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024B1 -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ersonalized contents using a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ersonalized contents using a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024B1
KR101319024B1 KR1020120004487A KR20120004487A KR101319024B1 KR 101319024 B1 KR101319024 B1 KR 101319024B1 KR 1020120004487 A KR1020120004487 A KR 1020120004487A KR 20120004487 A KR20120004487 A KR 20120004487A KR 101319024 B1 KR101319024 B1 KR 101319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mobile terminal
place
location information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3707A (en
Inventor
박성배
박세영
이상조
김권양
노태길
손정우
윤희근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4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024B1/en
Publication of KR2013008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7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0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2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를 검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컨텐츠 중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의 관심 분야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명시적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단지 자동적으로 수집 가능한 자신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만으로 자동으로 생성되는 검색어를 이용하여 자신의 관심사에 부합하는 개인화된 컨텐츠를 정확하고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content, the method comprising: automatically generating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searching for at least one or more contents related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using the generated one or more search terms, and a content searching system performing the same. present. Accordingly, a user of a mobile terminal may use his or her interests by using a search word that is automatically generated only with information about his / her own mobile route, which can be automatically collected, without inputting explicit information for identifying his / her interests information. Matching personalized content can be provided accurately and easily.

Figure R1020120004487
Figure R1020120004487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화된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ERSONALIZED CONTENTS USING A MOBILE TERMINAL}Personalized content retrieval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content retrieval system performing the same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ERSONALIZED CONTENTS USING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와 관련한 컨텐츠를 검색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content searching method for searching contents related to a place visited by a user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portable mobile terminal, and a content searching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최근 들어, 개개인의 다양한 관심 정보에 부합할 수 있는 개인화된 서비스(personalized service)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화된 서비스는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등의 방법으로 수집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그러한 관심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귀찮아 하거나, 자신의 관심사를 올바르게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이 방문한 장소의 정확한 명칭을 알지 못하는 경우, 해당 장소와 관련된 웹 컨텐츠를 검색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신이 방문한 장소에 관련된 웹 컨텐츠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소형화된 스마트폰의 자판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검색란에 검색어를 입력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Recently, a system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ervice that can meet various interests of an individual has been introduced. The personalized service is based on collecting user's inter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by input or the like. However, the majority of users are bothered to input such interest information or have difficulty in correctly expressing their interests. For example, i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know the exact name of the place he visited, he may not be able to search the web content related to the place. In addition, when a user wants to search web contents related to a place visited by a user using a smartphone, it is difficult to input a search word in a search field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keyboard of a miniaturized smartphone.

게다가,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 분야를 입력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관심 분야가 변화될 경우에는 사용자 개인의 관심 분야와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들을 수정하지 않는 한, 변화된 사용자의 관심사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게 되고, 사용자가 관심을 덜 가지게 된 분야의 불필요한 컨텐츠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Moreover, even if the user is provided with personalized service by inputting his / her interests, if the user's interests are changed, the changed user's interests are accurately reflected unless the profi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interests is modified. Unnecessary contents and unnecessary contents of the field that the user is less interested i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 분야와 관련된 장소의 검색어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를 검색할 때, 사용자는 해당 장소의 물리적인 위치와 관련된 웹 컨텐츠만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현재 머물고 있는 장소가 어떤 곳인가에 대한 의미적인 정보는 간과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실제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정보 외에, 단순히 물리적인 거리가 사용자가 입력한 장소와 가깝다는 이유만으로 사용자에게 의미가 없는 정보들이 추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찾아내는데 많은 시간을 들이게 된다.In addition, when a user searches for web content using a mobile terminal with a search term of a place related to his or her area of interest, the user may receive only web content related to the physical location of the place and the user is currently staying Semantic information about what a place is is overlooked. As a result,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that may actually be of interest to the user, information that is meaningless to the user may be recommended simply because the physical distance is close to the place entered by the user,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content that the user needs. It takes a lot of time to find ou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이 방문한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나, 그 밖의 자신의 관심 분야를 파악하기 위한 명시적인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생성되는 검색어를 이용하여 자신이 방문한 장소와 관련된 정확한 컨텐츠의 검색 리스트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개인화된 컨텐츠 검색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 search term that is generated automatically without inputting a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visited by the user or other explicit information for identifying his or her interes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sonalized content retrieval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conveniently receiving a search list of accurate content related to a visited pla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물리적으로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에 가깝지 않더라도 해당 장소에 내재된 토픽과 유사한 토픽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보다 더 부합되는 개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검색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not physically close to the place visi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by recommending the content of the topic similar to the topic inherent in the place, personalization more suitable to the user's field of intere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retrieval method and a system capable of providing the provided content to a user.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컨텐츠 중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retrieval method comprising: automatically generating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searching for one or more contents related to a place correspon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using the generated one or more search terms.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 검출된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related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retrieval application unit.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 복수 개의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들을 저장하는 검색어 저장부; 및 상기 검색어들 중 검출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검색어 추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 search term storage unit which stores search terms indicating a plurality of places; And a search word extracting unit which automatically extracts at least one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among the search terms.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검출된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컨텐츠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 검색 서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retrieval system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the content retrieval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to a search server; And a content search server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searching for content using the generated at least one search term.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 검색 서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retrieval system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And a content search server searching for content using at least one or more search term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검색어 추출부; 및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컨텐츠 중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search system, including: a search word extractor configured to automatically generate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search means for searching for one or more contents related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by using the generated one or more search terms.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이 방문한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나, 그 밖의 자신의 관심 분야를 파악하기 위한 명시적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생성되는 검색어를 이용하여 자신이 방문한 장소와 관련된 정확한 컨텐츠의 검색 리스트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Search for the exact content related to the place you visited using the automatically generated search term without the user entering a search term indicating the place you visited or other information to identify your interests. Lists can be conveniently provided.

또는, 물리적으로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에 가깝지 않더라도 해당 장소에 내재된 토픽과 유사한 토픽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보다 더 부합되는 개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lternatively, even i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s not close to a place visited by the user, the user may recommend content of a topic similar to the topic inherent in the place to provide the user with personalized content that is more suitable for the user's interests. have.

또는, 물리적인 위치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와 유사하지만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지 않을만한 컨텐츠들을 필터링하여 제공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관심 정보와 관련된 기사를 찾는데 소모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hysical location may be similar to a place visi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but may provide content that may not be of interest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spends searching for articles related to the information of interest that he / she needs. It can reduce the time to do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를 실행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검색어 추출부(121)가 추출한 검색어를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토픽 추출부(55)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105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1102에서 문서의 표제어 벡터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기사의 검색 결과 리스트가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3)에 표시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eb content sear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eb content sear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screen of a mobile terminal executing a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eb content sear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odifi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1.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eb content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odifi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2.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the search word extracted by the search word extractor 121 on the display unit 13 of the mobile terminal 10.
7 is a block diagram of a web content search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eb content searc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opic extraction unit 55 illustrated in FIG. 7.
10 is an exemplary flow diagram of step 105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headword vector of a document in step 1102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0.
FIG. 12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that a search result list of an artic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8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3 of the mobile terminal 40.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Oth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accepted by the generic art in the prior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by generic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in the related art and / or in the text of this application, and may be conceptualized or overly formalized, even if not expressly defined herein I will no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and / or various forms of use of the verb include, for example,' including, '' including, '' including, '' including,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sitions, component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components.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모듈'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모듈' 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모듈' 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모듈'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블록', '~모듈' 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블록', '~모듈' 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 '~ module' used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For example,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software, FPGA, or ASIC. However, '~' and '~'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 Part', '~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part', '~ module' mean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and the like. Field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provided within '~', '~' module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 '~ block', '~ module', or additional components and ' 'Part', '~ block', '~ module' can be further sepa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자신이 방문한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 또는 사용자의 관심 분야를 파악하기 위한 명시적인 정보의 입력이 없이도,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장소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할 컨텐츠, 즉 사용자가 방문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search system includes a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visited by a user of a mobile terminal, or a location of a place visited by a user without inputting explicit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s interests. By automatically generating a search word of a corresponding place based on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with content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that is, content related to the specific place visited by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해당 장소에 내재된 토픽을 추출하여 유사한 토픽의 컨텐츠를 검색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보다 더 부합되는 개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search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generates a search word of a place visited by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place visi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extracts a topic embedded in the place. By retrieving content of a similar topic,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personalized content that is more suitable for the user's interests of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와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는 무선 통신망(30)을 통해 연결된다. 이동 단말기(10)의 대표적인 예에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notebook) 컴퓨터 등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이 포함될 수 있다.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는 검색 엔진(23)을 이용하여 웹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이하, '웹 컨텐츠 DB'로 칭함)(24)로부터 웹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웹 컨텐츠의 리스트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eb content sear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content retriev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ncludes a mobile terminal 10 and a web content retrieval server 20.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are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include any terminal that a user can carry and use,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notebook computer, and the like.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searches for web content from a web content database 24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b content DB') 24 using the search engine 23, and retrieves a web page composed of a list of searched web content. I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기존의 웹 컨텐츠 검색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개인 프로파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프로파일과 관련한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직접 검색어를 입력하여 웹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의 두 가지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들 중 전자의 경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미리 사용자의 관심 분야를 입력받아야 한다. 후자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포함하는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가 이동 단말기로부터 웹 컨텐츠 검색 서버로 전송되고, 웹 컨텐츠 검색 서버에서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검색어를 추출하여 해당 검색어에 부합하는 웹 컨텐츠를 검색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Conventional web content retrieval methods include two methods: a user of a mobile terminal inputs information on a personal profile to search for content related to the profile, and a user of a mobile terminal directly enters a search term to search for web content. It can be divided largely. In the former case, the user's field of interest must be input in advance from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latter case, a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a search word input by a user is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to a web content search server, and the search term included in the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is extracted from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to match the search term. The web content is searched and provided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그런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이 방문한 장소의 정확한 명칭을 알지 못하거나, 자신이 방문한 장소의 정확한 명칭을 안다 하더라도 이동 단말기의 검색란에 해당 장소의 검색어를 입력하는 것을 번거로워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세종문화회관'을 방문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이 방문한 세종문화회관의 공연 일정 등의 조회를 위해 웹 컨텐츠를 검색하고자 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정확한 장소의 명칭인 '세종문화회관'과 다른, '세종회관' 또는 '세종예술회관' 등의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바에 부합하는 적절한 웹 컨텐츠의 리스트를 추천받지 못할 수 있다.However, even though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know the exact name of the place he visited, or even if he knows the exact name of the place he visited, it is often troublesome to input the search term of the place in the search field of the mobile terminal. . For example, a user of a mobile terminal that visited the Sejong Center may want to search the web content for inquiry of the performance schedule of the Sejong Center that he visited. At this time,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may enter a search word such as 'Sejong Center' or 'Sejong Art Center' different from 'Sejong Center', which is the exact name of the place. The list of contents may not be recommended.

또한, 최근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자판의 크기에 제한이 따르기 때문에, 검색어를 정확하게 입력하는데 어려움도 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검색란에 특정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방문지의 정확한 검색어를 자동으로 추출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자가 방문한 특정 장소와 관련한 적절한 웹 컨텐츠의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자신이 방문한 장소의 정확한 검색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생성된 검색어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웹 컨텐츠의 리스트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웹 컨텐츠 검색 시스템에 대해 제시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toward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portable terminals, the size of the keyboard for inputting a search word in a portable terminal has a limitation, so that it is difficult to input a search word correctly.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input a search term indicating a specific place in the search box of the mobile terminal, an accurate search term of the user's visit is automatically extracted, thereby conveniently providing a list of appropriate web contents related to the specific place visited by the user. A system that can be received is required. Accordingly,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a web content search system that can be conveniently provided with a more accurate list of web content by using the automatically generated search word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enter the exact search word of the place he visited. To present.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11),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 및 디스플레이부(13)로 구성된다. GPS 모듈(11)은 이동 단말기(10)의 위성들로부터의 거리와 시간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삼각 방법에 따라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GPS 모듈(11)은 검출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 또는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 제공한다.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는 웹 컨텐츠의 검색 리스트를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해당한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를 서버에서 손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웹 컨텐츠의 검색 리스트를 표시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0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11, a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 and a display unit 13. The GPS module 11 may measure the distance and time from the satellites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detec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from the triangular method. The GPS module 11 provides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to the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 or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The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 corresponds to an application for receiving a search list of web content from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Recently, as smart phones are widely used,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can easily download the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 from the server. The display unit 13 displays a search list of web content provided from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외에, 이동 단말기(1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이동 단말기(10)에 더 포함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는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이동 단말기(10)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전화기인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상의 폰 모듈(phone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configuratio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a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If the mobile terminal 10 is 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phone, the mobile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a conventional phone module for performing a call function.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는 검색어 추출부(21), 검색어 데이터베이스(이하, '검색어 DB'로 칭함)(22), 검색 엔진(23), 및 웹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이하, '웹 컨텐츠 DB'로 칭함)(24)로 구성된다. 검색어 추출부(21)는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검색어 DB(22)는 다양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들을 나타내는 검색어들을 저장한다. 하나의 장소에 대한 검색어는 해당 장소를 나타내는 국문 명칭만을 의미할 수도 있고, 국문 명칭은 물론, 해당 장소에 대해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명칭, 또는 영문 명칭 등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어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includes a search term extractor 21, a search term datab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arch term DB) 22, a search engine 23, and a web content datab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eb content DB”). 24). The search word extractor 21 automatically generates a search word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The search word DB 22 stores search terms indicating places corresponding to various location information. The search word for a place may mean only a Korean name indicating a place, and may include not only the Korean name but also other names or English names used conventionally for the place. Therefore, there may be one search word corresponding to one location information or a plurality of search words.

검색어 추출부(21)는 검색어 DB(22)에 저장된 검색어들 중,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검색 엔진(23)은 검색어 추출부(21)에 의해 추출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 DB(24)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와 관련된 웹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으로서, 검색된 웹 컨텐츠의 리스트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위치 정보를 전송받거나, 대안적으로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먼저,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 위치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search term extractor 21 may automatically generate the search term by extracting a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from among the search terms stored in the search term DB 22. The search engine 23 is a search means for searching for web content related to a place visited by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from the web content DB 24 by using a search word extracted by the search term extractor 21. A web page composed of a list of contents is provided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 or alternatively, may receive a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First, a case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to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will be described. Next, a web content search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10 to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 case where a signal is transmitted will be described.

이동 단말기(10)의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는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는 GPS 모듈(11)로부터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의 검색어 추출부(21)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는 예를 들어, 10분 등의 일정 시간 간격마다 검색어 DB(22)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The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 of the mobile terminal 1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to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Alternative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transmitted from the GPS module 11 to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The search term extractor 21 of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automatically generates a search term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For example,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may automatically generate a search wor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from the search word DB 22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uch as 10 minutes.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에서 제공하는 설정변경 화면을 통해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시간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설정은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 전송되며,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는 변경된 설정에 따라, 예를 들면 30분 등의 일정 시간 간격마다 검색어 DB(22)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change a time interval for searching fo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through the setting change screen provided by the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 The setting chang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transmitted to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and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is searched fo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such as, for example, 30 minutes according to the changed setting. 22 may automatically generate a search wor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to provide personalized content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이동 단말기(10)는 위치 정보의 이력이 기록된 로그 파일을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는 로그 파일에 기록된 위치 정보의 이력으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10분 이상 일정 영역 내에서 유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 일정 영역 내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 단말기(10)의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해당 장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특정 장소를 지나쳐 가거나, 특정 장소의 화장실에 잠깐 들르는 등의 경우에는 해당 장소와 관련된 토픽을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서 배제하고, 일정 영역 내에서 일정 시간 이상 머문 경우에만 해당 장소에 내재된 사용자의 관심사에 부합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 may transmit a log file in which a history of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to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In this case,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minutes or more, from the history of the loc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log f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search word of the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automatically generated to generate contents related to the place. May be provided to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Accordingly,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passes by a certain place or stops by the toilet of a specific place, the topic related to the place is excluded from the user's area of interest and stayed in the predetermined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nly when the content in line with the user's interests inherent in the place can be provided.

대안적으로, 이동 단말기(10)는 위치 정보 그 자체만을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 전송하는 대신, 웹 컨텐츠의 검색을 요청하는 신호(이하,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로 칭함)로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웹 컨텐츠를 검색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컨텐츠 검색 시스템과 유사점을 갖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와는 달리,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에 검색어가 포함되는 대신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lternatively, instead of transmitting only the location information itself to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the mobile terminal 10 is a signal for requesting a search for web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The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This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ilarity to the existing content search system in that the web content is searched based on the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user's event,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web content Unlike the search request signal, the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search information is included instead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81에서, GPS 모듈(11)은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로 제공한다.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는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두 가지 모드의 웹 컨텐츠 검색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기존의 웹 컨텐츠 검색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직접 이동 단말기(10)의 검색란에 검색어를 입력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기존의 웹 컨텐츠 검색과 달리, 사용자가 직접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검색어를 생성하여 실행하는 것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eb content sear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ep shown in FIG. 2 may be performed by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S. 1 and 2, in step 81, the GPS module 11 dete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provides it to the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 The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 may provide two modes of web content search options to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First, as in the conventional web content search, the user directly enters a search word in the search box of the mobile terminal 10. Secondly, unlike the existing web content search, the search word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executed even if the user does not enter the search word directly.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을 실행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에는 검색란(131)과 검색 실행 버튼(132) 및 자동 검색 버튼(133)이 표시된다. 이 때,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검색란(131)을 터치하면, 전자의 모드가 실행되어 검색어의 입력을 위한 자판이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란(131)에 검색어를 입력한 후 검색 실행 버튼(132)을 터치하면,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포함하는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 통신망(30)을 통해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3, as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executes the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 a search field 131 and a search execution button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of the mobile terminal 10. 132 and an automatic search button 133 are displayed. In this cas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touches the search field 131, the former mode is executed and a keyboard for inputting a search wor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When the user inputs a search term in the search field 131 and touches the search execution button 132, the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 generates a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earch word input by the user, The web content retrieval server 20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이와 달리,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자동 검색 버튼(133)을 터치하면, 후자의 모드가 실행되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생성된 검색어에 의해 웹 컨텐츠가 검색될 수 있다. 즉, 단계 82에서,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는 GPS 모듈(11)로부터 제공받은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 통신망(30)을 통해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는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가 포함되지 않은 신호이다.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touches the automatic search button 133, the latter mode is executed and the web content may be searched by the automatically generated search word even if the user does not input the search word. That is, in step 82, the web content retrieval application unit 12 generates a web content retrieval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provided from the GPS module 11, and establish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 Through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is transmitted. The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is a signal that does not include a search word indicating a place visi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검색엔진(23)을 이용하여 웹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이하, '웹 컨텐츠 DB'로 칭함)(24)로부터 웹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웹 컨텐츠의 리스트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As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receives a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10,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uses a search engine 23 to perform a web content datab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b content DB”) 24. The web content is searched and a web page composed of a list of the searched web contents is provided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automatically generates a search word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from the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단계 83에서, 검색어 추출부(21)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즉, 검색어 추출부(21)는 검색어 DB(22)에 저장된 복수 개의 검색어 중,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추출한다.In operation 83, the search word extractor 21 analyzes a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from the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and extracts the extracted mobile terminal. A search word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10 is automatically generated. That is, the search word extractor 21 extracts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extracted from the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search words stored in the search word DB 22.

예를 들면, 세종문화회관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로서, '세종문화회관'과 함께 '세종문화예술회관'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만약, 실제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특별한 장소의 명칭이 없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장소의 명칭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해당하는 위치에서 일정 거리 내인 가장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s a search word represen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jong Center, the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together with the 'Sejong Center for the Arts' may be stored. Therefore, there may be one search word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r a plurality of search terms. If there is no name of the special place corresponding to the actual location information, a response signal indicating that the name of the corresponding place does not exist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 or as another exampl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rresponding location. It is also possible to extract a search word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nearest location to the user.

단계 84에서, 검색엔진(23)은 검색어 추출부(21)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 DB(24)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한다. 이러한 컨텐츠의 예에는 인터넷과 같은 웹을 통해 검색 가능한 기사, 동영상, 블로그, 모바일 컨텐츠 등의 컨텐츠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웹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웹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웹 컨텐츠를 수집하는 것 이외에도 컨텐츠 검색 서버에 자체적으로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peration 84, the search engine 23 may search for content related to a place visited by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among contents stored in the web content DB 24 using a search word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search term extractor 21. Search. Examples of such content may include content such as articles, videos, blogs, and mobile content that can be searched through a web such as the Internet.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example of searching web cont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earching web content. For example, in addition to collecting web content, the content retriev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arch for content stored in a database provided in the content retrieval server and recommend it to a user of a mobile terminal.

단계 85에서,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는 검색엔진(23)의 검색 결과 리스트를 웹 페이지 형식으로 작성하여 무선통신망(3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그러면, 단계 86에서,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웹 컨텐츠의 검색 결과 리스트가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단계 82 중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 밖의 일부의 단계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의 대표적인 예에는 RAM, ROM, EPROM, EEPROM, HDD, CD-ROM, 이동식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operation 85,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prepares a search result list of the search engine 23 in a web page format and transmits the search result list to the mobile terminal 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 Then, in step 86, the search result list of the web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of the mobile terminal 10. Generating the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and some other steps of step 82 shown in Figure 2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a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RAM, ROM, EPROM, EEPROM, HDD, CD-ROM, removable disk, magnetic tape and the like.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자신이 방문한 장소의 정확한 명칭을 알지 못하더라도 자신이 방문한 장소와 관련된 적절한 웹 컨텐츠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사용자 개인 프로파일의 입력 없이도,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관심사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자신이 방문한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를 직접 입력함이 없이, 자동 검색 버튼(133)을 입력하는 등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에서 자동으로 생성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된 웹 컨텐츠의 검색 결과 리스트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1 to 3,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automatically provided with appropriate web content related to the visited place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exact name of the visited place. . Alternativel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provided with personalize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interests based on the place visited by the user without input of the user personal profile. Alternativel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not input a search word indicating a place visited by the user, but may input the web search button 133 by a simple operation such as inputting an automatic search button 133. The search result list of the searched web content may be conveniently provided using the search word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search server 20.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1과 동일한 도면부호에 해당하는 구성들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웹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검색어 추출부(121)와 검색어 DB(122)가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에 구비되는 대신, 이동 단말기(10)의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에 구비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eb content searc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odified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4,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FIG. 1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web content retriev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nstead of the search word extractor 121 and the search word DB 122 being provided in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the web content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provided. The search application unit 12 is provided.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eb content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odified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Each step shown in FIG. 5 may be performed by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92에서,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는 단계 91을 통해 GPS 모듈(11)로부터 제공받은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로부터 직접 검색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10)는 검색어 추출부(121) 및 검색어 DB(122)를 포함한다. 검색어 DB(122)에는 다양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장소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검색어가 저장되어 있다. 검색어 추출부(121)는 검색어 DB(122)에 저장된 복수 개의 검색어 중, GPS 모듈(11)로부터 제공받은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를 추출한다.4 and 5, in step 92, the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 generates a search word directly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provided from the GPS module 11 through step 91. 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10 includes a search term extractor 121 and a search term DB 122. The search word DB 122 stores a plurality of search words indicating a plurality of places corresponding to various location information. The search term extractor 121 extracts a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provided from the GPS module 11,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earch terms stored in the search term DB 122.

또한, 검색어 추출부(121)는 추출한 검색어를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검색어 추출부(121)가 추출한 검색어를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로부터 검색어 추출부(121)는 검색어 DB(122)로부터 '세종문화회관'이라는 검색어를 추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3)의 검색란(131)에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rch word extractor 121 may display the extracted search word on the display unit 13 of the mobile terminal 10.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the search word extracted by the search word extractor 121 on the display unit 13 of the mobile terminal 10. For example, the search term extractor 121 extracts a search term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from the search term DB 122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automatically searches the search term 131 in the search field 131 of the display unit 13. Can be displayed as

특정 장소에 대응하는 검색어는 해당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의 명칭을 나타내는 검색어를 의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특정 장소에 대응하는 검색어는 해당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로부터 미리 설정한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장소의 명칭들을 모두 포함하는 검색어들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는 특정 장소의 한국어 명칭과, 영문 명칭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arch word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lace may mean a search word indicating a name of a place visi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Alternatively, the search word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lace may mean search terms including all names of a pla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place visi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In addition, the search word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include both the Korean name and the English name of the specific place.

이에 따라, 도 6의 도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는 복수 개가 될 수도 있으며, 검색어 추출부(121)는 예를 들어, '세종문화예술회관', '세종대극장', '세종미술관', 'Sejong Center'와 같은 다른 추천 검색어들(134)을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는 가장 기본이 되는 '세종문화회관' 외에 다른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하고자 할 경우,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된 다양한 추천 검색어들(134) 중 원하는 검색어와, 검색 명령 버튼(132)을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편리하게 원하는 컨텐츠의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6, a plurality of search terms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provided, and the search term extractor 121 may be, for example, 'Sejong Culture and Arts Center', Other recommended search words 134 such as 'Sejong Grand Theater', 'Sejong Art Museum', and 'Sejong Cent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of the mobile terminal 10.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wants to search using other search terms in addition to the basic Sejong Center, the desired search word among the various recommended search words 134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and the search is automatically performed. A simple operation of sequentially touching the command button 132 may conveniently provide a list of desired contents.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다른 추천 검색어로서 '세종대극장'을 선택하면, 세종대극장이나 다른 공연장의 오페라, 연극 등의 공연과 관련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또 다른 추천 검색어로서 '세종미술관'을 선택하면, 세종미술관이나 다른 예술관의 미술전시회와 관련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selects 'Sejong Grand Theater' as another recommended search word,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provide content related to a performance such as an opera or a theater of Sejong Grand Theater or another performance hall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selects 'Sejong Art Museum' as another recommended search word, the user may provide content related to the art exhibition of the Sejong Art Center or another art gallery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93에서,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는 검색어 DB(122)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한 검색어를 포함하는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 통신망(30)을 통해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 전송한다. 단계 94에서,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는 수신한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에 포함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 DB(24)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웹 컨텐츠들을 검색한다. 단계 95에서,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는 검색엔진(23)의 웹 컨텐츠 검색 결과 리스트를 웹 페이지 형식으로 작성하여 무선 통신망(3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단계 96에서, 웹 컨텐츠 검색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웹 컨텐츠의 검색 결과 리스트가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표시된다.Referring back to FIG. 5, in step 93, the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 generates a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a search word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the search word DB 122, an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 Send to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In operation 94,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may retrieve web contents related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from the web content DB 24 using a search word included in the received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Search. In operation 95,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prepares a web content search result list of the search engine 23 in a web page format and transmits the list to the mobile terminal 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 In operation 96, a search result list of web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web content search server 2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of the mobile terminal 10.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자신이 방문한 장소의 정확한 명칭을 알지 못하더라도, 자신이 방문한 장소와 관련된 적절한 웹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자신이 방문한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를 이동 단말기(10)의 검색란(131)에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 검색 버튼(133)을 입력하는 등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동 단말기(10)의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에서 자동으로 생성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된 웹 컨텐츠의 검색 결과 리스트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된 추천 검색어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검색어 중 원하는 검색어를 선택하여 검색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웹 컨텐츠 검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S. 4 to 6,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web content related to the visited place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exact name of the visited place. In addition, even if a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visited by the user is not directly input into the search field 131 of the mobile terminal 10, the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may be operated by a simple operation such as inputting an automatic search button 133. The search result list of the web content searched using the search word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unit 12 may be conveniently provided. In addition, since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can select and search a desired search word from among a plurality of search words including the recommended search word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of the mobile terminal 10, the web content is more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Search service is available.

한편,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에 내재된 토픽을 추출하면, 해당 장소를 방문한 사용자에게 보다 최적화된 개인화된 컨텐츠(personalized contents)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웹 컨텐츠 검색 시스템에서도 개인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들은 존재하였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개인의 프로파일 관련 정보들에 기초하는 것이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게 된다.Meanwhile, by extracting a topic embedded in a place visited by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 more optimized personalized contents may be provided to a user visiting the place. In the existing web content retrieval system, there are methods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ntents, but these methods are inconvenient for the user since they are mainly based on user profi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또한, 사용자의 관심 분야가 변화될 수 있는 반면, 기존의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 분야가 변화될 때마다, 사용자 개인의 프로파일 관련 정보들을 수정하여야만 하며, 그러한 수정이 없는 한 사용자가 관심을 덜 가지게 된 분야의 컨텐츠들이 불필요하게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개인의 프로파일 관련 정보들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에 내재된 토픽을 추출하고, 추출한 토픽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부합하는 개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웹 컨텐츠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한다.In addition, while the user's interest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whenever the user's interests are changed, the user must modify the profile-related information of the user's personal profile, and the user's interests are not provided. Contents in the field that have less, may be unnecessarily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ly, the following embodiments extract a topic embedded in a place visited by a user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input the user's profile-related information, and use the extracted topic to obtain personaliz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terests. Provided are a web content retrieva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that can be provided to a user.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사 데이터베이스(이하, '기사 DB'로 칭함)로부터 기사를 추천하는 기사 추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동 단말기(40)는 GPS 모듈(41), 기사 추천 애플리케이션부(42) 및 디스플레이부(43)를 포함한다. 기사 추천 애플리케이션부(4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12)의 하나의 예에 해당한다. 기사 추천 애플리케이션부(42)는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에 내재된 토픽에 관련된 기사 컨텐츠들을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7 is a block diagram of a web content search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shows an article recommendation system for recommending articles from an article datab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rticle DB"). The mobile terminal 40 constituting the web content retriev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ncludes a GPS module 41, an article recommendation application unit 42, and a display unit 43. The article recommendation application unit 42 corresponds to one example of the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e article recommendation application unit 42 may provide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with article contents related to a topic inherent in a place visi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기사 추천 서버(50)의 검색어 추출부(51)는 이동 단말기(4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웹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로부터 이동 단말기(4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검색어 DB(52)에는 다양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들이 저장되어 있다. 검색어 추출부(51)는 검색어 DB(52)에 저장된 검색어들 중, 이동 단말기(4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를 자동으로 추출한다.The search term extracting unit 51 of the article recommendation server 5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40 or receives the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and thu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40 from the web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Extract The search word DB 52 stores search terms indicating a plurality of places corresponding to various location information. The search word extracting unit 51 automatically extracts a search word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40 among the search words stored in the search word DB 52.

단순히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의 물리적인 위치나 명칭만으로는 해당하는 위치의 토픽을 찾아내기 어렵다. 장소의 토픽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토픽을 내재하고 있는 장소의 컨텍스트(context)를 필요로 한다. 장소의 컨텍스트를 얻기 위해, 검색엔진(53)은 검색어 추출부(51)에서 생성한 검색어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 DB(54)로부터 이동 단말기(5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서(이하, '장소 관련 문서'로 칭함)를 검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101 내지 104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81 내지 84와 대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t is difficult to find the topic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simply by the physical location or name of the place visi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Finding the topic of a place requires the context of the place that contains the topic. In order to obtain the context of a place, the search engine 53 uses at least one search term generated by the search term extractor 51 to search for at least one or more related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 from the web content DB 54. Search for docum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lace related documents').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eb content searc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ep shown in FIG. 8 may be performed by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Steps 101 to 104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correspond to steps 81 to 84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respectively,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검색엔진(53)에 의해 검색된 장소 관련 문서들은 이동 단말기(50)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와 관련된 토픽을 내재하고 있다. 장소 관련 문서의 검색에 특별한 제약 조건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즉, 일반적으로 웹에서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장소 관련 문서들로부터 장소의 컨텍스트를 구축할 수 있다. 이 때, 장소 관련 문서들 전체를 다 사용하지 않고 검색 엔진에서 제공하는 스니펫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니펫은 문서 요약 기술을 이용하여 각 문서에서 핵심 내용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매우 간결한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서의 주제를 더 명확하게 표현해줌과 동시에 문서에서 의미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문장들은 자동으로 걸러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장소의 컨텍스트를 명확하게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Place-related documents searched by the search engine 53 may have a topic related to a place visited by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50. Searching for a place document does not require any special constraints. That is, the context of a place can be constructed from place-related documents that are generally easily searchable on the web.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use a snippet provided by a search engine without using all of the place documents. Snippets are made up of very concise sentences that can be used to describe key content in each document using document summary technology, while providing a clearer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 of the document, while at the same time automatically displaying sentences that are not semantically important in the document. It has a filtering function, which can help to establish the context of the place clearly.

최근 SNS 서비스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특정 장소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손쉽게 공유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자료를 장소 관련 문서들로 수집하여 해당 장소에 내재되어 있는 토픽을 찾아내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검색엔진(53)에서 검색한 장소 관련 문서들은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할 분야에 관한 보다 최적화된 문서들을 기사 데이터베이스(이하, '기사 DB'로 칭함)(58)로부터 검색하여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해 토픽 추출부(55)로 입력된다. 다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105에서, 토픽 추출부(55)는 장소 관련 문서들로부터 장소의 토픽을 도출하고, 기사 DB(58)의 문서들(이하, '기사 문서들'로 칭함) 각각으로부터 기사의 토픽들을 도출한다.Recently, various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place is easily shared due to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SNS services, so these data can be collected into place-related documents and used to find a topic inherent in the place. To this end, the place-related documents searched by the search engine 53 are more optimized documents related to the field of interest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from the article datab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rticle DB') 58. The search is input to the topic extraction unit 55 to recommend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Referring again to FIGS. 7 and 8, in step 105, the topic extraction unit 55 derives the topic of the place from the place-related documents, and converts the documents into articles (hereinafter, 'article documents') of the article DB 58. Derive the topic of the article from each of them.

특정 장소를 방문한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의 관심사는 대체로 그 곳의 토픽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에 내재된 토픽을 도출하여, 현재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머물러 있는 이유, 즉 사용자의 관심사를 파악함으로써,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기사를 추천할 수 있다. 즉, 장소 관련 문서들의 토픽과의 유사성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장소 관련 문서들과 유사한 형태로 표현된 기사들을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The interest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visiting a particular place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topic there. Accordingly, by deriving a topic inherent in a place visi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the reason for the current user staying at the place, that is, the interest of the user, may be determined, thereby providing a personalized article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I can recommend it. That is, based on the similarity to the topic of the place-related documents, it is possible to recommend articles expressed in a form similar to the place-related documents that may be of interest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토픽 추출부(55)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토픽 추출부(55)는 단어 추출부(551), 표제어 벡터 도출부(552) 및 토픽 벡터 도출부(553)로 구성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105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의 각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각 문서에 내재한 토픽을 벡터 성분으로 나타내는 토픽 벡터를 도출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9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opic extraction unit 55 illustrated in FIG. 7. The topic extracting unit 55 includes a word extracting unit 551, a headword vector deriving unit 552, and a topic vector deriving unit 553. 10 is an exemplary flow diagram of step 105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Each step of FIG. 10 may be performed by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Referring to FIGS. 9 and 10, a method of deriving a topic vector representing a topic inherent in each document as a vector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단계 1101에서, 단어 추출부(551)는 장소 관련 문서들과, 기사 문서들 각각에 대해, 각 문서에 포함된 단어들 중 해당 문서에 내재된 토픽과 관련된 복수 개의 단어들을 추출한다. 단어의 추출은 형태소의 분석 기법을 통해 문서를 구성하는 각 문장을 어절 단위로 끊고, 어절 내에 있는 단어들 중 문장을 가장 잘 표현하는 품사 중의 하나인 명사를 추출하고, 불필요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불용어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문서에서 단어를 추출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주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operation 1101, the word extractor 551 extracts a plurality of words related to a topic embedded in the document among words included in each document, for each of the place-related documents and the article documents. Word extraction breaks each sentence constituting the document into word units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techniques, extracts nouns, which are one of the parts of speech that best express sentences among words in the word, and extracts unnecessary or unimportant stopwords. It can be done in a way to remove. Since a method of extracting a word from a document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단계 1102에서, 표제어 벡터 도출부(552)는 단어 추출부(551)에 의해 추출된 각 문서의 단어들로부터 표제어 벡터를 도출한다. 이 때, 표제어 벡터 도출부(552)는 각 문서에 포함된 단어들의 단어 빈도수(term frequency) 및 문서 빈도수(document frequency)를 반영한 가중치에 기초하여, 장소 관련 문서들과 기사 문서들의 각 문서에 내재된 토픽을 추출하기 위한 표제어 벡터들을 도출한다. 표제어 벡터 도출부(552)는 예를 들면, 해당 문서에 포함된 각 단어의 tf-idf 값으로부터 각 단어의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tf(term frequency)-idf(inverse document frequency)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단어 빈도수와 문서 빈도수에 기초하여 특정 문서 내의 단어가 해당 문서에서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통계적 수치를 의미한다.In step 1102, the heading vector derivation unit 552 derives a heading vector from the words of each document extracted by the word extraction unit 551. At this time, the heading vector derivation unit 552 is embedded in each document of the place-related documents and article documents based on weights reflecting the word frequency and the document frequency of the words included in each document. Derivation of heading vectors for extracting topics. The headword vector deriving unit 552 may calculate, for example, the weight of each word from the tf-idf value of each word included in the document. As is well known, the term frequency (tf) -inverse document frequency (tf) refers to a statistical value indicating how important words in a particular document are in the document based on the word frequency and the document frequency.

예를 들어, '세종문화회관'이라는 검색어에 의해 검색된 장소 관련 문서들은 '공연'이나 '오페라' 또는 '음악회' 등의 단어에 대한 tf 값이 높을 것이고, 특정 문서에서 자주 반복되는 단어들은 해당 문서의 토픽에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클 것이다. 다만, 장소 관련 문서의 단어들 외의 다른 문서들에도 빈번하게 사용되는 단어들은 idf 값이 작을 것이고, 이는 장소 관련 문서에 내재한 토픽이 아닐 가능성이 클 것이다.For example, documents related to places searched by the search term 'Sejong Center' may have high tf values for words such as 'performance', 'opera' or 'concert', and words that are frequently repeated in a specific document It is likely to be related to your topic. However, word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documents other than the words of the place-related document will have a low idf value, which is likely not a topic inherent in the place-related document.

도 11은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표제어 벡터는 각 문서에 포함된 단어들과 백과사전에서 미리 분류된 표제어들의 정의를 구성하는 문서에 포함된 단어들이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가에 근거하여 각 문서의 구성에 특정 표제어가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표제어의 대표적인 일 예에는 영화, 음악, 미술, 만화, 스포츠, 여행, 공연, 오페라, 정치, 경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장소 관련 문서들과 기사 문서들의 각 문서 T는 단어 추출부(551)에 의해 추출된 단어들의 집합 {wi}으로 나타낼 수 있다.1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headword vector of each document. The heading vector may indicate how specific headings contribute to the organization of each document based on how relevant the words in each document and the words in the document make up the definition of precategorized headings in the encyclopedia. .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terminology may include movies, music, art, cartoons, sports, travel, performances, operas, politics, and the economy. Each document T of place-related documents and article documents may be represented by a set {w i } of words extracted by the word extractor 551.

장소 관련 문서들의 각 문서에 포함된 단어 wi의 tf-idf 값 vi는 해당 문서의 단어 wi의 빈도수와, 장소 관련 문서들 중 해당 문서를 제외한 다른 문서들의 단어 wi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사 문서들의 각 문서에 포함된 단어 wi의 각 표제어 ej에 대한 연관성을 kij로 나타내면, kij는 해당 문서의 단어 wi와 미리 분류된 표제어 ej에 대한 백과사전의 정의를 구성하는 문서와, 해당 표제어를 제외한 표제어에 대한 백과사전의 정의를 구성하는 다른 문서들에 해당 단어 wi가 포함된 빈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Location related tf-idf value of the word w i are included in each document of the document, v i is the basis of the frequency of the frequency of word w i of the document, a word w i of the other documents except for the documentation of the location-related documents Can be determined. Also, indicates the relationship of each entry e j of word w i are included in each document of the article document as k ij, k ij is the definition of encyclopedia for a pre-classification and a word w i of the document entry e j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word w i is included in the constituent document and in other documents constituting the definition of an encyclopedia for a heading other than the heading.

표제어 벡터 도출부(552)는 각 단어 wi에 대해 vi×kij 값을 성분으로 하는 N차원의 표제어 벡터 EWi를 도출하고, 각 단어에 대한 표제어 벡터들 EW1, EW2,.., EWi의 합으로부터, 각 문서에 대한 표제어 벡터 ET를 도출한다. 이 때, N은 미리 분류된 표제어의 전체 개수이다. 이에 따라, 표제어 벡터 도출부(552)는 각 표제어에 대응하는 성분이 ∑wi ∈T(vi×kij)의 가중치 값을 갖는 벡터를 문서의 표제어 벡터 ET로 도출한다. 이러한 문서의 표제어 벡터의 각 성분은 해당 문서가 각 표제어와 얼마나 연관을 보이는지를 나타낸다.The heading vector derivation unit 552 derives an N-dimensional heading vector E Wi having a v i × k ij value for each word w i , and includes the heading vectors E W1 , E W2 , .. for each word. , From the sum of E Wi , derives the heading vector E T for each document. In this case, N is the total number of pre-categorized headwords. Accordingly, the heading vector derivation unit 552 derives a vector whose component corresponding to each heading has a weight value of? Wi ∈ T (v i × k ij ) as the heading vector E T of the document. Each component of the heading vector of such a document indicates how relevant the document is to each heading.

단계 1103에서, 토픽 벡터 도출부(553)는 장소 관련 문서들의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들의 합으로부터 장소의 토픽 벡터 EP를 도출한다. 그리고, 토픽 벡터 도출부(553)는 기사 문서들의 각 문서에 대하여 도출한 표제어 벡터를 기사의 토픽 벡터 EA로 도출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106에서, 유사도 비교모듈(57)은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토픽 추출부(55)에서 도출한 장소의 토픽 벡터와 기사의 토픽 벡터들 사이의 유사도들을 산출한다.In step 1103, the topic vector derivation unit 553 derives the topic vector E P of the place from the sum of the heading vectors of each document of the place related documents. The topic vector derivation unit 553 derives the headword vector derived for each document of the article documents as the topic vector E A of the article. Referring back to FIG. 8, in step 106, the similarity comparison module 57 calculates similarities between the topic vector of the place derived from the topic extraction unit 55 and the topic vectors of the article,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do.

Figure 112012003599654-pat00001
Figure 112012003599654-pat00001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정 장소의 토픽은 곧 그 장소를 방문한 사람의 관심 분야를 대표한다. 특정 사용자의 관심 분야 EH는 그 사람이 방문한 장소의 토픽 EP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토픽 벡터 Ai로 표현된 기사에 관심을 가질 정도는 결국 장소의 토픽 벡터 EP와 기사의 토픽 벡터 EAi의 수학식 1과 같은 유사도에 기초하여 유추할 수 있으며, 높은 유사도 값을 가지는 기사들로부터 내림 차순으로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가장 관심을 가질만한 기사들을 추천할 수 있다. 다만, 수학식 1은 기사의 토픽 벡터와 장소의 토픽 벡터의 유사도를 벡터의 내적을 통해 산출하는 하나의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수학식 1 외의 벡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mentioned earlier, a topic's topic soon represents the interests of the person who visited the place. The field of interest E H of a particular user can be represented by the topic E P of the place visited by that person. Based on this, the degree of user's interest in the article represented by the topic vector A i can be inferred based on the similarity as in Equation 1 of the topic vector E P of the place and the topic vector E Ai of the article. From articles with values in descending order, we can recommend articles of interest to the user of mobile terminal 40. However, Equation 1 is provided as an example of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topic vector of the article and the topic vector of the place through the dot product of the vector,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other method of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vectors other than Equation 1.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검색 리스트 작성부(59)는 유사도 비교모듈(57)의 유사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4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기사의 리스트를 장소의 토픽 벡터와의 유사도가 높은 상위의 기사들 순으로 작성하고, 이를 무선통신망(30)을 통해 이동 단말기(40)로 전송한다. 단계 107에서, 기사 추천 서버(50)로부터 전송된 기사의 검색 결과 리스트가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3)를 통해 표시된다.The search list creating unit 59 based on the similarity comparison result of the similarity comparison module 57, ranks a list of articles related to the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40 with a high similarity to the topic vector of the place. The article is written in order,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4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 In step 107, the search result list of the article transmitted from the article recommendation server 5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3 of the mobile terminal 40.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기사의 검색 결과 리스트가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3)에 표시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검색란(431)에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고도,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는 자신이 방문한 장소에 관련된 추천 기사의 리스트(434)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세종문화회관을 방문하였을 때, 세종문화회관과 관련한 공연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방문한 세종문화회관이라는 장소에 내재하는 연극, 오페라, 음악회 등의 토픽과 유사한 '예술의 전당'의 공연 정보에 관한 기사들도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에게 추천된다.FIG. 12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that a search result list of an artic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8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3 of the mobile terminal 40. Referring to FIG. 12,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may be provided with a list 434 of recommended articles related to a place visi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without inputting a search word in the search field 431. have. In addition,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visits the Sejong Center, similar to the themes such as plays, operas, concerts, etc., which are inherent in the place called Sejong Center, which the user visits, including perform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jong Center Articles about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Hall of Art' are also recommended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이동 단말기(40)에는 장소의 토픽과 유사한 토픽을 갖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기사 컨텐츠들이 우선 순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3)의 검색 결과 리스트(434)에 표시되며,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는 검색 결과 리스트 중에서 자신이 관심 있어 하는 기사를 터치함에 따라, 해당 기사가 링크된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더보기 버튼(433)을 터치하면, 검색 결과 리스트(434)는 다음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기사 컨텐츠들의 리스트로 갱신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40 displays a predetermined number of article contents having a topic similar to the topic of the place in the search result list 434 of the display unit 43 according to the priority, and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searches. By touching an article of interest in the result list, the user can access the homepage to which the article is linked. In addition,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touches the More button 433, the search result list 434 may be updated with a list of articl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next priority.

이상에서 설명된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는 자신의 관심 분야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명시적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단지 자동적으로 수집 가능한 자신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만으로 자신의 관심사에 알맞은 정보를 정확하고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6 to 12 described above,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can only collect automatically without inputting explicit information for grasping his / her interest information. Only th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path of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their interests accurately and easily.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는 단순히 자신이 방문한 장소의 물리적인 위치와 관련된 기사 외에, 물리적으로는 세종문화회관에 가깝지 않더라도 유사한 토픽을 가지는 예술의 전당에 관한 기사 및 새로운 공연 소식에 대해서도 제공받을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is simply related to the physical location of the place he visited, and related to the art hall having a similar topic even though it is not physically close to the Sejong Center. Articles and new performances can also be provided.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방문한 장소의 토픽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에게 유사한 토픽의 기사들 순으로 추천리스트가 제공되므로, 물리적인 위치는 유사하나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지 않을 만한 기사들이 필터링되어,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는 추천된 기사들 중 자신이 필요로 하는 관심 정보와 관련된 기사를 찾기 위해 소모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commendation list is provided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in the order of articles of similar topics based on the topic of the place visited by the user, the physical location is similar but the user is interested. Articles that may not have been filtered out, so that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40 can spend less time searching for articles related to the information of interest that he / she needs among the recommended articles.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여러 개로 분산된 구성 요소들은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each component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nversely, a plurality of distributed components may be combined.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and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literary description of the claims, The invention of a category.

10, 40: 이동 단말기 11, 41: GPS 모듈
12: 웹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 121: 검색어 추출부
122: 검색어 DB 13, 43: 디스플레이부
20: 웹 컨텐츠 검색 서버 21, 51: 검색어 추출부
22, 52: 검색어 DB 23, 53: 검색 엔진
24, 54: 웹 컨텐츠 DB 30: 무선 통신망
42: 기사 추천 애플리케이션부 50: 기사 추천 서버
55: 토픽 추출부 551: 단어 추출부
552: 표제어 벡터 도출부 553: 토픽 벡터 도출부
57: 유사도 비교모듈 58: 기사 DB
59: 검색 리스트 작성부
10, 40: mobile terminal 11, 41: GPS module
12: web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121: search term extraction unit
122: search word DB 13, 43: display unit
20: Web content search server 21, 51: search term extraction unit
22, 52: query DB 23, 53: search engine
24, 54: Web content DB 30: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2: article recommendation application unit 50: article recommendation server
55: topic extraction unit 551: word extraction unit
552: heading vector derivation unit 553: topic vector derivation unit
57: Similarity Comparison Module 58: Article DB
59: search list creation unit

Claims (22)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이력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일 영역 내에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컨텐츠 중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Automatically generating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history of the mobile terminal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maintained within a reg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Searching for at least one or more contents related to a place correspon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using the generated one or more search term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들 중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enerating may include extracting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mong search terms indicating a plurality of places,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at least one search term. .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컨텐츠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검색 서버가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comprises:
Generating, by the mobile terminal, a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to a content search server for performing the search; And
And extracting, by the content search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t least one or more search terms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복수 개의 검색어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검색란에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comprises:
Automatically extracting, by the mobile terminal, at least one or more search terms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search terms; And
And automatically displaying the extracted one or more search terms in a search field of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 관련 문서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 관련 문서와, 복수 개의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단어들을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 관련 문서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의 미리 분류된 표제어들과의 관련도를 나타내는 장소의 토픽 및 상기 복수 개의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의 상기 표제어들과의 관련도를 나타내는 문서의 토픽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장소의 토픽 및 상기 문서의 토픽들의 유사도들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유사도들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문서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Automatically generating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Searching for one or more place-related documents related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generated one or more search terms;
A topic of a place indicating a relevance of the retrieved at least one place-related document and words from each document of a plurality of documents, and pre-classified headwords of words extracted from the at least one place-related document; Extracting topics of a document indicating relevance of the words extracted from each document of a plurality of documents with the headwords; And
Calculating similarities between the extracted topic of the place and the topic of the document, and generating a list of documents related to the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calculated similarities. A content search method.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의 토픽 및 문서의 토픽들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 관련 문서와, 상기 복수 개의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단어들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단어들의 단어 빈도수(term frequency)와, 문서 빈도수(document frequency)를 반영한 가중치 및 추출된 상기 단어들과 상기 복수 개의 표제어를 정의하는 백과 사전 내에 포함된 단어들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각 장소 관련 문서의 표제어 벡터의 합으로부터 장소의 토픽 벡터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장소의 토픽을 추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문서의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들을 문서의 토픽 벡터들로 도출함으로써 상기 문서의 토픽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Extracting the topic of the place and the topic of the document,
Extracting words from the at least one place-related document and each document of the plurality of documents;
Based on the word frequency of the extracted words, a weight reflecting a document frequency, and the association of the extracted words with words contained in an encyclopedia that defines the plurality of headwords; Deriving a heading vector of the document;
Extract the topic of the place by deriving the topic vector of the place from the sum of the heading vectors of each place-related document, and extract the topics of the document by deriving the heading vectors of each document of the plurality of documents as the topic vectors of the document. Content search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
검출된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컨텐츠 검색 애플리케이션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이력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일 영역 내에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생성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되는 이동 단말기.
Means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generating a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list of contents related to a place correspon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search application unit;
The content is searched by using the generated search word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history of the mobile terminal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maintained within a region for a preset time.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
복수 개의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들을 저장하는 검색어 저장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이력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일 영역 내에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검색어들 중 검출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검색어 추출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Means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search term storage unit which stores search terms indicating a plurality of places; And
A search term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at least one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among the search terms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history of the mobile terminal that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maintained within a region for a preset time or mor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n extraction unit.
제9 항에 있어서,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검색란에 자동으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xtracted one or more search terms are automatically displayed in a search field of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제8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as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검출된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컨텐츠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이력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일 영역 내에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상기 컨텐츠 검색 서버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
A mobile terminal having means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a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content search server; And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history of the mobile terminal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maintained within a region for a preset time or more,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a content search server that searches for content using the generated one or more search terms.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검색 서버는,
복수 개의 검색어를 저장하는 검색어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 개의 검색어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추출하는 검색어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ent search server,
A search term database for storing a plurality of search terms;
A search word extracting unit which extracts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earch words; And
And search means for searching for content using the extracted one or more search terms.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 추출부는 상기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검색어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search word extracting unit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and extracts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earch words.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이력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일 영역 내에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 검색 서버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
Means for det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f it is determin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history of the mobile terminal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kept within a reg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t least one search term; And
And a content search server that searches for content using the at least one search term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복수 개의 장소를 나타내는 검색어들을 저장하는 검색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검색어들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검색어 추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5,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search term database for storing search terms representing a plurality of places; And
And a search word extracting unit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at least one or more search terms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search terms.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검출된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컨텐츠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상기 컨텐츠 검색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검색 서버는,
복수 개의 문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검색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 관련 문서와, 상기 복수 개의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단어들을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 관련 문서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의 미리 분류된 표제어들과의 관련도를 나타내는 장소의 토픽 및 상기 복수 개의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의 상기 표제어들과의 관련도를 나타내는 문서의 토픽들을 추출하는 토픽 추출부;
추출된 상기 장소의 토픽과, 상기 문서의 토픽들의 유사도들을 산출하는 유사도 비교모듈; 및
산출된 상기 유사도들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문서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검색 리스트 작성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
A mobile terminal having means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a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content search server; And
And a content search server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searching for content using the generated at least one search term.
The content search server,
A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documents;
At least one place-related document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content, and words from each document of the plurality of documents, and extracting words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place-related document to indicate a degree of relevance to pre-classified headwords. A topic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opics of a document indicating a topic of a place and a degree of relevance of the words extracted from each document of the plurality of documents to the headwords;
A similarity comparison module for calculating similarities between the extracted topics of the place and the topics of the document; And
And a search list generator for creating a list of documents related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calculated similarities.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토픽 추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 관련 문서와, 상기 복수 개의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단어들을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
추출된 상기 단어들의 단어 빈도수(term frequency)와, 문서 빈도수(document frequency)를 반영한 가중치 및 추출된 상기 단어들과 상기 표제어들을 정의하는 백과 사전 내에 포함된 단어들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를 도출하는 표제어 벡터 도출부; 및
각 장소 관련 문서의 표제어 벡터의 합으로부터 장소의 토픽 벡터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장소의 토픽을 추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문서의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들을 문서들의 토픽 벡터들로 도출함으로써 상기 문서들의 토픽들을 추출하는 토픽 벡터 도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The topic extraction unit,
A word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words from the at least one place-related document and each document of the plurality of documents;
Based on the word frequency of the extracted words, the weight reflecting the document frequency and the correlation of the words contained in the extracted words and the encyclopedia defining the headwords, A heading vector deriving unit for deriving a heading vector; And
Extract the topic of the place by deriving the topic vector of the place from the sum of the heading vectors of each place-related document, and extract the topics of the documents by deriving the heading vectors of each document of the plurality of documents as the topic vectors of the documents. And a topic vector derivation unit.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이력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일 영역 내에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검색어 추출부; 및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컨텐츠 중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
If it is determin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history of the mobile terminal that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maintained within a reg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earch term extraction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part; And
And search means for searching for one or more contents related to a place correspon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using the generated one or more search terms.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복수 개의 검색어를 저장하는 검색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어 추출부는 상기 복수 개의 검색어 중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추출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tent search system further includes a search term database that stores a plurality of search terms,
And the search word extracting unit automatically extracts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search terms, thereby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at least one search term.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 검색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검색 서버는,
복수 개의 문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검색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 관련 문서와, 상기 복수 개의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단어들을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 관련 문서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의 미리 분류된 표제어들과의 관련도를 나타내는 장소의 토픽 및 상기 복수 개의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의 상기 표제어들과의 관련도를 나타내는 문서의 토픽들을 추출하는 토픽 추출부;
추출된 상기 장소의 토픽과, 상기 문서의 토픽들의 유사도들을 산출하는 유사도 비교모듈; 및
산출된 상기 유사도들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와 관련된 문서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검색 리스트 작성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
A mobile terminal having means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generating at least one search term indicat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 content search server that searches for content using the at least one search term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content search server,
A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documents;
At least one place-related document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content, and words from each document of the plurality of documents, and extracting words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place-related document to indicate a degree of relevance to pre-classified headwords. A topic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opics of a document indicating a topic of a place and a degree of relevance of the words extracted from each document of the plurality of documents to the headwords;
A similarity comparison module for calculating similarities between the extracted topics of the place and the topics of the document; And
And a search list generator for creating a list of documents related to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calculated similarities.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픽 추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 관련 문서와, 상기 복수 개의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단어들을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
추출된 상기 단어들의 단어 빈도수(term frequency)와, 문서 빈도수(document frequency)를 반영한 가중치 및 추출된 상기 단어들과 상기 표제어들을 정의하는 백과 사전 내에 포함된 단어들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를 도출하는 표제어 벡터 도출부; 및
각 장소 관련 문서의 표제어 벡터의 합으로부터 장소의 토픽 벡터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장소의 토픽을 추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문서의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들을 문서들의 토픽 벡터들로 도출함으로써 상기 문서들의 토픽들을 추출하는 토픽 벡터 도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topic extraction unit,
A word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words from the at least one place-related document and each document of the plurality of documents;
Based on the word frequency of the extracted words, the weight reflecting the document frequency and the correlation of the words contained in the extracted words and the encyclopedia defining the headwords, A heading vector deriving unit for deriving a heading vector; And
Extract the topic of the place by deriving the topic vector of the place from the sum of the heading vectors of each place-related document, and extract the topics of the documents by deriving the heading vectors of each document of the plurality of documents as the topic vectors of the documents. And a topic vector derivation unit.
KR1020120004487A 2012-01-13 2012-01-13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ersonalized contents using a mobile terminal KR1013190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487A KR101319024B1 (en) 2012-01-13 2012-01-13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ersonalized contents using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487A KR101319024B1 (en) 2012-01-13 2012-01-13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ersonalized contents using a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707A KR20130083707A (en) 2013-07-23
KR101319024B1 true KR101319024B1 (en) 2013-10-17

Family

ID=4899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487A KR101319024B1 (en) 2012-01-13 2012-01-13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ersonalized contents using a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02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633A1 (en) * 2014-02-11 2015-08-2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based personalized content generation method, mobi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20091863A1 (en) * 2018-10-30 2020-05-07 Intui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documents with topic vecto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4096A (en) 2001-05-11 2002-11-22 Hitachi Lt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rresponding to portable terminal
KR20090048983A (en) * 2007-11-12 200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rvicing contents and apparatus thereof
KR20110096802A (en) * 2010-02-23 2011-08-31 (주)비비엔미디어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4096A (en) 2001-05-11 2002-11-22 Hitachi Lt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rresponding to portable terminal
KR20090048983A (en) * 2007-11-12 200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rvicing contents and apparatus thereof
KR20110096802A (en) * 2010-02-23 2011-08-31 (주)비비엔미디어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633A1 (en) * 2014-02-11 2015-08-2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based personalized content generation method, mobi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20091863A1 (en) * 2018-10-30 2020-05-07 Intui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documents with topic ve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707A (en) 201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3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ersonalized contents of a traver destination based on user position log of a mobile terminal
US11514114B2 (en) User-centric contextual information for browser
US9418128B2 (en) Linking documents with entities, actions and applications
TWI461939B (en) Method, apparatus, computer-readable medi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system for supplementing an article of content
JP56033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search request by vertical proposal
US82006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user profile using content tag, and method for content recommendation using the constructed user profile
US20110289015A1 (en) Mobile device recommendations
KR1024664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relating to a point-of-interest
CN105069103B (en) Method and system for APP search engine to utilize user comments
CN106095738B (en) Recommending form fragments
WO2020072161A1 (en) User-centric browser location
KR20090033989A (en) Method for advertising local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EP2306333A1 (en) Offline software library
JP2020135891A (en) Methods, apparatus, devices and media for providing search suggestions
KR200900872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contex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Crestani et al. Mobile information retrieval
JP5221664B2 (en) Information map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map management method
US2020004307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mmending items based on areas
JP2007193697A (en)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1752474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ervice to share knowledge
US9152698B1 (en) Substitute term identification based on over-represented terms identification
KR1013190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ersonalized contents using a mobile terminal
JP5639549B2 (en)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2002230005A (en) Support center system
US11314793B2 (en) Query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