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826B1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826B1
KR101307826B1 KR1020110125306A KR20110125306A KR101307826B1 KR 101307826 B1 KR101307826 B1 KR 101307826B1 KR 1020110125306 A KR1020110125306 A KR 1020110125306A KR 20110125306 A KR20110125306 A KR 20110125306A KR 101307826 B1 KR101307826 B1 KR 101307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ata
state
transmission request
reques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148A (ko
Inventor
구자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826B1/ko
Priority to CN201710066561.5A priority patent/CN107105516B/zh
Priority to CN201280056120.2A priority patent/CN103931118B/zh
Priority to PCT/KR2012/008660 priority patent/WO2013081299A1/ko
Publication of KR20130059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826B1/ko
Priority to US14/287,745 priority patent/US9491681B2/en
Priority to US15/288,031 priority patent/US1049211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기종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끊김 없는 연속성을 보장하여 핸드오버 기능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특정 수신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된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APPARATUS FOR SERVICE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기종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끊김 없는 연속성을 보장하여 핸드오버 기능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재 방식은, 단말장치 사용자의 직접적인 변경에 의한 접속 네트워크 선택 방식으로 사업자 측의 개입(controllability)이 배제된 방식이기 때문에 사업자 입장을 고려할 때 소극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렛 PC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증가하고 데이터 요금이 저렴해지며 동시에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율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망 투자비 과다 지출 및 서비스 안정성 측면에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단말장치의 접속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특정 수신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장치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여, 이기종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끊김 없는 연속성을 보장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에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여, 이기종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끊김 없는 연속성을 보장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장치로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장치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도록 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수신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와 인접 네트워크장치 간의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데이터가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고, 상기 제1네트워크 보다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 경우,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장치로의 데이터를 상기 제1네트워크 및 상기 제2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에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와 인접 네트워크장치 간의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기 설정하고,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상기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고, 상기 제1네트워크 보다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 경우,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은,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단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장치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 확인단계는,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수신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와 인접 네트워크장치 간의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 확인단계는,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데이터가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고, 상기 제1네트워크 보다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 경우,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제어단계는,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장치로의 데이터를 상기 제1네트워크 및 상기 제2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방법은,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에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상태 알림단계를 포함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와 인접 네트워크장치 간의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 판단단계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기 설정하고,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상기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고, 상기 제1네트워크 보다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 경우,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과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에 의하면,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기종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연속성 보장이 어려운 상태 즉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가 발생되면 타 네트워크(예 : 3G, LTE 등)로 데이터를 일시 우회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끊김 없는 연속성을 보장하여 핸드오버 기능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써, 서비스의 신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의 서비스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관리장치(400)와,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1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는 데이터 전송 서비스 이용을 위해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WiFi 및 3G)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할 것이다.
여기서, 2 이상의 네트워크 즉 이기종의 네트워크는,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는 제1네트워크(이하, "WiFi 네트워크"라 칭함)와,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 LTE 등)를 지칭하는 제2네트워크(이하, "3G 네트워크"라 칭함)로 한정하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a,200b ...)는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엑세스포인트(AP)를 지칭하게 되며,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3G 네트워크 즉,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장비를 지칭하게 된다.
더 나아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관리장치(400)로부터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외부장치(500) 및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500)는 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관리장치(4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예컨대, 포털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하나의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WiFi 및 3G)를 사용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
물론,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데이터를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가 최적인 하나의 네트워크(예 : WiFi)를 선택/사용하여 송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에서,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플로우 즉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주체에 따라 다시 말해 업링크 과정 및 다운링크 과정에 따라, 송신측의 장치도 될 수 있으며, 수신측의 장치도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 접속되어 제1네트워크 즉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접속되는 것을 가정하도록 한다.
먼저, 다운링크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송신측 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다.
다시 말해, 관리장치(40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달 받으면 이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네트워크(예 : WiFi 및 3G)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a)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물론,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제1네트워크 100%, 제2네트워크 0%로 설정된 경우, 관리장치(400)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모두 제1네트워크장치(200a)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로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부분데이터로의 분할 없이 전송대상 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것에 대응할 것이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네트워크(예 : WiFi 및 3G)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각 네트워크(예 : WiFi 및 3G)를 통해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a)는 관리장치(400)에서 송신된 제1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관리장치(400)에서 송신된 제2부분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수신측 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의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분할순서에 따라 재정렬하고, 재정렬한 부분데이터들을 결합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한편 업링크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송신측 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네트워크 별로 선택한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외부장치(5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네트워크(예 : WiFi 및 3G)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a)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물론,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제1네트워크 100%, 제2네트워크 0%로 설정된 경우, 단말장치(100)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모두 제1네트워크장치(200a)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로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부분데이터로의 분할 없이 전송대상 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것에 대응할 것이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예 : WiFi 및 3G) 별로 선택된 각 부분데이터를 각 네트워크(예 : WiFi 및 3G)를 통해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a)는 단말장치(100)에서 송신된 제1부분데이터를 관리장치(400)로 전송하며,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단말장치(100)에서 송신된 제2부분데이터를 관리장치(40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수신측 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의 순서정보에 근거하여 분할순서에 따라 재정렬하고, 재정렬한 부분데이터들을 결합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한 후, 외부장치(500)로 제공할 수 있다.
헌데, 3G 네트워크, LTE 네트워크 등의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것과 달리, WiFi 네트워크에서는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환경에서,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수신측의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역시 핸드오버 기능과 같은 효과를 이끌어 끊김 없는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운링크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즉 송신측의 장치로서 관리장치(400)를 상정하여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 즉 수신측의 장치로서 단말장치(100)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 설명에서는, 수신측의 장치(100) 및 단말장치(100)를 혼용하고 송신측의 장치(400) 및 관리장치(400)를 혼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먼저, 관리장치(400) 및 단말장치(100)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에 따라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선택된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접속 된다. 더 나아가, 관리장치(400) 및 단말장치(100)는, 제2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접속 된다.
이에, 송신측 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수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제1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전송대상 데이터일 수 있고, 또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일 수 있다.
이에, 수신측 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을 이동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장애가 발생하는 접속장애 발생상태,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가 기 설정된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 이용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와 인접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되면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를 기초로,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의 신호세기가 특정 제1신호세기 이하로 작아지는 제1조건 및 인접 제1네트워크장치(200b)의 신호세기가 특정 제2신호세기 이상으로 커지는 제2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가 이동함에 따라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서 인접한 다른 네트워크장치로 접속 이동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는, 단말장치(100)가 제1네트워크 즉 WiFi 영역에서 이동함에 따라, 접속 중인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서 단말장치(100)가 멀어져 제1네트워크장치(200a)의 신호세기가 작아지고, 인접한 제1네트워크장치(200b)에 단말장치(100)가 가까워짐에 따라 인접 제1네트워크장치(200b)의 신호세기가 커지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제1신호세기 및 제2신호세기는 장치 간 접속 이동이 예측되는 신호세기로서 각각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도,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를 기초로,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 대하여 측정되는 무선 품질정보 예를 들면 신호 대 간섭 잡음비(CINR : 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가 특정 정상범위값에서 벗어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가 접속한 제1네트워크장치(200a)를 통해 서비스 받는 제1네트워크의 품질이 주변 간섭으로 인해 떨어짐에 따라,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서 인접한 다른 네트워크장치로 접속 이동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가용 대역폭을 기초로,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 대하여 측정/확인되는 가용 대역폭이 특정 정상범위값에서 멋어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가 접속한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 사용자가 폭주하는 등의 이유,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서 인접한 다른 네트워크장치로 접속 이동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는,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가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다양한 예측 불가능의 요인으로 인해, 제1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장애가 발생하는 접속장애 발생상태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접속 중인 제1네트워크장치(200a)의 신호세기가 제1신호세기 이하로 약해지는 것,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지연정도가 정상허용범위 이상으로 벗어나는 것,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분실횟수가 정상허용횟수 이상으로 벗어나는 것 등을 감지하여 접속장애 발생상태를 판단하는 기존의 다양한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는, 단말장치(100)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기 설정하고,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상기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고, 상기 제1네트워크 보다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 경우에 해당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 이용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기 설정된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 그리고 제1네트워크 보다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지속성은,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을 끊김 없이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WiFi 네트워크에 대비하여 3G, LTE 등의 네트워크가 더 높은 접속 지속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신뢰도 보장이 요구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기 설정한다. 예를 들면,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로서, 특정 기준치 이상의 대용량 트래픽에 대응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 트래픽에 대응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 또는 양방향 통신 트래픽에 대응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 즉 끊김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보장해야 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로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특정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트래픽, 또는 특정 관리시스템의 정보수집을 위한 트래픽 즉 보안성이 요구되는 트래픽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내부적으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인지하여 어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라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분석하여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현재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제1네트워크 보다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의 기준은 단말장치(10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 즉 관리장치(400)에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린다. 더 나아가,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선택이 입력되면 이 역시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관리장치(400)에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릴 수도 있다.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 즉 단말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장치(400)는,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통해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라는 것을 인지하고,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단말장치(100)로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우회 송신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고, 제1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전송대상 데이터인 경우, 관리장치(400)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제1네트워크가 아닌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인 경우, 관리장치(400)는, 제2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함과 아울러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역시 제1네트워크가 아닌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를 상기 제1네트워크 및 상기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를 복사하고, 제1네트워크(예 : WiFi) 및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동일한 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병행 송신하는 것이다.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전송대상 데이터인 경우, 관리장치(400)는, 동일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병행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인 경우,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고, 더불어 제2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함과 아울러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역시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라고 판단하여 이를 관리장치(400)에 알린 이후,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서 다른 제1네트워크장치(200b)로 장치 접속이 정상 종료되었는지, 또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발생한 접속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또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의 이용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라고 판단하여 이를 관리장치(400)에 알린 이후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면 이를 관리장치(400)에 알린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의 상태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 경우, 전술에서와 같이 수행하던 데이터 우회 송신 동작을 종료할 것이다.
즉, 관리장치(400)는,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남을 알리는 메시지를 통해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의 상태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남을 인지한다.
그리고, 전술의 예에 따라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하는 동작을 중단하고, 원래대로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재개할 것이다.
또는, 전술의 다른 예에 따라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하는 데이터 복사 및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송신하는 동작을 중단할 것이다. 따라서, 관리장치(400)는, 원래대로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지속할 것이다.
물론 업링크 시에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즉 송신측의 장치로서 동작하는 단말장치(100)가, 전술과 같이 기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접속 네트워크 별로 선택, 관리장치(400)로 송신하고, 이후 관리장치(400)의 상태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제1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송신하는 전술의 데이터 우회 송신 동작을 시작할 것이고, 관리장치(400)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면 전술의 데이터 우회 송신 동작을 종료할 것이다.
물론, 업링크 시에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 즉 수신측의 장치로서 동작하는 관리장치(400)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자신의 상태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단말장치(100)에 알리고, 더 나아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면 이를 단말장치(100)에 알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 즉 수신측의 장치(1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400)에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a,200b...)와 연동하며,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에 따라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선택된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측의 장치(400)와 상호 접속 된다. 더 나아가, 통신부(110)는, 제2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측의 장치(400)와 상호 접속 된다.
이에, 통신부(110)는, 제1네트워크장치(예 : 200a)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부(110)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일 수 있고, 또는 분할되지 않은 전송대상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400)에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린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을 이동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장애가 발생하는 접속장애 발생상태,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가 기 설정된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 이용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어부(12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와 인접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2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를 기초로,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의 신호세기가 특정 제1신호세기 이하로 작아지는 제1조건 및 인접 제1네트워크장치(200b)의 신호세기가 특정 제2신호세기 이상으로 커지는 제2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100)가 이동함에 따라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서 인접한 다른 네트워크장치로 접속 이동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는, 제1네트워크 즉 WiFi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100)가 이동함에 따라, 접속 중인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서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100)가 멀어져 제1네트워크장치(200a)의 신호세기가 작아지고, 인접한 제1네트워크장치(200b)에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100)가 가까워짐에 따라 인접 제1네트워크장치(200b)의 신호세기가 커지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제1신호세기 및 제2신호세기는 장치 간 접속 이동이 예측되는 신호세기로서 각각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도, 제어부(12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를 기초로,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 대하여 측정되는 무선 품질정보 예를 들면 신호 대 간섭 잡음비(CINR : 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가 특정 정상범위값에서 벗어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100)가 접속한 제1네트워크장치(200a)를 통해 서비스 받는 제1네트워크의 품질이 주변 간섭으로 인해 떨어짐에 따라,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서 인접한 다른 네트워크장치로 접속 이동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가용 대역폭을 기초로,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 대하여 측정/확인되는 가용 대역폭이 특정 정상범위값에서 멋어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100)가 접속한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 사용자가 폭주하는 등의 이유,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서 인접한 다른 네트워크장치로 접속 이동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는 제어부(120)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100)가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다양한 예측 불가능의 요인으로 인해, 제1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장애가 발생하는 접속장애 발생상태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접속 중인 제1네트워크장치(200a)의 신호세기가 제1신호세기 이하로 약해지는 것,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지연정도가 정상허용범위 이상으로 벗어나는 것,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분실횟수가 정상허용횟수 이상으로 벗어나는 것 등을 감지하여 접속장애 발생상태를 판단하는 기존의 다양한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는, 제어부(120)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기 설정하고,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상기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고, 상기 제1네트워크 보다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 경우에 해당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 이용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기 설정된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 그리고 제1네트워크 보다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신뢰도 보장이 요구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기 설정한다. 예를 들면,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로서, 특정 기준치 이상의 대용량 트래픽에 대응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 트래픽에 대응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 또는 양방향 통신 트래픽에 대응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 즉 끊김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보장해야 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로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특정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트래픽, 또는 특정 관리시스템의 정보수집을 위한 트래픽 즉 보안성이 요구되는 트래픽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2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내부적으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인지하여 어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라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분석하여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현재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제1네트워크 보다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의 기준은 제어부(12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전술과 같이, 제어부(12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400)에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린다.
한편, 제어부(120)는, 전술과 같이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라고 판단하여 이를 송신장치(400)에 알린 이후,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2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서 다른 제1네트워크장치(200b)로 장치 접속이 정상 종료되었는지, 또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발생한 접속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또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의 이용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20)는, 전술과 같이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라고 판단하여 이를 송신장치(400)에 알린 이후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면 이를 송신장치(400)에 알린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측 송신측의 장치(4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410)와,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특정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도록 하는 송신제어부(42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a,200b...)와 연동하며,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에 따라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선택된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측의 장치(100)와 상호 접속 된다. 더 나아가, 통신부(410)는,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측의 장치(100)와 상호 접속 된다.
송신제어부(420)는,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신제어부(420)는,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410)를 제어한다.
이때, 송신제어부(420)가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는 데이터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일 수 있고, 또는 분할되지 않은 전송대상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송신제어부(420)는,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도록 한다.
이때,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을 이동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장애가 발생하는 접속장애 발생상태,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가 기 설정된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 이용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송신제어부(42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송신제어부(420)는, 전술과 같이 수신장치(100)로부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이를 통해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송신제어부(420)는,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통해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라는 것을 인지하고,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수신장치(100)로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우회 송신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물론, 전술에서 설명한 수신장치(100)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송신제어부(420)가 수신장치(100)와의 연동을 통해 자체적으로 직접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데이트 우회 송신 동작을 설명하면, 송신제어부(42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고, 제1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되는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전송대상 데이터인 경우, 송신제어부(420)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제1네트워크가 아닌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인 경우, 송신제어부(420)는, 제2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함과 아울러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역시 제1네트워크가 아닌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를 들면, 송신제어부(420)는,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를 상기 제1네트워크 및 상기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송신제어부(42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되는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를 복사하고, 제1네트워크(예 : WiFi) 및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동일한 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병행 송신하는 것이다.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전송대상 데이터인 경우, 송신제어부(420)는, 동일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병행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인 경우, 송신제어부(42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고, 더불어 제2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함과 아울러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역시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제어부(42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 경우, 전술에서와 같이 수행하던 데이터 우회 송신 동작을 종료할 것이다.
즉, 송신제어부(420)는,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남을 알리는 메시지를 통해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남을 인지한다.
그리고, 전술의 예에 따라 송신제어부(42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는 동작을 중단하고, 원래대로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재개할 것이다.
또는, 전술의 다른 예에 따라 송신제어부(42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는 데이터 복사 및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는 동작을 중단하고, 원래대로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지속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즉 송신측 장치 및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 즉 수신측 장치를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기종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연속성 보장이 어려운 상태 즉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가 발생되면 타 네트워크(예 : 3G, LTE 등)로 데이터를 일시 우회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끊김 없는 연속성을 보장하여 핸드오버 기능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써, 서비스의 신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관리장치(400) 및 단말장치(100)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에 따라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선택된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접속 된다(S10). 더 나아가, 관리장치(400) 및 단말장치(100)는, 제2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접속 된다(S15).
이에, 송신측 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수신장치 즉 단말장치(100)로 데이터를 송신한다(S20).
이때, 제1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전송대상 데이터일 수 있고, 또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일 수 있다.
이에, 수신측 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이때,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을 이동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장애가 발생하는 접속장애 발생상태,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가 기 설정된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 이용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와 인접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를 기초로,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의 신호세기가 특정 제1신호세기 이하로 작아지는 제1조건 및 인접 제1네트워크장치(200b)의 신호세기가 특정 제2신호세기 이상으로 커지는 제2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가 이동함에 따라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서 인접한 다른 네트워크장치로 접속 이동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를 기초로,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 대하여 측정되는 무선 품질정보 예를 들면 신호 대 간섭 잡음비(CINR : 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가 특정 정상범위값에서 벗어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가 접속한 제1네트워크장치(200a)를 통해 서비스 받는 제1네트워크의 품질이 주변 간섭으로 인해 떨어짐에 따라,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서 인접한 다른 네트워크장치로 접속 이동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가용 대역폭을 기초로,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 대하여 측정/확인되는 가용 대역폭이 특정 정상범위값에서 멋어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가 접속한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 사용자가 폭주하는 등의 이유,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서 인접한 다른 네트워크장치로 접속 이동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는,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가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다양한 예측 불가능의 요인으로 인해, 제1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장애가 발생하는 접속장애 발생상태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접속 중인 제1네트워크장치(200a)의 신호세기가 제1신호세기 이하로 약해지는 것,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지연정도가 정상허용범위 이상으로 벗어나는 것,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분실횟수가 정상허용횟수 이상으로 벗어나는 것 등을 감지하여 접속장애 발생상태를 판단하는 기존의 다양한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는,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기 설정하고,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상기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고, 상기 제1네트워크 보다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 경우에 해당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 이용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기 설정된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 그리고 제1네트워크 보다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지속성은,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을 끊김 없이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WiFi 네트워크에 대비하여 3G, LTE 등의 네트워크가 더 높은 접속 지속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신뢰도 보장이 요구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기 설정한다. 예를 들면,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로서, 특정 기준치 이상의 대용량 트래픽에 대응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 트래픽에 대응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 또는 양방향 통신 트래픽에 대응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 즉 끊김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보장해야 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로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특정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트래픽, 또는 특정 관리시스템의 정보수집을 위한 트래픽 즉 보안성이 요구되는 트래픽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내부적으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인지하여 어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라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분석하여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현재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제1네트워크 보다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의 기준은 단말장치(10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 즉 관리장치(400)에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린다(S35).
관리장치(400)는,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 즉 단말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한다(S40,S45).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장치(400)는,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통해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라는 것을 인지하고,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단말장치(100)로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우회 송신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S40).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고, 제1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S45).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전송대상 데이터인 경우, 관리장치(400)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제1네트워크가 아닌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인 경우, 관리장치(400)는, 제2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함과 아울러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역시 제1네트워크가 아닌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를 상기 제1네트워크 및 상기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를 복사하고, 제1네트워크(예 : WiFi) 및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유지하면서(S47), 동시에 동일한 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병행 송신하는 것이다(S45).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전송대상 데이터인 경우, 관리장치(400)는, 동일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병행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인 경우,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고, 더불어 제2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함과 아울러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역시 제2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라고 판단하여 이를 관리장치(400)에 알린 이후,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서 다른 제1네트워크장치(200b)로 장치 접속이 정상 종료되었는지, 또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발생한 접속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또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의 이용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라고 판단하여 이를 관리장치(400)에 알린 이후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면 이를 관리장치(400)에 알린다(S50).
이에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의 상태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 경우, 전술에서와 같이 수행하던 데이터 우회 송신 동작을 종료할 것이다(S60).
즉, 관리장치(400)는,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남을 알리는 메시지를 통해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의 상태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남을 인지한다.
그리고, 전술의 예에 따라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하는 동작을 중단하고, 원래대로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재개할 것이다(S70).
또는, 전술의 다른 예에 따라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하는 데이터 복사 및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단말장치(100)로 송신하는 동작을 중단할 것이다. 따라서, 관리장치(400)는, 원래대로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단말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지속할 것이다(S7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방법 즉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에 따라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선택된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측의 장치(400)와 상호 접속 된다(S100).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2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측의 장치(400)와 상호 접속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장치(예 : 200a)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예를 들면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이때,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일 수 있고, 또는 분할되지 않은 전송대상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20),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400)에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린다(S13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을 이동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장애가 발생하는 접속장애 발생상태,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가 기 설정된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 이용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와 인접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를 기초로,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의 신호세기가 특정 제1신호세기 이하로 작아지는 제1조건 및 인접 제1네트워크장치(200b)의 신호세기가 특정 제2신호세기 이상으로 커지는 제2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장치(100)가 이동함에 따라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서 인접한 다른 네트워크장치로 접속 이동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를 기초로,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 대하여 측정되는 무선 품질정보 예를 들면 신호 대 간섭 잡음비(CINR : 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가 특정 정상범위값에서 벗어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장치(100)가 접속한 제1네트워크장치(200a)를 통해 서비스 받는 제1네트워크의 품질이 주변 간섭으로 인해 떨어짐에 따라,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서 인접한 다른 네트워크장치로 접속 이동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가용 대역폭을 기초로,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 대하여 측정/확인되는 가용 대역폭이 특정 정상범위값에서 멋어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장치(100)가 접속한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 사용자가 폭주하는 등의 이유,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서 인접한 다른 네트워크장치로 접속 이동해야 하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100)가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다양한 예측 불가능의 요인으로 인해, 제1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장애가 발생하는 접속장애 발생상태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접속 중인 제1네트워크장치(200a)의 신호세기가 제1신호세기 이하로 약해지는 것,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지연정도가 정상허용범위 이상으로 벗어나는 것,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분실횟수가 정상허용횟수 이상으로 벗어나는 것 등을 감지하여 접속장애 발생상태를 판단하는 기존의 다양한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기 설정하고,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상기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고, 상기 제1네트워크 보다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 경우에 해당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 이용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기 설정된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 그리고 제1네트워크 보다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지속성은,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을 끊김 없이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WiFi 네트워크에 대비하여 3G, LTE 등의 네트워크가 더 높은 접속 지속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신뢰도 보장이 요구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기 설정한다. 예를 들면,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로서, 특정 기준치 이상의 대용량 트래픽에 대응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 트래픽에 대응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 또는 양방향 통신 트래픽에 대응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 즉 끊김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보장해야 하는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로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특정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트래픽, 또는 특정 관리시스템의 정보수집을 위한 트래픽 즉 보안성이 요구되는 트래픽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내부적으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인지하여 어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라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분석하여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현재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제1네트워크 보다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의 기준은 단말장치(10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400)에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린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S14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라고 판단하여 이를 송신장치(400)에 알린 이후,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a)에서 다른 제1네트워크장치(200b)로 장치 접속이 정상 종료되었는지, 또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발생한 접속 장애가 해소되었는지, 또는 제1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의 이용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라고 판단하여 이를 송신장치(400)에 알린 이후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면 이를 송신장치(400)에 알린다(S16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다가, 다시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즉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에 따라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선택된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측의 장치(100)와 상호 접속 된다(S200).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측의 장치(100)와 상호 접속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특정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며,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송신한다(S21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는 데이터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초로 전송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일 수 있고, 또는 분할되지 않은 전송대상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한다.
이때,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는,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을 이동하는 네트워크장치 간 접속 이동 예측상태,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장애가 발생하는 접속장애 발생상태,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가 기 설정된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 이용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2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수신장치(100)로부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이를 통해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통해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라는 것을 인지하고, 이 후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를 수신장치(100)로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우회 송신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물론, 전술에서 설명한 수신장치(100)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이 수신장치(100)와의 연동을 통해 직접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수행하는 데이트 우회 송신 동작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고, 제1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되는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를 특정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S230).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전송대상 데이터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대상 데이터를 제1네트워크가 아닌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2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함과 아울러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역시 제1네트워크가 아닌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를 상기 제1네트워크 및 상기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S240).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복사하고, 제1네트워크(예 : WiFi) 및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S240).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동일한 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병행 송신하는 것이다.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전송대상 데이터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일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병행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1부분데이터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고, 더불어 제2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술의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함과 아울러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역시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나는 경우, 전술에서와 같이 수행하던 데이터 우회 송신 동작을 종료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남을 알리는 메시지를 통해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수신장치(100)의 상태가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에서 벗어남을 인지한다(S250).
그리고, 전술의 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예 : WiFi)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는 동작을 중단하고, 원래대로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재개할 것이다(S260).
또는, 전술의 다른 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는 데이터 복사 및 제2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장치(100)로 송신하는 동작을 중단하고(S260), 원래대로 제1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수신장치(100)로의 데이터 송신을 지속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은,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기종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연속성 보장이 어려운 상태 즉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가 발생되면 타 네트워크(예 : 3G, LTE 등)로 데이터를 일시 우회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끊김 없는 연속성을 보장하여 핸드오버 기능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써, 서비스의 신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과,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기종 전송 서비스 환경에서,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단말장치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연속성 보장이 어려운 상태 즉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가 발생되면 타 네트워크(예 : 3G, LTE 등)로 데이터를 일시 우회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끊김 없는 연속성을 보장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 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400 : 관리장치
410 : 통신부 420 : 송신제어부

Claims (14)

  1. 2 이상의 네트워크 별로 지정된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별로 지정된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수신장치로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지정된 상기 수신장치로의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2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도록 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수신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와 인접 네트워크장치 간의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데이터가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고, 상기 제1네트워크 보다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 경우,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장치로의 데이터를 상기 제1네트워크 및 상기 제2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5. 2 이상의 네트워크 별로 지정된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별로 지정된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에 지정된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에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와 인접 네트워크장치 간의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기 설정하고,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상기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고, 상기 제1네트워크 보다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 경우,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장치.
  8. 2 이상의 네트워크 별로 지정된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단계;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지정된 상기 수신장치로의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2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확인단계는,
    상기 수신장치가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수신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와 인접 네트워크장치 간의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인지하는 것을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확인단계는,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데이터가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고, 상기 제1네트워크 보다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 경우,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인지하는 것을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단계는,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상태가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 발생 이후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장치로의 데이터를 상기 제1네트워크 및 상기 제2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12. 2 이상의 네트워크 별로 지정된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에 지정된 데이터를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2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에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임을 알리는 상태 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제1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한 신호세기 및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에 대하여 측정된 무선 품질정보 및 가용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장치와 인접 네트워크장치 간의 접속 이동 예측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단계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를 기 설정하고, 상기 제1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가 상기 특정 데이터 서비스 종류에 대응되고, 상기 제1네트워크 보다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접속 지속성이 높은 경우, 상기 특정 데이터 우회 송신 요구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송수신 방법.
KR1020110125306A 2011-11-28 2011-11-28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1307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306A KR101307826B1 (ko) 2011-11-28 2011-11-28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CN201710066561.5A CN107105516B (zh) 2011-11-28 2012-10-22 用于支持基于多网络的数据传输服务的设备和方法
CN201280056120.2A CN103931118B (zh) 2011-11-28 2012-10-22 用于支持基于多网络的数据传输服务的设备和方法
PCT/KR2012/008660 WO2013081299A1 (ko) 2011-11-28 2012-10-22 다중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US14/287,745 US9491681B2 (en) 2011-11-28 2014-05-27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ata transmission service over multiple networks
US15/288,031 US10492118B2 (en) 2011-11-28 2016-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ata transmission service over multiple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306A KR101307826B1 (ko) 2011-11-28 2011-11-28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148A KR20130059148A (ko) 2013-06-05
KR101307826B1 true KR101307826B1 (ko) 2013-09-12

Family

ID=4853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306A KR101307826B1 (ko) 2011-11-28 2011-11-28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491681B2 (ko)
KR (1) KR101307826B1 (ko)
CN (2) CN107105516B (ko)
WO (1) WO2013081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0447B (zh) * 2013-09-13 2020-01-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中多处理设备间协调控制的方法和设备
KR101806756B1 (ko) 2013-12-20 2017-12-07 인텔 코포레이션 다수의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이용한 링크 성능의 측정
KR102394620B1 (ko) * 2015-11-10 202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간 통신 연결 수립 방법 및 장치
WO2018153487A1 (en) * 2017-02-27 2018-08-30 Huawei Technologies Duesseldorf Gmbh User equipment and network entity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7172609B (zh) * 2017-03-29 2020-05-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WO2019237291A1 (zh) * 2018-06-13 2019-12-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控制方法及设备
CN112292874B (zh) * 2018-06-26 2024-04-16 昕诺飞控股有限公司 在ZigBee网络中优化入网初始化
CN112655245A (zh) * 2018-09-19 2021-04-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9548117A (zh) * 2018-11-23 2019-03-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选择方法及移动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346A (ko) * 2006-01-09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을 이용한 호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7367B1 (ko) 2006-10-30 2007-11-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의 전원 절약장치 및 운용방법
KR100785394B1 (ko) 2006-11-20 2007-12-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기/비동기 듀얼모드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에서의모드 선택 방법 및 그 단말
KR20110071427A (ko) * 2009-12-21 2011-06-29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3811A2 (en) * 2001-05-16 2002-11-21 Adjungo Networks Ltd. Access to plmn networks for non-plmn devices
US6768726B2 (en) * 2002-08-06 2004-07-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seamless handoff between IP connections
US7356015B2 (en) * 2003-05-02 2008-04-08 Steven Blumenthal Data handoff method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wireless wide area network
CA2502942A1 (en) * 2003-08-21 200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reverse link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549089A1 (en) * 2003-12-22 2005-06-29 Alcatel Multi-standard mobile terminal with additional bandwidth allocation
KR100612685B1 (ko) * 2004-04-02 2006-08-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 및 모드 전환방법
US20100142478A1 (en) * 2007-03-07 2010-06-10 Nokia Corporation Neighbor network advertisement
CN101175325B (zh) * 2007-10-19 2010-06-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网络模式下的终端切换方法及装置
CN101904191B (zh) * 2008-09-26 2013-06-1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设备
CN101765186A (zh) * 2008-12-24 2010-06-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双模手机及其自动选择网络的方法
CN102036256B (zh) * 2009-09-28 2013-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
CN101715209A (zh) * 2009-11-11 2010-05-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链路传输数据的方法及***
KR101078349B1 (ko) * 2009-12-21 2011-10-31 전자부품연구원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칭 지원 단말기 및 방법
US8478320B2 (en) * 2010-12-13 2013-07-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llaborative radio resources allocations to applications of mobile units
US20120188949A1 (en) * 2011-01-20 2012-07-26 Motorola-Mobility,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rou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346A (ko) * 2006-01-09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을 이용한 호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7367B1 (ko) 2006-10-30 2007-11-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의 전원 절약장치 및 운용방법
KR100785394B1 (ko) 2006-11-20 2007-12-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기/비동기 듀얼모드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에서의모드 선택 방법 및 그 단말
KR20110071427A (ko) * 2009-12-21 2011-06-29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92118B2 (en) 2019-11-26
CN107105516A (zh) 2017-08-29
CN103931118B (zh) 2017-02-08
US20170026892A1 (en) 2017-01-26
KR20130059148A (ko) 2013-06-05
CN103931118A (zh) 2014-07-16
CN107105516B (zh) 2022-07-22
US20140269512A1 (en) 2014-09-18
WO2013081299A1 (ko) 2013-06-06
US9491681B2 (en)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826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10202340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JP4769322B2 (ja) 携帯電話の無線通信システムでのハンドオーバ実行のための決定機構
US8265550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utilizing a repeating function to improve quality of service
JP4835499B2 (ja) 異システム間ハンドオフ方法および無線通信端末
US9405685B2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during hand-over and apparatus therefor
RU2563803C2 (ru) Перемещение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в сеть радиодоступа с отличающейся технологией радиодоступа
US7583966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active set control method
US20110134882A1 (en)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communication quality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09124461A (ja) 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502571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local wireless connectivity for point-to-point media streaming
US20100014482A1 (en)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tion system for starting inter-system handoff
JP2020502945A (ja) セルラ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並列通信するユーザ装置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ユーザ装置及びセルラネットワーク
KR201200231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
CN103493399A (zh) 用于利用两个或更多个网络的同时数据传输服务的设备和方法
JP4681877B2 (ja) 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742584B (zh) 一种基站间切换的方法、***和设备
CN105814938B (zh) 操作用户设备的方法、用于无线网络的用户设备和基站
KR20120104146A (ko) 사용자 장비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간의 통신 처리 방법과 그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KR101663800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89718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35014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KR20130071882A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328735B1 (ko) 무선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40124542A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