한 회전 반경을 갖는 외부 임펠러(2)와;
상기 반죽통(100)의 양측을 관통하여 설치됨은 물론 선단부에 내부 임펠러(1)가 결합되는 내측 동공축(31) 및, 상기 내측 동공축(31)을 외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선단부에 외부 임펠러(2)가 결합되는 외측 동공축(32)과, 반죽통(100)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 동공축(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공축 하우징(33)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1 임펠러 지지부(3) 및 제2 임펠러 지지부(3a)와;
상기 제1 임펠러 지지부(3) 및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을 구동시키는 내측 구동부(4) 및, 외측 동공축(32)을 구동시키는 외측 구동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곡물 반죽기.
In a grain kneading machine configured to knead the grain powder introduced into the kneading bowl with water while being rotated by receiving an external power by pairing the first and the second chopsticks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kneading bowl,
An internal impeller 1 comprising the first paddle 1a and the second paddle 1b;
An outer impeller 2 arranged outside the inner impeller 1 and having a rotation radius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kneading container 100;
It is installed to penetrate both sides of the kneading container 100 as well as the inner pupil shaft 31 to which the inner impeller 1 is coupled to the front end, and the inner pupil shaft 31 is rotatably supported from the outside and external to the front end. A pair of outer pupil shafts 32 to which the impeller 2 is coupled, and a pupil shaft housing 33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kneading container 100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outer pupil shafts 32. A first impeller support 3 and a second impeller support 3a;
And an inner drive part 4 for driving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part 3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part 3a, and an outer drive part 5 for driving the outer pupil axis 32. Grain knead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임펠러(2)는 제1 임펠러 지지부(3) 및 제2 임펠러 지지부(3a)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중간에 외측 동공축(32)의 선단부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회전축공(21b)을 갖는 한 쌍의 수직바(21)(21a) 및, 상기 수직바(21)(21a)의 각 단부측에 한 쌍의 수평바(22)(22a)가 각각 일체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태의 회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곡물 반죽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rnal impeller 2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and has a rotary shaft hole 21b that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distal end of the outer pupil shaft 32 in the middle. A pair of vertical bars 21 and 21a and a pair of horizontal bars 22 and 22a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end side of the vertical bars 21 and 21a, respectively, to form a rectangular rotary body as a whole. Grain knead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임펠러(2)는 스크래퍼(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곡물 반죽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xternal impeller (2) further comprises a scraper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구동부(5)는 제1 구동모터(5a) 및 제1 원동스프로킷(5c)을 갖는 제1 감속기(5b)와;
상기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외측 동공축(32) 후방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체인(C)에 의해 상기 제1 원동스프로킷(5c)과 연동하는 종동 스프로킷(5d)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곡물 반죽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drive unit 5 includes a first reducer 5b having a first drive motor 5a and a first motive sprocket 5c;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driven sprocket 5d integrally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outer pupil shaft 32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and linked with the first prime sprocket 5c by a chain C. Grain Kneader.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구동부(4)는 제2 구동모터(4a) 및 제2 원동스프로킷(4c)을 갖는 제2 감속기(4b)와;
상기 제2 원동스프로킷(4c)과 체인(C)으로 연결되고,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2 피동스프로킷(41a)을 갖는 제1 피동스프로킷(41)과;
상기 제2 피동스프로킷(41a)과 체인(C)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내측 동공축(31)과 평행한 전동축(42)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전동스프로킷(42a)과;
상기 제1 전동스프로킷(42a)의 타측 전동축(42) 상에 축설되는 제2 전동스프로킷(42b)과;
상기 제2 전동스프로킷(42b)과 체인(C)으로 연결되고,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내측 동공축(31)의 후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3 피동스프로킷(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곡물 반죽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inner drive unit 4 includes a second reducer 4b having a second drive motor 4a and a second motive sprocket 4c;
A second driving sprocket 4c connected to the chain C and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and having a second driven sprocket 41a; 1 driven sprocket 41;
A first electric sprocket 42a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n sprocket 41a and a chain C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lectric shaft 42 parallel to the inner pupil shaft 31;
A second transmission sprocket 42b arranged on the other transmission shaft 42 of the first transmission sprocket 42a;
And a third driven sprocket 43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 sprocket 42b and the chain C and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Features grain kneader.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구동부(4)는 제2 구동모터(4a) 및 제2 원동스프로킷(4c)을 갖는 제2 감속기(4b)와;
상기 제2 원동스프로킷(4c)과 체인(C)으로 연결되고,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2 피동스프로킷(41a)을 갖는 제1 피동스프로킷(41)과;
상기 제2 피동스프로킷(41a)과 체인(C)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내측 동공축(31)과 평행한 전동축(42)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전동스프로킷(42a)과;
상기 제1 전동스프로킷(42a)의 타측 전동축(42) 상에 축설되는 제1 역회전 기어(44) 및, 상기 제1 역회전 기어(44)에 치합되고, 제3 전동스프로킷(44b)을 갖는 회전축(44a)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역회전 기어(44c)와;
상기 제3 전동스프로킷(44b)과 체인(C)으로 연결되고,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내측 동공축(31)의 후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3 피동스프로킷(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곡물 반죽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inner drive unit 4 includes a second reducer 4b having a second drive motor 4a and a second motive sprocket 4c;
A second driving sprocket 4c connected to the chain C and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and having a second driven sprocket 41a; 1 driven sprocket 41;
A first electric sprocket 42a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n sprocket 41a and a chain C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lectric shaft 42 parallel to the inner pupil shaft 31;
The first reverse rotation gear 44 and the first reverse rotation gear 44 that are arranged on the other transmission shaft 42 of the first transmission sprocket 42a are engaged with the third transmission sprocket 44b. A second reverse gear 44c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44a having;
And a third driven sprocket 43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ic sprocket 44b and a chain C and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Features grain kneader.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구동부(4)는 제2 구동모터(4a) 및 제2 원동스프로킷(4c)을 갖는 제2 감속기(4b)와;
상기 제2 원동스프로킷(4c)과 체인(C)으로 연결되고,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피동스프로킷(41)과;
상기 제1 피동스프로킷(41)의 타측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내측 동공축(31)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3 피동스프로킷(43)과;
상기 제3 피동스프로킷(43)과 체인(C)으로 연결되는 제3 원동스프로킷(45b)을 갖는 제3 감속기(45a) 및 제3 구동모터(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곡물 반죽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inner drive unit 4 includes a second reducer 4b having a second drive motor 4a and a second motive sprocket 4c;
A first driven sprocket (41) connected to the second motive sprocket (4c) by a chain (C) and integrally formed at a rear end of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A third driven sprocket (43)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other first impeller support portion (3) of the first driven sprocket (41);
And a third reduction gear (45a) and a third driving motor (45) having a third driving sprocket (45b) connected to the third driven sprocket (43) and the chain (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 지지부(3) 및 제2 임펠러 지지부(3a)는 양단부가 내측 동공축(31)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고 베어링(B)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봉(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곡물 반죽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impeller support portion 3 and the second impeller support portion 3a further include support rods 34 whose both ends penetrat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inner pupil shaft 31 and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bearing B. Grain knead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구동부(4)는 제2 구동모터(4a) 및 제2 원동스프로킷(4c)을 갖는 제2 감속기(4b)와;
상기 제2 원동스프로킷(4c)과 체인(C)으로 연결되고 제2 임펠러 지지부(3a)의 내측 동공축(31)의 후단부 및 지지봉(34)의 일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피동스프로킷(41)과;
상기 제1 피동스프로킷(41)의 타측부 지지봉(34) 상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봉(34)의 회전력을 제1 임펠러 지지부(3)의 내측 동공축(31) 측으로 역회전시켜 전달하는 역전장치(V);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곡물 반죽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8,
The inner drive unit 4 includes a second reducer 4b having a second drive motor 4a and a second motive sprocket 4c;
The first driven sprocket connected to the second motive sprocket 4c and the chain C and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second impeller support 3a and the one end of the support rod 34. (41);
A reversing apparatus provided on the other side support rod 34 of the first driven sprocket 41 to reversely rotate and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upport rod 34 to the inner pupil shaft 31 side of the first impeller support 3. V); consisting of grain kneader.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구동부(4)는, 제2 구동모터(4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감속 구동하는 제2 감속기(4b)와;
상기 제2 감속기(4b)에 연결된 제1 구동축(61) 상에 제1 구동기어(62)를 설치하고, 상기 제1 구동축(61)과 평행하게 구비된 제2 구동축(61a) 상에는 제1 구동기어(62)와 치합되게 제2 구동기어(62a)를 설치한 역회전 구동부(6)와;
상기 역회전 구동부(6)의 제1 구동축(61) 및 제2 구동축(61a)의 각 단부측에 설치된 제1 구동스프로킷(63) 및 제2 구동스프로킷(63a)과;
상기 제2 임펠러 지지부(3a) 측의 지지봉(34) 및 내측 동공축(31)의 후단부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1 구동스프로킷(63) 및 제2 구동스프로킷(63a)으로부터 체인(C)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지지봉(34) 및 내측 동공축(31)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제1 종동스프로킷(64) 및 제2 종동스프로킷(64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곡물 반죽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8,
The inner drive unit 4 includes: a second reducer 4b that receives the power from the second drive motor 4a and drives the speed reduction;
The first drive gear 62 is installed on the first drive shaft 61 connected to the second reducer 4b, and the first drive is provided on the second drive shaft 61a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drive shaft 61. A reverse rotation drive unit 6 in which a second drive gear 62a is provided to engage with the gear 62;
A first drive sprocket 63 and a second drive sprocket 63a provided at each end side of the first drive shaft 61 and the second drive shaft 61a of the reverse rotation drive unit 6;
It is provided at the back end side of the support rod 34 and the inner pupil shaft 31 of the said 2nd impeller support part 3a, respectively, and is connected to the chain C from the 1st drive sprocket 63 and the 2nd drive sprocket 63a. And a first driven sprocket (64) and a second driven sprocket (64a)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o rotate and support the support rod (34) and the inner pupil shaft (31) in opposite directions.
KR1020110104378A 2011-10-13 2011-10-13 A grain mixer KR1013227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378A KR101322741B1 (en) 2011-10-13 2011-10-13 A grain mix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378A KR101322741B1 (en) 2011-10-13 2011-10-13 A grain mix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800A KR20130039800A (en) 2013-04-23
KR101322741B1 true KR101322741B1 (en) 2013-10-28

Family

ID=4843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378A KR101322741B1 (en) 2011-10-13 2011-10-13 A grain mix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7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1710B (en) * 2022-06-30 2023-12-22 镇江丹和醋业有限公司 Device for quality control of manual vineg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566A (en) * 1996-06-21 1998-01-13 Iizuka Kosakusho:Kk Stirrer
KR200241844Y1 (en) * 2001-05-17 2001-10-15 이영재 Small dough machine
JP2010088312A (en) * 2008-10-06 2010-04-22 Susumu Natsume Steaming kneader
KR20110027497A (en) * 2009-09-10 2011-03-16 곽쾌열 Blen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566A (en) * 1996-06-21 1998-01-13 Iizuka Kosakusho:Kk Stirrer
KR200241844Y1 (en) * 2001-05-17 2001-10-15 이영재 Small dough machine
JP2010088312A (en) * 2008-10-06 2010-04-22 Susumu Natsume Steaming kneader
KR20110027497A (en) * 2009-09-10 2011-03-16 곽쾌열 Ble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800A (en) 201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6227B2 (en) Food blending appliance with wiper assembly
CN103202324B (en) Food kneading equipment
CN203291781U (en) Mixing device
CN107006590A (en) A kind of two-sided cleaning device of aquatic products
KR101269844B1 (en) A grain mixer
CN202570007U (en) Triple agitating device for mulser
US201400788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ixing of Solid, Liquid, or Gaseous Materials and Combinations Thereof
CN213369666U (en) Roll and rub device convenient to beasts and birds product processing is used
KR101224226B1 (en) A noodle making machine all in one mixer
KR101322741B1 (en) A grain mixer
KR102289010B1 (en) kneading machine
CN104028138A (en) Agitator
CN205340616U (en) Double -shaft mixer is used in bio - organic fertilizer production
KR101264975B1 (en) A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grain mixer
US10660341B2 (en) Counter-rotating dough making mechanism
US5971602A (en) Eccentrically mounted drum mixer with internal mixing devices
CN214210238U (en) Even agitating unit of pet flavouring agent
CN203955082U (en) A kind of agitator
CN203860337U (en) Food kneading equipment
JP2014205094A (en) Beater and mixer using the same
KR101760564B1 (en) Kneading machine for fish paste
KR20130036272A (en) A grain kneader
CN212650324U (en) Moon cake flour-mixing machine
CN201432365Y (en) Stirring hopper for mixing silt and curing agent
KR20110027497A (en) Ble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