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002B1 - Detachable displaying appararus for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Detachable displaying appararus for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002B1
KR101304002B1 KR1020070054127A KR20070054127A KR101304002B1 KR 101304002 B1 KR101304002 B1 KR 101304002B1 KR 1020070054127 A KR1020070054127 A KR 1020070054127A KR 20070054127 A KR20070054127 A KR 20070054127A KR 101304002 B1 KR101304002 B1 KR 101304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backlight
display device
dmb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5931A (en
Inventor
박형준
강성환
권의혁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002B1/en
Publication of KR2008010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9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0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탈 상태에 따라 백라이트의 온 시간을 제어하는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display device of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achable display device of a refrigerator for controlling an on time of a backlight according to a detachable state.

본 발명인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는 냉장고 상태 화면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와, 액정 표시부에 광원을 제공하는 백라이트와, 냉장고의 수용홈에 탈착 및 장착이 되되, 전면에 액정 표시부를 노출시키는 본체와, 냉장고 상태 화면의 표시를 수행할 때, 본체가 냉장고의 수용홈으로부터 탈착된 경우의 백라이트의 제1 기준 온 시간이 본체가 냉장고의 수용홈에 장착된 경우의 백라이트의 제2 기준 온 시간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백라이트 제어부를 구비하여, 전력 소비가 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detach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displaying a refrigerator status screen, a backlight for providing a light source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a detachable and mount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of the refrigerator, and a main body for expos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to the front, and a refrigerator. When the display of the status screen is performed, the first reference on time of the backlight when the main body is detached from the accommodating groove of the refrigerator is controlled to be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on time of the backlight when the main body is mounted on the accommodating groove of the refrigerator. The backlight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optimize power consumption.

Description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DETACHABLE DISPLAYING APPARARUS FOR REFRIGERATOR}Detachable display device of a refrigerator {DETACHABLE DISPLAYING APPARARUS FOR REFRIGERATOR}

도 1은 일반적인 LCD 장치의 전면 표시의 실시예이다.1 is an embodiment of a front display of a typical LCD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2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detach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efrigerator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와, 디스플레이장치가 분리된 경우의 부분 사시도이다.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when the refrigerator and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도 5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메인 제어 장치 20: 디스플레이장치10: main control unit 20: display uni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탈 상 태에 따라 백라이트의 온 시간을 제어하는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display device of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achable display device of a refrigerator for controlling an on time of a backlight according to a detachable stat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증발하는 냉동사이클을 반복하면서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저온화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can keep a food fresh for a predetermined period by reducing the temperature of a freezing room or a refrigerating room while repeating a refrigeration cycle in which a refrigerant compresses, condenses, expands, and evaporates.

이와 같은 냉장고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감압시키는 팽창밸브와,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를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로 증발시키면서 냉동실 또는 냉장실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증발기를 기본부품으로 하는 냉동사이클로 구성된다. The refrigerator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refrigerant into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 refrigerant,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compressor to liquid refrigera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expansion valve to the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gaseous refrigerant while absorbing heat in the freezing chamber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freezing chamber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at a low temperature.

최근에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뿐 아니라 냉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동실 도어 측에는 차가운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얼음 취출장치가 일체로 형성되고, 냉장실 도어 측에는 냉장실 내부에 저장된 음료나 물 등을 냉장실 도어를 개폐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꺼낼 수 있도록 홈바가 형성된다.Recently, side-by-side refrigerators are not only to satisfy various needs of the user, but also to prevent cold air loss. An ice extractor capable of extracting cold water or ic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eezer door side. The home bar is formed so that the stored beverage or water can be easily taken out even if the refrigerator door is not opened or closed.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본체의 상측에 장착된 메인 마이컴(또는 메인 제어부)과, 냉장고 도어에 고정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서브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제어 장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microcomputer (or a main control unit)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control devices including a submicrocomputer included in a display device fixedly mounted on the refrigerator door.

도 1은 일반적인 LCD 장치의 전면 표시의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LCD 장치는 냉장고 도어의 수용홈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얼음)와, 냉동실의 설정온도, 냉장실의 설정온도를 표시하고, 하단에 소정의 입력수단이 구비된다. 1 is an embodiment of a front display of a typical LCD device. As shown, the LCD device displays the service type of the dispenser (eg ice, water, flake ice), the s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the set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is fixedly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refrigerator door. The predetermined input means is provided in.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어떠한 기술적 구성을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탈착하여 냉장고가 설치된 장소 이외의 곳으로 이동한 경우, 다른 사용자가 냉장고를 제어하거나, 냉장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전혀 제공하고 있지 않다. Such a conventional refrigerator does not provide any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 detachable display device. Also, when a user removes the display device and moves to a place other than the place where the refrigerator is installed, another user controls the refrigerator or the refrigerator It does not provide any configuration to check the status of.

본 발명은 냉장고로의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항시 냉장고 상태의 표시 및 제어를 수행하는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display device of a refrigerator capable of mounting and detaching into a refrigerator and performing display and control of the refrigerator state at all times.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탈착 상태에 따라 백라이트의 온 시간을 조절하여 소비전력을 최적화시키는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vable display device of the refrigerator to optimize the power consumption by adjusting the on time of the backlight according to the detached state of the display device.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냉장고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frigerator as an example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2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detach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efrigerator of FIG. 2.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냉장고 본체(2) 내부에 냉동실 및 냉장실이 양측에 구획되도록 형성되고, 냉장고 본체(2)의 전면에 각각 냉동실 도어(4a) 및 냉장실 도어(4b)가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냉장실 도어(4a) 전면에는 디스펜서(3)와,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장착된다. As shown in FIG. 2,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partitioned at both sides in a refrigerator body 2 having an open front side, and a freezer compartment door at each front side of the refrigerator body 2. 4a)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4b are hinged to open and close, and a dispenser 3 and a display device 20 are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4a.

여기서, 냉장고 본체(2)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격벽(미도시)에 의해 양측에 구획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벽에 증발기(미도시) 및 냉기를 송풍시키는 냉기순환용 팬(미도시)이 내장될 뿐 아니라 냉기공급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증발기 주변의 냉기가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refrigerator body 2 is formed such that the freezing chamber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are partitioned on both sides by barrier ribs (not shown), and a fan (not shown) for circulating cool air for blowing an evaporator (not shown) A cool air supply hole (not shown) is formed so that cool air around the evaporator can be suppli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circulated.

냉동실 도어(4a) 및 냉장실 도어(4b)는 일측 상하단이 냉장고 본체(2)에 힌지 커버(9a, 9b)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4a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4b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body 2 by hinge covers 9a and 9b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4a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4b can be opened and closed.

특히, 냉장실 도어(4a)의 외측 전면에 장방형상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에 디스플레이 장치(20)가 탈착 및 장착되도록 위치된다.Particularly, a rectangular-shaped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4a, and the display device 20 is placed in the receiving groove so as to be detachably mounted.

물론, 디스플레이장치(20)는 냉장고에 대한 제어 메뉴(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의 선택 및 표시, 냉동실 및 냉장실의 설정온도의 입력 및 표시 등)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현재 온도, 현재 일시, 날씨 등의 정보을 표시할 뿐 아니라 음향도 표출하도록 구성된다.Of course, the display device 20 not only displays a control menu for the refrigerator (selection and display of the service type of the dispenser, input and display of the s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etc.), but also the present temperature,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the weather. In addition to displaying information, it is also configured to display soun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냉동실 및 냉장실로 냉기를 생성 및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전체적인 냉장고(1)의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제어장치(10)와,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한 냉장고 상태의 표시 및 사용자에 의한 제어 입력을 수 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2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3, the refrigerator 1 controls a main controller 10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and supply of cold air to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performs control of the entire refrigerator 1, and a detachable refrigerator. The display device 20 performs a display of status and a control input by a user.

이들 메인 제어장치(10)와, 디스플레이장치(20)는 냉장실 도어(4a)의 힌지축(미도시)을 포함하는 힌지를 관통하는 데이터선(DL1, DL2) 및 전원선(PL1, PL2)으로 각각 연결되어 통신 및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보통 메인 제어 장치(10)는 본체(2)에서 공간 상의 제약이 적은, 본체(2)의 상측에 장착된다. The main control device 10 and the display device 20 are connected to data lines DL1 and DL2 and power lines PL1 and PL2 passing through a hinge including a hinge shaft (not shown) of the refrigerator door 4a Respectively, and 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are performed. Usually, the main control device 1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 which is less restricted in space in the main body 2. [

먼저, 메인 제어장치(10)는 외부상용전원(일반적으로, 220V)을 인가받아 소정의 크기의 구동전압으로 감압하여 이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11)와, 전원부(11)로부터 구동전압을 인가받아 압축기의 운전,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팬의 제어 등을 수행하여 냉각사이클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2)와, 디스플레이장치(2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와, 디스플레이장치(20)가 전원부(11)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14)와, 디스플레이장치(20)로의 구동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력선(PL1)과 유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선(DL1)이 연결된 연결부(15)와, 구동부(12)를 제어하여 냉각이 수행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냉동실 및 냉장실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9)로 이루어진다. 다만, 전원부(11)로부터의 구동전압은 메인 제어장치(10)의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에도 공급되며, 이러한 공급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명백한 기술에 불과하다.The main control unit 1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 that receives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generally, 220 V) and reduces the voltage to a predetermined driving voltage and supplies the driving voltage to the power supply unit 11, A driving unit 12 for driving a refrigeration cycle by performing operation of a compressor, control of a fan for circulating cold air in a freezing room and a refrigerating chamber, and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not shown)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20 A sensing unit 14 for sensing whether the display device 20 is supplied with dr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 a power line PL1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display device 20, A connection unit 15 to which a data line DL1 for communication is connected and a control unit 19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freezing and refrigerating chambers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2 to perform cooling. However, the driving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 is also supplied to other necessary components of the main control device 10, and this supply method is only an obvious techniqu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메인 제어장치(10)에 포함된 전원부(11)는 220V인 외부 상용전원을 예를 들면 12V로 감압하여 전력선(PL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에 공급하기도 하며, 메인 제어장치(10) 내의 전압이 요구되는 구성요소들에게 필요한 크기의 전압을 공 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1 included in the main control device 10 may reduce the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of 220V to, for example, 12V and supply the same to the display device 20 through the power line PL1. Supply the required voltage to components that require voltage.

구동부(12)는 압축기의 제어와 팬모터의 제어를 수행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냉기를 생성하여 순환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driving unit 12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compressor and the fan motor to generate and circulate cool air in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는 메인 제어 장치(10)와, 디스플레이장치(20) 간에 복수의 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는 bluetooth나, Zigbee 등과 같은 RF 통신장치이거나, IrDA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일 수도 있다. 다만, 메인 제어 장치(10)는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가 탈착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장치(20)와 메인 제어 장치(10)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13a and 13b are components that allow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control device 10 and the display device 20 in accordance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13a and 13b may be RF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bluetooth and Zigbee, or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IrDA. The main control unit 1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13a and 13b so that even when the display device 20 is detached, (10).

감지부(14)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에 장착된 경우, 연결부(15)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 연결되어, 전원부(11)의 구동전압이 디스플레이장치(20)에 제공될 경우, 이 구동전압의 공급 및 차단을 감지한다. 감지부(14)의 감지에 의해 구동전압이 디스플레이장치(20)에 공급될 경우,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에 장착된 것으로, 즉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감지부(14)의 감지에 의해 구동전압이 디스플레이장치(20)에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에서 탈착된 것으로, 즉 냉장고 본체(2)로부터 탈착된 것으로 판단한다.The sensing unit 14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20 when the display device 20 is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driving voltage of the power source unit 11 is provided to the display device 20 , And detects supply and cutoff of the drive voltage. When the driving voltage is supplied to the display device 20 by sensing the sensing unit 14, the control unit 19 determines that the display device 20 is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that is, mounted on the refrigerator body 2 . In addition, when the driving voltage is not supplied to the display apparatus 20 by the sensing of the sensing unit 14, the controller 19 is the display apparatus 20 detached from the receiving groove, that is, from the refrigerator main body 2.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etached.

연결부(15)는 전력선(PL1)과 데이터선(DL1)이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장치(20)의 연결부(28)에 결합되어, 전력선(PL1)을 통한 구동전압의 공급과, 데이터선(DL1) 을 통한 유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일종의 암/수 커넥터 또는 포트이다. The connection part 15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PL1 and the data line DL1 and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28 of the display apparatus 20 to supply the driving voltage through the power line PL1 and to supply the data line DL1. The wired communication is made through a kind of male / male connector or port.

전력선(PL1)은 전원부(11)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것으로, 접지선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데이터선(DL1)은 유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RS-232 통신 매체일 수 있다. The power line PL1 supplies the driving voltage of the power source unit 11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ground line. The data line DL1 is for wired communication and may be, for example, an RS-232 communication medium.

제어부(19)는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상태인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습도, 온도 등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장치(2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전송된 냉동실 및 냉장실의 설정온도 및 운전 형태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19)는 구동부(12)를 제어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냉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저장된 운전정보에 따라 수행한다. The controller 19 stores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stores the set temperature and the operating mod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nputted by the user from the display device 20. The control unit 19 controls the driving unit 12 to circulate the cool air in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o perform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ored operation information.

제어부(19)는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상태(예를 들면, 냉동실의 현재온도, 냉장실의 현재 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형태 등)와 운전정보(예를 들면, 냉동실의 설정온도, 냉장실의 설정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 등) 등을 저장하며, 별도의 저장부를 구비하거나 내장할 수 있도 있다. The controller 19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dispenser so that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dispenser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by changing the stat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or example, the current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Service type, etc.), and the like, and a separate storage unit may be provided or incorporated.

제어부(19)는 데이터선(DL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와 유선 통신가능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의 현재 상태 및/또는 운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냉동실 도어(2a) 등이 열려있다는 것에 대한 정보 데이터 등을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9)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운전 정보(예를 들면, 냉동실 및 냉장실의 설정온도 및 서비스형태)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The control unit 19 is capable of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apparatus 20 through the data line DL1 to transmit information data including the current state and / or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a or the like. Send information data and the like about being open. Further, the control unit 19 receives and stores the information data includ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or example, the set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service type).

또한,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0)와 데이터선(DL1) 또는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를 통하여 냉장고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When the display device 20 is mounted on the refrigerator body 2, the control unit 19 controls the display device 20 and the data line DL1 or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13a and 13b And transmits refrigerator status information. Further, the control unit 19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input by the user from the display device 20 and performs control corresponding thereto.

상술된 바와,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와, 메인 제어 장치(10) 간의 통신 방법을 설정하여,그에 따른 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9 sets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display device 20 and the main control device 10, and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ly.

다음으로, 디스플레이장치(20)는 전원부(11)로부터의 구동전압을 전력선(PL2)을 통하여 수신하여 복수의 크기의 사용전원으로 감압하여 제공하는 전원부(21a)와 충전부(21b)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22)와, 백라이트(25)에 의해 생성된 광에 의해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LCD(23)와,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정보가 LCD(23)에 표시되도록 표시신호로 변환하여 LCD(23)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24)와, LCD(23)로 광을 생성하는 인가하는 백라이트(25)와, 음향을 통하여 발산하는 스피커부(26a)와, 음향 및/또는 음성을 획득하는 마이크(26b)로 이루어진 오디오부(26)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30)에 제공하는 DMB 모듈(27)과, 메인 제어 장치(10)의 연결부(15)와 연결되어, 구동전압의 공급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연결부(28)와, 메인 제어장치(1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통신부(29a), (29b)와, 메인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된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을 메인 제어 장치(10)로 송신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식품보관관리모드 및 DMB 방송 모드를 수행하는 제 어부(30)로 이루어진다. 다만, 전원부(21a)와 충전부(21b)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21)로부터의 구동전압은 디스플레이장치(20)의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에도 공급되며, 이러한 공급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명백한 기술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20)의 본체는 LCD(23)가 전면에 노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냉장고의 수용홈에 탈착 및 장착되는 케이스이다. Next, the display apparatus 20 receives the driving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 through the power line PL2 and depressurizes the power supply to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and provides the power supply unit 21a and the charging unit 21b and the user. The input unit 22 for receiving an input of the LCD, the LCD 23 for displaying the state and / or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by the light generated by the backlight 25, and the state and / or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are displayed in the LCD ( A screen control unit 24 for converting into a display signal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3 to control the LCD 23, a backlight 25 for generating light to the LCD 23, and a speaker unit 26a emitting through sound. ), An audio unit 26 including a microphone 26b for acquiring sound and / or voice, a DMB module 27 for receiv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BM) signal and providing a digital signal to the controller 30; ,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5 of the main control device 10, supply and drive of the driving voltage Connection unit 28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29a and 29b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ler 10, and a refrigerator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ler 10. The control unit 30 displays status and / or driving information, transmits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o the main control device 10, and performs a food storage management mode and a DMB broadcasting mode by the user's selection. . However, the driving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unit 21 including the power supply unit 21a and the charging unit 21b is supplied to other necessary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20. This supplying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one in which the user is familiar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ly a clear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In addition, the main body of the display apparatus 20 is a cas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so that the LCD 23 is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and is detached and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of the refrigerator.

자세하게는, 전원부(21a)는 예를 들면, 12V의 공급전원을 인가받아, 그대로 백라이트(25)에 공급하기도 하고, 복수의 크기(예를 들면, 5V, 3.3V, 1.8V)의 사용전원으로 감압하여 필요한 구성요소들에 공급한다. 충전부(21b)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되어, 전원부(11)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충전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로부터 탈착되어 외부로부터 구동전압을 공급받지 않는 경우, 전원부(21a)와 동일한 전원 공급 기능을 수행한다. More specifically, the power source unit 21a may be supplied with the power source 12V, for example, as it is, and may be supplied to the backlight 25 as it is. The power source unit 21a may be a power source of a plurality of sizes (for example, 5V, 3.3V, The pressure is reduced to provide the necessary components. The charging unit 21b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splay device 20 is mounted on the refrigerator body 2 and charges the driving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 so that the display device 20 is detached from the refrigerator body 2, When the voltage is not supplied, the power supply unit 21a performs the same power supply function.

입력부(22)는 LCD(23) 주변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23)는 버튼식이거나 터치패드식이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되어 그 버튼의 개수 및 형식이 설정된다. The input unit 22 i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LCD 23 and can be easily input by the user. The input unit 23 is a button type or a touch pad type, and the number and type of the buttons are set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interface.

입력부(22)는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 설정을 위한 온도설정수단(22a)과,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 얼음 등)를 설정하기 위한 디스펜서 설정수단(22b)과, LCD(23)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냉장고의 상태 설정, 냉장고의 제어, 식품보관관리모드 화면, DMB 화면 및 채널 등의 표시화면 등)를 활성화시키고 선택하는 메뉴수단(22c)과, 식품보관관리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식품보관버튼(22d)과, DMB 방송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DMB 버튼(22e)와, 현재 표시된 사 용자 인터페이스의 이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이전화면버튼(22f)와, 기타 다른 선택을 위한 수단(22g 내지 22j) 및 LCD(23)에 표시된 정보의 확인 및 선택 등을 위한 메뉴/선택버튼(22k) 등으로 이루어진다. The input unit 22 includes temperature setting means 22a for setting the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ispenser setting means 22b for setting the service type of the dispenser (ice ice, water, flake ice, etc.), and the LCD 23. Menu means 22c for activating and selecting a user interface (setting of a refrigerat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displaying a food storage management mode, displaying a screen of DMB screens, channels, etc.) and performing a food storage management mode. A food storage button 22d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a DMB button 22e for executing the DMB broadcasting mode, a previous screen button 22f for displaying the previous user interface of the currently displayed user interface, and other selections. And menu / selection buttons 22k and the like for checking and selecting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eans 22g to 22j and the LCD 23, and the like.

LCD(23), 화면 제어부(24) 및 백라이트(2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DMB 방송, 식품보관관리에 관련된 화면,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제어정보를 표시한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아바타가 표시되는 배경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아바타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 냉장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도 2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23)는 기본화면으로 아바타(곰그림)(33)와, 냉장고의 기본정보(31)를 표시하고, 날씨정보(또는 당일의 기상상황) 및 현재일(32)를 표시한다. The LCD 23, the screen control unit 24, and the backlight 25 display a user interface, a DMB program, a screen related to food storage management, and the status and / or control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This user interface may be the background in which the avatar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may additionall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refrigerator condition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with the avatar (see FIG. 2). 2, the LCD 23 displays an avatar (bear figure) 33 and basic information 31 of a refrigerator as a basic screen, and displays weather information (or a weather condition on the day) and current day 32).

스피커(26a)는 식품보관관리모드의 수행 중에 음성인식 안내 등을 음향으로 표출하고, 마이크(26b)는 냉장고(1)의 전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획득된 음성 또는 음향을 제어부(30)에 인가한다. The speaker 26a emits a voice recognition guidance or the like while performing the food storage management mode and the microphone 26b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1 to facilitate acquisition of the user's voice, Or sound to the control unit 30.

DMB 모듈(27)은 디스플레이장치(20)에 장착된 안테나 등을 통하여 수신된 DMB 신호 중에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22)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DMB 신호를 선국하는 튜너(27a)와, 튜너(27a)로부터 전송된 DMB 신호를 증폭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하는 베이스밴드(27b)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밴드(27b)는 튜너(27a)로부터 수신한 복조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역인터리빙 및 에러정정을 수행한다. The DMB module 27 is a tuner for tuning a DMB signal of a desired channe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among DMB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or the like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20. [ A base band 27b for amplifying the DMB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uner 27a to convert it into a baseband signal, converting it into a digital signal and demodulating it, and transmitting the demodulated digit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 . The baseband 27b also performs deinterleaving and error correction on the demodulated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tuner 27a.

연결부(28)는 메인 제어 장치(10)의 연결부(15)에 대응하여, 암/수 커넥터 또는 포트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될 때, 연결부(15)와 결합되어, 전력선(PL1)과 (PL2) 간의 결합 및 데이터선(DL1)과 (DL2) 간의 결합을 통하여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연결부(28)는 이러한 연결을 위해 디스플레이장치(20)의 본체 외부로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된다. The connection portion 28 may be configured as an arm / male connector or a por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15 of the main control device 10. When the display device 20 is mounted on the refrigerator body 2, And is coupled to the power line 15 so that the electric connection is established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power lines PL1 and PL2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data lines DL1 and DL2. The connection part 28 is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isplay apparatus 20 for such a connection.

제1 및 제2통신부(29a), (29b)는 메인 제어 장치(10)의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에 대응하는 통신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을 구현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29a and 29b may be implemented as communication mea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13a and 13b of the main control apparatus 10, Lt; / RTI &gt;

제어부(30)는 기본적으로, 메인 제어 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하여,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냉장고의 제어 명령을 메인 제어 장치(10)로 전송한다. 제어부(30)는 메인 제어 장치(10)에 의해 설정된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한다. 즉, 메인 제어 장치(10)가 데이터선(DL1), (DL2)에 의한 유선 통신을 시작하게 되면, 그에 따른 유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1 및 제2통신부(29a), (29b)에 의한 무선통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것은 메인 제어 장치(10)가 디스플레이장치(20)의 탈착 및 장착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상 모든 장치의 상태를 신속하게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The control unit 30 basically communicates with the main control unit 10 to display the status and / or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of the refrigerator selected by the user to the main control unit 10 . The control unit (30)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set by the main control device (10). That is, when the main control apparatus 10 starts the wired communication by the data lines DL1 and DL2, the wired communication is per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29a and 29b And does not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This is because it is preferable that not only the main control device 10 can detect the detachment and mounting of the display device 20, but also always quickly recognize the state of all the devices.

또한, 제어부(30)는 DMB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DMB 화면 정보를 저장한다. 이 DMB 화면 정보는 사용자가 DMB 버튼(22e)을 누른 경우, 그에 대응하는 DMB 동작 시작 화면, 채널 선택을 위한 화면, 볼륨 선택을 위한 화면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30)는 DMB 모듈(27)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신 호를 디코딩하여 화면 제어부(24)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를 송신하는 디코딩 기능 등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 stores DMB screen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DMB mode. When the user presses the DMB button 22e, the DMB screen information includes a user interface screen such as a DMB operation start screen, a channel selection screen, and a volume selection scree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includes a decoding function for transmitting a signal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screen control unit 24 by decoding the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DMB module 27.

또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식품보관버튼(22d)을 작동시킨 경우, 식품보관관리모드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냉동실과 냉장실에 저장되는 물품(또는 식품 등)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식품보관관리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식품보관관리정보를 저장한다. 이 식품보관관리정보는 식품정보 저장 모드, 식품정보 찾기 모드, 식품정보 삭제 모드 및 식품정보 알림 모드의 수행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performs the food storage management mode when the user operates the food storage button 22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 stores the food storage management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food storage management mode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article (or food, etc.) information stor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food storage management information stores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food information storage mode, the food information search mode, the food information deletion mode, and the food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먼저, 식품정보 저장 모드는 사용자가 입력한 식품정보(식품명, 보관기한, 개수 또는 양 등)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식품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화면, 사용자가 저장하고자 하는 식품목록을 표시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사용자가 저장하는 식품의 보관기한을 저장하기 날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예를 들면, 달력 화면) 등을 포함한다. First, the food information storage mode is for storing food information (food name, storage time limit, number or amount, etc.) inputted by the user, and displays a screen for storing food information by the user, And a screen (e.g., a calendar screen)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a date for storing the storage period of the food stored by the user.

식품정보 찾기 모드는 사용자가 현재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식품명에 대응하는 식품에 대한 정보(식품목록리스트 등)를 표시하는 화면과,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식품에 대한 보관기한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등을 포함한다. In the food information search mode, when the user wants to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food currently stored in the refrigerator 1, a screen displaying information (food list list, etc.) corresponding to the food name input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 screen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 storage deadline for the food retrieved by the user.

식품정보 삭제 모드는 식품정보 찾기 모드 등을 통하여 선택된 식품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경우로, 삭제할 대상의 선택과 삭제 선택 및 삭제 취소 등을 포함하는 화면 등을 포함한다. The food information deletion mode is for deleting food information selected through a food information search mode, and the like, and includes a screen including a selection of a target to be deleted, a selection of deletion, and a deletion cancellation.

마지막으로, 식품정보 알림 모드는 제어부(30)가 기저장된 식품정보를 판독하며, 기저장된 보관기한을 도과한 식품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드이다. 식품정보 알림모드는 보관기한을 도과한 식품을 표시하는 화면과, 이들 식품정보를 삭제할 수 있는 화면과, 보관기한을 도과한 식품에 대한 새로운 보관기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등을 포함한다. Lastly, the food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control unit 30 reads the pre-stored food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food or the like that has undergone the stored storage period. The food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includes a screen for displaying food items that have exceeded their storage period, a screen for deleting these food information, and a screen for selecting a new storage deadline for foods that have exceeded their storage period.

상술된 식품정보 저장 모드와, 식품정보 찾기 모드 및 식품정보 삭제 모드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의존하여 수행되는 것이고, 식품정보 알림 모드는 사용자가 또는 자동적으로 이 알림 모드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제어부(30)이 독자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The food information storage mode, the food information search mode and the food information deletion mode are performed depending on the input from the user, and the food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user can automatically or automatically select the notification mode, And is a service that the control unit 30 independently provides.

또한, 제어부(30)는 현재 일시 등을 산정하는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어서, 식품의 보관기한의 도과 등을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 has a built-in timer for calculating the current date and time, etc., so that it is possible to judge the storage period of the food or the like.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이러한 식품보관관리모드의 수행을 위해, 입력부(22)를 통한 입력과,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22)에 의한 입력은 상술된 바와 같다. The refrig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2 and speech recognition input for recognizing the user's voice in order to perform the food storage management mode. The input by the input unit 22 is as described above.

음성 인식 입력을 위해, 제어부(30)는 음성 인식 모듈(또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이 음성 인식 모듈은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또는 음성 신호)를 마이크(26b)로부터 제공받아, 이 음성에 대응하는 정보(예를 들면, 텍스트, 숫자, 문자 등)로 인식하여 식별하는 수단이다. 이 음성 인식 모듈은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펌웨어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음성 인식 모듈에 의해 식별된 정보를 LCD(23)에 표시할 수도 있다. For speech recognition input, the control unit 30 comprises a speech recognition module (or speech recognition algorithm). The speech recognition module receives the user's voice (or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26b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section 30 and recognizes it as information (for example, text, numbers, characters, etc.) . The speech recogni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in hardware, in software, or in firmware. The controller 30 may display th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speech recognition module on the LCD 23.

또한, 제어부(30)는 식품보관버튼(22d)가 작동된 경우, 우선적으로 음성 인식 입력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즉시 음성 인식 기능을 시작함을 스피커(26a)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제어부(30)는 이 음성 인식 기능의 시작을 알린 후, 일정 시간 동안 마이크(26b)로부터의 음성을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하여 판독하지 않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ood storage button 22d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30 may preferentially perform the voice recognition input func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 informs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26a that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is started immediately. Further, after informing the start of the speech recognition function, the control unit 30 may not read the voice from the microphone 26b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modul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와, 디스플레이장치가 분리된 경우에 따른 부분 사시도이다.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20)는 냉동실 도어(4a)의 디스펜서(3) 상측에 형성된 수용홈(5)에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한다. 디스플레이장치(20)는 일측에 메인 제어 장치(10)의 연결부(15)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연결부(28)를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의 일측에 구비한다. 수용홈(5)의 일측에는 메인 제어 장치(10)의 연결부(15)가 장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5) 내로 삽입되어 장착된 경우, 연결부(15)와 연결부(28)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 및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apparatus 20 may be detachable and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5 formed above the dispenser 3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4a. The display device 20 is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connection portion 28 for electrically coupling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5 of the main control device 10 at one side of the display device main body. The connecting portion 15 of the main control device 1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5 and the connecting portion 15 and the connecting portion 28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5 when the display device 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5, So that data 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are performed.

메인 제어 장치(10)의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는 통신 방식에 따라, 예를 들면,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수용홈(5)에 적절한 소자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장착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도의 변경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당연히 인식되는 정도에 불과하다.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13a and 13b of the main control apparatus 10 are connected to the receiving groove 5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cation system, . Such changes are of course only appreci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5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자세하게는, 단계(S11)에서,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의 수용홈(5)으로부터 탈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상술된 바와 같이, 메인 제어장치(10)가 디스플레이장치(20)의 탈착 및 장착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므로, 제어부(30)는 메인 제어 장치(10)가 주도하는 통신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20)의 본체가 탈착 및 장착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 장치(10)가 디스플레이장치(20)의 탈착 및 장착 상태에 대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장치(20)로 송신할 경우에도, 제어부(30)는 탈착 및 장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장치(20)가 탈착 상태이면, 단계(S12)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S18)로 진행한다.In detail, in step S11,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apparatus 20 is detached from the accommodation groove 5 of the refrigerator. This determina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in control device 10 confirms the detachment and mount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20, and performs communication by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ly, the controller 30 is the main control device 10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body of the display apparatus 20 is detached and mounted by a communication method led by). In addition, even when the main control apparatus 10 transmits a message about the detachment and mounting states of the display apparatus 20 to the display apparatus 20, the controller 30 may check the detachment and mounting states. If the display apparatus 20 is in the detached state, the flow proceeds to step S12. Otherwise, the flow advances to step S18.

단계(S12)에서, 제어부(30)는 입력부(22)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단계(S1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1)로 진행한다. In step S12, the controller 30 checks whether there is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2. If there is user inpu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

단계(S13)에서,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므로, LCD(23)를 통하여 냉장고 상태 화면 등을 표시해야 하므로, 백라이트(25)를 온시킨다. 물론, 제어부(30)는 화면 제어부(24)를 제어하여 냉장고 상태 화면이 LCD(23)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도 수행한다. In step S13, since the controller 30 has a user input, the controller 30 should display the refrigerator status screen through the LCD 23, thereby turning on the backlight 25. Of course, the controller 30 also controls the screen controller 24 to control the refrigerator status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LCD 23.

단계(S14)에서,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입력이 DMB버튼(22e)이며,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DMB 모드의 시작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DMB 모드의 시작이면 단계(S1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5)로 진행한다. In step S14, the controller 30 checks whether the user's input is the DMB button 22e, and starts the DMB mod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If it is the beginning of the DMB mod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6;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5.

단계(S15)에서, 제어부(30)는 백라이트(25)의 온시간(Ton)이 제1기준온 시 간(TDon)에 도달하거나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제1기준온시간(TDon)은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로부터 탈착된 경우에, 백라이트(25)를 온시키는 기준시간에 해당된다. 단계(S15)에서, 제어부(30)는 백라이트(25)를 제1기준온시간(TDon) 동안 온시키고, 단계(S17)로 진행한다. In step S15,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on time Ton of the backlight 25 reaches or passe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Do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Don corresponds to a reference time for turning on the backlight 25 when the display apparatus 20 is detached from the refrigerator main body 2. In step S15, the controller 30 turns on the backlight 25 for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Don and proceeds to step S17.

단계(S16)에서, 제어부(30)는 DMB 모드가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즉, 제어부(30)는 DMB 모드가 진행 중인 동안 백라이트(25)의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DMB 모드가 종료되면 단계(S17)로 진행한다. DMB 모드가 진행 중일 동안에, LCD(23)에 광원이 요구되므로 단계(S16)가 필요하다. In step S16, the controller 30 checks whether the DMB mode is terminated. That is, the controller 30 maintains the on state of the backlight 25 while the DMB mode is in progress, and when the DMB mode ends, the controller 30 proceeds to step S17. While the DMB mode is in progress, a step S16 is necessary because a light source is required for the LCD 23.

단계(S17)에서, 제어부(30)는 백라이트(25)를 오프시킨다. In step S17, the controller 30 turns off the backlight 25.

단계(S18)에서, 제어부(30)는 입력부(22)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단계(S1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3)로 진행한다. In step S18, the control unit 30 checks whether there is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2. If there is user inpu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9,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3.

단계(S19)에서,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므로, LCD(23)를 통하여 냉장고 상태 화면 등을 표시해야 하므로, 백라이트(25)를 온시킨다. 물론, 제어부(30)는 화면 제어부(24)를 제어하여 냉장고 상태 화면이 LCD(23)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도 수행한다. In step S19, since the controller 30 has a user input and needs to display a refrigerator status screen through the LCD 23, the controller 25 turns on the backlight 25. Of course, the controller 30 also controls the screen controller 24 to control the refrigerator status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LCD 23.

단계(S20)에서,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입력이 DMB버튼(22e)이며,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DMB 모드의 시작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DMB 모드의 시작이면 단계(S22)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1)로 진행한다. In step S20, the controller 30 checks whether the user's input is the DMB button 22e, and starts the DMB mod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If it is the beginning of the DMB mod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2,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1.

단계(S21)에서, 제어부(30)는 백라이트(25)의 온시간(Ton)이 제2기준온 시 간(TAon)에 도달하거나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제2기준온시간(TAon)은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로부터 장착된 경우에, 백라이트(25)를 온시키는 기준시간에 해당된다. 단계(S21)에서, 제어부(30)는 백라이트(25)를 제2기준온시간(TAon) 동안 온시키고, 단계(S17)로 진행한다. In step S21,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on time Ton of the backlight 25 reaches or passes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ime TAo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ime TAon corresponds to a reference time for turning on the backlight 25 when the display apparatus 20 is mounted from the refrigerator main body 2. In step S21, the controller 30 turns on the backlight 25 for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ime TAon and proceeds to step S17.

단계(S22)에서, 제어부(30)는 DMB 모드가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즉, 제어부(30)는 DMB 모드가 진행 중인 동안 백라이트(25)의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DMB 모드가 종료되면 단계(S17)로 진행한다. DMB 모드가 진행 중일 동안에, LCD(23)에 광원이 요구되므로 단계(S22)가 필요하다. In step S22, the controller 30 checks whether the DMB mode is terminated. That is, the controller 30 maintains the on state of the backlight 25 while the DMB mode is in progress, and when the DMB mode ends, the controller 30 proceeds to step S17. While the DMB mode is in progress, a light source is required for the LCD 23, so step S22 is necessary.

단계(S23)에서, 제어부(30)는 냉장고의 사용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냉장고의 사용은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 메인 제어 장치(10)로부터 연결부(28)를 통하여 수신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메인 제어 장치(10)는 냉장고의 사용으로, 예를 들면, 냉장고 도어의 오픈, 디스펜서의 사용 등을 인식하는 감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만약 냉장고의 사용이 있으면 단계(S2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1)로 진행한다. In step S23,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refrigerator is in use. The use of the refrigerator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1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8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apparatus 20 is mounted on the refrigerator main body 2. Basically, the main control apparatus 10 is provided with the sensing means which recognizes the use of a refrigerator, for example, opening of a refrigerator door, use of a dispenser, etc. If there is use of the refrigerato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4,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

단계(S24)에서,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므로, LCD(23)를 통하여 냉장고 상태 화면 등을 표시해야 하므로, 백라이트(25)를 온시킨다. 물론, 제어부(30)는 화면 제어부(24)를 제어하여 냉장고 상태 화면이 LCD(23)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도 수행한다. In step S24, since the controller 30 has a user input, the controller 30 should display a refrigerator status screen through the LCD 23, thereby turning on the backlight 25. Of course, the controller 30 also controls the screen controller 24 to control the refrigerator status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LCD 23.

상술된 단계(S15)에서의 제1기준온시간(TDon)과, 단계(S21)에서의 제2기준온시간(TAon)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Don in step S15 and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Aon in step S21 will be described.

제1기준온시간(TDon)은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로부터 탈착된 경우이므로, 구동전압을 메인 제어 장치(10)의 전원부(11)로부터 인가받지 않는 상태로, 충전부(21b)에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여 백라이트(25)를 온시키는 기준 시간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20)는 지속적인 동작을 위해 백라이트(25)를 통한 전력의 소비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Don is a case where the display apparatus 20 is detached from the refrigerator main body 2, the charging unit 21b is not applied to the driving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 of the main control apparatus 10. ) Is a reference time for turning on the backlight 25 by using the power charged in. Therefore, the display apparatus 20 needs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through the backlight 25 for continuous operation.

제2기준온시간(TAon)은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된 경우이므로, 구동전압을 메인 제어 장치(10)의 전원부(11)로부터 인가받아 백라이트(25)를 온시키는 기준 시간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20)는 백라이트(25)의 온 시간에 대하여 비교적 제한이 적다. Since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Aon is a case where the display apparatus 20 is mounted on the refrigerator main body 2, the backlight 25 is turned on by receiving a driving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 of the main control apparatus 10. Reference time. Therefore, the display apparatus 20 has a relatively small limit on the on time of the backlight 25.

이에 따라, 제1기준온시간(TDon)은 제2기준온시간(TAon)보다 작도록 설정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의 탈착 상태에서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작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Don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Aon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small in the detached state of the display apparatus 20.

다만, DMB 모드를 수행할 경우에는, 백라이트(25)에 의한 광원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므로, 제1기준온시간(TDon) 및 제2기준온시간(TAon)의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한다. However, when the DMB mode is performed, since the light source by the backlight 25 is continuously required,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Don and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Aon are not limited.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이하에서, 특허청구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에 대하여 기술한다.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루며,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예들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In the following, various aspects of the claimed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s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minimum of example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removable display devic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understood from various viewpoints.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description and not as a boundary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출원시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는 냉장고 상태 화면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와, 액정 표시부에 광원을 제공하는 백라이트와, 냉장고의 수용홈에 탈착 및 장착이 되되, 전면에 액정 표시부를 노출시키는 본체와, 냉장고 상태 화면의 표시를 수행할 때, 본체가 냉장고의 수용홈으로부터 탈착된 경우의 백라이트의 제1 기준 온 시간이 본체가 냉장고의 수용홈에 장착된 경우의 백라이트의 제2 기준 온 시간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백라이트 제어부를 구비하여, 전력 소비가 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detachable display devic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displaying a refrigerator status screen, a backlight for providing a light source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detachable and mounted in a receiving groove of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And a second reference on time of the backlight when the main body is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of the refrigerator when the main body is exposed from the accommodation groove of the refrigerator. The backlight controller may be controlled to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on time so that power consumption may be optimally achieved.

출원시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백라이트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백라이트를 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filing, the backlight controller of claim 2 is preferably turned on when there is an input to the display device.

출원시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백라이트 제어부는 본체가 냉장고의 수용홈에 장착된 경우,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이 있는 때 백라이트를 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ain body is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of the refrigerator, the backlight control unit of claim 3 is preferably turned on when the user uses the refrigerator.

출원시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장치는 본체의 냉장고의 수용홈으로의 장착 상태 및 탈착 상태를 인식하는 상태 인식부를 구비하여, 장착 및 탈착 상태에 따른 전력 소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stat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mounting state and a detached state of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into the accommodation groove of the refrigerator, so that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mounted and detached states can be made efficiently.

출원시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DMB 모듈과, 복조된 DMB 신호를 DMB 화면으로 변환하여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는 DMB 제어부를 구비하고, 백라이트 제어부는 DMB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백라이트를 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5 of claim 5 includes a DMB module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ignal, and a DMB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demodulated DMB signal to a DMB screen and displaying the same on a liquid crystal display. The controller may turn on the backlight while the DMB screen is displayed.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냉장고로의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항시 냉장고 상태의 표시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of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mount and detach the refrigerator to perform the display and control of the refrigerator status at all times.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탈착 상태에 따라 백라이트의 온 시간을 조절하여 소비전력을 최적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opt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by adjusting the on time of the backlight according to the detached state of the display device.

Claims (5)

냉장고 상태 화면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와;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displaying a refrigerator status screen; 액정 표시부에 광원을 제공하는 백라이트와;A backlight for providing a light source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냉장고의 수용홈에 탈착 및 장착이 되되, 전면에 액정 표시부를 노출시키는 본체와; A main body detachably attached to the accommodating groove of the refrigerator and expos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on a front surface thereof; 냉장고 상태 화면의 표시를 수행할 때, 본체가 냉장고의 수용홈으로부터 탈착된 경우의 백라이트의 제1 기준 온 시간이 본체가 냉장고의 수용홈에 장착된 경우의 백라이트의 제2 기준 온 시간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백라이트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When performing the display of the refrigerator status screen, the first reference on time of the backlight when the main body is detached from the accommodating groove of the refrigerator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on time of the backlight when the main body is mounted on the accommodating groove of the refrigerator. A detachable display device of a refrigerator, comprising: a backligh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백라이트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백라이트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The backlight controller is a removable display device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light is turned on when there is an input to the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백라이트 제어부는 본체가 냉장고의 수용홈에 장착된 경우, 냉장고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이 있는 때 백라이트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착탈 형 디스플레이장치.The backlight controller is a detachable display device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ain body is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refrigerator, the backlight is on when there is a user's use of the refrigerator.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디스플레이장치는 본체의 냉장고의 수용홈으로의 장착 상태 및 탈착 상태를 인식하는 상태 인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Th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stat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mounting state and the detachment state of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refrigerato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DMB 모듈과, 복조된 DMB 신호를 DMB 화면으로 변환하여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는 DMB 제어부를 구비하고, 백라이트 제어부는 DMB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백라이트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Th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DMB module that receives and demodulate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ignal, and a DMB controller converts the demodulated DMB signal into a DMB screen and displays the same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backlight controller includes a backlight while the DMB screen is displayed. Removable display device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o turn on.
KR1020070054127A 2007-06-01 2007-06-01 Detachable displaying appararus for refrigerator KR1013040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27A KR101304002B1 (en) 2007-06-01 2007-06-01 Detachable displaying appararus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27A KR101304002B1 (en) 2007-06-01 2007-06-01 Detachable displaying appararus for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931A KR20080105931A (en) 2008-12-04
KR101304002B1 true KR101304002B1 (en) 2013-09-04

Family

ID=4036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127A KR101304002B1 (en) 2007-06-01 2007-06-01 Detachable displaying appararus for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00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094A (en) * 1997-05-27 1998-12-05 배순훈 Refrigerator
JP2000274923A (en) 1999-03-23 2000-10-06 Minolta Co Ltd Refrigerator equipped with liquid crystal display
JP2009501311A (en) 2005-07-20 2009-01-1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Refrigerator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80488B1 (en) 2007-10-15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094A (en) * 1997-05-27 1998-12-05 배순훈 Refrigerator
JP2000274923A (en) 1999-03-23 2000-10-06 Minolta Co Ltd Refrigerator equipped with liquid crystal display
JP2009501311A (en) 2005-07-20 2009-01-1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Refrigerator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80488B1 (en) 2007-10-15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931A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3378B2 (en) system
US20190137169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operating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operating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US102812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normal operation of refrigerator
US20130327073A1 (en) Refrigerator
KR20080105932A (en) Refrigerator
KR101304117B1 (en) Information input method for refrigerator
KR101303986B1 (en) Refrigerator
KR101304002B1 (en) Detachable displaying appararus for refrigerator
CN111964350B (en) Refrigerator control method and device
JP5053837B2 (en) refrigerator
KR101392042B1 (en) Refrigerator
KR20080105928A (en) Refrigerator
KR20080105929A (en) Refrigerator
KR20080105930A (en) Detachable digital multimedia display for refrigerator
US8572989B2 (en) Avatar Kimchi refrigerator
JP2022043157A (en) refrigerator
JP2019045069A (en) Electronic device
US8413457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57352B1 (en) Refrigerator
KR100756447B1 (en) A refrigerator
KR200347403Y1 (en) Power supply of a combined television and refrigerator
JP2018185079A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system
KR20050056081A (en) A refrigerator
KR101186002B1 (en) A refrigerator
KR102152730B1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