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960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960B1
KR101307960B1 KR1020120043877A KR20120043877A KR101307960B1 KR 101307960 B1 KR101307960 B1 KR 101307960B1 KR 1020120043877 A KR1020120043877 A KR 1020120043877A KR 20120043877 A KR20120043877 A KR 20120043877A KR 101307960 B1 KR101307960 B1 KR 10130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ase top
display
display devic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호
김상열
채기성
김정희
김은범
장원봉
기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960B1/ko
Priority to US13/675,413 priority patent/US9323083B2/en
Priority to CN201210470827.XA priority patent/CN103376573B/zh
Priority to EP12007996.7A priority patent/EP2657752B1/en
Priority to TW101149207A priority patent/TWI48667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따라 패턴이 형성된 베젤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어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과 결합하며, 적어도 하나의 이음새를 가진 케이스 탑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탑은 상기 지지부재와 체결되는 메인프레임부와, 상기 베젤부 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디자인이 형성되는 서브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도 베젤 영역에 미감이 증진된 혁신적인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프레임부와 서브프레임부로 구분되는 케이스 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영상과 음향을 표시하는 텔레비젼을 포함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인 음극선관(CRT)은 진공 속의 음극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이용해서 가시상을 만드는 방식이었으나,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정보를 시각적인 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액정디스플레이 (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기체방전(플라즈마) 현상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 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LCD 방식 또는 PDP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래의 CRT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그 두께가 혁신적으로 감소할 수 있었다. 즉, 무게와 부피를 줄임으로써 장치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응답속도나 화질 등의 품질면에서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점차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또한, 기술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게 보다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을 위하여 디자인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도록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증진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라인과, 실제로 화면이 표시되는 유효표시영역(active area)까지의 거리에 해당되는 베젤(Bezel)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을 결정한다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따라,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베젤(bezel)의 폭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면서 사용자들에게 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한편, 도 1 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백라이트유닛(30)과, 액정표시패널(22)로 구분된다. 상기 백라이트유닛(30)과 액정표시패널(20)은 서포트 메인(41), 케이스 탑(10), 그리고 커버 바텀(42) 등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케이스 탑(10)은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 및 측면 테두리를 덮도록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의 프레임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 탑(10)의 전면에는 액정표시패널(20)에서 구현된 화상이 표시되는 사각형 형상의 개구면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탑(10)의 하부에는 서포트 메인(41) 또는 커버 바텀(42)과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케이스 탑(10)은 개구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금속 플레이트를 절단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재료비가 증가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탑(10)이 비교적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를 충분하게 보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10-1048695에는 측면 테두리에 분리되어 장착되는 2 이상의 분리형 케이스 탑들을 이용하고, 케이스 탑의 홀을 형성하고, 커버 바텀의 후크와 체결하여 하나의 케이스 탑을 이루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의 경우 각각의 분리형 케이스 탑을 체결시키기 위해 케이스 탑 및 커버 바텀의 측면에 별도의 이음 구조물을 형성해야 하고, 종래의 케이스 탑처럼 구조물의 강도가 높아지게 보강시키려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베젤 영역까지 케이스 탑을 형성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도 베젤 영역에 미감이 증진된 혁신적인 디자인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형 케이스 탑의 이음새를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강도 높게 보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따라 패턴이 형성된 베젤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어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과 결합하며, 적어도 하나의 이음새를 가진 케이스 탑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탑은 상기 지지부재와 체결되는 메인프레임부와, 상기 베젤부 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디자인이 형성되는 서브프레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를 덮게 되는 서브프레임부를 열가소성 수지 재질로 적용한 케이스 탑을 도입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베젤 영역에 미감이 증진된 혁신적인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절단공정이 필요하지 않는 분리형 케이스 탑을 이용하면서 상기 분리형 케이스 탑의 이음새를 견고하게 체결시키면서 패널을 강도 높게 보호할 수 있고, 상기 이음새에 유입될 수 있는 이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탑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케이스 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메인프레임부의 표면처리 전의 현미경 사진;
도 5는 메인프레임부의 표면처리 후의 현미경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탑이 체결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
하기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된 내용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탑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탑(100)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분리된 각각의 금속플레이트가 서로 체결되면서 하나의 케이스 탑(100)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 탑(1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101b)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이 표시된다.
여기서, 케이스 탑(100)은 분리된 금속플레이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이음새(101a)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금속플레이트 상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시켜 이음새(101a)를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하나의 케이스 탑(100)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일체형 케이스 탑 제조공정 시 절단되어 버려지는 금속플레이트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공정비용의 절감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형의 케이스 탑에서 각 금속플레이트 사이의 이음새(101a)에 유입될 수 있는 이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도 2의 케이스 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메인프레임부의 표면처리 전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5는 메인프레임부의 표면처리 후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탑(100)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면 및 측면 테두리를 덮도록 절곡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 상면의 테두리를 덮는 영역인 서브프레임부(101)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착색되고, 패턴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측면의 테두리를 덮는 영역인 메인프레임부(102)는 표면에 패턴을 가진 요철이 형성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프레임부(101)와 메인프레임부(102)가 다음과 같은 공정에 따라 결합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부(102)에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면 금속표면에 패턴을 가진 초미세 요철이 형성된다(도 5).
즉, 메인프레임부(102)에 알칼리(Alkali) 전처리 - 산(Acid) 전처리, T 처리, 세정 및 건조의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알칼리(Alkali) 전처리 공정은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등의 수산화 알칼리금속류의 수산화물 또는 이들이 함유된 무수탄산나트륨, 암모니아 등 0.1 ~ 10% 농도의 염기성 수용액을 이용하여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산(Acid) 전처리 공정은 아세트산(acetic acid), 플루오르화 수소산(hydrofluoric acid) 등 0 ~ 1% 농도의 산성 수용액을 이용하여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알칼리 및 산 전처리 공정 이외에도 아황산알칼리금속, 아황산수소알칼리금속, 히드라진(N2H4),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수소화알루미늄리튬(LiAlH4) 등 수용성 환원제의 수용액을 1 ~ 5% 농도로 수분 동안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T 처리 공정은, 암모니아(NH3), 히드라진(N2H4), 피리딘(C5H5N), 히드리진유도체, 및 수용성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용액을 2 ~ 30% 농도로 수분 동안 가스흡착 또는 수용액에 침전시키거나, 분무처리 등의 방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표면처리 공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에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여 금속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다.
후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금속 재질과 결합되면서, 상기 금속 재질의 패턴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재질의 표면상에 표시되어 디자인을 갖게 된다. 즉, 메인프레임부(102)의 패턴이 서브프레임부(101)에 표시됨으로써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베젤부(200b) 상에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을 갖게 된다.
여기서, 열가소성 수지는 나일론 계열(PA6, PA66, P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의 단독 또는 유/무기 필러(glass fiber) 등 착색력이 뛰어난 수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밀착성, 전기적 성질 등을 고려하여 보조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섬유, 카본섬유, 금속섬유 등의 무기질 섬유 충진제나, 불소수지, 아크릴수지 등의 유기질 섬유 충진제 등을 보조첨가제로 추가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난연제, 착색재, 산화방지제, 이형제, 윤활제, 결정 촉진제 등 요구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보조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다.
특히, 본원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가지기 위하여 열가소성 수지에 안료 또는 염료를 추가하게 되는데, 안료로는 카본 블랙, 티탄 화이트, 크롬 옐로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염료로는 오일 옐로, 오일 블루, 오일 레드와 같은 유용성 염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총 4개의 직선형 금속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하나의 케이스 탑(100)을 이루도록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음새를 가진 금속플레이트 등 다양한 구조의 케이스 탑에 적용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탑이 체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0a)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베젤부(200b)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배면에 구비되어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30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3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과 결합하며, 적어도 하나의 이음새를 구비하는 케이스 탑(100)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탑(100)은 상기 지지부재와 체결되는 메인프레임부(102)와, 상기 베젤부(200b) 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디자인이 형성되는 서브프레임부(101)를 갖는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플레이부(200a)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베젤부(200b)로 구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상/하부에 편광판들이 구비되는 데, 하부에 구비된 하부편광판(203)은 백라이트 유닛(300)으로부터 공급되는 광빔을 편광시켜 패널부(202)로 공급시키고,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편광판(201)은 패널부(202)로부터 공급되는 광빔을 편광시켜 외부로 방출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포트 메인(401)과, 커버 바텀(402)의 지지부재들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상기 백라이트유닛(300)의 일측 측면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서포트 메인(401)과, 상기 서포트 메인(401)의 일측 저면 또는 측면을 감싸는 커버 바텀(402)을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케이스탑(100)이 상기 서포트 메인(401)과 커버 바텀(402)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 메인(401)은 몰드물로 제조되고, 그 내부의 측벽면이 계단형 단턱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메인(401)의 내부의 최저층에 백라이트 유닛(300)이 구비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300)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적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브프레임부(101) 및 메인프레임부(102)로 구분되는 케이스 탑(100)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탑(100)은 서포트 메인(401)과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서포트 메인(401)의 상부 및 측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부(10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부를 감싸도록 설계하며, 일직선형 또는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서브프레임부(10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베젤부(200b) 상에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부(102)의 일측 측면과 결합하도록 설계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서브프레임부(101)의 두께가 일정하도록 설계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부(101)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과, 패턴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상기 베젤부(200b)에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유닛(300)은 광원이 장착된 램프하우징(미도시)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도광판(302)과, 상기 도광판(302) 상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쪽으로 입사되는 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학시트들(301)과, 상기 도광판(302)의 배면에 부착되어 도광판(302)의 후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200)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303)을 구비한다.
상기 도광판(302)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장치의 전영역에 균일하게 분포시킨다. 즉, 상기 도광판(302)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균일하게 분포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0)로 균일한 빛이 입사되도록 한다.
상기 반사판(303)은 도광판(302)의 하부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킨다. 즉, 상기 반사판(303)은 도광판(30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자신에게 입사되는 광이 디스플레이 패널(200)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광학시트들(301)은 상/하부 확산시트 및 상/하부 프리즘시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광학시트들(301)은 도광판(30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켜 빛이 도광판 표면 전반에 골고루 분포되게 한다. 또한, 상기 광학시트들(301)은 산란된 빛을 굴절 집광시켜 표면휘도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빛을 확산시켜 시야각을 넓혀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드부(403)를 지지부재의 측면에 설계한다.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패드부(403)이 서포트 메인(401)의 일측 측면에 구비되게 예시하였으나, 케이스 탑의 일측면 또는 커버 바텀의 일측면에도 설계 가능하다.
상기 패드부(403)는 외부 압력이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실리콘 재질의 스폰지 형태의 충전방지 패드이거나, 또는 외부의 진동에 의한 방진이 가능한 방진 패드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0a)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베젤부(200b)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젤부(200b)는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도 미감이 증진된 혁신적인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색상과, 패턴을 가진 서브프레임부(101)에 의해 상기 베젤부(200b) 상에 다양한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케이스 탑 101: 서브프레임부
102: 메인프레임부 200: 디스플레이 패널
201: 상부편광판 202: 패널부
203: 하부편광판 300: 백라이트 유닛
301: 광학시트들 302: 도광판
303: 반사판 401: 서포터 메인
402: 커버 바텀 403: 패드부

Claims (7)

  1.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베젤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어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과 결합하며, 적어도 하나의 이음새를 가진 케이스 탑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탑은 상기 지지부재와 체결되는 메인프레임부와,
    상기 베젤부 상에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서브프레임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부는 표면에 패턴을 가진 요철이 형성된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상기 메인프레임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부와 상기 메인프레임부는 상기 베젤부 상의 영역에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탑은,
    상기 서브프레임부의 두께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는 커버 바텀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위치를 고정하는 서포트 메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탑의 일면에 충격흡수패드 또는 방진패드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43877A 2012-04-26 2012-04-26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0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77A KR101307960B1 (ko) 2012-04-26 2012-04-26 디스플레이 장치
US13/675,413 US9323083B2 (en) 2012-04-26 2012-11-13 Display device
CN201210470827.XA CN103376573B (zh) 2012-04-26 2012-11-20 显示装置
EP12007996.7A EP2657752B1 (en) 2012-04-26 2012-11-28 Display device
TW101149207A TWI486672B (zh) 2012-04-26 2012-12-21 顯示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77A KR101307960B1 (ko) 2012-04-26 2012-04-2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960B1 true KR101307960B1 (ko) 2013-09-12

Family

ID=4742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877A KR101307960B1 (ko) 2012-04-26 2012-04-2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23083B2 (ko)
EP (1) EP2657752B1 (ko)
KR (1) KR101307960B1 (ko)
CN (1) CN103376573B (ko)
TW (1) TWI48667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747A (ko) 2017-02-17 2018-08-28 희성전자 주식회사 미들 캐비넷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3969A1 (de) * 2010-12-22 2012-06-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zeige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1346083B1 (ko) * 2012-04-26 2013-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8029213B (zh) * 2015-09-18 2021-01-26 东丽株式会社 壳体
KR102599883B1 (ko) * 2016-11-15 2023-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3582208B1 (en) * 2017-02-09 2021-05-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0770A (ja) 2006-04-06 2007-10-2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面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9288671A (ja) 2008-05-30 2009-12-10 Nec Corp 電子機器の表示装置固定構造及び該構造を備える電子機器
KR20110033472A (ko) * 2009-09-25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3431A (en) * 1971-08-03 1972-11-21 Wayne G Kemper Decorative plastic wall tile
JP3060654B2 (ja) * 1990-12-27 2000-07-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538112Y2 (ja) * 1991-05-21 1997-06-11 シャープ株式会社 実装基板
JPH09147618A (ja) * 1995-11-20 1997-06-06 Sharp Corp 照明装置
KR100453177B1 (ko) * 1998-09-19 2005-04-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블랙막을갖는액정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US6654078B1 (en) * 1999-02-18 2003-11-25 Nec Lcd Technologies, Ltd. Liquid crystal module mounting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mounted with the same
KR100603838B1 (ko) * 1999-09-20 2006-07-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JP3645770B2 (ja) * 2000-01-28 2005-05-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3642263B2 (ja) * 2000-05-23 2005-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57794B1 (ko) * 2001-09-03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모듈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442491B1 (ko) * 2001-12-29 2004-07-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
JP2003279935A (ja) * 2002-03-25 2003-10-0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WO2003083565A1 (fr) * 2002-03-28 2003-10-09 Sanyo Electric Co., Ltd. Dispositif d'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KR100946444B1 (ko) * 2002-08-02 2010-03-10 소니 주식회사 평면형 화상 표시 장치
WO2004041533A1 (ja) 2002-11-08 2004-05-21 Taisei Plas Co., Ltd. アルミニウム合金と樹脂組成物の複合体とその製造方法
TW572220U (en) * 2003-01-08 2004-01-11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its fixing structure
JP4260519B2 (ja) * 2003-03-31 2009-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669700B1 (ko) * 2003-11-28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방열 성능이 개선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KR101048695B1 (ko) 2003-12-12 2011-07-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3850847B2 (ja) * 2004-06-28 2006-11-2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の液晶表示装置保護構造
JP4581726B2 (ja) * 2004-12-28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携帯機器
KR101253057B1 (ko) * 2005-07-07 2013-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4704868B2 (ja) * 2005-09-22 2011-06-22 大成プラス株式会社 大型平面表示装置のシャーシ枠体製造方法およびシャーシ枠体
WO2007034786A1 (ja) 2005-09-22 2007-03-29 Taisei Plas Co., Ltd. 液晶表示装置用光学シートの保持具およびシャーシ
JP5124129B2 (ja) * 2005-12-08 2013-01-23 東レ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と樹脂の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62055B1 (ko) 2005-12-08 2011-09-02 다이세이 플라스 가부시끼가이샤 알루미늄 합금과 수지의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3389B1 (ko) * 2006-12-29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4274249B2 (ja) * 2007-01-16 2009-06-03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1589263A (zh) * 2007-04-19 2009-11-25 夏普株式会社 背光单元和液晶显示装置
US8192815B2 (en) * 2007-07-13 2012-06-05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a dual layer housing
JP4520494B2 (ja) * 2007-08-20 2010-08-04 明拓工業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EP2209102A4 (en) 2007-10-29 2017-11-2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101431154B1 (ko) * 2007-11-08 2014-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418932B1 (ko) 2007-12-10 2014-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상부 수납 용기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JP4516106B2 (ja) 2007-12-18 2010-08-04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049120B2 (en) * 2008-09-30 2011-11-01 Apple Inc. Ultrasonic bonding of discrete plastic parts to metal
CN101730410A (zh) * 2008-10-20 2010-06-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外壳及其制造方法
JP2010134349A (ja) * 2008-12-08 2010-06-17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US20100159273A1 (en) * 2008-12-24 2010-06-24 John Benjamin Fils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Layered Metal Structure with an Anodized Surface
US20110089792A1 (en) * 2009-10-16 2011-04-21 Apple Inc. Portable computer housing
US8858854B2 (en) 2010-04-01 2014-10-14 Flextronics Ap, Llc System and method for plastic overmolding on a metal surface
KR101327743B1 (ko) * 2010-04-27 2013-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440934B (zh) * 2010-04-27 2014-06-11 Lg Display Co Ltd 顯示裝置
US20120008271A1 (en) * 2010-07-06 2012-01-12 Dell Products L.P. Metal laminate via in-mold film
KR20120030821A (ko) * 2010-09-20 2012-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US9280183B2 (en) * 2011-04-01 2016-03-08 Apple Inc. Advanced techniques for bonding metal to plastic
US8975540B2 (en) * 2011-12-19 2015-03-10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with support frames and mechanically-bonded plastic and methods for forming such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0770A (ja) 2006-04-06 2007-10-2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面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9288671A (ja) 2008-05-30 2009-12-10 Nec Corp 電子機器の表示装置固定構造及び該構造を備える電子機器
KR20110033472A (ko) * 2009-09-25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747A (ko) 2017-02-17 2018-08-28 희성전자 주식회사 미들 캐비넷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7752A3 (en) 2014-09-03
EP2657752B1 (en) 2018-01-10
TW201344292A (zh) 2013-11-01
CN103376573A (zh) 2013-10-30
US9323083B2 (en) 2016-04-26
US20130286624A1 (en) 2013-10-31
EP2657752A2 (en) 2013-10-30
TWI486672B (zh) 2015-06-01
CN103376573B (zh)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9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460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5536476B2 (ja) 表示装置
KR1017446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I447482B (zh) 顯示模組
CN109116621A (zh) 显示模组和显示装置
KR1013458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261282A1 (en) Display device
TWI402572B (zh) 背光單元、用於組裝背光單元的方法、及使用該背光單元的液晶顯示裝置
US9720270B2 (en) Display apparatus
JP2008076899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SG184001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CN102980104B (zh) 背光模组及使用该背光模组的显示装置
KR201300284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05217A (ko) 평판형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9110198B2 (en) Backlight module
CN201218441Y (zh) 背光模组
KR1013771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43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61058A (ko) 프레임 결합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08170728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TWI427369B (zh) 背光模組及液晶顯示器
KR201100144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2889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