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532B1 - 휴대기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532B1
KR101297532B1 KR1020130040828A KR20130040828A KR101297532B1 KR 101297532 B1 KR101297532 B1 KR 101297532B1 KR 1020130040828 A KR1020130040828 A KR 1020130040828A KR 20130040828 A KR20130040828 A KR 20130040828A KR 101297532 B1 KR101297532 B1 KR 10129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light
mobile device
light sour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용승
Original Assignee
백용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용승 filed Critical 백용승
Priority to KR102013004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532B1/ko
Priority to US14/180,263 priority patent/US2014030746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95Light guides as housings, housing portions, shelves, doors, tiles, window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기기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기기의 광원을 노출시키는 개방홀을 구비하되, 상기 휴대기기의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전달받아 외부로 발산하는 도광부, 및 상기 도광부의 상기 개방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휴대기기를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도광부의 발광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는 휴대기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기기 케이스{Case of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점차 기술이 발달하면서 각종 전자 부품들이 집적화, 소형화되어 개인이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소형의 휴대기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폴더형 휴대폰, 바형 휴대폰, 슬라이드형 휴대폰, MP3플레이어, CD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팜(palm), 휴대용 소형 TV, 휴대용 게임기, 노트북 컴퓨터, 전자사전,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GPS수신기 등의 휴대기기가 그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각 휴대기기의 기능을 합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휴대기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가격이 상승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기기의 경우 디자인과 휴대 편의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는바, 단말기의 크기를 작게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약한 재질의 하우징을 사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고 흠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외관을 적절히 꾸미기 위해 휴대기기의 하우징 외부에 견고한 별도의 휴대기기 케이스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휴대기기와 외부의 하우징을 보호하고, 독특한 개성과 미감을 유발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기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는 휴대기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는, 휴대기기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기기의 광원을 노출시키는 개방홀을 구비하되, 상기 휴대기기의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전달받아 외부로 발산하는 도광부, 및 상기 도광부의 상기 개방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방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광원을 커버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광원을 개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일부는 상기 커버부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도광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광원과 인접하게 위치한 상기 휴대기기의 카메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부는, 상기 광원이 위치한 휴대기기의 제1 면에 배치된 제1 도광부, 및 상기 제1 면과 인접한 상기 휴대기기의 제2 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도광부와 연결되는 제2 도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도광부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광부는 상기 개방홀이 형성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광부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된 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홀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일부는 상기 개방홀의 경사진 면을 통해 상기 도광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상기 커버부는 불투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부에는 레일이 위치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도광부의 상기 개방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부와 상기 커버부는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빛을 상기 도광부의 상면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부는 상기 휴대기기의 카메라부를 노출시키는 카메라 노출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노출홀과 상기 개방홀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휴대기기 케이스에 따르면, 휴대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도광부가 발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가 도광부의 개방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광원을 사용하지 않을 때 커버부를 제1 위치에 위치시켜 광원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가 장착된 휴대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기기 케이스의 커버부가 광원을 개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가 장착된 휴대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휴대기기 케이스의 커버부가 광원을 개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가 장착된 휴대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휴대기기 케이스의 커버부가 광원을 개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E-E'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0a)가 장착된 휴대기기(2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기기 케이스(100a)의 커버부(120a)가 광원(210)을 개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0a)는 휴대기기(200)의 광원(210)으로부터의 빛을 전달받아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도광부(110a), 및 도광부(110a)의 개방홀(113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부(120a)를 포함한다.
도광부(110a)는 휴대기기 케이스(100a)의 베이스가 되는 부재로서 휴대기기(20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광부(110a)는 휴대기기(200)의 광원(210)이 위치되는 제1 면(201) 및 제1 면(201)과 인접한 제2 면(202)을 둘러싸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도광부(110a)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200)의 후면과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이때, 도광부(110a)는 휴대기기(200)의 제1 면(201)에 배치된 제1 도광부(111a) 및 제2 면(202)에 배치된 제2 도광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광부(111a)에는 광원(210)을 노출시키는 개방홀(113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개방홀(113a)을 충분히 크게하여 휴대기기(200)의 카메라부(220)도 함께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도광부(112a)에는 버튼 홀(114a)이 구비될 수 있으며 버튼 홀(114a)을 통해 휴대기기(200)의 볼륨 버튼이나 기능 버튼 등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광부(110a)는 휴대기기(200)의 광원(210)으로부터의 빛을 전달받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반투명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빛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광부(110a)는 충분한 강성을 가진 물질로 구성되어 휴대기기(20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커버부(120a)는 도광부(110a)의 개방홀(113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부재로서 광원(210)을 커버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광원(210)을 '커버'한다는 의미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광원(210)을 볼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광원(210)을 '개방'하다는 의미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광원(210)을 볼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120a)는 도 1에 도시한 제1 위치와 도 2에 도시한 제2 위치 사이에서 도광부(110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부(110a) 중 휴대기기(200)의 제1 면(201)에 위치된 제1 도광부(111a)에는 레일(115a)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레일(115a)을 따라 커버부(120a)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120a)에는 레일(115a)에 걸릴 수 있도록 가이드부(12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121a)는 레일(115a)에 걸쳐져 커버부(120a)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120a)와 제1 도광부(111a) 사이에는 대략 레일(115a)의 높이 정도로 일정 빈 공간(122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빈 공간(122a)에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20a)에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스토퍼를 두어 레일에 걸리게 함으로써, 커버부(120a)가 제1 위치(도 1의 위치)에 위치할 때 커버부(120a)가 광원(210)을 넘어 더 올라가지 않게 할 수 있고, 커버부(120a)가 제2 위치(도 2의 위치)에 위치할 때 너무 많이 내려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120a)가 도 1과 같은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광원(21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없으며, 도 2와 같은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광원(210)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소에 커버부(120a)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키다가 카메라부(220) 등의 플래시로서 광원(210)을 사용하거나 손전등으로서 광원(210)을 사용할 때 커버부(120a)를 제2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광원(210)을 사용하는 시간보다는 광원(210)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이 일반적으로 더 많은데, 광원(21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주머니나 핸드백에 휴대기기(200)를 넣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0a)는 평소(도 1과 같을 때)에 커버부(120a)로 광원(210)을 커버하는바, 광원(210)이 긁히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20a)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광원(210)에 인접한 카메라부(220)도 커버부(120a)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제2 위치에 있을 때 카메라부(220)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120a)는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도광부(111a)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제1 도광부(111a)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고, 도광부(110a)와는 달리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버부(120a)가 제1 도광부(111a)의 일부만 커버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제1 도광부(111a)를 통한 발광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0a, 100a')의 빛 전달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광원(210)을 카메라부(220)의 플래시로서 또는 손전등으로서 사용할 때 외에도, 즉 커버부(120a)가 도 1과 같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도 광원(210)은 켜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커버부(120a)가 광원(210)을 커버한 경우에도 광원(210)은 켜진 상태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때, 광원(210)의 켜진 상태는 예를 들어 휴대기기(200)의 어플이나 환경 설정에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광원(210)으로부터의 빛은 개방홀(113a)을 통과하여 조사될 수 있다. 광원(210)으로서는 예를 들어 LED가 사용될 수 있는데, LED의 조사각도는 예를 들어 약 120°가 될 수 있으며, 광원(210)으로부터의 빛의 일부(211)는 바로 제1 도광부(111a)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그 외 광원(210)으로부터의 빛(212)은 개방홀(113a)을 통과하여 커버부(120a)에 도달된 후 커버부(120a)에 의해 반사될 수 있으며, 반사된 빛(212)은 제1 도광부(111a)로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도광부(111a)로 전달된 빛은 제1 도광부(111a)를 따라 제2 도광부(112a)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도광부(111a)는 커버부(120a)에 의해 가려져 있으므로 제2 도광부(112a) 만이 빛을 발산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휴대기기 케이스(100a)의 외곽이 발광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기기 케이스(100a)의 외관에 심미감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 휴대기기(200)를 제어하여 광원(210)을 반짝거리게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2 도광부(112a)도 반짝거리는 것처럼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 케이스(100a)의 외관을 더욱 화려하게 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기기 케이스(100a')의 제2 도광부(112a)에 반사부(116a)를 둘 수 있으며, 빛은 반사부(116a)를 통해 반사되어 제2 도광부(112a)의 상면으로 발산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116a)가 형성된 위치가 더욱 밝게 빛나게 되며 예를 들어 글자나 기호와 같은 문양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도광부(111a) 및 제2 도광부(112a)에 도광로를 두어 빛이 상기 도광로를 통해 전달되게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원하는 곳을 더욱 밝게 비추도록 할 수 있고 광원(210)으로부터 먼 곳까지도 빛이 잘 전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커버부(120a)를 슬라이드 이동하면 광원(210)을 개방할 수 있고 광원(210)으로부터의 대부분의 빛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물론, 광원(210)이 개방된 경우에도 일부의 빛은 직접 제1 도광부(111a)로 전달되어 제1 도광부(111a)를 통해 제2 도광부(112a)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광원(210)이 개방된 경우 제2 도광부(112a)가 발광하는 양은 광원(210)이 커버된 경우에 비하여 적을 수 있다.
한편, 도광되는 양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광부(110a)와 휴대기기(200) 사이에 별도의 도광필름을 두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0b)가 장착된 휴대기기(200)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휴대기기 케이스(100b)의 커버부(120b)가 광원(210)을 개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한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0b)는 휴대기기(200)의 광원(210)으로부터의 빛을 전달받아 외부로 발산하는 도광부(110b), 및 도광부(110b)의 개방홀(113b)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부(120b)를 포함하되, 개방홀(113b)은 광원(2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개방홀(113b)의 폭은 광원(210)에 가까울수록 넓고 광원(210)에 멀수록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원(210)으로부터 나오는 빛의 일부가 더욱 용이하게 도광부(110b)로 전달될 수 있다(도 8 참조).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LED와 같은 광원(210)은 대략 120°의 각도로 빛을 조사하는데, 이때 90~120° 사이의 빛은 개방홀(113b)의 개방홀(113b)의 경사진 면(117b)을 통해 제1 도광부(111b)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즉, 이전 실시예에서는 대략 110~120° 사이의 빛만 도광부(110a)로 직접 전달되었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90~110° 사이의 빛도 도광부(110b)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제2 도광부(112b)의 발광량이 이전 실시예에 비해서 늘어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도광부(112b)가 더욱 밝게 빛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더욱 아름다운 심미감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부(220)는 별도의 카메라 노출홀(118b)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홀(118b)은 개방홀(113b)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단,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출홀(118b)과 개방홀(113b)이 일부 연통된 구조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개방홀(113b)이 광원(210)과 맞닿는 부분에서 광원(210)과 폭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더 좁도록 구현하여 더욱 많은 빛이 도광부(110b)로 전달되게 할 수도 있고 더 넓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0c)가 장착된 휴대기기(200)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휴대기기 케이스(100c)의 커버부(120c)가 광원(210)을 개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E-E'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0c)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0c)는 휴대기기(200)의 광원(210)으로부터의 빛을 전달받아 외부로 발산하는 도광부(110c), 및 도광부(110c)의 개방홀(113c)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부(120c)를 포함하되, 커버부(120c)는 개방홀(113c)의 주위 영역인 제1 영역(119a)만 커버할 수 있고 제2 영역(119b)에는 차폐부재(130)가 위치될 수 있다(도 10 참조).
본 실시예에서 제1 도광부(111c)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영역(119a)과 제2 영역(119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119a)은 개방홀(113c)을 포함하는 개방홀(113c)의 주위 영역이 될 수 있고, 제2 영역(119b)은 제1 영역(119a)을 제외한 제1 도광부(111c)의 나머지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19a) 상에는 개방홀(113c)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부(120c)가 위치될 수 있고, 제2 영역(119b) 상에는 차폐부재(130)가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커버부(120c)는 도 9와 같은 제1 위치에서 제1 도광부(111c) 전체를 커버하는 것이 아니고 일부(제1 영역(119a))만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20c)가 커버하지 못하는 제1 도광부(111c) 상에는 차폐부재(130)가 위치될 수 있고, 외부에서 제2 도광부(112c)만 발광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도록 차폐부재(130)는 커버부(120c)와 같이 불투명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광부(111c)에는 개방홀(113c)뿐만 아니라 휴대기기(200)의 카메라부(220)를 노출시키는 카메라 노출홀(118c)이 형성될 수 있고, 개방홀(113c)과 카메라 노출홀(118c)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격되어 별도로 형성되거나, 또는 연통되어 하나의 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120c)는 개방홀(113c)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데, 커버부(120c)가 제1 위치(도 9와 10의 위치)에서 제2 위치(도 11과 12의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개방홀(113c)을 통해 노출된 광원(210)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원(210)을 필요한 곳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a, 110b, 110c : 도광부 111a, 111b, 111c : 제1 도광부
112a, 112b, 112c : 제2 도광부 113a, 113b, 113c : 개방홀
114a, 114b, 114c : 버튼 홀 115a : 레일
116a : 반사부 120a, 120b, 120c : 커버부
130 : 차폐부재 200 : 휴대기기
210 : 광원 220 : 카메라부

Claims (17)

  1. 휴대기기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기기의 광원을 노출시키는 개방홀을 구비하되, 상기 휴대기기의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전달받아 외부로 발산하는 도광부; 및
    상기 도광부의 상기 개방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부;
    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방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광원을 커버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광원을 개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일부는 상기 커버부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도광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광원과 인접하게 위치한 상기 휴대기기의 카메라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광원이 위치한 휴대기기의 제1 면에 배치된 제1 도광부; 및
    상기 제1 면과 인접한 상기 휴대기기의 제2 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도광부와 연결되는 제2 도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도광부 전체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광부는 상기 개방홀이 형성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광부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된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홀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일부는 상기 개방홀의 경사진 면을 통해 상기 도광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상기 커버부는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에는 레일이 위치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도광부의 상기 개방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와 상기 커버부는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빛을 상기 도광부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휴대기기의 카메라부를 노출시키는 카메라 노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노출홀과 상기 개방홀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KR1020130040828A 2013-04-15 2013-04-15 휴대기기 케이스 KR10129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828A KR101297532B1 (ko) 2013-04-15 2013-04-15 휴대기기 케이스
US14/180,263 US20140307463A1 (en) 2013-04-15 2014-02-13 Casing for portabl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828A KR101297532B1 (ko) 2013-04-15 2013-04-15 휴대기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532B1 true KR101297532B1 (ko) 2013-08-16

Family

ID=4922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828A KR101297532B1 (ko) 2013-04-15 2013-04-15 휴대기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07463A1 (ko)
KR (1) KR1012975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375B1 (ko) * 2013-09-25 2013-10-29 주식회사 씨앤비텍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KR101429085B1 (ko) 2014-04-02 2014-08-14 (주)양지인더스트리얼 다용도 휴대폰 케이스
KR101513356B1 (ko) * 2013-08-29 2015-04-21 김재욱 다기능 촬영 카메라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78502Y1 (ko) * 2014-06-02 2015-10-14 강성진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604070B1 (ko) 2014-12-12 2016-03-16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 단말기의 다이어리형 보호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5405A1 (en) * 2013-12-19 2015-12-10 T+Ink, Inc. Techniques and apparatus for illuminating articles and/or graphic content
WO2016101234A1 (zh) * 2014-12-25 2016-06-30 孙冬梅 具有信息提醒功能的手机、手机套及无源的信息提醒装置
KR101596848B1 (ko) 2015-03-02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동 단말기
US20190067884A1 (en) * 2017-08-31 2019-02-28 Han Chuang International Co.,Ltd. Intelligen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6088A (ko) * 2011-04-12 2012-10-22 남궁종 망원렌즈 및 광학줌렌즈, 보조전원장치, 적외선 조명장치 와 선택필터 슬라이딩 셔터장치를 갖는 홍채인식용 휴대용 단말기 일체형 케이스의 착탈식 장치
KR101216854B1 (ko) 2012-05-11 2012-12-28 백용승 도광판 발광형 nfc 단말기용 외부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6088A (ko) * 2011-04-12 2012-10-22 남궁종 망원렌즈 및 광학줌렌즈, 보조전원장치, 적외선 조명장치 와 선택필터 슬라이딩 셔터장치를 갖는 홍채인식용 휴대용 단말기 일체형 케이스의 착탈식 장치
KR101216854B1 (ko) 2012-05-11 2012-12-28 백용승 도광판 발광형 nfc 단말기용 외부 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356B1 (ko) * 2013-08-29 2015-04-21 김재욱 다기능 촬영 카메라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323375B1 (ko) * 2013-09-25 2013-10-29 주식회사 씨앤비텍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KR101429085B1 (ko) 2014-04-02 2014-08-14 (주)양지인더스트리얼 다용도 휴대폰 케이스
KR200478502Y1 (ko) * 2014-06-02 2015-10-14 강성진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604070B1 (ko) 2014-12-12 2016-03-16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 단말기의 다이어리형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07463A1 (en)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532B1 (ko) 휴대기기 케이스
CN202631916U (zh) 保护盖
US20110294542A1 (en) Cell phone cover with integrated mirror and flip shield
US8087806B2 (en) Electronic device
US112487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rechargeable lighting module and associated carrier
EP3579529B1 (en) Intelligent light guide battery cover and mobile terminal
CN104662875B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壳体
KR20130020817A (ko)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CN107710723A (zh) 卡收纳型后壳
KR101335067B1 (ko) 미끄러지는 이동 또는 회전/경사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기기
JP5893223B2 (ja) 色変換される発光機構を有する携帯端末機用保護カバー
CN205584184U (zh) 移动装置套
KR20120005474U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TWI450002B (zh) 手持式電子裝置
KR200476664Y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JP2009071364A (ja) スライド式携帯電話機
KR20140003587U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1044145B1 (ko) 광학 포인팅 장치
JP5691692B2 (ja) 電子機器
KR101604070B1 (ko) 휴대 단말기의 다이어리형 보호케이스
CN110248005A (zh) 电子装置的后盖组件及电子装置
JP2014021638A (ja) 携帯端末用ケース
TWM469798U (zh) 發光鏡結構
US11906713B2 (en) Optical fingerprint sens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with optical fingerprint detection
KR101482919B1 (ko)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6