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411B1 - Dental implant - Google Patents

Dental im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411B1
KR101307411B1 KR1020120035778A KR20120035778A KR101307411B1 KR 101307411 B1 KR101307411 B1 KR 101307411B1 KR 1020120035778 A KR1020120035778 A KR 1020120035778A KR 20120035778 A KR20120035778 A KR 20120035778A KR 101307411 B1 KR101307411 B1 KR 101307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coupling
abutment
coupling pi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만용
Original Assignee
김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용 filed Critical 김만용
Priority to KR102012003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4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4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PURPOSE: A dental implant is provided to allow a joint pin to be easily separated when a crown is separated. CONSTITUTION: A dental implant comprises a fixture which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in a predetermined depth and forms an artificial tooth root, a crown (60) which is formed with a bonding groove (61) in which one side is open, an abutment (30) in which one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bonding groove of the crown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mounted on the fixture, a screw (40) which is screw-coupled to the fixture and is inserted into the abutment, and a joint pin (110) which combines the crown with the abutment.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Dental Implants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결합핀으로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과 크라운간에는 고정되게 결합하고 상기 결합핀과 어버트먼트간에는 유동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핀의 단부가 맞닿는 스크류측에는 상기 크라운이 분리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수단을 형성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and more particularly, in coupling the crown and the abutment with a coupling pin, the coupling pin and the crown is fixedly coupled and the coupling pin and the abutment is fluidly coupled In addition, it relates to a dental implant formed with a flow preventing means to prevent the crown from flowing in the separation direction on the screw side that the end of the coupling pin abuts.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픽스츄어)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크라운)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In general, an implant (implant) means a replacement that is originally restored when human tissue is lost, but in the dentist refers to the implantation of artificial teeth. To replace the lost roots (roots), the roots (fixtures) made of titanium, etc., which are not rejected by the human body are planted in the alveolar bone where the teeth fall out, and the artificial teeth (crown) are fixed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teeth. It is a procedure to make.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general prostheses or dentures, the surrounding teeth and bones are damaged over time, but the implants do not injure the surrounding dental tissue, and they have the same function and shape as the natural teeth, but do not have cavities. Therefore, they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Implants also enhance the function of dentures and improve the esthetic aspects of dental prosthetic restorations, as well as in single missing restorations. Furthermore, it disperses excessive stress on surrounding supportive bone tissue and helps stabilize teeth.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 are a variety of implants for these implants, and one of them is described as follows.

우선, 치조골에 드릴링(drilling) 및 탭핑(tapping) 과정을 거쳐 픽스츄어(Fixture)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픽스츄어 상부에 마운트(Mount)를 체결한다. 그리고 나서 수술용 핸드 피스를 이용하여 픽스츄어와 마운트를 치조골에 매식한 다음 마운트를 픽스츄어에서 제거함으로써,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매식하게 된다. 그리고 픽스츄어의 상부에 덮개 나사를 체결하여 픽스츄어를 봉합함으로써 1차 수술이 완료된다.First, grooves corresponding to fixture dimensions are formed through drilling and tapping processes in the alveolar bone, and a mount is mounted on the fixture. Then, the fixture and the mount are embedded in the alveolar bone using the surgical hand piece and then the mount is removed from the fixture, thereby embedding the fixture in the alveolar bone. The first operation is completed by fastening the cover screw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to seal the fixture.

덮개 나사는 픽스츄어의 골융합을 기다리는 동안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및 이물질이 픽스츄어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골융합 기간은 환자의 골질과 매식 위치에 따라 다소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3개월 내지 6개월이 소요된다.The lid screw blocks bacteria and foreign objects present in the oral cavity from entering the fixture while waiting for the fusion of the fixture. The duration of ossification is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patient's bone quality and implantation position, but usually takes 3 to 6 months.

이어서, 2차 수술을 통해 잇몸을 열어 덮개 나사를 노출시킨 후 픽스츄어의 골융합 정도를 확인하고 덮개 나사를 제거한다. 그리고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치유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를 픽스츄어의 상부에 체결하고, 2주 내지 3주 동안 기다린다. 근래에는 이러한 2차 시술법의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해, 덮개 나사를 체결 및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치유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1차 시술법이 사용되기도 한다.Subsequently, open the gum to expose the cover screw through the second operation, check the degree of bone fusion of the fixture, and remove the cover screw. Healing abutments are fastened to the top of the fixture for aesthetic gum formation and wait for two to three weeks.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xity of the second procedure, a first procedure of directly fastening the healing abutment and omitting the process of fastening and removing the cover screw is sometimes used.

다음으로,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확인한 후 치유 어버트먼트를 제거하고, 보철물 제작을 위해 인상 코핑(coping)을 픽스츄어 상부에 체결한다. 이어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예비 인상을 채득하고 인상 코핑을 제거한다.Next, after confirming aesthetic gum formation, the healing abutment is removed, and an impression coping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to produce a prosthesis. The impression material is then used to create a preliminary impression in the mouth and remove impression copings.

그런 다음에,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인공치아(크라운)를 기공한 후 픽스츄어 상부에 어버트먼트를 체결하고, 어버트먼트 위에 인공치아를 고정시킴으로써 인공치아를 완성한다.Then, a tooth model is made, an artificial tooth (crown) is drilled, the abutment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and the artificial tooth is completed by fixing the artificial tooth on the abutment.

전술한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 있어서, 어버트먼트에 인공치아를 부착시키는 방법으로는 치과용 시멘트(Cement)를 이용하여 인공치아를 어버트먼트에 본딩(bonding) 결합시키는 방법이 대표적이다.In the aforementioned implant procedure, a method of attaching an artificial tooth to the abutment is a method of bonding the artificial tooth to the abutment using dental cement.

그러나, 치과용 시멘트를 이용하여 인공치아를 어버트먼트에 본딩 결합시키는 치과 임플란트에 있어서는, 인공치아나 픽스츄어 또는 어버트먼트 등을 수리해야 하거나 또는 치료 등을 위해 인공치아를 분리해야 하는 경우, 인공치아를 파손해야만 분리가 가능한 문제가 있다.However, in dental implants in which an artificial tooth is bonded to an abutment using dental cement, the artificial tooth, fixture or abutment must be repaired, or an artificial tooth must be removed for treatment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separated only by breaking the teeth.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즉 어버트먼트로부터 인공치아를 원만하게 분리하고자 약한 접착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경우 갑자기 식사 도중에 인공치아가 이탈하여 환자를 당황하게 만들기도 하고 심하게는 음식과 함께 삼키는 사고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a weak adhesive may be u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at is, to smoothly separate the artificial tooth from the abutment, but in this case, the artificial tooth suddenly dislodges during the meal, causing embarrassment and severely with food. There was also a problem of swallowing accidents.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본 출원인 선출원한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114278호를 간략히 설명하면, 치조골에 일정깊이 삽입 결합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픽스츄어(fixture)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내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이 형성된 크라운(crown)과, 일단부는 상기 크라운의 결합홈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픽스츄어에 안착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부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부에 머리부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스크류와,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결합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briefly describing the applicant's prior applica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114278, a fix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at a certain depth to form an artificial tooth, and an artificial In addition to form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tooth (crown)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in which one side is open,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crown and the other end is abutment (abutment) seated in the fixture And a screw that is screwed to the fixture through the interior of the abutment and is installed with the head inserted into the abutment, and a coupling pin that couples the crown and the abutment. .

이때, 상기 결합핀의 일단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와 나사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크라운과 나사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coupling pin is screwed and fixed to the abutment, the other end is screwed and fixed to the crown, thereby fixing the crown and the abutment firmly.

아울러, 상기 크라운이나 픽스츄어 또는 어버트먼트 등을 수리해야 하거나 또는 치료 등을 위해 크라운을 분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핀만 분리하면 크라운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rown or fixture or abutment needs to be repaired or the crown must be removed for treatment, the crown can be easily removed by removing the coupling pin.

그러나,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상기 결합핀으로 나사결합함에 따라 상기 크라운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사람의 씹는 힘에 의해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경계부위에서 결합핀의 나사부위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결합핀의 나사부위에 변형이 발생할 경우 상기 결합핀을 분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rown can be easily separated by screwing the crown and the abutment with the coupling pin, but deformed to the screw portion of the coupling pin at the crown and abutment boundary by human chewing force. This may occu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upling pin cannot be separated when deformation occurs in the screw portion of the coupling pin.

또한, 상기 결합핀의 나사결합시, 상기 크라운의 나사공과 상기 어버트먼트의 나사공을 정확히 정렬해야 하는데, 가공정밀도나 조립공차 등으로 인해 상기 크라운의 나사공과 어버트먼트의 나사공을 정확히 정렬하기가 쉽지 않고, 상기 각 나사공을 정확히 정렬하지 않을 경우 상기 결합핀의 나사결합이 불가능한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screwing the coupling pin, the screw hole of the crown and the screw hole of the abutment should be exactly aligned, due to the machining precision or assembly tolerances, the screw hole of the crown and the screw hole of the abutment It is not easy to d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rewing of the coupling pin is impossible if the respective screw holes are not aligned correctly.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결합핀으로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과 크라운간에는 고정되게 결합하고 상기 결합핀과 어버트먼트간에는 유동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핀의 단부가 맞닿는 스크류측에는 상기 크라운이 분리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어버트먼트의 제1결합홀이 상기 결합핀의 외경 보다 크기 때문에 사람의 씹는 힘에 의해 상기 결합핀의 나사부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핀의 분리가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핀의 조립시 상기 어버트먼트의 제1결합홀과 상기 크라운의 제2결합홀을 정확하게 정렬할 필요가 없어 상기 결합핀의 조립도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coupling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with a coupling pin, the coupling pin and the crown is fixedly coupled and the coupling pin and the abutment is fluidly coupled In addition, by forming a flow preventing means to prevent the crown from flowing in the separation direction on the screw side that the end of the coupling pin abuts, since the first coupling hole of the abutment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in By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screw portion of the coupling pin by the chewing force,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coupling pin and at the same time align the first coupling hole of the abutment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of the crown when assembling the coupling pi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dental implant that is easy to assemble the coupling pi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치조골에 일정깊이 삽입 결합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픽스츄어(fixture)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내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이 형성된 크라운(crown)과, 일단부는 상기 크라운의 결합홈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픽스츄어에 안착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부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부에 머리부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스크류와,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결합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과 크라운간에는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과 어버트먼트간에는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핀의 단부가 맞닿는 상기 스크류측에는 상기 크라운이 분리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fix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to a certain depth to form an artificial tooth (fixture), and the crown formed with the coupling groov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in addition to the appearance of the artificial tooth a crown,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crow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butment seated in the fixture, and the screw is screwed into the fixture through the interior of the abutment. In the dental implant comprising a screw installed with the head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butt, and a coupling pin for coupling the crown and the abutment, the coupling pin and the crown is fixedly coupled and the coupling pin The crown is flowably coupled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screw side in which the end of the coupling pin abuts in the separation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preventing means is formed to prevent.

본 발명은,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결합핀으로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과 크라운간에는 고정되게 결합하고 상기 결합핀과 어버트먼트간에는 유동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핀의 단부가 맞닿는 스크류측에는 상기 크라운이 분리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수단인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어버트먼트의 제1결합홀이 상기 결합핀의 외경 보다 크기 때문에 사람의 씹는 힘에 의해 상기 결합핀의 나사부위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로인해 상기 크라운이나 픽스츄어 또는 어버트먼트 등을 수리해야 하거나 또는 치료 등을 위해 크라운을 분리해야 하는 경우 상기 결합핀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upling of the crown and the abutment with a coupling pin, the coupling pin is fixedly coupled between the crown and the coupling pin and the abutment and the flow coupled between the coupling pin and the end of the coupling pin screw By forming an inclined portion which is a flow preventing means to prevent the crown from flowing in the separation direction, the screw of the coupling pin by the chewing force of the person because the first coupling hole of the abutment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in The site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whereby the coupling pin can be easily removed when the crown, fixture or abutment must be repaired or the crown must be removed for treatment or the like.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의 제1결합홀의 직경이 상기 결합핀 및 크라운의 제2결합홀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상기 결합핀의 조립을 위해 상기 어버트먼트의 제1결합홀과 상기 크라운의 제2결합홀을 정확하게 정렬할 필요가 없어 정렬이 용이하고 상기 결합핀의 조립도 용이하다.Further, since the diameter of the first coupling hole of the abutmen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upling hole of the coupling pin and the crown, the first coupling hole of the abutment and the crown of the crown may be used for assembling the coupling pin. It is not necessary to align the two coupling holes precisely and the alignment is easy and the coupling pins are easy to assem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주요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크라운의 제2결합홀에 하우징이 삽입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ntal impl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hole of the crown in FIG. 4.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차과용 임플란트(10)는, 픽스츄어(fixture)(20)와, 어버트먼트(abutment)(30)와, 스크류(screw)(40)와, 크라운(crown)(60)과, 결합핀(110)과, 유동방지수단(100)으로 구성된다.The dental impla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ture 20, an abutment 30, a screw 40, a crown 60 and , The coupling pin 110 and the flow prevention means 100 is composed.

상기 픽스츄어(20)는, 잇몸(2)을 관통하여 치조골(1)에 일정깊이 삽입 결합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게 된다.The fixture 20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1 by a predetermined depth through the gum 2 to form an artificial tooth root.

상기 픽스츄어(20)의 외주면에는 나사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1)과 나사결합되며, 픽스츄어(20)의 상단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40)가 나사결합되도록 스크류체결구(22)가 형성된다.A screw portion 21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20 to be screwed to the alveolar bone 1, and a screw fastener 22 so that the screw 40 is screw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20. Is formed.

한편, 상기 픽스츄어(20)의 상단에는 다각형(육각형) 형태의 결합부(2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어버트먼트(30)와 결합시 어버트먼트(3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Meanwhile, a polygonal (hexagonal) coupling portion 23 protrudes from an upper end of the fixture 20 to prevent rotation of the abutment 30 when engaged with the abutment 30.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30)는, 상기 픽스츄어(20)와 크라운(60)을 연결 결합하는 것으로, 일단부는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픽스츄어(20)에 안착된다.In addition, the abutment 30 is to connect and couple the fixture 20 and the crown 60,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61 of the crown 60 and the other end of the fixation. It is seated on the chew 20.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30)는 상기 스크류(40)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20)와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abutment 30 is coupled to the fixture 20 through the screw 40.

아울러,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외주면 중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에 삽입 결합되는 부분은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데, 즉, 상부 직경이 하부 직경 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을 상기 어버트먼트(30)에 쉽게 끼울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utment 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61 of the crown 60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that is, the upper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lower diameter to form the crown ( The coupling groove 61 of the 60 is to be easily fitted to the abutment 30.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30)의 하단면에는 상기 픽스츄어(2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다각형 형태의 결합부(23)가 삽입되도록 요입홈(33)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abutment 30 is formed with a recess 33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23 of the polygonal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20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요입홈(33)은 상기 픽스츄어(20)의 다각형 형태의 결합부(23)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Here, the recess 33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oupling portion 23 of the polygonal shape of the fixture (20).

한편, 상기 어버트먼트(30)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40)가 삽입되도록 삽입공(31)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ertion hole 31 is formed in the abutment 30 so that the screw 40 is inserted.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삽입공(31)은 후술하는 상기 스크류(40)의 머리부(41) 외형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hole 31 of the abutment 3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hape of the head 41 of the screw 40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스크류(40)는 상기 어버트먼트(30)의 내부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2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어버트먼트(30)를 상기 픽스츄어(2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crew 40 is screwed to the fixture 20 through the interior of the abutment 30 to serve to couple the abutment 30 to the fixture 20. .

상기 스크류(40)는, 상기 어버트먼트(30)내의 삽입공(31)에 삽입되는 머리부(41)와, 상기 머리부(41)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어버트먼트(30)의 하단을 관통함과 아울러 상기 픽스츄어(20)의 스크류체결구(2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42)로 구성된다.The screw 4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ead portion 41 and the head portion 41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 in the abutment 30, the lower end of the abutment 30 It is composed of a screw portion 42 which penetrates through and screwed to the screw fastener 22 of the fixture 20.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삽입공(31) 하단에는 상기 스크류(40)의 머리부(41)가 걸리도록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A locking jaw 3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hole 31 of the abutment 30 so as to catch the head 41 of the screw 40.

한편, 별도의 작업공구를 통해 상기 스크류(4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40)의 머리부(41)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슬리브홈(43)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슬리브홈(43)은 상기 머리부(41)의 외주면에 180도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sleeve groove 43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41 of the screw 40 so that the screw 40 can be easily rotated through a separate work tool, wherein the sleeve groove 43 The two) is preferably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 41 in the 180 degree direction.

또한, 상기 스크류(4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류(40)의 슬리브홈(43)과 대응하는 위치에 록킹홈(34)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groove 3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eeve groove 43 of the screw 4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utment 30 to prevent the screw 40 from loosening.

이때, 상기 스크류(40)의 슬리브홈(43)과 상기 어버트먼트(30)의 록킹홈(34)은 연통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leeve groove 43 of the screw 40 and the locking groove 34 of the abutment 30 are in communication.

상기 스크류(40)의 슬리브홈(43)과 상기 어버트먼트(30)의 록킹홈(34) 위치가 일치되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홈(43)과 록킹홈(34)내에는 록킹슬리브(50)를 삽입하거나 또는 상기 슬리브홈(43)과 록킹홈(34)내에 치과용 시멘트(미도시)를 주입하여 채움으로써, 상기 스크류(4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Locking sleeves in the sleeve groove 43 and the locking groove 34 in a state where the sleeve groove 43 of the screw 40 and the locking groove 34 position of the abutment 30 are assembled to match. By inserting 50 or injecting and filling dental cement (not shown) into the sleeve groove 43 and the locking groove 34, the screw 40 can be prevented from loosening.

그리고, 상기 크라운(60)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30)를 향한측이 개방된 결합홈(6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rown 60, while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artificial tooth, there is formed a coupling groove 61 in which the side toward the abutment 30 is opened.

상기 결합홈(61)은 상기 어버트먼트(30)의 테이퍼진 상단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oupling groove 61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tapered upper end shape of the abutment 30.

또한, 상기 크라운(60)은 세라믹 재료 중 가장 강도가 높고 심미성이 뛰어난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지르코니아 재질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wn 60 is preferably formed of a zirconia material having the highest strength and excellent aesthetics among ceramic materials. Of course, a variety of known materials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zirconia material.

여기서, 상기 지르코니아 재질은 열처리 후 금속에 버금가는 강도를 가지게 되지만, 열처리 후 가공이 어렵고, 열처리 전에는 가공은 쉬우나 열처리시 20~30% 수축 현상이 있어 정밀 가공이 어려워 치과용 크라운(60) 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Here, the zirconia material has a strength comparable to that of metal after heat treatment, but it is difficult to process after heat treatment, and easy to process before heat treatment, but there is a 20-30% shrinkage phenomenon during heat treatmen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recisely process the dental crown 60. There are many difficulties.

따라서, 상기 크라운(60)을 상기 어버트먼트(30)에 간단한 방법으로 결합하기 위해 결합핀(110)이 사용된다.Therefore, the coupling pin 110 is used to couple the crown 60 to the abutment 30 in a simple manner.

이때, 상기 결합핀(110)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11)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thread 11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in 110.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핀(110)과 크라운(60)간에는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110)과 어버트먼트(30)간에는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in 110 and the crown 60 is fixedly coupled and the coupling pin 110 and the abutment 30 are fluidly coupled.

즉, 상기 결합핀(110)으로 상기 크라운(60)과 어버트먼트(30)를 결합할 때, 상기 결합핀(110)과 크라운(60)은 서로 직접 나사결합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하우징(120)을 매개로 나사결합되어 고정되게 되고, 상기 결합핀(110)과 어버트먼트(30)는 서로 나사결합되지 않고 단지 상기 결합핀(110)이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에 유동가능하게 삽입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crown 60 and the abutment 30 are coupled to the coupling pin 110, the coupling pin 110 and the crown 60 are directly screwed together or a housing 12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screwed to be fixed via the coupling, the coupling pin 110 and the abutment 30 is not screwed together, only the coupling pin 110 is the first coupling hole 35 of the abutment 30 Will be inserted in a flexible manner.

따라서, 상기 결합핀(110)의 일측은 상기 크라운(60)과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어버트먼트(30)와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더라도, 상기 결합핀(110)이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크라운(60)이 분리되지 않는다.Therefore, one side of the coupling pin 110 is fixedly coupled to the crown through the screw 60,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abutment 30 so as to flow, the coupling pin 110 is the eo Since the first coupling hole 35 of the butt 30 is caught, the crown 60 is not separated.

물론, 상기 결합핀(110)이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크라운(60)은 크라운(60)의 분리방향으로 약간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지만, 이러한 유동은 후술하는 유동방지수단(100)에 의해 방지되게 된다.Of course, since the coupling pin 110 is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hole 35 of the abutment 30, the crown 60 causes some flow in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crown 60. However, this flow is prevented by the flow preventing means 10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결합핀(110)이 유동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30)에 관통 형성된 제1결합홀(35)은 상기 결합핀(110)의 외경과 일정 간극을 갖도록 상기 결합핀(110)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hole 35 formed through the abutment 30 so that the coupling pin 110 is fluidly coupled to the coupling pin 110 may have a predetermined gap with an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in 110.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110).

한편, 상기 결합핀(110)과 크라운(60)을 고정되게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두가지가 있으며, 첫번째는, 상기 크라운(60)에 상기 결합핀(110)이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제2결합홀(62)을 관통 형성하되, 상기 제2결합홀(62)과 상기 결합핀(110)을 직접 나사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결합홀(62)에는 상기 결합핀(110)의 나사부(111)가 나사결합되도록 탭 가공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two methods for fixing the coupling pin 110 and the crown 60 to be fixed, the first, the second coupling hole so that the coupling pin 110 is fixedly coupled to the crown 60. To form a through (62), it is to directly screw the second coupling hole 62 and the coupling pin 110. At this time, the second coupling hole 62 is tabbed so that the threaded portion 111 of the coupling pin 110 is screwed.

두번째는, 상기 크라운(60)에 상기 결합핀(110)이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제2결합홀(62)을 형성하되, 상기 제2결합홀(62)내에는 내주면이 상기 결합핀(110)과 나사결합되는 하우징(120)을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Second, a second coupling hole 62 is formed in the crown 60 so that the coupling pin 110 is fixedly coupled,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hole 6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 110. It is to fix the housing 120 is screwed.

상기 첫번째 방법은, 상기 크라운(60)이 탭 가공 가능한 재질일 경우에 사용하고, 두번째 방법은, 상기 크라운(60)이 탭 가공하기 어려운 재질일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method is preferably used when the crown 60 is a tab workable material, and the second method is preferably used when the crown 60 is hard to tap.

한편, 상기 두번째 방법에서, 상기 하우징(120)이 크라운(60)의 외측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120) 및 제2결합홀(62)에는 단착부(125)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120)과 제2결합홀(62)의 원형 결합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홀(62)내에서 하우징(12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second method, an attachment portion 125 is formed in the housing 120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62 so that the housing 120 does not escape outwardly of the crown 60, and the housing 120 is further formed. At least one plane (not shown) is formed on the circular coupling surface of the 120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62 to prevent rotation of the housing 120 in the second coupling hole 62.

이하에서는 상기 크라운(60)과 상기 결합핀(110)을 직접 나사결합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ly the case of directly screwing the crown 60 and the coupling pin 110 will be described.

따라서,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을 상기 어버트먼트(30)에 상단에 끼워 조립한 후, 상기 크라운(60)의 제2결합홀(62)과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이 일치하도록 정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정렬하기가 용이하다.Therefore, after assembling the coupling groove 61 of the crown 60 on the abutment 30 at the upper end, the second coupling hole 62 and the abutment 30 of the crown 60 are assembled. The first coupling holes 35 are align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since the diameter of the first coupling holes 35 of the abutment 30 is relatively large, the alignment is easy.

상기 크라운(60)의 제2결합홀(62)과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이 일치하도록 정렬한 후에는, 상기 결합핀(110)을 상기 크라운(60)의 제2결합홀(62)에 나사결합하기 시작하며, 이때 상기 결합핀(110)의 단부가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을 관통하여 상기 어버트먼트(30)내 스크류(40)의 머리부(41) 외주면에 밀착될 때 까지 나사결합하여 완료한다.After the second coupling hole 62 of the crown 60 is aligned with the first coupling hole 35 of the abutment 30, the coupling pin 110 is aligned with the crown 60. It starts to screw into the second coupling hole 62, wherein the end of the coupling pin 110 passes through the first coupling hole 35 of the abutment 30 in the abutment 30 It is completed by screwing until it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41 of the screw 40.

이때, 상기 크라운(60)의 제2결합홀(62) 보다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의 직경이 더 크기 때문에 상기 제1,2결합홀(35,62)의 중심이 정확히 정렬되지 않더라도 즉, 제1,2결합홀(35,62)의 중심이 어느정도 편차가 있더라도 상기 결합핀(110)을 통해 크라운(60)과 어버트먼트(3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first coupling hole 35 of the abutment 30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coupling hole 62 of the crown 6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35 and 62 have a larger diameter. Even if the center is not exactly aligned, that is, even if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35 and 62 are somewhat different, the crown 60 and the abutment 30 can be easily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pin 110. Can be.

이렇게 상기 결합핀(110)을 통해 상기 크라운(60)과 어버트먼트(30)의 결합을 완료하더라도,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과 상기 결합핀(110)간의 간극으로 인해 상기 크라운(60)이 약간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크라운(60)의 경우, 회전방향으로 약간의 유동은 허용이 되나, 상,하 방향 즉, 상기 크라운(6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유동은 허용되지 않는다.Even though the crown 60 and the abutment 30 are completed by the coupling pin 110, the first coupling hole 35 and the coupling pin 110 of the abutment 30 are completed. Due to the gap, the crown 60 slightly flows, but in the case of the crown 60, a slight flow in the rotational direction is allowed, but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rown 60 is separated. Is not allowed to flow.

즉, 사람의 치아의 경우도 회전방향으로 약간의 유동이 있는데, 이는 일종의 내진 설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치아인 상기 크라운(60) 역시 회전방향으로 약간의 유동은 허용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human teeth, there is a slight flow in the rotational direction, which is a kind of seismic design. Therefore, the crown 60, which is an artificial tooth, also permits some flow in the rotatio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크라운(6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핀(110)의 단부가 맞닿는 상기 스크류(40)측에 유동방지수단(10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low preventing means 10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crew 40 which the end of the coupling pin 110 abuts to prevent the crown 60 from flowing in the separation direction.

상기 유동방지수단(100)은, 상기 스크류(40)의 머리부(41) 외주면에 상기 결합핀(110)의 단부가 맞닿는 경사부(44)를 형성하여, 상기 크라운(60)이 분리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low preventing means 10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 41 of the screw 40, the inclined portion 44 which the end of the coupling pin 110 abuts, so that the crown 60 in the separation direction Is made to prevent flow.

이때, 상기 경사부(44)는, 상기 머리부(41)의 외주면 전구간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면에서와 같이 일부구간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머리부(41)의 외주면 중 상기 슬리브홈(43)이 형성되지 않은 구간에만 상기 경사부(4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clined portion 44 may be formed in the entir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 portion 41, but is preferably formed only in a partial s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at is,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inclined portion 44 only in a section in which the sleeve groove 43 is not formed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head 41.

이러한, 상기 경사부(44)는, 상기 크라운(60)의 분리방향으로 상기 머리부(41)의 외경을 증가시켜 형성된다.The inclined portion 44 is formed by increas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d 41 in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crown 60.

또한, 상기 결합핀(110)은, 상기 경사부(44)에 대해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결합핀(110)은, 상기 스크류(40)의 축방향에 대해 하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in 110 is preferably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inclined portion (44). Accordingly, the coupling pin 110 is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crew 40.

물론,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과 상기 크라운(60)의 제2결합홀(62)도 상기 결합핀(110)의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형성된다.Of course, the first coupling hole 35 of the abutment 30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62 of the crown 60 are also formed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upling pin 110.

따라서, 상기 크라운(60)의 제2결합홀(62) 및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핀(110)은 그 끝단부가 상기 경사부(44)에 맞닿을 때 까지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Accordingly, the end of the coupling pin 110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 62 of the crown 60 and the first coupling hole 35 of the abutment 30 is the inclined portion 44. Assembly is completed by engaging until it touches.

이렇게 상기 결합핀(1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과 상기 결합핀(110)간에 유격이 있더라도 상기 결합핀(110)의 끝단부가 상기 경사부(44)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상기 크라운(60)이 크라운(60)의 분리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When the assembling of the coupling pin 110 is completed, the end of the coupling pin 110 is inclined even though there is a gap between the first coupling hole 35 and the coupling pin 110 of the abutment 30. Since the crown 44 is in contact with the portion 44, the crown 60 does not flow in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crown 60.

아울러, 사람의 씹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과 상기 결합핀(110)간에 간극으로 인해 상기 결합핀(110)의 나사부(111)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이로인해 상기 크라운(60)이나 픽스츄어(20) 또는 어버트먼트(30) 등을 수리해야 하거나 또는 치료 등을 위해 크라운(60)을 분리해야 하는 경우 상기 결합핀(11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a person's chewing force acts, deformation occurs in the thread 111 of the coupling pin 110 due to a gap between the first coupling hole 35 and the coupling pin 110 of the abutment 30. Without this, if the crown 60, fixture 20 or abutment 30, or the like to repair or need to remove the crown 60 for treatment or the like, the coupling pin 110 easily Can be separa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임플란트(10)를 치조골(1)에 시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에 기재한 방법 뿐만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원발명의 특징부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ental impla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method for treating the implant 10 to the alveolar bone 1 is known in various ways as well as the method described in the prior art,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for the part related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Let's explain.

먼저, 상기 크라운(6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홈(61) 및 제2결합홀(6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크라운(60)의 재질이 탭 가공이 가능한 재질일 경우에는 상기 제2결합홀(62)의 내주면에 탭 가공을 하게 되고, 상기 크라운(60)의 재질이 탭 가공이 불가능한 재질일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20)을 제2결합홀(62)내에 삽입하게 된다.First, the coupling groove 61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62 are form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rown 60. In this case, when the material of the crown 60 is a tab processing material, the tap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hole 62, and the material of the crown 60 is not possible to tap processing. The housing 1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hole 62.

물론, 상기 하우징(120)의 내주면에는 탭 가공이 되어 있다. Of cours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120 is tabbed.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30)에 제1결합홀(35)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제1결합홀(35)은 상기 크라운(60)의 제2결합홀(62)과 동심상에 형성하되, 제2결합홀(62)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a first coupling hole 35 is formed in the abutment 30. The first coupling hole 35 is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second coupling hole 62 of the crown 60. ,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coupling hole 62.

한편, 상기 크라운(60)의 제2결합홀(62)과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을 동심상에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상기 크라운(60)과 어버트먼트(30)를 조립한 상태에서 지그에 고정한 후 드릴 작업을 하면된다.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for forming the second coupling hole 62 of the crown 60 and the first coupling hole 35 of the abutment 30 concentrically, the crown 60 and the abutment In the state in which the assembly 30 is assembled, the jig may be drilled after fixing to the jig.

아울러, 상기 하우징(12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크라운(60)의 제2결합홀(62)에 치과용 시멘트를 이용하여 영구 접착한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housing 120 is permanently bond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 62 of the crown 60 using dental cement.

이후, 환자의 치조골(1)에 미리 심어져 있는 픽스츄어(20)에 상기 어버트먼트(30)를 스크류(40)를 통해 결합한 후, 상기 어버트먼트(30)에 상기 크라운(60)을 안착시킨다.Thereafter, the abutment 30 is coupled to the fixture 20 pre-planted in the alveolar bone 1 of the patient through the screw 40, and then the crown 60 is attached to the abutment 30. Settle down.

계속해서, 상기 결합핀(110)을 상기 크라운(60)의 제2결합홀(62)에 나사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핀(110)이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1결합홀(35)을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40) 머리부(41)의 경사부(44)에 맞닿을때까지 나사결합하여 상기 결합핀(110)의 조립을 완료한다.Subsequently, the coupling pin 110 is screwed into the second coupling hole 62 of the crown 60, wherein the coupling pin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hole of the abutment 30. The assembly of the coupling pin 110 is completed by screwing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portion 44 of the head 41 of the screw 40 through 35.

상기 결합핀(1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크라운(60)이 어버트먼트(30)로부터 분리되지 않음은 물론 크라운(60)의 분리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When the assembly of the coupling pin 110 is completed, the crown 60 is not separated from the abutment 30, of course, does not flow in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crown 60.

10: 임플란트 20: 픽스츄어
30: 어버트먼트 35: 제1결합홀
40: 스크류 41: 머리부
42: 나사부 44: 경사부
50: 록킹슬리브 60: 크라운
61: 결합홈 62: 제2결합홀
100: 유동방지수단
110: 결합핀 111: 나사부
120: 하우징 125: 단차부
10: implant 20: fixture
30: abutment 35: first coupling hole
40: screw 41: head
42: screw portion 44: inclined portion
50: locking sleeve 60: crown
61: coupling groove 62: second coupling hole
100: flow prevention means
110: coupling pin 111: screw portion
120: housing 125: stepped portion

Claims (6)

치조골(1)에 일정깊이 삽입 결합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픽스츄어(fixture)(20)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내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61)이 형성된 크라운(crown)(60)과, 일단부는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픽스츄어(20)에 안착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30)와, 상기 어버트먼트(30)의 내부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20)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어버트먼트(30)의 내부에 머리부(41)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스크류(40)와, 상기 크라운(60)과 어버트먼트(30)를 결합하는 결합핀(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110)과 크라운(60)간에는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110)과 어버트먼트(30)간에는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핀(110)의 단부가 맞닿는 상기 스크류(40)측에는 상기 크라운(60)이 분리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수단(1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Fixture (20)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1) to a certain depth to form an artificial tooth, and a crown formed with an outer side of the artificial tooth and a coupling groove 61 open at one side thereof. 60,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61 of the crown 60 and the other end is abutment (30) is seated in the fixture 20, and the abutment ( Screw 40 is screwed to the fixture 20 through the interior of the 30 and the head 41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abutment 30 and the crown 60, In the dental implant comprising a coupling pin 110 for coupling the abutment 30,
The coupling pin 110 is fixedly coupled between the crown 60 and the coupling pin 110 and the abutment 30 is fluidly coupled,
Dental impl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preventing means (100) is formed on the screw (40) side that the end of the coupling pin 110 abuts to prevent the crown (60) flow in the separation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100)은, 상기 스크류(40)의 머리부(41) 외주면에 상기 결합핀(110)의 단부가 맞닿는 경사부(44)를 형성하여, 상기 크라운(60)이 분리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low preventing means 10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 41 of the screw 40, the inclined portion 44 which the end of the coupling pin 110 abuts, so that the crown 60 in the separation direction Dental impla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event flow.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44)는, 상기 크라운(60)의 분리방향으로 상기 머리부(41)의 외경을 증가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clined portion 44 is a dental impla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increas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41 in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crown (6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110)은, 상기 경사부(44)에 대해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upling pin 110 is a dental implant,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inclined portion (4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30)에는 상기 결합핀(110)이 유동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도록 제1결합홀(35)이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홀(35)은 상기 결합핀(110)의 외경과 일정 간극을 갖도록 상기 결합핀(110)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크라운(60)에는 상기 결합핀(110)이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제2결합홀(62)이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홀(62)은 상기 결합핀(110)과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abutment 30 is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hole 35 so that the coupling pin 11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abutment, the first coupling hole 35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in 110 and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in 110 to have a predetermined gap,
The crown 60 has a second coupling hole 62 is formed so that the coupling pin 110 is fixedly coupled, the second coupling hole 62 is screwed to the coupling pin 110. Dental impla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30)에는 상기 결합핀(110)이 유동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도록 제1결합홀(35)이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홀(35)은 상기 결합핀(110)의 외경과 일정 간극을 갖도록 상기 결합핀(110)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크라운(60)에는 상기 결합핀(110)이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제2결합홀(62)이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홀(62)내에는 내주면이 상기 결합핀(110)과 나사결합되는 하우징(12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20)과 상기 제2결합홀(62)의 결합면에는, 상기 제2결합홀(62)내에서 하우징(1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abutment 30 is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hole 35 so that the coupling pin 11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abutment, the first coupling hole 35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in 110 and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in 110 to have a predetermined gap,
The crown 60 has a second coupling hole 62 is formed so that the coupling pin 110 is fixedly couple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screwed to the coupling pin 110 in the second coupling hole 62 The housing 120 is fixedly installed
At least one plane is formed on a coupling surface of the housing 120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62 to prevent rotation of the housing 120 in the second coupling hole 62. For implants.
KR1020120035778A 2012-04-06 2012-04-06 Dental implant KR1013074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78A KR101307411B1 (en) 2012-04-06 2012-04-06 Dental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78A KR101307411B1 (en) 2012-04-06 2012-04-06 Dental im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411B1 true KR101307411B1 (en) 2013-09-12

Family

ID=4945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778A KR101307411B1 (en) 2012-04-06 2012-04-06 Dental im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41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005A1 (en) * 2014-04-14 2015-10-22 김형우 Dental implant
EP3069683A1 (en) * 2015-03-17 2016-09-21 Anthogyr Transfixed multiple dental prosthesis
FR3033693A1 (en) * 2015-03-17 2016-09-23 Anthogyr Sa TRANSFIXED PLURAL DENTAL PROSTHESIS
CN110464495A (en) * 2019-08-20 2019-11-19 胡波 Plant gum simulator, miniature combination dental implant system and its application method at once
KR20220000522A (en)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메디젯 Drug delivery apparatus
KR20220003368A (en)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메디젯 Drug delivery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121B1 (en) 2010-11-17 2012-06-26 김만용 dental impl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121B1 (en) 2010-11-17 2012-06-26 김만용 dental implant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0005A1 (en) * 2014-04-14 2015-10-22 김형우 Dental implant
KR20150118311A (en) * 2014-04-14 2015-10-22 김형우 Dental implant
KR101623635B1 (en) 2014-04-14 2016-06-07 김형우 Dental implant
EP3069683B1 (en) * 2015-03-17 2018-05-16 Anthogyr Transfixed multiple dental prosthesis
FR3033693A1 (en) * 2015-03-17 2016-09-23 Anthogyr Sa TRANSFIXED PLURAL DENTAL PROSTHESIS
FR3033692A1 (en) * 2015-03-17 2016-09-23 Anthogyr Sa TRANSFIXED PLURAL DENTAL PROSTHESIS
EP3069683A1 (en) * 2015-03-17 2016-09-21 Anthogyr Transfixed multiple dental prosthesis
US10004577B2 (en) 2015-03-17 2018-06-26 Anthogyr Transfixed multiple dental prosthesis
CN110464495A (en) * 2019-08-20 2019-11-19 胡波 Plant gum simulator, miniature combination dental implant system and its application method at once
CN110464495B (en) * 2019-08-20 2024-03-19 胡波 Dental implant bed simulator, miniature instant combined dental implant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KR20220000522A (en)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메디젯 Drug delivery apparatus
KR102357165B1 (en) 2020-06-26 2022-01-28 주식회사 메디젯 Drug delivery apparatus
KR20220003368A (en)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메디젯 Drug delivery apparatus
KR102357177B1 (en) 2020-07-01 2022-01-28 주식회사 메디젯 Drug deliver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121B1 (en) dental implant
JP6860711B2 (en) Temporary prosthesis system and how to use it
KR100537218B1 (en) Abutment for a implant using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KR100484395B1 (en) Structure of dental implant
KR100677870B1 (en) Healing abutment and dental implant having the same
KR100799368B1 (en) Dental implant appratus
KR101307411B1 (en) Dental implant
KR101943437B1 (en) Abutment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20150044635A1 (en) Abutment capable of accommodating core crowns manufactured at various angles and functioning as a healing abutment having a cap attached thereto,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prostheses using the abutment, and method for implant surgery using the abutment
KR100842318B1 (en) Titanium sleev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having the same
KR20100128433A (en) Dental implant abutment
KR20090081847A (en) Mini implant
KR20120027604A (en) Temporary clamping member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implant theraphy
KR20200014558A (en) Abutment assembly
JP5749911B2 (en) Dental implant
KR101486851B1 (en) Dental Implant Abutment
KR101729247B1 (en) The coping and implant having the same
KR20100090006A (en) Fixture of dental implant
KR101524192B1 (en) Cervical Shap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KR102356447B1 (en) Abutment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20140118136A (en) Titanium multipl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KR101059741B1 (en) Mini implant
KR102024911B1 (en) Offset type healing abutment
KR20160095260A (en) Dental implant having enhanced adaptation
KR200286847Y1 (en) Structure of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