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930B1 -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인접채널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자동링킹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인접채널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자동링킹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930B1
KR101304930B1 KR1020120013500A KR20120013500A KR101304930B1 KR 101304930 B1 KR101304930 B1 KR 101304930B1 KR 1020120013500 A KR1020120013500 A KR 1020120013500A KR 20120013500 A KR20120013500 A KR 20120013500A KR 101304930 B1 KR101304930 B1 KR 101304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hannel
area
broadcas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044A (ko
Inventor
김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to KR1020120013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9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6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users'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receiv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디지털 방송서비스 환경에서 수신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던 서비스 채널의 수신가능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인접 채널로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함에 있어서 TPEG 우선수신, 서비스 선호도, 기존 수신이력, 동일 유사서비스 목록 데이터베이스 등을 고려하여 방송서비스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차량 등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자동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채널로 링킹해줌으로써 편리하게 이동형 디지털 방송서비스(예: TDMB)를 계속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높임과 동시에 차량 운전하는 중에 사용자의 주위를 운전에 유지시킴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수 채널들 중 자신이 시청하던 채널을 수작업으로 검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유사 채널을 찾아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인접채널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자동링킹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INKING BROADCASTING SERVICE OF NEIGHBOR-CHANNELS IN MOBI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WITH BROADCASTING SERVICE AUTO-LINKING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형 디지털 방송서비스 환경에서 수신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던 서비스 채널의 수신가능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인접 채널로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함에 있어서 TPEG 우선수신, 서비스 선호도, 기존 수신이력, 동일 유사서비스 목록 데이터베이스 등을 고려하여 방송서비스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서비스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또는 아날로그 라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송에서 출발하여 현재는 디지털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서비스는 텔레비전을 비롯하여 휴대폰 또는 차량용으로 사용되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휴대 이동 방송서비스인 중국 이동 방송서비스(China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일본의 지상파 DMB 방식의 표준인 ISDB-T 방식, 유럽 디지털 방송 규격인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방식 등으로 전세계적으로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서비스에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과 같이 이동성을 전제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이동형 디지털 방송서비스에서는 휴대폰 또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시청 또는 청취하기 위한 수신단말을 가지고 사용자가 언제나 어디서든 방송수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는 채널 설정 내지는 방송서비스 설정이 지역(권역)별로 개별적으로 규정되어 있기에, 그에 따라 수신단말이 이동중에 채널별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서비스를 계속해서 수신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즉, 현재 방송서비스의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수신단말은 일반적으로 서비스 지역의 이탈을 감지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당해 선택된 주파수의 채널만을 재생 시도한다.
한편, 종래에도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고 있던 단말이 당해 방송서비스의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수신단말이 이를 감지하고 자체적으로 인접한 채널들을 검색하는 기술이 있었다. 이처럼 인접한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 단말은 검색된 인접 채널의 신호 중 가장 먼저 검색된 채널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현재 사용자가 어떠한 채널을 선택하여 수신하고 있었는가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자가용 또는 버스 등의 다양한 이동 수단을 통해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 다른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단말이 자체적으로 설정하는 방송서비스를 일차로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시청 또는 청취하고 있던 방송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서비스 지역을 벗어날 때마다 전체 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채널들 중 자신이 원하는 채널을 선택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만일 사용자가 자가용을 운전하는 중이라면 이러한 문제는 사고를 야기시킬 수 있는 위험요소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형 디지털 방송서비스 환경에서 수신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던 서비스 채널의 수신가능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인접 채널로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함에 있어서 TPEG 우선수신, 서비스 선호도, 기존 수신이력, 동일 유사서비스 목록 데이터베이스 등을 고려하여 방송서비스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수신단말의 지역이동에 대응하여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하여, 이동형 디지털 방송에 대한 채널 및 서비스 정보를 지역별로 저장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메모리부(207); 지역이동에 따른 이동형 디지털 방송의 서비스 지역 이탈이 감지되면 메모리부의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탈 이전의 서비스 지역에서 수신하던 기존 방송서비스의 서비스ID와 비교하여 하위 미리 설정된 디지트가 동일한 서비스ID를 갖는 방송서비스 항목을 신규 진입한 서비스 지역에서 획득하는 경우 위 획득된 방송서비스 항목을 유사서비스로 설정하고 유사서비스로 채널을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메모리부(207)는 수신단말에 대해 지역별로 방송서비스의 재생시간과 재생회수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역별 방송서비스 선호도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205)는 지역이동에 따른 서비스 지역 이탈이 감지되면 메모리부의 제 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규 진입한 서비스 지역에서의 방송서비스 선호도에 기초하여 선호서비스를 설정하고 선호서비스로 채널을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모리부(207)는 지역별로 TPEG 서비스가 제공되는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3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205)는 지역이동에 따른 서비스 지역 이탈이 감지되면 사용자 설정에 TPEG 우선수신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메모리부의 제 3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규 진입한 서비스 지역에서의 TPEG 서비스 가능 채널을 획득하고 위 획득된 TPEG 서비스 가능 채널로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모리부(207)는 지역별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링크지정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205)는 지역이동에 따른 서비스 지역 이탈이 감지되면 메모리부의 제 4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신규 진입한 지역에 링크지정 채널이 존재하면 링크지정 채널로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수신단말의 지역이동에 대응하여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하여, 이동형 디지털 방송에 대한 채널 및 서비스 정보를 지역별로 저장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지역이동에 따른 서비스 지역 이탈을 검출하는 제 2 단계; 지역 이탈에 대응하여, 이탈 이전의 서비스 지역에서 수신하던 기존 방송서비스의 서비스ID와 비교하여 하위의 미리 설정된 디지트가 동일한 서비스ID를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규 진입한 서비스 지역에서 검색하는 제 3 단계; 검색 결과 방송서비스 항목을 획득하는 경우 위 획득된 방송서비스 항목을 유사서비스로 설정하는 제 4 단계; 위 설정된 유사서비스로 채널을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링킹 방법은, 수신단말에 대해 지역별로 방송서비스의 재생시간과 재생회수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역별 방송서비스 선호도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제 6 단계; 지역 이탈에 대응하여, 제 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규 진입한 서비스 지역에 대하여 방송서비스 선호도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제 7 단계; 검색 결과 방송서비스 선호도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방송서비스 선호도에 기초하여 선호서비스를 설정하는 제 8 단계; 위 설정된 선호서비스로 채널을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제 9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링킹 방법은, 지역별로 TPEG 서비스가 제공되는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3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제 10 단계; 지역 이탈에 대응하여 사용자 설정에 TPEG 우선수신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 11 단계; 확인 결과 TPEG 우선수신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 3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규 진입한 서비스 지역에서의 TPEG 서비스 가능 채널을 획득하는 제 12 단계; 위 획득된 TPEG 서비스 가능 채널로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제 1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링킹 방법은, 지역별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링크지정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제 14 단계; 지역 이탈에 대응하여 제 4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규 진입한 지역에 링크지정 채널을 검색하는 제 15 단계; 검색 결과 링크지정 채널이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링크지정 채널로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제 1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차량 등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자동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채널로 링킹해줌으로써 편리하게 이동형 디지털 방송서비스(예: TDMB)를 계속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높임과 동시에 차량 운전하는 중에 사용자의 주위를 운전에 유지시킴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수 채널들 중 자신이 시청하던 채널을 수작업으로 검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유사 채널을 찾아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서울(수도권) 지역에서의 지상파 DMB 서비스의 입수가능한 컨텐츠 정보를 정리한 도면.
[도 3]은 대전(충청) 지역에서의 지상파 DMB 서비스의 입수가능한 컨텐츠 정보를 정리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의 기능적 내부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방송 수신단말이 방송서비스 지역을 이탈하는 경우 채널 설정 시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 첨부된 본 발명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된 형태 또는 배치 등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 대한 부가적인 실시예에 대한 균등 또는 확장은 도면을 참조한 설명을 통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먼저 디지털방송 제공 서버(10)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나의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서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KBS 방송을 송신하는 서버와 MBC 방송을 송신하는 서버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방송 서버에서 이들을 모두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개별 방송(예: KBS, MBC)을 송신하는 서버도 여러 개의 서버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지역에 따라서 디지털방송 제공 서버(10)는 동일 방송사라도 서로 다른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디지털방송 제공 서버(10)에서 전체의 지역을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커버하여 KBS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대전 및 충청권 지역을 커버하는 KBS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서로 다른 서버가 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에서 하나의 방송 전체를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든 방송이 하나의 디지털방송 제공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것처럼 도시하였다. 그러나 디지털방송 제공 서버(10)를 지역 또는 방송사들의 수에 따라 더 많은 수의 방송 서버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방송 서버의 개수 등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지상파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설계에 관련된 항목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사항에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
제 1 방송 네트워크(20)와 제 2 방송 네트워크(30)는 지역에 따라 방송서비스의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방송 네트워크(20)가 대한민국의 서울과 경기 지역을 커버하기 위한 하나의 네트워크라면, 제 2 방송 네트워크(30)는 대한민국의 대전과 충청권을 커버하기 위한 하나의 네트워크이다.
따라서 제 1 방송 네트워크(20)의 하위에는 각 방송서비스 컨텐츠들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기지국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제 1 디지털방송 송신기(40)를 그 중 하나의 예로 설정하였다. 또한 제 2 방송 네트워크(30)의 하위에도 각 방송서비스 컨텐츠들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기지국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제 2 디지털방송 송신기(50)를 그 중 하나의 예로 설정하였음에 유의하기로 하자.
이처럼 제 1 디지털방송 송신기(40)와 제 2 디지털방송 송신기(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지역을 커버하는 방송서비스 컨텐츠들을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 내지 관련 장비들이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환경에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방송 수신단말(100)이 제 1 디지털방송 송신기(40)의 영역에서 디지털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디지털방송 수신단말(100)은 자신이 원하는 지역에서 검색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지털방송 송신기(40)가 대한민국의 수도권 지역인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커버하는 디지털방송 송신기라 가정하면, 디지털방송 수신단말(100)은 [도 2]와 같은 종류의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는 대한민국의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서비스 컨텐츠들에 대한 채널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의 일 구현예로서 해당 서비스의 주파수 대역과 서비스 라벨(Serv Label) 서비스ID(Service ID), 서브채널 아이디(Shbch ID), 서비스 타입(Serv Type), 비트레이트(BitRate) 등을 함께 도시하고 있다.
디지털방송 수신단말(100)이 제 1 디지털방송 송신기(40)의 지역에 포함되어 [도 2]에 도시한 서비스들 중 하나의 서비스 예를 들어 서비스 라벨의 YTN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청취하고 있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디지털방송 수신단말(100)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리적으로 이동하여 제 2 디지털방송 송신기(50)의 지역으로 진입하면, 서로 다른 지역에서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는 [도 3]과 같이 서로 다른 형태와 다른 주파수 등을 사용하게 된다.
[도 3]에는 대한민국의 대전 및 충청권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서비스 컨텐츠들에 대한 채널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해당 서비스의 주파수와 서비스 라벨 및 서비스ID 등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정보를 [도 2]와 대비하여 살펴보면, 예컨대 YTN 서비스의 경우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는 183.008 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YTN'이라는 서비스 라벨으로 서비스되지만, 대전 및 충청권에서는 202.736 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CJB-m YTN'이라는 서비스 라벨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수신단말(100)은 예컨대 YTN 서비스를 시청하다가 제 1 디지털방송 송신기(40)의 지역(서울 및 경기)을 벗어나 제 2 디지털방송 송신기(50)의 지역(대전 및 충청권)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아예 방송서비스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인접한 채널(199.280 MHz)인 MBC11 FM의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 수신단말(100)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로 이동하도록 미리 설정한 경우 선호도 높은 채널을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 수신단말(100)은 현재 수신하고 있는 방송서비스 컨텐츠와 유사한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검색하도록 설정한 경우 [도 2]에 예시한 서비스들 중 자신이 제공받고 있는 방송서비스 컨텐츠와 가장 유사한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도 3]의 데이터로부터 검색하여 유사한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미리 특정 채널을 우선적으로 검색하도록 설정한 경우 특정 채널을 우선적으로 검색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자세한 사항은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의 기능적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무선부(201)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제어부(205)의 제어에 의해 주파수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한 후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부(201)에서 기저대력 신호로 변환된 신호는 디코더부(203)로 입력되는데, 디코더부(203)는 기저대역의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한다. 디코더부(203)에서 복조 및 복호 시 음성 신호인 경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며, 영상 신호인 경우 제어부(205)를 통해 화면 제공부(211)로 출력된다. 이때, 제어부(205)와 디코더부(203)는 하나의 칩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디코더부(203)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는 제어부(205)를 거치지 않고 직접 화면 제공부(211)로 출력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만, 음성과 영상의 동기 제어를 위해 제어부(205)는 출력되는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의 출력 시점을 제어한다.
제어부(205)는 무선부(20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고, 디코더부(203)를 제어하여 기저대역 신호의 복조 및 복호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9)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터치 패드의 입력 또는 사용자의 음성 인식 등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처럼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일반적인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20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코더부(203)에서 복조 및 복호된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의 동기를 맞춰 스피커(SPK) 및 화면 제공부(211)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5)는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지역의 이탈을 감지하고, 서비스 지역을 이탈한 경우 현재 지역의 서비스 권역을 검사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도를 위주로 채널을 검색할 것인지 또는 유사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우선으로 채널을 검색할 것인지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채널로 이동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처럼 채널 설정의 결정이 완료되면, 무선부(201)를 제어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을 튜닝한 후 디코더부(203)를 제어하여 해당하는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하여 음성과 영상의 복조 및 복호를 제어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5]에서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메모리부(207)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제어 데이터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및 사용자가 입력해 둔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는 하드디스크,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시디(CD), 디브이디(DVD)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저장 장치가 될 수 있다.
메모리부(207)는 수신단말(100)의 지역이동(서비스 지역 이탈, 서비스 지역 신규 진입)이 발생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제어부(205)가 수행하는 자동링킹 동작을 보조하기 위하여 제 1 데이터베이스(DB-1) 내지 제 4 데이터베이스(DB-4)를 설정 및 운용한다.
제 1 데이터베이스(DB-1)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에 대한 채널 및 서비스 정보를 지역별로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도 2]와 [도 3]에 제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채널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지역별로 저장한다.
제 2 데이터베이스(DB-2)는 수신단말(100)에 대해 지역별로 사용자의 방송서비스 선호도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때, 사용자의 방송서비스 선호도는 지금까지 수신단말(100)을 통해 이루어진 방송서비스의 재생시간과 재생회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기초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 3 데이터베이스(DB-3)는 지역별로 티팩(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서비스가 제공되는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디지털 방송 채널 중에는 TPEG 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는 채널이 있고 그렇지 않은 채널이 있다. 만일 사용자가 DMB/네비게이션 통합단말을 사용하고 있다면 TPEG 수신채널을 선호할 것이며, 그에 따라 이를 보조하기 위해서 제 3 데이터베이스(DB-3)는 지역별로 TPEG 서비스가 제공되는 채널의 정보를 저장한다.
제 4 데이터베이스(DB-4)는 지역별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링크지정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사용자가 링크를 소망하는 채널을 수동으로 설정해두었다면 그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9)는 수신단말(100)의 사용자가 각자 소망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키 입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키 매트릭스 형태, 키패드 형태, 터치 패드 형태, 음성 인식 모듈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화면 제공부(211)는 사용자에게 지상파 디지털 방송서비스를 통해 제공된 컨텐츠의 영상을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LCD, 브라운관, LED 패널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방송 수신단말이 방송서비스 지역을 이탈하는 경우 채널 설정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205)는 (S300)단계에서 무선부(201)와 디코더부(203)를 제어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부(201)로 수신되는 방송서비스 컨텐츠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고, 디코더부(203)에서 기저대역의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음향을 포함한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의 복조 및 복호를 제어한 후 스피커(SPK) 및 화면 제공부(211)로 동기를 맞춰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S300)단계에서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제어부(205)는 (S302)단계로 진행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가 미약해져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는가를 검사한다. 만일 (S302)단계의 검사결과 방송 신호가 미약해져 서비스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어부(205)는 (S30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S300)단계의 방송서비스 제공을 계속 수행한다.
이때, 방송서비스 지역의 이탈에 대한 검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로 신호 수신 세기가 약해지는가를 검사함으로써 방송서비스 지역의 이탈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방송서비스 지역 이탈 검출의 핑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부(201)에서는 서로 다른 2개의 튜너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메일 튜너로 설정된 튜너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값 이하이고, 이러한 상태가 일정시간 동안 지속되거나 또는 보다 미약하게 되는 경우 보조로 설정되어 있는 튜너에서 다른 지역으로 진입하고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지역으로 진입하고 있는가에 대한 검사는 제 1 임계값과 같거나 다른 제 2 임계값을 설정하여 제 2 임계값보다 높은 상태가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다른 방송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핑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들은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기술들에서 이미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여기서는 그 기술을 이용하여 응용할 수 있다.
한편, 만일 하나의 튜너만 가진 경우라면,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기 어려운 정도로 미약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다른 서비스 채널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서비스 채널들 중 임계값 이상의 신호를 가진 채널이 존재하면, 서비스 지역 이탈로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205)는 (S30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TPEG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인지를 검사한다. 만일 수신단말(100)이 TPEG 서비스를 지원하고 사용자가 TPEG 서비스를 소망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05)는 제 3 데이터베이스(DB-3)로부터 신규 진입한 지역에 대한 TPEG 서비스 가능 채널을 우선 순위로 하여 검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우선 순위는 사용자기 미리 설정하는 형식에 따라 (S304)단계를 두지 않을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수신단말(100)이 TPEG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장치인 경우에는 (S304)단계를 포함하지 않도록 흐름도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 5]에서는 TPEG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PEG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이고, 현재 제공받고 있는 방송서비스 컨텐츠가 TPEG 서비스라면, 제어부(205)는 (S306)단계로 진행하여 TPEG 서비스 채널을 우선적으로 검색한 후 (S322)단계로 진행한다.
반면에 TPEG 서비스를 수신 중이 아니거나 TPEG 서비스를 제공받지 않는 단말이거나 사용자가 TPEG 수신 우선을 소망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205)는 (S308)단계로 진행하여 선호도 채널을 우선적으로 검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가를 검사한다. (S308)단계의 검사결과 선호도 채널을 우선적으로 검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05)는 (S31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S312)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S310)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05)는 메모리부(207)의 사용자 선호도를 저장하고 있는 제 2 데이터베이스(DB-2)를 검색하여 선호도가 가장 높은 채널 순으로 해당 채널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제 2 데이터베이스(DB-2)에서 선호도가 가장 높은 채널을 검색할 때,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하는 채널에 대해 채널 설정시마다 빈도 카운트를 두고 빈도 카운트 값을 1씩 증가시킴으로써 가장 선호도가 높은 채널을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개별 채널에 대해서 재생시간과 재생빈도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구현의 용이성을 위해 이들 중 한가지만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선호도는 채널 단위로 구현할 수도 있고, 방송서비스 단위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어서, 유사서비스를 우선 설정한 경우를 살펴본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라벨(Serv Label)마다 서비스ID(Service ID)가 할당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서비스 라벨마다 살당된 서비스ID들은 유사서비스인 경우 최하위 2자리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서울 지역의 YTN 서비스 라벨의 서비스ID는 "0xF1E00400"이며, 하위 2자리는 '00'이다 이때 대전 지역에 유사서비스는 CJB-m YTN 서비스 라벨을 가지고 있고, 서비스ID는 "0xF1E00800"이다. 즉, 대전 지역의 CJB-m YTN 서비스 라벨의 서비스ID 하위 2자리 역시 '00'으로 서울 지역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다른 예로 서울 지역의 서비스 라벨이 MY MBC는 서비스ID가 "0xF1E00420"으로 하위 2자리는 '20'이다. 대전 지역에 유사서비스의 서비스ID는 my MBC11이고, 해당 서비스ID는 "0xF1E00820"이다. 즉, 대전 지역에서 유사서비스ID의 하위 2자리는 또한 '20'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울 지역의 서비스 라벨이 KBS HEART는 서비스ID가 "0xF1E00442"이고, 하위 2자리는 '42'이다. 대전 지역에 유사서비스의 서비스ID는 KBS HEART이며, 서비스ID가 "0xF1e00242"로 하위 2자리가 '42'가 된다.
이처럼 유사서비스인 경우 서비스 라벨에 대응하는 서비스ID의 하위 2자리를 비교함으로써 검색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데이터베이스(DB-1)가 이동형 디지털 방송에 대한 채널 및 서비스 정보를 지역별로 저장하며, 제어부(205)는 서비스 이탈 및 신규 진입이 감지되는 경우 제 1 데이터베이스(DB-1)를 조회하여 기존 방송서비스에 대한 신규 진입 지역에서의 유사서비스를 획득한다.
한편, (S308)단계에서 (S312)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205)는 이전 지역에서 시청하던 방송서비스에 대한 유사서비스를 우선적으로 검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가를 검사한다. 만일 유사서비스를 우선적으로 검사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05)는 (S314)단계로 진행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유사서비스를 검색한다.
하지만, 유사서비스를 우선으로 설정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5)는 (S316)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링크 지정한 서비스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데이터베이스(DB-4)에 링크지정 채널(사용자가 당해 신규 진입 지역에 대해 링크를 희망한다고 미리 지정해둔 채널)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S318)단계로 진행하여 그 링크지정 채널을 검색한다. 만일 사용자가 지정한 서비스 채널이 없는 경우 순차적으로 인접 채널을 검색하여 가장 빠르게 검색된 채널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S320).
이처럼 (S306)단계, (S310)단계, (S314)단계, (S318)단계에서 서비스 채널이 검색되면, 제어부(205)는 (S322)단계로 진행하여 그 검색된 채널로 자동 링킹하는 한편, 필요시 각종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만일 위 (S310)단계, (S314)단계, (S318)단계를 수행하는 중 적절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가장 인접한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05)는 무선부(201)를 제어하여 그 인접 채널로 링킹(linking)하도록 제어한 후 디코더부(203)를 제어하여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205)는 다시 (S300)단계로 진행하여 그 선택된 채널의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 디지털방송 제공 서버
20, 30 : 방송 네트워크
40, 50 : 디지털방송 송신기
100 : 디지털방송 수신단말
201 : 무선부
203 : 디코더부
SPK : 스피커
205 : 제어부
207 : 메모리부
209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11 : 화면 제공부

Claims (9)

  1.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수신단말의 지역이동에 대응하여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이동형 디지털 방송에 대한 채널 및 서비스 정보를 지역별로 저장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메모리부(207);
    상기 지역이동에 따른 이동형 디지털 방송의 서비스 지역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부의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탈 이전의 서비스 지역에서 수신하던 기존 방송서비스의 서비스ID와 비교하여 하위의 미리 설정된 디지트가 동일한 서비스ID를 갖는 방송서비스 항목을 신규 진입한 서비스 지역에서 획득하는 경우 상기 획득된 방송서비스 항목을 유사서비스로 설정하고 상기 유사서비스로 채널을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207)는 상기 수신단말에 대해 지역별로 방송서비스의 재생시간과 재생회수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역별 방송서비스 선호도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지역이동에 따른 서비스 지역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부의 제 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신규 진입한 서비스 지역에서의 방송서비스 선호도에 기초하여 선호서비스를 설정하고 상기 선호서비스로 채널을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207)는 지역별로 TPEG 서비스가 제공되는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3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지역이동에 따른 서비스 지역 이탈이 감지되면 사용자 설정에 TPEG 우선수신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의 제 3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신규 진입한 서비스 지역에서의 TPEG 서비스 가능 채널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TPEG 서비스 가능 채널로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207)는 지역별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링크지정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지역이동에 따른 서비스 지역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부의 제 4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신규 진입한 지역에 링크지정 채널이 존재하면 상기 링크지정 채널로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장치.
  5.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수신단말의 지역이동에 대응하여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형 디지털 방송에 대한 채널 및 서비스 정보를 지역별로 저장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지역이동에 따른 서비스 지역 이탈을 검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지역 이탈에 대응하여, 상기 이탈 이전의 서비스 지역에서 수신하던 기존 방송서비스의 서비스ID와 비교하여 하위의 미리 설정된 디지트가 동일한 서비스ID를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규 진입한 서비스 지역에서 검색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검색 결과 방송서비스 항목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획득된 방송서비스 항목을 유사서비스로 설정하는 제 4 단계;
    상기 설정된 유사서비스로 채널을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에 대해 지역별로 방송서비스의 재생시간과 재생회수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역별 방송서비스 선호도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제 6 단계;
    상기 지역 이탈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신규 진입한 서비스 지역에 대하여 방송서비스 선호도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7 단계의 검색 결과 방송서비스 선호도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방송서비스 선호도에 기초하여 선호서비스를 설정하는 제 8 단계;
    상기 설정된 선호서비스로 채널을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제 9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지역별로 TPEG 서비스가 제공되는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3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제 10 단계;
    상기 지역 이탈에 대응하여 사용자 설정에 TPEG 우선수신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 11 단계;
    상기 확인 결과 TPEG 우선수신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3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신규 진입한 서비스 지역에서의 TPEG 서비스 가능 채널을 획득하는 제 12 단계;
    상기 획득된 TPEG 서비스 가능 채널로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제 13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지역별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링크지정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제 14 단계;
    상기 지역 이탈에 대응하여 상기 제 4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신규 진입한 지역에 링크지정 채널을 검색하는 제 15 단계;
    상기 제 15 단계의 검색 결과 링크지정 채널이 검색되는 경우, 상기 검색된 링크지정 채널로 링킹하도록 무선부를 제어하는 제 16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방법.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방송서비스 자동링킹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13500A 2012-02-10 2012-02-10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인접채널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자동링킹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304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500A KR101304930B1 (ko) 2012-02-10 2012-02-10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인접채널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자동링킹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500A KR101304930B1 (ko) 2012-02-10 2012-02-10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인접채널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자동링킹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044A KR20130092044A (ko) 2013-08-20
KR101304930B1 true KR101304930B1 (ko) 2013-09-06

Family

ID=4921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500A KR101304930B1 (ko) 2012-02-10 2012-02-10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인접채널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자동링킹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9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69B1 (ko) 2006-08-0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dmb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KR20090000864A (ko) * 2007-06-28 2009-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69B1 (ko) 2006-08-0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dmb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KR20090000864A (ko) * 2007-06-28 2009-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044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0712B2 (en) Channel selection in a receiver for terrestrial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JP4237689B2 (ja) 移動通信端末機の位置情報を利用する放送チャンネル制御装置及び方法
US8614770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KR100814490B1 (ko) 무선 디바이스
JP417651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7477872B2 (en) Automatic tuning system for a mobile DVB-T receiver
US20070060082A1 (en) Receiving apparatus
KR20040073454A (ko) 디지털 음성 방송 수신 장치
US8521236B2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mobile broadcast services and channel control method therefor
JP5281802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101304930B1 (ko)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인접채널 방송서비스를 자동으로 링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자동링킹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698076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validity of a radio station lookup table
EP2866363B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CN1929348B (zh) 提供服务链接信息的方法和切换服务的方法
JP2009159212A (ja) 携帯型放送受信装置
CN101268687A (zh) 数字广播接收装置
JP482350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と放送システム
KR101378783B1 (ko)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정합 핸드오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10011266A (ja) データ放送受信装置及び携帯型機器
KR10075163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있어서의 선택적 부가 서비스처리 방법
KR100737096B1 (ko) Dmb 수신기에서 채널 탐색 방법
KR100700806B1 (ko) 디엠비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방송 채널 설정장치 및방법
KR200369938Y1 (ko) 유레카-147 기반의 방송 수신기
JP2008211288A (ja) 移動体放送受信装置及び移動体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
JP200715916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