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821B1 -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 Google Patents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821B1
KR101307821B1 KR1020130051689A KR20130051689A KR101307821B1 KR 101307821 B1 KR101307821 B1 KR 101307821B1 KR 1020130051689 A KR1020130051689 A KR 1020130051689A KR 20130051689 A KR20130051689 A KR 20130051689A KR 101307821 B1 KR101307821 B1 KR 101307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force
brace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suppor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주)탑이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주)탑이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Priority to KR1020130051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8Shapes tri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 내에 일정한 폭과 간격을 두고 항타 설치되는 외측파일들 ; 상기 외측파일들을 연결하면서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띠장 ; 상기 띠장을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되, 제1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두 개의 버팀보가 하나의 버팀보 군을 이루며, 상기 버팀보 군은 인접하는 버팀보 군과 제1간격보다 긴 간격을 가지는 제2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인접하는 버팀보 군 사이마다 작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팀보들 ; 상기 버팀보의 약축좌굴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버팀보 군에 대하여 폭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버팀보 군이 트러스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복수의 브레이싱들 ; 상기 작업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띠장과 평행하게 상기 띠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길이방향 반력을 지지하는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 일단이 상기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버팀보에 연결되되 상기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및 상기 버팀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강성사보강재 ; 일단이 어느 하나의 버팀보 군에 연결된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타단이 다른 하나의 버팀보 군에 연결된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띠장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잭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Undergroun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Activity Space Securement}
본 발명은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의 구조에 관한것으로, 특히 한 쌍의 버팀보 및 이에 연결된 브레이싱으로 트러스 구조를 이루는 버팀보 군, 강성사보강재,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및 잭에 의하여, 토류벽 지지에 사용되는 버팀보의 수를 줄이고, 넓은 굴착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작업공간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층 시공 또는 지하철 공사 등과 같이, 터파기 공사에는 굴착된 흙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류벽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토류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간격으로 H빔(100)을 수직으로 항타 설치하고, 상기 H빔(100)의 사이에 토류판(101)을 수직으로 적층하고, 상기 토류판(101)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H빔(100)을 가로질러 띠장(102)을 설치하며, 상기 띠장(102)을 지지하기 위하여 버팀보(103)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버팀보(103)로는 주로 H빔을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H빔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04는 버팀보(103)에 설치된 잭(104)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버팀보(10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굴착면에 종횡으로 설치되며, 그 설치 갯수 또한 상당히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많은 수의 버팀보(103)를 사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 많은 수의 버팀보를 사용함으로 말미암아 버팀보 및 보강재의 시공비가 상승하여 전체적인 공사비가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둘째, 굴착된 장소에서의 작업공간에 버팀보 및 보강재의 설치가 설치됨으로써 그 작업공간을 협소하게 만들어 지하작업의 시공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0794677호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2008. 1. 8. 등록)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띠장에 프리로딩을 도입함으로써 띠장의 강성을 증가시키며, 초기 응력을 하중방향과 반대의 응력을 먼저 생성케 함으로써, 띠장을 지지하는 버팀보의 개수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공장 제작이 필요한 각종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적인 공정이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794677호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2008. 1. 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한 쌍의 버팀보 및 이에 연결된 브레이싱으로 트러스 구조를 이루는 버팀보 군, 강성사보강재,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및 잭에 의하여, 토류벽 지지에 사용되는 버팀보의 수를 줄이고,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지중 토류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사상은, 지반 내에 일정한 폭과 간격을 두고 항타 설치되는 외측파일들 ; 상기 외측파일들을 연결하면서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띠장 ; 상기 띠장을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되, 제1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두 개의 버팀보가 하나의 버팀보 군을 이루며, 상기 버팀보 군은 인접하는 버팀보 군과 제1간격보다 긴 간격을 가지는 제2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인접하는 버팀보 군 사이마다 작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팀보들 ; 상기 버팀보의 약축좌굴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버팀보 군에 대하여 폭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버팀보 군이 트러스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복수의 브레이싱들 ; 상기 작업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띠장과 평행하게 상기 띠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길이방향 반력을 지지하는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 일단이 상기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버팀보에 연결되되 상기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및 상기 버팀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강성사보강재 ; 일단이 어느 하나의 버팀보 군에 연결된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타단이 다른 하나의 버팀보 군에 연결된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띠장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잭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지반 내에 일정한 폭과 간격을 두고 항타 설치되는 외측파일들 ; 상기 외측파일들을 연결하면서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띠장 ; 상기 띠장을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되, 제1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두 개의 버팀보가 하나의 버팀보 군을 이루며, 상기 버팀보 군은 인접하는 버팀보 군과 제1간격보다 긴 간격을 가지는 제2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인접하는 버팀보 군 사이마다 작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팀보들 ; 상기 버팀보의 약축좌굴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버팀보 군에 대하여 폭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버팀보 군이 트러스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복수의 브레이싱들 ; 상기 작업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띠장과 평행하게 상기 띠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길이방향 반력을 지지하는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 일단이 상기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버팀보에 연결되되 상기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및 상기 버팀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강성사보강재 ; 상기 띠장과 평행하게 상기 띠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서로 인접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길이방향 반력을 지지하는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 일단이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띠장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잭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강성사보강재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H빔이며, 상기 강성사보강재의 웨브는 수평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강성사보강재의 플랜지는 수직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외측파일이 이루는 공간 내에 항타 설치되는 중간파일들 ; 수평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중간파일들을 연결하는 중간파일 연결 수평부재 ; 상기 중간파일 연결 수평부재와 상기 버팀보를 연결하는 수평경사 브레이싱들 ;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하나의 버팀보 군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강성사보강재가 강봉 또는 강연선에 의하여 연결된 후 프리스트레스가 인가되어 상기 강성사보강재의 횡방향 변형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외측파일들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형지지보 ; 상기 주형지지보 상에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주형보 ; 상기 주형보 상에 설치되는 복공판 ;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와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는 보조 강재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버팀보 및 이에 연결된 브레이싱으로 트러스 구조를 이루는 버팀보 군에 의하여 버팀보의 좌굴장을 줄임으로써 버팀보가 지탱할 수 있는 허용응력을 증가시키며, 토압에 의한 제1길이방향으로의 변위 발생을 강성사보강재에 의하여 증가된 강성으로 그 변위 발생을 감소시키며,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및 잭에 의하여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는 압축력을 받으면서 이에 따른 반력을 가지게 되어 토압에 의한 띠장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어, 토류벽 지지에 사용되는 버팀보의 수를 줄이고,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지중 토류벽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토류벽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중간파일이 위치한 부위의 확대 평면도,
도 4는 버팀보와 수직방향 브레이싱간의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5는 버팀보와 폭방향(또는 경사방향) 브레이싱 및 수직방향 브레이싱간의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변형례,
도 7은 버팀보와 띠장간의 결합 부위의 확대 평면도,
도 8은 도 7의 C-C 기준 단면도,
도 9는 횡방향 단위하중을 재하했을 경우 트러스가 아닌 구조와 트러스화된 구조의 변형 차이를 보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변형례,
도 13은 도 7의 변형예,
도 14는 버팀보의 또다른 구조를 보이는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중간파일이 위치한 부위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4는 버팀보와 수직방향 브레이싱간의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버팀보와 폭방향(또는 경사방향) 브레이싱 및 수직방향 브레이싱간의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변형례이며, 도 7은 버팀보와 띠장간의 결합 부위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C-C 기준 단면도이다.
외측파일(110)은 지반 내에 일정한 폭과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항타 설치된다. 외측파일(110)은 통상 H빔을 이용하게 된다.
외측파일(110) 사이에는 토류판(미도시)이 수직으로 적층된다.
토류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파일(110)을 가로질러 띠장(120)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띠장(120)을 지지하기 위하여 버팀보(130)가 설치된다.
한편 외측파일(110)들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주형지지보(미도시)가 설치되며, 주형지지보 상에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형보(미도시)가 설치되며, 주형보 상에 복공판(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의 설명은 종래의 기술에 설명되어 있는 지중 토류벽의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버팀보들(13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버팀보가 하나의 버팀보 군(130A)을 이루며, 버팀보 군(130A)은 인접한 다른 버팀보 군(130B)과 제2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하나의 버팀보 군(130A)을 이루는 두 개의 버팀보는 제1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된다.
이때 제2간격은 제1간격에 비하여 긴 간격을 가지며, 본 실시예의 경우 제2간격은 제1간격에 비하여 약 2~4배의 간격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버팀보 군(130A)과 버팀보 군(130B) 사이에는 매우 넓은 작업공간(10)이 형성되며, 아울러 동일한 면적에 대하여 필요한 버팀보(130)의 숫자가 현저히 감소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하나의 버팀보 군(130A)을 이루는 2개의 버팀보(130)의 약축좌굴을 제어하기 위하여 하나의 버팀보 군(130A)을 따라 복수의 브레이싱들이 마련되어 각각의 버팀보 군은 트러스 구조화된다.
브레이싱들은 그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폭방향 브레이싱(141), 경사방향 브레이싱(142), 수직방향 브레이싱(143)으로 구분된다.
폭방향 브레이싱(141)과 경사방향 브레이싱(142)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앵글(angle)부재이며, 수직방향 브레이싱(143)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앵글(angle)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버팀보 군(130A)을 형성하는 2개의 버팀보(130)는 폭방향 브레이싱(141), 경사방향 브레이싱(142), 수직방향 브레이싱(143)에 의하여 트러스 구조로 일체화되어 버팀보(130)의 허용력을 현저히 증가시키며, 특히 폭방향 브레이싱(141) 및 경사방향 브레이싱(142)은 H빔으로 된 버팀보(130)의 약축 방향에 설치되어 그 좌굴장을 축소할 수 있다.
도 9는 2개의 버팀보가 트러스 구조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좌측)와 트러스 구조로 연결된 경우(우측)에 대하여 횡방향 단위하중에 대한 변위량을 비교한 것으로, 트러스 구조로 연결되었을 때 전체 구조가 매우 큰 강성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외측파일(110)이 이루는 공간 내에 중간파일(190)이 항타 설치된다. 중간파일(190)로서 H빔이 이용된다.
중간파일(190)은 버팀보(130)와 완전히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중간파일(190)은 중간파일 연결 수평부재(200) 및 수평경사 브레이싱(210)에 의하여 버팀보(130)와 연결된다.
즉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중간파일(190)들이 수평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간파일 연결 수평부재(2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아울러 중간파일 연결 수평부재(200)는 수평경사 브레이싱(210)에 의하여 버팀보(130)에 연결된다.
수평경사 브레이싱(210)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되 중간파일 연결 수평부재(200) 및 버팀보(130)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수평경사 브레이싱(210) 및 중간파일 연결 수평부재(200)에 의하여 중간파일(190)의 횡방향 흔들림이 억제된다.
한편 토압을 받는 띠장(120)은 작업공간에 위치한 영역에서는 작업공간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에 비하여 그 지지력이 현저히 약화된다. 이는 작업공간을 형성함으로서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띠장(12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구조가 도입된다.
띠장(120)의 작업공간이 형성된 면에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가 체결된다.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는 H빔으로서 띠장(120)과 평행하게 수평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며 아울러 길이방향 반력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 및 버팀보(13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강성사보강재(160)가 마련된다.
강성사보강재(160)는 H빔이 이용되며, 일반적으로 H빔은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 웨브가 형성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의 강성사보강재(160)는 기본적으로 버팀보와 유사하게 토압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며 띠장(1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강성사보강재(160)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H빔의 웨브는 수평상으로 배치되며 H빔의 플랜지는 수직상으로 배치되도록 H빔을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는 토압에 대하여 강성사보강재(160)의 단면계수를 증가시켜 동일한 H빔인 경우에도 매우 큰 굽힘저항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한편 강성사보강재(160)는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와 용접되며, 버팀보(130)에 대하여는 볼트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버팀보 군(130A 또는 130B)은 그 길이방향 단부 각각에 작업공간을 향하여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강성사보강재(160)가 체결되며, 아울러 강성사보강재(160)에는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가 용접 연결된다.
따라서 각 띠장(120)은 하나의 작업공간을 향한 면에 2개의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2개의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 사이에 잭(170)이 마련된다.
즉 잭(170)은, 일단이 어느 하나의 버팀보 군에 연결된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에 연결되며 타단이 다른 하나의 버팀보 군에 연결된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에 연결되어, 작업공간에 위치되되 띠장(120)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잭(170)은 2개의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 사이에 설치되며, 잭(170)으로 2개의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는 그 길이방향을 따른 압축력을 받으면서 이에 따른 반력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반력은 토압에 의한 띠장(12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에 미리 인가된 압축력은 토압에 대하여 강성사보강재(160)의 변위를 억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평면도로서, 특히 제1실시예의 도 7에 대응되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간의 간격이 제1실시예에 비하여 길게 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간의 간격이 길어진다는 것은 버팀보 군들간의 간격이 길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아울러 작업공간이 더욱 넓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띠장(120)에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80)가 더 마련된다.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80)는 띠장(120)과 평행하게 띠장(12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80)는 서로 인접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 사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80)는 H빔으로서 띠장(120)과 평행하게 수평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며 아울러 길이방향 반력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와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80) 사이에 잭(170)이 마련된다.
잭(170)은 그 일단이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에 연결되며, 그 타단이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80)에 연결된다.
아울러 잭(170)은 작업공간에 위치되되 띠장(120)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은 잭(170)은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와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80)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 및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80)는 그 길이방향을 따른 압축력을 받으면서 이에 따른 반력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반력은 토압에 의한 띠장(12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에 미리 인가된 압축력은 토압에 대하여 강성사보강재(160)의 변위를 억제하게 된다.
한편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80) 및 잭(170)은, 곡선 형태의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현장 상황에 적합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버팀보 군의 간격이 벌어지면 다른 부재들은 그대로 이용하면서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80) 및 잭(170)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제2간격은 제1간격에 비하여 약 3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변형례이다.
도 12에서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50)와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180)가 보조 강재(220)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는 지간을 더욱더 늘리기 위한 것이다.
도 13은 도 7의 변형예이다.
도 13에서 강성사보강재(160)의 횡방향 변형을 제어하기 위하여, 하나의 버팀보 군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강성사보강재(160)가 강봉 또는 강연선(230)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 있다. 이때 강봉 또는 강연선(230)은 버팀보(130)를 관통하면서 설치된다.
도 14는 버팀보의 또다른 구조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작업공간
110 : 외측파일 120 : 띠장
130 : 버팀보
130A : 버팀보 군 130B : 버팀보 군
141 : 폭방향 브레이싱 142 : 경사방향 브레이싱
143 : 수직방향 브레이싱
150 :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160 : 강성사보강재
170 : 잭 180 :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190 : 중간파일 200 : 중간파일 연결 수평부재
210 : 수평경사 브레이싱 220 : 보조 강재
230 : 강봉 또는 강연선

Claims (7)

  1. 지반 내에 일정한 폭과 간격을 두고 항타 설치되는 외측파일들 ;
    상기 외측파일들을 연결하면서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띠장 ;
    상기 띠장을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되, 제1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두 개의 버팀보가 하나의 버팀보 군을 이루며, 상기 버팀보 군은 인접하는 버팀보 군과 제1간격보다 긴 간격을 가지는 제2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인접하는 버팀보 군 사이마다 작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팀보들 ;
    상기 버팀보의 약축좌굴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버팀보 군에 대하여 폭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버팀보 군이 트러스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복수의 브레이싱들 ;
    상기 작업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띠장과 평행하게 상기 띠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길이방향 반력을 지지하는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
    일단이 상기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버팀보에 연결되되 상기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및 상기 버팀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강성사보강재 ;
    일단이 어느 하나의 버팀보 군에 연결된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타단이 다른 하나의 버팀보 군에 연결된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띠장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잭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2. 지반 내에 일정한 폭과 간격을 두고 항타 설치되는 외측파일들 ;
    상기 외측파일들을 연결하면서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띠장 ;
    상기 띠장을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되, 제1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두 개의 버팀보가 하나의 버팀보 군을 이루며, 상기 버팀보 군은 인접하는 버팀보 군과 제1간격보다 긴 간격을 가지는 제2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인접하는 버팀보 군 사이마다 작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팀보들 ;
    상기 버팀보의 약축좌굴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버팀보 군에 대하여 폭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버팀보 군이 트러스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복수의 브레이싱들 ;
    상기 작업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띠장과 평행하게 상기 띠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길이방향 반력을 지지하는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
    일단이 상기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버팀보에 연결되되 상기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및 상기 버팀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강성사보강재 ;
    상기 띠장과 평행하게 상기 띠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서로 인접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길이방향 반력을 지지하는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 ;
    일단이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띠장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잭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사보강재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H빔이며, 상기 강성사보강재의 웨브는 수평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강성사보강재의 플랜지는 수직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파일이 이루는 공간 내에 항타 설치되는 중간파일들 ;
    수평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중간파일들을 연결하는 중간파일 연결 수평부재 ;
    상기 중간파일 연결 수평부재와 상기 버팀보를 연결하는 수평경사 브레이싱들 ;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의 버팀보 군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강성사보강재가 강봉 또는 강연선에 의하여 연결된 후 프리스트레스가 인가되어 상기 강성사보강재의 횡방향 변형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파일들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형지지보 ;
    상기 주형지지보 상에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주형보 ;
    상기 주형보 상에 설치되는 복공판 ;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와 제2길이방향 반력 지지부재는 보조 강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KR1020130051689A 2013-05-08 2013-05-08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KR101307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689A KR101307821B1 (ko) 2013-05-08 2013-05-08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689A KR101307821B1 (ko) 2013-05-08 2013-05-08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821B1 true KR101307821B1 (ko) 2013-09-23

Family

ID=4945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689A KR101307821B1 (ko) 2013-05-08 2013-05-08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8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6603A (zh) * 2016-04-11 2016-06-22 中铁建大桥工程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深挖沟槽的桁架支撑钢板桩支护装置及方法
CN107338799A (zh) * 2017-09-15 2017-11-10 叶长青 大跨度基坑支护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677B1 (ko) * 2007-08-07 2008-01-11 (주)영신디엔씨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KR100916546B1 (ko) * 2009-02-06 2009-09-14 김찬수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20120083830A (ko) * 2011-08-31 2012-07-26 주식회사 엠스틸이앤씨 띠장-버팀보 일체형 세그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677B1 (ko) * 2007-08-07 2008-01-11 (주)영신디엔씨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KR100916546B1 (ko) * 2009-02-06 2009-09-14 김찬수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20120083830A (ko) * 2011-08-31 2012-07-26 주식회사 엠스틸이앤씨 띠장-버팀보 일체형 세그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6603A (zh) * 2016-04-11 2016-06-22 中铁建大桥工程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深挖沟槽的桁架支撑钢板桩支护装置及方法
CN107338799A (zh) * 2017-09-15 2017-11-10 叶长青 大跨度基坑支护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440B1 (ko)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KR101728700B1 (ko) 흙막이 가시설용 보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
KR101385028B1 (ko) 링 버팀대를 구비한 흙막이 구조물
US20060070803A1 (en)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KR101500144B1 (ko) 아치형 광폭띠장 및 아치형 광폭띠장 구조체
KR101918681B1 (ko) 띠장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100794677B1 (ko)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KR101103909B1 (ko)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KR101468101B1 (ko) 사선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KR101307821B1 (ko)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KR101026583B1 (ko)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KR100958426B1 (ko) 버팀보용 고정장치
JP6905387B2 (ja) 土留め構造の施工方法
CN102352629A (zh) 大吨位双肢钢混组合环保支撑结构
KR102000675B1 (ko)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KR20100001516A (ko) 가설 흙막이 공법에 있어서의 사각강관으로 된 버팀보와경사버팀재의 연결구조
KR101129017B1 (ko) 지하 흙막이 공사용 광폭 띠장-버팀보
JP3958319B2 (ja) プレストレスト仮設工法
KR102008991B1 (ko) 복수 띠장을 이용한 버팀보 지지 시스템
KR200390445Y1 (ko) 작용하중에 따라 발생되는 변위와 반력을 직접회복 및상쇄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싱크로나이즈지지시스템
KR102185246B1 (ko)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58768B1 (ko) 보강봉을 가지는 버팀보를 이용한 토류판 시공 구조물
KR102199927B1 (ko) 부반력 제어 및 낙교 방지 강재박스 거더교
KR100904397B1 (ko) 흙막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