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575B1 - 페리스테틱 펌프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페리스테틱 펌프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575B1
KR101316575B1 KR1020110134926A KR20110134926A KR101316575B1 KR 101316575 B1 KR101316575 B1 KR 101316575B1 KR 1020110134926 A KR1020110134926 A KR 1020110134926A KR 20110134926 A KR20110134926 A KR 20110134926A KR 101316575 B1 KR101316575 B1 KR 101316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ne
main
container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7468A (ko
Inventor
도병록
이정규
김지향
박승훈
신백수
김철근
김종훈
Original Assignee
도병록
이정규
주식회사 휴림바이오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병록, 이정규, 주식회사 휴림바이오셀 filed Critical 도병록
Priority to KR102011013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575B1/ko
Priority to PCT/KR2012/010906 priority patent/WO2013089481A1/ko
Publication of KR20130067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rotatably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12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 A61M5/14232Rolle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8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tubular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53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 F04B43/1261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the rollers being placed at the outside of the tubular flexibl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페리스테틱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은 지방조직을 분리하는 제1유닛과, 줄기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제2유닛과, 제1유닛 및 제2유닛과 복수의 저장백 사이와 제1유닛과 제2유닛 사이에서 물질을 교환하기 위한 전달유닛을 구비한다. 이 전달유닛은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리스테틱 펌프는 이동가능한 가압부재와, 가압부재를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사용하여, 다양한 두께의 튜브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튜브를 효율적으로 가압하여 유체를 이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리스테틱 펌프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Peristaltic pump and System for extracting regenerative cel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페리스테틱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방조직을 원심분리하여 지방유래 줄기세포와 같은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연성 튜브에서 유체를 가압하여 이송하기 위한 페리스테틱 펌프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는 특정 조건에서 복수의 세포 계통으로 분화가 가능한 클론원성(clonogenic)과 자기-재생 능력을 보유하는 세포로서 정의된다. 배아 줄기 세포는 배반포(blastocyst) 단계에서 포유동물 배아로부터 유래되고 체내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는 반면, 성체 줄기 세포는 출생후 분화된 조직에 극미량 존재하는 세포로서 줄기세포의 능력을 지니는 세포이다.
성체 줄기 세포는 배아 줄기 세포에 비하여 실제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즉, 성체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달리 윤리적 문제를 유발하지 않고, 환자 자신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이들은 공급량이 풍부하고 인체의 다양한 조직에 내재한다. 성체 줄기 세포의 가장 가용한 공급원은, 최근의 연구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골수, 말초혈, 제대/제대혈 및 지방 조직이다. 이들 세포는 생리학적 세포 생성(cell turnover) 또는 상처에 기인한 조직 손상의 결과로써, 그들 자신의 특이적인 조직 내에서 최종 분화된 세포를 유지하고 산출하고 대체할 수 있다.
세포 형성능(cell plasticity)이라고 하는 이런 능력은 손상된 기관의 생리 현상과 기능을 회복시키는 목적으로, 결함이 생긴 조직의 재생을 목표로 하는 치료적 적용의 개발을 이끌어냈다. 성체 줄기 세포는 수십 년 전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조혈 세포만이 아니라 다양한 조직에 분포하며, 최근에 밝혀진 바와 같이, 혈관, 근육, 뼈, 연골, 피부, 신경 등으로 분화될 수 있다. 이들 세포는 중간엽 줄기 세포(mesenchymal stem cell)로 알려져 있다. 이에 더하여, 혈소판 농축액은 상처 치유를 가속화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뼈, 피부 또는 기타 조직과 같은 조직의 재구성에 도움을 주는 재생 의약에서 일정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지방 조직은 치료적 응용에 적합한 줄기 세포, 선조 세포 및 기질 물질을 다량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방 조직은 또한, 혈관 내피 세포의 풍부한 근원이며, 상기 혈관 내피 세포는 신 혈관의 성장을 촉진하고 줄기 및 선조 세포 성장을 자극함으로써 조직 재생에 기여할 수 있다.
지방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수집하기 위한 많은 장치가 개발되어 왔지만, 이들 장치는 지방 조직의 추출이 효율적이지 않거나, 지방 조직의 수집에서 조직의 처리까지의 전 과정 중 일부가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등 완전 자동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종래의 장치들은 밀폐가 완전하지 않아 지방 조직의 수집으로부터 처리까지의 전 과정에서 조직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줄기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들은 각종 물질들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이송라인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설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지방 조직으로부터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일부가 버려지는 등 효과적인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장치의 라인 구성이 단순하여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방조직의 수집으로부터 조직의 처리까지의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수율을 높일 수 있는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에서는 페리스테틱 펌프가 주로 사용되는데, 기존의 페리스테틱 펌프는 사용할 수 있는 튜브(라인)의 규격이 정해져 있었다. 즉, 튜브가 정해진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 사용 자체가 불가능했으며, 정해진 두께보다 얇은 경우 튜브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없어 펌핑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두께의 튜브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손실 없이 가압력을 튜브에 전달할 수 있어 펌핑 효율이 향상된 페리스테틱 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세포조직으로부터 재생성 세포를 분리 및 추출하기 위한 2개의 유닛 및 각종 저장백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이송체계가 매우 단순화되어 사용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세포조직으로부터 재생성 세포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페리스테틱 펌프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압롤러와,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며, 일정 지점에서 위치고정 가능한 이동부재; 상기 회전유닛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에는 원호 형상의 가압면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유닛에 감겨져 있는 탄성적으로 압축 및 복원 가능한 튜브를 상기 가압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와 가압부재 사이에 지지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회전유닛 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왕복운동 방향을 따라 전면과 후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의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크류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재의 왕복이동방향을 따라 위치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왕복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삽입홈부가 형성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면 상기 이동부재는 위치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를 관통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을 통해 나사가 상기 나사공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는 위치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유닛의 가압롤러 사이에 설치되며,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튜브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롤러를 더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은, 조직(tissue)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상기 조직이 수용 및 분리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 용기와, 일단부가 상기 서브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브 용기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출입관을 구비하는 제1유닛; 상기 제1유닛에서 이송된 분리대상물로부터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상기 분리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용기와, 일단부는 상기 메인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용기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1배출관을 구비하는 제2유닛;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 및 복수의 저장백들 사이에서 유체를 교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적으로 압축 및 복원가능한 복수의 튜브로 이루어진 전달유닛; 및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달유닛의 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 내측의 유체를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복수의 페리스테틱 펌프;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1유닛의 출입관과 상기 제2유닛의 제1배출관을 연결하는 메인이송라인과, 상기 메인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단부에 각각 저장백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라인과, 상기 제1유닛과 상기 복수의 연결라인 사이의 상기 메인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단부에 에어 필터가 장착되어 외부의 공기를 여과하여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라인과, 상기 연결라인 및 공기유입라인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밸브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결라인들 중 어느 하나의 연결라인의 단부에는 폐기물 저장백이 설치되며,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제2유닛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이송경로상 상기 폐기물 저장백과 연결되는 연결라인의 전단에 일정 크기 이상의 덩어리를 걸러내기 위하여 상기 메인이송라인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유체가 상기 필터를 우회하도록 상기 메인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폐기물 저장백이 설치된 연결라인으로 이어지는 바이패스라인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리스테틱 펌프는 다양한 두께의 튜브를 모두 사용할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페리스테틱 펌프는 스프링에 의하여 튜브를 가압하여 지지함으로써 가압롤러의 가압력을 손실 없이 튜브에 전달할 수 있어 펌핑 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기존의 줄기세포 추출 시스템에는 여러 개의 밸브를 함께 개폐하여야 하므로 조작이 용이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에서는 특정한 물질을 이송할 때, 이송되는 부분과 연결된 연결라인만을 오픈하면 되고 다른 라인들은 모두 폐쇄시키면 되므로 조작이 매우 간단하여 공정 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타겟 물질, 특히 줄기세포를 포함한 수용액이 메인이송라인에 일부 잔존하여 수율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유입라인을 통해 공기를 도입하여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손실 없이 제2유닛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유닛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유닛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밸브의 설치 전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밸브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페리스테틱 펌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페리스테텍 펌프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c-c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d-d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e-e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f-f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9의 g-g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리스테틱 펌프와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유닛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유닛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1000)은 제1유닛(100), 제2유닛(200), 전달유닛(300) 및 복수의 페리스테틱 펌프(900, peristaltic pump)를 구비한다.
본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1000)은 조직(tissue)을 분리하거나, 조직을 분리하여 줄기세포와 같은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분리대상이 되는 조직은 지방조직, 제대혈 등 다양하지만 이하에서는 지방조직(fat tissue)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유닛(100)은 지방조직(fat tissue) 등의 세포조직을 회전, 교반하여 비중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브 용기(110) 및 출입관(130)을 구비한다.
서브 용기(110)는 서브 용기 볼(111, bowl)과 서브 용기 볼(1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서브 용기 캡(112)을 구비하며, 그 내부에 지방조직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113)가 형성된다.
서브 용기 볼(111)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브 용기 볼(111)의 최하단부에는 오목하게 홈부(114)가 형성된다.
서브 용기 캡(112)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15)이 형성되며, 관통공(115)의 외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벽부(116)가 형성된다.
또한 서브 용기 볼(111)의 하부의 내측벽에는 교반날개(117)가 형성된다. 이 교반날개(117)는 내측벽으로부터 공간부(113)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브 용기(1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90°각도 간격으로 4개가 대칭되게 배치된다. 물론 이 교반날개(117)는 한 개만 있을 수도 있으며, 반드시 대칭되지 않아도 된다. 교반날개(117)는 서브 용기(1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지방조직이 원활하게 교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출입관(130)은 서브 용기(110)의 공간부(113)로 세척액, 효소 등을 이송하거나, 서브 용기(110) 내의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로로서 기능한다. 출입관(13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서브 용기(110)의 관통공(115)을 통해 서브 용기(110)에 삽입된다. 출입관(130)의 하단부는 서브 용기(110)의 바닥과 근접된 상태로 서브 용기(110)의 홈부(114)에 배치되며, 출입관(130)의 상단부는 서브 용기(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관(130)과 독립된 경로로 서브 용기(110)의 내부와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보조관(140)이 설치된다. 이 보조관(140)은 서브 용기(110) 내로 공기가 유출입되는 통로로 기능한다. 따라서 보조관(140)은 서브 용기(110)의 하단부까지 삽입될 필요가 없으며, 서브 용기(110)의 상단부까지만 삽입되면 족하다.
보조관(140)의 내부, 보다 정확하게는 보조관(140)의 내주면과 출입관(13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145)를 형성한다. 그러나, 유로(145)가 반드시 공기의 유출입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혈액오염물 등의 물질 등을 배출하거나 세척액 등을 주입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물질의 유출입로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출입관(130)의 상단에는 삽입구(135)가 형성되며, 삽입구(135)에는 마개(136)가 나사결합된다. 마개(136)를 제거하면 주사기 바늘(미도시)이 삽입구(135)를 통해 출입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서브 용기(110)로 물질을 주입하거나 바대로 서브 용기(110)의 홈부(114)에 놓여진 액상 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주사기 바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개(136)로 삽입구(135)를 폐쇄시켜 서브 용기(110) 내부의 공간부(113)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보조관(140)의 하측에는 차폐부재(147)가 출입관(130)에 끼워져 결합된다. 지방조직을 분리하기 위하여 서브 용기(110)가 회전하면, 혈액이나 세척액 등의 액상 물질이 서브 용기(110)의 상부로 급격하게 상승될 수 있으며, 이 물질들이 보조관(140)의 내부 또는 보조관(140)과 서브 용기(110) 사이의 관통공(115)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에 차폐부재(147)로 관통공(115)과 보조관(140)을 감싸서 혈액오염물 등이 보조관(140) 등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보조관(140)은 공간부(113)와 통해 있어야 하므로, 여기서 감싼다고 하는 것은 완전히 밀폐시킨다는 것은 아니며 상부에는 공간부(113)와 통할 수 있도록 간극(d)이 형성된다.
또한, 출입관(130)의 외주면에는 스파이럴 형상의 보조 교반날개(미도시)들이 형성되어, 서브 용기(110)의 하측의 교반날개와 함께 지방조직을 교반할 수 있다.
한편, 서브 용기(110)는 출입관(130) 및 보조관(140)에 대하여 상대회전 되어야 하며, 출입관(130) 및 보조관(140)과 서브 용기(110) 사이는 실링되어 서브 용기(110)의 공간부(113)는 밀폐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성 실링부재(150)와 마찰부재(160)를 채용하여, 서브 용기(110)가 회전되면서도 공간부(113)가 밀폐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채용된 실링부재(150)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서브 용기 캡(112)의 돌출벽부(116)에 끼워지며, 보조관(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부(148)와 서브 용기 캡(112) 사이에 개재된다. 실링부재(150)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보조관(140)의 플랜지부(148)와 서브 용기 캡(112) 사이에서 압착되면 관통공(115)과 보조관(140) 사이의 틈새는 완전히 실링가능하다.
그러나 서브 용기(110)와 함께 실링부재(150)가 회전되면, 고무 소재의 실링부재(150)는 마찰계수가 높아 플랜지부(148)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은 마찰열이 발생한다. 이에 실링부재(150)의 상측에는 마찰계수가 작고 열전달 계수가 높은 소재의 마찰부재(160)를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며 고리형으로 형성된 마찰부재(160)가 실링부재(150)의 상부에 부착되며, 마찰부재(160)는 보조관(140)의 플랜지부(148)와 밀착되어 면접촉된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링(미도시)과 베어링(미도시)을 사용하여 제2보조관(140)과 서브 용기(110) 사이의 상대회전과 실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제2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유닛(200)은 제1유닛(100)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분리되어 줄기세포를 포함하고 있는 수용액을 전달받아, 이 수용액으로부터 줄기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유닛(200)은 메인 용기(210), 제1배출관(220), 제2배출관(230)을 구비한다.
메인 용기(210)는 본체부(211)와 덮개(212)를 구비하여, 내부에 지방조직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 등의 분리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부(213)가 형성된다. 본체부(211)의 하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거나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특히 수용부(213)의 최하단부에는 오목하게 홈부(214)가 형성된다.
덮개(210)의 상면 중앙에는 상면과 하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홀(215)이 형성되며, 관통홀(215)의 외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환형의 외벽부(216)가 형성된다.
또한 메인 용기(210)의 외측에는 볼록하게 돌출수용부(217)가 형성된다. 즉, 돌출수용부(217)는 메인 용기(210)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메인 용기(210)의 외측으로 볼록하며, 메인 용기(210)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한 메인 용기(210)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돌출수용부(217)는 메인 용기(210)에 대칭되게 배치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용기(210)의 회전중심축(c)을 기준으로 90°각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4군데 배치된다.
메인 용기(210)가 회전되면 분리대상물은 중량별로 분리되면서, 무거운 성분은 메인 용기(210) 내에서 외측에 배치되고 가벼운 성분은 내측에 배치된다. 돌출수용부(217)는 메인 용기(2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최외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장 무거운 성분의 분리물이 돌출수용부(217)에 수용된다. 지방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줄기세포는 다른 성분들에 비하여 무거우므로 원심분리시 돌출수용부(217)에 수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한편, 돌출수용부(217)의 하단부는 차단부재(240)에 의하여 가로 막혀 있다. 즉, 원심분리에 의하여 돌출수용부(217)에는 줄기세포가 수용되어야 하는데, 돌출수용부(217)의 하단부가 메인 용기의 하단부와 상호 연통되어 있으면, 원심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전에 분리대상물이 메인 용기(210)의 하단부로부터 돌출수용부로 올라오게 되며, 더욱이 수용액이 치고 올라오면서 돌출수용부(217)에 부착되어 있는 줄기세포가 유실될 수도 있다. 이렇게 돌출수용부(217)에 기부착된 줄기세포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하여, 줄기세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부재(240)가 설치된다.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은 모두 메인 용기(210)의 수용부(213)와 메인 용기(210)의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은 상호 독립된 경로를 형성한다.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은 메인 용기(210)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데, 제1배출관(220)은 길게 형성되어 그 하단부가 메인 용기(210)의 하단부, 보다 정확하게는 홈부(214)에 배치되지만, 제2배출관(230)은 짧게 형성되어 그 하단부가 메인 용기(210)의 상단부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제1배출관(220)과 제2배출관(230)을 통해 유동되는 물질은 사용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제1배출관(220)을 통해서는 제1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 및 세척액 등이 유입될 수 있으며, 메인 용기(210)로부터 추출된 줄기세포나 세척액 등이 배출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배출관을 통해서는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으며, 사용 후의 세척액 등이 배출될 수도 있다.
제2배출관(230)의 내부, 보다 정확하게는 제2배출관(230)의 내주면과 제1배출관(22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 공기, 세척액 등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235)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배출관(220)의 상단에는 삽입공(237)이 형성되며, 삽입공(237)에는 캡(236)이 나사결합된다.
한편, 메인 용기(210)는 제1배출관(220) 및 제2배출관(230)에 대하여 상대회전 되어야 하며, 제1배출관(220) 및 제2배출관(230)과 메인 용기(210) 사이는 실링되어 메인 용기(210)의 수용부(213)는 밀폐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개부재(250)와 접촉부재(260)를 채용하여, 메인 용기(210)가 회전되면서도 수용부(213)가 밀폐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채용된 매개부재(250)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메인 용기 덮개(212)의 외벽부(216)에 끼워지며, 제2배출관(230)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부(238)와 메인 용기 덮개(212) 사이에 개재된다. 매개부재(250)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제2배출관(230)의 플랜지부(248)와 메인 용기 덮개(212) 사이에서 압착되면 관통홀(215)과 제2배출관(230) 사이의 틈새는 완전히 실링가능하다.
그러나 메인 용기(210)와 함께 매개부재(250)가 회전되면, 고무 소재의 매개부재(250)는 마찰계수가 높아 플랜지부(248)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은 마찰열이 발생한다. 이에 매개부재(250)의 상측에는 마찰계수가 작고 열전달 계수가 높은 소재의 접촉부재(260)를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지며 고리형으로 형성된 접촉부재(260)가 매개부재(250)의 상부에 부착되며, 접촉부재(260)는 제2배출관(230)의 플랜지부(248)와 밀착되어 면접촉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원심분리를 위해 메인 용기(210)가 회전하는 동안에 줄기세포 이외의 세척액 등을 제2배출관(230)을 통해 재생성 세포 추출유닛(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용기(21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메인 용기(210)의 하부로부터 제1배출관(220)을 통해 세척액 등을 배출시킬 수도 있지만, 메인 용기(210)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후술할 모음부재(270) 및 가이드부재(280)에 의하여 세척액 등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모음부재(270)는 제1배출관(220)에 끼워져 설치되며, 후술할 가이드부재(280)에 의하여 가이드된 분리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수집부(27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음부재(270)는 오목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다. 모음부재(270)는 메인 용기(2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제2배출관(230)의 하단부에 밀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모음부재(270)의 직경은, 모음부재(270)의 외주면이 메인 용기(210)의 내주면과 근접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된다.
가이드부재(280)는 모음부재(270) 상에 배치되어 메인 용기(210)의 내부에서 원심분리된 상태로 회전되고 있는 분리물을 모음부재(270)의 수집부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280)는 모음부재(27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모음부재(270) 상에 90°각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4개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부재(280)는 모음부재(270)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쪽으로 형성되되 곡선으로 휘어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모음부재(270) 상에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부재(280)는 전체적으로 회오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 가이드부재(280)가 반드시 곡선으로 휘어지게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직선 형태일 수도 있으며, 모음부재(270)의 반경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분리물과 접촉되는 부분에 짧은 절편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재의 개수도 하나에서 복수 개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메인 용기(210)에 수용된 분리대상물은 메인 용기(210)가 회전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리면서 함께 회전되는데,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무거운 성분인 줄기세포 등은 돌출수용부(217)에 수용되며, 세척액 등의 가벼운 성분은 메인 용기(2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메인 용기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분리대상물은 함께 회전되면서 메인 용기(2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수위를 높이게 되는데, 모음부재(270)의 상부까지 수위가 높아진 분리물은 가이드부재(280)와 접촉 및 간섭되면서 가이드부재(280)를 따라 모음부재(270)의 중앙측으로 가이드된다. 펌프로부터 제2배출관(230)에 흡인력이 인가되면, 모음부재(270)의 중앙부로 가이드된 분리물은 이 흡인력에 의하여 제2배출관(2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또한, 모음부재(270)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유통홀(272)이 형성되는데, 이 유통홀(272)은 모음부재(27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하시키고 급격하게 많은 양의 분리물이 유입될 때 분리물의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전달유닛(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달유닛(300)은 메인이송라인(310), 연결라인(321~326), 공기유입라인(330), 측정라인(340), 바이패스라인(350)을 구비한다. 이 라인들(310, 321~326,330,340,350)은 모두 가압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는 연성의 튜브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를 통해 물질(주로 유체와 수용액)이 이동될 수 있다.
메인이송라인(310)은 제1유닛(100)의 출입관(130)과 제2유닛(200)의 제1배출관(220)을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복수의 연결라인(321~326)은 메인이송라인(310)으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저장백(391~396)과 연결된다. 연결라인의 개수는 본 시스템(1000)의 사용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연결라인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효소 저장백(391), 지방조직 저장백(392), 세척액 저장백(393), 오일 저장백(394), 폐기물 저장백(395) 및 재생성 세포(줄기세포) 저장백(396)을 구비한다.
중요한 점은 위 저장백(391~396)들의 배치 순서이다. 효소 저장백(391)과 지방조직 저장백(392) 및 오일 저장백(394)은 각각 제1유닛(100)과의 사이에만 물질을 전달하므로 메인이송라인(310)에서 제1유닛(100)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즉, 효소 저장백(391)에 저장된 콜라게나제 효소는 제1유닛(100)으로만 전달되며, 제1유닛(100)으로부터 배출된 세척된 지방조직과 오일은 각각 지방조직 저장백(392)과 오일 저장백(394)으로만 이송된다.
그리고 재생성 세포 저장백(396)은 제2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된 재생성 세포를 저장하므로 메인이송라인(310)에서 제2유닛(200)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척액 저장백(393)과 폐기물 저장백(395)은 제1유닛(100) 및 제2유닛(200)에 모두 세척액을 이송한다. 따라서 세척액 저장백(393)과 폐기물 저장백(395)은 어느 하나의 유닛(100,200)과만 물질을 교환하는 다른 저장백들 사이, 즉 제1유닛(100)과 제2유닛(200)의 중간 지점에 배치된다.
공기유입라인(330)은 메인이송라인(310)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이송라인(310)으로부터 분기된다. 메인이송라인(31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도록 공기유입라인(330)의 단부에는 에어 필터(397)가 장착된다.
여기서도 중요한 점은 공기유입라인(330)의 배치 위치이다. 공기유입라인(330)은 제1유닛(100)으로부터 제2유닛(200)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이송경로를 기준으로 다른 연결라인들(321~326)보다 먼저 메인이송라인(310)으로부터 분기된다. 즉, 메인이송라인(310)에서 첫 번째로 분기된다.
공기유입라인(330)은 메인이송라인(310) 내에 존재하는 물질들을 특정한 저장백 또는 제2유닛(200)으로 이송시켜 메인이송라인(310)에서 여러 물질들이 혼합되거나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중요하게는, 제1유닛(100)으로부터 재생성 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제2유닛(200)으로 이송한 후, 메인이송라인(310)에 수용액이 잔존할 수 있으므로, 공기유입라인(330)을 개방하여 공기를 도입하는 상태에서 후술할 펌프(900, 제2유닛에 근접해 있는 펌프)를 작동시키면 메인이송라인(310)에 남아 있던 수용액을 제2유닛(200)으로 모두 이송시킬 수 있다. 만약 공기를 도입하지 않는 상태로 펌프(900)만 가동시키면 메인이송라인(310)에 음압이 형성되어 펌프(900)에 의한 잔존 수용액의 이송이 곤란하므로, 공기유입라인(330)을 통한 공기의 유입이 필수적이다.
측정라인(340)도 메인이송라인(310)으로부터 분기되며 그 단부에는 압력센서(380)가 설치된다. 압력센서(380)는 메인이송라인(310)에 인가되는 압력을 계속적으로 측정한다. 특히, 제1유닛(100)으로 지방조직이 유입될 때에는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메인이송라인(310)에는 필터(370)가 설치된다. 필터(370)는 덩어리 상태의 콜라겐과 같은 거대 조직이 메인이송라인(310)을 통해 제2유닛(200)으로 유입되는 것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이 필터(370)는 다중 구조로 그물조직으로 된 주머니 두 개가 겹쳐 있는 형태인데, 작은 주머니가 큰 주머니 속에 들어가 있다. 필터(370)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액체나 입자가 작은 물질은 필터(370)를 통과할 수 있지만 콜라겐과 같은 거대 조직은 필터(370)에 걸려 더 이상 유동될 수 없다.
필터(370)는 제1유닛(100)으로부터 제2유닛(200)으로 이동되는 유체의 이동경로상 폐기물 저장백(395)으로 이어지는 연결라인(325)의 직전에 설치된다. 따라서, 콜라겐 덩어리와 같은 조직을 필터(370)를 거치지 않고 직접 폐기물 저장백(395)으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메인이송라인(310)으로부터 분기되어 필터(370)를 우회하여 연결라인(325)으로 이어지는 바이패스라인(350)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유닛(100)의 보조관(140)과 제2유닛(200)의 제2배출관(230)에는 외부와 공기를 교환하기 위한 교환라인(360)이 설치되고, 교환라인(360)의 단부에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361)가 마련된다.
한편, 제1유닛(100)과 펌프(900) 사이의 메인이송라인(310)에는 광센서(317)가 설치된다. 이 광센서(317)는 메인이송라인(310)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색채를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제1유닛(100)으로부터 출입관(130)을 통해 노란색의 지방조직 또는 지방세포가 배출되면, 노란색을 감지하여 지방세포 또는 지방조직이 배출되고 있다는 신호를 후술할 콘트롤러(미도시)로 송출한다
그리고 제2유닛(200)과 펌프(900) 사이에도 센서(318)가 설치된다. 이 센서(318)는 제1출입관(220)을 통해 공기의 유출입을 탐지한 후 콘트롤러(미도시)에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복수의 연결라인(321~326), 공기유입라인(330), 바이패스라인(350)에는 이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밸브(400)가 설치된다. 모든 라인들에 설치되는 밸브(400)의 구성은 동일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밸브(4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밸브의 설치전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밸브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b-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밸브(400)는 본체(410), 누름바(420) 및 커버(430)를 구비한다.
본체(410)는 복수의 라인이 거치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에 안착부(411)가 형성된다. 안착부(411)는 본체의(41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길게 배치된다. 그리고 안착부(411)의 배치 방향을 따라 안착부(411)의 일측에는 길게 지지벽(412)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타측에는 한 쌍의 돌출벽부(413)가 형성되므로 안착부(411)에 거치된 라인은 옆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안착부(411)의 하측에는 홈부(415)가 형성된다. 홈부(415)는 안착부(411)의 배치방향(라인의 배치방향과 동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홈부(415)는 안착부(411)와 직교하게 배치된다. 즉, 홈부(415)는 안착부(411)로부터 한 쌍의 돌출벽부(413) 사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홈부(4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알파벳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후술할 누름바(420)가 하강하여 라인을 가압하게 되면, 도 7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바(420)의 양측 모서리가 라인(321~326,330 등)의 두 군데 지점(p)을 각각 'v'자 형상의 홈부의 경사진 면으로 누르게 되어 라인을 폐쇄한다. 누름바(420)가 라인의 두 군데 지점을 눌러주므로 라인의 확실한 폐쇄가 보장된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누름바(420)의 양측 모서리는 둥그렇게 라운드 처리되어 있어 라인을 가압할 때 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누름바(420)는 연결라인(321~326), 공기유입라인(330) 또는 바이패스라인(35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누름바(420)는 본체(4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누름바(420)가 하강하여 라인들을 가압하는 경우 라인들이 폐쇄되고, 상승하면 가압이 해제되고 연성으로서 탄성복원력을 가진 라인들은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라인들이 개방된다.
누름바(420)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가압부(421)와, 이 가압부(421)로부터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422)를 구비한다. 연결부(422)는 누름바(42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연결된다. 구동수단으로는 실린더, 모터 등 다양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미도시)가 채용되었다. 즉, 연결부(422)의 하측은 전자기를 이용한 솔레노이드와 연결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누름바(420)가 승강된다. 또한 누름바(420)는 본체(410)의 걸림턱(417)에 의하여 상승 변위가 제한된다.
커버(430)는 본체(410)의 상부를 덮어 주어 라인들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410)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430)에는 누름바(4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길게 슬롯(4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밸브(400)가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하여 승강됨에 따라 연결라인, 공기유입라인 또는 바이패스라인이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된다.
한편, 펌프(900)는 메인이송라인(310)을 비롯하여 전달유닛(300)에서 물질들이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펌프(900)는 페리스테틱 펌프(peristaltic pump)가 사용되며, 메인이송라인(31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메인이송라인(310)의 양측은 결국 제1유닛(100)과 제2유닛(200)에 근접한 위치를 의미한다.
본 페리스테틱 펌프(900)는 탄성적으로 압축 및 복원 가능한 튜브 내를 유동하는 유체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메인이송라인, 연결라인 등의 라인들은 모두 탄성적으로 압축 및 복원 가능한 튜브로 이루어진다.
페리스테틱 펌프(900)의 구체적 구성은 도 9 내지 도 14에 나타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페리스테틱 펌프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페리스테텍 펌프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c-c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페리스테틱 펌프(900)는 베이스 부재(910), 회전유닛(920), 이동부재(930), 가압부재(940) 및 스프링(950)을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910)는 회전유닛(920), 이동부재(930) 등을 탑재하는 받침대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910)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다. 베이스 부재(910)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회전유닛(920)을 보호하는 보호벽(911)이 마련되며, 이 보호벽(911)의 양측에는 메인이송라인(310)이 끼워지는 라인삽입홈(912)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910)의 양측면에는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복수의 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910)의 상부에는 오목하게 수용부(913)가 형성되며, 이 수용부(913)에는 가이드레일(914)이 설치된다. 가이드레일(914)은 베이스 부재(9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914)에는 이 가이드레일(91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리니어 이동체(915)가 설치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회전유닛(920)은 후술할 가압부재(940)와 함께 메인이송라인(310)을 가압하여 펌핑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판(921)과 가압롤러(922), 모터(미도시) 및 가이드롤러(923)를 구비한다.
회전판(921)은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호 대면하여 이격되어 있는 상판(921a)과 하판(921b)을 구비하며, 상판(921a)과 하판(921b)을 연결하는 회전축(921c)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921c)은 베이스 부재(910)를 관통하여, 베이스 부재(910)의 하측에 배치된 모터(미도시)와 연결된다. 회전축(921c)은 베어링(b)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9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는 정역회전 가능하므로, 모터가 가동됨에 따라 상판(921a), 하판(921b) 및 회전축(921c)은 함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가압롤러(922)는 메인이송라인(310)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판(921a)과 하판(921b) 사이에 복수 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롤러(922)는 회전축(921c)을 중심으로 회전판(921)의 둘레방향을 따라 120° 각도 간격으로 3개 배치된다. 그리고 가압롤러(92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이 회전판(921)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배치된다.
가이드롤러(923)는 메인이송라인(310)이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게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압롤러(922) 사이에 설치된다. 가이드롤러(923)는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이송라인(310)은 이 오목한 홈부(923a)에 삽입된 상태로 가압롤러(922)와 가이드롤러(923)에 감긴다.
그리고, 가압롤러(922)와 가이드 롤러(923)는 회전판(921)의 회전에 따라 메인이송라인(310)과 표면 마찰이 이루어지므로 메인이송라인(310)과 롤러들이 마모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 마찰을 완화하고자 가압롤러(922)와 가이드롤러(923)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가압롤러(922)와 가이드롤러(923)는 중심축(c)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다.
이동부재(930)는 베이스 부재(910)의 상부에 회전유닛(92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재(930)는 베이스 부재(910)에 설치된 리니어 이동체(915)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914)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또한 이동부재(930)에는 가이드레일(914)의 배치 방향을 따라 이동부재(930)의 전면과 후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938)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938)은 이동부재(93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마련된다.
그리고 이동부재(930)의 양측면에는 베이스 부재(9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날개부(935)가 형성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 날개부(935)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이 형성된다.
이동부재(930)의 상면에도 가이드레일(931)이 설치된다. 이 가이드레일(931)도 베이스 부재(91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914)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이동부재(930) 상면의 가이드레일(931)에도 이 가이드레일(93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리니어 이동체(932)가 설치된다.
가압부재(940)는 메인이송라인(310)을 회전유닛(920)의 가압롤러(922)를 향해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가압부재(940)는 이동부재(930)에 대하여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940)는 리니어 이동체(932)에 볼트(933)에 의하여 고정된다. 즉, 가압부재(940)는 가이드레일(931)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부재(940)의 후면부에는 이동부재(9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스커트부(942)가 수직하게 형성되며, 이 스커트부(940)의 양측에는 이동부재(930)에 형성된 관통공(938)과 연통되는 구멍(943)이 형성된다. 또한, 가압부재(940)의 전면에는 메인이송라인(310)과 접촉되는 가압면(944)이 형성된다. 이 가압면(944)은 회전유닛(920)의 형상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메인이송라인(310)을 회전유닛(9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링(950)은 가압부재(940)를 회전유닛(920)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프링(950)은 이동부재(930)의 전면과 가압부재(940)의 지지면(941) 사이에서 지지된다.
스프링(950)이 이동부재(930)와 가압부재(940)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s)를 사용한다. 스크류(s)는 이동부재(930)의 관통공(938)을 통해 가압부재(940)의 지지면(941)에 체결된다. 스크류(s)는 이동부재(930)와는 결합되지 않으며 단지 관통공(938)을 통과하며, 스크류(s)의 머리부는 관통공(938)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동부재(930)의 후면에 걸리게 된다. 스프링(950)은 스크류(s)에 끼워지므로 안정적으로 가압부재(940)를 탄성가압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재(930)를 회전유닛(920) 쪽으로 이동시키면 가압부재(940)도 함께 이동되어 가압부재(940)가 회전유닛(920)을 접촉 및 가압하게 되며 스프링(950)은 압축되는데, 이동부재(930)가 위치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부재(940)를 밀었던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950)이 이동부재(930)를 회전유닛(920)의 반대방향으로 밀어버리므로 가압부재(940)가 메인이송라인(310)을 가압하지 못하게 된다.
즉, 가압부재(940)가 지속적으로 메인이송라인(310)을 가압하기 위해서는 이동부재(930)가 일정한 지점으로 이동한 후에는 외력에 의해서 이동되지 못하도록 위치를 고정시켜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해 고정부재(950) 및 스토퍼(964)를 구비한다.
고정부재(950)는 이동부재(93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910)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의 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되며, 고정부재(9)는 나사(954)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91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부재(950)는 이동부재(93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고정부재(950)에는 그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를 관통하는 장공(952)이 형성된다. 장공(952)은 이동부재(930)의 이동방향을 따라 고정부재(950)에 길게 배치된다. 나사(954)는 장공(952)을 통해 베이스 부재(910)의 나사공에 체결된다. 나사(954)를 헐겁게 체결한 상태에서 고정부재(950)는 장공(952)을 따라 위치이동 가능하므로, 고정부재(9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부재(950)의 상부에는 이동부재(930)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홈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삽입홈부(951)가 형성된다 삽입홈부(951)는 후술할 스토퍼(964)가 끼워져 삽입됨으로써 이동부재(930)의 위치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고정부재(950)의 위치이동에 따라 삽임홈부(951)의 위치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950)가 별도로 마련되어 베이스 부재(910)에 결합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삽입홈부가 베이스 부재(9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스토퍼부재(960)는 스토퍼(964)와 중공관(961) 및 손잡이(961)를 구비한다. 스토퍼(964)는 이동부재(930)에 설치되며, 삽입홈부(951)에 끼워져 이동부재(93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964)는 베이스 부재(9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중공관(961)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910) 양측에 배치된 스토퍼는(964)의 상단부는 손잡이(967)에 각각 고정된다. 중공관(961)은 손잡이(967)와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손잡이(967)와 스토퍼(964)는 상하방향을 따라 중공관(961)에 대하여 상대이동 가능하다.
중공관(961)의 하부에는 중공 형상의 체결 볼트(962)가 결합된다. 체결 볼트(962)의 하측 외주면에는 나사부(962a)가 형성되어 있어, 이동부재(930)의 날개부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에 체결된다. 이렇게 체결 볼트(962)가 이동부재(93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스토퍼부재(960) 전체가 이동부재(9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토퍼(964)의 하단부는 중공관(961)과 체결 볼트(962)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체결 볼트(962)의 내부에는 스프링(963)이 스토퍼(964)에 끼워져 설치된다. 스토퍼(964)의 하부에는 플랜지부(964a)가 형성되는데, 스프링(963)은 이 플랜지부(964a)의 상면과 체결 볼트(962) 사이에 지지되어 스토퍼(964)를 삽입홈부(951)를 향해 탄성가압한다.
체결 볼트(962)가 이동부재(930)에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967)를 상방으로 당기면 스토퍼(964)도 함께 당겨져서 삽입홈부(951)로부터 이탈되며, 이 때 플랜지부(964a)에 의하여 스프링(963)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역으로 손잡이(967)를 당겼던 힘을 해제하면 압축된 스프링(963)이 탄성복원하면서 플랜지부(964a)를 가압하여 스토퍼(964)를 삽입홈부(951)로 가압한다. 즉, 스토퍼(964)는 스프링(963)에 의하여 삽입홈부(951)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토퍼(964)가 삽입홈부(951)에 삽입되면 이동부재(930)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이동부재(930)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가압부재(940)와 이동부재(93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950)은 가압부재(940)를 회전유닛(920)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고정부재(950)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삽입홈부(951)의 위치도 이동되므로, 가압부재(940)를 탄성가압하는 스프링(950)의 압축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페리스테틱 펌프(900)는 스프링(950)에 의하여 가압부재(940)를 회전유닛(920) 쪽으로 탄성가압하여 메인이송라인(310)을 지지함으로써, 가압롤러(922)의 가압력이 메인이송라인(310)에 손실 없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메인이송라인(310)은 다양한 두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기존의 펌프들은 고정된 규격의 라인에만 사용할 수 있었다. 즉, 두께가 두꺼운 라인의 경우 롤러와 지지면 사이에 삽입되지 못하므로 사용할 수 없었고, 두께가 얇은 경우 롤러와 지지면 사이에서 밀착되지 않으므로 롤러의 가압시 손실이 많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채용한 페리스테틱 펌프(900)는 가압부재(940)의 위치가 유동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라인에 모두 적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950)을 이용하여 라인을 정확하게 지지하므로 가압롤러의 힘이 손실없이 정확하게 라인에 전달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1000)을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분리대상이 되는 지방조직을 출입관(130)을 통해 제1유닛(100) 내부로 유입시킨다. 예컨대, 주사기를 통해 인체로부터 지방조직을 선추출한 후, 다시 지방조직을 분리유닛(100)으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송과정에서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직접 주사기 바늘을 꼽고 주사기 주사기와 연결된 튜브 등을 출입관(130)에 연결한 상태에서, 펌프(900)를 이용하여 서브 용기(110)의 내부를 음압분위기로 형성하면 지방조직 인체로부터 직접 서브 용기(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방조직이 서브 용기(110)로 유입되면, 다른 밸브는 모두 잠근 상태에서 연결라인(323)에 설치된 밸브(400)를 열고 펌프(900)를 작동시켜 세척액을 제1유닛(100)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미도시된 회전지그를 작동시켜 제1유닛(100)에 대한 회전 및 정지를 반복한다. 이렇게 회전 및 정지를 일정 주기로 반복하면 지방조직과 세척액이 상호 교반되면서 분리되며, 혈액 유래 오염물과 함께 유입된 지방조직은 세척된다.
서브 용기(11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대략 1분 정도 정치시키면, 서브 용기(100)의 하부에는 세척액, 혈액, 체액 등의 무거운 성분들이 배치되고, 이들 상부에 세척된 지방조직이 배치되고, 오일 성분은 최상층에 배치된다.
다시 펌프(900)를 작동시켜 출입관(130)을 통해 서브 용기(110)의 하부에 있는 혈액, 세척액 등을 배출시킨다. 이 때에는 바이패스라인(350)만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가동을 하면 혈액, 세척액 등의 폐기물은 필터(370)를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여 폐기물 저장백(395)으로 이동된다.
세척액 등이 모두 배출되면 노란색을 띠는 지방조직이 출입관(130)을 통해 배출되는데, 메인이송라인(310)에 설치되어 있는 광센서(317)는 지방조직의 색채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신호를 송출한다. 콘트롤러에서는 펌프(900)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한 과정을 3~4회 정도 반복하면서 지방조직이 완전히 세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체로부터 추출된 지방조직으로부터 혈액 오염물, 체액 및 오일 성분들을 분리해내고 지방조직이 완전히 세척된 후, 필요하다면 세척된 지방조직을 지방조직 저장백(392)으로 이송시켜 보관할 수 있다. 이 때에는 다른 밸브는 모두 잠근 상태에서 322번 연결라인에 설치된 밸브만 개방하여 이송한다.
이후, 펌프(900)를 작동시키면서 321번 연결라인에 설치된 밸브(400)만을 개방한 상태에서 효소 저장백(393)으로부터 콜라게나제를 출입관(130)을 통해 제1유닛(100)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효소의 농도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는 세척액을 일부 투입할 수 있다.
콜라게나제가 서브 용기(110)에 유입되면,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서브 용기(110)를 대략 30분 정도 회전 및 교반시킨다. 이 때 회전지그에 마련된 온도조절수단을 통해 서브 용기(110)의 온도를 37℃ 정도로 유지한다. 콜라게나제는 지방조직을 분해하며, 분해된 성분들은 서브 용기(110)의 회전으로 원심분리된다. 서브 용기(11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1분 정도 정치시키면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은 상대적으로 무거운 성분이므로 서브 용기(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그 위에 성숙 지방세포(matured fat cell)와 오일성분이 놓여진다.
모든 밸브를 잠근 상태에서, 제1유닛과 제2유닛에 각각 근접된 펌프(900) 2개를 모두 작동시켜 출입관(130)을 통해 줄기세포가 포함된 수용액을 제2유닛(200)으로 이송한다. 이 때에는 수용액이 필터(370)를 통과하게 되므로 콜라겐 등과 같은 거대 조직은 필터에 의하여 걸러진다.
이송이 완료된 후에도 메인이송라인(310)에 줄기세포가 포함된 수용액이 일부 잔존할 수 있다. 이 수용액을 손실 없이 제2유닛(200)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에어 필터(393)와 연결된 공기유입라인(330)만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2유닛(200)에 인접한 펌프(900)를 작동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메인이송라인(310)으로 유입되면서 잔존하는 수용액을 모두 제2유닛(200)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센서(317)에서 다시 노란색이 감지되면, 줄기세포가 포함된 수용액은 모두 배출된 후 지방세포가 배출되는 것이므로 펌프들의 작동을 중지시킨다(한 번에 모든 수용액을 이송하는 경우). 그리고, 필요한 경우 성숙 지방세포 및 오일을 별도의 저장백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줄기세포를 포함한 수용액이 모두 제2유닛(200)의 메인 용기(210)로 유입되면,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모음부재(270)와 가이드부재(28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우선 모든 밸브를 닫고, 펌프들도 작동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메인 용기(210)를 대략 5분 정도 회전시킨 후 자연 감속시킨다. 줄기세포를 포함한 수용액은 이 과정에서 원심분리되는데, 상대적으로 무거운 줄기세포는 원심력에 의하여 가압되어 수용돌출부(217)의 내벽에 부착되고, 체액, 세척액, 효소 등은 메인 용기(110)의 하부에 수용된다. 중요한 사항은 메인 용기(110)의 회전을 중지시킬 때 인위적으로 감속시키지 말고 자연감속 시키는 것이다. 인위적으로 회전에 브레이크를 걸면 수용돌출부(217)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던 줄기세포들이 메인 용기(110) 하부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원심분리가 완료되면 폐기물 저장백(395)과 연결된 연결라인(325)만을 개방시켜 제1배출관(220)을 통해 체액 등의 수용액을 폐기물 저장백(395)으로 이송한다. 메인이송라인(310)에 설치된 센서(318)에서 공기가 감지되면, 수용액이 모두 배출된 것이므로 펌프(900)의 작동을 중지한다.
그리고 제1유닛(100)으로부터 제2유닛(200)으로 줄기세포를 포함한 수용액을 이송하는 단계부터 여기까지의 단계를 몇 차례 반복한다. 즉, 제1유닛에서 분리된 양이 많은 경우에는 한 번에 모든 수용액을 제2유닛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몇 회에 나누어서 줄기세포가 포함된 수용액을 이송하여 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다. 광센서(317)에서 노란색 지방조직이 감지되면 반복과정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줄기세포를 포함한 수용액에 대한 원심분리가 완료된 후, 돌출수용부(217)의 내벽에 부착된 줄기세포를 세척하기 위해서, 미량의 세척액을 메인 용기(210)로 투입한다. 그리고 다시 공기유입라인(330)만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공기를 도입하여 메인이송라인(310) 내의 모든 유체를 제2유닛(200)으로 유입시킨다.
모든 라인들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메인 용기에 대한 급회전과 급정지를 5~15회 정도 반복한 후, 재차 원심분리를 하며 메인용기(210)를 급감속시킨다. 이렇게 급회전과 급정지를 반복하면서 메인 용기를 가속 및 감속시키면, 돌출수용부(217)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던 줄기세포들이 메인 용기(210)의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줄기세포 추출과정을 수 회 반복하여 수행하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줄기세포에 이물질이 최소한으로 포함되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326번 연결라인만을 개방하여 메인 용기(210)의 하부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제1배출관(220)을 통해 줄기세포 저장백(396)으로 이송함으로써 줄기세포 추출과정이 완료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은 에어 필터에서 정화된 공기만 유입될 뿐,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오염의 문제없이 재생성 세포를 추출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서는 특정한 물질을 저장백과 교환할 때 그 저장백과 연결된 연결라인만을 오픈하면 되므로 조작이 매우 간단하다.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여러 개의 밸브를 함께 개폐하여야 하므로 조작이 용이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매우 간단하게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에서는 타겟물질, 특히 줄기세포를 포함한 수용액이 메인이송라인에 일부 잔존하여 수율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유입라인을 통해 공기를 도입하여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손실 없이 제2유닛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점은 단지 줄기세포를 포함한 수용액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며, 모든 타겟 물질에 적용될 수 있다. 즉, 타겟 물질을 메인이송라인을 통해 교환(이송)한 후, 타겟 물질이 메인이송라인에 일부 남아 있는 경우, 공기유입라인을 통해 공기를 도입하여 타겟 물질을 원하는 위치로 완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0 ...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100 ... 제1유닛
200 ... 제2유닛 310 ... 메인이송라인
321~326 ... 연결라인 330 ... 공기유입라인
340 ... 측정라인 350 ... 바이패스라인
400 ... 밸브 900 ... 페리스테틱 펌프

Claims (11)

  1.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압롤러와,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며, 일정 지점에서 위치고정 가능한 이동부재;
    상기 회전유닛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에는 원호 형상의 가압면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유닛에 감겨져 있는 탄성적으로 압축 및 복원 가능한 튜브를 상기 가압롤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와 가압부재 사이에 지지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회전유닛 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스테틱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왕복운동 방향을 따라 전면과 후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의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크류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스테틱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2개 마련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전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스테틱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가 형성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면 상기 이동부재는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스테틱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왕복이동방향을 따라 위치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왕복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삽입홈부가 형성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면 상기 이동부재는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스테틱 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를 관통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을 통해 나사가 상기 나사공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는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스테틱 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의 가압롤러 사이에 설치되며,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튜브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리스테틱 펌프.
  8. 조직(tissue)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상기 조직이 수용 및 분리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 용기와, 일단부가 상기 서브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브 용기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출입관을 구비하는 제1유닛;
    상기 제1유닛에서 이송된 분리대상물로부터 재생성 세포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며 상기 분리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용기와, 일단부는 상기 메인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용기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1배출관을 구비하는 제2유닛;
    상기 제1유닛과 제2유닛 및 복수의 저장백들 사이에서 유체를 교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적으로 압축 및 복원가능한 복수의 튜브로 이루어진 전달유닛; 및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달유닛의 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 내측의 유체를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복수의 페리스테틱 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제1유닛의 출입관과 상기 제2유닛의 제1배출관을 연결하는 메인이송라인과, 상기 메인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단부에 각각 저장백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라인과, 상기 제1유닛과 상기 복수의 연결라인 사이의 상기 메인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단부에 에어 필터가 장착되어 외부의 공기를 여과하여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라인과, 상기 연결라인 및 공기유입라인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들 중 어느 하나의 연결라인의 단부에는 폐기물 저장백이 설치되며,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제2유닛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이송경로상 상기 폐기물 저장백과 연결되는 연결라인의 전단에 일정 크기 이상의 덩어리를 걸러내기 위하여 상기 메인이송라인에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유체가 상기 필터를 우회하도록 상기 메인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폐기물 저장백이 설치된 연결라인으로 이어지는 바이패스라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라인은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제2유닛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의 이송경로상 상기 연결라인들보다 먼저 상기 메인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KR1020110134926A 2011-12-14 2011-12-14 페리스테틱 펌프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KR101316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926A KR101316575B1 (ko) 2011-12-14 2011-12-14 페리스테틱 펌프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PCT/KR2012/010906 WO2013089481A1 (ko) 2011-12-14 2012-12-14 페리스테틱 펌프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926A KR101316575B1 (ko) 2011-12-14 2011-12-14 페리스테틱 펌프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468A KR20130067468A (ko) 2013-06-24
KR101316575B1 true KR101316575B1 (ko) 2013-10-15

Family

ID=4861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926A KR101316575B1 (ko) 2011-12-14 2011-12-14 페리스테틱 펌프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6575B1 (ko)
WO (1) WO20130894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5121B (zh) * 2019-09-06 2023-12-22 楚天源创生物技术(长沙)有限公司 匀流管道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590A (ko) * 2003-09-29 2006-08-02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이동식 펌프 헤드를 구비한 연동 펌프
KR20100068472A (ko) * 2007-09-27 2010-06-23 델파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연동식 펌프 조립체 및 조절 장치
KR20100069527A (ko) * 2008-12-16 2010-06-24 한금복 지방조직 분리에 사용되는 액체 공급용 펌프
KR20110045479A (ko) * 2009-10-27 2011-05-04 도병록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590A (ko) * 2003-09-29 2006-08-02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이동식 펌프 헤드를 구비한 연동 펌프
KR20100068472A (ko) * 2007-09-27 2010-06-23 델파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연동식 펌프 조립체 및 조절 장치
KR20100069527A (ko) * 2008-12-16 2010-06-24 한금복 지방조직 분리에 사용되는 액체 공급용 펌프
KR20110045479A (ko) * 2009-10-27 2011-05-04 도병록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468A (ko) 2013-06-24
WO2013089481A1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573B1 (ko) 재생성 세포 추출유닛 및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KR101466923B1 (ko)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
KR101679671B1 (ko)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CN108504539A (zh) 用于细胞处理相关应用的***和设备
EP3372669B1 (en) Device for isolating cell fractions from human and animal tissues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JP2006513019A5 (ko)
JP2006513019A (ja) 成分への生物学的流体の連続的分離のための改良型方法及び装置
CN201492455U (zh) 用于脂肪抽取、分离和移植的装置
KR101357160B1 (ko)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 방법
KR102100665B1 (ko) 원심분리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316574B1 (ko)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KR101316575B1 (ko) 페리스테틱 펌프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US10774301B2 (en) Syringe system for fluid separation
CN2735985Y (zh) 一次性使用血细胞分离器
KR101263820B1 (ko)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US20140207103A1 (en) Hand-held adipose processor and cell concentrator
KR101263821B1 (ko)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US20240245863A1 (en) Separation Syringe and Processing Methods For Separation of Biological Fluids Into Fractions
CN208372206U (zh) 一种新鲜血液透析液盛放桶
WO2024158911A1 (en) Separation syringe and processing methods for separation of biological fluids into fractions
KR20230061187A (ko) 혈소판 농축 혈장 추출용 혈액분리장치
CN113996366A (zh) 一种封闭式离心装置
CN109127061A (zh) 一种固体药品检测用研磨溶解装置
WO2015143165A1 (en) Hand-held adipose processor and cell concent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