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590B1 -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590B1
KR101319590B1 KR1020070016071A KR20070016071A KR101319590B1 KR 101319590 B1 KR101319590 B1 KR 101319590B1 KR 1020070016071 A KR1020070016071 A KR 1020070016071A KR 20070016071 A KR20070016071 A KR 20070016071A KR 101319590 B1 KR101319590 B1 KR 101319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fastenin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6309A (ko
Inventor
원주연
박상훈
최재창
남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590B1/ko
Priority to US12/070,243 priority patent/US8031291B2/en
Publication of KR2008007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블릿 컴퓨터의 초박형화를 구현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액정표시패널과 연결되고, 회로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구동 회로부와, 액정표시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샤시 및 구동 회로부의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탑 샤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가 제공된다.
디지타이저, 태블릿 컴퓨터, 액정표시장치, 체결부재, 인쇄회로기판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ablet personal computer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액정표시장치의 인쇄회로기판과 탑 샤시를 체결하는 체결부재의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인쇄회로기판에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액정표시패널의 개략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몰드 프레임과 탑 샤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인쇄회로기판을 탑 샤시에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체결부재의 변형예들을 각각 도시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액정표시패널 200: 구동 회로부
300: 탑 샤시 310: 체결돌기
350: 백 커버(Back Cover) 400: 광원 유닛
500: 도광판 600: 디지타이저
700: 광학 시트 800: 몰드 프레임
900: 체결부재 1200: 고정부재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제어용 스위치들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광의 투과량이 조절되어 액정표시장치의 패널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전력구동, 풀-컬러, 고해상도 구현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현재 액정표시장치는 컴퓨터, 태블릿 PC, 노트북, PDA, 전화기, TV 등 에서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가 적용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중 태블릿 PC의 경우, 최근 초박형 크기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면서, 태블릿 PC의 초박형화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태블릿 PC의 초박형화를 위하여 공정 및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태블릿 컴퓨터의 초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연결되고, 회로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구동 회로부;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샤시; 및 상기 구동 회로부의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탑 샤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위치 좌표를 입력하기 위한 디지타이저; 및 제1 수납 공간과 제2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 공간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수납되며, 상기 제2 수납 공간에는 상기 디지타이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된다.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절곡되어 상기 디지타이저 상에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탑 샤시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회로 부품이 실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돌출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와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제1 체결부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홈 또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는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탑 샤시의 체결 돌기는 양단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제1 체결부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제1 체결부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홈 또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제2 체결부 및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바디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바디 상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비전도성 탄성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연결되고, 회로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구동 회로부;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샤시; 및 상기 구동 회로부의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탑 샤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및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탑 샤시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태블릿 컴퓨터가 제공된다.
상기 탑 샤시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회로 부품이 실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돌출부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돌출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와 체결된다.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는 양단이 관통된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결합홀과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에 삽입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위치 좌표를 입력하기 위한 디지타이저; 제1 수납 공간과 제2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 공간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수 납되며, 상기 제2 수납 공간에는 상기 디지타이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된다.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절곡되어 상기 디지타이저 상에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비전도성 탄성 재질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0), 구동 회로부(200), 탑 샤시(300), 백 커버(350), 광원 유닛(400), 도광판(500), 디지타이저(digitizer)(600), 광학 시트(700), 몰드 프레임(800) 및 체결 부재(900)를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00)은 컬러 필터 기판(110)과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rm transistor; TFT) 기판(120)을 포함한다. 컬러 필터 기판(110)은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GB 화소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컬러 필터 기판의 전면에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명한 도전체로 이루어진 공통전극이 도포되어 있다. TFT 기판(120)은 매트릭스 형태의 TFT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 기판이다. TFT들의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인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연결되어,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면 각각의 TFT가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되어 드레인 단자의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TFT 기판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TFT를 턴-온시키면 화소 전극과, 컬러 필터 기판의 공통 전극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TFT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에 따라 광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구동 회로부(200)는 액정표시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하여, 액정표시패널(100)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고,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 회로부(200)는 연성 인쇄회로기판(210), 구동 IC(220) 및 인쇄회로기판(250)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250)은 다양한 회로 부품들이 실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30)와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측부에 형성된 돌출부(240)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의 베이스 플레이트(230)에는 콘트롤 IC를 비롯한 액정표시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회로 부품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종류의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DC-DC 컨버터 회로 및 그레이 스케일을 전압 출력하기 위한 감마(gamma) 표준 전압 발생기 등이 실장된다. 돌출부(240)는 이하에서 상술될 체결부재(900)의 제1 체결부(920; 도 3a 내지 도 3c 참조)과 체결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230)와 돌출부(2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210)은 인쇄회로기판(230)과 액정표시패널(100)의 TFT 기판(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연성인쇄회로기판(210)에는 구동 IC(220)가 탑재되어 있어, 인쇄회로기판(210)으로부터 생성된 RGB(Read, Green, Blue) 신호 및 디지털 전원 등을 액정표시패널(10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TAB(Tape-Automated Bonding) 실장 방식을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구동 IC(220)가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222, 242)에 탑재되지 않고,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설치되는 COG(Chip On Glass) 실장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게이트측 및 데이터측 인쇄회로기판을 통합한 단일의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과 데이터측 인쇄회로기판을 분리하여 액정표시패널에 연결할 수도 있다.
탑 샤시(300)는 액정표시패널(100) 및 구동 회로부(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평면부(301)와 평면부(301)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측벽부(305)를 갖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탑 샤시(300)의 측벽부(305)에는 결합부(310)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310)는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즉, 결합부(310)는 내측 방향 즉, 액정표시패널(100)이 수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310)는 탑 샤시(300)의 측벽부(30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310)의 양단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부(310)는 탑 샤시(300) 제조 시, 탑 샤시(300)의 측벽부(305)를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측벽부(305) 일부를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광원 유닛(400)은 램프(410) 및 램프 리플렉터(430)를 포함한다. 램프(410)는 냉음극 형광램프 또는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램프(41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I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램프 리플렉터(430)는 램프(410)에서 방사상으로 발생한 광을 도광판(500)으로 반사시켜 출사되도록 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광원 유닛(400)에 사용되는 광원으로 램프가 이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 다이오드 등 다양한 형태의 광원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광판(500)은 램프 리플렉터(430)와 결합되어 광원 유닛(400)에서 발생된 선광원 형태의 광학 분포를 갖는 광을 면광원 형태의 광학 분포를 갖는 광으로 변경한다. 광학 시트(700)는 도광판(500) 상부에 배치되어 도광판(500)에서 출사된 광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디지타이저(600)는 2차원 위치 즉, X, Y 위치 좌표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디지타이저(600)는 액정표시패널(100) 상에 스타일러스와 같은 펜을 이용하여 입력된 위치 좌표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지타이저(600)는 사진의 영상이나 텍스트의 선 등을 전자 비트로 분해하여 컴퓨터에 기억 및 저장시키고 필요할 때 재생하여 본래의 영상을 재현한다. 디지타이저(600)는 액정표시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200)와 연결되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입력 위치 좌표를 액정표시패널(100)에 디스플레이한다.
몰드 프레임(800)은 그 내부에 제1 수납 공간과 제2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제1 수납 공간은 상부 수납 공간 즉, 액정표시패널(100)과 대향하고 있는 수납 공간이며, 제2 수납 공간은 하부 수납 공간 즉, 백 커버(350)와 대향하고 있는 수납 공간을 의미한다. 몰드 프레임(800)의 제1 수납 공간에는 백라이트 유닛 즉, 광원 유닛(400), 도광판(500) 및 광학 시트(700)와 액정표시패널(100)이 수납되며, 몰드 프레임(800)의 제2 수납 공간에는 디지타이저(600)와 구동 회로부(200)의 인쇄회로기판(250)이 수납된다. 이때, 구동 회로부(200)의 연성 인쇄회로기판(210)은 몰드 프레임(800)의 측벽을 따라 절곡되며, 연성 인쇄회로기판(210)의 일 단과 연결된 인쇄회로기판(250)은 몰드 프레임(800)의 제2 수납 공간에 배치된다. 몰드 프레임(800)의 제2 수납 공간에는 디지타이저(600)가 먼저 배치되며, 디지타이저(600)의 하부에 인쇄회로기판(250)이 배치된다(도 2 참조). 즉, 디지타이저(600)는 몰드 프레임(800)과 인쇄회로기판(250) 사이에 배치된다.
체결부재(900)는 구동 회로부(200)의 인쇄회로기판(250)을 액정표시장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체결부재(900)는 탑 샤시(300)의 결합부(310)와 인쇄회로기판(250)의 돌출부(240)에 체결된다. 즉, 인쇄회로기판(250)의 돌출부(240)는 체결부재(90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체결부재(900)는 탑 샤시(300)의 결합부(310)와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50)은 탑 샤시(300)에 고정된다. 이때, 체결부재(900)는 비전도성이면서, 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900)의 구성 및 체결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 히 살펴본다.
백 커버(350)는 몰드 프레임(8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디지타이저(60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액정표시장치의 인쇄회로기판과 탑 샤시를 체결하는 체결부재의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인쇄회로기판에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액정표시패널의 개략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체결부재(900)는 바디부(910), 제1 체결부(920)및 제2 체결부(930)를 포함한다.
바디부(910)는 제1 바디(911)와 제1 바디(91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바디(915)를 포함하며, 제1 체결부(920)는 제1 바디(911) 상에 형성되며, 제2 체결부(930)는 제2 바디(915) 상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체결부(920)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체결부(930)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900)의 제1 체결부(920)는 인쇄회로기판(250)의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2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240)의 형태 및 크기에 상응하게 형성된다(도 4a 및 도 4b 참조). 또한, 체결부재(900)의 제2 체결부(930)는 탑 샤시(300)의 측벽부에 형성된 돌기 형태로 형성된 결합부(310)(도 5 참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부(310)의 형태 및 크기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바디부(910)는 제1 바디(911)와 제2 바디(915)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L자 형태로 형성되나, 바디부(9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육면체의 형태(도 7 참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체결부재(900)는 비전도성이면서, 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재질로 구성된다. 디지타이저(600)의 경우 금속 물질과 접촉하면, 오작동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가급적 금속 물질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따라서, 디지타이저(600)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체결부재는 비전도성 탄성 재질로 형성해야 디지타이저(6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몰드 프레임과 탑 샤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에는 액정표시장치의 몰드 프레임(800)과 탑 샤시(300)가 체결된 상태가 도시된다.
탑 샤시(300)의 양 측벽부에는 각각 결합부(310)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310)는 탑 샤시(300)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부(310)는 양단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나, 결합부(31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31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몰드 프레임(800)의 영역에는 체결부재(900)를 수용하기 위하여, 몰드 프레임(800)의 측벽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수용부(830)가 마련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인쇄회로기판을 탑 샤시에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우선 체결부재(900)의 제1 체결부(920)와 인쇄회로기판(250)의 돌출부(240)와 체결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250)의 돌출부(240)는 홈 형태로 형성된 제1 체결부(920)에 삽입되어 체결된다(도 6a 참조).
그 다음에, 체결부재(900)의 제2 체결부(930)는 탑 샤시(300)의 돌기 형태로 형성된 결합부(3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도 6b 및 도 6c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체결부재(900)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250)을 탑 샤시(300)에 고정하게 되면, 체결부재(900)가 디지타이저(600)에 접촉하더라도, 체결부재(900)가 비전도성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지타이저(6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부 충격이나 진동 시에도, 체결부재(900)가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시켜주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이 파손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체결부재의 변형예들을 각각 도시한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체결부재(900)는 바디부(910), 제1 체결부(920)및 제2 체결부(930)를 포함한다. 바디부(9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바디부(910)의 제1 측면에는 제1 체결부(920)가 형성되며, 제1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측면에는 제2 체결부(930)가 형성된다. 이때, 제1 체결부(920)는 인쇄회로기판(250)의 돌출부(240)의 형태 및 크기에 상응하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체결부(930)는 탑 샤시(300)의 측벽부에 돌기 형태로 형성된 결합부(310)의 형태 및 크기에 상 응하는 홈 또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체결부재(900)는 전체적으로 L자 형태로 형성된 바디부(910), 제1 체결부(920)및 제2 체결부(93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체결부(920)는 바디부(910)의 제1 측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체결부(930)는 바디부(910)의 제2 측면에 관통홀 형태로 형성된다.
탑 샤시(300)의 측벽부에는 결합부(315)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315)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된다.
체결부재(900)의 제1 체결부(920)에 인쇄회로기판(250)의 돌출부(240)가 삽입되며, 제2 체결부(930)와 탑 샤시(300)의 결합부(315)에 고정부(330)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330)는 스크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체결부재(900)는 전체적으로 L자 형태로 형성된 바디부(910), 제1 체결부(920)및 제2 체결부(935)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체결부(920)는 바디부(910)의 제1 측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체결부(935)는 바디부(910)의 제2 측면에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2 체결부(935)는 내부가 통공된 형태 즉,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탑 샤시(300)의 측벽부에는 결합부(315)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315)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된다.
체결부재(900)의 제1 체결부(920)에 인쇄회로기판(250)의 돌출부(240)가 삽 입되며, 제2 체결부(935)는 탑 샤시(300)의 결합부(31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태블릿 컴퓨터는 액정표시장치와, 컴퓨터 본체(미도시) 및 액정표시장치와 컴퓨터 본체를 수납하기 위한 프론트 케이스(1100)와 리어 케이스(1300)를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0), 구동 회로부(200), 탑 샤시(300), 백 커버(350), 램프 유닛(400), 도광판(500), 디지타이저(digitizer)(600), 광학 시트(700), 몰드 프레임(800) 및 체결 부재(900)를 포함한다.
탑 샤시(300)에는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이때 결합부(310)는 양단이 관통된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구동 회로부(200)의 인쇄회로기판(250)은 회로 부품이 실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30)와 베이스 플레이트(230)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24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900)의 제1 체결부는 인쇄회로기판(250)의 돌출부(240)와 체결되며, 제2 체결부는 탑 샤시(300)의 결합부(310)와 체결된다.
프론트 케이스(1100)는 액정표시장치의 탑 샤시(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리어 케이스(1300)는 백 커버(350) 하부에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100)는 탑 샤시(300)와 마찬가지로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며, 프론트 케이스(1100)의 측벽부에는 결합홀(1150)이 형성된다.
고정부재(1200)는 프론트 케이스(1100)에 형성된 결합홀(1150)과 탑 샤시(300)의 결합부(310)에 삽입되어, 액정표시장치와 프론트 케이스를 체결시킨다. 이때, 고정부재(1200)는 스크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함으로써, 디지타이저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충격이나 진동 시에도, 체결부재가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시켜주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이 파손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조립의 용이성이 증대되어, 보다 간편한 방식으로 태블릿 컴퓨터의 초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1)

  1.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연결되고, 회로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구동 회로부;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샤시; 및
    상기 구동 회로부의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탑 샤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제1 체결부를 갖되, 상기 제1 체결부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체결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위치 좌표를 입력하기 위한 디지타이저; 및
    제1 수납 공간과 제2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 공간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수납되며, 상기 제2 수납 공간에는 상기 디지타이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절곡되어 상기 디지타이저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탑 샤시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돌출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홈 또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는 양단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제1 체결부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홈 또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제2 체결부 및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바디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바디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비전도성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연결되고, 회로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구동 회로부;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샤시; 및 상기 구동 회로부의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탑 샤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및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탑 샤시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회로 부품이 실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부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제1 체결부를 갖되, 상기 제1 체결부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체결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컴퓨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탑 샤시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컴퓨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돌출부와 체결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컴퓨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는 양단이 관통된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결합홀과 상기 탑 샤시의 결합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컴퓨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위치 좌표를 입력하기 위한 디지타이저;
    제1 수납 공간과 제2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 공간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수납되며, 상기 제2 수납 공간에는 상기 디지타이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컴퓨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컴퓨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절곡되어 상기 디지타이저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컴퓨터.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비전도성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컴퓨터.
KR1020070016071A 2007-02-15 2007-02-15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 KR101319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071A KR101319590B1 (ko) 2007-02-15 2007-02-15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
US12/070,243 US8031291B2 (en) 2007-02-15 2008-02-15 Liquid crystal display and tablet computer having a chassis fastening member that receives a printed circuit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071A KR101319590B1 (ko) 2007-02-15 2007-02-15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309A KR20080076309A (ko) 2008-08-20
KR101319590B1 true KR101319590B1 (ko) 2013-10-16

Family

ID=3974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071A KR101319590B1 (ko) 2007-02-15 2007-02-15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31291B2 (ko)
KR (1) KR101319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19B1 (ko) * 2008-02-18 2009-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JP2011013605A (ja) * 2009-07-06 2011-01-20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TWI393953B (zh) * 2009-09-18 2013-04-21 Coretronic Corp 液晶顯示器
KR101789237B1 (ko) * 2011-01-19 2017-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WO2013108311A1 (ja) * 2012-01-16 2015-05-11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2090462B1 (ko) * 2013-08-30 2020-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WO2015047245A1 (en) 2013-09-25 2015-04-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king bar for a computer
KR102350393B1 (ko) * 2015-07-31 2022-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구조물과 그를 갖는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061A (ko) * 2002-06-19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6972963B1 (en) * 2004-07-02 2005-12-06 Chunghwa Picture Tubes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tructure for protec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chip thereon
KR20060042214A (ko) * 2004-02-25 2006-05-12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8616B (en) * 1999-11-30 2005-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06961B1 (ko) * 2002-12-30 200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061A (ko) * 2002-06-19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42214A (ko) * 2004-02-25 2006-05-12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6972963B1 (en) * 2004-07-02 2005-12-06 Chunghwa Picture Tubes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tructure for protec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chip there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31291B2 (en) 2011-10-04
US20080218655A1 (en) 2008-09-11
KR20080076309A (ko)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458E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31959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
KR10167071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7817220B2 (en) LCD including backlight unit and receiving member having a reinforcing tab extended from a base plate and bent to be in contact with an opening in a mold frame
KR101148199B1 (ko)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체결방법
KR100653052B1 (ko) 표시 장치
KR20070113838A (ko) 평판표시장치용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KR2007011987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76220A (ko) 발광 다이오드 모듈,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60090392A (ko) Emi 차폐를 위한 평판표시장치
KR20080067846A (ko) 액정 표시 장치
US7903191B2 (en) Display device
KR20070102279A (ko) 액정 표시 장치
CN113129745A (zh) 显示设备
KR20080067845A (ko) 표시 장치
KR20060079520A (ko) 회로보드 커버용 케이스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KR100821054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KR20060030190A (ko) 평판표시장치
KR20080073952A (ko) 수납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70343A (ko) 일체형 섀시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KR20070098184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84043B1 (ko) 평판표시장치
KR2007005818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54503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6811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