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417B1 -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417B1
KR101309417B1 KR1020120028607A KR20120028607A KR101309417B1 KR 101309417 B1 KR101309417 B1 KR 101309417B1 KR 1020120028607 A KR1020120028607 A KR 1020120028607A KR 20120028607 A KR20120028607 A KR 20120028607A KR 101309417 B1 KR101309417 B1 KR 101309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bent
pressing surface
take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김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우 filed Critical 김형우
Priority to KR1020120028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417B1/ko
Priority to PCT/KR2013/002351 priority patent/WO201314162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 쥐며 외력을 가했을 때, 힌지부를 중심으로 교차 운동되는 그립부; 및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그립부의 반대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그립부의 교차운동에 연동되도록 하는 유닛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 홀딩부는 그립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구강구조에 맞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말단에 어버트먼트의 원추형상의 노출경사부 외경을 양측에서 감싸서 압착시키는 예각의 경사 가압면을 갖는 취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Apparatus for extracting implant unit having hook combin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픽스처와 결합된 어버트먼트를 픽스처로부터 분리하는 취출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픽스처에 스큐류 타입이 아닌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용한 방식으로 결합된 어버트먼트나 마찰력을 이용한 결합방식의 어버트먼트를 픽스처(fixture)로부터 분리함에 있어, 손으로 감싸 쥐며 외력을 가했을 때, 힌지부를 중심으로 교차 운동되는 그립부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그립부의 반대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그립부의 교차운동에 연동되도록 하는 유닛 홀딩부로 이루어진 어버트먼트 취출기구를 이용해 보다 쉽고 편리하며 약한힘으로도 픽스처로부터 어버트먼트를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임플란트 및 주변 치아를 손상 입히지 않아 안전하며, 회전 없이도 픽스처로부터 어버트먼트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 취출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공치아는 사람의 자연치아와 외형 및 기능면에서 거의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어 낸 것으로서 자연치아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손되었을 경우 이를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임플란트 유닛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은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처(fixture, 10)와, 상기 픽스처에 나사 결합되어 인공치아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기능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20) 및 상기 어버트먼트를 픽스처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스크류(screw, 30)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때, 상기 픽스처(10)는 잇몸(1) 내의 치조골(턱뼈, 2)에 직접 매식되어 일종의 기둥역할을 수행하며, 치조골(2)에 나사 체결되도록 몸체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픽스처(10)의 몸체 상단에는 육각 헤드가 형성된다. 그리고, 육각 헤드에는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중심 내측으로 체결공이 형성된다.
또한, 어버트먼트(20)는 인공치아(3)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스크류는 일자 또는 십자형의 드라이버 자리홈이나 육각형의 렌치 자리홈이 형성된 헤드를 가지며, 헤드 밑에 있는 몸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20)에 인공치아(3)를 씌워서 결합시킴으로써 환자의 손상된 영구치를 인공치아로 대체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나사 결합에 의해 어버트먼트(20)를 픽스처(10)에 결합할 경우 결합의 견고함은 강화될 수 있지만, 구강 내에서 지속적인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 진동이 누적되면서 체결상태가 느슨해질 위험이 있으며, 시술시 스크류 체결을 위해 반복적인 회전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반복적인 회전을 위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약화된 치조골이 손상될 위험이 늘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스크류 결합방식 임플란트 유닛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용한 후크 결합방식 임플란트 유닛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68368호(2007.01.08)와 출원번호 10-2010-0059743에 개시된 바 있으며, 또한 마찰력에 의한 결합방식을 갖는 임플란트 유닛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여기서의 후크 결합방식 임플란트 유닛은 어버트먼트의 체결레그를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고, 체결레그와 픽스쳐의 체결홈의 개수를 같게 하여 이들이 일대일로 대응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어버트먼트를 축공에 삽입한 후 반시계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레그가 체결홈에 끼워지거나 또는 탈착되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등록특허 제668368호에 개시된 후크체결방식도 어버트먼트를 픽스처에 결합하기 위해 요구되는 회전의 숫자는 감소되었지만, 체결레그를 체결홈에 끼우거나 취출하기 위해서는 회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따라서, 픽스처를 식립한 후, 어버트먼트를 체결하고, 보철물을 접착한 후 임플란트에 문제가 있거나, 정기검진 등 기타 이유로 픽스처(fixture)로부터 어버트먼트를 제거하고자 할 때 보철물이 인접치아와 밀접하게 붙어 있기 때문에 회전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임플란트 유닛의 제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회전이 필요없는 공개번호 10-2011-0139577에 개시된 후크체결 방식과 출원번호 10-2007-0051635와 같은 탄성체를 이용한 체결방식이 제시됐으나, 이들 체결방식은 어버트먼트를 분리시킬때 픽스처와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키고 있는 체결력보다 더 큰 힘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픽스처와 어버트먼트의 체결력은 저작시 픽스처로부터 어버트먼트를 이탈 시킬려는 다양한 힘에 충분히 저항할수 있을만큼 강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강한 체결력으로 결합된 픽스처와 어버트먼트를 일반적인 방식으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굉장히 강한 힘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강한 힘으로 픽스처의 상부에 위치하는 어버트먼트 몸체(410)를 잡고 픽스처로부터 분리 시키려 시도한다면, 너무 강한 힘으로 인하여 어버트먼트나 픽스처, 치조골등이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힘 방향을 가장 바람직한 방향인 수직방향으로 가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때 어버트먼트에 상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굉장히 커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마찰력 방식 또한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픽스처에 탄성체의 탄성을 이용한 체결방식이나 마찰력에 의해 결합된 어버트먼트를 분리함에 있어, 손으로 감싸 쥐며 외력을 가했을 때, 힌지부를 중심으로 교차 운동되는 그립부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그립부의 반대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그립부의 교차운동에 연동되도록 하는 유닛 홀딩부로 이루어진 어버트먼트 취출기구를 이용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어버트먼트를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임플란트 및 주변 치아를 손상 입히지 않아 안전하며, 구강 내에서 강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어버트먼트를 픽스쳐로부터 분리할수 있어 여러번 반복되는 분리시술을 하더라도 임플란트 및 치조골의 손상 없이 어버트먼트를 픽스쳐로부터 분리시킬수 있으며 회전 없이도 어버트먼트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 취출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 쥐며 외력을 가했을 때, 힌지부를 중심으로 교차 운동되는 그립부; 및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그립부의 반대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그립부의 교차운동에 연동되도록 하는 유닛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 홀딩부는 그립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구강구조에 맞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말단에 어버트먼트의 원추형상의 노출경사부 외경을 양측에서 감싸서 압착시키는 경사 가압면을 갖는 취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취출기구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 가압면(331)은 예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효율적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는 그립부를 이루는 두 몸체를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하고, 상기 유닛 홀딩부의 경사 가압면이 상호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립부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유격지지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부의 경사 가압면의 경사각도를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의 노출 경사부의 외주면과 픽스쳐(고정체) 상단면이 이루는 경사각도와 같거나, 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절곡부와 수평절곡부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절곡부와 수평절곡부가 계단 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픽스처에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용한 체결방식이나 마찰력방식으로 결합된 어버트먼트를 분리함에 있어, 손으로 감싸 쥐며 외력을 가했을 때, 힌지부를 중심으로 교차 운동되는 그립부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그립부의 반대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그립부의 교차운동에 연동되도록 하는 유닛 홀딩부로 이루어진 어버트먼트 취출기구를 이용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어버트먼트를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임플란트 및 주변 치아를 손상 입히지 않아 안전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쐐기 효과로 팔힘이 약한 선생님이라도 아주 적은 힘으로도 어버트먼트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의 취출시 회전 없이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임플란트 유닛의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취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어버트먼트 취출기구를 이용해 픽스처로부터 어버트먼트를 취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의 여러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의 수직절곡부와 수평절곡부의 다양한 여러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취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10)는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 쥐며 외력을 가했을 때, 힌지부(200)를 중심으로 교차 운동되는 그립부(100) 및 상기 힌지부(200)를 중심으로 그립부(100)의 반대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그립부(100)의 교차운동에 연동되도록 하는 유닛 홀딩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닛 홀딩부(300)는 그립부(100)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구강구조에 맞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아암부(310)와, 상기 아암부(310)의 말단에 어버트먼트(400)의 원추형상의 노출경사부(430) 외경을 양측에서 감싸서 압착시키는 경사 가압면(331)이 구비되는 취출부(330)로 구성된다.
이때, 경사 가압면(331)은 예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아암부(310)는 수직절곡부(311)와 수평절곡부(313)를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수직절곡부(311)는 대략 치아의 평균높이 정도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평절곡부(313)는 수직절곡부(311) 끝단으로부터 치아 측면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절곡 되는 형태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절곡부와 수평절곡부가 계단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10 ~ 도 12)
또한, 상기 힌지부(200)는 그립부(100)를 이루는 두 몸체를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하고, 상기 유닛 홀딩부(300)의 경사 가압면(331)이 상호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립부(100)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유격지지턱(2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부(330)의 경사 가압면(331)의 경사각도(A)를 상기 어버트먼트(400)의 노출경사부(430)의 외주면과 픽스쳐의 상단면(550)이 이루는 경사각도(B)와 같거나 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경사 가압면(331)과 힌지부(200)는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시술자가 취출기구의 경사 가압면을 어버트먼트의 노출 경사부에 위치시킬 때 더 쉽게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크 결합형 임플란트 유닛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후크 결합형 임플란트 유닛은, 치조골에 직접 매식되어 기둥역할을 수행하는 픽스처(fixture)(500)와, 상기 픽스처의 상단에 축 결합되며 인공치아가 장착되는 지지체로 기능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4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픽스처(500)는 치조골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축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연장된 가이드홀(510)이 형성된다.
상기 어버트먼트(400)는 픽스처에 결합된 상태에서 위로 돌출되어 인공치아가 결합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에서 축방향을 따라 아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픽스처의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삽입부(4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픽스처 상부로 노출되면서 비스듬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노출경사부(4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420)는 픽스처의 가이드홀(5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어버트먼트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회전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압착되면서 끼움 결합되거나 외부에서 당기는 외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경사진 외면 후크체결부(42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420)는 축방향으로 복수개의 절개홈에 의해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홀(510)에 삽입될 경우 내벽에 의해 압착되어 오므려진 상태로 가이드홀을 통과한 후 원래 형태로 복원되어 후크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510)은 어버트먼트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방지부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방지 안내부와, 상기 환형 후크핀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통로를 형성하며 하부에는 상기 환형 후크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진 내면 후크체결부(520)가 형성된 후크핀 안내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회전방지 안내부에는 어버트먼트의 회전방지부가 안착되며, 상기 후크핀 안내부에는 어버트먼트의 환형의 후크핀이 합치되어 경사진 외면 후크체결부(422)가 내면 후크체결부(520)에 걸리게 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유닛은 상기 어버트먼트를 회전하지 않고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 상기 외면 후크체결부(422)의 경사면이 내면 후크체결부(520)의 경사면에 걸리면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어버트먼트(400)를 취출할 경우에도 수직 상부로 끌어당기는 것만으로 외면 후크체결부(422)가 내면 후크체결부(520)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오게 되어 회전 없이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그립부(100), 유닛 홀딩부(300), 및 힌지부(200)는 일체로 이루어진 몸체 두 개를 상기 힌지부(200)를 중심으로 상호 교차시켜 결합함으로써, 그립부(100)를 감싸 쥐며 가하는 압력에 의해 몸체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닛 홀딩부(300) 상호간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혀지면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어버트먼트(40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립부(100)는 감싸 쥔 상태에서 힘을 가하는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는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손바닥이 접하는 외주면이 라운딩 처리된 곡면으로 형성된 두 개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어버트먼트 취출기구를 이용해 어버트먼트를 취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먼저, 픽스처(500)가 치조골에 매식되어 있고, 그 상부에 어버트먼트(400)가 환형 후크핀에 의해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인공치아가 설치되어 있는 임플란트 유닛에서 상기 어버트먼트(400)를 취출하기 위해서 상기 노출경사부(430)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러나, 어버트먼트의 취출 목적에 따라 상기 인공치아를 제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어버트먼트 취출기구(10)의 취출부(330)사이에 노출경사부(430)가 위치하게 한 후, 그립부(100)를 조금씩 가압하여 상기 경사 가압면(331)의 경사면이 상기 노출경사부(430)의 경사면에 대향되도록 한다.
이때, 아암부(310)의 수직절곡부(311)를 대략 치아의 평균높이 정도로 형성하고, 상기 수직절곡부(311) 끝단으로부터 치아 측면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시켜 수평절곡부(313)를 형성하고, 그 끝단에 경사 가압면(33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취출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직절곡부와 수평절곡부(313)는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며 인공치아가 장착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 노출 경사부(430)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계단식(도 10 내지 도 12)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아암부의 수직절곡부(31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90° 또는 90°보다 큰 둔각을 이루면서 1차 절곡된 후, 상기 경사 가압면 부근에서 다시 2차 절곡되도록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계단식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의 수평절곡부(31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절곡부(311)의 말단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90°또는 90°보다 큰 둔각을 이루면서 1차 절곡된 후, 치아 측면을 향하여 다시 2차 절곡되도록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계단식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아암부는 90°로 절곡되면서 계단식 형태를 이루는 수직절곡부에 90°로 절곡되면서 계단식 형태를 이루는 수평절곡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90°로 절곡되면서 계단식 형태를 이루는 수직절곡부에 90°보다 큰 둔각을 이루면서 계단식 형태를 이루는 수평절곡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는 90°보다 큰 둔각으로 절곡되면서 계단식 형태를 이루는 수직절곡부에 90°로 절곡되면서 계단식 형태를 이루는 수평절곡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보다 큰 둔각으로 절곡되면서 계단식 형태를 이루는 수직절곡부에 90°보다 큰 둔각으로 절곡되면서 계단식 형태를 이루는 수평절곡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루며 계단식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경사 가압면(331)의 경사면과 노출경사부(430)의 경사면을 접촉시킨 후 그립부(100)를 가압하여 경사 가압면 상호간의 거리를 조금씩 가깝게 함으로서, 경사 가압면(331)의 경사면 위쪽 모서리를 통하여 노출경사부(430)의 경사면에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노출경사부(430)의 경사면에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경사 가압면(331)의 경사면 위쪽 모서리는 노출경사부(430)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미끄러지려는 힘이 발생되고, 이와 같이 아래로 미끄러지려는 취출부 경사 가압면(331)에 의해 상기 어버트먼트(400)는 도 5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그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어버트먼트(400)가 위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홀의 내면 후크체결부(520)에 걸려 있던 외면 후크체결부(422)가 압착된다.
상기 외면 후크체결부의 압착에 의해 가이드홀 내부로 들어가는 환형 후크핀이 오므려지면서 압착되고, 이때, 비스듬하게 경사진 내면 후크체결부(520)를 외면 후크체결부(422)가 타고 넘어가야 하므로 상기 그립부 가압단계를 통하여 가해야 하는 외력이 약간 클 수 있지만, 이후는 압착된 상태에서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홀(510)을 이동하게 되므로 적은 외력으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면 후크체결부(422)가 내면 후크체결부(520)를 타고 넘어간 후에는 취출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보다 신속하게 취출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외면 후크체결부(422)가 압착된 상태로 가이드홀(510)을 이동하여 가이드홀(510)을 도 6에와 같이 벗어나게 되면, 가이드홀(510)의 내벽에 의해 압착되어 있는 외면 후크체결부(422)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어버트먼트는 픽스처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의 여러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취출기구의 이러한 변형은 어버트먼트(400)의 노출경사부(430)의 형태에 대응하여 취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어버트먼트(400)에 구비된 노출경사부(430)가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비스듬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버트먼트(400)에 구비된 삽입부(420)의 상부가 픽스처(500)의 상부로 일정 길이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유닛 홀딩부(300)에 구비된 취출부(330)는 상부가 상기 노출경사부(430)를 이루는 경사면보다 큰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상기 픽스처(500)의 상부로 노출된 삽입부(420)의 형상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된 경사 가압면(33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노출경사부(430)는 상기 경사 가압면(331-2)이 접하여 가압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어버트먼트(400)에 구비된 몸체에서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보다 큰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경사 가압면(331-2)의 상부 일단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노출경사부(430)의 경사면 하부에 일부 접촉된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경사 가압면(331-2)의 경사면이 상기 노출경사부(430)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힘을 가하며 상기 어버트먼트(400)의 외면 후크결합부(422)를 픽스처(500)의 내면 후크결합부(520)로부터 분리하여 취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 가압면(331-2)의 하부는 수직하게 형성되었으므로 이러한 경사 가압면(331-2)의 수직면이 상기 삽입부(420)에 접할 때까지 상기 노출경사부(430)의 경사면(B)을 계속 가압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어버트먼트(400)에 구비된 노출경사부(430)가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비스듬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버트먼트(400)에 구비된 삽입부(420)의 상부는 상기 노출경사부(430)의 말단에서 벌어지는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픽스처(500)의 상부로 일정 길이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유닛 홀딩부(300)에 구비된 취출부(330)는 상부가 상기 노출경사부(430)를 이루는 경사면보다 큰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상기 픽스처(500)의 상부로 노출된 삽입부(420)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쪽을 향하여 벌어지는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경사 가압면(33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노출경사부(430)는 상기 경사 가압면(331-2)이 접하여 가압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어버트먼트(400)에 구비된 몸체에서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보다 큰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경사 가압면(331-3)의 상부 일단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노출경사부(430)의 경사면 하부에 일부 접촉된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경사 가압면(331-3)의 경사면이 상기 노출경사부(430)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힘을 가하며 상기 어버트먼트(400)의 외면 후크체결부(422)를 픽스처(500)의 내면 후크결합부(520)로부터 분리하여 취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 가압면(331-3)의 하부는 픽스처(500)의 외부로 노출된 삽입부(420)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었으므로 이러한 경사 가압면(331-3)의 경사면이 상기 삽입부(420)의 경사면에 접할 때까지 상기 노출경사부(430)의 경사면을 계속 가압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노출경사부(430)와 삽입부(420)의 상부가 모두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은 도 8의 경우와 동일하나, 상기 노출경사부(430)가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유닛 홀딩부(300)에 구비된 취출부(330)는 도 8의 경우와 같이 상부가 상기 노출경사부를 이루는 경사면보다 큰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상기 픽스처(500)의 상부로 노출된 삽입부(420)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쪽을 향하여 벌어지는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경사 가압면(33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 가압면(331-4)에 형성된 경사면의 각도 차이는 있으나, 그 외의 구성과 작용은 도 8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 취출기구에 구비된 취출부(330)에 상기 어버트먼트(400)에 구비된 노출경사부(430)의 경사면과 같거나 보다 더 큰 각도를 갖게 되어 상부의 모서리만이 접할 수 있게 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경사 가압면(331-2, 331-3, 331-4)을 형성하고, 이러한 경사 가압면(331-2, 331-3, 331-4)을 개방된 노출경사부(430)에 밀착시킨 후 그립부(100)를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노출경사부(430)의 경사면을 따라 수직방향의 힘으로 변환되어 작용하게 되어 회전 없이 어버트먼트(400)를 픽스처(500)로부터 안전하고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처럼 픽스처(500)로부터 취출되는 어버트먼트(400)에는 큰 외력이 직접 가해지지 않게 되어 환형 후크핀이나 외면 후크체결부 등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취출 후 다시 슬라이딩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취출기구 경사 가압면(331)이 노출 경사부(430)보다 각도가 작더라도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갖는다면 어버트먼트를 분리할 수 있으나, 비효율적이고 가압 경사면을 노출 경사부 위에 위치시킬 때 정확한 위치를 잡기가 쉽지않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취출기구 100: 그립부
200: 힌지부 210: 결합부
220: 유격지지턱 230: 걸림턱
300: 유닛 홀딩부 310: 아암부
311: 수직절곡부 313: 수평절곡부
330: 취출부 331: 경사 가압면
400: 어버트먼트 410: 몸체
420: 삽입부 422: 외면 후크체결부
430: 노출경사부 440: 홈
500: 픽스처 510: 가이드홀
520: 내면 후크체결부 550: 픽스쳐의 상단면
A : 취출부 경사 가압면의 경사각도
B : 어버트먼트 노출 경사부 외주면의 경사각도

Claims (7)

  1.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 쥐며 외력을 가했을 때, 힌지부(200)를 중심으로 교차 운동되는 그립부(100); 및 상기 힌지부(200)를 중심으로 그립부(100)의 반대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그립부(100)의 교차운동에 연동되도록 하는 유닛 홀딩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 홀딩부(300)는 그립부(100)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구강구조에 맞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아암부(310)와, 상기 아암부(310)의 말단에 어버트먼트(400)의 원추형상의 노출경사부(430) 외경을 양측에서 감싸서 압착시키는 경사 가압면(331)을 갖는 취출부(330)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부(200)는 그립부(100)를 이루는 두 몸체를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하고, 상기 유닛 홀딩부(300)의 경사 가압면(331)이 상호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립부(100)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유격지지턱(2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330)의 경사 가압면(331)의 경사각도는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330)의 경사 가압면(331)의 경사각도(A)를 상기 어버트먼트(400)의 노출경사부(430) 외주면의 경사각도(B)와 같거나 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330)의 경사 가압면(331)과 힌지부(200)는 평행하게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310)는 수직절곡부(311)와 수평절곡부(3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절곡부(311)는 치아의 평균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절곡부(313)는 수직절곡부(311)의 끝단에서 치아 측면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직절곡부(311)는 먼저 90° 또는 90°보다 큰 둔각을 이루면서 절곡된 후, 상기 경사 가압면 부근에서 다시 절곡되어 계단식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310)는 수직절곡부(311)와 수평절곡부(3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절곡부(311)는 치아의 평균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절곡부(313)는 수직절곡부(311)의 끝단에서 치아 측면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평절곡부(313)는 수직절곡부(311)의 말단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90° 또는 90°보다 큰 둔각을 이루면서 1차 절곡된 후, 치아 측면을 향하여 다시 2차 절곡되어 계단식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KR1020120028607A 2012-03-21 2012-03-21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KR101309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607A KR101309417B1 (ko) 2012-03-21 2012-03-21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PCT/KR2013/002351 WO2013141627A1 (ko) 2012-03-21 2013-03-21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607A KR101309417B1 (ko) 2012-03-21 2012-03-21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417B1 true KR101309417B1 (ko) 2013-09-23

Family

ID=4922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607A KR101309417B1 (ko) 2012-03-21 2012-03-21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9417B1 (ko)
WO (1) WO201314162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396A1 (ko) * 2015-03-03 2016-09-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WO2018131974A1 (ko) 2017-01-13 2018-07-19 주식회사 덴플렉스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031422A (ko) * 2018-09-14 2020-03-24 이진균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겸자
KR102252139B1 (ko) * 2019-12-12 2021-05-13 김태경 임플란트의 픽스쳐에 체결된 어버트먼트 취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8413U (ja) * 1983-05-31 1984-12-14 根木 弘道 智歯及び臼歯抜去のための上下顎左右兼用脱臼鉗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0221A (en) * 1989-12-29 1992-06-09 Orenstein Jonathan H Dental clamp for use in implant restorative dentistry
WO1999039651A2 (en) * 1998-02-05 1999-08-12 Gittleman, Neal, B. Separation tools for abutment window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8413U (ja) * 1983-05-31 1984-12-14 根木 弘道 智歯及び臼歯抜去のための上下顎左右兼用脱臼鉗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396A1 (ko) * 2015-03-03 2016-09-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WO2018131974A1 (ko) 2017-01-13 2018-07-19 주식회사 덴플렉스 치과용 임플란트
US10709526B2 (en) 2017-01-13 2020-07-14 Denflex Co., Ltd Dental implant
KR20200031422A (ko) * 2018-09-14 2020-03-24 이진균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겸자
KR102180976B1 (ko) 2018-09-14 2020-11-19 이진균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겸자
US11484393B2 (en) 2018-09-14 2022-11-01 Jin-Kyun Lee Forceps for removing dental implant fixture
KR102252139B1 (ko) * 2019-12-12 2021-05-13 김태경 임플란트의 픽스쳐에 체결된 어버트먼트 취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1627A1 (ko)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9692B1 (en) Combination of a spacer and an adapter
JP4738884B2 (ja) 歯科用くさび
KR101309417B1 (ko)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취출기구
EP2934367B1 (en) Abutment
KR200467684Y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스크루 및 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EP2732791B1 (en) Angular friction joint type of dental implant
US20110097688A1 (en) Implant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JP5162604B2 (ja) 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リムーバー
KR20160029875A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치과용 풀림방지부재
US6923648B1 (en) Dental implant fastener system
KR101331496B1 (ko) 임플란트 장치
KR101493509B1 (ko) 임플란트 고정체 제거장치
KR101650185B1 (ko) 몸체와 고정부재의 결합력이 향상된 어버트먼트
KR101029068B1 (ko)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KR10121067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758360B1 (ko) 마운트 장치
KR100721603B1 (ko) 임플란트용 분리장치
KR100665046B1 (ko) 스크루가 내장된 임플란트 연결기둥의 체결구조
EP3622916B1 (en) Forceps for removing dental implant fixture
KR100598937B1 (ko) 컷팅 에지를 갖는 치근형 인공치아 시술용 픽쳐
US20040053195A1 (en) Healing cap and gingival emergence profiler for dental implant anchor
KR101632612B1 (ko)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체결스크류
KR102386908B1 (ko) 픽스쳐 식립 및 제거장치
RU2725558C1 (ru) Конструкция, содержащая штифт абатмента и относящийся к нему колпачок, а также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наложения колпачка
KR100988306B1 (ko) 픽스쳐 식립시술용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