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849B1 -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849B1
KR101298849B1 KR1020110145115A KR20110145115A KR101298849B1 KR 101298849 B1 KR101298849 B1 KR 101298849B1 KR 1020110145115 A KR1020110145115 A KR 1020110145115A KR 20110145115 A KR20110145115 A KR 20110145115A KR 101298849 B1 KR101298849 B1 KR 101298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rs
battery module
laser weld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501A (ko
Inventor
류재연
오세영
정승룡
박태진
강순선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8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06Laser sea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은 중앙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하우징 및 중앙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셀 리드를 상기 버스바에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 하우징 및 중앙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셀 리드를 상기 버스바에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를 레이저 용접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그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배출홈 및 배출구에 의해 레이저 용접 시 뒷면에 발생되는 열과 가스 등의 배출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모듈의 컴팩트화 및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Housing structure of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을 하우징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셀 리드(cell lead)와 버스바(busbar)의 용접공정을 개선할 수 있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모듈의 제작 공정 중 셀 리드(cell lead)와 버스바(busbar)의 연결은 현재 일반적으로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 용접을 위해 대부분의 배터리 제조사는 스틸물로 제작된 카운터바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 '-' 셀 리드 사이 또는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에 카운터바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즉, 종래 배터리모듈에서 '+', '-' 셀 리드들 사이 또는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의 연결은 위에서 확보된 공간에 삽입된 카운터바를 이용하여 셀 리드들 사이 또는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를 레이저 용접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레이저 용접에 의해 연결된 셀들을 하우징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모듈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종래 배터리모듈은 '+', '-' 셀 리드들 사이 또는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의 용접 시 별도의 카운터바가 들어갈 공간이 필요하고, 용접 후 하우징에 삽입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터리모듈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하우징에 삽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를 가진다.
또한, 하우징에 삽입되는 공정의 어려움을 덜기 위해 셀들을 하우징에 삽입한 후 용접을 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방식에 의하면 용접을 위해 별도의 카운터바가 들어갈 공간을 확보에 해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에 불필요한 형상이 필요하여 배터리모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가진다.
KR 10-2010-0097685 A, 2010. 09. 03, 도면 1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 용접을 위해 종래 이용되는 카운터바 없이 셀 리드들 사이 또는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를 레이저 용접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그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레이저 용접 시 뒷면에 발생되는 열과 가스 등의 배출역할을 수행하여 배터리모듈의 컴팩트화 및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은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중앙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하우징 및 중앙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 버스바에 셀 리드를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 하우징 및 중앙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 버스바에 셀 리드를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는,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 및 후방 하우징의 바에 각각 결합 후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상기 배출홈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홈은 2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중앙 하우징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전방 하우징 및 상기 후방 하우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전방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후방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들 및 상기 후방 하우징 바들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중앙 하우징 바들에 탄성적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바들에 의한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특징은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전방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하우징 및 후방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 버스바에 셀 리드를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는, 상기 전방 하우징에 결합 후,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상기 배출홈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홈은 2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는 상기 후방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전방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는 상기 전방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들에 탄성적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바들에 의한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하우징의 바에 의해 셀 리드들 사이 또는 셀 리드 및 버스바 사이를 레이저 용접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그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하우징의 바에 형성된 배출홈 및 배출구에 의해 레이저 용접 시 뒷면에 발생되는 열과 가스 등의 배출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모듈의 컴팩트화 및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이 적용된 배터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의 바들이 맞물려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해 맞물려 결합된 바들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에 의해 결합된 바들이 용접을 위한 지그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비교예로서 본 실시예와 달리 배출홈이 없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의한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도 6의 의한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이 적용된 배터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배터리모듈은 2개의 적층된 셀들, 제1 적층 셀들(2) 및 제2 적층 셀들(6)로 이루어지고, 각 적층된 셀들에 속하는 전극(3,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구조를 지그로 하여 버스바(4, 8)에 레이저 용접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제1 적층 셀들(2)의 일측 및 제2 적층 셀들(6)의 일측을 양측에 각각 결합하기 위한 중앙 하우징(10)과, 제1 적층 셀들(2)의 타측과 결합하기 위한 전방 하우징(20)과, 제2 적층 셀들(6)의 타측과 결합하기 위한 후방 하우징(3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중앙 하우징(10)과 전방 하우징(20) 만을 도시하였지만, 후방 하우징(30)과 전방 하우징(20)은 구조적으로 대칭되고, 기능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중앙 하우징(10)과 후방 하우징(30)과의 결합 과정은 도 2 내지 도 4의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20) 및 중앙 하우징(10) 각각은, 다수개의 바들을 구비하고, 전방 하우징(20)의 바(25)들 및 중앙 하우징(10)의 바(15)들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도 2에서는 후방 하우징(30)이 생략되었지만, 중앙 하우징(10)의 바(15)들은 중앙 하우징(10)으로부터 전방 하우징(20) 및 후방 하우징(30)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전방 하우징(20)의 바(25)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20)으로부터 중앙 하우징(10)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후방 하우징(30)의 바(35)들은 후방 하우징(30)으로부터 연장되어 중앙 하우징(10)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중앙 하우징(10)의 바(15)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4, 8)의 후면에 배치되어, 버스바(4, 8)에 폴딩된 셀 리드(3, 7)를 버스바(4, 8)에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하우징(10)의 바(15)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 2 및 도 3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홈(152)을 구비하고, 전방 하우징(20)의 바(25) 및 후방 하우징(30)의 바(35)와 각각 결합 후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배출홈(152)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구(154)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출홈은 2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도 6의 비교예와 달리,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중앙 하우징(10)의 바(15)에 배출홈(152)을 구비하고 있어, 용접에 대응하여 뒷면에 발생하는 열 및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도 6의 비교예와 같은 폭발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비교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의 결과로서 도 7과 달리 용접 라인에 불량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전방 하우징(20)의 바(25)들은, 중앙 하우징(10)의 바(15)들과 탄성적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U'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중앙 하우징의 바(15)에 의해 셀 리드(3, 7)들 사이 또는 셀 리드(3, 7) 및 버스바(4, 8) 사이를 레이저 용접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그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중앙 하우징의 바(15)에 형성된 배출홈(152) 및 배출구(154)에 의해 레이저 용접 시 뒷면에 발생되는 열과 가스 등의 배출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모듈의 컴팩트화 및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된 셀들이 2개로 이루어진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적층된 셀들이 1개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적층된 셀들이 1개인 경우의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적층된 셀들이 1개이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중앙 하우징(10)의 구성은 하우징의 구조에서 제외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1개의 적층 셀들을 양측에서 서로 결합하여 적층 셀들을 하우징하는 전방 하우징 및 후방 하우징을 구비하고, 전방 하우징 및 후방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1개의 적층 셀들의 셀 리드들과 버스바가 사전에 정해진 연결을 위한 레이저 용접이 수행되도록 다수개의 바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후방 하우징의 바는 전술한 실시예의 중앙 하우징(10)의 바(15)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후방 하우징 바들은 후방 하우징으로부터 전방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버스바에 폴딩된 상기 셀 리드를 상기 버스바에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후방 하우징 바들은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 그리고 이 배출홈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하여 용접시 뒷면에 발생하는 열 및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 하우징은 전술한 실시예의 전방 하우징(2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는 중앙 하우징(10)을 이용함으로써 단수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적층 셀들의 하우징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2: 제1 적층 셀들
3, 7: 셀 리드
4, 8: 버스바
6: 제2 적층 셀들
10: 중앙 하우징
15: 중앙 하우징의 바
152: 배출홈
154: 배출구
20: 전방 하우징
25: 전방 하우징의 바
30: 후방 하우징
35: 후방 하우징의 바

Claims (10)

  1.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있어서,
    중앙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중앙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하우징 및 중앙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 버스바에 셀 리드를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 하우징 및 중앙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 버스바에 셀 리드를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는,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 및 후방 하우징의 바에 각각 결합 후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상기 배출홈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은 2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중앙 하우징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전방 하우징 및 상기 후방 하우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전방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들은 상기 후방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5. 삭제
  6.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에 있어서,
    전방 하우징과, 상기 전방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하우징 및 후방 하우징 각각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들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들은 버스바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 버스바에 셀 리드를 결합하기 위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레이저 용접 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는, 상기 전방 하우징에 결합 후,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상기 배출홈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은 2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하우징의 바는 상기 후방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전방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의 바는 상기 전방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10. 삭제
KR1020110145115A 2011-12-28 2011-12-28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KR101298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115A KR101298849B1 (ko) 2011-12-28 2011-12-28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115A KR101298849B1 (ko) 2011-12-28 2011-12-28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501A KR20130076501A (ko) 2013-07-08
KR101298849B1 true KR101298849B1 (ko) 2013-08-23

Family

ID=4899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115A KR101298849B1 (ko) 2011-12-28 2011-12-28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8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4871B2 (en) 2017-09-29 2021-06-01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US11660710B2 (en) 2018-04-04 2023-05-30 Lg Energy Solution, Ltd. Pressurization jig for pressurizing busbar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415B1 (ko) * 2015-10-22 2019-01-22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조전지
EP3367468B1 (en) * 2015-10-22 2020-04-22 Envision AESC Japan Ltd. Assembled battery and assemble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KR102514123B1 (ko) 2018-04-19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버스바 프레임 구조를 구비하는 단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0555A (ko) * 2006-04-07 2007-10-11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배터리 셀 모듈의 접속장치
KR20070112489A (ko) * 2006-05-22 2007-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KR20090093222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의 제조방법 및 중대형 전지팩
KR101023184B1 (ko) * 2010-11-01 2011-03-18 쓰리피시스템(주) 배터리 모듈의 용접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0555A (ko) * 2006-04-07 2007-10-11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배터리 셀 모듈의 접속장치
KR20070112489A (ko) * 2006-05-22 2007-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KR20090093222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의 제조방법 및 중대형 전지팩
KR101023184B1 (ko) * 2010-11-01 2011-03-18 쓰리피시스템(주) 배터리 모듈의 용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4871B2 (en) 2017-09-29 2021-06-01 Sk Innovation Co., Ltd. Battery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US11660710B2 (en) 2018-04-04 2023-05-30 Lg Energy Solution, Ltd. Pressurization jig for pressurizing busbar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501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849B1 (ko)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US7642746B2 (en) Method of preparing battery core pack
JP7047218B2 (ja) バスバーアセンブリー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US8673480B2 (en) Support feature for joining of battery cell tabs
US20130260611A1 (en) Battery module
US20060246781A1 (en) Terminal-connecting means
JP6394964B2 (ja) 蓄電モジュール
CN103000836A (zh) 电池模块
JP2009070822A (ja) バッテリ端子の電気的連結装置
KR101456936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전압센싱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셀모듈조립체
KR101298872B1 (ko)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JP7062185B2 (ja) バスバー組立体
JP2011253779A (ja) 組電池
CN109148754A (zh) 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KR102056366B1 (ko) 전지팩의 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KR102331726B1 (ko) 배터리 모듈
JP5256786B2 (ja) 組電池
KR102463137B1 (ko) 배터리 모듈용 리셉터클 및 상기 리셉터클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KR20160035795A (ko) 태양전지 패널용 정션박스
JP5977943B2 (ja) 電池パック
US11411277B2 (en) Battery pack, power tool, and battery pack and power tool set
KR101321687B1 (ko) 단위배터리의 직렬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KR20170011206A (ko) 확장 가능한 구조의 팩 프레임
KR102289582B1 (ko) 밀봉 구조의 배터리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JP6156156B2 (ja) 配線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