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062B1 -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062B1
KR101303062B1 KR1020130011639A KR20130011639A KR101303062B1 KR 101303062 B1 KR101303062 B1 KR 101303062B1 KR 1020130011639 A KR1020130011639 A KR 1020130011639A KR 20130011639 A KR20130011639 A KR 20130011639A KR 101303062 B1 KR101303062 B1 KR 10130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air
block
wedg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주산업
Priority to KR1020130011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한 쌍의 합성수지관의 연결 및 분해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심플한 구조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흙이나 자갈 등을 사용하여 매설할 시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산부와 골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의 끝단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복수개의 고정 홀이 형성된 연결소켓과, 상기 연결소켓에 삽입되어 연결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들이 상기 연결소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홀들을 통해 상기 합성수지관들의 골부에 안착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상기 연결소켓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연결소켓과 고정블록 사이에 웨지 형태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블록이 상기 연결소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웨지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OF PLASTIC PIPE}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한 쌍의 합성수지관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소켓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내부에 전선을 매립하는 전선관의 경우에는 전선을 삽입할 시 상기 전선을 견인함에 따라 발생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관이 연결소켓과 분리되지 않아야 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인장 시험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소켓에 의하여 연결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의 인장시험 시에는 700kgf까지의 인장력이 작용할 때 까지는 상기 연결소켓으로부터 상기 합성수지관이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상기 연결소켓에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소켓에 합성수지관을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장에서 상기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시 관의 직경이 크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무거운 합성수지관의 경우에는 상기 합성수지 관이 매설되는 협소한 공간에서 상기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의 체결구멍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합성수지관이나 연결소켓 등을 이동시켜 가면서 연결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연결작업에 상당한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누수 등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어 긴급 유지보수를 할 경우에는 해당 합성수지관 또는 연결소켓을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소켓과 합성수지관을 분리해야 하나, 종래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의 경우 상기 합성수지관과 연결 장치를 분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의 문제점에 대하여 선행기술문헌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96955호에 개시된 '고러게이트관의 이음관'의 경우, 소켓트에 쐐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 구멍을 통해 쐐기를 삽입하여 상기 쐐기의 하단부가 상기 소켓트에 삽입된 고러게이트관의 요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소켓트에 한 쌍의 고러게이트관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상기 한 쌍의 고러게이트관을 소켓트에 연결하는 작업은 용이할지 모르나, 한 번 연결한 한 쌍의 고러게이트관은 분리하여 해체하기가 사실상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선관의 경우 한전 규정에 수밀문제 등과 같은 문제 발생 시 유지 보수작업이 가능하도록 분리 해체가 가능하게 제작되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으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96955호에 개시된 '고러게이트관의 이음관'의 경우에는 사실상 분리 해체가 불가능 하여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0585호에 개시된 '주름관 연결장치'의 경우, 연결소켓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주름관의 골부에 탄발성 고정구가 삽입 장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탄발성 고정구가 장착 블록의 걸림 턱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주름관이 연결소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첫째, 상기 고정구가 연결소켓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소켓의 외부로 장착 블록이 돌출되어야 하며, 상기 장착 블록에는 고정구의 양측이 삽입 지지되는 걸림 턱이 형성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구를 탄발성으로 제작해야 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여 금형비용 등과 같은 제작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체결공에 끼워진 고정구가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키홈에 삽입되는 잠금키를 이동 시나 연결 작업 시 분실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02596호에 개시된 '주름관용 연결구의 체결구조'의 경우, 연결구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부에 쐐기부재를 슬라이딩 체결한 후 상기 체결돌부와 쐐기부재의 홀을 관통하도록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한 쌍의 주름관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첫째, 협소한 공간에서 쐐기부재와 체결돌부의 홀을 일치시켜 가면서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해야만 함으로써 주름관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가이드부에 형성된 홈부에 흙이나 돌이 유입되면 상기 가이드부에 쐐기부재를 슬라이딩 체결하는 것이 불편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8578호에 개시된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의 경우 연결구에 쇄기결속공의 폭을 쐐기의 폭 보다 넓게 형성하여 상기 쇄기의 일측을 상기 쇄기결속공 일측으로 삽입시켜 일측으로 밀어 넣은 후 쐐기의 타측을 다시 쇄기결속공 타측으로 삽입시킨 다음 상기 쇄기를 쇄기 결속공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켜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연결구에 연결시키는 구조로서,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아 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상기 합성수지 이중벽관이 연결구의 정중앙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체결하는 쐐기의 특성 상 상기 쐐기를 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땅속에 매설되는 전선관의 특성상 좁은 공간에서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수평을 맞춘다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4326호에 개시된 '록킹 바 타입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의 경우는 일자형 접속관에 한 쌍의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삽입하여 연결한 후, 상기 일자형 접속관에 형성된 록킹 공에 록킹 바를 삽입 체결한 다음, 상기 록킹 바에 바 홀더를 체결함으로써 한 쌍의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현장에서 상기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연결할 시 관의 직경이 크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무거운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경우에는 상기 합성수지 이중벽관이 매설되는 협소한 공간에서 상기 록킹 바와 바 홀더의 체결구멍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합성수지 이중벽관이나 일자형 접속관 등을 이동시켜 가면서 연결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연결 작업에 상당한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좁은 공간 상 접속관의 하부면에서 록킹 바를 체결구멍에 일치시켜 체결하는 것도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관의 하부면에서 상기 록킹 바에 바 홀더를 체결한다는 것도 불편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70535호에 개시된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의 경우는 연결구에 한 쌍의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삽입한 후, 상기 연결구에 형성된 록킹 공에 핀 클립을 삽입하여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상기 한 쌍의 합성수지 이중벽관이 연결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핀 클립을 록킹 공에 체결하는 작업은 간편하나, 체결된 상기 핀 클립은 사실상 제거가 불가능함으로써 유지 보수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96955호(발명의 명칭 : 고러게이트관의 이음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0585호(발명의 명칭 : 주름관 연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02596호(발명의 명칭 : 주름관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8578호(고안의 명칭 :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4326호(고안의 명칭 : 록킹 바 타입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70535호(고안의 명칭 : 핀클립형 합성수지이중벽관 연결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합성수지관의 연결 및 분해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심플한 구조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흙이나 자갈 등을 사용하여 매설할 시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산부와 골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의 끝단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복수개의 고정 홀이 형성된 연결소켓과, 상기 연결소켓에 삽입되어 연결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들이 상기 연결소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홀들을 통해 상기 합성수지관들의 골부에 안착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상기 연결소켓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연결소켓과 고정블록 사이에 웨지 형태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블록이 상기 연결소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웨지블록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상기 연결소켓의 내주면과 상기 합성수지관들의 골부 사이에 개재되는 수밀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은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고정 홀들을 둘러싸도록 상기 연결소켓의 외주면 돌출 형성된 보강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고정 홀들을 통해 상기 합성수지관들의 골부에 안착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소켓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가이드 홈을 분할하도록 상기 가이드 홈에 돌출 형성된 격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을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체결시키는 슬라이딩 체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상기 바디부에 탈착 가능하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이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웨지블록은 상기 연결소켓과 고정블록 사이에 초기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지블록은 상기 고정블록을 따라 상기 웨지블록이 상기 연결소켓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연결소켓에 지지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지블록은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고정 홀을 통해 고정블록을 합성수지관의 골부에 삽입한 후, 한 쌍의 웨지블록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작업만으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연결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을 고정블록의 격벽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블록을 고정 홀을 통해 상기 합성수지관의 골부로부터 제거만 하게 되면 연결소켓으로부터 서로 연결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 작업 시 투입되는 작업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연결장치는 상기 연결소켓의 내부로 고정블록 및 웨지블록이 매립되는 구조로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매설 시 흙이나 자갈 등에 의해 상기 고정블록과 웨지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고정블록이 연결소켓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과, 상기 고정블록 및 웨지블록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합성수지관 연결부위의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예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고정블록과 한 쌍의 웨지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블록과 한 쌍의 웨지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블록과 한 쌍의 웨지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합성수지관의 끝단에 연결소켓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예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고정블록과 한 쌍의 웨지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블록과 한 쌍의 웨지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블록과 한 쌍의 웨지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8은 합성수지관의 끝단에 연결소켓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연결소켓(110), 고정블록(120), 웨지블록(wedge block : 13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소켓(110)은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연결소켓(110)의 내주면에는 지지턱(11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턱(111)은 상기 연결소켓(110)의 내주면 중앙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111)은 상기 연결소켓(110)의 양측 끝단부에서부터 상기 연결소켓(110)의 중앙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이 일정 깊이만큼 상기 연결소켓(110)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연결소켓(110) 내부에 삽입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끝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이 상기 연결소켓(110) 내부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지지턱(111)은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이 동일한 깊이로 상기 연결소켓(110)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소켓(11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은 전선관으로 사용되는 산부(211)와 골부(212)가 교호적으로 형성된 콜게이트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은 산부(211)의 중앙부가 절단되어 상기 연결소켓(1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을 산부(211)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연결하는 이유는 상기 합성수지관(210) 내부에 전선을 삽입할 시 상기 합성수지관(210)에 전선이 걸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골부(212)를 절단하여 서로 연결하게 되면 상기 합성수지관(210)에 전선을 삽입할 시 상기 전선이 절단된 골부(212)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전선의 삽입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산부(211)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연결함으로써 전선 삽입 작업 시에도 전선이 걸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전선 삽입 작업을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연결소켓(110)에는 복수개의 고정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홀들(112)은 상기 연결소켓(110)의 양측에 각각 한 쌍씩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홀들(112)이 형성된 상기 연결소켓(110)의 양측 끝단부는 상기 연결소켓(110)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이 상기 연결소켓(1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블록(120)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연결소켓(110)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고정블록(12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상기 연결소켓(110)의 중앙부 보다 단면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부(1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홀들(112)을 둘러싸도록 상기 연결소켓(110)의 외주면에는 보강 블록(114)이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공장 출하 시 합성수지관(210)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출하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관(210)을 적층 시 이웃하는 합성수지관(210)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132)에 충격이 가해져 이동됨으로?? 웨지블록(130)이 연결소켓(1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강 블록(114)은 웨지블록(130)의 손잡이부(132)와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연결소켓(1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110)의 외주면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소켓(110)에 합성수지관(210)을 삽입하여 연결할 때 사용되는 연결기구(도시되지 않음)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홈(1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록(120)은 상기 고정 홀들(112)을 통해 상기 연결소켓(110)에 삽입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들(210)의 골부(212)에 안착된다. 즉, 상기 고정블록(120)은 하단부는 상기 연결소켓(110)에 삽입되어 연결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들(210)의 골부(212)에 안착되어 상기 합성수지관들(210)의 골부(212)를 지지하고, 상단부는 상기 연결소켓(110)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 홀들(112)을 통해 상기 연결소켓(110)에 삽입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들(210)의 골부(212)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연결소켓(110)에 삽입되어 연결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들(210)이 상기 연결소켓(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블록(120)은 바디부(121)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21)는 상기 고정 홀들(112)을 통해 상기 합성수지관들(210)의 골부(212)에 안착되어 하단부는 상기 연결소켓(110)에 삽입되어 연결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들(210)의 골부(212)를 지지하며, 상단부는 상기 연결소켓(110)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연결소켓(110)에 삽입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들(210)이 상기 연결소켓(11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121)의 하부면은 상기 합성수지관들(210)의 골부(212)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아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합성수지관들(210)의 골부(212)와 밀착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바디(121)부의 상부면은 상기 연결소켓(11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아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홀들(112)을 통해 상기 바디부(121)가 상기 합성수지관들(210)의 골부(212)에 삽입되었을 시 상기 바디부(121)의 상부면과 연결소켓(210)의 외주면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바디부(121)의 양측면부는 상기 바디부(121)의 상부면에서 하부면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바디부(121)의 양측면부의 하단부만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바디부(121)의 양측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 홀(112)을 통해 상기 고정블록(120)을 상기 합성수지관들(210)의 골부(212)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여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홈(122)은 한 쌍의 웨지블록(130)과 슬라이딩 체결수단(140)에 의해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부(121)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소켓(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이 서로 다른 방향, 즉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홈(122)은 상기 바디부(121)의 상부면에서 하부면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체결수단(140)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과 슬라이딩 체결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이 각각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홈(1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홈(1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홈(1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22)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 보다 원형 또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때 상기 바디부(121)의 양측면부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디부(121)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홈(122)이 원형 또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한 쌍의 웨지블록(130)을 상기 가이드 홈(122)에 슬라이딩 체결시키는 상기 슬라이딩 체결수단(140)을 생략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체결수단(140)은 가이드 홈(122)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21)의 양측면부에는 클립 체결 홈(124)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클립 체결 홈(124)에는 연결 작업 시나 이동 시 상기 가이드 홈(122)에 슬라이딩 체결된 한 쌍의 웨지블록(130)이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클립(160)이 탈착 가능하게 더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160)은 상기 클립 체결 홈(124)을 따라 상기 바디부(12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클립(160)은 상기 고정블록(120)의 조립 시에는 테이프(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상기 바디부(1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체결수단(140)은 슬라이딩 홈부(141)과 슬라이딩 돌출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딩 홈부(141)는 상기 가이드 홈(122)의 양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142)는 상기 웨지블록(130)의 양측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부(141)에 슬라이딩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142)는 상기 가이드 홈(122)의 양측면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홈부(141)는 상기 웨지블록(130)의 양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142)가 슬라이딩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웨지블록(130)은 한 쌍이 상기 고정블록(120)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상기 연결소켓(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연결소켓(110)과 고정블록(120) 사이에 웨지(wedge) 형태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블록(120)이 상기 연결소켓(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웨지블록(130)은 상기 연결소켓(110)과 고정블록(120) 사이에 초기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웨지블록(130)은 상부면이 고정블록(120)의 격벽부(123)와 마주하는 일측에서부터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을 상기 고정블록(120)의 가이드 홈(122)을 따라 각각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연결소켓(110)과 고정블록(120) 사이에 초기 삽입할 시 상기 웨지블록(130)의 상부면 타측 끝단부가 상기 연결소켓(110)의 고정 홀들(112)이 형성된 부분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웨지블록(13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홈(122)의 형태와 대응될 수 있도록 사각형, 원형,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웨지블록(130)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만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을 상기 가이드 홈(122)에 슬라이딩 체결시키는 슬라이딩 체결수단(140)이 적용되며, 상기 웨지블록(130)이 원형 또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체결수단(140)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웨지블록(130)은 상기 고정블록(120)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이 상기 연결소켓(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연결소켓(110)에 지지되는 돌출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31)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지블록(130)은 상기 연결소켓(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부(132)는 상기 연결소켓(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웨지블록(13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웨지블록(130)에 돌출부(131)가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132)는 상기 연결소켓(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돌출부(13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상기 연결소켓(110)의 내주면과 상기 합성수지관들(210)의 골부(212) 사이에 개재되는 수밀패킹(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밀패킹(150)은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밀패킹(150)의 단면부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형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밀패킹(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소켓(110)의 지지턱(111)과 고정블록(120) 사이에 위치한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골부(212)와 연결소켓(11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밀패킹(15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소켓(110)의 양측 끝단부와 상기 고정블록(120) 사이에 위치한 상기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골부(212)와 연결소켓(11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연결장치의 연결소켓(110)은 공장에서 현장으로 출하될 시 합성수지관(210)의 일측 끝단부에 체결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소켓(110) 내부로 흙이나 자갈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소켓(110)의 끝단부에는 커버(18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180)는 상기 연결소켓(110)에 테이프(도시되지 않음)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110)의 고정 홀들(112)을 둘러싸는 보강블록(114)의 상부면에는 이동 시 상기 고정 홀들(112)을 통해 연결소켓(110) 외부로 고정블록(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170)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180)와 테이프(170)는 현장에서 합성수지관(210)을 조립할 시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로 연결될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끝단부에 형성된 골부(212)에 수밀패킹(150)을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서로 연결될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끝단부에 형성된 골부(212)에 수밀패킹(150)을 체결한 다음에는, 상기 수밀패킹(150)이 체결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끝단부를 각각 연결소켓(110) 내부로 삽입하여 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소켓(110)의 양측에서부터 중앙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연결되는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은 상기 연결소켓(110) 내부로 삽입되는 끝단부가 상기 연결소켓(110)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턱(111)과 맞닿을 때까지 상기 연결소켓(110)의 중앙부 방향으로 밀어 넣어 삽입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턱(111)에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끝단부가 맞닿도록 상기 연결소켓(110)에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연결소켓(110)에 형성된 고정 홀들(112)과 상기 한 쌍의 합성수지관들(210)에 형성된 골부들(212) 중 어느 하나의 골부(212)의 위치가 일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 홀들(112)을 통해 고정블록(120)을 삽입하여 상기 연결소켓(110)에 삽입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골부(212)에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소켓(110)에 삽입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골부(212)에 고정블록(120)을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블록(120)의 하단부에 의해서는 상기 합성수지관(210)의 골부(212)가 지지되며, 상기 고정블록(120)의 상단부에 의해서는 상기 고정 홀(112)이 형성된 상기 연결소켓(110) 부위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연결소켓(110)에 삽입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끝단부가 상기 연결소켓(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블록(120)은 한 쌍의 웨지블록(130)이 상기 고정블록(120)의 중앙부에서 밀착된 상태 또는 상기 고정블록(120)의 격벽부(123)에 한 쌍의 웨지블록(120)이 밀착된 상태로 상기 고정 홀들(112)을 통해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골부(212)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은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고정블록(120)의 격벽부(123)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고정블록(120)의 중앙부에서 서로 밀착된 상태로 상기 고정블록(120)의 중앙부에 고정시켜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은 상기 고정블록(120)과 슬라이딩 체결됨으로써 운반 시에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블록(12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운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홀들(112)을 통해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골부(212)에 고정블록(120)을 삽입하여 안착시킨 다음에는,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을 고정시킨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제거한 후,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을 상기 고정블록(120)의 가이드 홈(122)을 따라 각각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이 상기 연결소켓(110)과 고정블록(120) 사이에 웨지 형태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블록(120)이 연결소켓(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의 연결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웨지블록(130)의 손잡이부(132)는 상기 연결소켓(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132)를 파지하고 용이하게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을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웨지블록(130)의 상부면은 일측에서부터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연결소켓(110)과 고정블록(120) 사이에 초기 삽입될 시 상기 웨지블록(130)의 타측 끝단부가 상기 연결소켓(110)의 고정 홀들(112)이 형성된 부분에 걸리지 않고 상기 연결소켓(110)과 고정블록(120)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이 일정한 깊이만큼 상기 연결소켓(110)과 고정블록(120) 사이에 웨지 형태로 삽입되면 상기 웨지블록(130)의 돌출부(131)가 상기 고정 홀들(112)이 형성된 연결소켓(110) 부분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더 이상 상기 연결소켓(110)과 고정블록(120) 사이로 상기 웨지블록(130)이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130)을 고정블록(120)의 격벽부(123)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블록(120)을 고정 홀(112)을 통해 상기 합성수지관(210)의 골부(212)로부터 제거만 하게 되면 연결소켓(110)으로부터 서로 연결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210)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누수 등과 같은 현상이 발생될 경우 유지 보수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는 고정 홀(112)을 통해 고정블록(120)을 합성수지관(210)의 골부(212)에 삽입한 후, 한 쌍의 웨지블록(13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작업만으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연결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110)의 내부로 고정블록(120) 및 웨지블록(130)이 매립되는 구조로서, 상기 합성수지관(210)의 매설 시 흙이나 자갈 등에 의해 상기 고정블록(120)과 웨지블록(13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고정블록(120)이 연결소켓(11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과, 상기 고정블록(120) 및 웨지블록(130)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합성수지관(210) 연결부위의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연결소켓 (120) : 고정블록
(130) : 웨지블록 (140) : 슬라이딩 체결수단
(150) : 수밀패킹

Claims (11)

  1. 산부와 골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의 끝단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복수개의 고정 홀이 형성된 연결소켓;
    상기 연결소켓에 삽입되어 연결된 한 쌍의 합성수지관들이 상기 연결소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홀들을 통해 상기 합성수지관들의 골부에 안착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상기 연결소켓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연결소켓과 고정블록 사이에 웨지 형태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블록이 상기 연결소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웨지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고정 홀들을 통해 상기 합성수지관들의 골부에 안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소켓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의 내주면과 상기 합성수지관들의 골부 사이에 개재되는 수밀패킹을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은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턱을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고정 홀들을 둘러싸도록 상기 연결소켓의 외주면 돌출 형성된 보강 블록을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가이드 홈을 분할하도록 상기 가이드 홈에 돌출 형성된 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을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체결하는 슬라이딩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탈착 가능하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이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블록은,
    상기 연결소켓과 고정블록 사이에 초기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블록은,
    상기 고정블록을 따라 상기 웨지블록이 상기 연결소켓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연결소켓에 지지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블록은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20130011639A 2013-02-01 2013-02-01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130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639A KR101303062B1 (ko) 2013-02-01 2013-02-01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639A KR101303062B1 (ko) 2013-02-01 2013-02-01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062B1 true KR101303062B1 (ko) 2013-09-03

Family

ID=4945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639A KR101303062B1 (ko) 2013-02-01 2013-02-01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0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647B1 (ko) * 2013-10-28 2015-02-23 주식회사 오주산업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N108189999A (zh) * 2017-12-28 2018-06-22 宝鸡特种飞行器工程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分体式无人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4713U (ko) * 1984-12-13 1986-07-03
JPH0685481U (ja) * 1993-05-14 1994-12-06 木曽興業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パイプの連結具
KR20120100585A (ko) * 2011-03-04 2012-09-12 일우산업 주식회사 주름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4713U (ko) * 1984-12-13 1986-07-03
JPH0685481U (ja) * 1993-05-14 1994-12-06 木曽興業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パイプの連結具
KR20120100585A (ko) * 2011-03-04 2012-09-12 일우산업 주식회사 주름관 연결장치
KR101257766B1 (ko) 2011-03-04 2013-04-24 일우산업 주식회사 주름관 연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647B1 (ko) * 2013-10-28 2015-02-23 주식회사 오주산업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N108189999A (zh) * 2017-12-28 2018-06-22 宝鸡特种飞行器工程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分体式无人机
CN108189999B (zh) * 2017-12-28 2022-04-26 宝鸡特种飞行器工程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分体式无人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377B1 (ko) 철근 커플러
US9438022B2 (en) Modular device for protecting cables and conduits
KR101941127B1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RU2578014C2 (ru) Зажим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одного элемента на другом для подводной укладк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ух протяженных элементов с размещением одного элемента на другом
EP2833044B1 (en) Hydraulic hose guide
KR101039120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US20120195681A1 (en) Steel bar connector
CA2755481A1 (en) Conduit coupling with removable stop
KR101456055B1 (ko) 철근 마디 형태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 및 철근 이음 방법
KR10130306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1966226B1 (ko) 거푸집 패널 벽체
KR102010810B1 (ko) 철근이음용 가압식 커플러
KR20060122264A (ko) 원터치식 철근 연결구
CN102046890B (zh) 快速释放软管导向装置
KR100985146B1 (ko) Fc타입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570867B1 (ko) 고강도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20100045370A (ko) 세그먼트의 연결 방법 및 연결구
KR101403271B1 (ko)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와 이를 사용한 버팀보 및 버팀보 시공법
KR101035206B1 (ko)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JP5468733B2 (ja) 基礎貫通配管構造及び排水管の取り外し方法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KR200487780Y1 (ko) 파이프 고정용 밴드
KR20110011340U (ko) 호스 연결부의 분리방지용 연결 클램프
KR101494647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