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078B1 -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078B1
KR101308078B1 KR1020130045482A KR20130045482A KR101308078B1 KR 101308078 B1 KR101308078 B1 KR 101308078B1 KR 1020130045482 A KR1020130045482 A KR 1020130045482A KR 20130045482 A KR20130045482 A KR 20130045482A KR 101308078 B1 KR101308078 B1 KR 10130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folio
factor
contribution
investment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재
Original Assignee
김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재 filed Critical 김우재
Priority to KR102013004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을 기반으로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대해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대한 보다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펀드매니저의 포트폴리오 운영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투자자에게 보다 신뢰도 높은 투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PORTFOLIO PERFORMANCE ANALYSIS SYSTEM BASED ON MULTI-FAC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트폴리오에 대한 성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을 기반으로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펀드매니저의 포트폴리오 운영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투자자에게 보다 신뢰도 높은 투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위험자산인 포트폴리오(주식형 펀드, 자문형 랩 등)에 투자할 때 투자자들은 높은 리스크에 직면하게 되며, 또한 최근 투자 가능한 상품이 다양하게 출시되어 투자자들의 위험성향에 부합하는 상품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포트폴리오의 과거 성과 즉 포트폴리오의 과거 1년, 2년, 3년 수익률을 벤치마크의 수익률과 비교하여 벤치마크 대비 초과수익률을 기준으로 포트폴리오가 제대로 운용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해왔다.
이처럼,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이 벤치마크 대비 초과하였다면 포트폴리오의 운용이 대체로 우수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지만, 과거에 벤치마크를 초과하였다는 점 만으로 포트폴리오의 미래 성과까지 확신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에, 최근에는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분석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기존의 분석 방법은, 포트폴리오의 성과(초과성과, 하회성과)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요인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식시장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내는 베타(Beta)라는 단일요인 만을 고려하여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분석하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어떤 요인이 얼마나 기여했는지에 대한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 결과를 제공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포트폴리오에 대한 성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을 기반으로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대한 보다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포트폴리오에 대한 성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을 기반으로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대한 보다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펀드매니저의 포트폴리오 운영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투자자에게 보다 신뢰도 높은 투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각 투자종목을 포함하는 포트폴리오와 관련하여,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Exposure)를 확인하는 노출도확인단계; 상기 각 투자종목의 수익률 및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확인하는 수익률확인단계;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및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벤치마크(Benchmark)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스타일요인이 기여한 스타일요인기여도를 확인하는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단계; 및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및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벤치마크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산업요인이 기여한 산업요인기여도를 확인하는 산업요인기여도확인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투자종목의 종목베타(Beta) 및 상기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상기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의 포트폴리오베타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상기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상기 포트폴리오의 포트폴리오베타, 상기 벤치마크의 벤치마크베타, 상기 벤치마크의 수익률 및 기대수익률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상기 벤치마크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상기 포트폴리오베타가 기여한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단계는, 상기 다수의 스타일요인 각각의 요인베타 및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하고,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상기 스타일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잔차수익률을 계산하고,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잔차수익률, 상기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상기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상기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및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상기 스타일요인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업요인기여도확인단계는, 상기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의 요인베타 및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하고,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 및 상기 산업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잔차수익률을 계산하고,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잔차수익률, 상기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상기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상기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및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상기 산업요인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확인한 상기 스타일요인기여도, 상기 산업요인기여도 및 상기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벤치마크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투자종목 선정이 기여한 투자종목선정기여도를 확인하는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단계는, 상기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상기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상기 각 투자종목의 수익률, 상기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의 수익률, 상기 포트폴리오의 포트폴리오베타, 상기 벤치마크의 벤치마크베타 및 기대수익률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의 예외적초과수익률을 계산하고, 상기 포트폴리오의 예외적초과수익률에서 상기 스타일요인기여도 및 상기 산업요인기여도 및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여도에 따른 수치를 감산하여, 상기 투자종목선정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은, 각 투자종목을 포함하는 포트폴리오와 관련하여,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Exposure)를 확인하는 노출도확인부; 상기 각 투자종목의 수익률 및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확인하는 수익률확인부;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및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벤치마크(Benchmark)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스타일요인이 기여한 스타일요인기여도를 확인하는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 및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및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벤치마크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산업요인이 기여한 산업요인기여도를 확인하는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포트폴리오에 대한 성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을 기반으로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대한 보다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펀드매니저의 포트폴리오 운영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투자자에게 보다 신뢰도 높은 투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성과 분석된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100)은, 각 투자종목을 포함하는 포트폴리오와 관련하여,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Exposure)를 확인하는 노출도확인부(110)와, 상기 각 투자종목의 수익률 및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확인하는 수익률확인부(120)와,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및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벤치마크(Benchmark)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스타일요인이 기여한 스타일요인기여도를 확인하는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와,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및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벤치마크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산업요인이 기여한 산업요인기여도를 확인하는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벤치마크는, 주식시장(Market, (예 : KOSPI))의 종목(예 : 800개)를 모두 포함하여 주식시장과 같을 수도 있고, 주식시장의 종목들 중 일부 종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100)은, 각 투자종목을 포함하는 포트폴리오와 관련하여,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스타일요인 및 산업요인이 얼마나 기여했는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더불어 포트폴리오의 베타(이하, 포트폴리오베타라 함) 및 투자종목선정이 얼마나 기여했는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대하여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100)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노출도확인부(110)는, 성과 분석의 대상인 포트폴리오와 관련하여,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Exposure)를 확인한다.
여기서, 다수의 스타일요인은, 12개의 스타일요인으로서 기업규모, 거래동향, 수출비중, 모멘텀, 성장성, 가치성, 재무레버리지, 해외지수민감도, 기업투자, 금리민감도, 변동성 및 유니버스외 종목투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산업요인은, 25개의 산업요인으로서 에너지, 화학, 철강금속, 제지, 건설, 기계, 조선, 운송, 기타 산업재, 자동차 및 부품, 내구소비재 및 의류, 기타 소비재, 소매유통, 음식료, 화장품, 의료제약, 은행, 증권, 보험, 기타 금융,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반도체 및 장비, IT하드웨어 및 장비, 통신서비스 및 유틸리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노출도확인부(110)는, 성과 분석의 대상인 포트폴리오와 관련하여, 전술의 12개의 스타일요인 및 전술의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Exposure)를 확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성과 분석의 대상인 포트폴리오로서 50개의 투자종목을 포함하는 포트폴리오1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노출도확인부(110)는,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각각에 대하여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노출도와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노출도를 계산함으로써,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각각에 대한 요인별 노출도(스타일요인별 노출도, 산업요인별 노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중 투자종목1을 언급하여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노출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12개의 스타일요인 중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노출도확인부(110)는, 주식시장의 종목(예 : 800개) 각각의 시가총액을 토대로 계산되는 평균규모를 기준으로, 투자종목1의 규모(시가총액)가 평균규모를 갖는다면 투자종목1의 기업규모에 대한 노출도를 0으로 계산하고, 투자종목1의 규모가 평균규모 보다 1 표준편차(σ) 만큼 클수록 투자종목1의 기업규모에 대한 노출도를 +1 만큼 크게 계산하고, 투자종목1의 규모가 평균규모 보다 1 표준편차(σ) 만큼 작을수록 투자종목1의 기업규모에 대한 노출도를 -1 만큼 작게 계산할 수 있다.
또한, 12개의 스타일요인 중 수출비중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노출도확인부(110)는, 주식시장(Market)의 종목(예 : 800개) 각각의 총매출액 대비 수출매출액 비중을 토대로 계산되는 평균수출비중을 기준으로, 투자종목1의 수출비중(총매출액 대비 수출매출액 비중)이 평균수출비중을 갖는다면 투자종목1의 수출비중에 대한 노출도를 0으로 계산하고, 투자종목1의 수출비중이 평균수출비중 보다 1 표준편차(σ) 만큼 클수록 투자종목1의 수출비중에 대한 노출도를 +1 만큼 크게 계산하고, 투자종목1의 수출비중이 평균수출비중 보다 1 표준편차(σ) 만큼 작을수록 투자종목1의 수출비중에 대한 노출도를 -1 만큼 작게 계산할 수 있다.
이처럼 노출도확인부(110)는, 투자종목1에 대하여, 전술과 같은 계산과정을 통해 기업규모에 대한 노출도 및 수출비중에 대한 노출도 뿐 아니라 나머지 스타일요인(예 : 10개) 각각에 대한 노출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출도확인부(110)는,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투자종목1을 비롯한 나머지 49개의 투자종목 각각에 대해서도,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노출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중 투자종목1을 언급하여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노출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노출도확인부(110)는, 투자종목1이 25개의 산업요인 중 반도체 및 장비에만 관련성이 있다면 투자종목1의 반도체 및 장비에 대한 노출도를 1로 계산하고, 관련성이 없는 나머지 24개의 산업요인에 대한 노출도를 0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노출도확인부(110)는, 투자종목1이 여러 산업요인(예 : 에너지, 화학, 철강금속)에 관련성이 있다면 투자종목1의 여러 산업요인(예 : 에너지, 화학, 철강금속) 각각에 대한 노출도를 관련성의 크기에 비례하게 양(+)의 값으로 계산하되 여러 산업요인(예 : 에너지, 화학, 철강금속) 각각에 대한 노출도 합이 1이 되도록 계산하고, 관련성이 없는 나머지 산업요인에 대한 노출도를 0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출도확인부(110)는,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투자종목1을 비롯한 나머지 49개의 투자종목 각각에 대해서도,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노출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노출도확인부(110)는,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각 투자종목을 포함하는 주식시장(Market)의 모든 종목(예 : 800)의 기업기본정보를 근거로, 전술과 같이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각각에 대한 요인별 노출도(스타일요인별 노출도, 산업요인별 노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수익률확인부(120)는,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각 투자종목의 수익률 및 노출도확인부(110)에서 확인한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를 기초로, 다수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확인한다.
즉, 전술의 포트폴리오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수익률확인부(120)는,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각각의 수익률을 주식시장에서 확인하고, 노출도확인부(110)에서 확인한 50개의 투자종목 각각에 대한 요인별 노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수익률확인부(120)는,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각각의 수익률 및 50개의 투자종목 각각에 대한 요인별 노출도(스타일요인별 노출도, 산업요인별 노출도)를 기초로, 횡단면회귀분석을 통해서 12개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계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2 종류의 분석파라미터(투자종목 각각의 수익률, 투자종목 각각에 대한 요인별 노출도)를 기초로 횡단면회귀분석을 통해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계산하는 계산방식은, 기존의 횡단면회귀분석 계산방식에 따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및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을 기초로,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벤치마크(Benchmark) 대비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스타일요인이 기여한 스타일요인기여도를 확인한다.
즉, 전술의 포트폴리오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1의 성과에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이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스타일요인기여도를 계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의 요인베타 및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기초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한다.
다시 말하면,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주식시장에서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의 요인베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주식시장에서 확인되는 주식시장의 수익률(월단위)에서 무위험수익률(Risk Free)를 감산하여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Excess Market Return)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전술과 같이 확인한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의 요인베타 및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기초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체계적수익률(Systematic Return)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아래의 수식1과 같이,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수식1.
스타일요인N 체계적수익률(Systematic Return) = 스타일요인N 요인베타 *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
여기서, N은 1~12로서, 스타일요인N은 12개의 스타일요인 즉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부터 스타일요인12(예 : 유니버스외 종목투자)까지를 의미할 것이다.
예컨대, 12개의 스타일요인 중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의 요인베타와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곱하여,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수익률확인부(120)에서 확인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전술의 계산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기초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잔차수익률(Residual Return)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아래의 수식2와 같이,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수식2.
스타일요인N 잔차수익률(Residual Return) = 스타일요인N 수익률 - 스타일요인N 체계적수익률
예컨대, 12개의 스타일요인 중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에서 확인되는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 수익률에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 체계적수익률을 감산하여,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전술의 계산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잔차수익률, 포트폴리오1에서 차지하는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및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기여도를 계산한다.
다시 말하면,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포트폴리오1에 대하여 12개의 스타일요인 별로 기여도를 계산하고, 이들을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기여도(Style Contribution)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는, 아래의 수식3과 같이,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각 투자종목 별로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의 기여도를 계산하고, 이를 기초로 12개의 스타일요인 별로 기여도를 계산한 후, 이를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수식3.
투자종목M의 스타일요인N 기여도 = 스타일요인N 잔차수익률 * (투자종목M의 투자종목비중 - 투자종목M의 종목비중) * 투자종목M의 스타일요인N 노출도
스타일요인N 기여도 = 투자종목1의 스타일요인N 기여도 + 투자종목2의 스타일요인N 기여도 + ... + 투자종목M의 스타일요인N 기여도
스타일요인기여도(Style Contribution) = 스타일요인1 기여도 + 스타일요인2 기여도 + ... + 스타일요인N 기여도
여기서, M은 1~50로서, 투자종목M은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즉 투자종목1부터 투자종목50까지를 의미할 것이다. 그리고, 투자종목M의 투자종목비중은 투자종목M이 포트폴리오1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며, 투자종목M의 종목비중은 투자종목M이 벤치마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할 것이다.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및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기초로,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산업요인이 기여한 산업요인기여도를 확인한다.
즉, 전술의 포트폴리오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1의 성과에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이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산업요인기여도를 계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의 요인베타 및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기초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한다.
다시 말하면,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주식시장에서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의 요인베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주식시장에서 확인되는 주식시장의 수익률(월단위)에서 무위험수익률(Risk Free)를 감산하여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Excess Market Return)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전술과 같이 확인한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의 요인베타 및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기초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별 체계적수익률(Systematic Return)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아래의 수식4와 같이,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수식4.
산업요인N 체계적수익률(Systematic Return) = 산업요인N 요인베타 *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
여기서, N은 1~25로서, 산업요인N은 25개의 산업요인 즉 산업요인1(예 : 에너지)부터 산업요인25(예 : 유틸리티)까지를 의미할 것이다.
예컨대, 25개의 산업요인 중 산업요인1(예 : 에너지)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산업요인1(예 : 에너지)의 요인베타와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곱하여, 산업요인1(예 : 에너지)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수익률확인부(120)에서 확인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별 수익률 및 전술의 계산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기초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별 잔차수익률(Residual Return)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아래의 수식5와 같이,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수식5.
산업요인N 잔차수익률(Residual Return) = 산업요인N 수익률 - 산업요인N 체계적수익률
예컨대, 25개의 산업요인 중 산업요인1(예 : 에너지)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에서 확인되는 산업요인1(예 : 에너지) 수익률에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1(예 : 에너지) 체계적수익률을 감산하여, 산업요인1(예 : 에너지)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전술의 계산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별 잔차수익률, 포트폴리오1에서 차지하는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및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기여도를 계산한다.
다시 말하면,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포트폴리오1에 대하여 25개의 산업요인 별로 기여도를 계산하고, 이들을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기여도(Sector Contribution)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140)는, 아래의 수식6과 같이,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각 투자종목 별로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의 기여도를 계산하고, 이를 기초로 25개의 산업요인 별로 기여도를 계산한 후, 이를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수식6.
투자종목M의 산업요인N 기여도 = 산업요인N 잔차수익률 * (투자종목M의 투자종목비중 - 투자종목M의 종목비중) * 투자종목M의 산업요인N 노출도
산업요인N 기여도 = 투자종목1의 산업요인N 기여도 + 투자종목2의 산업요인N 기여도 + ... + 투자종목M의 산업요인N 기여도
산업요인기여도(Sector Contribution) = 산업요인1 기여도 + 산업요인2 기여도 + ... + 산업요인N 기여도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100)은, 포트폴리오에 대한 성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을 기반으로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스타일요인 및 산업요인이 얼마나 기여했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 즉 스타일요인기여도 및 산업요인기여도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스타일요인기여도는, 펀드매니저가 포트폴리오를 운용함에 있어서 다수의 스타일요인에 대하여 포트폴리오를 과대 또는 과소 노출한 펀드매니저의 판단이 얼마나 정확했는지, 펀드매니저의 운용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그리고, 산업요인기여도는, 펀드매니저가 포트폴리오를 운용함에 있어서 다수의 산업요인에 대하여 포트폴리오를 과대 또는 과소 노출한 펀드매니저의 판단이 얼마나 정확했는지, 펀드매니저의 운용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150),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부(160), 기대수익률기여도확인부(170) 및 벤치마크기여도확인부(1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150)는,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포트폴리오의 베타(이하, 포트폴리오베타라 함)가 기여한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를 확인한다.
즉, 전술의 포트폴리오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150)는,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1의 성과에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 즉 주식시장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민감도가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를 계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150)는,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각 투자종목의 종목베타 및 포트폴리오1에서 차지하는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을 기초로,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를 계산한다.
다시 말하면,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150)는, 주식시장에서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각 투자종목에 대한 종목베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150)는, 50개의 각 투자종목의 종목베타에 해당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을 곱함으로써, 포트폴리오1의 50개 각 투자종목에 대하여 포트폴리오1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반영한 종목베타를 획득하고, 이들을 모두 합한 값을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인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더불어,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150)는, 주식시장에서 벤치마크에 포함된 각 종목의 종목베타를 확인하고, 벤치마크에 포함된 각 종목의 종목비중을 확인한 후, 이를 기초로 벤치마크에 포함된 각 종목의 종목베타에 해당 종목의 종목비중을 곱함으로써, 벤치마크의 각 종목에 대하여 벤치마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반영한 종목베타를 획득하고, 이들을 모두 합한 값을 벤치마크의 벤치마크베타인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150)는, 주식시장에서 벤치마크의 수익률(월단위)을 확인할 수 있고, 주식시장에서 확인되는 장기리스크프리미엄(예 : 6%)로부터 기대수익률(월단위, 예 : 0.06/12)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장기리스크프리미엄은, 주식시장에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주식시장 위험에 대한 프리미엄을 의미한다.
그리고,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150)는, 50개의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전술의 계산한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 전술의 계산한 벤치마크의 벤치마크베타, 벤치마크의 수익률 및 기대수익률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1의 성과에 포트폴리오베타가 기여한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를 계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150)는,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별로 종목베타가 기여한 베타기여도를 계산하고, 이들을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Beta Contribution)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150)는, 아래의 수식7과 같이,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각 투자종목 별로 종목베타가 기여한 베타기여도를 계산하고, 이들을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수식7.
투자종목M의 베타기여도 = (투자종목M의 투자종목비중 - 투자종목M의 종목비중) * (투자종목M의 종목베타 - 벤치마크베타) * (벤치마크의 수익률 - 기대수익률(예 : 0.06/12))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Beta Contribution) = 투자종목1의 베타기여도 + 투자종목2의 베타기여도 + ... + 투자종목M의 베타기여도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100)은, 포트폴리오에 대한 성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포트폴리오의 베타(포트폴리오베타)를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포트폴리오베타가 얼마나 기여했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 즉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는, 펀드매니저가 포트폴리오를 운용함에 있어서 주식시장의 상승기와 하락기에 맞춰 탄력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과대 또는 과소 노출한 펀드매니저의 판단이 얼마나 정확했는지, 펀드매니저의 운용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부(160)는,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투자종목 선정이 기여한 투자종목선정기여도를 확인한다.
즉, 전술의 포트폴리오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부(160)는,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1의 성과에 포트폴리오1을 구성한 투자종목의 선정이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투자종목선정기여도를 계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부(160)는,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130)에서 확인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기여도, 산업요인기여도(140)에서 확인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기여도 및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150)에서 확인한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1의 투자종목선정기여도를 계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부(160)는,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 각 투자종목의 수익률,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의 수익률,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 벤치마크의 벤치마크베타 및 기대수익률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포트폴리오1의 예외적초과수익률을 계산한다.
다시 말하면,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부(160)는,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별로 장기리스크프리미엄과 관련된 기대수익률을 배제시킨 예외적초과수익률을 계산하고, 이처럼 50개의 투자종목 별로 계산한 예외적초과수익률을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예외적초과수익률(Total Exceptional active Return)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부(160)는, 아래의 수식8과 같이,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별로 예외적초과수익률을 계산하고, 이들을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예외적초과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수식8.
투자종목M의 예외적초과수익률 = (투자종목M의 투자종목비중 - 투자종목M의 종목비중) * {(포트폴리오에서 투자종목M의 수익률 - 벤치마크 수익률) - {(투자종목M의 종목베타 - 벤치마크베타) * 기대수익률(예 : 0.06/12)}}
예외적초과수익률(Total Exceptional active Return) = 투자종목1의 예외적초과수익률 + 투자종목2의 예외적초과수익률 + ... + 투자종목M의 예외적초과수익률
그리고,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부(160)는, 전술에서 계산한 포트폴리오1의 예외적초과수익률에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기여도 및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기여도 및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여도에 따른 수치를 감산하여, 포트폴리오1의 투자종목선정기여도(Asset Selection Contribution)를 계산할 수 있다.
즉,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부(160)는, 아래의 수식9와 같이, 포트폴리오1의 투자종목선정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수식9.
투자종목선정기여도(Asset Selection Contribution) = 예외적초과수익률(Total Exceptional active Return) -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Beta Contribution) - 스타일요인기여도(Style Contribution) - 산업요인기여도(Sector Contribution)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100)은, 포트폴리오에 대한 성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 및 포트폴리오베타를 기반으로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투자종목의 선정이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분석 결과, 즉 투자종목선정기여도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투자종목선정기여도는, 펀드매니저가 포트폴리오를 운용함에 있어서 투자종목을 선정한 펀드매니저의 판단이 얼마나 정확했는지, 펀드매니저의 운용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기대수익률기여도확인부(170)는,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예 : 포트폴리오1)의 성과에 포트폴리오(예 : 포트폴리오1)의 기대수익률(예 : 0.06/12)이 기여한 기대수익률기여도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기대수익률기여도확인부(170)는, 아래의 수식10과 같이,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별로 기대수익률기여도를 계산하고, 이들을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기대수익률기여도(Expected Active Return Contribution)를 계산할 수 있다.
수식10.
투자종목M의 기대수익률기여도 = (투자종목M의 투자종목비중 - 투자종목M의 종목비중) * (투자종목M의 종목베타 - 벤치마크베타) * 기대수익률(예 : 0.06/12)
기대수익률기여도(Expected Active Return Contribution) = 투자종목1의 기대수익률기여도 + 투자종목2의 기대수익률기여도 + ... 투자종목M의 기대수익률기여도
그리고, 벤치마크기여도확인부(180)는, 포트폴리오(예 : 포트폴리오1)의 성과에 벤치마크가 기여한 벤치마크기여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100)에서, 포트폴리오(예 : 포트폴리오1)를 분석한 분석 결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포트폴리오1의 성과 즉 수익률이 8.38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100)은, 포트폴리오1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포트폴리오1의 성과(8.38)에 벤치마크가 기여한 벤치마크기여도를 9.38로 평가하였고,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1의 성과 즉 초과수익률은 -1일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100)은,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1의 성과(-1) 중에서 기대수익률이 기여한 기대수익률기여도를 0.41로 평가하고, 기대수익률에 의한 성과(0.41)를 배제시킨 나머지를 예외적초과수익률(Total Exceptional active Return)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100)은,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1의 성과(-1) 중에서 펀드매니저의 운용 능력에 의한 수익이라고 할 수 있는 예외적초과수익률(-1.41)로부터, 전술과 같이 계산한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0.16), 스타일요인기여도(0.58), 산업요인기여도(-1.33)을 제외한 나머지 기여도를 투자종목선정기여도(-0.82)로 계산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100)은,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1의 성과 중에서 기대수익률에 의한 성과를 배제시킨 나머지 예외적초과수익률에서, 주식시장 및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에 의한 기여도를 제외한 나머지 기여도 즉 투자종목선정기여도를, 투자종목 선정에 따른 펀드매니저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으로서 계산하며, 이러한 투자종목선정기여도는 펀드매니저의 포트폴리오 운용 능력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근거일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성과 분석의 대상인 포트폴리오와 관련하여, 다수의 스타일요인 예컨대 12개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 예컨대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를 확인한다(S110).
성과 분석의 대상인 포트폴리오로서 50개의 투자종목을 포함하는 포트폴리오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각각에 대하여,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노출도와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노출도를 계산함으로써,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각각에 대한 요인별 노출도(스타일요인별 노출도, 산업요인별 노출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다수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확인한다(S120).
즉, 전술의 포트폴리오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각각의 수익률을 주식시장에서 확인하고, S110단계에서 확인한 50개의 투자종목 각각에 대한 요인별 노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각각의 수익률 및 50개의 투자종목 각각에 대한 요인별 노출도(스타일요인별 노출도, 산업요인별 노출도)를 기초로, 횡단면회귀분석을 통해서 12개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계산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포트폴리오의 베타(이하, 포트폴리오베타라 함)가 기여한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를 확인한다(S130).
전술의 포트폴리오1을 언급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주식시장에서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각 투자종목에 대한 종목베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50개의 각 투자종목의 종목베타에 해당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을 곱함으로써, 포트폴리오1의 50개 각 투자종목에 대하여 포트폴리오1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반영한 종목베타를 획득하고, 이들을 모두 합한 값을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인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벤치마크의 벤치마크베타를 계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주식시장에서 벤치마크의 수익률(월단위)을 확인할 수 있고, 주식시장에서 확인되는 장기리스크프리미엄(예 : 6%)로부터 기대수익률(월단위, 예 : 0.06/12)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50개의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전술의 계산한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 전술의 계산한 벤치마크의 벤치마크베타, 벤치마크의 수익률 및 기대수익률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별로 포트폴리오베타가 기여한 베타기여도를 계산하고, 이들을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전술의 수식7과 같이,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각 투자종목 별로 종목베타가 기여한 베타기여도를 계산하고, 이들을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Beta Contribution)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스타일요인이 기여한 스타일요인기여도를 확인한다(S140).
전술의 포트폴리오1을 언급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주식시장에서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의 요인베타를 확인할 수 있고,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Excess Market Return)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전술과 같이 확인한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의 요인베타 및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기초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체계적수익률(Systematic Return)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전술의 수식1과 같이,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12개의 스타일요인 중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의 요인베타와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곱하여,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S120단계에서 확인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전술의 계산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기초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잔차수익률(Residual Return)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전술의 수식2와 같이,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12개의 스타일요인 중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에서 확인되는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 수익률에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 체계적수익률을 감산하여, 스타일요인1(예 : 기업규모)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전술의 계산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별 잔차수익률, 포트폴리오1에서 차지하는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및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전술의 수식3과 같이,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각 투자종목 별로 12개의 스타일요인 각각의 기여도를 계산하고, 이를 기초로 12개의 스타일요인 별로 기여도를 계산한 후, 이를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기여도(Style Contribution)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산업요인이 기여한 산업요인기여도를 확인한다(S150).
전술의 포트폴리오1을 언급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주식시장에서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의 요인베타를 확인하고,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Excess Market Return)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전술과 같이 확인한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의 요인베타 및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기초로, 전술의 수식4와 같이,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25개의 산업요인 중 산업요인1(예 : 에너지)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산업요인1(예 : 에너지)의 요인베타와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곱하여, 산업요인1(예 : 에너지)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S120단계에서 확인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별 수익률 및 전술의 계산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기초로, 전술의 수식5와 같이,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25개의 산업요인 중 산업요인1(예 : 에너지)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에서 확인되는 산업요인1(예 : 에너지) 수익률에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1(예 : 에너지) 체계적수익률을 감산하여, 산업요인1(예 : 에너지)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포트폴리오1의 잔차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전술의 계산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별 잔차수익률, 포트폴리오1에서 차지하는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및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전술의 수식6과 같이,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각 투자종목 별로 25개의 산업요인 각각의 기여도를 계산하고, 이를 기초로 25개의 산업요인 별로 기여도를 계산한 후, 이를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기여도(Sector Contribution)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투자종목 선정이 기여한 투자종목선정기여도를 확인한다(S160).
즉, 전술의 포트폴리오1을 언급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S140단계에서 확인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기여도, S150단계에서 확인한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기여도 및 S130단계에서 확인한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1의 투자종목선정기여도를 계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별로 장기리스크프리미엄과 관련된 기대수익률을 배제시킨 예외적초과수익률을 계산하고, 이처럼 50개의 투자종목 별로 계산한 예외적초과수익률을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예외적초과수익률(Total Exceptional active Return)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전술의 수식8과 같이, 포트폴리오1에 포함된 50개의 투자종목 별로 예외적초과수익률을 계산하고, 이들을 모두 합하여 포트폴리오1의 예외적초과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전술에서 계산한 포트폴리오1의 예외적초과수익률에서 포트폴리오1의 스타일요인기여도 및 포트폴리오1의 산업요인기여도 및 포트폴리오1의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여도에 따른 수치를 감산하여, 포트폴리오1의 투자종목선정기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전술의 수식9와 같이, 포트폴리오1의 투자종목선정기여도(Asset Selection Contribution)를 계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예 : 포트폴리오1)의 성과에 포트폴리오(예 : 포트폴리오1)의 기대수익률(예 : 0.06/12)이 기여한 기대수익률기여도를 확인하고, 포트폴리오(예 : 포트폴리오1)의 성과에 벤치마크가 기여한 벤치마크기여도를 확인할 수 있다(S17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도 3과 같이, 벤치마크 대비 포트폴리오1의 성과(-1)에서 기대수익률에 의한 성과(0.41)를 배제시킨 나머지를 예외적초과수익률 즉 펀드매니저의 운용 능력에 의한 수익이라고 할 수 있는 예외적초과수익률(-1.41)로부터,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0.16), 스타일요인기여도(0.58), 산업요인기여도(-1.33), 투자종목선정기여도(-0.82)를 세분화하여 분석 결과로서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 및 시스템은, 포트폴리오에 대한 성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을 기반으로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대한 보다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펀드매니저의 포트폴리오 운영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투자자에게 보다 신뢰도 높은 투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을 기반으로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대해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대한 보다 다각적이고 세분화된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펀드매니저의 포트폴리오 운영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투자자에게 보다 신뢰도 높은 투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 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110 : 노출도확인부 120 : 수익률확인부
130 :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 140 :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
150 :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 160 :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부
170 : 기대수익률기여도확인부 180 : 벤치마크기여도확인부

Claims (7)

  1.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각 투자종목을 포함하는 포트폴리오와 관련하여,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Exposure)를 확인하는 노출도확인단계;
    상기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상기 각 투자종목의 수익률 및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확인하는 수익률확인단계;
    상기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및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벤치마크(Benchmark)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스타일요인이 기여한 스타일요인기여도를 확인하는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단계;
    상기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및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벤치마크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산업요인이 기여한 산업요인기여도를 확인하는 산업요인기여도확인단계;
    상기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상기 각 투자종목의 종목베타(Beta) 및 상기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상기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의 포트폴리오베타를 계산하고, 상기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상기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상기 포트폴리오의 포트폴리오베타, 상기 벤치마크의 벤치마크베타, 상기 벤치마크의 수익률 및 기대수익률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상기 벤치마크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상기 포트폴리오베타가 기여한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확인한 상기 스타일요인기여도, 상기 산업요인기여도 및 상기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벤치마크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투자종목 선정이 기여한 투자종목선정기여도를 확인하는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단계는,
    상기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상기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상기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상기 각 투자종목의 수익률, 상기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의 수익률, 상기 포트폴리오의 포트폴리오베타, 상기 벤치마크의 벤치마크베타 및 기대수익률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서 기대수익률을 배제시킨 상기 포트폴리오의 예외적초과수익률을 계산하고,
    상기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상기 포트폴리오의 예외적초과수익률에서 상기 스타일요인기여도 및 상기 산업요인기여도 및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여도에 따른 수치를 감산하여, 남은 수치를 상기 투자종목선정기여도인 것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단계는,
    상기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상기 다수의 스타일요인 각각의 요인베타 및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하고,
    상기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상기 스타일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잔차수익률을 계산하고,
    상기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잔차수익률, 상기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상기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상기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및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상기 스타일요인기여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의 동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요인기여도확인단계는,
    상기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상기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의 요인베타 및 주식시장의 시장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계산하고,
    상기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 및 상기 산업요인별 체계적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잔차수익률을 계산하고,
    상기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이,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잔차수익률, 상기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상기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상기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및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상기 산업요인기여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삭제
  6. 삭제
  7. 각 투자종목을 포함하는 포트폴리오와 관련하여, 다수의 스타일요인 및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Exposure)를 확인하는 노출도확인부;
    상기 각 투자종목의 수익률 및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스타일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 및 다수의 산업요인 각각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확인하는 수익률확인부;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및 상기 포트폴리오의 스타일요인별 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벤치마크(Benchmark)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스타일요인이 기여한 스타일요인기여도를 확인하는 스타일요인기여도확인부;
    상기 각 투자종목의 요인별 노출도 및 상기 포트폴리오의 산업요인별 수익률을 기초로, 상기 벤치마크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산업요인이 기여한 산업요인기여도를 확인하는 산업요인기여도확인부;
    상기 각 투자종목의 종목베타(Beta) 및 상기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상기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을 기초로, 상기 포트폴리오의 포트폴리오베타를 계산하고, 상기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상기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상기 포트폴리오의 포트폴리오베타, 상기 벤치마크의 벤치마크베타, 상기 벤치마크의 수익률 및 기대수익률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상기 벤치마크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상기 포트폴리오베타가 기여한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확인부;
    확인한 상기 스타일요인기여도, 상기 산업요인기여도 및 상기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벤치마크 대비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투자종목 선정이 기여한 투자종목선정기여도를 확인하는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자종목선정기여도확인부는,
    상기 각 투자종목의 투자종목비중, 상기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이 차지하는 종목비중, 상기 각 투자종목의 수익률, 상기 벤치마크에서 상기 각 투자종목과 관련된 각 종목의 수익률, 상기 포트폴리오의 포트폴리오베타, 상기 벤치마크의 벤치마크베타 및 기대수익률 중 적어도 2 이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포트폴리오의 성과에서 기대수익률을 배제시킨 상기 포트폴리오의 예외적초과수익률을 계산하고,
    상기 포트폴리오의 예외적초과수익률에서 상기 스타일요인기여도 및 상기 산업요인기여도 및 포트폴리오베타기여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여도에 따른 수치를 감산하여, 남은 수치를 상기 투자종목선정기여도인 것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KR1020130045482A 2013-04-24 2013-04-24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30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482A KR101308078B1 (ko) 2013-04-24 2013-04-24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482A KR101308078B1 (ko) 2013-04-24 2013-04-24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078B1 true KR101308078B1 (ko) 2013-09-12

Family

ID=4945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482A KR101308078B1 (ko) 2013-04-24 2013-04-24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0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707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케이지제로인 자산 운용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73813B1 (ko) * 2020-02-28 2020-11-04 신한아이타스(주) 펀드의 주식요인분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164B1 (ko) 2005-07-29 2007-07-24 대신증권 주식회사 주식자산 운용 시스템에서의 포트폴리오 및 계량적 방법에의한 주식 종목 선택 방법
KR20090075557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에프앤가이드 펀드의 유형 분류 및 성과 평가를 이용한 의사 결정 지원시스템
KR101004375B1 (ko) * 2010-04-26 2010-12-28 우리투자증권 주식회사 Psr 분석을 이용한 펀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139626B1 (ko) 2011-12-07 2012-04-27 우리투자증권 주식회사 운용과정 기반의 포트폴리오 리스크 평가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164B1 (ko) 2005-07-29 2007-07-24 대신증권 주식회사 주식자산 운용 시스템에서의 포트폴리오 및 계량적 방법에의한 주식 종목 선택 방법
KR20090075557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에프앤가이드 펀드의 유형 분류 및 성과 평가를 이용한 의사 결정 지원시스템
KR101004375B1 (ko) * 2010-04-26 2010-12-28 우리투자증권 주식회사 Psr 분석을 이용한 펀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139626B1 (ko) 2011-12-07 2012-04-27 우리투자증권 주식회사 운용과정 기반의 포트폴리오 리스크 평가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707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케이지제로인 자산 운용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57216B1 (ko) * 2017-09-07 2020-09-17 주식회사 케이지제로인 자산 운용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73813B1 (ko) * 2020-02-28 2020-11-04 신한아이타스(주) 펀드의 주식요인분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172777A1 (en) * 2020-02-28 2021-09-02 Shinhanaitas Co.,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time service for stock attribution analysis of f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ërvalla et al. IT Infrastructure Library (ITIL) framework approach to IT Governance
Carr et al. Stock options and credit default swaps: A joint framework for valuation and estimation
US792556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isk management
De Goeij et al. Modeling the conditional covariance between stock and bond returns: A multivariate GARCH approach
Jafari et al. Effective risk management and company's performance: Investment in innovations and intellectual capital using behavioral and practical approach
Ferstl et al. Asset-liability management under time-varying investment opportunities
Badshah et al. Contemporaneous spill‐over among equity, gold, and exchange rate implied volatility indices
Bo et al. Optimal investment in credit derivatives portfolio under contagion risk
Aarif et al. Do ‘Shariah’indices surpass conventional indices? A study on Dhaka Stock Exchange
Yan et al. Estimating liquidity risk using the exposure‐based cash‐flow‐at‐risk approach: An application to the UK banking sector
Triani et al.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going concern audit opinion by ISA 570
Caporin Equity and CDS sector indices: Dynamic models and risk hedging
Caporin et al. Currency hedging strategies in strategic benchmarks and the global and Euro sovereign financial crises
Chaudhary et al. Corporate bond multipliers: Substitutes matter
KR101308078B1 (ko) 다중요인 기반의 포트폴리오 성과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Demina et al. Generating risk-based financial reporting
Varg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GIC’S share prices value impact–event study
Di Clemente Hedge accounting and risk management: An advanced prospective model for testing hedge effectiveness
Hu Applicability of the Fama‐French three‐factor model in forecasting portfolio returns
Chen et al. Financial institutions in crisis: Modeling the endogeneity between credit risk and capital requirements
Migliorelli et al. Sustainability-related risks, risk management frameworks and non-financial disclosure
Dang et al. Efficient nested simulation of tail risk measures
Choi et al. A better criterion for forced selling in bond markets: Credit ratings versus credit spreads
Al Janabi Systematic market and asset liquidity risk processes for machine learning: robust modeling algorithms for multiple-assets portfolios
Pineau Three PD-LGD models for a stress test exerc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