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730B1 - 복합 여닫이 창호 - Google Patents

복합 여닫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730B1
KR101318730B1 KR1020130040274A KR20130040274A KR101318730B1 KR 101318730 B1 KR101318730 B1 KR 101318730B1 KR 1020130040274 A KR1020130040274 A KR 1020130040274A KR 20130040274 A KR20130040274 A KR 20130040274A KR 101318730 B1 KR101318730 B1 KR 101318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frame
auxiliary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정
김선우
이태강
이주엽
이민재
김재황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4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3Storm doors; Combination-screen-and-storm-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여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살부를 포함하는 창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창틀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이 상기 살부에 밀착 가능한 창호틀 및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창호틀은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이 상기 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과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이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이 중첩되는 부분에 상기 단열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복합 여닫이 창호 {COMPLEX CASEMENT WINDOW}
본 발명은 복합 여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및 실외측으로 각각 열리는 여닫이 창호의 기밀 및 단열 성능을 증대할 수 있는 복합 여닫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은 출입을 목적으로 하는 도어 이외에 환기나 채광 및 내, 외부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창호가 시공되어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이 서로 구분된다.
창호는 건축 구조물의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 창을 말하는 것으로 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와 금속재 창호 및 플라스틱재 창호 등이 있고, 창호는 창틀에 창호틀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개구부에는 창틀이 삽입되게 시공되며, 시공된 창틀에 창호틀이 열리고 닫힐 수 있게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건축 구조물 중 대형 공장이나 체육관 등 내부 공간이 비교적 넓은 곳에는 창호가 천정 근처의 높은 곳에 설치되어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대류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로 이동한 공기가 개방된 창호를 통해 배출되어짐으로써, 자연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창틀에 끼워진 창호틀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창틀의 내측 상부에는 각각 경첩의 일측이 결합되고, 창호틀의 상부에 각각 경첩의 타측이 결합되어짐으로써 창호틀이 창틀에 결합된 경첩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여닫이 창호에 관련된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19536호(특허문헌 1)과, 등록특허 제10-1194338호(특허문헌 2)가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창틀과 창호틀의 결합이 별도의 경첩을 사용하지 않고 기어방식으로 열고 닫힐 수 있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접촉면적을 넓혀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도록 하여 창호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은 창호가 설치되는 건물의 외측으로 열릴 수 있고, 터닝 및 틸팅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여닫이 창호는 창호틀 사이의 기밀성이 저하되면 실내로 빗물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고, 겨울철에 실내 기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실외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기 위해서는 창틀 인근에 별도의 차폐 수단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실내 미관을 저하시킬 수 있고 창틀 인근의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9536(2012.02.2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4338(2012.10.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호틀 사이의 기밀 및 단열 성능을 증대할 수 있는 복합 여닫이 창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창호의 설치 또는 분리를 통해 기밀 및 단열 성능을 조절할 수 있고, 외부에서 실내를 보지 못하도록 차폐할 수 있는 복합 여닫이 창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틀과 보조 창호의 이중 차단 구조를 통해 기밀, 단열 및 차음 성능을 증대할 수 있고, 실내 미관을 향상시키며, 창틀 인근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는 복합 여닫이 창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살부를 포함하는 창틀 및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창틀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이 상기 살부에 밀착 가능한 창호틀을 포함하고, 상기 창호틀은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이 상기 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과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이 서로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이 중첩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항초틀과 상기 제2 창호틀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창호틀 또는 상기 제2 창호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창호틀 및 상기 제2 창호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 사이로 열이 배출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도록 단열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 사이로 소음의 출입을 저감할 수 있도록 방음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 사이로 빗물 또는 눈과 같은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호틀은 제1 창호틀이 실외측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제1 회동부를 통해 상기 창틀에 결합되고, 제2 창호틀이 실내측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제2 회동부를 통해 상기 창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틀은 상기 창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까지 상기 제1 창호틀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와, 상기 창틀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까지 상기 제2 창호틀 외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공간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보조 창호와, 상기 제2 공간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보조 창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창호 및 상기 제2 보조 창호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는 여닫이식 창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창호 및 상기 제2 보조 창호는 탈착식 창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창호 및 상기 제2 보조 창호는 일측으로 접힐 수 있는 접이식 창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창호 및 상기 제2 보조 창호는 상기 창틀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권취될 수 있는 슬라이드식 창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창호 및 상기 제2 보조 창호는 방충망 창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창호 및 상기 제2 보조 창호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호틀은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에서 상기 제2 창호틀 측 일면과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창호틀 측 일면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호틀은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이 기어치 형태로 서로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호틀은 상기 제1 창호틀에 일방향으로 오목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창호틀에 상기 복수의 홈에 대향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호틀은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이 충첩되는 부분이 서로 대향하는 엠보싱 형태로 형성되어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호틀은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이 상기 살부에 밀착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틀 또는 상기 창호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창틀과 상기 창호틀 사이로 열 배출을 저감할 수 있도록 단열부재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창호틀이 살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접촉되는 창호틀 사이에 단열부재가 배치되어 창호틀 사이의 기밀 및 단열 성능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창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 창호의 설치 또는 분리를 통해 기밀 및 단열 성능을 조절할 수 있고, 외부에서 실내를 보지 못하도록 차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창호틀 실내측, 실외측 각각에 보조 창호가 설치되고, 창호틀과 보조 창호의 이중 차단 구조를 통해 기밀, 단열 및 차음 성능을 증대할 수 있고, 실내 미관을 향상시키며, 창틀 인근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복합 여닫이 창호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7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1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1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1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복합 여닫이 창호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는 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시실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건축 구조물(미도시)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건축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110)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창틀(1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창호틀(120) 및 창호틀(120)의 서로 대향하는 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창호틀(120)이 닫힌 상태에서 탄성부재(130)가 서로 대향하는 창호틀(120) 사이에 배치되어 창호틀 사이의 기밀 및 단열 성능을 증대할 수 있다.
창틀(110)은 건축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사각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고,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살부(111)를 포함한다. 창틀(110)은 창호틀(12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살부(111)는 창틀(110)의 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는 판막으로 형성되고, 창호틀(120)의 닫힘 상태에서 창호틀(120)이 밀착된다.
창호틀(12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창틀(11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창호틀(121) 및 제2 창호틀(122)을 포함하고, 제1 창호틀(121)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121a, 121b)과, 제2 창호틀(122)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122a, 122b)이 살부(111)에 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창호틀(120)은 제1 창호틀(121)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121a, 121b)과, 제2 창호틀(122)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122a, 122b)이 살부(1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1c)과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122c)이 서로 중첩된다. 이때,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1c)과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122c)의 서로 대향하는 면이 접촉부(123)를 형성하고, 접촉부(123) 사이에 탄성부재(130)가 배치된다.
이러한 창호틀(120)은 제1 창호틀(121)이 실외측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제1 회동부(121d)를 통해 창틀(110)에 결합되고, 제2 창호틀(122)이 실내측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제2 회동부(122d)를 통해 창틀(110)에 결합된다. 즉, 제1 창호틀(121)은 창틀(110)의 일측에 결합된 제1 회동부(121d)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동 할 수 있고, 제2 창호틀(122)은 창틀(110)의 타측에 결합된 제2 회동부(122d)를 통해 제1 창호틀(121)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 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창호틀(120)의 서로 대향하는 접촉부(123) 사이에 배치된다. 즉, 탄성부재(130)는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1c)의 일면과 우측 프레임(121c)에 대향하는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 일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탄성부재(130)는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1c) 또는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122c)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창호틀(120)이 살부(1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1c)과 제2 창호틀(122) 좌측 프레임(122c)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부재(130)는 제1 창호틀(121)과 제2 창호틀(122) 사이의 기밀 및 단열 성능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30)는 제1 창호틀(121)과 제2 창호틀(122) 사이로 열이 배출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도록 단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30)는 제1 창호틀(121)과 제2 창호틀(122) 사이로 소음의 출입을 저감할 수 있도록 방음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30)는 제1 창호틀(121)과 제2 창호틀(122) 사이로 빗물 또는 눈과 같은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창틀(110)의 일측으로부터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122c)까지 제1 창호틀(121) 내측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140)와, 창틀(110)의 타측으로부터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1c)까지 제2 창호틀(122) 외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150)를 포함한다. 제1 공간부(140) 및 제2 공간부(150)에는 후술되는 보조 창호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창호틀(120)이 닫힘 상태에서 제1 창호틀(121) 및 제2 창호틀(122)의 대향하는 면이 살부(111)와 탄성부재(130)에 밀착됨으로써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창호틀(120) 사이의 기밀 및 단열 성능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창틀(110) 또는 창호틀(120) 중 어느 하나는 단열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창틀(110) 및 창호틀(120) 두가지 모두 단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창틀(110)과 창호틀(120) 사이로 열 배출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통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설명한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5를 참조하면,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제1 창호틀(121)과 제2 창호틀(122)을 포함하는 창호틀(120)이 닫힌 상태에서, 제1 창호틀(121)과 제2 창호틀(122)이 서로 대향하는 접촉부(123)에 탄성부재(130)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탄성부재(130)는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1c)과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122c) 각각에 배치되어 제1 창호틀(121)과 제2 창호틀(122) 사이의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창호틀(120) 사이의 기밀 및 단열 성능을 증대 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30)는 제1 창호틀(121) 우측 프레임(121c)과 제2 창호틀(122) 좌측 프레임(122c)에 각각 배치되는 분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9를 통해 보조 창호를 설명한다.
도 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6을 참조하면,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제1 창호틀(1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140)와 제2 창호틀(122) 외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150)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보조 창호(160) 및 제2 보조 창호(170)를 포함한다. 즉, 제1 보조 창호(160)는 제1 공간부(140)에 설치되고, 제2 보조 창호(170)는 제2 공간부(150)에 설치된다.
제1 보조 창호(160) 및 제2 보조 창호(17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는 여닫이식 창호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보조 창호(160)는 제1 창호틀(121)의 제1 회동부(121d)의 반대측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창틀(110)에 결합되고, 제2 보조 창호(170)는 제2 창호틀(122)의 제2 회동부(122d)의 반대측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창틀(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제1 보조 창호(160) 및 제2 보조 창호(170)를 열림 또는 닫힘 조작을 통해 이중 차폐 구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기밀, 단열 및 차음 성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7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7을 참조하면,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제1 창호틀(1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140)와 제2 창호틀(122) 외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150)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보조 창호(160) 및 제2 보조 창호(170)를 포함한다. 즉, 제1 보조 창호(160)는 제1 공간부(140)에 설치되고, 제2 보조 창호(170)는 제2 공간부(150)에 설치된다.
제1 보조 창호(160) 및 제2 보조 창호(170)는 제1 공간부(140) 및 제2 공간부(150)에 설치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탈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제1 보조 창호(160) 및 제2 보조 창호(170)의 탈착을 통해 이중 차폐 구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기밀, 단열 및 차음 성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8을 참조하면,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제1 창호틀(1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140)와 제2 창호틀(122) 외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150)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보조 창호(160) 및 제2 보조 창호(170)를 포함한다. 즉, 제1 보조 창호(160)는 제1 공간부(140)에 설치되고, 제2 보조 창호(170)는 제2 공간부(150)에 설치된다.
제1 보조 창호(160)는 및 제2 보조 창호(170)는 제1 공간부(140) 및 제2 공간부(150)에서 일측으로 접힘 또는 펼침 작동할 수 있는 접이식 창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제1 보조 창호(160) 및 제2 보조 창호(170)의 접힘 또는 펼침 작동을 통해 이중 차폐 구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기밀, 단열 및 차음 성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9를 참조하면,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제1 창호틀(1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140)와 제2 창호틀(122) 외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150)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보조 창호(160) 및 제2 보조 창호(170)를 포함한다. 즉, 제1 보조 창호(160)는 제1 공간부(140)에 설치되고, 제2 보조 창호(170)는 제2 공간부(150)에 설치된다.
제1 보조 창호(160)는 및 제2 보조 창호(170)는 제1 공간부(140) 및 제2 공간부(150)에서 일측으로 권취 될 수 있는 슬라이드식 창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제1 보조 창호(160) 및 제2 보조 창호(170)의 권취 또는 펼침 작동을 통해 이중 차폐 구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기밀, 단열 및 차음 성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복합 여닫이 창호(100)의 창호틀(12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창틀(11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창호틀(121) 및 제2 창호틀(122)을 포함하고, 닫힘 상태에서 제1 창호틀(121)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212a, 121b)과, 제2 창호틀(122)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122a, 122b)이 살부(111)에 밀착된다. 창호틀(120)은 닫힘 상태에서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1c)과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122c)이 서로 중첩된다. 이때,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1c)과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122c)의 서로 대향하는 면이 접촉부(123)를 형성하고, 접촉부(123) 사이에 탄성부재(130)가 배치된다.
창호틀(120)은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21c)에서 제2 창호틀(122) 측 일면과,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122c)에서 제1 창호틀(121) 측 일면이 서로 맞물리도록 기어치 형태로 형성된다. 즉, 창호틀(120)의 접촉부(123)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재(130)는 접촉부(123) 사이에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형태가 가변적으로 변동될 수 있게 유동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창호틀(120)은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21c)에서 제2 창호틀(122) 측 일면과,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122c)에서 제1 창호틀(121) 측 일면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창호틀(121)은 일방향으로 볼록한 돌출부 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창호틀(122)은 제1 창호틀(121)에 대향하는 오목한 홈 또는 볼록한 돌출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창호틀(121)에 돌출부가 형성되면 제2 창호틀(122)에 홈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고, 제1 창호틀(121)에 홈이 형성되면 제2 창호틀(122)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린다. 즉, 창호틀(120)의 접촉부(123)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재(130)는 접촉부(123) 사이에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형태가 가변적으로 변동될 수 있게 유동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창호틀(120)은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21c)에서 제2 창호틀(122) 측 일면과,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122c)에서 제1 창호틀(121) 측 일면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창호틀(121)의 일면은 엠보싱 형태로 올록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창호틀(121)의 일면에 대향하는 제2 창호틀(122)의 일면은 제1 창호틀(121)에 대향하는 엠보싱 형태로 올록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창호틀(121)과 제2 창호틀(122)은 서로 대향하는 엠보싱 형태의 면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린다. 이때, 탄성부재(130)는 접촉부(123) 사이에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형태가 가변적으로 변동될 수 있게 유동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닫이 창호를 설명하는 A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복합 여닫이 창호(100)의 창호틀(12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창틀(11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창호틀(121) 및 제2 창호틀(122)을 포함하고, 닫힘 상태에서 제1 창호틀(121)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121a, 121b)과, 제2 창호틀(122)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122a, 122b)이 살부(111)에 밀착된다. 창호틀(120)은 닫힘 상태에서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1c)과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122c)이 서로 중첩된다. 이때,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1c)과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122c)의 서로 대향하는 면이 접촉부(123)를 형성하고, 접촉부(123) 사이에 탄성부재(130)가 배치된다.
창호틀(120)은 제2 창호틀(122)의 좌측 프레임(122c)을 관통하고 제1 창호틀(121)의 우측 프레임(121c)에 결합될 수 있는 손잡이(124)를 더 포함한다. 손잡이(124)는 우측 프레임(121c)에 결합됨으로써 제1 창호틀(121) 및 제2 창호틀(122)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121a, 121b, 122a, 122b)이 살부(111)에 밀착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 여닫이 창호(100)는 제1 보조 창호(160) 및 제2 보조 창호(170)는 설치 또는 분리 함으로써 이중 차폐 구조를 가변적으로 조절 할 수 있다. 제1 보조 창호(160) 및 제2 보조 창호(170)는 방충망으로 형성될 수 있고,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복합 여닫이 창호 110 : 창틀
111 : 살부 120 : 창호틀
121 : 제1 창호틀 121a : 상단 프레임
121b : 하단 프레임 121c : 우측 프레임
121d : 제1 회동부 122 : 제2 창호틀
122a : 상단 프레임 122b : 하단 프레임
122c : 좌측 프레임 122d :제2 회동부
123 : 접촉부 124 : 손잡이
130 : 단열부재 140 : 제1 공간부
150 : 제2 공간부 160 : 제1 보조 창호
170 : 제2 보조 창호

Claims (23)

  1.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살부를 포함하는 창틀; 및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창틀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이 상기 살부에 밀착 가능한 창호틀;
    을 포함하고, 상기 창호틀은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이 상기 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과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이 서로 중첩되며,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이 중첩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창호틀 또는 상기 제2 창호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창호틀 및 상기 제2 창호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 사이로 열이 배출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도록 단열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 사이로 소음의 출입을 저감할 수 있도록 방음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 사이로 빗물 또는 눈과 같은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틀은
    제1 창호틀이 실외측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제1 회동부를 통해 상기 창틀에 결합되고, 제2 창호틀이 실내측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제2 회동부를 통해 상기 창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은
    상기 창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까지 상기 제1 창호틀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와, 상기 창틀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까지 상기 제2 창호틀 외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보조 창호와, 상기 제2 공간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보조 창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창호 및 상기 제2 보조 창호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는 여닫이식 창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창호 및 상기 제2 보조 창호는
    탈착식 창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창호 및 상기 제2 보조 창호는
    일측으로 접힐 수 있는 접이식 창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창호 및 상기 제2 보조 창호는
    상기 창틀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권취될 수 있는 슬라이드식 창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창호 및 상기 제2 보조 창호는
    방충망 창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창호 및 상기 제2 보조 창호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틀은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에서 상기 제2 창호틀 측 일면과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창호틀 측 일면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틀은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이 기어치 형태로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틀은
    상기 제1 창호틀에 일방향으로 오목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창호틀에 상기 복수의 홈에 대향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틀은
    상기 제1 창호틀과 상기 제2 창호틀이 중첩되는 부분이 서로 대향하는 엠보싱 형태로 형성되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틀은
    상기 제2 창호틀의 좌측 프레임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창호틀의 우측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제1 창호틀 및 제2 창호틀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이 상기 살부에 밀착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또는 상기 창호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창틀과 상기 창호틀 사이로 열 배출을 저감할 수 있도록 단열부재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닫이 창호.
KR1020130040274A 2013-04-12 2013-04-12 복합 여닫이 창호 KR101318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274A KR101318730B1 (ko) 2013-04-12 2013-04-12 복합 여닫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274A KR101318730B1 (ko) 2013-04-12 2013-04-12 복합 여닫이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730B1 true KR101318730B1 (ko) 2013-10-16

Family

ID=4963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274A KR101318730B1 (ko) 2013-04-12 2013-04-12 복합 여닫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7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437A (ko)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복합 여닫이 창호
KR102228287B1 (ko) * 2020-11-05 2021-03-15 문성필 여닫이 창호의 설치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138Y1 (ko) * 1980-05-13 1981-09-17 탁동호 가변 창문
KR200309005Y1 (ko) * 2002-12-20 2003-03-31 양인 강화유리문용 안전클립
KR200396859Y1 (ko) * 2005-07-13 2005-09-27 김순석 여닫이, 미닫이 방식을 병용한 안전 방범창
JP2012077569A (ja) * 2010-10-05 2012-04-19 Nishikawa Rubber Co Ltd 住宅用サッシのシ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138Y1 (ko) * 1980-05-13 1981-09-17 탁동호 가변 창문
KR200309005Y1 (ko) * 2002-12-20 2003-03-31 양인 강화유리문용 안전클립
KR200396859Y1 (ko) * 2005-07-13 2005-09-27 김순석 여닫이, 미닫이 방식을 병용한 안전 방범창
JP2012077569A (ja) * 2010-10-05 2012-04-19 Nishikawa Rubber Co Ltd 住宅用サッシのシール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437A (ko)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복합 여닫이 창호
KR102228287B1 (ko) * 2020-11-05 2021-03-15 문성필 여닫이 창호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149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KR20080053259A (ko) 폴딩,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창호
US20180216397A1 (en) Inward-opening type casement window having outward-opening pane and screen, and handle lock and hinge used therefor
KR20070083017A (ko) 복합 이중창호
EP0741832B1 (en) A screening arrangement for a window
KR101318730B1 (ko) 복합 여닫이 창호
JP4411246B2 (ja)
KR200472327Y1 (ko) 슬라이딩 이중창
JP2022125214A5 (ja) サッシ窓
WO2018178424A1 (es) Cerramiento deslizante inteligente anthntrusión
KR101591474B1 (ko) 폴딩구조를 갖는 한옥식 이중 창호
KR101975663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슬림 창호
KR200454814Y1 (ko) 회전접이식 현관방충망
JP5464772B2 (ja) 建物の開口部装置
KR20140144889A (ko) 접이식 창틀
JP7071589B2 (ja) 開き窓が備えられたシステム建具
TWI617731B (zh) Frame structure of the push window
KR101410505B1 (ko) 미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KR20140032204A (ko) 여닫이 복합프레임 창호 구조
JPH0428393Y2 (ko)
KR20050109209A (ko) 커튼월 방식의 발코니 전용창호
JPH0211589Y2 (ko)
KR20160120857A (ko) 창호 시스템
JPH09273362A (ja) 開閉装置
KR20160120640A (ko) 창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