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518B1 -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518B1
KR101311518B1 KR1020110142726A KR20110142726A KR101311518B1 KR 101311518 B1 KR101311518 B1 KR 101311518B1 KR 1020110142726 A KR1020110142726 A KR 1020110142726A KR 20110142726 A KR20110142726 A KR 20110142726A KR 101311518 B1 KR101311518 B1 KR 101311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ignal process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7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2216A (en
Inventor
이기호
이용규
지영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PCT/KR2012/00322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81257A1/en
Priority to US13/726,006 priority patent/US9485737B2/en
Publication of KR20130062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2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5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4Traffic adaptive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코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디지털 신호를 처리한다.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하여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다중 안테나 기술에 기반하여 증폭된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다중 안테나 기술에 기반하여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1 셀과 제2 셀이 인접하는 경우 상기 제1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로 상기 제1 셀의 제1 자원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셀의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제1 셀의 상기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보다 약하게 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Disclosed are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a signal processing method.
In this syste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core system and processes wireless digital signals.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vert and amplify the digital signals receiv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o terminal amplified signals based on a multi-antenna technique using two antennas. And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based on the multi-antenna technology using the two antennas and transmitte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 this case, wh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located in the first cell is a terminal located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and the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a signal using a signal, and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positioned in the second cell determines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second cell and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Transmit the signal by making it weaker than.

Description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a signal processing method.

일반적으로 통신 기지국은 크게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가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함께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모든 처리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셀에 다 설치하여야 하므로 셀 설계의 최적화에 한계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하나의 기지국에 복수의 안테나를 연결하여 필요한 방식대로 셀을 형성하여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을 줄일 수 있다.Generally, a communication base station is largely included in one physical system together with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However, such a system has a limitation in the optimization of the cell design because the base station including all the processing units must be installed in the cell. To improve this, a plurality of antennas are connected to a single base station, and cells are formed in a required manner to reduce a coverage hole.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효율적인 셀 설계는 가능하지만 시스템 용량을 극대화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무선 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지국의 새로운 구조 및 전송 방법이 필요하다.However, this approach allows efficient cell design, but it is difficult to maximize system capac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structure and transmission method of a base station to maximize wireless capacit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접 셀에서 같은 자원을 사용하는 기준 신호의 세기를 줄임으로써 기준 신호의 간섭량이 감소되어 무선 데이터 전송 성능이 향상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a signal processing method, in which an interference amount of a reference signal is reduced by reducing the strength of a reference signal using the same resource in an adjacent cell, thereby improv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To provide.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은,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코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하여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다중 안테나 기술에 기반하여 증폭된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다중 안테나 기술에 기반하여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 전달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제1 셀과 제2 셀이 인접하는 경우 상기 제1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로 상기 제1 셀의 제1 자원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셀의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제1 셀의 상기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보다 약하게 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re system for processing a wireless digital signal; And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onverts and amplifies the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transmits the amplified signal to the terminal based on a multi-antenna technique using two antennas. And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based on a multi-antenna technique using two antennas, wherei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are adjacent to each other. A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located in a cell transmits a signal to a terminal located at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by using a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and is located in the second cell.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determine an intensity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second cell and compare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It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a signal weaker than the strength.

여기서, 상기 제2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셀의 자원 중에서 상기 제1 자원을 제외한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제2 셀의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보다 강하게 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apparatus for processing a radio signal of the second cell may include an intensity of a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a resource excluding the first resource among resources of the second cell than an intensity of a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second ce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is transmitted strong.

또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동일한 기준 신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is characterized by using the same reference signal.

또한, 상기 제1 셀의 물리 셀 식별자와 상기 제2 셀의 물리 셀 식별자의 차이가 3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first cell and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second cell is a multiple of three.

또한, 상기 제1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게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의 신호 세기값을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세기값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경계 지역 내의 위치 여부를 판단한다.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irst cell and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econd cell transmit an uplink signal strength value received from the termi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within the boundary area is determined based on a signal strength value transmitted from the radio signal processing device of the first cell and the radio signal processing device of the second cell.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신호 세기값의 차이가 차이 임계값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신호 세기값의 비가 비 임계값과 상기 비 임계값의 역수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fference between signal strength value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irst cell and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econd cell, respectively, equal to or less than a difference threshold value, or from the signal strength value. If the ratio is between the non-threshold and the inverse of the non-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located in the border region.

또한, 상기 제2 셀의 자원 중에서 상기 제1 자원을 제외한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제2 셀의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보다 강하게 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Frequency Selectivity Scheduling)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ransmitting the signal by making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resource excluding the first resource among the resources of the second cell stronger than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second cell is 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Frequency Selectivity Scheduling).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여기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다중 안테나 기술에 기반하여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함-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중 제1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제2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의 신호 세기값을 전달받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세기값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경계 지역 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단말이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셀의 제1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셀의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제1 셀의 상기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보다 약하게 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Physically separated from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installed in a service area and processing wireless signals, wherein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wherein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are based on a multi-antenna technology using two antenna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wireless signal from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herein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located in a first cell and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located in a second cell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are provided.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uplink received from the terminal; A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based on a signal strength value received through the reception unit; And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hat the terminal is located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irst cell uses the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terminal, and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econd cell uses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as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second cell. It includes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o transmit a signal weaker than the strength of the signal.

여기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세기값들의 차이가 차이 임계값 이하거나 또는 상기 신호 세기값들의 비가 비 임계값과 상기 비 임계값의 역수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의 경계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Here, the determining uni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strength values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difference threshold value or the ratio of the signal strength values between the non-threshold value and the inverse of the non-threshold value, the terminal It is determined to be located within the boundary area of the cell and the second cell.

또한, 상기 제1 셀의 물리 셀 식별자와 상기 제2 셀의 물리 셀 식별자의 차이가 3의 배수이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이 동일한 기준 신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first cell and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second cell is a multiple of 3, so that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use the same reference signal.

여기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함) 방식에 따른 자원 또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방식에 따른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단말로 전송한다.Here, the plurality of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may be a resource according to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cheme or a resource according to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scheme. By using the dat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은,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가,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여기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다중 안테나 기술에 기반하여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함-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중 제1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제2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값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셀과 제2 셀의 경계 지역 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셀의 제1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셀의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제1 셀의 상기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보다 약하게 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for processing a wireless signal by installing a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a wireless digital signal, wherein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is based on a multi-antenna technology using two antennas A method of processing a signal from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comprising: a signal strength value received from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located in a first cell and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located in a second cell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located at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irst cell sends a signal to the terminal using the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econd cell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second cell to be weak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Controlling to transmit the signal.

여기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의 신호 세기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값의 차이가 차이 임계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신호 세기값의 비가 비 임계값과 상기 비 임계값의 역수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경계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Here, the determining may include: from the radio signal processing device located in the first cell and the radio signal processing device located in the second cell, to the radio signal processing device located i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Receiving an uplink signal strength value received from the terminal by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located;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values is equal to or less than a difference threshold value, or when the ratio of the signal strength values is between a non-threshold value and an inverse of the non-threshold value, the terminal communicates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Determining to be located within the boundary reg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 셀에서 같은 자원을 사용하는 기준 신호의 세기를 줄임으로써 기준 신호의 간섭량이 감소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interference of the reference signal is reduced by reducing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using the same resource in the adjacent cell.

이로 인해 인접 셀에서 채널 추정이 정확해져서 무선 데이터 전송 성능이 향상된다.This improves wireless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by making channel estimation accurate in adjacent cel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전송하는 신호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전송하는 신호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반적인 LTE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기준 신호를 사용하는 인접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전송하는 신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접 셀이 동일한 기준 신호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접하는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들이 전송하는 신호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하나의 셀에서 경계 구간에 있는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예이고, (b)는 다른 셀에서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ignal transmitted by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ignal transmitted by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ource configuration in a general LTE network.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ignal transmitted by a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a neighbor cell using the same referen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djacent cells use the same referen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ignal transmitted by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of neighboring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xample of transmitting a signal from one cell to a terminal in a boundary section. , (b) shows an example of transmitting a signal using the same resource in another cell.
9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s " part, "" module," and " module ", etc.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terminal includes a mobile station (MS), a mobile terminal (MT), a subscriber station (SS),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a user equipment , An access terminal (UE), an access terminal (AT),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some functions of a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a mobile subscriber station, a user equipment,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BS) includes an access point (AP), a radio access station (RAS), a node B, an evolved NodeB (eNodeB) A base station (BTS), a mobile multihop relay (MMR) -BS, or the like, and may perform all or a part of functions of an access point, a radio access station, a Node B, an eNodeB, a base transceiver station, .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 signal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은 무선 신호 처리 장치(radio unit, RU)(100),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igital unit, DU)(200) 및 코어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무선 통신의 신호 처리 시스템을 이룬다.Referring to FIG. 1,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RU) 100,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DU) 200, and a core system 300. do.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constitute a signal processing system of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한다.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에 복수 개(110, 120, 130)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는 서비스 대상 지역, 즉 셀에 설치된다.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와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converts and amplifies a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into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ccording to a frequency band as a part of processing a wireless signal.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00, 110, 120 and 130 are connecte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and each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in a service area, that is, a cell.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be connected by an optical cable.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무선 디지털 신호를 암호화 및 복호화 등의 처리를 수행하며, 코어 시스템(300)에 연결되어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와 달리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주로 통신 국사에 집중화되어 설치되는 서버로서, 가상화된 기지국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performs a process of encrypting and decrypting a wireless digital signal, and is connected to the core system 300. Unlike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is not installed in a service area but is mainly installed in a central office of a communication company, and is a virtualized base sta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a plurality of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00.

기존의 통신 기지국은 이러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부를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포함하고,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이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만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The existing communication base station includes a processing un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in one physical system, and one physical system is installed in the service target area. On the other han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hysically separates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10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200, and only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service area.

코어 시스템(300)은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와 외부 망의 접속을 처리하며, 교환기(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The core system 300 processes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and the external network, and includes an exchange (not shown) and the like.

이제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Referring now to Figure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e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10, 20, 30)은 각각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를 포함한다.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는 매크로 무선 신호 처리 장치(macro RU)(111, 121)(macro RU) 및 복수의 협력 무선 신호 처리 장치(cooperative RU)(112, 113, 114, 115, 116, 117, 122, 123, 124, 125, 126, 12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ells 10, 20, and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include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00.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macro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macro RUs) 111 and 121 (macro RUs) and a plurality of cooperative RUs 112, 113, 114, 115, 116, and 117. , 122, 123, 124, 125, 126, and 127.

매크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 121)는 셀(10, 20)의 주요 통신 처리를 관장하며, 고출력의 전력으로 셀(10, 20) 내의 모든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한다. 협력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117, 122-127)는 매크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 121)의 출력보다 소출력의 전력으로 자신의 주변에 있는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한다.The macro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 and 121 manage main communication processing of the cells 10 and 20, and transmit signals to all terminals in the cells 10 and 20 with high power. The cooperativ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2-117 and 122-127 transmit a signal to a terminal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with a smaller output power than that of the macro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 and 121.

하나의 셀(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 및 복수의 협력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117)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셀(10, 20, 30)에 포함된 모든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의 제어를 받는다.One cell 10 includes at least one macro radio signal processing device 111 and a plurality of cooperative radio signal processing devices 112-117. All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00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cells 10, 20, and 30 are controll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한편,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가 단말에게 전송하는 무선 신호는 기본 시스템 정보 및 데이터 채널 할당 정보를 알려주는 제어 신호(control signal),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신호(data signal) 및 채널 추정 등을 위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100 to the terminal is a control signal (control signal) that informs the basic system information and data channel assignment information (data signal) for transmitting user data (data signal) and channel estimation, etc. It includes a reference signal for (reference signal).

하나의 셀(10)에 포함된 복수의 협력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117)는 동일한 셀(10)에 포함된 매크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와 동일한 제어 신호 및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The plurality of cooperativ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2-117 included in one cell 10 transmit the same control signal and reference signal as the macro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1 included in the same cell 10.

또한, 서로 다른 셀(10, 20, 30)에 포함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00)는 서로 다른 제어 신호 및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셀(10)에 포함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117)가 전송하는 기준 신호와 셀(20)에 포함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21-127)가 전송하는 기준 신호는 서로 상이하다.In addition,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d in different cells 10, 20, and 30 transmits different control signals and reference signals. For example,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117 included in the cell 10 and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21-127 included in the cell 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이와 같이 하나의 셀에서 매크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 121)뿐만 아니라 복수의 협력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117)를 설치함으로써, 단말이 셀 내에서 공통적으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 및 기준 신호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In this way, by providing the plurality of cooperativ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2-117 as well as the macro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 and 121 in one cell, the terminal can efficiently control the control signals and the reference signals that are commonly transmitted in the cell. Can be receiv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117, 121-127)는 2x2 다중 안테나 기술(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을 지원하기 위해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한다. 이 경우,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117, 121-127)의 두 개의 안테나마다 사용하는 기준 신호의 패턴이 서로 상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의 두 개의 안테나 중에서 '0'번으로 설정된 제1 안테나는 도 3과 같은 기준 신호(Ro)를 사용하며, 두 개의 안테나 중에서 '1'번으로 설정된 제2 안테나는 도 4와 같은 기준 신호(R1)를 사용할 수 있다. 동일한 셀(10)에 포함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117)는 각각의 안테나들이 서로 동일한 기준 신호를 사용하므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117) 각각의 안테나들 중에서 모든 제1 안테나는 기준 신호(Ro)를 사용하고, 모든 제2 안테나는 기준 신호(R1)를 사용한다. 이때 기준 신호(R0, R1)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함) 방식에 따른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1-117, 121-12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wo antennas to support the 2x2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In this case, patterns of reference signals used for two antennas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117 and 121-127 should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antenna set to '0' among two antennas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111 uses the reference signal Ro as shown in FIG. 3, and is set to '1' among two antennas. The second antenna may use the reference signal R 1 as shown in FIG. 4. Since the antennas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 to 117 included in the same cell 10 use the same reference signals, the first antennas of each of the antennas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 to 117 may be referred to. The signal Ro is used, and all the second antennas use the reference signal R 1 . At this time, the reference signals R 0 and R 1 may use resources according to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cheme as shown in FIG. 3 and FIG.

하나의 셀(10)에 포함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117)는 각각 데이터 신호를 선택적으로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협력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117)는 매크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가 사용하는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117 included in one cell 10 may selectively transmit data signals using the same or different channels, respectively, and the cooperativ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2-117 may use a macro. The data signal is transmitted using the same channel used by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111.

한편, 셀마다 사용하는 기준 신호의 위치는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cation, PCI)에 따라 달라진다. 즉, 기준 신호를 사용하는 부반송파(subcarrier)가 물리 셀 식별자에 따라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signal used for each cell depends on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Physical Cell IDentification, PCI). That is, a subcarrier using a reference signal is moved according to Equation 1 according to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11103563105-pat00001
Figure 112011103563105-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1103563105-pat00002
는 물리 셀 식별자이다.here,
Figure 112011103563105-pat00002
Is a physical cell identifier.

위의 수학식에서, 물리 셀 식별자가 6의 배수이면 도 3 및 도 4와 같은 위치에 있는 기준 신호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물리 셀 식별자가 6의 배수+1이면 기준 신호가 위로 한 칸씩 이동하게 된다. 또한, 물리 셀 식별자가 6의 배수+2이면 위로 두 칸씩 이동하게 된다. 만일 물리 셀 식별자가 6의 배수+3이면 위로 세 칸 올라게게 되어서 결국 6의 배수 때와 같은 기준 신호의 위치를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물리 셀 식별자가 1, 4, 7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 인접 셀에서는 모두 동일한 기준 신호 위치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In the above equation, if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is a multiple of 6, the reference signal at the pos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is used. However, if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is a multiple of 6 + 1, the reference signal is moved up one space. In addition, if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is a multiple of 6 + 2, it moves up two spaces. If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is a multiple of 6 + 3, it is raised three spaces up to use the same reference signal position as the multiple of six. For example, when adjacent physical cell identifiers are used as 1, 4, 7, etc., all of the adjacent cells use the same reference signal position.

한편, LTE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할당은 하나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단위로 할당되며, 하나의 자원 블록은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부반송파(subcarrier)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대역폭이 10MHz인 경우에는 이러한 자원 블록이 50개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자원 블록은 0.5ms이며, 시간 축으로 쌍으로 할당되어서 서브프레임(subframe)(1ms) 2개의 자원 블록 단위로 자원을 할당하게 된다. 이 때, 각 자원 블록 중에 앞에 위치하는 3개의 심볼은 일반적으로 자원 할당 정보 등을 알려주는 제어 채널이 전송된다.Meanwhile, resource allocation in an LTE network is allocated in units of one resource block, and one resource block includes 12 subcarriers as shown in FIG. 5. In general, when the bandwidth is 10MHz, there are 50 such resource blocks. Each resource block is 0.5ms, and is allocated in pairs on the time axis, thereby allocating resources in units of two resource blocks in a subframe (1ms). In this case, the three symbols located in front of each resource block are generally transmitted with a control channel for inform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이하, 일반적인 망에서 셀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117)가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117)들 영역의 경계 지역에 있는 단말들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111-117 included in a cell in a general network transmits signals to terminals located in a boundary area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111-117 will be described.

도 6은 일반적인 망에서 셀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전송하는 신호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ignal transmitted by a plurality of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included in a cell in a general network.

도 6을 참조하면, 셀(11) 및 셀(12)이 서로 인접해 있어서 셀(11) 내에 있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와 셀(12) 내에 있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 또한 서로 인접하게 되고, 이로 인해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의 영역과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의 영역이 서로 겹쳐서 이들의 경계 지역(13)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계 지역(13)에 있는 단말(410, 420)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하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가 하나의 단말(410)을 지원하고, 하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가 하나의 단말(420)을 지원하게 된다. 이 때,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 112)와 단말(410, 420)은 2x2 다중 안테나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각각 2개의 안테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의 제1 안테나(1111)와 제2 안테나(1112)가 모두 동일한 신호를 각각 상이한 전송 패턴을 갖는 신호, 즉 상이한 기준 신호를 갖는 신호로써 단말(410)에게 전송하고,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의 제1 안테나(1121)와 제2 안테나(1122)는 모두 동일한 신호를 각각 상이한 전송 패턴을 갖는 신호로써 단말(420)에게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cell 11 and the cell 12 are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1 within the cell 11 and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2 within the cell 12 are also adjacent to each other. As a result, the area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111 and the area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112 overlap each other, thereby generating the boundary area 13 thereof. In order to support the terminals 410 and 420 in the boundary area 13, on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1 supports one terminal 410, and on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2 includes one The terminal 420 will be supported. In this case,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 and 112 and the terminals 410 and 420 have two antennas, respectively, to support the 2x2 multiple antenna technology. Accordingly, both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111 and 1112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1 transmit the same signal to the terminal 410 as signals having different transmission patterns, that is, signals having different reference signals. The first antenna 1121 and the second antenna 1122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2 both transmit the same signal to the terminal 420 as signals having different transmission patterns.

한편, 상기 예에서 셀(11)의 물리 셀 식별자가 X이고, 셀(12)의 물리 셀 식별자가 X+3 또는 X+6이어서 서로 동일한 기준 신호를 사용하게 된다. 즉, 기준 신호 전송을 위해 같은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셀(11) 및 셀(12)이 모두 첨부한 도 7에서와 같이 동일한 기준 신호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기준 신호는 2개의 안테나가 사용하는 기준 신호를 동시에 나타낸 것이다.Meanwhile, in the above example, since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cell 11 is X and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cell 12 is X + 3 or X + 6, the same reference signals are used. That is, the same resource element is used for transmitting the reference signal. For example, the cell 11 and the cell 12 both use the same reference signal as shown in FIG. 7. Here, the reference signal illustrated in FIG. 7 simultaneously represents the reference signals used by two antennas.

다만,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 112)는 경계 지역(13)에 있는 단말(410, 420)들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물리 셀 식별자가 X인 셀(11)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는 A 자원 블록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물리 셀 식별자가 X+3인 셀(12)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는 B 자원 블록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한다.However,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 and 112 transmit signals using different channel resources to prevent interference of signals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410 and 420 in the boundary area 13. That is, referring to FIG. 6,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1 of the cell 11 having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X transmits a signal using the A resource block, and the cell 12 having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X + 3.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2 transmits a signal using the B resource block.

그런데, 상기한 일반적인 망에 따르면 동일한 기준 신호를 사용하는 인접한 셀들에서 셀 경계 지역에 있는 단말들에게 서로 신호를 전송할 때 자원 블록을 달리하여 전송하지만 전송되는 기준 신호가 동일한 자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셀(11, 12)에서 전송하는 신호들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셀(11)에서는 단말(410)에 A 자원 블록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셀(12)에서는 단말(420)에 B 자원 블록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지만, 셀(12)에서 다른 단말로 A 자원 블록을 이용하여 또한 신호를 전송할 것이다. 이 경우, 셀(11)에서 단말(410)로 전송되는 A 자원 블록의 기준 신호와 셀(12)에서 다른 단말로 전송되는 A 자원 블록의 기준 신호 간에 서로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general network, when adjacent cells using the same reference signal transmit signals to terminals in a cell boundary region with different resource blocks, different resource blocks are transmitted, but different signals are transmitted because the same reference signals are transmitted using the same resources. There is a problem that interference occurs due to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ells 11 and 12. For example, the cell 11 transmits a signal to the terminal 410 using the A resource block, and the cell 12 transmits a signal to the terminal 420 using the B resource block, but the cell 12 In A will also send a signal using the A resource block to another terminal. In this case,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reference signal of the A resource block transmitted from the cell 11 to the terminal 410 and the reference signal of the A resource block transmitted from the cell 12 to another terminal.

따라서, 이하에서는 인접 셀(11, 12) 사이에서 기준 신호들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b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reference signals between adjacent cells 11 and 1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접하는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들이 전송하는 신호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하나의 셀(11)에서 경계 구간에 있는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예이고, (b)는 다른 셀(12)에서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ignal transmitted by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of neighboring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ansmits a signal from one cell 11 to a terminal in a boundary section. (B) shows an example of transmitting a signal using the same resource in another cell 12.

설명 전에, 인접하는 셀(11, 12)은 각각의 물리 채널 식별자가 3의 배수에 해당되어 결과적으로 동일한 기준 신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a)는 물리 셀 식별자가 X인 셀(11)에 해당되는 것이고, (b)는 물리 셀 식별자가 X+3인 셀(12)에 해당되는 것으로 가정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adjacent cells 11 and 12 are assumed to assume that each physical channel identifier corresponds to a multiple of 3 and consequently uses the same reference signal.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of FIG. 8 corresponds to the cell 11 having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X, and (b) corresponds to the cell 12 having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X + 3.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11)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가 경계 지역(13) 내에 있는 단말(410)에 A 자원 블록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12)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2)는 기준 신호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A 자원 블록에서 전송하는 기준 신호의 세기를 약하게 한다. 도 8의 (b)에서는 기준 신호의 크기가 도 8의 (a)에서의 기준 신호의 크기보다 약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기준 신호로 할당되는 자원의 형태를 달리하였다.Referring to FIG. 7 and FIG. 8, as shown in FIG. 8A, the resource block A of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 of the cell 11 is located in the terminal 410 in the boundary area 13.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 signal by using a signal,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2 of the cell 12, as shown in (b) of FIG. 8,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in the A resource block to reduc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signal Weaken In (b) of FIG. 8, the shape of the resource allocated to the reference signal is changed to indicate that the size of the reference signal is weak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signal in FIG.

이와 같이, 물리 셀 식별자가 X인 셀(11)이 A 자원 블록을 이용해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물리 셀 식별자가 X+3인 셀(12)은 A 자원 블록 내에 있는 기준 신호들을 약하게 전송한다. 이 때, 셀(12)은 A 자원 블록이 아닌 다른 자원 블록, 예를 들어 B 자원 블록에 있는 기준 신호에 대해서는 A 자원 블록에서 기준 신호의 세기가 약해진만큼을 보상하기 위해 그 세기를 높여주어서 셀(12) 전체에서 전송하는 기준 신호의 세기는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이를 통해서 단말들에 대한 RSRP(Received Signal Reference Powre)를 동일하게 유지시켜 주게 된다.As such, when the cell 11 having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X transmits a signal using the A resource block, the cell 12 having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X + 3 weakly transmits reference signals within the A resource block. In this case, the cell 12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 a resource block other than the resource block A, for example, the resource block B, for example,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 the resource block A. (12) The intensity of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out is kept constant. Through this, the RSRP (Received Signal Reference Powre) for the terminals is kept the same.

이렇게 함으로써 물리 셀 식별자가 X인 셀(11)의 기준 신호는 물리 셀 식별자가 X+3인 셀(12)로부터의 기준 신호 간섭이 작아져서 A 자원 블록을 통해서 전송되고 있는 신호가 기준 신호의 채널 추정을 잘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신호 전송이 가능해진다.In this way, the reference signal of the cell 11 having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X is reduced from the reference signal interference from the cell 12 having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X + 3 so that the signal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resource block A is the channel of the reference signal. Good estimation allows efficient signal transmission.

한편, 상기에서 셀(12) 내에서 기준 신호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은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Frequency Selectivity Schedul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시에는 각 대역 또는 기준 신호별로 전송한 기준 신호 전력을 고려하여 작아진 신호 세기를 보상하는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즉, 각 자원 블록별로 채널 상태를 측정할 경우, 특정 자원 블록의 기준 신호의 세기를 낮춘 값을 Δ라고 하면 실제 채널 상태를 보고한 값에서 이 값만큼 보상하여 각 자원 블록별로 상태를 측정하여 좋은 자원 블록에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 the cell 12 in the above may be performed by 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 (Frequency Selectivity Scheduling). In the 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 scheduling is performed to compensate for a smaller signal str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reference signal power transmitted for each band or reference signal. That is, in case of measuring the channel state for each resource block, if the value of lowering the reference signal of a specific resource block is Δ, the actual channel state is compensated by this value and the state is measured for each resource block. Allocating resources to resource blocks.

이제부터 인접한 셀에서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410)에게 기준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ow,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data by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to the terminal 410 located in the border region in the adjacent cell will be described.

먼저,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 112) 각각은 단말(410)로부터 수신하는 상향링크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에 전송한다. 그러면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로부터 수신한 신호 세기값(Sa) 및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로부터 수신한 신호 세기값(Sb)을 기초로 단말(410)의 상향링크 품질을 평가한다. 즉,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신호 세기값(Sa)과 신호 세기값(Sb)의 차이가 임계값(Sth) 이하일 경우에는 단말(410)이 경계 지역(13)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First, each of the two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 and 112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uplink received from the terminal 410 and transmits it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The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determine the terminal 410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value Sa received from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1 and the signal strength value Sb received from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2. Evaluate uplink quality. That i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strength value Sa and the signal strength value Sb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Sth, as shown in Equation 2,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410 is in the boundary region 13.

[수학식 2]&Quot; (2) "

|Sa-Sb|≤Sth| Sa-Sb | ≤Sth

만일 신호 세기값(Sa)과 신호 세기값(Sb)의 차이가 임계값(Sth)보다 큰 경우에는 단말(410)이 경계 지역(13)이 아닌 다른 영역에 있다고 판단하여 단말(410)이 위치하는 영역에 해당되는, 즉 신호 세기값이 큰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서만 단말(41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strength value Sa and the signal strength value Sb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Sth,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410 is in an area other than the boundary area 13 and the terminal 410 is located. Only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region, that is, the signal strength value is large, transmits data to the terminal 410.

이때 임계값(Sth)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용량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reshold value Sth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pacity and need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한편, 전력 세기를 dB가 아닌 mW로 측정하는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로부터 수신한 신호 세기값(Sa) 및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로부터 수신한 신호 세기값(Sb)의 비가 [수학식 3]On the other hand, when measuring the power intensity in mW rather than dB,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200 is the signal strength value Sa received from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111 and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112. The ratio of the values Sb [Equation 3]

[수학식 3]&Quot; (3) "

T < Sa/Sb < 1/T (0<T<1)인 경우에 단말(410)이 경계 지역(13)에 있다고 판단한다. When T <Sa / Sb <1 / T (0 <T <1),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410 is in the boundary area 13.

이와 같이, 단말(410)이 셀(11, 12)의 경계 지역(13)에 있다고 판단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셀(11)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가 경계 지역(13)에 있는 단말(410)로 A 자원 블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셀(12)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가 A 자원 블록 내에 있는 기준 신호의 세기를 약하게 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셀(12)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가 A 자원 블록을 제외한 다른 자원 블록, 예를 들어 B 자원 블록에 있는 기준 신호의 세기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기준 신호의 전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강하게 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가 셀(11, 12)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 112)를 제어하여 자원 블록 내에 있는 기준 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As such,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410 is in the boundary region 13 of the cells 11 and 12,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determines that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1 of the cell 11 is in the boundary region 13. Control to transmit the data using the A resource block to the terminal 410 at the same time, while controlling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2 of the cell 12 to weaken and transmit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 the A resource block. . At this time,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2 of the cell 12 is strongly controlled so that the power of the entire reference signal remains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 other resource blocks except for the A resource block, for example, the B resource block. To control the transmission. Here, since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controls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 and 112 of the cells 11 and 12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 the resource block,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mit.

이제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의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고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200)는 수신부(210), 판단부(220) 및 처리부(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200 includes a receiver 210, a determiner 220, and a processor 230.

수신부(210)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 112)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 112)가 단말(410, 420)로부터 수신하는 상향링크의 신호 세기값을 포함한다. The receiver 210 receives a radio signal from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 and 112. The radio signal includes an uplink signal strength value received by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 and 112 from the terminals 410 and 420.

판단부(220)는 수신부(210)가 수신한 신호 세기값을 기초로 [수학식 2] 또는 [수학식 3]과 같은 연산을 수행하여 단말(410)이 경계 지역(13)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410 is located in the boundary region 13 by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Equation 2] or [Equation 3]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value received by the receiver 210. do.

처리부(230)는 판단부(220)의 판단에 따라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 112)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410)이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 112)의 경계 지역(13)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셀(11)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1)가 A 자원 블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하고, 셀(12)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에 대해서는 A 자원 블록 내에 있는 기준 신호의 세기를 약하게 하여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이 때 A 자원 블록 내에 있는 기준 신호의 세기를 약하게 하는 정도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정책이나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의 정책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 때, 처리부(230)는 셀(12)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112)에 대해 A 자원 블록을 제외한 다른 자원 블록들에 대해서는 포함되는 기준 신호의 세기를 강하게 조정하여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이 때 기준 신호 세기의 강한 정도는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The processor 230 performs a process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of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 and 112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220.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410 is located in the boundary region 13 of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111 and 112,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1 of the cell 11 Instructs data to be transmitted using the A resource block, and instructs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2 of the cell 12 to weaken and transmit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 the A resource block. At this time, the degree of weakening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 the A resource block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the policy of 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 At this time, the processor 230 instructs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12 of the cell 12 to strongly adjust and transmit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for the other resource blocks except for the A resource block. In this case,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may be determined by 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4)

코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하여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다중 안테나 기술에 기반하여 증폭된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다중 안테나 기술에 기반하여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 전달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제1 셀과 제2 셀이 인접하고, 상기 제1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제1 단말로 상기 제1 셀의 제1 자원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경계 지역이 아닌 상기 제2 셀 내에 위치하는 제2 단말로 상기 제2 셀의 제1 자원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때, 상기 제2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셀의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제1 셀의 상기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보다 약하게 하여 신호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A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re system for processing a wireless digital signal; And
And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signal to the terminal based on a multi-antenna technique using two antennas, And a plurality of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terminal based on a multi-antenna technique using an antenna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positioned in the first cell adjacent to a first cell and a second cell is a first resource located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and is the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Transmits a signal using a signal, and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located in the second cell transmits a signal using a first resource of the second cell to a second terminal located within the second cell instead of the boundary area. In this case, the apparatus for processing wireless signals located in the second cell makes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second cell weaker than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To transmit to the second terminal
Sign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셀의 자원 중에서 상기 제1 자원을 제외한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제2 셀의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보다 강하게 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econd cell may make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resource excluding the first resource among the resources of the second cell strong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second cell. A sign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sign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동일한 기준 신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use the same reference sig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의 물리 셀 식별자와 상기 제2 셀의 물리 셀 식별자의 차이가 3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first cell and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second cell is a multiple of thre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게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의 신호 세기값을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세기값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경계 지역 내의 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irst cell and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econd cell transmit an uplink signal strength value received from the termi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boundary area of the terminal based on a signal strength value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irst cell and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econd cel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신호 세기값의 차이가 차이 임계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신호 세기값의 비가 비 임계값과 상기 비 임계값의 역수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intensity values transmitted from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irst cell and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econd cell, respectively, is equal to or less than a difference threshold, or the ratio of the signal strength value is a non-threshold and the non-threshold. And the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located in the boundary area when the reciprocal of the signal process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자원 중에서 상기 제1 자원을 제외한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제2 셀의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보다 강하게 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Frequency Selectivity Scheduling)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ransmitting the signal by making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resource excluding the first resource among the resources of the second cell stronger than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second cell is 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 (Frequency). Signal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Selectivity Scheduling.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여기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다중 안테나 기술에 기반하여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함-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중 제1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제2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의 신호 세기값을 전달받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세기값에 기초하여 단말이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경계 지역 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 의해, 제1 단말이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제2 단말이 상기 경계 지역이 아닌 상기 제2 셀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셀의 제1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2 셀의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제1 셀의 상기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보다 약하게 하여 신호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Physically separated from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installed in a service area and processing wireless signals, wherein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wherein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are based on a multi-antenna technology using two antenna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radio signal from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 receiver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strength value received from a terminal by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located in a first cell and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located in a second cell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A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value received through the reception unit; And
If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hat the first terminal is located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and the second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located in the second cell rather than the border area,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irst cell is controlled to transmit a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using the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and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econd cell is the first of the second cell. A processor configured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second terminal by making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resource weaker than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세기값들의 차이가 차이 임계값 이하거나 또는 상기 신호 세기값들의 비가 비 임계값과 상기 비 임계값의 역수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의 경계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termination uni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strength values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is equal to or less than a difference threshold value or the ratio of the signal strength values is between a non-threshold value and an inverse of the non-threshold value,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first and second cells.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at is determined to be located within the boundary region of th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의 물리 셀 식별자와 상기 제2 셀의 물리 셀 식별자의 차이가 3의 배수이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이 동일한 기준 신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first cell and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second cell is a multiple of three, so that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use the same reference signal.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함) 방식에 따른 자원 또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방식에 따른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The plurality of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use resources according t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 OFDM &quot;) or resources according to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data signal to the terminal.
무선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가,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여기서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다중 안테나 기술에 기반하여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함-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중 제1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제2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값에 기초하여 단말이 상기 제1 셀과 제2 셀의 경계 지역 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1 단말이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셀의 제1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제2 단말이 상기 경계 지역이 아닌 상기 제2 셀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2 셀의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를 상기 제1 셀의 상기 제1 자원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세기보다 약하게 하여 신호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for processing a wireless signal by installing a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a wireless digital signal, wherein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is based on a multi-antenna technology using two antennas A method of processing signals from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he method comprising: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is determined by the terminal based on a signal strength value received from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located in a first cell and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 located in a second cell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 processing devices. Determining whether it is located in an area;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erminal is locat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the ra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irst cell uses the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to signal the terminal.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terminal is located in the second cell instead of the boundary area, the wireles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econd cell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second cell. Controlling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by making the strength less than that of the referenc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resource of the first cell;
/ RTI &g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셀에 위치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의 신호 세기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값의 차이가 차이 임계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신호 세기값의 비가 비 임계값과 상기 비 임계값의 역수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 사이의 경계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determining step,
From the radio signal processing device located in the first cell and the radio signal processing device located in the second cell, the radio signal processing device located in the first cell and the radio signal processing device located in the second cell are provided. Receiving an uplink signal strength value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If the difference i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difference threshold value, or if the ratio of the signal strength value is between the non-threshold and the inverse of the non-threshold value, the terminal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Determining that the location is within the boundary area
/ RTI &gt;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의 물리 셀 식별자와 상기 제2 셀의 물리 셀 식별자의 차이가 3의 배수이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이 동일한 기준 신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first cell and the physical cell identifier of the second cell is a multiple of three, so that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use the same reference signal.
KR1020110142726A 2011-12-02 2011-12-26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KR1013115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3222 WO2013081257A1 (en) 2011-12-02 2012-04-26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s, system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s
US13/726,006 US9485737B2 (en) 2011-12-26 2012-12-22 Controlling radio units to transmitting signal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28646 2011-12-02
KR1020110128646 2011-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216A KR20130062216A (en) 2013-06-12
KR101311518B1 true KR101311518B1 (en) 2013-09-25

Family

ID=4886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726A KR101311518B1 (en) 2011-12-02 2011-12-26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5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0747S1 (en) 2015-03-17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800A (en) * 2004-12-06 2007-08-27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pparatus and base station for determining a radio link characteristic
KR20090073592A (en) * 2007-12-31 2009-07-03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Method of detecting a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in a separated-type radio access station, separated-type radio access station, and main unit for supporting the same
JP2011139442A (en) * 2009-12-29 2011-07-14 Ntt Docomo Inc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of home base station, and home base station
US20110255514A1 (en) 2009-06-30 2011-10-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800A (en) * 2004-12-06 2007-08-27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pparatus and base station for determining a radio link characteristic
KR20090073592A (en) * 2007-12-31 2009-07-03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Method of detecting a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in a separated-type radio access station, separated-type radio access station, and main unit for supporting the same
US20110255514A1 (en) 2009-06-30 2011-10-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communication
JP2011139442A (en) * 2009-12-29 2011-07-14 Ntt Docomo Inc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of home base station, and home bas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216A (en)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35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high frequency multi-carrier operations with spatial quasi co-locations
CN108886742B (en) Beamforming common channel in 5G new radio
JP634371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station
JP7157515B2 (en) User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CN112740571A (en) SSB to RO mapping for remote interference
KR101465245B1 (en) Signal processing system,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ting power in the same
KR101301300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KR101301302B1 (en)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WO2017088791A1 (en) Wave beam processing method and base station
CN112567640A (en) Polarization information sharing method
KR101311518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KR101226044B1 (en) Multicarrier mobile device
KR10130130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KR101361199B1 (en)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and method thereof
KR101289879B1 (en) Device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KR20140038290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put and multiple output and method for allocating codebook index in the same
KR101460328B1 (en)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for configurating high ord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and method thereof
KR101410997B1 (en) System for processing radio signal
KR101361200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the same
KR20130050201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WO2013081257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s, system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s
KR101295897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 and system for processing signal comprising the same
KR101394608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put and multiple output and method for allocating precoding matrix in the same
KR20140083691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precoding matrix in the same
KR20140113871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on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