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523B1 -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523B1
KR101307523B1 KR1020110103143A KR20110103143A KR101307523B1 KR 101307523 B1 KR101307523 B1 KR 101307523B1 KR 1020110103143 A KR1020110103143 A KR 1020110103143A KR 20110103143 A KR20110103143 A KR 20110103143A KR 101307523 B1 KR101307523 B1 KR 101307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force generating
generating portion
protrusions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662A (ko
Inventor
박상하
김덕주
Original Assignee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03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5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8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는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의 차이에 감응함으로써 차량속도에 따라 핸들의 조타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자력을 발생시키는 외측 자력발생부(11)와, 내측 자력발생부(12)와,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의 일측과 내측 자력발생부(12)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지는 폴(Pole)부(10); 상기 내측 자력발생부(12)의 중공(12a)에 고정되며 핸들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허브(Hub)부(20); 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Pole)부(10)의 외측 자력발생부(11)와 내측 자력발생부(12) 및 연결부(13)는 일체로 분말소결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는 핵심부품을 분말야금을 이용하여 소결함으로써 형상제어와 합금 조성 제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 장치{CONTROLLER FOR ANGULAR VELOCITY OF STEERING WHEEL ULTILIZING SOFT MAGNETIC TORK}
본 발명은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력발생의 차이에 감응함으로써 차량속도에 따라 핸들의 토크률의 조절이 가능한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의 바람직한 조타력은 주행조건에 따라 변화하여 공회전이나 저속주행 중에서는 가벼운 조타력이 적용되고, 고속영역에서는 안정성을 얻을 수 있도록 적당히 무거운 조타력이 좋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가벼운 핸들 조작력으로 자동차를 선회할 수 있도록 조향속도 조절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조향속도 조절장치는 기계식, 전자식, 자력식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기계식 및 전자식은 차속감응식 파워스티어링(Power-steering) 시스템에 차속 검출 기구와 보조력 제어기구를 추가하여 구성되며 차속의 변화에 대응해서 조종성과 안정성의 평형 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해 보조력을 가변제어하여 최적 조타력을 얻는 방식이다.
자력식은 차속 검출 기구와 자력 제어기구를 추가하여 구성되며 차속의 변화에 대응해서 자력을 가변제어하여 최적 조타력을 얻는 방식이다.
이중에서 자력식의 경우에는 자력을 발생하기 위한 부품에는 기어 형상과 같은 다수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복잡한 형상을 가지므로 절삭가공으로 가공하기 어려워 주조로 제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주조제품은 돌출부 부근에서 응고시에 두께 차이로 인한 수지상 조직이 발생되어 이부분이 취약해지는 주조결함이 발생될 우려가 높다. 또한, 치수 및 복잡한 형상의 제어 및 합금 조성의 제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형태는 기어 형상과 같은 다수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내부 자력발생부와 외부 자력발생부가 자성체로 구비되고 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는 자성체로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연결부를 비자성체로 하고 내부 자력발생부 및 외부 자력발생부를 자성체로 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주조제품은 이종재질로 제조될 수 없으므로, 비자성체인 연결부와 자성체인 내부 자력발생부 및 외부 자력발생부를 서로 마찰접합하여 접합하는 형태가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접합부위가 취약하여 주조제품에 비해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0-0011643호(공개일: 1990.08.01)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21873호(공개일: 2007.12.28) 한국등록특허 제10-0765087호(등록일: 2007.10.01)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5849호(공개일: 2011.05.26)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30932호(공개일: 2009.12.28) 한국등록특허 제10-1034113호(등록일: 2011.05.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력발생의 차이에 감응함으로써 차량속도에 따라 핸들의 토크률의 조절이 가능한 조향 속도 조절장치에 사용되는 핵심부품을 분말야금을 이용하여 소결함으로써 형상제어와 합금 조성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는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 장치는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의 차이에 감응함으로써 차량속도에 따라 핸들의 조타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내주연에 등간격으로 치차형태의 다수의 외부 돌출부(11a)가 구비된 외측 자력발생부(11)와,
내부에 중공(12a)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의 다수의 외부 돌출부(11a)와 동일하게 배치된 다수의 내부 돌출부(12b)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와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핸들축과 연동되고 자력의 조절이 가능하며 외측 자력발생부(11)의 다수의 외부 돌출부(11a) 및 다수의 내부 돌출부(12b) 사이에서 인력이 작용하고 차량속도에 따른 자력 조절에 의해 핸들의 조타력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는 영구자석부(14)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될 공간(12c)이 구비되도록 이격되는 내측 자력발생부(12)와,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의 일측과 내측 자력발생부(12)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지는 폴(Pole)부(10);
상기 내측 자력발생부(12)의 중공(12a)에 압입 고정되며 핸들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허브(Hub)부(20); 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Pole)부(10)의 외측 자력발생부(11)와 내측 자력발생부(12) 및 연결부(13)는 일체로 분말소결로 성형되고,
상기 폴(Pole)부(10)의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내측 자력발생부(12)는 자성체로 되고, 상기 폴(Pole)부(10)의 연결부(13)는 비자성체로 되고,
상기 폴(Pole)부(10)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내측 자력발생부(12)의 분말밀도는 6.5 g/cm3 이상이며, 상기 폴(Pole)부(10) 연결부(13)의 분말밀도는 6.0 g/cm3 이상이고,
상기 외측돌출부들의 사이에는, 상기 외측돌출부들이 상기 외측자력발생부의 내주연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깊이를 갖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돌출부들의 사이에는, 상기 내측돌출부들이 상기 외측자력발생부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깊이를 갖는 다른 홈이 형성되되,
상기 다른 홈의 깊이는 상기 홈의 깊이 보다 깊게 형성되고,
상기 다름 홈은 상기 내측자력발생부의 중공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고, 내측면이 곡률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돌출부들의 단부 일측 모서리는 라운드지고, 타측 모서리는 각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폴(Pole)부(10)의 소결온도는 1150~1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 장치는 자력발생의 차이를 감응함으로써 차량속도에 따라 핸들의 토크률(Torsional-Rate) 조절이 가능한 조향 속도 조절장치에 사용되는 핵심부품을 분말야금을 이용하여 소결함으로써 형상제어와 합금 조성 제어가 용이하며, 주조에서 발생되는 주조결함이나 마찰접합에 의해 발생되는 접합결함이 발생되지 않고, 복잡한 형상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며, 공정수가 줄어 생산비 절감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단일 부품 내에 2가지 이상의 금속층간 구조를 가지는 부품 생산 기술 개발을 통해 2가지 이상의 기계적 특성을 갖도록 요구되는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의 폴(Pole)부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허브(Hub)부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폴(Pole)부와 허브(Hub)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폴(Pole)부와 허브(Hub)부의 소결시 가스 사용조건에 따른 소결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성형품의 내경 및 외경의 스프링백(Spring-Back) 데이터를 분석한 그래프.
도 8은 소결온도에 따른 경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소결온도에 따른 밀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의 폴(Pole)부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허브(Hub)부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폴(Pole)부와 허브(Hub)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폴(Pole)부와 허브(Hub)부의 소결시 가스 사용조건에 따른 소결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는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의 차이에 감응함으로써 차량속도에 따라 핸들의 조타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리는 이미 공지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는 폴(Pole)부(10)와 허브(Hub)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Pole)부는 자력이 발생되는 부분으로 외측 자력발생부(11)와, 내측 자력발생부(12) 및 연결부(13)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는 내주연에 등간격으로 치차형태의 외부 돌출부(11a)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는 내측 자력발생부(12)와 함께 자력이 발생되는 부분으로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와 내측 자력발생부(12) 사이에 위치하는 영구자석부(14)에 의해 자력이 발생되며 인력 작용에 의해 회전속도의 변화가 발생되게 된다. 영구자석부(14)에 공급되는 자력이 크게 되면 영구자석부(14)가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내측 자력발생부(12)를 당기는 힘이 크게 되어 핸들의 조타력이 크게 되며, 반대로 영구자석부(14)에 공급되는 자력이 작게 되면 영구자석부(14)가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내측 자력발생부(12)를 당기는 힘이 작게 되어 핸들의 조타력이 작게 된다.
상기 내측 자력발생부(12)는 내부에 중공(12a)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의 외부 돌출부(11a)와 동일하게 배치된 내부 돌출부(12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측 자력발생부(12)는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와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영구자석부(14)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될 공간(12c)이 구비된다. 상기 영구자석부(14)는 핸들축과 연동되고 자력의 조절이 가능하며 외측 자력발생부(11)의 외부 돌출부(11a) 및 내부 돌출부(12b) 사이에서 인력이 작용하고 차량속도에 따른 자력 조절에 의해 핸들의 조타력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상기 내측 자력발생부(12)는 상기 영구자석부(14)와 인력이 발생되어야 하므로 자성체로 된다. 종래에 사용되는 제품은 PASC-60을 사용하였다.
상기 연결부(13)는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의 일측과 내측 자력발생부(12)의 일측을 서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13)는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상기 내측 자력발생부(12)와는 달리 비자성체로 된다. 종래에 사용되는 제품은 SUS304L을 사용하였다.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와 상기 내측 자력발생부(12) 및 상기 연결부(13)는 일체로 분말소결로 성형된다. 따라서, 자력을 발생하기 위해 기어 형상과 같은 다수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복잡한 형상으로 된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와 내측 자력발생부(12)가 분말소결로 성형되므로 주조제품에서 돌출부 부근에서 응고시에 두께 차이로 인한 수지상 조직이 발생되는 주조결함이 발생되지 않고 치수 및 복잡한 형상의 제어 및 합금 조성의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분말야금 제조공정은 분말을 배합하여 혼합한 다음 원하는 형상으로 된 금형에 삽입하여 압축성형한 후에 이동식 소결로나 고온로에 넣고 고온으로 소결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소결은 고온으로 가열하였을 때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도 분말의 입자가 서로 부착하여 굳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아울러,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와 내측 자력발생부(12) 및 연결부(13)가 일체로 분말소결로 성형되므로, 이종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인은 충격저항을 저하시키고 뜨임취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인은 균일하게 분포되면 별문제가 되지 않지만 철과 결합하여 취약한 편석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편석은 풀림처리를 해도 균질화되지 않으므로 분말야금을 위한 분말혼합시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충분한 혼합을 하여야 한다.
삭제
상기 폴(Pole)부(10)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내측 자력발생부(12)의 분말조성은 상기 폴(Pole)부(10) 연결부(13)의 분말조성에 비해 철의 함량이 높고 탄소 함량이 낮다. 아울러, 상기 폴(Pole)부(10) 연결부(13)는 크롬과 니켈의 성분을 갖도록 하여 내식성을 부여한다.
삭제
이와 같이 상기 폴(Pole)부(10)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내측 자력발생부(12)와 연결부(13)를 이종재질로 제조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13)가 영구자석부(14)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일체로 분말소결로 성형됨으로써 비자성체인 연결부와 자성체인 내부 자력발생부 및 외부 자력발생부를 서로 마찰접합하여 접합하는 형태에 비해 접합부위가 취약한 결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폴(Pole)부(10)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내측 자력발생부(12)의 분말밀도는 6.5 g/cm3 이상이며, 상기 폴(Pole)부(10) 연결부(13)의 분말밀도는 6.0 g/cm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밀도는 주로 압축압력, 분말의 조성, 분말의 경도에 따라 결정된다.
밀도가 클수록, 즉, 같은 체적에 분말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며 강도와 탄성계수뿐 아니라 전기전도도도 좋아지게 되며, 외력에 대한 저항성도 커지게 되고, 정밀도 및 치수안정성이 좋아지게 되므로 최소밀도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폴(Pole)부(10)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내측 자력발생부(12)와 연결부(13)의 분말밀도를 각각 6.5 g/cm3 이상과 6.0 g/cm3 이상으로 하게 되면 성형금형에 대비하여 치수변화, 즉, 스프링백(Spring-Back) 현상(금속분말의 탄성 성질로 발생되는 현상)이 줄어들어 정밀도 및 치수안정성이 좋아지게 된다.
이때, 분말을 압축하는 압력은 50~80ton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을 압축하는 압력이 너무 작으면 분말밀도가 낮아지게 되고, 압력이 너무 크면 스프링백 현상이 크게 되어 정밀도 및 치수안정성이 나빠지게 된다.
이때, 연속 복합분말 성형을 위한 피딩장치가 필요하다.
상기 폴(Pole)부(10)의 소결온도는 1150~1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Pole)부(10)의 소결온도는 분말이 고상인 상태에서 소결이 이루어지는 온도이며 액상소결에 비해 조밀화 되지 않고 요구되는 강도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소결시간은 도입부(온도상승 및 바인더제거) 2~3시간, 본소결(접합) 2~4시간, 취출부(냉각 및 안정화) 2~3시간 인 것이 바람직하며, 벨트타입 연속소결로 피딩시간은 30mm/min(12inch기준)이 적당하다.
상기 허브(Hub)부(20)는 상기 내측 자력발생부(12)의 중공(12a)에 고정되며 핸들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허브(Hub)부(20)와 상기 내측 자력발생부(12)의 중공(12a)과의 결합은 압입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허브(Hub)부(20)는 주조제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소결제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종래에 사용되는 제품은 PASC-45에 상당하는 제품을 사용하였다.
상기 허브(Hub)부(20)의 소결시 분말조성은 C 0.1wt%이하, P 0.3~0.6wt%, S 1.0wt%이하, Mn 0.15wt%이하, Cu 0.1wt%이하, O 0.15wt%이하, 나머지는 Fe로 구성된다.
상기 폴(Pole)부(10) 소결시 발생된 도 5의 (a)에서와 같은 발청 현상을 N2 gas 투입 량과 보조가스의 로내 투입량의 조건변경을 실시하여 제거함으로써 도 5의 (b)에서와 같은 안정적인 템퍼 컬러(temper color)를 획득하였다.
(실시예)
1. 기계적 물성
강도시험 결과
시험항목 단위 시험결과 시험방법
PASC-60 PASC-45 SUS 복합성형
인장강도 MPa 415 332 119 231 ASTM E8
항복강도 MPa 308 253 - 215
연신율 % 10.5 6.5 0.4 1.2
여기에서 복합성형은 상기 폴(Pole)부(10)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내측 자력발생부(12)와 연결부(13)를 일체로 분말 소결 성형한 것을 나타낸다.
인장강도의 경우에는 PASC 계열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순수 SUS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복강도의 경우에는 PASC 계열보다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순수 SUS와는 달리 항복강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연신율의 경우에는 분말야금 소결 특성상 연신율은 떨어지나 순수 SUS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는 PASC 계열보다 떨어지나, 순수 SUS에 비해 높아 충분히 종래의 제품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성형성
도 7은 성형품의 내경 및 외경의 스프링백(Spring-Back) 데이터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 치수에 대한 성형품의 치수변화인 스프링백은 내경 및 외경의 치수변화는 종래의 제품과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충분히 종래의 제품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 소결온도
도 8은 소결온도에 따른 경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소결온도별 경도는 다른 원재료에 비하여 다소 작게 측정되었으며, 폴(Pole)부(10)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내측 자력발생부(12)와 연결부(13)를 일체로 분말 소결한 2단 성형은 경우에는 원소재의 경도보다 작게 나타났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온도가 1150℃, 1200℃, 1250℃ 고온로의 경우에는 2단 성형의 경도값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9는 소결온도에 따른 밀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소결온도별 밀도변화에 대한 추이는 PASC 계열의 목표값인 6.9를 만족할 것으로 판단되며, SUS 층의 목표값이 6.2를 만족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온도가 1150℃, 1200℃, 1250℃ 고온로의 경우에는 2단 성형의 밀도값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폴(Pole)부 11 : 외측 자력발생부 11a: 외부 돌출부
12 : 내측 자력발생부 12a: 중공 12b: 내부 돌출부
12c: 공간 13 : 연결부 14 : 영구자석부
20 : 허브(Hub)부

Claims (6)

  1.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의 차이에 감응함으로써 차량속도에 따라 핸들의 조타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내주연에 등간격으로 치차형태의 다수의 외부 돌출부(11a)가 구비된 외측 자력발생부(11)와,
    내부에 중공(12a)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의 다수의 외부 돌출부(11a)와 동일하게 배치된 다수의 내부 돌출부(12b)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와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핸들축과 연동되고 자력의 조절이 가능하며 외측 자력발생부(11)의 다수의 외부 돌출부(11a) 및 다수의 내부 돌출부(12b) 사이에서 인력이 작용하고 차량속도에 따른 자력 조절에 의해 핸들의 조타력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는 영구자석부(14)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될 공간(12c)이 구비되도록 이격되는 내측 자력발생부(12)와,
    상기 외측 자력발생부(11)의 일측과 내측 자력발생부(12)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지는 폴(Pole)부(10);
    상기 내측 자력발생부(12)의 중공(12a)에 압입 고정되며 핸들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허브(Hub)부(20); 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Pole)부(10)의 외측 자력발생부(11)와 내측 자력발생부(12) 및 연결부(13)는 일체로 분말소결로 성형되고, 이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폴(Pole)부(10)의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내측 자력발생부(12)는 자성체로 되고, 상기 폴(Pole)부(10)의 연결부(13)는 비자성체로 되고,
    상기 폴(Pole)부(10) 외측 자력발생부(11) 및 내측 자력발생부(12)의 분말밀도는 6.5 g/cm3 이상이며, 상기 폴(Pole)부(10) 연결부(13)의 분말밀도는 6.0 g/cm3 이상이고,
    상기 다수의 외부 돌출부의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외부 돌출부가 상기 외측자력발생부의 내주연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깊이를 갖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내부 돌출부의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내부 돌출부가 상기 외측자력발생부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깊이를 갖는 다른 홈이 형성되되,
    상기 다른 홈의 깊이는 상기 홈의 깊이 보다 깊게 형성되고,
    상기 다른 홈은 상기 내측자력발생부의 중공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고, 내측면이 곡률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내부 돌출부의 단부 일측 모서리는 라운드지고, 타측 모서리는 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Pole)부(10)의 소결온도는 1150~1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장치.
KR1020110103143A 2011-10-10 2011-10-10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 장치 KR101307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143A KR101307523B1 (ko) 2011-10-10 2011-10-10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143A KR101307523B1 (ko) 2011-10-10 2011-10-10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662A KR20130038662A (ko) 2013-04-18
KR101307523B1 true KR101307523B1 (ko) 2013-09-26

Family

ID=4843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143A KR101307523B1 (ko) 2011-10-10 2011-10-10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5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9898A (en) 1989-08-10 1992-06-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ntrol apparatus for varying the driver steering effort of a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KR20020041543A (ko) * 2000-11-28 2002-06-03 밍 루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반력장치
JP2003309007A (ja) 2002-02-14 2003-10-31 Mitsubishi Materials Corp 透磁率が高くかつ歪感受性の小さいセンサー用焼結軟磁性材料
US20060249326A1 (en) 2005-05-05 2006-11-09 Birsching Joel E Steering system with leads and pulls compens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9898A (en) 1989-08-10 1992-06-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ntrol apparatus for varying the driver steering effort of a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KR20020041543A (ko) * 2000-11-28 2002-06-03 밍 루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반력장치
JP2003309007A (ja) 2002-02-14 2003-10-31 Mitsubishi Materials Corp 透磁率が高くかつ歪感受性の小さいセンサー用焼結軟磁性材料
US20060249326A1 (en) 2005-05-05 2006-11-09 Birsching Joel E Steering system with leads and pulls compen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662A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8530B (zh) 稀土类合金系无粘结剂磁铁及其制造方法
JP2015209588A (ja) 金型用鋼及び金型
JP6447380B2 (ja) 比抵抗が大きいSmFeN系のメタルボンド磁石成形体
JP2009168247A (ja) 焼結歯車
US2017022163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rare earth magnet
Kustas et al. Emerging opportunities in manufacturing bulk soft-magnetic alloys for energy applications: A review
CN104755643A (zh) 高强度钛铜
US1000269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are-earth magnets
US2020014768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art from a soft magnetic alloy
KR102109734B1 (ko) 알루미늄 합금판
JPS5996250A (ja) 耐摩耗性焼結合金の製造方法
US1006250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rare-earth magnet
KR101307523B1 (ko) 연자성 토크를 이용한 조향속도 조절 장치
KR101758531B1 (ko) 동-철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00321139A1 (en) Permanent magnet and method of producing permanent magnet
CN105312574B (zh) 烧结压实体的制造方法
US2016033611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rare earth magnet
US20140322065A1 (en) Soft magnetic co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EP3505273B1 (en) Plastic composite containing magnetic alloy powder, air conditioner compress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m
KR102107585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동합금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959869B (zh) 复合金属成形体及其制造方法
JPH1157081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とその製造方法
KR101522879B1 (ko) 고경도 철계 비정질 소재의 조성 및 제조 방법
JP2005177834A (ja) ダイカスト方法
JP4844998B2 (ja) Ni−Mn−Ga系強磁性形状記憶合金とプラスチックとの複合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