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124B1 - 투명o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투명o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124B1
KR101302124B1 KR1020090023934A KR20090023934A KR101302124B1 KR 101302124 B1 KR101302124 B1 KR 101302124B1 KR 1020090023934 A KR1020090023934 A KR 1020090023934A KR 20090023934 A KR20090023934 A KR 20090023934A KR 101302124 B1 KR101302124 B1 KR 101302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bstrate
oled lighting
light
encap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092A (ko
Inventor
추혜용
이정익
조경익
이종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2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12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5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45Organic substrates, e.g. pla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O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OLED 조명장치 내에 스마트유리를 포함함으로써 빛의 방향 및 조사량 제어가 가능한 투명OLED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투명OLED 조명장치는 기판유리; 상기 기판유리 상에 형성되는 제1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상에 형성되는 유기층; 상기 유기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2 투명전극 및 봉지유리를 포함하되, 상기 기판유리 및 상기 봉지유리 중 적어도 하나는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유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LED, 액정유리, 전색성유리, SPD유리, 조사량

Description

투명OLED 조명장치{TRANSPARENT OLED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투명O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유리를 통해 투명OLED 조명장치를 형성함으로써 빛의 방향뿐 아니라 빛의 조사량까지 제어가 가능한 투명O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은 박막을 이용한 소형 경량화 및 박막화를 추구할 뿐 아니라 고해상도를 요구하며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유리기판을 이용하여 LCD나 유기전계 발광 특성을 이용하던 디스플레이장치들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박막 등을 기판으로 이용하여 소형경량화 및 박막화를 구현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차세대 플라스틱 디스플레이의 구현을 위해서는 현존하는 소자 제작 기술 중에 유기전계발광소자 기술이 가장 현실성이 있는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발광 방향에 따라 상부방출형, 하부방출형 및 양방향 즉 투명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상부방출형이나 하부방출형 OLED 조명장치는 투명하지 않으므로 창문형 조명으로 활용할 수 없고, 양전극과 음전극이 모두 투명전극으로 구성된 양방향 혹은 투명형 광원이 활용된다.
그러나, 양방향 조명이 가능한 투명OLED 조명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목적에 따라 한 방향으로만 조명하고자 할 경우에 조사하는 방향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최근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같은 적어도 두 개의 광 방출 소자를 갖는 다양한 유형의 광 방출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며, 양면에서 광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양면 광 방출 장치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양면 광 방출 장치들은 방출되는 광의 색만을 제어할 수 있을 뿐, 양면 광 방출 장치에서 발광되는 빛의 방향을 조절하거나 또는 빛의 조사량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빛의 방향 및 조사량을 제어하기 위한 투명O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는 기판유리; 상기 기판유리 상에 형성되는 제1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상에 형성되는 유기층; 상기 유기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2 투명전극 및 봉지유리를 포함하되, 상기 기판유리 및 상기 봉지유리 중 적어도 하나는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유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는 기판유리; 상기 기판유리 상에 형성되는 제1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상에 형성되는 유기층; 상기 유기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2 투명전극 및 봉지유리; 상기 기판유리 하면 및 상기 봉지유리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는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조사되는 조사량을 조절함으로써 목적에 따라 단방향 혹은 양방향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투명OLED 조명장치의 외부광량에 따라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의 이점있다.
또한 조사량 제어가 가능한 투명OLED 조명장치의 일 영역에 RF센서를 구성함으로써, 투명OLED 조명장치 외부에 피사체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투명OLED 조명장치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하는데 활용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의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는 기판유리(101), 제1 투명전극(102), 유기층(103), 제2 투명전극(104) 및 봉지유리(105)를 포함한다.
이러한 투명OLED 조명장치의 제작과정은 기판유리(101)상에 제1 투명전극(102)을 형성하고, 제1 투명전극(102)상에 삼파장 백색 발광특성을 갖는 유기 발광층인 유기층(103)을 형성하며, 유기층(103)상에 순차적으로 제2 투명전극(104) 및 봉지유리(105)를 형성하여 투명OLED 조명장치를 완성한다. 여기서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는 인가되는 전원량에 따라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유리로 형성되며, 이때 사용되는 스마트 유리는 액정유리, 전색성소재를 포함하는 전색성유리 및 SPD유리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투명전극(102, 104)은 투명하면서 일함수가 높은 전도성 물질, 예를 들면, ITO, IZO 등이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을 유기층(103)만으로 표현하였으나, 전하의 주입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정공 주입층(미도시), 정공 전 달층(미도시), 발광층(미도시), 전자 전달층 및/또는 전자 주입층(미도시)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투명OLED 조명장치가 형성되고,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가 스마트 유리로 형성되면,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독립적으로 전원이 전달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할 경우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가 스마트 유리로 형성되면,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로 전달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각각 제어하여 투명OLED 조명장치의 양방향으로 빛이 조사되거나 또는 단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조사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로 전달되는 전원이 온(On)된 후에는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로 전달되는 전원량을 각각 제어하여 투명OLED 조명장치의 양방향 혹은 단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에서 전원의 유무에 따라 빛이 조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먼저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의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를 액정유리로 형성하였을 경우에 빛이 조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 액정유리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의 투명한 유리사이에 액정분자가 주입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렇게 형성된 액정유리는 도 2a의 201과 같이 전원 이 차단(Off)되면 액정분자들이 흐트러져 빛을 차단하고 그 결과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전원이 공급(On)되기 시작하면 도 2a의 2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분자들이 일정한 방향성을 나타내어 투명도가 증가하고, 액정유리로 인가되는 전원량이 증가할 수록 불투명한 상태의 유리가 투명유리로 변화된다.
때문에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를 액정유리로 형성한 후 전원을 인가시키면 전원이 인가된 액정유리를 통해 빛이 조사된다. 또한 액정유리로 인가되는 전원량을 증가시킬수록 액정유리의 투명도가 증가하게되어, 투명OLED 조명장치를 통해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기판유리(101)만을 액정유리로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기판유리(101)로 전달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유리(105) 상면으로 빛이 조사되거나 또는 봉지유리(105) 상면으로만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기판유리(101)로 전달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기판유리(101) 하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봉지유리(105)만을 액정유리로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봉지유리(105)로 전달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유리(105) 상면으로 빛이 조사되거나, 또는 기판유리(101) 하면으로만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봉지유리(105)로 전달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봉지유리(105) 상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를 모두 액정유리로 형성함으로써,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로 각각 전달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를 통해 빛이 단방향 혹은 양방향으로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로 각각 전달되는 전원량을 조절함으로써 양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의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를 전색성유리로 형성하였을 경우에 빛이 조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전색성유리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의 유리 사이에 여러개의 전색성층이 들어가 있는 구조를 가지며, 전원이 차단(Off)되면 도 2b의 203과 같이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낮은 전원을 얇게 코팅된 유리 표면에 흘려주면 도 2b의 204와 같이 전색성층을 활성화시켜 투명한 색이 어둡게 바뀌어 불투명유리가 된다.
때문에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를 전색성유리로 형성한 후 전원을 오프(Off)시키면 전색성유리를 통해 빛이 조사되며, 전색성유리로 전원을 인가시키면 전색성유리가 불투명유리로 변화되어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전색성유리로 인가되는 전원량이 증가할 수록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이 점점 줄어들어 결국 빛이 조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판유리(101)만을 전색성유리로 형성하였을 경우 기판유리(101)로 전달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유리(105) 상면으로 빛이 조사되거나, 또는 봉지유리(105) 상면으로만 빛이 조사되도 록 제어할 수 있으며,
기판유리(101)로 전달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기판유리(101) 하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봉지유리(105)만을 전색성유리로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봉지유리(105)로 전달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유리(105) 상면으로 빛이 조사되거나, 또는 기판유리(101) 하면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봉지유리(105)로 전달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봉지유리(105) 상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를 모두 전색성유리로 형성함으로써,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로 각각 전달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를 통해 단방향 혹은 양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로 각각 전달되는 전원량을 조절함으로써 양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의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를 SPD 유리로 형성하였을 경우에 빛이 조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SPD유리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의 유리 사이에 전도성이 있는 필름이 주입되어 있으며, 이 필름에는 빛을 흡수하는 미세입자가 분산되어 있다. 이러한 SPD유리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필름 내에 분산되어 있는 미세 입자가 빛을 흡수하여 SPD유리가 검은색을 보이며, 전원이 인가되면 미세입자들이 정렬하여 SPD유리를 빛이 통과할 수 있게된다.
때문에 SPD 유리로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할 경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는 빛이 SPD유리를 통해 조사되지 않으며, SPD 유리로 인가되는 전원량이 점점 증가 하면 미세입자들이 정렬하여 빛이 점점 많이 통과되고, 빛의 조사량도 점점 증가한다.
따라서, 기판유리(101)만을 SPD유리로 형성하였을 경우 기판유리(101)로 전달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유리(105) 상면으로 빛이 조사되거나, 봉지유리(105) 상면으로만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기판유리(101)로 전달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기판유리(101) 하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봉지유리(105)만을 SPD유리로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봉지유리(105)로 전달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유리(105) 상면으로 빛이 조사되거나, 기판유리(101) 하면으로만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봉지유리(105)로 전달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봉지유리(105) 상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를 모두 SPD유리로 형성함으로써,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로 각각 전달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를 통해 빛이 단방향 혹은 양방향으로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로 각각 전달되는 전원량을 조절함으로써 양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에 RF센서가 부착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RF 센서가 부착된 조사량 제어가 가능한 투명OLED 조명장치는 기판유리(101) 상부에 형성된 제1 투명전극(102)을 포함하고, 제1 투명전극(102) 상부에 형성된 유기층(103)을 포함하며, 유기층(103)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투명전극(104) 및 봉지유리(105)를 포함한다.
또한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유리(105) 상면의 일 영역에 형성된 RF센서(106)를 포함한다.
이렇게 형성된 RF 센서(106)를 포함하는 투명OLED 조명장치는 RF센서(106)가 투명OLED 조명장치 외부에 존재하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RF센서(106)를 통해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로 인가되는 전원량을 조절한다.
즉, RF센서(106)를 통해 투명OLED 조명장치 외부의 피사체 움직임이 판단되면, 투명OLED 조명장치는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빛의 조사량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도록 제어한다.
예를들어,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가 액정유리 또는 전색성유리로 형성될 경우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되는 전원량이 점점 증가되도록 제어하여 빛의 조사량이 점점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가 SPD유리로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되는 전원량이 점점 감소되도록 제어하여 빛의 조사량이 점점 증가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할 경우 RF센서(106)를 통해 투명OLED 조명장치 외부의 피사체 움직임을 감지하여 빛이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조명이 필요한 상태에 따라 빛의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에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설명에서는 RF센서(106)를 통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빛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RF센서(106)대신에 외부의 광량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형성할 수도 있다.
광센서가 형성된 투명OLED 조명장치는 광센서가 투명OLED 조명장치 외부의 광량을 감지하면, 광센서를 통해 감지된 외부 광량에 따라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빛의 조사량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투명OLED 조명장치에 RF센서 및 광센서를 모두 형성할 수 있으며, RF센서 및 광센서가 투명OLED 조명장치에 모두 형성될 경우에는 RF센서 및 광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의 피사체 움직임 및 외부 광량에 따라 기판유리(101) 및 봉지유리(105) 중 적어도 하나로 인가되는 전원량을 조절하여 빛의 조사량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는 기판유리(101), 제1 투명전극(102), 유기층(103), 제2 투명전극(104), 봉지유리(105), 및 스마트 유리(10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의 제작과정을 설명하면, 기판유리(101) 상에 제1 투명전극(102)이 형성되면, 제1 투명전극(102)상부에 발광층인 유기층(103)을 형성하고, 유기층(103)상부에 제2 투명전극(104) 및 봉지유리(105)를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그리고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유리(105) 상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마트 유리(107)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빛의 방향 및 조사량 제어가 가능한 투명OLED 조명장치가 형성되면, 스마트 유리(107)가 다른 경로를 통해 독립적으로 전원이 전달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할 경우 스마트 유리(107)로 전달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투명OLED 조명장치의 양방향으로 빛이 조사되거나 또는 단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유리(107)로 전달되는 전원이 온(On)된 후에는 스마트 유리(107)로 전달되는 전원량을 제어하여 투명OLED 조명장치의 양방향 혹은 단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유리(107)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유리(101) 하면에 형성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유리(105) 상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유리(105) 상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유리(107)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액정유리, 전색성유리 및 SPD유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마트 유리(107)로 인가되는 전원량에 따라 투명도 또는 불투명도가 점점 증가하여 빛의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도 4a와 같이 스마트 유리(107)가 기판유리(101) 하면에 부착되면 스마트 유리(107)로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기판(105) 상면으로 빛이 조사되거나, 또는 봉지기판(105) 상면으로만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판유리(101) 하면에 부착된 스마트 유리(107)로 전달되는 전원량을 제어하여 투명OLED 조명장치의 하면으로 발광되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스마트 유리(107)가 봉지기판(105) 상면에 부착될 경우에는 스마트 유리(107)로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기판(105) 상면으로 빛이 조사되거나, 또는 기판유리(101) 하면으로만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봉지기판(105) 상면에 부착된 스마트 유리(107)로 전달되는 전원량을 제어하여, 투명OLED 조명장치 상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4c와 같이 스마트 유리(107)가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기판(105) 상면에 부착될 경우에는 기판유리(101) 하면에 형성된 스마트 유리(107) 및 봉지기판(105) 상면에 형성된 스마트 유리(107)로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 프(On/Off)를 각각 제어하여 빛이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기판(105) 상면 중 적어도 하나로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기판(105) 상면에 부착된 각각의 스마트 유리(107)로 인가되는 전원량을 제어하여, 기판유리(101) 하면 및 봉지기판(105) 상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따른 조사량 제어가 가능한 투명OLED 조명장치는 스마트 유리(107)로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On/Off) 및 전원량을 조절하여 빛의 방향 및 조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에서 전원의 유무에 따라 빛이 조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에 RF센서가 부착된 형태를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투명OLED 조명장치의 단면도.

Claims (14)

  1. 투명OLED 조명장치로서,
    기판유리;
    상기 기판유리 상에 형성되는 제1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상에 형성되는 유기층;
    상기 유기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2 투명전극 및 봉지유리를 포함하되,
    상기 기판유리 및 상기 봉지유리는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유리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 유리로 인가되는 전류의 유무에 따라 상기 투명OLED 조명장치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빛이 조사되고,
    상기 스마트 유리로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상기 기판유리 하면 및 상기 봉지유리 상면을 통해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이 각각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OLED 조명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유리는,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액정유리, 전색성유리 및 SPD유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OLED 조명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유리 및 상기 봉지유리가 상기 스마트 유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판유리 및 상기 봉지유리 각각에 서로 다른 회선을 통해 독립적으로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OLED 조명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유리의 하면 및 상기 봉지유리 상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영역에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RF 센서 및 외부 광량을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투명OLED 조명장치는 상기 RF 센서에서 감지된 피사체의 움직임 및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된 외부광량에 따라 상기 스마트 유리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OLED 조명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투명OLED 조명장치로서,
    기판유리;
    상기 기판유리 상에 형성되는 제1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상에 형성되는 유기층;
    상기 유기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2 투명전극 및 봉지유리;
    상기 기판유리 하면 및 상기 봉지유리 상면 각각에 접하여 형성되는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유리로 인가되는 전류의 유무에 따라 상기 투명OLED 조명장치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빛이 조사되고,
    상기 스마트 유리로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상기 기판유리 하면 및 상기 봉지유리 상면을 통해 각각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OLED 조명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유리는,
    인가되는 전류의 유무에 따라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액정유리, 전색성유리 및 SPD유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OLED 조명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유리가 상기 기판유리 상면 및 상기 봉지유리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스마트 유리는 서로 다른 회선을 통해 독립적으로 전류를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OLED 조명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유리 및 봉지유리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OLED 조명장치.
KR1020090023934A 2009-03-20 2009-03-20 투명oled 조명장치 KR101302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934A KR101302124B1 (ko) 2009-03-20 2009-03-20 투명o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934A KR101302124B1 (ko) 2009-03-20 2009-03-20 투명o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092A KR20100105092A (ko) 2010-09-29
KR101302124B1 true KR101302124B1 (ko) 2013-08-30

Family

ID=4300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934A KR101302124B1 (ko) 2009-03-20 2009-03-20 투명o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9502A (zh) * 2016-08-31 2016-12-21 北海华源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780A (ko) * 2003-04-01 2003-04-16 김미현 사람의 감지와 형광등의 밝기를 자동 제어하는 조명 제어장치
KR20070051500A (ko) * 2005-11-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표시 표시장치
KR20090009465A (ko) * 2007-07-20 2009-01-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엘이디 램프 배광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780A (ko) * 2003-04-01 2003-04-16 김미현 사람의 감지와 형광등의 밝기를 자동 제어하는 조명 제어장치
KR20070051500A (ko) * 2005-11-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표시 표시장치
KR20090009465A (ko) * 2007-07-20 2009-01-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엘이디 램프 배광 제어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flections on switchable mirror devices (Geest-Lokhorst, A.C. van, 2006.06.) *
Reflections on switchable mirror devices (Geest-Lokhorst, A.C. van, 2006.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092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426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1329757B1 (ko) 투명oled 조명장치
KR101983888B1 (ko) 투명 oled 부품 및 그 부품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48455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non-light emitting region, light emitting region and photochromic layer
KR101065408B1 (ko) 터치 표시 장치
KR10203164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741781B2 (en) Optoelectronic component with adjustable light emiss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11764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표시 장치
US20110128264A1 (en) Transflective display device
CN106483723A (zh) 透明显示装置
KR101982073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394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TW201401503A (zh) 光學薄膜及包含其之有機發光顯示裝置
KR20160054720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70008371A (ko) 표시 장치
CN114267710A (zh) 显示面板、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KR10206723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13053966B (zh) 显示面板、亮度补偿方法和显示装置
US20050122053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WO2018153147A1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1302124B1 (ko) 투명oled 조명장치
KR100927598B1 (ko) 광 게이팅 스위치 시스템
KR102621128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 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101613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TW201310115A (zh) 電激發光顯示器及其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