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940B1 - Cooking instrument - Google Patents

Cooking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940B1
KR101306940B1 KR1020110134106A KR20110134106A KR101306940B1 KR 101306940 B1 KR101306940 B1 KR 101306940B1 KR 1020110134106 A KR1020110134106 A KR 1020110134106A KR 20110134106 A KR20110134106 A KR 20110134106A KR 101306940 B1 KR101306940 B1 KR 10130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andle
cooking
hook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7502A (en
Inventor
오대운
Original Assignee
(주) 네이처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네이처닉 filed Critical (주) 네이처닉
Priority to KR102011013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940B1/en
Publication of KR20130067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5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9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용구(10)는 조리물에 닿게 되는 조리부(12)와 이에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손잡이(14)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14)의 내부에는 수납공간(16)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6)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및 제2 개구부(20,22)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16)의 내부에 설치된 연동부재(28)의 지지돌기(36)와 걸이돌기(40)가 교대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돌기(36)는 상기 손잡이(14)의 끝부분과 함께 식탁 등의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조리부(12)가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이돌기(40)는 냄비나 프라이팬의 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용구(10)를 사용중에 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utensil. Cooking utensil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king portion 12 to be in contact with the food and a handle 14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refrom. An accommodation space 16 is formed in the handle 14, an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20 and 22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16 to form the interior of the storage space 16. The support protrusion 36 and the hook protrusion 40 of the installed interlocking member 28 alternately protrude. The support protrusion 36 is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table with the end of the handle 14 to prevent the cooking unit 12 from touching the floor, and the hook protrusion 40 is an inlet of the pan or frying pan. Walked to the e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oking utensil 10 can be stored more hygienic and convenient during use.

Description

조리용구{Cooking instrument}Cook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조리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는 지지돌기와 손잡이를 걸 수 있는 걸이돌기가 구비된 조리용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utens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utensil having a support protrusion and a hook protrusion for hanging the handle to prevent the cooking portion from touching the floor.

조리용구는 음식물을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다양한 용도의 것이 있다. 예를 들면, 밥을 푸기 위한 밥주걱, 전을 뒤집기 위한 뒤집게, 국을 푸기 위한 국자 등이다.Cooking utensils are used for cooking food, there are various uses. For example, a rice paddle for unwrapping rice, a flipper for overturning rice, and a ladle for unwrapping soup.

본 명세서의 조리용구는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음식물에 닿게 되는 조리부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다.The cooking utensil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 all of those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cooking utensils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food and the handles which are held by the user by hand are provided in a connected state.

이와 같이 조리부와 손잡이가 일체로 되어 있는 조리용구는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조리부가 음식물에 닿게 하여 사용하는데, 조리 중에 임시로 보관하는 것이 비위생적인 경우가 많다.In this way, the cooking utensils in which the cooking unit and the handle are integrally used when the user grabs the handle and makes the cooking unit touch food, but it is often unsanitary to store temporarily during cooking.

즉, 조리용구에서 조리부와 손잡이는 서로 일직선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조리대나 식탁 등의 바닥에 조리용구를 놓게 되면 그 구조상 손잡이와 함께 조리부가 바닥에 닿게 되어 이물질이 조리부에 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그릇을 준비하여서 그릇 내에 조리용구의 조리부가 위치하도록 하게 된다. In other words, most of the cooking utensils and handles in the cooking utensi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When the cooking utensils are placed on the floor of a countertop or a dining table, the cooker touches the bottom along with the handles so that foreign matters may be buried in the cooking utensils. . Therefore, users generally prepare a separate bowl so that the cooking unit of the cooking utensil is located in the bowl.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손잡이에 지지돌기를 돌출시켜 두는데, 이와 같은 지지돌기는 손잡이의 외부로 항상 돌출되어 있어 조리용구의 사용시에 불편한 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support protrusion is protruded to the handle, and such support protrusion is alway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which is inconvenient when using a cooking utensil.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식탁 등에서 음식을 먹으면서 조리용구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식탁 위에 조리용구를 두는 것은 공간활용상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조리용구를 냄비나 프라이팬 등에 놓기도 하는데, 손잡이에 걸이구조가 없는 경우에는 냄비나 프라이팬 내부로 조리용구가 들어가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In some cases, cooking utensils may be used while eating at a table, and in this case, placing cooking utensils on the table may be difficult in space utilization. Accordingly, the cooking utensils may be placed in a pot or a frying pan, but when the handle does not have a hook structure, the cooking utensils may enter the inside of the pan or frying pan.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리용구의 손잡이에 냄비나 프라이팬의 가장자리에 걸어질 수 있는 돌기를 두기도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돌기를 조리용구의 손잡이에 돌출되게 두는 것은 사용시에 불편한 점이 있다.To prevent this, the handle of the cooking utensils may be placed on the edge of the pan or pan to hang on the edge of the pan. However, it is inconvenient to use such a protrusion to protrude to the handle of the cooking utensil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용구의 사용중에 임시로 보관하는 것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make it convenient to temporarily store the cooking utensi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용구의 사용시에 지지돌기와 걸이돌기를 필요시에만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trude only when necessary when using the support projection and the hook projec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리물과 접촉하는 조리부와, 상기 조리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조작버튼과,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조작버튼과 일체로 이동되고 상기 수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돌기가 선단에 구비된 지지바아와 상기 지지바아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걸이돌기가 선단에 구비된 걸이바아가 연동몸체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가 제1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조리부가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이돌기가 상기 제2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냄비나 프라이팬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지도록 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k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ood, formed in one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cooking portion is held by the user by the ha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A support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button to be moved, and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a first opening which is integrated in the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handle and moves integrally with the operation button and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space; It includes an interlocking member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ar and the support bar, the hook bar is provided on the tip of the hook bar is provided on the tip of the hook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 through the second opening for communicating the storage space and the outside; The support protrus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floor to prevent the cooking unit from touching the floor. The hook protrus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opening so as to be hooked to the inlet edge of the pan or frying pan.

상기 지지바아와 걸이바아는 상기 연동몸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support bar and the hook bar are formed to extend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interlocking body.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손잡이의 수납공간에서 상기 조리부 방향쪽으로 개구되는 상기 제1개구부의 내외부로 입출되고,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손잡이의 수납공간에서 상기 손잡이의 끝부분 쪽으로 개구되는 상기 제2개구부의 내외부로 입출된다.The support protrusion enters into and out of the first opening of the handle toward the cooking unit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handle, and the hook protrusion inside and outside of the second opening of the handle toward the end of the handle. To and from.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수납공간 내에 동시에 수납되고 어느 일측이 상기 제1개구부나 제2개구부를 통해 돌출된다.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hook protrusion are simultaneous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ither side thereof protrudes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or the second opening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리물과 접촉하는 조리부와, 상기 조리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안착되고 양단에 구비된 지지돌기와 걸이돌기가 각각 상기 수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하단개구부나 제2하단개구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가 제1하단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조리부가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이돌기가 상기 제2하단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냄비나 프라이팬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지도록 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cook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ood, the handl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cooking portion to be held by the user by the user, and the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the handle is provided at both ends Each of the supporting protrusions and the hook protrusions may include an interlocking member selectively protruding from the first lower opening or the second lower opening to communicate the storage space with the outside, and the supporting protrus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lower opening. It is supported to prevent the cooking portion from touching the floor, and the hook projection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lower opening to be hooked to the inlet edge of the pan or frying pan.

상기 연동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지지돌기와 일체로 선단누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하단개구부의 반대쪽으로 형성된 제1상단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연동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걸이돌기와 일체로 후단누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하단개구부의 반대쪽으로 형성된 제2상단개구부를 통해 노출된다.A front press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of the interlocking member, and is exposed through a first upper end opening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lower opening, and integrally with the hook protrus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member. A pressing part is formed and exposed through the second upper opening part formed opposite to the second lower opening part.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손잡이의 수납공간에서 상기 조리부 방향쪽으로 개구되는 상기 제1하단개구부의 내외부로 입출되고,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손잡이의 수납공간에서 상기 손잡이의 끝부분 쪽으로 개구되는 상기 제2하단개구부의 내외부로 입출된다.The support protrusion enters into and out of the first lower end opening portion which is opened toward the cooking unit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handle, and the hook protrusion has the second lower opening portion which opens toward the end of the handle in the storage space of the handle. It goes in and out of.

상기 선단누름부와 지지돌기에는 각각 제1 및 제2 선단위치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제1상단개구부와 제1하단개구부의 입구에는 제1걸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후단누름부와 걸이돌기에는 각각 제1 및 제2 후단위치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제2상단개구부와 제2하단개구부의 입구에는 제2걸이돌기가 형성된다.
First and second end position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front pressing portion and the support protrusion, respectively, and correspondingly, a first hook protrusion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first upper opening portion and the first lower opening portion, and the rear pressing portion and the hook are formed. The protrusions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rear end protrusions, respectively, and correspondingly, second hook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inlet of the second upper end opening and the second lower end opening.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oking utens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지지돌기와 걸이돌기를 조리용구의 사용중에 임시 보관할 때만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하므로 조리용구의 사용에 지지돌기와 걸이돌기가 방해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hook protrusion are used so as to protrude only when temporarily storing them during the use of the cooking utensil,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hook protrusion are not disturbed in the use of the cooking utensil.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지지돌기와 걸이돌기를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조리용구의 손잡이 외면에 불필요한 구조가 돌출되지 않도록 됨과 동시에 필요한 것만 돌출시켜 사용하므로 조리용구의 사용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hook protrusion may be selectively protruded so that unnecessary structures do not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of the cooking utensil, and at the same time, only the necessary protrusion is protruded,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of use of the cooking utensi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동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동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oking utens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locking memb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4 is a rear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us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locking memb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a rear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us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조리용구(10)는 조리부(12)와 손잡이(14)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리부(12)는 조리용구(10)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모양을 가지는 판형상으로 예를 들면 전을 뒤집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조리용구(10)가 국자라면 국물과 건더기를 풀 수 있도록 오목한 공간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to FIG. 5, the cooking utensil 10 includes a cooking unit 12 and a handle 14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oking unit 12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cooking utensil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oking unit 12 may have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or example, to invert the front. If the cooking utensil 10 is a ladle, the cooking utensil 10 is shaped to have a concave space so as to loosen the soup and the dust.

상기 손잡이(14)는 상기 조리부(12)의 일측에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4)도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긴 막대기 형상이다. 상기 손잡이(14)와 조리부(12)를 측면도로 볼 때, 그 가상의 연장선은 본 실시예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교차되지만, 이들이 일직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조리부(12)가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손잡이(14)와 가상의 연장선이 교차되도록 되지 않고 반대쪽으로 경사지게 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되면 아래에서 설명된 지지돌기(36)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The handle 14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cooking unit 12 long. The handle 14 can also be of various shapes, but is basically a long rod. When the handle 14 and the cooking portion 12 are viewed in side view, the virtual extension lines intersect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embodiment, but they may b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However, the cooking unit 12 may not be inclined to the opposite side without crossing the handle 14 and the virtual extension line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is is because the support protrusion 36 described below cannot be used.

상기 손잡이(14)의 중간 정도 위치의 내부에는 수납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6)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부재(28)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납공간(16)은 상기 손잡이(14)의 일면, 즉 상기 조리부(12)의 상면과 같은 방향을 향하는 일면에 입구부(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16)은 또한 상기 입구부(18)가 형성된 반대쪽인 타면으로 개방되는 제1개구부(20)와 제2개구부(22)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제1개구부(20)는 상기 조리부(12)쪽에 있고, 상기 제2개구부(22)는 상기 손잡이(14)의 끝부분 쪽에 있다.The storage space 16 is formed inside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handle 14. The storage space 16 is a portion where the interlocking member 28 to be described below is located. The storage space 16 has an inlet 18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andle 14, that is, one surface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unit 12. 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16 is also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20 and the second opening 22 which opens to the other side opposite the formed inlet 18. The first opening 20 is at the cooking unit 12 side, and the second opening 22 is at the end side of the handle 14.

참고로 상기 수납공간(16)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구부(18), 제1개구부(20), 제2개구부(22)를 통해서와 외부와 연통되도록 되어 있고, 별도의 구성없이 상기 손잡이(14)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수납공간(16)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커버(도시되지 않음)를 둘 수도 있다. 상기 커버가 손잡이(14)에 장착되면서 수납공간(16)의 일부가 차폐되어 나머지 부분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커버를 두는 경우에는 상기 수납공간(16)의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부재(28)의 조립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torage space 16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through the inlet 18, the first opening 20, the second opening 2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andle without any configuration It is formed in the inside of 14. However, a separate cover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form the storage space 16. As the cover is mounted on the handle 14, a part of the storage space 16 is shiel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remaining part. In the case of placing the cover in this way, the assembly of the interlocking member 28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made easier inside the storage space 16.

상기 수납공간(16)의 입구부(18)에는 조작버튼(24)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버튼(24)은 상기 입구부(18)를 덮어 차폐함과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부재(28)를 조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작버튼(24)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구부(18)와 그 주변을 덮도록 크기가 만들어진다. 상기 조작버튼(24)은 상기 입구부(18)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14)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구간만큼 직선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버튼(24)의 크기는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입구부(18)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크기가 설계된다. 상기 조작버튼(24)의 하면에는 연결봉(26)이 있다. 상기 연결봉(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부재(28)와 연결되어 일체로 동작되는 것이다.An operation button 24 is installed at the inlet portion 18 of the storage space 16. The operation button 24 is to cover and cover the inlet 18 and to operate the interlocking member 28 to be described below. The operation button 24 is sized to cover the inlet portion 18 and its periphery in this embodiment. The manipulation button 24 may cover the inlet 18 and may be linearly moved by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14. In addition, the size of the operation button 24 is designed to maintain the state covering the inlet portion 18 in any pos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on button 24 has a connecting rod (26). The connecting rod 26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member 28 to be described below to operate integrally.

참고로, 상기 조작버튼(24)과 이에 대응되는 손잡이(14)의 외면에는 돌기와 홈(도시되지 않음)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버튼(24)이 특정 위치에서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물론,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상기 돌기가 홈에서 쉽게 빠져나가 조작버튼(24)이 이동되어 다른 쪽의 홈에 돌기가 들어가도록 하여 조작버튼(24)이 반대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For reference, protrusions and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operation button 24 and the handle 14 corresponding thereto so that the operation button 24 is not randomly moved at a specific position. Of course, when the user applies a certain force or more, the projection easily exits the groove so that the operation button 24 is moved so that the projection enters the other groove so that the operation button 24 is maintained in the opposite state. Can be.

상기 수납공간(16)의 내부에는 연동부재(28)가 설치된다. 상기 연동부재(28)는 상기 조작버튼(24)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공간(16)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개구부(20)와 제2개구부(22)를 통해 그 일부가 선택적으로 돌출된다.An interlocking member 28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16. The interlocking member 28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24, and a part of the interlocking member 28 is installed through the first opening 20 and the second opening 22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6. Selectively protrudes.

상기 연동부재(28)는 그 골격을 연동몸체(30)가 형성하는데, 상기 연동몸체(30)는 상기 수납공간(26)내에 위치된다. 상기 연동몸체(3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략 판형상이다. 상기 연동몸체(30)의 중앙에는 상기 조작버튼(24)의 연결봉(26)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2)에는 상기 연결봉(26)이 압입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연결봉(26) 대신에 상기 연동부재(28)와 조작버튼(24)을 서로 체결하는 나사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interlocking member 28 has a skeleton formed by the interlocking body 30, and the interlocking body 30 i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26. The interlocking body 30 is substantially plate-shap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center of the interlocking body 30 is formed a fastening hole 32 to which the connecting rod 26 of the operation button 24 is inserted and coupled. The connecting rod 26 may be press-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32. Of course, instead of the connecting rod 26, such as a screw for fastening the interlocking member 28 and the operation button 24 may be used.

상기 연동몸체(30)에는 일측에서 연장되어 지지바아(34)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아(34)는 상기 연동몸체(30)에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것으로,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바아(34)는 상기 연동몸체(30)에서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는 상기 수납공간(16)을 측단면에서 볼 때, 제1개구부(20)로 경사지게 형성된 수납공간(16)의 형상과 맞추기 위함이다. The interlocking body 30 extends from one side and is provided with a support bar 34. The support bar 34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interlocking body 30, and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some extent. The support bar 34 extends inclined from the interlocking body 30. This is to match the shape of the storage space 16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first opening 20 when the storage space 16 is viewed from the side cross section.

상기 지지바아(34)의 선단에는 지지돌기(36)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36)는 상기 지지돌기(36)의 선단에 돌출된 형태로 만들어진다. 상기 지지돌기(36)는 상기 제1개구부(20)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다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36)는 식탁 등의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조리부(12)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돌기(36)는 반구형상으로 될 수 있다.A support protrusion 36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upport bar 34. The support protrusion 36 is made to protrude at the tip of the support protrusion 36. The support protrusion 36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opening 20 and protrude outward. The support protrusion 36 is supported on the floor such as a dining table and serves to prevent the cooking unit 12 from touching the floor. The support protrusion 36 may be hemispherical.

상기 연동몸체(30)에는 상기 제2개구부(22)로 돌출되도록 걸이바아(38)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바아(38)는 상기 지지바아(34)가 연장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바아(34) 역시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연동몸체(30)에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다.The hook bar 38 is formed in the interlocking body 30 so as to protrude into the second opening 22. The hook bar 38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which the support bar 34 extends. The support bar 34 is also capable of som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it extends inclined from the interlocking body (30).

상기 걸이바아(38)의 선단에는 걸이돌기(40)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4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리모양이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기 걸이돌기(40)는 상기 지지돌기(36)와 같이 반구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Hanger protrusions 40 are formed at the tip of the hanger bar 38. The hook protrusion 40 is ring-shaped in the embodiment shown, but need not necessarily be. For example, the hook protrusion 40 may be hemispherical like the support protrusion 36.

다음으로, 도 6에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조리용구(110)는 조리부(112)와 손잡이(114)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리부(112)는 조리용구(110)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모양을 가지는 판형상으로 예를 들면 전을 뒤집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조리용구(110)가 국자라면 국물과 건더기를 풀 수 있도록 오목한 공간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된다.Nex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to FIG. 10 will be described. Cooking utensils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cooking unit 112 and the handle 114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oking unit 112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cooking utensil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oking unit 112 may have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or example, to invert the front. If the cooking utensil 110 is a ladle, the cooking utensil 110 is shaped to have a concave space so as to loosen the soup and the dust.

상기 손잡이(114)는 상기 조리부(112)의 일측에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14)도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긴 막대기 형상이다.The handle 114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cooking unit 112. The handle 114 may also be of various shapes, but is basically a long stick.

상기 손잡이(114)의 중간 정도 위치의 내부에는 수납공간(116)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16)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부재(128)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납공간(116)은 상기 손잡이(114)의 내부에 형성되는데, 커버(118)가 덮어져 외부와 수납공간(116)의 일부를 차폐한다. The storage space 116 is formed inside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handle 114. The storage space 116 is a portion where the interlocking member 128 to be described below is located. The storage space 116 is formed inside the handle 114, the cover 118 is covered to shield the outside and a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16.

상기 수납공간(116)은 상기 손잡이(114)의 일면, 즉 상기 조리부(112)의 상면과 같은 방향을 향하는 일면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제1상단개구부(120)와 제2상단개구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상단개구부(120)는 상기 조리부(112)쪽에 있고, 상기 제2상단개구부(122)는 상기 손잡이(114)의 끝부분 쪽에 있다.The storage space 116 has a first upper opening portion 120 and a second upper opening portion 122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on one surface of the handle 114, that is, one surface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unit 112. Is formed. The first upper opening portion 120 is at the cooking unit 112 side, and the second upper opening portion 122 is at the end side of the handle 114.

상기 제1상단개구부(120)와 제2상단개구부(122)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각각 제1하단개구부(120')와 제2하단개구부(122')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하단개구부(120')는 상기 제1상단개구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이고, 상기 제2하단개구부(122')는 상기 제2상단개구부(122)와 대응되는 위치이다. 상기 제1 및 제2 하단개구부(120',122')는 상기 커버(118)가 상기 손잡이(114)에 체결구(119)에 의해 체결됨에 의해 만들어진다. 즉, 상기 커버(118)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부분이어서,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돌기(136)와 걸이돌기(140)가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end opening part 120 'and the second lower end opening part 122' are formed to be open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upper opening part 120 and the second upper end opening part 122, respectively. The first lower end opening 120 ′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upper end opening 120, and the second lower end opening 122 ′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pper opening 122. The first and second lower openings 120 ′ and 122 ′ are made by the cover 118 being fastened to the handle 114 by the fastener 119. That is, since the portion is not shielded by the cover 118, the support protrusion 136 and the hanger 140 to be described below may protrude.

상기 개구부(120,120'),(122,122')들은 각각 상기 수납공간(116)의 양쪽 끝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단 및 하단 개구부(120,120')의 입구측에는 각각 제1걸이돌기(12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단 및 하단 개구부(122,122')의 입구측에는 각각 제2걸이돌기(123)가 형성된다. 이들 걸이돌기(121,123)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위치돌기(137,137'),(142,142')들과 걸어져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돌기(136)와 걸이돌기(140)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The openings 120, 120 ′ and 122, 122 ′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6, respectively. First hook protrusions 121 protrude from the inlets of the first upper and lower openings 120 and 120 ', respectively, and second hook protrusions 123 from the inlets of the second upper and lower openings 122 and 122', respectively. Is formed. These hook protrusions 121 and 123 serve to fix the positions of the support protrusions 136 and the hook protrusions 140 to be described below by walking with the position protrusions 137, 137 'and 142 and 14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

상기 수납공간(116)의 내부에는 회전축(124)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게 연동부재(128)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24)은 상기 손잡이(114)의 외부로 반드시 노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동부재(128)는 상기 수납공간(116)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단개구부(120')와 제2하단개구부(122')를 통해 그 일부가 선택적으로 돌출된다.The interlocking member 128 is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space 116 so as to rotate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rotation shaft 124. The rotating shaft 124 is not necessari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114. A part of the interlocking member 128 is selectively protruded through the first lower end opening 120 ′ and the second lower end opening 122 ′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6.

상기 연동부재(128)에는 연결바아(13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바아(130)는 긴 막대기 형상으로 되는데, 상기 연결바아(130)의 중간부에는 축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축공(132)에는 상기 회전축(124)이 관통한다.The linking member 128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bar 130. The connection bar 130 has a long bar shape, the shaft hole 132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connection bar 130. The shaft 124 passes through the shaft hole 132.

상기 연결바아(130)의 일단에는 선단누름부(134)가 구비된다. 상기 선단누름부(134)는 상기 제1상단개구부(120)를 통해 노출된다. 상기 선단누름부(134)의 반대쪽에는 지지돌기(1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선단누름부(134)와 상기 지지돌기(136)는 상기 연결바아(130)의 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돌기(136)는 상기 제1하단개구부(120')를 통해 수납공간(116)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상기 지지돌기(136)는 상기 제1하단개구부(120')의 내부에 위치된다.One end of the connection bar 130 is provided with a front pressing portion 134. The front pressing portion 134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upper opening 120. The support protrusion 136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pressing portion 134. The front pressing portion 134 and the support protrusion 136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at the ends of the connection bar 130. The support protrusion 136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6 through the first lower end opening 120 ′. In general, the support protrusion 136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lower end opening 120 ′.

상기 선단누름부(134)와 지지돌기(136)에는 각각 제1 및 제2 선단위치돌기(137,13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들 제1 및 제2 선단위치돌기(137,137')는 상기 제1걸이돌기(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36)가 상기 제1하단개구부(120')의 내부에 있을 때, 상기 제1걸이돌기(121)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선단위치돌기(137,137')보다 외측, 즉 상기 제1상단 및 하단 개구부(120,120')의 입구쪽에 있도록 된다.First and second tip position protrusions 137 and 137 'protrude from the tip pressing part 134 and the support protrusion 136, respectively. These first and second tip position protrusions 137 and 137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ok protrusions 121. When the support protrusion 136 is in the first lower end opening 120 ′, the first and second front end position protrusions 137 and 137 ′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ok protrusion 121. At the inlet side of the first upper and lower openings 120 and 120 ′.

상기 지지돌기(136)가 형성된 연결바아(130)의 반대쪽 단부에는 후단누름부(138)와 걸이돌기(140)가 형성된다. 상기 후단누름부(138)와 걸이돌기(14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상기 지지돌기(136)와 선단누름부(134)와 같이 상기 연결바아(13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걸이돌기(140)의 형상은 고리모양이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The rear end portion 138 and the hook protrusion 140 are formed at opposite ends of the connection bar 130 o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136 is formed. The rear end pressing part 138 and the hook protrusion 140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uch as the support protrusion 136 and the front end pressing part 134,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ar 130. It protrudes. The hook protrusion 140 is shaped like a ring, but it is not necessarily so.

상기 후단누름부(138)와 걸이돌기(140)는 상기 제2걸이돌기(123)와 대응되게 제1 및 제2 후단위치돌기(142,14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140)가 상기 제2하단개구부(122')의 내부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걸이돌기(123)의 내측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후단위치돌기(142,142')가 있게 된다.The rear end pressing portion 138 and the hook protrusion 140 are formed by protruding first and second rear end position protrusions 142 and 142 'to correspond to the second hook protrusion 123. The first and second rear end protrusions 142 and 142 'are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ok protrusion 123 in the state where the hook protrusion 140 is inside the second lower opening 122'.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구를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에서 도 5에 설명된 실시예를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First,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의 (a)를 보면, 상기 지지돌기(36)가 상기 손잡이(14)에서 제1개구부(20)를 통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걸이돌기(40)는 상기 제2개구부(22)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돌기(36)가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조리부(12)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지지돌기(36)가 상기 손잡이(14)에서 돌출되어 지지돌기(36)와 손잡이(14)의 끝부분이 바닥에 닿으면서 조리부(12)가 바닥에서 멀리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5A, the support protrusion 36 protrudes through the first opening 20 from the handle 14, and the hook protrusion 40 is inside the second opening 22.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support projection 36 is supported on the floor is shown so that the cooking unit 12 does not touch the floor. In this case, the support protrusion 36 protrudes from the handle 14 such that the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36 and the handle 14 touches the floor, such that the cooking part 12 is far from the bottom.

이를 위해서는 상기 조작버튼(24)이 상기 조리부(12)를 향해 최대로 이동되어야 한다. 상기 조작버튼(24)의 이동은 상기 연동부재(28)의 이동을 만들어내면서 상기 지지바아(34)가 상기 제1개구부(20)를 통해 선단이 돌출되어 상기 지지돌기(36)가 돌출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조작버튼(24)이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지지돌기(36)는 임의로 상기 제1개구부(20)로 다시 들어가지 않게 된다.To this end, the operation button 24 should be moved to the maximum toward the cooking unit 12.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button 24 causes the support bar 36 to protrude through the first opening 20 while the support bar 34 protrudes while making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ing member 28. . When the operation button 24 is fixed in this state, the support protrusion 36 does not arbitrarily enter the first opening 20 again.

한편, 사용자가 상기 조작버튼(24)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상기 조작버튼(24)이 상기 손잡이(14)의 끝부분을 향해 이동하고, 손잡이(14)의 끝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위치로 조작버튼(24)이 이동되면, 상기 연동부재(28)가 이동되어 상기 지지돌기(36)는 상기 제1개구부(20) 내에 있게 되고, 상기 걸이돌기(40)는 상기 제2개구부(22)에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의 (b)에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돌기(40)가 냄비나 프라이팬 등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질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applies a certain force or more to the operation button 24, the operation button 24 is moved toward the end of the handle 14, the operation button to a position that can be moved in the end direction of the handle 14 When the 24 is moved, the interlocking member 28 is moved so that the support protrusion 36 is in the first opening 20, and the hook protrusion 40 protrudes from the second opening 22. It becomes. This state is in Figure 5 (b), as shown, the hanger 40 can be hooked to the inlet edge of the pot or frying pan.

그리고, 상기 조작버튼(24)을 상기 입구부(18)의 중앙에 상기 연결봉(26)이 위치될 수 있도록 조작하면 상기 연동부재(28)의 지지돌기(36)와 걸이돌기(40)는 모두 상기 손잡이(14)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각각 상기 제1개구부(20)와 제2개구부(2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button 24 is operated so that the connecting rod 26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let portion 18, both the support protrusion 36 and the hook protrusion 40 of the interlocking member 28 are all. Do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14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opening 20 and the second opening 22, respectively.

다음으로, 도 10을 참고하고 도 6 등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Nex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먼저, 도 10의 (a)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선단누름부(134)를 눌러서 상기 선단누름부(134)가 상기 제1상단개구부(120)의 내측으로 더 들어가게 하여 상기 지지돌기(136)가 상기 제1하단개구부(120')를 통해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First, the state shown in (a) of FIG. 10 is to press the tip pressing portion 134 so that the tip pressing portion 134 further enters the inside of the first upper opening 120, the support protrusion 136 Is to protrude through the first lower end opening 120 '.

상기 제1하단개구부(120')를 통해 상기 지지돌기(136)가 돌출되면 상기 제2위치돌기(137')가 상기 제1하단개구부(120')의 입구에 있는 제1걸이돌기(121)의 외측에 있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돌기(136)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제1하단개구부(120')의 내부로 상기 지지돌기(136)가 들어가지 않게 된다.When the support protrusion 136 protrudes through the first lower end opening 120 ′, the first hook protrusion 121 at the inlet of the first lower end opening 120 ′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protrusion 137 ′. Outside of the position is fixed. In this state, if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s not applied to the support protrusion 136, the support protrusion 136 does not enter the inside of the first lower end opening 120 ′.

이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바아(130)가 상기 회전축(124)을 중심으로 약간 회전되면서 상기 후단누름부(138)가 상기 제2상단개구부(122)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상기 걸이돌기(140)가 상기 제2하단개구부(122')를 통해 돌출된 상태라면, 걸이돌기(140)가 제2하단개구부(122') 내부로 들어가도록 만든다.In this state, the connecting bar 130 is rotated slightly around the rotation shaft 124 to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pressing portion 138 protrudes to the second upper opening 122. This movement causes the hook protrusion 140 to enter the second lower opening 122 'when the hook protrusion 140 protrudes through the second lower opening 122'.

이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136)가 상기 제1하단개구부(120')를 통해 돌출된 상태가 되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탁 등의 바닥에 상기 조리용구(110)를 놓더라도 지지돌기(136)와 손잡이(114)의 끝부분이 바닥에 위치되면서 조리부(112)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pport protrusion 136 is protruded through the first lower end opening 120 ′, as shown in FIG. 10A, the cooking utensil 110 is placed on the bottom of a dining table. Even if the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136 and the handle 114 is placed on the floor so that the cooking unit 112 does not touch the floor.

한편, 상기 걸이돌기(140)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걸이돌기(140)가 상기 제2하단개구부(122')를 통해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후단누름부(138)를 눌러 상기 제2상단개구부(122)의 내부로 들어가게 한다. 상기 후단누름부(138)가 눌러지면 상기 걸이돌기(140)가 상기 제2하단개구부(122')를 통해 돌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제2하단개구부(122')의 입구에 형성된 제2걸이돌기(142')의 외측에 상기 제2후단위치돌기(142')가 걸어지면서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i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hook protrusion 140. In order for the hook protrusion 140 to protrude through the second lower end opening 122 ′, the rear end pressing unit 138 is pressed into the second upper opening 122. When the rear end pressing part 138 is pressed, the hook protrusion 140 protrudes through the second lower end opening 122 ′. This state is maintained while the second rear end position protrusion 142 'is walked outside of the second hook protrusion 142' formed at the inlet of the second lower end opening 122 '.

이때, 반대쪽의 상기 지지돌기(136)는 상기 제1하단개구부(12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는 상기 연동바아(130)가 상기 회전축(124)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이다. 상기 걸이돌기(140)가 상기 제2하단개구부(122')를 통해 돌출되어 있으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나 프라이팬의 입구 가장자리에 상기 걸이돌기(140)가 걸어져 조리용구(110)가 냄비나 프라임팬에 걸어져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 protrusion 136 on the opposite side enters into the first lower end opening 120 ′. This is because the linkage bar 130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124. When the hook protrusion 140 protrudes through the second lower end opening 122 ′, as shown in FIG. 10B, the hook protrusion 140 is hooked to the inlet edge of the pot or frying pan. Cooking utensils (110) to hang on the pot or prime pan.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0: 조리용구 12: 조리부
14: 손잡이 16: 수납공간
18: 입구부 20: 제1개구부
22: 제2개구부 24: 조작버튼
26: 연결봉 28: 연동부재
30: 연동몸체 32: 체결공
34: 지지바아 36: 지지돌기
38: 걸이바아 40: 걸이돌기
110: 조리용구 112: 조리부
114: 손잡이 116: 수납공간
118: 커버 119: 커버체결구
120: 제1상단개구부 120': 제1하단개구부
121: 제1걸이돌기 122: 제2상단개구부
122': 제2하단개구부 123: 제2걸이돌기
124: 회전축 128: 연동부재
130: 연결바아 132: 축공
134: 선단누름부 136: 지지돌기
137: 제1선단위치돌기 137': 제2선단위치돌기
138: 후단누름부 140: 걸이돌기
142: 제1후단위치돌기 142': 제2후단위치돌기
10: cooking utensil 12: cooking unit
14: handle 16: storage space
18: inlet 20: first opening
22: second opening 24: operation button
26: connecting rod 28: interlocking member
30: interlocking body 32: fastener
34: support bar 36: support protrusion
38: hanger bar 40: hanger
110: cooking utensil 112: cooking unit
114: handle 116: storage space
118: cover 119: cover fastener
120: first upper opening 120 ': first lower opening
121: first hook protrusion 122: second upper opening
122 ': second lower opening 123: second hook protrusion
124: rotation axis 128: linkage member
130: connection bar 132: shaft
134: tip pressing portion 136: support protrusion
137: first end position projection 137 ': second end position projection
138: rear end pressing portion 140: hook protrusion
142: first rear end position projection 142 ': second rear end position projection

Claims (8)

조리물과 접촉하는 조리부와,
상기 조리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조작버튼과,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조작버튼과 일체로 이동되고 상기 수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돌기가 선단에 구비된 지지바아와 상기 지지바아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걸이돌기가 선단에 구비된 걸이바아가 연동몸체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가 제1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조리부가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이돌기가 상기 제2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냄비나 프라이팬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지도록 되는 조리용구.
A cooking unit in contact with the food,
A handle which is formed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cooking unit and held by the user by hand;
An operation button mov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The support bar and the support bar are provided in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bar which is seated in the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handle and is integrally moved with the operation button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that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space. It includes an interlocking member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hook bar is provided on the distal end of the hook bar project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pening that communicates the storage space and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body,
The support protrus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to prevent the cooking unit from touching the floor, and the hook protrus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opening to be hooked to the inlet edge of the pan or frying pan. to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아와 걸이바아는 상기 연동몸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Th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ar and the hook bar extend from the interlocking body to b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손잡이의 수납공간에서 상기 조리부 방향쪽으로 개구되는 상기 제1개구부의 내외부로 입출되고,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손잡이의 수납공간에서 상기 손잡이의 끝부분 쪽으로 개구되는 상기 제2개구부의 내외부로 입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protrusion is entered in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that is opened toward the cooking unit in the storage space of the handle, the hook projection is opened toward the end of the handle in the storage space of the handle Cooking utensil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and exit into the second open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수납공간 내에 동시에 수납되고 어느 일측이 상기 제1개구부나 제2개구부를 통해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Th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hook protrusion are simultaneous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one side thereof protrudes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or the second opening portion.
조리물과 접촉하는 조리부와,
상기 조리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안착되고 양단에 구비된 지지돌기와 걸이돌기가 각각 상기 수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하단개구부나 제2하단개구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가 제1하단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조리부가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이돌기가 상기 제2하단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냄비나 프라이팬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지도록 되는 조리용구.
A cooking unit in contact with the food,
A handle which is formed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cooking unit and held by the user by hand;
And an interlocking member seated in a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handle and supporting protrusions and hook protrusions provided at both ends, each of which selectively protrudes into a first lower opening or a second lower opening to communicate the storage space with the outside.
The support protrus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lower end opening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to prevent the cooking unit from touching the floor, and the hook protrus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lower end opening to hang on the inlet edge of the pan or frying pan. Cooking utensil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지지돌기와 일체로 선단누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하단개구부의 반대쪽으로 형성된 제1상단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연동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걸이돌기와 일체로 후단누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하단개구부의 반대쪽으로 형성된 제2상단개구부를 통해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ront press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protrusion formed on one end of the interlocking member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upper end opening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lower opening, and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interlocking member. A cooking utensi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press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ok projection is exposed through the second upper opening portion formed opposite to the second lower open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손잡이의 수납공간에서 상기 조리부 방향쪽으로 개구되는 상기 제1하단개구부의 내외부로 입출되고,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손잡이의 수납공간에서 상기 손잡이의 끝부분 쪽으로 개구되는 상기 제2하단개구부의 내외부로 입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upport protrusion is introduced into and out of the first lower end opening which is opened toward the cooking unit in the storage space of the handle, the hook protrusion is opened toward the end of the handle in the storage space of the handle Cooking utensil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ower opening is to be entered into and ou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누름부와 지지돌기에는 각각 제1 및 제2 선단위치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제1상단개구부와 제1하단개구부의 입구에는 제1걸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후단누름부와 걸이돌기에는 각각 제1 및 제2 후단위치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제2상단개구부와 제2하단개구부의 입구에는 제2걸이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ront pressing portion and the support protrusion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leading position projecti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ok projection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first upper opening and the first lower opening, First and second rear end position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rear end pressing portion and the hook protrusion, respectively, and a corresponding cooking tool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second upper opening portion and the second lower opening portion.
KR1020110134106A 2011-12-14 2011-12-14 Cooking instrument KR1013069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106A KR101306940B1 (en) 2011-12-14 2011-12-14 Cooking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106A KR101306940B1 (en) 2011-12-14 2011-12-14 Cooking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502A KR20130067502A (en) 2013-06-25
KR101306940B1 true KR101306940B1 (en) 2013-09-10

Family

ID=4886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106A KR101306940B1 (en) 2011-12-14 2011-12-14 Cooking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94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071Y1 (en) * 2001-03-10 2001-10-06 김유미 ladle with hanger
JP2001275856A (en) * 2000-04-04 2001-10-09 Sekikawa Kohan Kk Rice scoop
KR200236588Y1 (en) * 2001-04-06 2001-10-11 희 성 이 Kitchen tools combined with hanger
KR200236317Y1 (en) * 2001-03-29 2001-10-26 임기동 ladle with hang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856A (en) * 2000-04-04 2001-10-09 Sekikawa Kohan Kk Rice scoop
KR200235071Y1 (en) * 2001-03-10 2001-10-06 김유미 ladle with hanger
KR200236317Y1 (en) * 2001-03-29 2001-10-26 임기동 ladle with hanger
KR200236588Y1 (en) * 2001-04-06 2001-10-11 희 성 이 Kitchen tools combined with 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502A (en)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7803A (en) Ergonomic handle for kitchen articles
US8167163B2 (en) Cooking pot having a lid supported on the pot in an upright position
KR20170040789A (en)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EP2949248B1 (en) Folding style handle structure for cookware
US20090095754A1 (en) Stackable cover for container
CN101396236A (en) Cooking device handle with hollow structure
JP4621545B2 (en) Drawer type drying cabinet
KR101306940B1 (en) Cooking instrument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KR200454958Y1 (en) Double sided frying pan
JP4285498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0988278B1 (en)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
KR200468194Y1 (en) The frying pan having the utility turner receptor on a handle
KR101748325B1 (en) Convenient scoop
KR101097991B1 (en) a hanger of cook-pot
KR101544341B1 (en) A turner receptor for frying pan
KR101507285B1 (en) Frying pan
CN217852247U (en) Scald-proof dining bowl for children
KR101217032B1 (en) Handle grip for preventing of pan-elbow
JP2019522516A (en) Fly back
KR200297012Y1 (en) Frying Pan on Which Enable to Both Sides
JP2016034384A (en) Chopping board
KR200230494Y1 (en) improve function with fry-fan
KR101518690B1 (en) Frying pan
KR200454956Y1 (en) Double frying 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