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081B1 - Air Cleaning Device - Google Patents

Air Clea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081B1
KR101313081B1 KR1020110125194A KR20110125194A KR101313081B1 KR 101313081 B1 KR101313081 B1 KR 101313081B1 KR 1020110125194 A KR1020110125194 A KR 1020110125194A KR 20110125194 A KR20110125194 A KR 20110125194A KR 101313081 B1 KR101313081 B1 KR 101313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body
duct pipe
inle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9078A (en
Inventor
유형기
Original Assignee
유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형기 filed Critical 유형기
Priority to KR102011012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081B1/en
Publication of KR20130059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0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0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06Ring-shap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27Metallic material
    • B01D39/2041Metallic material the material being filamentary or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3W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설치공간이 절약되고 필터가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편리하게 세척하면서 반복 사용 가능하도록, 입구 및 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와,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스의 내부에서 한쪽 끝부분이 출구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측면에는 기체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멍이 형성되는 덕트관과, 덕트관의 외주면에 조립되는 필터로 이루어지고, 필터는 각각 금속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덕트관의 주위를 따라 얇고 넓적하게 형성하여 설치되며 바깥쪽 모서리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서서히 벌어지고 안쪽 모서리가 덕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제1필터체 및 제2필터체와, 제1필터체와 제2필터체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ave installation space, the filter is composed of a case in which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formed, and a hollow tube, and one end of the case is connected to the outlet so that the filter is excellent in strength and durability and can be conveniently washed and used repeatedly. The side is composed of a duct pipe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let holes for gas inlet, and a filter assemb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pipe, the filter is each made of a metal fabric and formed thin and wi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uct pipe A pair of first filter bodies and second filter bodies, the inner edges of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pipe as the inner edges are grad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the outer ed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rovided is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spacing member that maintains a spacing between two filter bodies.

Description

공기 정화장치 {Air Cleaning Device}Air Cleaning Device {Air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의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세척하면서 반복 사용이 가능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기체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구성한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configured to be able to be repeatedly used while washing, to occupy less space, and to expand a contact area with a gas because the filter has excellent strength and durability. .

일반적으로 공기 정화장치는 공기 속의 먼지나 매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내연기관의 흡입 공기의 정화 및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실내 공기의 정화, 공장 등의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오염 공기의 정화 등을 위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the air purifier is 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soot in the air.It is used to purify the intake ai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ed in automobiles, and to clean indoor air to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 and to occur in industrial sites such as factories. It is very useful for the purification of polluted air.

상기 공기 정화장치는 사용환경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여과재(filter)에 공기에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정화 방식은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 air purifier is used in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nd the filter purifying method for removing foreign matter by passing through the filter (air) to the air is used in a variety of field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종래 필터 정화방식의 공기 정화장치는 정화될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및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유입구쪽과 유출구쪽 사이를 가로막고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여과재로 구성된다.Conventional filter purifying air purifier is composed of a case in which the inlet to the air to be purified and the outlet of the purified air is formed, respectively, and the filter medium which is installed in a zigzag across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inside the case; do.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 정화장치는 여과재를 종이나 섬유 등의 1회성 재질을 주로 사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고 여과재를 세척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세척하여 사용하는 경우 성능이 저하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The air purifi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durability is degraded as the filter medium is mainly manufactured by using a one-time material such as paper or fiber, and it is impossible to reuse the filter medium by washing the filter medium, or the performance tends to be degraded when used by washing the filter medium. There is this.

그리고 최적의 정화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여과재를 일정 주기마다 매번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특히, 사용 장소의 기체 오염도가 높은 악조건에서 많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여과재의 교체주기가 짧아지므로 유지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maintain the optimal purification performance, the maintenance cost increases because the filter medium must be replaced with a new one every cycle. Especially, when the filter medium is used in a bad condition with high gas pollution at the place of use,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filter medium is shorte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s increased.

또한, 종래 여과재의 경우 자체의 강도가 약한 편이므로 수평으로 넓은 면적으로 설치하기가 어렵고 여과재를 적층하거나 여러 겹으로 설치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ilter medium because its strength is weak, it is difficult to install in a wide horizontal area,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tack the filter medium or install in multiple laye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금속직물로 이루어지는 필터를 사용함에 따라 내구성이 우수하고 물세척 등이 가능하여 반복 사용 가능하면서 교환주기를 늦출 수 있으며,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기체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화성능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by using a filter made of a metal fabric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can be washed repeatedly, such as repeatable use, while slowing the exchange cycle, taking up less space and ga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the air purifier.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공기 정화장치는 입구 및 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와,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한쪽 끝부분이 상기 출구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측면에는 기체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멍이 형성되는 덕트관과, 상기 덕트관의 측면에 조립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ir purify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in which an inlet and an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and a hollow tube, and one end of the case is connected to the outlet, and a plurality of inlet holes into which gas is introduced into the side. The duct pipe is formed, and the filter is assembled to the side of the duct pipe.

상기 덕트관의 내면에는 상기 유입구멍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의 와류를 유도하도록 내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유도날개가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pipe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guide wing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to induce vortex of the gas flowing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inlet hole.

상기 필터는 금속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관의 주위를 따라 얇고 넓적하게 형성하여 설치되며 바깥쪽 모서리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서서히 벌어지고 안쪽 모서리가 덕트관의 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제1필터체 및 제2필터체와, 상기 제1필터체와 제2필터체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lter is made of a metal fabric and is formed by forming a thin and wide along the periphery of the duct pipe, the outer ed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gradually with the inner edges gradually open toward each other and the inner edg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s of the duct pipes. It comprises a pair of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to be maintained, and a gap hold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상기 제1필터체 및 제2필터체는 스테인리스스틸로 된 실(yarn)을 사용하고 평직조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are made by using a stainless steel yarn and plain weave.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제1필터체 및 제2필터체의 안쪽 끝부분 모서리 주위를 따라 지그재그로 꺾이면서 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The gap maintaining member is installed to form a ring shape while being zig-zag around the inner edges of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상기 필터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필터체와 제2필터체의 바깥쪽 모서리를 감싸며 지지하는 외부마감테와, 각각 상기 제1필터체 및 제2필터체의 안쪽 끝부분을 감싸며 지지하는 한 쌍의 내부마감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filter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surrounds and supports the outer edges of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and wraps and supports the inner ends of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respec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comprise a pair of internal finishing frame.

상기 필터는 상기 제1필터체와 제2필터체 내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섬유필터 및 제2섬유필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filter may further comprise a first fiber filter and a second fiber filter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그리고 본 발명은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관의 외주면을 감싸 덮도록 설치되는 보조필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filter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installed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pipe.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 의하면, 금속직물로 이루어지는 필터를 사용함에 따라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되고 물 등의 세척액을 이용하여 깨끗이 세척하면서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a filter made of a metal fabric is improved strength and durability, and can be repeatedly used while washing clean using a cleaning solution such as wat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 의하면, 필터가 얇고 넓적하며 연속 설치가 용이하므로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기체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기체 정화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is thin, wide and easy to install continuously, so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gas while taking up less space, and to improve the gas purifying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 의하면, 필터 내부에 섬유필터를 설치하거나 덕트관 외주면에 보조필터를 설치하므로 미세한 고체입자, 매연, 냄새 등의 여과가 가능하고 정화성능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ilter the fine solid particles, soot, odor, etc. and to maximize the purification performance because the filter is installed inside the filter or the auxiliary filter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pipe. .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 의하면, 덕트관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와류를 유도함에 따라 기체가 자연스럽게 유입되면서 유입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화성능 및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flow while the gas is naturally introduced by inducing the vortex of the gas flowing into the duct pip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performance and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필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필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필터의 간격유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필터의 간격유지부재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필터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덕트관과 파이프망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덕트관과 파이프망의 조립상태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덕트관과 보조필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덕트관과 보조필터의 조립상태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덕트관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필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필터의 부분확대 종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filter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 keeping member of the filter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ace keeping member of a filter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shape of the filter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ct pipe and the pipe network showing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assembl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ct pipe and the pipe network showing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ct pipe and the auxiliary filter showing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assembled state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uct pipe and an auxiliary filter showing an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ct pipe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ilter showing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artially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ilter showing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technical ele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for avoiding redundant description are omitted.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ffective manner and should not be constru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0)와,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는 기체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멍(42)이 형성되는 덕트관(40)과, 상기 덕트관(10)의 외주면에 조립되는 필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case 20, a hollow tube and a plurality of inlet holes 42 through which gas is introduced into the side surface. It comprises a duct pipe 40, and the filter 60 is assemb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uct pipe (10).

상기 케이스(20)는 원통형상이나 사각통형상, 타원통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ase 20 is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an elliptic cylindrical shape.

상기 케이스(20)의 측면에는 공기 등의 외부 기체가 유입되는 입구(22)가 형성되고 상부 끝면에는 유입된 기체가 배출되는 출구(24)가 각각 형성된다.An inlet 22 through which external gas such as air is introduced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case 20, and an outlet 24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gas is discharg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surface, respectively.

상기 입구(22) 및 출구(24)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nlet 22 and the outlet 24 can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상기 케이스(20)는 윗면이 개구되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는 덮개(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case 20 may include a body 21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cover 2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body 21.

상기 덕트관(40)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세워져 조립 설치되며 상부 끝부분은 상기 출구(24)와 연결하고 하부 끝면은 폐쇄시킨다.The duct pipe 40 is installed and assembled in the case 20,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24 and the lower end is closed.

상기 덕트관(40)에 형성되는 유입구멍(42)은 원형이나 다각형 등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길쭉하게 장공이나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flow hole 42 formed in the duct pipe 40 is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may be formed in an elongated or elliptical lengthwise up and down.

상기 덕트관(40)의 내면에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망(44)이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9 and 10, the pipe network 44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pipe 40.

상기 파이프망(44)은 금속망을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되고 상기 덕트관(40)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The pipe net 44 is installed by forming a metal net in the shape of a pipe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pipe 40.

상기 필터(6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덕트관(20) 외주면에 조립되도록 조립구멍(60a)이 형성된다.3 and 4, the filter 6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an assembly hole 60a is formed at the center to be assemb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pipe 20.

상기 필터(6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다각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lter 60 may be formed as a quadrangle as shown in FIG. 9, and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filter 60 may be formed as a polygon, an ellipse, or the like.

상기 필터(6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금속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관(20)의 주위를 따라 얇고 넓적하게 형성하여 설치되며 바깥쪽 모서리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서서히 벌어지고 안쪽 모서리가 덕트관(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제1필터체(61) 및 제2필터체(62)와, 상기 제1필터체(61)와 제2필터체(62)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부재(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5 and 6, the filter 60 is formed by using a metal fabric, respectively, is formed by forming a thin and wi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uct pipe 20, the inner side in the outer edge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filter body 61 and the second filter body 62 and the first filter body 61 and the inner edg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uct pipe 20 and gradually close to each other as And a spacing holding member 64 which maintains a spacing between the second filter bodies 62.

상기 제1필터체(61) 및 제2필터체(62)는 스테인리스스틸로 된 실(yarn)을 사용하고 평직조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filter body 61 and the second filter body 62 are made by using a stainless steel yarn and plain weave.

상기 제1필터체(61)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서서히 높아지도록 완만한 경사로 설치된다.The first filter body 61 is installed at a gentle inclination so that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상기 제2필터체(62)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완만한 경사로 설치된다.The second filter body 62 is installed at a gentle inclination so that the heigh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상기 간격유지부재(64)는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체(61) 및 제2필터체(62)의 안쪽 끝부분 모서리 주위를 따라 상하로 지그재그로 꺾이면서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된다.6 to 8, the spacing member 64 is formed using a metal plate and is zigzag up and down along the inner edges of the filter body 61 and the second filter body 62.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while being bent.

상기 제1필터체(61)와 제2필터체(62), 간격유지부재(64)는 브레이징 용접 등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filter body 61, the second filter body 62, and the gap holding member 64 can be integrally fixed by brazing welding or the like.

상기 필터(60)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필터체(61)와 제2필터체(62)의 바깥쪽 모서리를 감싸며 고정되는 외부마감테(67)와, 각각 상기 제1필터체(61) 및 제2필터체(62)의 안쪽 끝부분 모서리를 감싸며 고정되는 내부마감테(6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filter 60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is fixed to surround outer edges of the first filter body 61 and the second filter body 62 and is fixed to the outer finishing frame 67, respectively. 61) and the inner finishing frame 68 which surrounds and fixes the inner edge of the second filter body 62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외부마감테(67) 및 내부마감테(68)는 대략 "ㄷ(디귿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The outer finishing frame 67 and the inner finishing frame 68 are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pproximately "c".

상기 필터(60)는 상기 하나의 덕트관(40)에 적게는 한 개에서 여러 개를 조립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install at least one filter 60 in one duct pipe 40.

상기 덕트(4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필터(60)의 안쪽 끝부분 모서리와의 기밀 유지를 위해 패킹(70)이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4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acking 70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with the inner edge of the filter 60.

상기 패킹(70)은 상기 필터(60)와 필터(60) 사이 및 필터(60)와 케이스(20) 내면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acking 7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lter 60 and the filter 60 and between the filter 6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0.

상기 케이스(20)의 입구(22)로 유입되는 기체는 상기 필터(60)의 제1필터체(61) 및 제2필터체(62)를 통과하게 되며, 이 때 미세분진, 고체 미립자 등의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게 여과 가능하게 된다.Gas flowing into the inlet 22 of the case 20 passes through the first filter body 61 and the second filter body 62 of the filter 60, and at this time, fine dust, solid particles, Foreign matter becomes filterable to prevent passage.

상기 제1필터체(61) 및 제2필터체(62) 사이로 유입된 기체는 상기 덕트관(40)의 유입구멍(42)을 통해 덕트관(40) 내부로 유입되며 덕트관(40)으로 유입된 기체는 케이스(20)의 출구(24)로 배출된다.Gas introduced between the first filter body 61 and the second filter body 62 is introduced into the duct pipe 40 through the inlet hole 42 of the duct pipe 40 and into the duct pipe 40. The introduced gas is discharged to the outlet 24 of the case 2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관(40)의 외주면을 감싸는 보조필터(4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And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filter 46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pipe 40 as shown in FIGS. 11 and 12. It is also possible.

상기 보조필터(46)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며, 종이, 부직포 등도 사용 가능하다.The auxiliary filter 46 is made of a fiber material, it is also possible to use paper, non-woven fabric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덕트관(40)에는 상기 유입구멍(4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의 와류를 유도하도록 내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유도날개(43)를 더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nd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4, the duct pipe 40 is constant on the inner surface to induce the vortex of the gas flowing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inlet hole 42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lurality of guide wings 43 at intervals to be installed.

상기 유도날개(43)는 상기 유입구멍(42)의 한쪽 모서리에서 연장되고 원중심부와 빗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The guide vanes 43 are formed to extend from one corner of the inflow hole 42 and form an oblique angle with the center of gravity.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필터(60)가 상기 제1필터체(61)와 제2필터체(62) 내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섬유필터(61a) 및 제2섬유필터(62a)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filter 6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filter body 61 and the second filter body 62, respec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comprise a first fiber filter 61a and a second fiber filter 62a.

상기 제1섬유필터(61a) 및 제2섬유필터(62a)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fiber filter 61a and the second fiber filter 62a are made of a nonwoven fabric.

상기 제1섬유필터(61a) 및 제2섬유필터(62a)는 부직포 이외에 다른 섬유재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fiber filter 61a and the second fiber filter 62a may be made of another fiber material in addition to the nonwoven fabric.

20 : 케이스 21 : 몸체 22 : 입구
23 : 덮개 24 : 출구
40 : 덕트관 42 : 유입구멍 43 : 유도날개
60 : 필터 61 : 제1필터체 61a : 제1섬유필터
62 : 제2필터체 62a : 제2섬유필터 64 : 간격유지부재
70 : 패킹
20: case 21: body 22: opening
23: cover 24: exit
40: duct pipe 42: inlet hole 43: guide vane
60 filter 61 first filter body 61a first fiber filter
62 second filter body 62a second fiber filter 64 spacing member
70: packing

Claims (6)

입구 및 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와,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한쪽 끝부분이 상기 출구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측면에는 기체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멍이 형성되는 덕트관과,
상기 덕트관의 외주면에 조립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각각 금속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관의 주위를 따라 넓적하게 형성하여 설치되며 바깥쪽 모서리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서서히 벌어지고 안쪽 모서리가 덕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제1필터체 및 제2필터체와, 상기 제1필터체와 제2필터체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원형이나 다각형, 타원형 중에서 어느 한 가지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필터체 및 제2필터체는 스테인리스스틸로 된 실(yarn)을 사용하고 평직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제1필터체 및 제2필터체의 안쪽 끝부분 모서리 주위를 따라 지그재그로 꺾이면서 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설치하는 공기 정화장치.
A case in which an inlet and an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A duct pipe formed of a hollow tube and having on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outlet in the inside of the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let holes through which gas is introduced;
It includes a filter assemb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uct pipe,
The filter is made of a metal fabric, respectively, is formed by forming a wi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uct pipe, the outer ed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gradually to the inner space as the inner edges are grad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nner edg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uct pipe A pair of first filter bodies and a second filter body, and a gap maintaining member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The filter is formed in any one shape of a circle, polygon, oval,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is made by using a stainless steel yarn (yarn) and weaving
And the gap maintaining member is formed in a ring shape while being zig-zag around the inner edges of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필터체와 제2필터체의 바깥쪽 모서리를 감싸며 지지하는 외부마감테와, 각각 상기 제1필터체 및 제2필터체의 안쪽 끝부분을 감싸며 지지하는 한 쌍의 내부마감테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surrounds and supports the outer edges of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and wraps and supports the inner ends of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respectively. Air filter further comprises a pair of interior finish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덕트관의 외주면을 감싸 덮도록 조립 설치되는 보조필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ir purif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filter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assembled to c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uct pi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관의 내면에는 상기 유입구멍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의 와류를 유도하도록 내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유도날개를 더 형성하여 설치하고,
상기 유도날개는 상기 유입구멍의 한쪽 모서리에서 연장되고 원중심부와 빗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설치하는 공기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pipe to install a plurality of guide wings furth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to induce the vortex of the gas flowing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inlet hole,
And the guide vane extends from one edge of the inflow hole and is formed to form an oblique angle with the center of gravity.
KR1020110125194A 2011-11-28 2011-11-28 Air Cleaning Device KR1013130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194A KR101313081B1 (en) 2011-11-28 2011-11-28 Air Clea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194A KR101313081B1 (en) 2011-11-28 2011-11-28 Air Clea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078A KR20130059078A (en) 2013-06-05
KR101313081B1 true KR101313081B1 (en) 2013-09-30

Family

ID=4885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194A KR101313081B1 (en) 2011-11-28 2011-11-28 Air Clean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0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70311A1 (en) * 2019-12-09 2021-06-10 Pall Corporation Filter element, filter, filter device, and method of u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6426U (en) * 1983-11-19 1985-06-14 村上 惠一 Leaf filter for polymer
KR920007853B1 (en) * 1989-07-11 1992-09-18 에스엠씨 가부시기가이샤 Filter element for gas
KR930000265B1 (en) * 1987-03-27 1993-01-14 폴 코오퍼레이션 Segmented filter disc with slotted support and drainage support spacer
JP4295394B2 (en) 1999-06-29 2009-07-15 日本精線株式会社 Filter for filt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6426U (en) * 1983-11-19 1985-06-14 村上 惠一 Leaf filter for polymer
KR930000265B1 (en) * 1987-03-27 1993-01-14 폴 코오퍼레이션 Segmented filter disc with slotted support and drainage support spacer
KR920007853B1 (en) * 1989-07-11 1992-09-18 에스엠씨 가부시기가이샤 Filter element for gas
JP4295394B2 (en) 1999-06-29 2009-07-15 日本精線株式会社 Filter for fil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078A (en)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3381A1 (en) Ovate tubular filter cartridges and filter systems using the same
KR101898890B1 (en) Filter Assembly for Horizontal Wet Scrubber and Method of Structuring Thereof
CN101553299A (en) Filter apparatus configuration of pulsed cleaned panel-style filters and methods
WO2011000437A1 (en) Camflo gt wireframe
KR101311532B1 (en) cleaning apparatus of bag filter unit
KR101313081B1 (en) Air Cleaning Device
JP2012143752A (en) Filter having flow control feature
KR20100007485U (en) Space sustenance unit of filter cloth for dust collector filter
KR102204348B1 (en) Dust collector having washing flow guide for filter cleaning
KR20140017459A (en) Filter media and filter device comprised thereof
KR101622081B1 (en) Cartridge filter-bag
KR102325060B1 (en) A hybrid dust collector device used in oil and water excess process
KR101303266B1 (en) Injector for dust collector
RU2312701C1 (en) Filter for the gas purification
WO2009102381A1 (en) Method for selecting a filter element for a dust collector with regeneration with pulsed gas
KR20110004034A (en) Injector for dust collector
KR100704841B1 (en) A ring for filter pater of cylindrical air filter
CN220633222U (en) Remove folding filter core of virus
KR102226733B1 (en) Multi-cyclone Fine Dust Blocking Air Cleaning System combie with Water
JP2023544380A (en) Air purifier with water separation
KR102523936B1 (en) Air Purifier
RU2483033C1 (en) Water intake filter
JP2005319410A (en) Structure of filter bag
KR20150025311A (en) Air Cleaner for Big-size Engine
CN104406240A (en) Centrifugal type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